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913A -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913A
KR20200113913A KR1020190034791A KR20190034791A KR20200113913A KR 20200113913 A KR20200113913 A KR 20200113913A KR 1020190034791 A KR1020190034791 A KR 1020190034791A KR 20190034791 A KR20190034791 A KR 20190034791A KR 20200113913 A KR20200113913 A KR 2020011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personnel
building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989B1 (ko
Inventor
권경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라엘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라엘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라엘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9003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8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은 건물 출입 게이트(Gate)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를 출입하는 인원의 아이디(ID) 카드의 태깅(Tagging) 정보를 수신하여 게이트 출입 로그를 생성하는 출입 통제 서버;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리딩(Reading)하여 고유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및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해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RSONNEL IDENTIFICATION FOR EVACUATION TRAIN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에 화재와 같은 긴급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재실 인원들의 신속한 대피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긴급 재난 상황을 대비한 훈련을 정기적으로 반복하여 대피 시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긴급 재난 상황을 대비한 훈련을 하는 이유는, 정기적인 시행을 통해 대상 인원들을 숙련시키고, 시간을 측정하여 대피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 대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며, 기존의 방식을 변화시켜 긴급 재난 상황에서 무사히 모든 인원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안전 환경 훈련 시 건물 내 잔류 인원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사회적으로 안전 환경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면서 대피 상황 파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경우, 출입 기록을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엑셀로 다운로드 하여, 대피한 인원들의 임직원 카드를 태깅하여 대조하고 식별하기 때문에 실시간 확인이 어려우며, 운영 센터에 요청하여 출입 기록을 엑셀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대피 인원 확인을 위해 10여대의 노트북을 가지고 나가 더미 리더기로 카드 번호를 읽어 엑셀로 정리하고 대조하므로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그 시간 동안 전혀 잔류 인원에 대한 현황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1시간 이상 정전이 지속될 경우 전체 셧다운(Shut Down)으로 인해 네트워크가 단절되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3834호(발명의 명칭: 비상탈출훈련시 대피 인원수와 탈출시간 확인시스템 및 그 확인방법, 2014년 09월 17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긴급 재난 상황을 대비한 실제 대피 또는 대피 훈련 시 건물 내 미 대피 인원(잔류 인원)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은 건물 출입 게이트(Gate)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를 출입하는 인원의 아이디(ID) 카드의 태깅(Tagging) 정보를 수신하여 게이트 출입 로그를 생성하는 출입 통제 서버;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리딩(Reading)하여 고유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및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해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은 상기 메인 서버의 인원 집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 대피 인원의 휴대 단말기에 대피 여부의 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SMS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MS 서버는 상기 미 대피 인원의 대피 완료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유도하기 위해, 대피 완료 버튼, 대피 전 버튼, 건물 내 위치 전송을 위한 위치 전송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송하되, 상기 위치 전송 버튼은 현재 자기가 건물 내 몇 층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층수 정보 및 현재 자기가 포함된 부서에 관한 부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은 보안 유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카드 리더기 및 상기 메인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중계하는 릴레이 서버로서,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대피 인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대피 인원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수집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분석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건물 내로 들어온 기록을 나타내는 IN 기록이 있는 인원을 추출하고,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해 최종의 게이트 출입 로그를 확인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 나간 기록을 나타내는 OUT 기록의 유무에 따라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현황을 파악하여 상기 재실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는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NFC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NFC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는 현장에서 상기 대피자의 본인 확인을 위해, 상기 ID 카드의 태깅 시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ID 카드의 태깅 정보에 매칭되는 사진을 전달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되, 개인 정보의 보호를 위해 상기 사진을 표시 후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대피자가 상기 ID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대피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수동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는 평상시에는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분석하여 총 재실 인원 및 현재 남은 재실 인원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인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날짜별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방재실 서버에 전송하며, 대피 훈련 시에는 대피 훈련이 시작되면 재실 인원에게 훈련 일자, 훈련 시간 및 대피 장소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대피 훈련 정보를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고, 그 이후 설정된 시간에 따라 미 대피 인원에게 훈련 종료 몇 분 전이니 빨리 대피 장소로 대피하라는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발송하며, 대피 훈련이 종료되면 부서별, 건물별 대피 시간 집계 및 미 대피 인원 정보를 집계하여 방재실 서버, 상기 카드 리더기 및 상기 카드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여, 일자별, 훈련별로 각 데이터를 조회 또는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방법은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출입 통제 서버가 건물 출입 게이트를 출입하는 인원의 아이디(ID) 카드의 태깅(Tagging) 정보를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로부터 수신하여 게이트 출입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카드 리더기가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리딩(Reading)하여 고유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메인 서버가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해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방법은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SMS 서버가 상기 메인 서버의 인원 집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 대피 인원의 휴대 단말기에 대피 여부의 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재난 상황을 대비한 실제 대피 또는 대피 훈련 시 건물 내 미 대피 인원(잔류 인원)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서버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서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평상시 및 재난 발생시의 인원 집계 정보를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대피를 위한 훈련용에도 적용될 수 있고 실제 재난 대피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은 출입 통제 서버(110), 카드 리더기(120), 수집 서버(130), 메인 서버(140) 및 SMS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는 건물 출입 게이트(Gate)(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101)로부터 아이디(ID) 카드의 태깅(Tagging)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는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101)를 출입하는 인원의 ID 카드의 태깅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ID 카드 태깅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 출입 관련 정보(인사 정보 포함)를 기록한 게이트 출입 로그(Log)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는 상기 메인 서버(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상기 메인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20)는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리딩(Reading)하고, 상기 ID 카드의 리딩 정보로부터 상기 ID 카드를 소유한 대피자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ID 카드는 사원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고유 식별 코드는 사원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20)는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예: 스마트폰)에 구비된 NFC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는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태깅하는 사람을 가리킬 수 있다.
즉, 상기 관리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NFC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사원증을 태깅하여 그 태깅 정보를 토대로 사원 코드(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드 리더기(120)는 상기 인식된 사원 코드(번호)를 대피 인원 정보로서 상기 수집 서버(13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리더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ID 카드의 태깅 시 상기 메인 서버(140)로부터 상기 ID 카드의 태깅 정보(사원 코드 등의 대피 인원 정보)에 매칭되는 사진을 전달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리자는 상기 대피자의 본인 확인을 현장에서 직접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개인 정보의 보호를 위해 상기 사진을 표시 후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20)는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가 자신의 ID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대피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수동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피자는 상기 건물에서 대피 시 자신의 ID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카드 리더기(120)에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신상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카드 리더기(12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대피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을 대피 인원 정보로서 상기 수집 서버(1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집 서버(130)는 보안 유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카드 리더기(120) 및 상기 메인 서버(140)와 각각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중계하는 릴레이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카드 리더기(120)에는 상기 수집 서버(13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 서버(130)는 상기 카드 리더기(120)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 코드, 상기 대피자의 신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대피 인원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 서버(130)는 상기 수집된 대피 인원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상기 수집 서버(130)로부터 상기 대피 인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로부터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상기 대피 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재실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상기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140)는 미리 설정된 기간(예: 최근 3일) 동안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로부터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건물 내로 들어온 기록을 나타내는 IN 기록이 있는 인원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해 최종의 게이트 출입 로그를 확인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 나간 기록을 나타내는 OUT 기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OUT 기록의 유무에 따라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상기 재실 현황의 파악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상기 재실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를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와 비교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상기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를 방재실 서버(160), 상기 카드 리더기(120) 및 상기 카드 리더기(120)의 일 실시예인 NFC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재실 현황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서버(140)는 평상시에는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분석하여 총 재실 인원 및 현재 남은 재실 인원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인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날짜별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방재실 서버(16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대피 훈련 시에는 대피 훈련이 시작되면 재실 인원에게 훈련 일자, 훈련 시간 및 대피 장소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대피 훈련 정보를 상기 SMS 서버(150)를 통해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고, 그 이후 설정된 시간에 따라 미 대피 인원에게 훈련 종료 몇 분 전이니 빨리 대피 장소로 대피하라는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발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40)는 대피 훈련이 종료되면 부서별, 건물별 대피 시간 집계 및 미 대피 인원 정보를 집계하여 상기 방재실 서버(160), 상기 카드 리더기(120) 및 상기 카드 리더기(120)의 일 실시예인 NFC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함으로써, 일자별, 훈련별로 각 데이터를 조회 또는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MS 서버(150)는 상기 메인 서버(140)의 인원 집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 대피 인원의 휴대 단말기에 대피 여부의 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MS 서버(150)는 상기 미 대피 인원의 대피 완료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유도하기 위해, 대피 완료 버튼, 대피 전 버튼, 건물 내 위치 전송을 위한 위치 전송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전송 버튼은 현재 자기가 건물 내 몇 층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층수 정보 및 현재 자기가 포함된 부서에 관한 부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 대피 인원에 해당하는 사람은 상기 URL의 링크 연결을 통해 상기 층수 정보 및 상기 부서 정보를 입력하여 현재의 본인 위치를 상기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메인 서버(14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서버(140)는 수집부(210), 분석부(220), 판단부(230), 생성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210)는 상기 카드 리더기(120)로부터 상기 수집 서버(130)를 통해 상기 고유 식별 코드, 상기 대피자의 신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대피 인원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220)는 미리 설정된 기간(예: 최근 3일) 동안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로부터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건물 내로 들어온 기록을 나타내는 IN 기록이 있는 인원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해 최종의 게이트 출입 로그를 확인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 나간 기록을 나타내는 OUT 기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OUT 기록의 유무에 따라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240)는 상기 재실 현황의 파악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상기 재실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240)는 상기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를 상기 방재실 서버(160), 상기 카드 리더기(120) 및 상기 카드 리더기(120)의 일 실시예인 NFC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재실 현황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메인 서버(14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요소들, 즉 상기 수집부(210), 상기 분석부(220), 상기 판단부(230), 상기 생성부(24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서버(14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서버(140)는 수신부(310), 비교부(320), 집계부(330), 앱 연동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310)는 상기 수집 서버(130)로부터 상기 대피 인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통제 서버(110)로부터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320)는 상기 대피 인원 정보에 의해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집계부(330)는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할 수 있다.
상기 앱 연동부(340)는 상기 카드 리더기(120)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과 연동하여, 재실 인원에 관한 집계 정보(평상시: 총 근무 인원, 금일 재실 인원, 재난 발생시: 총 근무 인원, 현재 잔류(미 대피) 인원, 대피 완료 인원)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평상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근무 인원, 금일 재실 인원 등의 집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재난 발생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근무 인원, 현재 잔류(미 대피) 인원, 대피 완료 인원 등의 집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연동부(340)는 상기 방재실 서버(160)의 PC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와 같은 집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메인 서버(14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 즉 상기 수신부(310), 상기 비교부(320), 상기 집계부(330), 상기 앱 연동부(34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의 출입 통제 서버(110)가 건물 출입 게이트(101)를 출입하는 인원의 ID 카드의 태깅 정보를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101)로부터 수신하여 게이트 출입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620의 "예" 방향), 단계(630)에서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의 카드 리더기(120)가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리딩(Reading)하여 고유 식별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반면,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620의 "아니오" 방향), 단계(610)으로 리턴(Return)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40)에서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의 수집 서버(130)가 상기 카드 리더기(120)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대피 인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50)에서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의 수집 서버(130)가 상기 수집된 대피 인원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60)에서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의 메인 서버(140)가 상기 수집된 대피 인원 정보에 기초하여 재실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70)에서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의 메인 서버(140)가 상기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80)에서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100)의 SMS 서버(150)가 상기 메인 서버(140)의 인원 집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 대피 인원의 휴대 단말기에 대피 여부의 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건물 출입 게이트
110: 출입 통제 서버
120: 카드 리더기
130: 수집 서버
140: 메인 서버
150: SMS 서버
210, 310: 수집부
220: 분석부
230: 판단부
240: 생성부
250, 350: 제어부
320: 비교부
330: 집계부
340: 앱 연동부

Claims (10)

  1. 건물 출입 게이트(Gate)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를 출입하는 인원의 아이디(ID) 카드의 태깅(Tagging) 정보를 수신하여 게이트 출입 로그를 생성하는 출입 통제 서버;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리딩(Reading)하여 고유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및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해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하는 메인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의 인원 집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 대피 인원의 휴대 단말기에 대피 여부의 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SMS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서버는
    상기 미 대피 인원의 대피 완료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유도하기 위해, 대피 완료 버튼, 대피 전 버튼, 건물 내 위치 전송을 위한 위치 전송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송하되,
    상기 위치 전송 버튼은
    현재 자기가 건물 내 몇 층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층수 정보 및 현재 자기가 포함된 부서에 관한 부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보안 유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카드 리더기 및 상기 메인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중계하는 릴레이 서버로서,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대피 인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대피 인원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수집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분석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상기 건물 내로 들어온 기록을 나타내는 IN 기록이 있는 인원을 추출하고,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해 최종의 게이트 출입 로그를 확인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 나간 기록을 나타내는 OUT 기록의 유무에 따라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N 기록이 있는 인원에 대한 재실 현황을 파악하여 상기 재실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NFC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NFC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는
    현장에서 상기 대피자의 본인 확인을 위해, 상기 ID 카드의 태깅 시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ID 카드의 태깅 정보에 매칭되는 사진을 전달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되, 개인 정보의 보호를 위해 상기 사진을 표시 후 삭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대피자가 상기 ID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대피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수동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평상시에는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분석하여 총 재실 인원 및 현재 남은 재실 인원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인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날짜별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방재실 서버에 전송하며,
    대피 훈련 시에는 대피 훈련이 시작되면 재실 인원에게 훈련 일자, 훈련 시간 및 대피 장소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대피 훈련 정보를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고, 그 이후 설정된 시간에 따라 미 대피 인원에게 훈련 종료 몇 분 전이니 빨리 대피 장소로 대피하라는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발송하며, 대피 훈련이 종료되면 부서별, 건물별 대피 시간 집계 및 미 대피 인원 정보를 집계하여 방재실 서버, 상기 카드 리더기 및 상기 카드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여, 일자별, 훈련별로 각 데이터를 조회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9.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출입 통제 서버가 건물 출입 게이트를 출입하는 인원의 아이디(ID) 카드의 태깅(Tagging) 정보를 상기 건물 출입 게이트로부터 수신하여 게이트 출입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건물에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카드 리더기가 상기 건물에서 대피한 대피자의 ID 카드를 리딩(Reading)하여 고유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메인 서버가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해 생성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출입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출입 로그를 비교하여 재실 인원, 대피 인원 및 미 대피 인원을 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의 SMS 서버가 상기 메인 서버의 인원 집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 대피 인원의 휴대 단말기에 대피 여부의 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방법.
KR1020190034791A 2019-03-27 2019-03-27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16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91A KR102169989B1 (ko) 2019-03-27 2019-03-27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91A KR102169989B1 (ko) 2019-03-27 2019-03-27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913A true KR20200113913A (ko) 2020-10-07
KR102169989B1 KR102169989B1 (ko) 2020-10-26

Family

ID=7288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791A KR102169989B1 (ko) 2019-03-27 2019-03-27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3091A (zh) * 2021-11-19 2022-04-12 合肥晶合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疏散点名系统、安全疏散方法、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20142756A (ko) * 2021-04-15 2022-10-24 (주)한국알앤디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ko) *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20170001083A (ko) * 2015-06-25 2017-01-04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재실자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4755A (ko)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엠플러스비전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ko) *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20170001083A (ko) * 2015-06-25 2017-01-04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재실자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4755A (ko)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엠플러스비전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56A (ko) * 2021-04-15 2022-10-24 (주)한국알앤디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CN114333091A (zh) * 2021-11-19 2022-04-12 合肥晶合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疏散点名系统、安全疏散方法、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333091B (zh) * 2021-11-19 2024-04-16 合肥晶合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疏散点名系统、安全疏散方法、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989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5807B2 (ja) 会議室予約システム、会議室予約方法および会議室予約プログラム
JP723834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端末
KR102169989B1 (ko)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11893844B2 (en) Face authentication machine and face authentication method
US11778424B2 (en) Evacuation tracking
CN113519014A (zh) 闸门开闭控制装置以及闸门开闭控制方法
CN113519013A (zh) 面部认证系统以及面部认证方法
JP626013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825776A (zh) 空气质量检测报告处理方法、装置及计算设备、存储介质
JP6175416B2 (ja) 集合住宅居住者の安否確認支援システム
KR20220120853A (ko) 보안구역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7310681A (ja) 出入り管理システム及び出入り管理機能付き携帯端末
KR102157324B1 (ko)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6584A (ko) 시설 관리 시스템
JP2020087129A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CN112632512B (zh) 社保防冒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98650B1 (ko) 재난 발생 신고에 대한 수보 관리 시스템
KR102213022B1 (ko)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5032B1 (ko) 집합건물 운영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집합건물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1063073B (zh) 一种门禁系统、控制方法及其装置
JP6312557B2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JP2014016969A (ja) 顔照合システム
CN113508389A (zh) 面部认证登记装置以及面部认证登记方法
CN11580986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作业管理方法及系统
KR102567732B1 (ko) 비콘을 이용한 출입자 명부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