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477B1 -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477B1
KR102581477B1 KR1020210100568A KR20210100568A KR102581477B1 KR 102581477 B1 KR102581477 B1 KR 102581477B1 KR 1020210100568 A KR1020210100568 A KR 1020210100568A KR 20210100568 A KR20210100568 A KR 20210100568A KR 102581477 B1 KR102581477 B1 KR 10258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ion
cover part
user
beauty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710A (ko
Inventor
장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도
Priority to KR102021010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4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사용자의 코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코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비구순주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미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미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의 타면에 설치되고 안면 미용장치의 결합접속부에 탈부착 가능한 미용장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 커버부, 상기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접속부에 접속한 상기 미용장치 결합부를 통해 수신된 전력에 의해 광을 출력하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Intensive light irradiation device and beauty device s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의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광조사하는 장치와 이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면이나 안면과 두피 부위에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미용장치를 구비한 미용장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미용기기 시장은 최근 크게 성장하고 있고, 전염병 등의 원인으로 집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집안에서 안면과 두피를 미용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미용 기기 시장 성장의 주된 요인은 다양한 피부 트러블의 급증이다. 예를 들어, 장기간의 오염과 자외선(UV) 방사선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광노화는 피부 탄력 감소, 일광 화상 및 탈모를 유발함. 환경 오염과 과도한 알코올 섭취 및 흡연은 피부 문제의 몇 가지 일반적인 원인이며, 그중 가장 널리 퍼진 것은 과색소 침착, 여드름, 건선, 색소 침착, 깊은 주름, 주근깨, 기미 및 아토피 피부염 등이다.
미용기기로는 안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LED 패치 타입의 제품과 안면을 관리하는 LED 마스크가 대표적이고 두피를 관리하는 장치도 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안면과 두피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제품도 소개되고 있다. 특히, LED 마스크는 LED 광 조사 외에도 전기 자극, 지압 기능 등 다양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점에서 LED 패치와 차별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KR2018-0040903)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KR2019-0057274) 얼굴 미용기기 및 마스크 시트, (KR2020-0154656) 피부 관리 기기, (KR2019-0114597)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0-0047896)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led 마스크, (PCT/US2019/039444) 조절 가능한 치료 용 안면 마스크, (KR2018-0125608) 산소가 분사될 수 있는 미용 커버 마스크, (KR 2019-0176952) 맞춤형 안면 피부 케어를 위한 접촉식 올인원 피부미용기기 등 다양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은 안면 부위에 LED 광조사를 통해 미용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고 눈에 직접적으로 LED의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아이 쉴드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이 쉴드로 인한 사용자의 눈의 압박의 통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R 2019-0114828) 광을 이용한 스킨케어장치에서는 아이 쉴드를 제거하고 격벽을 이용하여 LED로부터의 출력 광이 눈 부위에 조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의 안면의 피부와 LED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존재하여 LED 광조사에 따른 피부 미용 효과가 감소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마다 안면의 형태나 사이즈가 상이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마스크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분할 구조의 마스크 형태의 기술(KR 1720879 B1) 만으로는 LED를 안면의 피부에 밀착하여 접촉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LED 광조사 외에 전기 자극이나 지압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안면과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존재해야 할 필요도 있었다.
(KR2020-0054328) Led 마스크는 비구순주름위치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비구순주름 부위로 향하는 광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기술이 소개되었으나 피부에 접촉하여 광을 조사하는 기술이 아닌 점에서 여전히 전술한 한계가 존재한다.
KR2018-0040903 KR2019-0057274 KR2020-0154656 KR2019-0114597 KR2020-0047896 PCT/US2019/039444 KR2018-0125608 KR 2019-0176952 KR 1720879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 접촉하여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극 등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과 두피에 미용 효과를 제공하고 안면의 일부 영역을 집중적으로 광조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중 광조사를 진행되는 안면 부위에 대응하는 광조사 모듈의 전원 제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코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코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비구순주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미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미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의 타면에 설치되고 안면 미용장치의 결합접속부에 탈부착 가능한 미용장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 커버부, 상기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접속부에 접속한 상기 미용장치 결합부를 통해 수신된 전력에 의해 광을 출력하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비구순주름 커버부는 상기 코 커버부에 마련된 회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집중 광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미간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이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일면이 접촉하는 이마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이마 커버부는 상기 미간 커버부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이마 커버부는 상기 미간 커버부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의 눈에 광의 조사를 차단하는 아이쉴드를 포함하는 안면 미용장치; 및 상기 아이쉴드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 영역에 접촉하여 광을 조사하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광조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조사부는 제1 및 제2 광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조사부는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가 상기 안면 미용장치에 결합시 상기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의 영역 중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광조사부는 상기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가 상기 안면 미용장치에 결합 시 상기 제1 광조사부는 미구동 상태로 전환되는 미용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아이쉴드에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의 시야를 개방하기 위한 제1 홀 및 상기 사용자의 우안의 시야를 개방하기 위한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홀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와 결합하여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접속부 및 상기 미간 커버부를 수용하여 상기 미간 커버부와 상기 아이쉴드의 단차를 제거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미용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가 상기 안면 미용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의 형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광조사부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이 재설정되는 미용장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장치 세트는 안면 미용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집중 광조사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안면의 전체 영역에 대한 광조사와 함께 안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집중 광조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T존과 비구순주름을 집중 케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T존과 비구순주름의 위치와 형상에 맞춤형으로 구성 요소들의 위치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있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안면의 일부 영역에 접촉하여 LED 광을 조사함으로써 LED 광조사에 따른 광조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면의 맞춤형으로 집중 광조사 장치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시예는 복수의 광조사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집중 광조사 장치를 사용 시 집중 광조사 장치에 의해 가려지는 광조사 모듈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집중 광조사 장치의 구성 요소들 간의 결합 여부를 검출하여 집중 광조사 장치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상의 광조사 모듈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의 광조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미용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아이쉴드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LED 마스크의 아이쉴드 부분에 대한 소정의 가공을 거쳐 기존의 LED 마스크에도 집중 광조사 장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집중 광조사 장치가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에 결합한 경우, 집중 광조사 장치와 아이쉴드 상의 단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착용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필요시 안면 미용장치와 두피 미용장치를 각각 별개로 사용 가능하여 이로 인한 사용상 다양성과 편의성의 사용자 제공 및 제품 경쟁력 확보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미용하는 안면 미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안면 미용장치와 이에 결합된 집중 광조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과 두피를 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용장치 세트로써 서로 결합된 안면 미용장치와 두피 미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집중 광조사 장치가 결합된 미용장치 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미용장치 세트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 광조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미용장치와 집중 광조사 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사용자가 미용장치 세트를 착용하는 것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된 집중 광조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미용하는 안면 미용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안면 미용장치와 이에 결합된 집중 광조사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과 두피를 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용장치 세트로써 서로 결합된 안면 미용장치와 두피 미용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집중 광조사 장치가 결합된 미용장치 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미용장치 세트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면 미용장치(100)는 사용자의 안면 전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안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 마스크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안면 미용장치(100)는 사용자의 안면에 전기자극 및 지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안면 미용장치(100)는 안면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고, 안면을 완만하게 커버할 수 있는 완만하게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고 소정 색상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부 측에 한 쌍의 투명창(w)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투명창은 생략되어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고 소정 색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안면 미용장치(100)는 귀에 걸 수 있는 안경테 형태의 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안면 미용장치(100)는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고정 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술할 머리에 쓸 수 있는 캡 형태의 두피 미용장치(100)를 사용자가 착용함으로써 두피 미용장치(100)에 결합한 안면 미용장치(100)는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안면 미용장치(100)는 사용자의 눈에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눈 주변부에 밀차되고 눈의 시야가 개방될 수 있도록 투명창(w)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된 아이 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미용장치(100)에는 복수의 광조사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광조사부(130)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광의 파장은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조사부(130)는 잔주름을 완화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하며, 피부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레드 광과 염증을 완화시키고, 세균 번식을 억제시키며, 여드름 케어 및 피부 트러블을 관리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블루 광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부(130)는 피부 속 침투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노폐물 운반과 산소 공급 등 신진대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근적외선의 광을 출력할 수 있고, 근육 이완에 도움을 주기 위한 원적외선의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조사부(130)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의 광조사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광조사 모듈은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피부에 유효한 유효성분을 진피까지 깊숙이 침투되도록 하기 위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조사 모듈은 피부를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강화하여 피부건강을 증진시키도록 하기 위한 저주파 전기자극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조사 모듈은 비타민 C를 비롯한 특정 성분의 침투만 용이하게 하여 피부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이온을 발생시켜 안면의 피부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조사 모듈은 안면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에 물리적인 자극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압모듈은 단부가 볼 형태 또는 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광조사부(130)들 각각은 마스크 내측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설치됨으로써 안면의 전체적인 영역에 다양한 광조사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조사부(130)는 안경테 형태의 부재(11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안면의 관자놀이 측을 전기 자극이나 지압 효과를 위한 물리적인 자극을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면 미용장치(100)의 가장자리 하단에는 충전도크의 충전단자와 접속하여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단자(102)가 마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면 미용장치(100)는 사용자의 안면의 피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피부상태검출기(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부상태검출기(190)는 안면 미용장치(10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피부상태검출기(190)는 사용자의 피부의 유분 및/또는 수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안면 미용장치(100)의 가장자리 상측에는 두피 미용장치(200)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두피 미용장치(200)는 헬멧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하단 가장자리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두피 미용장치(200)는 제작성을 고려하여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피 미용장치(200)의 가장자리에는 충전도크와 접속하여 충전도크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두피 미용장치(200)에는 복수의 두피용 광조사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두피용 광조사부(230)는 광을 출력하는 모듈, 전기자극 모듈, 이온 발생 모듈, 지압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면 미용장치(100) 또는 두피 미용장치(200)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면 미용장치(100)와 두피 미용장치(200)와 물리적으로 결합한 후 미용장치 세트(10)를 동시에 사용하여 안면과 두피를 동시에 광조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장치 세트(10)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와 안면에 대한 탁월한 마사지 기능과 미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면 미용장치(100)와 두피 미용장치(200)를 분리하여 각각 별개로 사용 가능함에 따른 사용상 다양성과 편의성 발휘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미용장치 세트(1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한 제어부(11)와 광조사부(130, 230), 피부상태검출기(190), 전원부(12) 및 통신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 상의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미용장치 세트(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1) 상의 프로세서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 또는 통신부에 의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3)는 예시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과 같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통신부(13)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미용장치 세트(10)의 상태 정보를 통신부(13)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는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전자기 신호들로도 칭해지는 RF 신호들을 수신 및 송신한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들을 전자기 신호들로/로부터 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들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들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RF 회로는 선택적으로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잘 알려진 회로를 포함한다. RF 회로는 선택적으로 네트워크들, 예컨대 월드 와이드 웹(WWW)으로도 지칭되는 인터넷, 인트라넷,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및/또는 대도시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및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한다. 무선 통신은, 선택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용 프로토콜(예를 들어,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를 들어,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헌의 출원일 현재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들,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한다.
피부상태검출기(190)는 사용자의 안면 및/또는 두피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피부상태검출기(19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광조사부(130, 230)와 후술할 집중 광조사부(301)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12)는 충전도크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되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부(12)는 유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 광조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미용장치와 집중 광조사 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사용자가 미용장치 세트를 착용하는 것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된 집중 광조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안면 미용장치(100)의 내측면에 설치된 아이쉴드(120)는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제1 홀(h1)과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하는 제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면 미용장치(100)를 착용하면 제1 홀(h1) 및 제2 홀(h2)을 통해 시야가 개방된다.
아이쉴드(120)의 중심 영역인 제1 및 제2 홀(h1, h2)의 사이 영역에는 결합접속부(121) 및 결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결합접속부(121)를 통해 아이쉴드(120)에 고정되면서 안면 미용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결합홈(122)에 결합되면서 집중 광조사 장치(300)의 소정의 일 영역이 아이쉴드(120) 상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집중 광조사 장치(300)가 아이쉴드(120) 상에 결합함에 따라 아이쉴드(120)와 집중 광조사 장치(300)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안면 미용장치(100) 상에 마련된 복수의 광조사부(130)들은 제1 및 제2 광조사부(131, 1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조사부(131)는 광조사를 위한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광조사부(132)는 광조사를 위한 LED 모듈 외에도 전기자극, 이온발생모듈, 지압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집중 광조사 장치(300)와 안면 미용장치(100)가 서로 결합하면 안면 미용장치(100)의 내측면은 집중 광조사 장치(300)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영역(fa)과 커버되지 않는 제2 영역(nfa)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조사부(131)는 제1 영역(fa)에 위치하고, 제2 광조사부(132)는 제2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영역(fa, nfa)은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광조사부(131, 132)를 구성하는 안면 미용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광조사 모듈들이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1)는 복수의 광조사부(13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광조사부(130)들 중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광조사부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제1 영역(fa) 상의 제1 광조사부(131)와 제2 영역(nfa) 상의 제2 광조사부(132)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1)는 제1 및 제2 광조사부(131, 132)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고, 제1 광조사부(131)는 미구동시키고 제2 광조사부(132)만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1)는 결합접속부(121)를 통해 집중 광조사 장치(300)의 결합 및 접속을 감지하면 구동중인 제1 광조사부(131)를 미구동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미구동중인 제1 광조사부(131)의 현재 미구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중 광조사 장치(300)에 의해 가려지는 제1 광조사부(131)는 구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집중 광조사 장치(300)를 안면 미용장치(100)로부터 분리한 후 안면 미용장치(100)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광조사부(131, 132)가 모두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을 고르게 광조사할 수 있다.
한편, 제1 광조사부(131)와 제2 광조사부(132)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들은 집중 광조사 장치(300)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코 커버부(310) 및 비구순주름 커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 커버부(310)는 코를 커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코 부위에 일면이 접촉할 수 있다. 코 커버부(310)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회전부(330)가 마련되고, 비구순주름 커버부(320)는 회전부(33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구순주름 커버부(320)는 회전부(3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부(330)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비구순주름 커버부(320)는 제1 및 제2 비구순주름 커버부(321, 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구순주름 커버부(321)는 사용자의 안면의 좌측 비구순주름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좌측 비구순주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할 수 있고, 제2 비구순주름 커버부(322)는 사용자의 안면의 우측 비구순주름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우측 비구순주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양쪽 비구순주름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제1 및 제2 비구순주름 커버부(321, 322) 각각을 회전부(3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안면 미용장치(100)를 착용했을 때 제1 및 제2 비구순주름 커버부(321, 322)가 자신의 비구순주름을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회전부(330)는 제1 및 제2 비구순주름 커버부(321, 322)각각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코 커버부(310)의 가장자리 상측에 연결된 미간 커버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간 커버부(340)는 사용자의 미간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일면이 사용자의 미간에 접촉할 수 있다.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코 커버부(310)와 미간 커버부(340)의 연결 지점이나 이 부근이나 미간 커버부(340)에 설치된 미용장치 결합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용장치 결합부(390)는 미간 커버부(340)의 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미용장치 결합부(390)는 안면 미용장치(100)의 결합접속부(121)에 결할함으로써 집중 광조사 장치(300)가 안면 미용장치(100) 상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용장치 결합부(390)는 결합접속부(121)에 결합하면 전기적으로 안면 미용장치(100)와 연결되어 안면 미용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집중 광조사 장치(300)가 아이쉴드(120)에 결합되면 상기 아이쉴드(120) 상의 결합홈(122)은 상기 미간 커버부(340)를 수용할 수 잇다. 결합홈(122)에 의해 미간 커버부(340)의 표면과 미간 커버부(340) 부근의 아이쉴드(120)의 표면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이마 커버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마 커버부(350)는 사용자의 이마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일면이 이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이마 커버부(350)는 미간 커버부(34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마 커버부(350)는 미간 커버부(340)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마 부위를 추가적으로 집중하여 광조사 하고자 하는 경우 미간 커버부(340)에 이마 커버부(350)를 부착하여 집중 광조사 장치(3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마 커버부(350)의 하측에는 연장부(351)가 마련되고 연장부(351)가 미간 커버부(340)에 삽입됨으로써 이마 커버부(350)가 미간 커버부(340)에 결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부(351)는 미간 커버부(340)에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이마 커버부(350)와 미간 커버부(34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코의 길이와 이마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연장부(351)가 미간 커버부(340) 내로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집중 광조사 장치(300)가 자신의 T 존 전체를 고르게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마 커버부(350)가 미간 커버부(340)에 결합하면 이마 커버부(350)는 연장부(351)를 통해 미간 커버부(3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이마 커버부(350)는 미용장치 결합부(390)로를 통해 전달된 전력을 미간 커버부(34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 광조사 장치(300) 상에는 복수의 집중 광조사부(301)가 마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중 광조사부(301)는 LED 모듈이 될 수 있다.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사용자의 T존과 비구순주름 부위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1)는 코 커버부(310), 비구순주름 커버부(320), 미간 커버부(340) 및 이마 커버부(350) 상의 LED 모듈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코 커버부(310), 비구순주름 커버부(320), 미간 커버부(340) 및 이마 커버부(350) 상의 LED 모듈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광의 파장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T존과 비구순주름 부위에서 국소 영역별에 가장 적합한 광조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1)는 집중 광조사 장치(300)라 안면 미용장치(100)에 접속된 것을 감지하면 집중 광조사 장치(300)의 형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검출된 집중 광조사 장치(300)의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fa)을 재설정하고 제1 영역(fa)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들을 제1 광조사부(131)로 지정하고 그 외의 영역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들을 제2 광조사부(132)로 지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1)는 집중 광조사 장치(300)에서 비구순주름 커버부(320)의 회전 각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조사부(130)에 속하는 복수의 광조사 모듈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광조사부(131)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제2 광조사부(132)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구순주름 커버부(320)가 회전부(330)를 중심으로 회전한 경우, 제어부(11)는 비구순주름 커버부(32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fa)을 재설정하고 제1 영역(fa)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들을 제1 광조사부(131)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집중 광조사 장치(300)에서 이마 커버부(350)가 연결된 것을 감지하면, 이마 커버부(350)와 미간 커버부(340)의 이격 거리를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격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마 커버부(35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fa)을 재설정하고 제1 영역(fa)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들을 제1 광조사부(131)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집중 광조사 장치(300)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도 제1 광조사부(131)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들이 재설정됨으로써 집중 광조사 장치(300)에 의해 가려지는 광조사 모듈들의 구동만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 커버부(310), 비구순주름 커버부(320), 미간 커버부(340) 및 이마 커버부(35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 커버부(310), 비구순주름 커버부(320), 미간 커버부(340) 및 이마 커버부(350) 중 적어도 하나의 굴곡을 조절하여 자신의 T 존과 비구순주름 부위에 집중 광조사 장치(300)가 완전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중 광조사 장치(300)는 코 커버부(310), 비구순주름 커버부(320), 미간 커버부(340) 및 이마 커버부(350)들 각각은 집중 광조사부(301)가 실장된 플렉서블 기판과 플렉서블 기판을 지지하고, 플렉서블 기판이 사용자가 가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구부러진 경우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금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층의 잦은 변형 시 금속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층에는 크랙방지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미용장치 세트
11: 제어부
12: 전원부
13: 통신부
100: 안면 미용장치
101: 결합부
102: 충전단자
110: 안경테 형태의 부재
120: 아이쉴드
121: 결합접속부
122: 결합홈
130: 광조사부
131: 제1 광조사부
132: 제2 광조사부
190: 피부상태검출기
200: 두피 미용장치
230: 두피용 광조사부
300: 집중 광조사 장치
301: 집중 광조사부
310: 코 커버부
320: 비구순주름 커버부
321: 제1 비구순주름 커버부
322: 제2 비구순주름 커버부
330: 회전부
340: 미간 커버부
350: 이마 커버부
351: 연장부
390: 미용장치 결합부

Claims (8)

  1. 사용자의 코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코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비구순주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미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미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의 타면에 설치되고 안면 미용장치의 결합접속부에 탈부착 가능한 미용장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 커버부, 상기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접속부에 접속한 상기 미용장치 결합부를 통해 수신된 전력에 의해 광을 출력하는
    집중 광조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순주름 커버부는 상기 코 커버부에 마련된 회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집중 광조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간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이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일면이 접촉하는 이마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집중 광조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마 커버부는 상기 미간 커버부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이마 커버부는 상기 미간 커버부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집중 광조사 장치.
  5. 사용자의 눈에 광의 조사를 차단하는 아이쉴드를 포함하는 안면 미용장치; 및
    상기 아이쉴드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 영역에 접촉하여 광을 조사하는 집중 광조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코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코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비구순주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코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미간 부위에 일면이 접촉하는 미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의 타면에 설치되고 안면 미용장치의 결합접속부에 탈부착 가능한 미용장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 커버부, 상기 비구순주름 커버부, 상기 미간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접속부에 접속한 상기 미용장치 결합부를 통해 수신된 전력에 의해 광을 출력하는
    미용장치 세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광조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조사부는 제1 및 제2 광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조사부는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가 상기 안면 미용장치에 결합시 상기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의 영역 중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광조사부는 상기 안면 미용장치의 내측면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가 상기 안면 미용장치에 결합 시 상기 제1 광조사부는 미구동 상태로 전환되는
    미용장치 세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쉴드에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의 시야를 개방하기 위한 제1 홀 및 상기 사용자의 우안의 시야를 개방하기 위한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홀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와 결합하여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접속부 및 상기 미간 커버부를 수용하여 상기 미간 커버부와 상기 아이쉴드의 단차를 제거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미용장치 세트.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가 상기 안면 미용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집중 광조사 장치의 형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광조사부에 속하는 광조사 모듈이 재설정되는
    미용장치 세트.
KR1020210100568A 2021-07-30 2021-07-30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KR10258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68A KR102581477B1 (ko) 2021-07-30 2021-07-30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68A KR102581477B1 (ko) 2021-07-30 2021-07-30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10A KR20230018710A (ko) 2023-02-07
KR102581477B1 true KR102581477B1 (ko) 2023-09-21

Family

ID=8525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68A KR102581477B1 (ko) 2021-07-30 2021-07-30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18B1 (ko) 2018-04-23 2019-03-04 이덕형 얼굴 마사지기
KR102179139B1 (ko) 2020-04-21 2020-11-1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led 마스크
KR102180770B1 (ko) 2019-12-27 2020-11-19 주식회사 이노파트너스 맞춤형 안면 피부 케어를 위한 접촉식 올인원 피부미용기기
KR102223108B1 (ko) 2020-05-07 2021-03-04 주식회사 비츠로 Led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79B1 (ko) 2015-11-23 2017-03-29 김준호 분할 방식의 미용 마스크
AU2017204958A1 (en) * 2016-01-06 2018-07-26 Cosmetic Edge Pty Ltd Phototherapy system for treating nasal disorders
KR102021389B1 (ko) 2016-10-13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10211021B2 (en) 2016-04-11 2019-02-19 Kla-Tencor Corporation Permanent-magnet particle beam apparatus and method incorporating a non-magnetic metal portion for tunability
BE1023954B1 (nl) 2016-07-20 2017-09-20 Resilux Nv Blaasmatrijs
KR101873832B1 (ko) * 2016-09-29 2018-07-03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발광소자를 이용한 마스크
WO2019039444A1 (ja) 2017-08-23 2019-02-28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包装容器
KR102054581B1 (ko) 2018-03-30 2019-12-12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블록 체인을 이용한 발신자 확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47896A (ko) 2018-10-26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 장력 조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18B1 (ko) 2018-04-23 2019-03-04 이덕형 얼굴 마사지기
KR102180770B1 (ko) 2019-12-27 2020-11-19 주식회사 이노파트너스 맞춤형 안면 피부 케어를 위한 접촉식 올인원 피부미용기기
KR102179139B1 (ko) 2020-04-21 2020-11-16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led 마스크
KR102223108B1 (ko) 2020-05-07 2021-03-04 주식회사 비츠로 Led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10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893B2 (en) Smart wearable device
EP2889054B1 (en) Phototherapeutic device and phototherapeutic method
GB0229262D0 (en) Terminal control
CN204744597U (zh) 光疗眼罩
CN203591521U (zh) 一种电子脸部保养器
CN110275307A (zh) 一种具有缓解眼疲劳功能的vr眼镜系统
KR102581477B1 (ko) 집중 광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장치 세트
KR20160095579A (ko)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개인용 경두개직류자극장치
KR20170121568A (ko) 헤드셋 타입 두피 관리 기기
KR101845869B1 (ko) 광 테라피 글래스 및 광 테라피 글래스의 미용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KR101369880B1 (ko) 눈가 미용기구
CN106334268B (zh) 一种基于互联网云端大数据的智能面部美容仪
CN211383501U (zh) 一种基于光学动力技术的led红蓝光美容仪
CN209827536U (zh) 低频按摩仪
CN209911673U (zh) 一种减压眼镜
CN207611201U (zh) 一种vr头戴设备壳体
KR20160076143A (ko) 테라피 글래스
Awad Repigmentation of poliosis after epithelial grafting for vitiligo
KR102273325B1 (ko) 골전도 이어폰이 구비된 경혈지압 안경
KR102296529B1 (ko) 안면 혈자리 자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면 혈자리 자극 방법
CN210222365U (zh) 一种基于vr虚拟现实技术的智能全景眼镜
KR102277786B1 (ko) 골전도 이어폰이 구비 가능한 경혈지압 안경 커버
CN207965392U (zh) 一种可穿戴的计算机显示器护眼装置
CN207924289U (zh) 一种用于ar显示和视力矫正的眼镜
KR101972667B1 (ko) 피부 절개술을 진행한 환자용 머리 고정형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