KR102223108B1 - Led 마스크 - Google Patents

Led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108B1
KR102223108B1 KR1020200054328A KR20200054328A KR102223108B1 KR 102223108 B1 KR102223108 B1 KR 102223108B1 KR 1020200054328 A KR1020200054328 A KR 1020200054328A KR 20200054328 A KR20200054328 A KR 20200054328A KR 102223108 B1 KR102223108 B1 KR 10222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ser
led
light
aceta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감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
Priority to KR102020005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LED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LED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마스크부(100)와; 상기 마스크부(100)를 충전하는 충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부(100)는, 사용자의 안면이 덮혀지게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10)와; 상기 마스크본체(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파장대가 상이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123,125,127,129)가 안면 부위별로 배치된 발광부(120)와;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내측 코주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으로 향하는 광의 조사범위를 조절하는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120)는,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121)과;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부비동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비동으로 제1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염증용 LED(127)와;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비구순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구순으로 제2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주름용 LED(125)와;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안면 전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안면으로 제3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미백용 LED(1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용 LED(125)는 상기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비구순에 조사되는 광의 조사범위가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의 형상에 대응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LED 마스크{LED mask}
본 발명은 LED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질환 개선을 위한 광선요법은 광이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사실에 기반한 것으로서, 태양광, 레이저, 형광등, UV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재생 또는 파괴 등을 통해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 광 의료 기술이다. 이러한 광선요법은 최근에는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형태에 특정파장을 갖는 LED 램프를 장착하여 안면 피부를 개선하는 LED 마스크에 적용되어 활발히 출시, 개발되고 있다.
종래 LED 마스크는 피부 전체로 특정 파장의 LED 광을 조사하여 주름이나 기미를 개선하거나 피부톤을 개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비구순 주름을 집중 관리할 수 없는 제약이 있었다.
한편, 최근 미세먼지의 증가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비염 또는 부비동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부비동염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약을 먹거나, 코로 약을 흡입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개선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2083650호,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91167호, "LED 마스크"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면 전체의 피부개선 뿐만 부비동염 및 비염을 개선할 수 있는 LED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사용자의 비구순 주름 형상에 맞게 LED를 조사하는 LED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LED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마스크부(100)와; 상기 마스크부(100)를 충전하는 충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부(100)는, 사용자의 안면이 덮혀지게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10)와; 상기 마스크본체(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파장대가 상이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123,125,127,129)가 안면 부위별로 배치된 발광부(120)와;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내측 코주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으로 향하는 광의 조사범위를 조절하는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120)는,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121)과;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부비동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비동으로 제1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염증용 LED(127)와;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비구순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구순으로 제2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주름용 LED(125)와;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안면 전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안면으로 제3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미백용 LED(1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용 LED(125)는 상기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비구순에 조사되는 광의 조사범위가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의 형상에 대응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는 미백용 LED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의 기미와 잡티를 개선하는 것 외에 염증용 LED를 이용해 사용자의 부비동의 비염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는 주름용 LED를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으로 조사하여 비구순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구순주름 영역으로만 주름용 LED가 조사되게 하여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가 충전중인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의 마스크부와 충전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의 마스크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의 마스크부의 발광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의 발광부의 안면 조사부위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의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의 충전부의 마스크부 살균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1)의 마스크부(100)가 충전부(200)에 거치되어 충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LED 마스크(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1)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부(100)와, 마스크부(100)를 충전 및 살균하는 충전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부(100)는 서로 다른 파장의 LED(123,125,127,129)들을 이용해 안면 피부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부개선 뿐만 아니라 부비동염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마스크부(100)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200)에 거치되어 보관되고, 사용자가 사용할 때는 충전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도 4는 마스크부(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부(10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배치되는 마스크본체(110)와, 마스크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으로 파장이 서로 다른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20)와, 마스크본체(1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비구순으로 광이 조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와, 마스크본체(110)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벨트(140)를 포함한다.
마스크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발광부(120)의 LED(123,125,127,129)들로부터 조사된 광이 사용자의 안면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마스크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마스크(111)와, 외부마스크(111)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마스크(113)를 포함한다. 외부마스크(111)와 내부마스크(113) 사이에는 발광부(120)가 수용된다.
외부마스크(111)는 경질재질로 형성되며, 마스크본체(1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외부마스크(111)는 일반적인 성인의 얼굴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얼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외부마스크(111)에는 사용자의 눈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눈노출공(111a)과, 사용자의 코가 수용되는 코돌출부(111b)와, 코돌출부(111b)의 하부에 구비되어 코로 호흡할 수 있게 하는 코호흡공(111c)과, 코호흡공(111c)의 하부에 사용자의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사용자의 입이 호흡할 수 있게 하는 입호흡공(111d)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외부마스크(111)의 일측에는 사용자로부터 LED 마스크(1)의 사용과 관련된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300)가 구비된다. 입력부(300)는 복수개의 입력버튼으로 구비되며, 전원 on/off,, 사용모드, LED의 세기, 사용시간 등을 입력받게 된다.
외부마스크(111)의 하단에는 충전부(200)의 제2충전단자(230)와 접촉되며 배터리(400)가 충전되게 하는 제1충전단자(111e)가 구비된다.
제1충전단자(111e)의 상부에는 배터리수용공간(117)이 구비된다. 배터리수용공간(117)에는 발광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0)와, 배터리(4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구비된다.
내부마스크(113)는 외부마스크(111)의 내측에 결합되어 발광부(120)를 지지하며, 발광부(120)의 각 LED(123,125,127,129)에서 조사된 광이 안면으로 조사되게 광을 투과한다. 내부마스크(113)는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마스크(111)와 동일한 위치에 내부눈노출공(113a)과 코삽입홈(113b)과, 내부코호흡공(113c) 및 내부입호흡공(113d)이 구비된다.
내부눈노출공(113a)의 주변으로는 실리콘부재(115)가 구비되어 내부마스크(113)가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실리콘부재(115)는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LED(123,125,127,129)들로부터 조사된 광이 사용자의 눈으로 조사되는 것을 막아준다.
발광부(120)는 내부마스크(113)와 외부마스크(111) 사이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에 따라 파장이 서로 다른 LED(123,125,127,129)를 발광시켜 사용자의 피부로 광이 조사되게 한다.
발광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1)과, 기판(121)에 배치된 복수개의 미백용 LED(123), 복수개의 주름용 LED(125), 복수개의 염증용 LED(127) 및 복수개의 입술용 LED(129)를 포함한다.
도 5는 발광부(120)의 LED(123,125,127,129)의 배치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백용 LED(123)는 이마와 턱, 양볼 및 콧등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체에 미백용으로 이용된다.
미백용 LED(123)는 526nm~590nm 파장 범위의 옐로 LED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미백용 LED(123)는 585nm의 파장을 갖는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옐로 LED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히해 기미 등 잡티를 개선할 수 있다.
주름용 LED(125)는 사용자의 비구순주름(도 6의 E)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주름용 LED(125)는 630nm~660nm 파장 범위의 레드 LED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주름용 LED(125)는 660nm의 파장을 갖는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레드 LED는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합성 및 섬유아세포 성장촉진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비만세포(mast cell)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주름용 LED(125)를 비구순주름으로 조사할 경우, 비구순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염증용 LED(127)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구조상 비염 및 부비동염에 관련된 비강계통인 전두동(B), 상악동(C), 사골동(D)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염증용 LED(127)는 940nm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LED로 구비된다. 염증용 LED(127)에서 조사된 광은 비강내 환부에 열을 유도하고, 이 열은 환부 주변의 혈액 공급을 높인다. 그리고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시킨다. 이에 의해 비염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
입술용 LED(129)는 사용자의 입술(F)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입술(F)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입술용 LED(129)는 630nm 파장의 레드 LED로 구비된다. 레드 LED는 탄력 및 재생에 도움이 된다. 이에 의해 입술용 LED(129)가 입술로 광을 조사하면 입술의 탄력과 보습에 도움을 주게 된다.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마스크(113)의 코삽입홈(113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주름용 LED(125)가 사용자의 비구순주름(E)으로 조사되는 광의 면적을 사용자에 적합하게 조절한다.
비구순주름(E)은 각 개인마다 위치와 형상, 크기가 상이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는 주름용 LED(125)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면적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E)의 위치와 형상 및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비구순주름(E)으로 주름용 LED(125)가 집중 조사되게 한다.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는 코삽입홈(113b)에 끼워지는 고정부재(131)와, 고정부재(131)의 하부에 양측으로 결합된 한 쌍의 광차단조절부재(133)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31)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어 코삽입홈(113b)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한 쌍의 광차단조절부재(133)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비되며 내부에 광투과공(135)이 형성된다. 광차단조절부재(133)는 광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소재로 형성된다.
광차단조절부재(1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W)를 갖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E)이 형성된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주름용 LED(125')는 차폐하게 된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차단조절부재(133)가 비구순의 위치에 맞게 배열된 복수개의 주름용 LED(125)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E)에 해당되는 면적 외부에 배치된 주름용 LED(125')는 차폐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E)에 해당되게 배치된 광투과공(135)을 통해서만 주름용 LED(125)의 광이 조사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본인의 비구순주름(E)의 형상에 맞게 광차단조절부재(133)의 형상을 조절하고, 내부마스크(113)의 코삽입홈(113b)에 고정부재(131)를 끼워 위치를 고정한다. 광차단조절부재(133)를 벌리거나 오무려 광 조사 면적을 넓히거나 좁히고 광차단조절부재(133)를 펴거나 굽혀 비구순주름(E)의 형상에 맞게 조절한다. 경우에 따라 광차단조절부재(133)의 끝단을 오무린 후 접어 광투과공(135)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광차단조절부재(133)를 휘게 조절하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광차단조절부재(133)를 직선 형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LED 마스크(1)를 사용할 경우,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각자의 비구순주름(E)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인원수만큼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구비하여 본인이 LED 마스크(1)를 사용할 때 본인의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정벨트(140)는 마스크본체(110)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게 한다. 고정벨트(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마스크(113)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머리쪽으로 연장형성된다. 사용자는 본인의 머리크기에 맞게 고정벨트(14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벨트(140)를 고정한다.
충전부(200)는 마스크부(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마스크부(100)를 거치하며, 배터리(400)가 충전되게 한다. 충전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기립되게 배치되는 충전본체(210)와, 충전본체(210)의 가운데 돌출되게 배치되는 거치프레임(220)과, 충전본체(210)에 구비되는 제2충전단자(230)와, 거치프레임(2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살균용 LED(240)를 포함한다.
충전본체(210)는 마스크부(100)의 외관에 대응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100)가 거치될 수 있게 한다. 충전본체(210)의 하부에는 제2충전단자(230)가 구비되어 마스크부(100)가 거치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충전단자(111e)와 서로 접촉된다. 제1충전단자(111e)와 제2충전단자(230)는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배터리(400)에 전원이 충전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충전본체(210)는 상용전원과 연결되며, 제2충전단자(230)와 제1충전단자(111e)를 통해 배터리(400)가 충전되게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살균용 LED(240)는 거치프레임(2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어 마스크부(100)가 거치될 때, 사용자의 안면과 닿는 내부마스크(113)를 살균한다. 복수개의 살균용 LED(240)는 자외선 LED로 구비되어 내부마스크(113) 표면으로 자외선(UV)을 고르게 조사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할 때마다 내부가 살균된 상태의 마스크부(10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500)는 입력부(3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드에 따라 발광부(120)의 각 LED(123,125,127,129)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입력부(300)를 통해 각 LED(123,125,127,129)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을 선택할 때 해당 기능 마다의 사용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LED(123,125,127,129)들의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모드에 해당되는 LED(123,125,127,129)로 전원이 공급되게 배터리(40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LED 마스크(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100)를 충전부(200)에 거치시켜 놓는다. 이 때, 마스크부(100)의 제1충전단자(111e)와 충전부(200)의 제2충전단자(23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마스크부(100)의 배터리(400)를 충전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100)의 충전과정 동안 충전부(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살균용 LED(240)가 발광하며 마스크부(100)의 내부로 자외선(L)을 조사하여 마스크부(100) 내부를 살균 소독한다.
사용자는 마스크부(100)를 착용하고자 하면, 마스크부(100)의 일측에 구비된 입력부(300)를 조작하여 본인이 희망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이 때, 비구순주름용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내부마스크(113)의 코삽입홈(113b)에 끼운다.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끼우기 전에 미리 사용자는 본인의 비구순주름에 맞게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의 광차단조절부재(133)의 위치와 형상을 조절한다.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한 모드에 해당하는 LED(123,125,127,129)들로 배터리(400)의 전원을 공급한다. 일례로, 비구순주름용과 염증용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00)는 주름용 LED(125)와 염증용 LED(127)로 전원이 공급되게 배터리(400)를 제어한다.
염증용 LED(12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A)의 전두동(B), 상악동(C), 사골동(D)으로 광을 조사하여 비염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주름용 LED(125)는 광차단조절부재(133)에 의해 제한된 광투과공(135)으로만 광을 집중 조사하여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는 미백용 LED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의 기미와 잡티를 개선하는 것 외에 염증용 LED를 이용해 사용자의 비염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마스크는 주름용 LED를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으로 조사하여 비구순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구순주름 영역으로만 주름용 LED가 조사되게 하여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LED 마스크 100 : 마스크부
110 : 마스크본체 111 : 외부마스크
111a : 눈노출공 111b : 코돌출부
111c : 코호흡공 111d : 입호흡공
111e : 제1충전단자 113 : 내부마스크
113a : 내부눈노출공 113b : 코삽입홈
113c : 내부코호흡공 113d : 내부입호흡공
115 : 실리콘부재 117 : 배터리수용공간
120 : 발광부 121 : 기판
123 : 미백용 LED 125 : 주름용 LED
127 : 염증용 LED 129 : 입술용 LED
130 :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 131 : 고정부재
133 : 광차단조절부재 135 : 광투과공
140 : 고정벨트 200 : 충전부
210 : 충전본체 220 : 거치프레임
230 : 제2충전단자 240 : 살균용 LED
300 : 입력부 400 : 배터리
500 : 제어부
A : 안면
B : 전두동
C : 상악동
D : 사골동
E : 비구순주름
F : 입술
UV : 자외선

Claims (3)

  1.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마스크부(100)와;
    상기 마스크부(100)를 충전하는 충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부(100)는,
    사용자의 안면이 덮혀지게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10)와;
    상기 마스크본체(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파장대가 상이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123,125,127,129)가 안면 부위별로 배치된 발광부(120)와;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내측 코주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으로 향하는 광의 조사범위를 조절하는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120)는,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121)과;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부비동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비동으로 제1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염증용 LED(127)와;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비구순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구순으로 제2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주름용 LED(125)와;
    상기 기판(121)에 사용자의 안면 전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안면으로 제3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미백용 LED(123)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용 LED(125)는 상기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비구순에 조사되는 광의 조사범위가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의 형상에 대응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200)에는 상기 마스크부(100)가 거치되는 거치프레임(220)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거치프레임(220)에는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부를 살균하는 복수개의 살균용 LED(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부에는 코에 대응되게 함몰형성된 코삽입홈(113b)이 구비되고,
    상기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130)는,
    상기 코삽입홈(113b)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재(131)와;
    상기 고정부재(131)의 양쪽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주름용 LED(125)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비구순주름으로 투과시키는 광투과공(135)이 형성된 광차단조절부재(133)가 고리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광차단조절부재(133)는 외력에 의해 사용자의 비구순주름의 위치와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광차단조절부재(133)는 사용자의 비구순주름 밖에 배치된 상기 주름용 LED(125)를 차폐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마스크.
KR1020200054328A 2020-05-07 2020-05-07 Led 마스크 KR102223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28A KR102223108B1 (ko) 2020-05-07 2020-05-07 Led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28A KR102223108B1 (ko) 2020-05-07 2020-05-07 Led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108B1 true KR102223108B1 (ko) 2021-03-04

Family

ID=7517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328A KR102223108B1 (ko) 2020-05-07 2020-05-07 Led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1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681B1 (ko) 2021-10-01 2022-03-18 주식회사 와이앤제이바이오 피부관리용 마스크
KR102490509B1 (ko) 2022-07-15 2023-01-19 주식회사 와이앤제이바이오 개인용 조합자극 led 마스크
KR20230018710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비비도 집중 테라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KR20230018101A (ko)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네오엔프라 그래핀이 함유된 led 마스크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led 마스크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671A (ko) * 2012-08-30 2014-03-10 메디럭스(주) 마스크 타입의 비강용 광역학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비강용 광역학 치료 시스템
JP2017056037A (ja) * 2015-09-17 2017-03-23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紫外線皮膚治療用保護具
KR20180048932A (ko) * 2015-09-04 2018-05-10 더블유비 테크놀로지스 사람의 얼굴에 대한 분석 및 활성화 및/또는 국부적 방출을 위한 시스템
KR20190023687A (ko) * 2017-08-30 2019-03-08 (주)헤드라인 살균이 가능한 피부 관리 미용 기기
KR20190027491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스마트셀텍 얼굴 및 눈 노화방지를 위한 전기자극장치
CN110114116A (zh) * 2016-12-28 2019-08-09 夏普株式会社 光照射器以及光遮蔽构件
KR102083650B1 (ko) 2019-12-27 2020-03-02 배봉진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KR200491167Y1 (ko) 2019-02-22 2020-04-24 주식회사 워크맨 Led 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671A (ko) * 2012-08-30 2014-03-10 메디럭스(주) 마스크 타입의 비강용 광역학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비강용 광역학 치료 시스템
KR20180048932A (ko) * 2015-09-04 2018-05-10 더블유비 테크놀로지스 사람의 얼굴에 대한 분석 및 활성화 및/또는 국부적 방출을 위한 시스템
JP2017056037A (ja) * 2015-09-17 2017-03-23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紫外線皮膚治療用保護具
CN110114116A (zh) * 2016-12-28 2019-08-09 夏普株式会社 光照射器以及光遮蔽构件
KR20190023687A (ko) * 2017-08-30 2019-03-08 (주)헤드라인 살균이 가능한 피부 관리 미용 기기
KR20190027491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스마트셀텍 얼굴 및 눈 노화방지를 위한 전기자극장치
KR200491167Y1 (ko) 2019-02-22 2020-04-24 주식회사 워크맨 Led 마스크
KR102083650B1 (ko) 2019-12-27 2020-03-02 배봉진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01A (ko)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네오엔프라 그래핀이 함유된 led 마스크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led 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230018710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비비도 집중 테라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KR102581477B1 (ko) 2021-07-30 2023-09-21 주식회사 비비도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KR102375681B1 (ko) 2021-10-01 2022-03-18 주식회사 와이앤제이바이오 피부관리용 마스크
KR102490509B1 (ko) 2022-07-15 2023-01-19 주식회사 와이앤제이바이오 개인용 조합자극 led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108B1 (ko) Led 마스크
KR101807533B1 (ko) 엘이디 마스크
KR102013247B1 (ko) 얼굴 및 눈 노화방지를 위한 전기자극장치
KR101497617B1 (ko)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101497619B1 (ko) 얼굴과 목을 광자극할 수 있는 피부미용장치
CA2704441A1 (en) Phototherapy treatment and device for infections, diseases, and disorders
KR101214552B1 (ko) 안면마사지용 마스크
JP6241878B2 (ja) カートリッジ、医療用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122679B1 (ko) 안면 피부 트러블 개선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US10272259B1 (en) Hair growth using phototherapy treatment
KR101932579B1 (ko) 피부관리기
KR101834267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KR102062605B1 (ko) 홈케어 뷰티 led 마스크
KR102083650B1 (ko)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WO2019153967A1 (zh) 一种多途径协同调节人体生物节律的光照装置
JP6834032B2 (ja) ライトセラピーを利用した顔面着用型鼻炎治療装置
KR101955479B1 (ko) 안면 착용형 비염치료 장치
US20190015680A1 (en) A New Type of LED Facial Mask
KR102546783B1 (ko) 광조사 및 자극 장치
KR102375681B1 (ko) 피부관리용 마스크
KR101834268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CN117398615A (zh) 用于个人的组合刺激led面罩
KR102212165B1 (ko) 효율적인 유효파장 균질 분배 led마스크
KR102091249B1 (ko) 눈마스크가 구비되는 산소공급 led 피부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