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383A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8383A KR20190018383A KR1020180040903A KR20180040903A KR20190018383A KR 20190018383 A KR20190018383 A KR 20190018383A KR 1020180040903 A KR1020180040903 A KR 1020180040903A KR 20180040903 A KR20180040903 A KR 20180040903A KR 20190018383 A KR20190018383 A KR 201900183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light
- output device
- face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판의 타 면을 덮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착용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안면 피부로 광을 출력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세포의 노화, 특정 얼굴 표정의 반복, 외부 환경으로의 지속적인 노출(자외선, 미세먼지 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예컨대 세포의 노화나 특정 얼굴 표정의 반복은 피부의 주름을 유발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의 지속적인 노출이나 스트레스 등은 여드름, 기미와 같은 각종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피부 관리는, 잡티가 없고 청결하며 부드러운 피부의 유지를 목표로 하고, 특히 신체 부위 중 얼굴의 피부 관리에 대하여 가장 많은 관심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얼굴의 피부 관리를 위해 마사지를 받거나, 기능성 화장 제품을 바르거나, 각종 세정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광을 출력하는 기기(예컨대, 마스크형 피부 관리 기기 등)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광 출력 기기에는 복수의 광원(예컨대, LED 등)이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 등을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어 광을 출력하는 경우, 출력된 광이 사용자의 피부로 균일하게 조사되지 못하는 경우 피부 관리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는, 이마와 같은 특정 부위의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해 피부 손상이 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부위로 광이 보다 집중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할 수 있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피부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이 조사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판의 타 면을 덮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착용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및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착용 감지 센서는 상기 코 안착부의 내부 또는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기 프론트 커버, 상기 리어 커버, 및 상기 착용 장치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착용 감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 또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사용자 조작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복수의 광원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루브, 및 상기 복수의 광원들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들 중 일부는 볼록 렌즈로 구현되어,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소정 위치에 집중되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도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층은 복수의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양 면 중 상기 기판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경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흡수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미간이나 코 등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형에 따른 차이가 최소화되는 위치에 착용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개구부들 중 기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크기가 나머지 개구부들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광원이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리어 커버의 개구부에는 광 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된 광 흡수부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조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좌안 및 우안으로 광이 조사됨에 따른 사용자의 불쾌감이나 안구의 손상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리어 커버에는 기판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키거나 산란시키는 그루브 또는 도광층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부위에 광이 고르게 조사되도록 하여 피부 관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어 커버에는 주름이 많이 발생하거나 트러블이 많이 발생하는 이마나 볼과 같은 특정 부위에 대응한 위치에 볼록 렌즈가 배치됨으로써, 해당 부위로 광을 집중시켜 피부 관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와 크래들을 포함하는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및 사용자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착용 감지 센서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및 사용자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착용 감지 센서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와 크래들을 포함하는 패키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및 사용자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2; 이하 '광 출력 기기'라 함)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광을 출력함으로써,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주름, 탄력, 피부톤을 개선하거나, 피부 트러블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광 출력 기기(2)는, 광 출력 기기(2)의 충전 또는 보관 시 장착되는 크래들(3)과 함께 하나의 피부 관리 패키지(1)를 구성할 수 있다. 크래들(3)에 장착됨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는 크래들(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로 광을 출력하는 마스크 형태의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 피부 전체적으로 광을 고르게 출력하기 위해, 광 출력 기기(2)는 사람의 얼굴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3)은 광 출력 기기(2)와 연결되어, 광 출력 기기(2) 또는 광 출력 기기(2)와 연결된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로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래들(3)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외부의 전력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3)은 광 출력 기기(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3)은 광 출력 기기(2)의 외곽 가장자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광 출력 기기(2)는 프론트 커버(21), 기판(22), 리어 커버(23), 및 착용 장치(2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는 광 출력 기기(2)의 전면을 형성하고, 리어 커버(23)와의 사이에 구비된 기판(22)을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론트 커버(21)는 각종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에는 사용자의 착용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이 개구부(211)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개구부(211)를 통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개구부(211)를 통해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과 접촉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211)를 덮는 개구부 보호 커버(212)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 보호 커버(212)는 투명 재질의 아크릴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판(22)은, 사용자의 피부 관리를 위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LED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LED와 적어도 하나의 청색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적색 LED는 약 645nm 내지 670nm 파장의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적색 광은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주름, 탄력, 및 피부 톤의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청색 LED는 약 400nm 내지 430nm 파장의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청색 광은 피부의 각종 트러블 제거에 효과적일 수 있다.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가 활성 촉진 모드와 트러블 제거 모드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동작 모드가 활성 촉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적색 LED가 활성화되어 적색 광을 피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동작 모드가 트러블 제거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청색 LED가 활성화되어 청색 광을 피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 따른 광원의 제어는 후술할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는 적어도 하나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황색 LED는 약 580nm 내지 600nm 파장의 황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황색 광은 피부 톤을 보다 밝게 하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기판(2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 출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IC(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컴퓨터,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ded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후술할 사용자 조작 장치(4)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론트 커버(21)와 유사하게, 기판(22)에는 사용자의 착용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이 개구부(221)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개구부(221)를 통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 형상을 갖는 광 출력 기기(2)에 구비되는 기판(22)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22)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어 커버(23)는,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체결되어, 기판(22)의 일 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와 리어 커버(23)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22)으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판(22)에 배치된 광원이나 기타 구성 요소들의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리어 커버(23)는 기판(22)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피부가 기판(22)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 커버(23)는, 기판(22)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사용자의 안면 피부로 조사되기 위해,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리어 커버(23)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피부로 고르게 조사되도록 하거나, 특정 부위로 광이 집중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리어 커버(23) 또한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 장치(24)는, 광 출력 기기(2)를 사용자가 착용함에 따라 광 출력 기기(2)를 사용자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착용 장치(24)는 리어 커버(23)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 장치(24)는 사용자의 코와 귀에 안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안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 장치(24)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 장치(24)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착용 장치(24)는 개구부(241), 안면 접촉부(242), 코 안착부(243), 착용 고정부(244), 및 착용 감지 센서(24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41)는 프론트 커버(21), 기판(22), 및 리어 커버(2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착용 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41)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론트 커버(21)에 개구부 보호 커버(21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착용 장치(24)의 개구부(241)에 렌즈가 구비될 수도 있다. 개구부 보호 커버(212) 또는 상기 렌즈에 의해,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과 접촉하거나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 기판(22), 리어 커버(23), 및 착용 장치(24) 각각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해 비교하면, 기판(22)에 형성된 개구부(221)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211, 231, 241)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기판(22)에 형성된 개구부(221)의 경계면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과 소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기판(22)의 광원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과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착용 장치(24)에 형성된 개구부(241)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211, 221, 231)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도록 해준다.
안면 접촉부(242)는 개구부(241)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안면 접촉부(242)는 사용자의 좌안 주변에 위치한 피부면 및 우안 주변에 위치한 피부면과 각각 접촉되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안면 접촉부(242)가 사용자의 양안 주위에 위치한 피부면과 접촉함에 따라, 기판(22)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사용자의 눈으로 조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안면 접촉부(242)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현되고, 광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코 안착부(243)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 또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용시 사용자의 코에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기 위해, 코 안착부(243)는 사람의 코 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착용 고정부(244)는 사용자의 착용시 귀 상에 안착되거나,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다. 코 안착부(243) 및 착용 고정부(244)에 의해,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45)는, 광 출력 기기(2)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 감지 센서(245)는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45)가 근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근접 센서는 광 출력 기기(2)가 착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안면) 일부가 근접 센서로 근접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근접이 감지됨에 따른 감지 신호를,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근접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손 등 다른 부위가 근접함에 따른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해,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착용 감지 센서(245)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광 출력 기기(2)가 정상적으로 착용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착용 감지 센서(245)는 기판(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기판(22)을 통해 사용자 조작 장치(4)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감지 센서(245)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 또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사이, 및 코 안착부(243)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착용 감지 센서(245)는 사용자의 착용 시 이마 또는 미간에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의 이마나 미간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사람의 얼굴형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얼굴형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와 안면의 각 부위 사이의 거리 또한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시 광 출력 기기(2)와 미간 사이의 거리는 얼굴형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미간에 해당하는 위치에 착용 감지 센서(245)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형과 관계없이 착용 여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45)의 착용 감지 여부에 따른 광 출력 기기(2)의 동작에 대한 예는 이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키지(1)는 사용자 조작 장치(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장치(4)는 광 출력 기기(2)와 케이블(421)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 출력 기기(2)의 기판(22) 및 사용자 조작 장치(4) 각각에는 무선 통신 칩이나 소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장치(4)는 사용자로 하여금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장치(4)의 본체부(41)에는 버튼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부(411)는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과,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모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11)는 전원 버튼과 동작 모드 버튼이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부(411)의 일 측은 전원 버튼에 해당하고, 타 측은 동작 모드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버튼부(411)는 서로 분리된 전원 버튼과 동작 모드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버튼부(411)를 누르는 등의 조작을 통해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장치(4)는 버튼부(411)의 조작에 따라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모드 표시부(412), 및 배터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배터리 정보 표시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모드 표시부(412)와 배터리 정보 표시부(413)는 LED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동작 모드 표시부(412)는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 모드 표시부(412)는 복수의 동작 모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작 모드는 피부의 주름, 탄력, 및/또는 피부톤을 개선하기 위한 활성 촉진 모드와, 피부의 트러블을 제거하기 위한 트러블 제거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복수의 동작 모드 표시부 중 제1 동작 모드 표시부는 활성 촉진 모드에 대응하고, 제2 동작 모드 표시부는 트러블 제거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가 활성 촉진 모드인 경우, 제1 동작 모드 표시부가 활성화되어 특정 색상의 광(예컨대, 적색 광)을 출력하고,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가 트러블 제거 모드인 경우, 제2 동작 모드 표시부가 활성화되어 특정 색상의 광(예컨대, 청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는 배터리의 잔량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의 잔량에 기초하여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점멸 주기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의 잔량이 기준량 이상인 경우,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의 색상이 제1 색상(예컨대, 녹색)으로 표시되거나,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가 점멸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배터리의 잔량이 기준량 미만인 경우,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의 색상이 제2 색상(예컨대, 적색)으로 표시되거나,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가 점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출력 기기(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기판(22) 대신 사용자 조작 장치(4)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케이블(421)을 통해 기판(22)과 연결되어, 기판(22)에 구비된 광원이나, 착용 장치(24)에 구비된 착용 감지 센서(245)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조작 장치(4)는 보관시 크래들(3)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조작 장치(4)는 연결 단자(422)를 통해 크래들(3)과 연결되어, 크래들(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조작 장치(4)의 내부에는 사용자 조작 장치(4)뿐만 아니라 광 출력 기기(2)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는 크래들(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시 상기 배터리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어 커버(23A)는 개구부(231), 체결부(232), 사용자 조작 장치(4)와 기판(22)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33), 착용 장치 체결부(234), 및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31)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출력 기기(2)의 착용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23A)는 체결부(232)를 통해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232)는 체결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리어 커버(23A)가 체결부(232)를 통해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체결됨에 따라, 기판(22)은 프론트 커버(21) 및 리어 커버(23A)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
착용 장치(24)는 리어 커버(23)의 착용 장치 체결부(234)를 통해 리어 커버(23)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장치 체결부(234)는 특정 형상의 체결 홈 등으로 구현되고, 착용 장치(24)에는 상기 체결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착용 장치(24)와 리어 커버(23)가 체결될 수 있다. 도 5에는 리어 커버(23)에 하나의 착용 장치 체결부(234)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착용 장치 체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는 기판(22)과 착용 감지 센서(245) 또는 사용자 조작 장치(4)와 착용 감지 센서(24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는 착용 감지 센서(245)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는 도전성을 갖는 접촉 패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착용 감지 센서(245)와 기판(22)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결공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커버(23)에는 그루브(236), 제1 렌즈(237), 및 제2 렌즈(238)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22)에는 복수의 광원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22)에 배치되는 광원들 간의 간격은, 광원의 광 조사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광 조사각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광원들을 배치하는 경우,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고르게 조사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많은 광원이 배치되어 전력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22)에는 광원의 광 조사각에 기초하여 광원들이 배치됨으로써, 광 출력 기기(2)에 배치되는 광원들의 수가 최적화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피부 관리 동작의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다.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경우, 광원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피부로 조사되는 광의 세기는, 광원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피부로 조사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피부로 광이 불균일하게 조사됨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의 피부 관리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특정 부위의 피부에는 다른 부위의 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름이나 트러블이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마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주름이 많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볼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기미나 주근깨 등이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이마나 볼 등과 같은 특정 부위에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광을 조사하여 피부 관리 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루브(236)는 리어 커버(23)의 렌즈(237, 238), 및 착용 장치(24)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그루브(236)는 리어 커버(23)의 표면을 굴곡지거나 불규칙하게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그루브(236)를 투과할 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피부에 광이 보다 고르게 조사되어, 안면의 여러 부위에 대한 피부 관리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237)와 제2 렌즈(238)는, 기판(22)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리어 커버(23)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237)는 볼록 렌즈로 구현되고, 제2 렌즈(238)는 평면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1 렌즈(237)는 이마나 볼 등과 같이 주름이나 트러블 등의 발생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 즉 피부 관리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22)에 구비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1 렌즈(237)를 통과할 때, 상기 방출된 광은 제1 렌즈(237)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소정 범위로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다. 즉, 제1 렌즈(237)를 통과한 광(L)은, 제1 렌즈(237)에 대응하는 위치의 피부 부위로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다. 해당 피부 부위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광이 집중됨에 따라, 피부 관리의 효과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한편, 기판(22)에 구비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2 렌즈(238)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방출된 광은 제2 렌즈(238)를 통과할 때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제2 렌즈(238)를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반사된 광은 기판(22)에서 다시 반사되어 그루브(236) 등을 통해 피부로 조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리어 커버(23A)는 그루브(236)와 제1 렌즈(237)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리어 커버(23A)에 형성되는 그루브(236)에 의해,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피부로 고르게 조사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의 필요성 또는 중요도가 높은 부위에는 제1 렌즈(237)가 형성되어,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해당 부위로 집중되어 조사됨으로써, 피부 관리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리어 커버(23B)는 기판(22)의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도광층(239)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에서는 리어 커버(23B)에 도광층(239)만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리어 커버(23B)에는 도 5의 제1 렌즈(237)와 도광층(239)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광층(239)는 그루브(236) 및 제2 렌즈(238) 대신 형성될 수 있다.
도광층(239)은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피부 쪽으로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피부 쪽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광층(239)은, 광투과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광층(239)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수지(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39)의 내부에는 다수의 산란 입자들(239A)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산란 입자들(239A)은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피부로 광이 보다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다.
산란 입자들(239A)은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키기 위해, 도광층(239)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층(239)을 구성하는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 입자들(239A)은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 스티렌 (PS), 실리콘, 이산화 티타늄(TiO2), 이산화 실리콘(SiO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물질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산란 입자들(239A)은 도광층(239)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광층(239)에 기포(bubble)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리어 커버(23)는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되는 광 흡수부(DOT)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부(DOT)는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어 개구부(231)에 인접하도록 조사되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로 직접 또는 안구에 근접하도록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의 사용시 안구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안구에 손상을 초래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광 흡수부(DOT)는 폴리실리콘, 갈륨아세나이드(GaAs) 등의 광 흡수성이 높은 각종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흡수부(DOT)는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광 흡수부(DOT)는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리어 커버(23)에는 광 흡수부(DOT) 대신 광의 투과를 방지하는 광 투과 방지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광 투과 방지부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등의 작용을 통해 광이 사용자의 안구로 조사되거나 안구에 근접하도록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사용자의 안구와 근접한 위치에 광 흡수부(DOT)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광 흡수부(DOT)는 사용자의 입(mouth)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피부가 약한 입에 광이 조사되어 부작용을 초래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착용 감지 센서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기기(2)에 포함된 착용 감지 센서(245)는 사용자의 미간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출력 기기(2)에 포함된 착용 감지 센서(245A)는 코 안착부(243)의 내부 또는 코 안착부(243)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착용 감지 센서(245A)가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코 안착부(243)의 내부 또는 코 안착부(243)의 표면에 배치된 착용 감지 센서(245A)는, 사용자의 착용 시 코 안착부(243)가 사용자의 코와 근접 또는 접촉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광 출력 기기(2) 또는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장착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코 안착부(243)는 사용자의 얼굴형과 관계없이, 착용시 사용자의 코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코 안착부(243)의 내부 또는 표면에 착용 감지 센서(245A)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착용시 코가 코 안착부(243)와 접촉하게 되어 착용 여부를 다른 위치에 비해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 다른 부위가 근접함에 따른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해,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착용 감지 센서(245A)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광 출력 기기(2)가 정상적으로 착용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착용 감지 센서(245A)가 코 안착부(243)에 배치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착용 감지 센서(245A)는 사용자의 착용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다른 위치(예컨대, 안면 접촉부(242) 등)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얼굴형 차이에 따른 오감지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S100).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버튼부(411)의 전원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광 출력 기기(2)는, 착용 감지 센서(24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10).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전원이 온 된 경우 착용 감지 센서(24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45)와 관련된 내용은 도 3에서 상술한 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한 것으로 감지하기 전까지는 광을 출력하지 않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피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S120).
예컨대, 사용자는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전 미리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고, 광 출력 기기(2) 착용 후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전, 버튼부(411)의 동작 모드 버튼을 조작하여 동작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광을 출력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한 후,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버튼부(411)의 동작 모드 버튼을 조작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면,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광을 출력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착용 전에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중 눈으로 광이 조사됨에 따른 사용자의 불쾌감이나 안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들이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판의 타 면을 덮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도록 상기 얼굴에 접촉되는 착용 장치; 및
상기 착용 장치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얼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상기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얼굴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착용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상기 제1,2 개구부 각각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및
상기 제1,2 안면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코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얼굴의 이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얼굴의 볼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굴절시켜, 상기 이마 및 상기 볼에 조사하는 복수의 제1 렌즈들, 및
상기 제1,2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제2 렌즈들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분산시켜, 상기 얼굴에 고르게 조사시키는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기 프론트 커버, 상기 리어 커버, 및 상기 착용 장치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근접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얼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얼굴이 근접한 경우, 상기 얼굴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 또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사용자 조작 장치에 구비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렌즈들 각각은 볼록 렌즈이고,
상기 복수의 제2 렌즈들 각각은 평면 렌즈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도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층은 복수의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양 면 중 상기 기판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경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흡수부가 배치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제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 장치; 및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및 상기 사용자 조작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피부 관리 패키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903A KR102254843B1 (ko) | 2017-08-14 | 2018-04-09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KR1020190079711A KR102290626B1 (ko) | 2018-04-09 | 2019-07-02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904A KR20190018221A (ko) | 2017-08-14 | 2017-08-14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KR1020180040903A KR102254843B1 (ko) | 2017-08-14 | 2018-04-09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2904A Division KR20190018221A (ko) | 2017-08-14 | 2017-08-14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9711A Division KR102290626B1 (ko) | 2018-04-09 | 2019-07-02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8383A true KR20190018383A (ko) | 2019-02-22 |
KR102254843B1 KR102254843B1 (ko) | 2021-05-24 |
Family
ID=6558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0903A KR102254843B1 (ko) | 2017-08-14 | 2018-04-09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4843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97314A1 (ko) * | 2019-03-27 | 2020-10-01 | 아이디어브릿지 지식재산1호 창업벤처전문 사모투자 합자회사 | 피부용 광 마스크 장치 |
KR20200114222A (ko) * | 2019-03-28 | 2020-10-07 | 박상진 |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
KR20210008793A (ko) * | 2019-07-15 | 2021-01-25 | (주)셀리턴 |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
KR20210014240A (ko) | 2019-07-29 | 2021-02-09 | 희성전자 주식회사 | 엘이디 마스크 장치 |
WO2021206490A1 (ko) | 2020-04-08 | 2021-10-14 | (주)코리아테크 | Led 조사기 및 이에 의한 안면 회복 방법 |
KR20210125444A (ko) | 2020-04-08 | 2021-10-18 | (주)코리아테크 | Led 조사기 및 이에 의한 안면 회복 방법 |
US20210370090A1 (en) * | 2020-05-26 | 2021-12-02 | Know Bio, Llc |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treatment of skin |
KR20220049860A (ko) * | 2020-10-15 | 2022-04-22 | (주) 파오드 |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
KR20230015557A (ko) * | 2021-07-23 | 2023-01-31 | (주) 파오드 |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408A (ko) * | 2005-11-21 | 2007-05-25 | 김태형 | 피부 미백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
KR101074882B1 (ko) | 2010-10-29 | 2011-10-19 | (주) 로우티에스 |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
KR200471948Y1 (ko) * | 2012-06-21 | 2014-03-28 | 신헌철 | 안면 마스크 |
KR20140075706A (ko) * | 2011-09-08 | 2014-06-19 | 라 뤼미에르 엘엘씨 | 광 치료 플랫폼 시스템 |
KR101635927B1 (ko) * | 2016-01-08 | 2016-07-04 | 김종천 |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
KR101735703B1 (ko) * | 2016-03-24 | 2017-05-15 | (주)엠엠코리아 | 안면과 두피를 복합 관리하는 엘이디 마스크 장치 |
-
2018
- 2018-04-09 KR KR1020180040903A patent/KR1022548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408A (ko) * | 2005-11-21 | 2007-05-25 | 김태형 | 피부 미백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
KR101074882B1 (ko) | 2010-10-29 | 2011-10-19 | (주) 로우티에스 |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
KR20140075706A (ko) * | 2011-09-08 | 2014-06-19 | 라 뤼미에르 엘엘씨 | 광 치료 플랫폼 시스템 |
KR200471948Y1 (ko) * | 2012-06-21 | 2014-03-28 | 신헌철 | 안면 마스크 |
KR101635927B1 (ko) * | 2016-01-08 | 2016-07-04 | 김종천 |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
KR101735703B1 (ko) * | 2016-03-24 | 2017-05-15 | (주)엠엠코리아 | 안면과 두피를 복합 관리하는 엘이디 마스크 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97314A1 (ko) * | 2019-03-27 | 2020-10-01 | 아이디어브릿지 지식재산1호 창업벤처전문 사모투자 합자회사 | 피부용 광 마스크 장치 |
KR20200115353A (ko) * | 2019-03-27 | 2020-10-07 | 아이디어브릿지 지식재산1호 창업벤처전문 사모투자 합자회사 | 피부용 광 마스크 장치 |
KR20200114222A (ko) * | 2019-03-28 | 2020-10-07 | 박상진 |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
KR20210008793A (ko) * | 2019-07-15 | 2021-01-25 | (주)셀리턴 |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
KR20210014240A (ko) | 2019-07-29 | 2021-02-09 | 희성전자 주식회사 | 엘이디 마스크 장치 |
WO2021206490A1 (ko) | 2020-04-08 | 2021-10-14 | (주)코리아테크 | Led 조사기 및 이에 의한 안면 회복 방법 |
KR20210125444A (ko) | 2020-04-08 | 2021-10-18 | (주)코리아테크 | Led 조사기 및 이에 의한 안면 회복 방법 |
JP2023521181A (ja) * | 2020-04-08 | 2023-05-23 | コリア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Led照射器及びこれによる顔面回復方法 |
US20210370090A1 (en) * | 2020-05-26 | 2021-12-02 | Know Bio, Llc |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treatment of skin |
US11975215B2 (en) * | 2020-05-26 | 2024-05-07 | Know Bio, Llc |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treatment of skin |
KR20220049860A (ko) * | 2020-10-15 | 2022-04-22 | (주) 파오드 |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
KR20230015557A (ko) * | 2021-07-23 | 2023-01-31 | (주) 파오드 |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4843B1 (ko) | 2021-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8383A (ko)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
KR20190018221A (ko)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
KR20190082724A (ko) |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 |
KR102364306B1 (ko) | 피부 관리 기기 | |
KR101735703B1 (ko) | 안면과 두피를 복합 관리하는 엘이디 마스크 장치 | |
KR101616002B1 (ko) |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 |
US9789333B2 (en) | Light therapy platform system | |
KR20150066292A (ko) | Led 마스크 | |
US20220152417A1 (en) | Mask device for skincare using light | |
CN219128062U (zh) | 具有理疗防护功能的哺光仪 | |
KR102667061B1 (ko) | 피부 관리 기기 | |
US20220023464A1 (en) | Ultraviolet irradiator | |
KR20140057796A (ko) |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 |
US20220001195A1 (en) | Light outputting device for scalp care | |
KR102490509B1 (ko) | 개인용 조합자극 led 마스크 | |
KR20190088361A (ko) | 저산소 경고 기능을 가진 안전 진단용 보호안경 및 이를 포함한 안전 진단용 보호장비 | |
CN221752066U (zh) | 美容面罩 | |
AU2019204695B2 (en) | Light therapy platform system | |
KR102148020B1 (ko) | 눈 밑 주름과 피부 탄력 개선 가능한 led 패치 | |
KR102157630B1 (ko) | 안경형 광미용 기기 | |
KR20220057372A (ko) | 피부 관리 기기 | |
KR20210053766A (ko) | 두피와 안면 관리가 가능한 엘이디 마스크 | |
ES2796304T3 (es) | Sistema de plataforma de fototerapia | |
JP2022190843A (ja) | アイウエア用紫外線照射器 | |
JPS62295014A (ja) | 居眠り防止眼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