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789A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789A
KR20200113789A KR1020190034487A KR20190034487A KR20200113789A KR 20200113789 A KR20200113789 A KR 20200113789A KR 1020190034487 A KR1020190034487 A KR 1020190034487A KR 20190034487 A KR20190034487 A KR 20190034487A KR 20200113789 A KR20200113789 A KR 2020011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ens
alignment
lens modu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881B1 (ko
Inventor
최세영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8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경통의 내부에 제1 가이드 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핀을 따라 선형이동하는 제1 렌즈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렌즈 모듈, 및 제2 경통의 내부에 제2 가이드 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핀을 따라 선형이동하는 제2 렌즈 유닛을 구비하는 제2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통은 일단에 배치되는 정렬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경통은 상기 정렬 돌기가 삽입되는 정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정렬 돌기가 상기 정렬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정렬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는 복수개의 렌즈군을 이용하여 배율을 조절하거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내부에서 이동하는 렌즈군이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국 특허 등록 문헌 제10-0397441호에는 카메라 렌즈의 조심을 위해서 핀을 이용하여 마운트 프레임과 렌즈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이동군을 하나의 경통에 복수개의 렌즈 이동군을 배치하였다. 그러나,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서 복수개의 렌즈의 이동 경로가 한정되고, 복수개의 렌즈 이동군의 간섭에 의해서 정확한 렌즈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감시 카메라는 하나의 경통에 복수개의 렌즈 이동군을 삽입해야 하므로, 조립의 어려움이 있다. 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복수개의 렌즈를 조립하기 어렵다. 또한, 경통 내부에서 각 이동 렌즈군은 조심이 필수적이나, 이동 렌즈군의 조립에 발생하는 흔들림 등에 의해서 각 렌즈군의 조심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 특허 등록 제10-0397441호(1998.07.25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성이 향상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경통의 내부에 제1 가이드 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핀을 따라 선형이동하는 제1 렌즈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렌즈 모듈, 및 제2 경통의 내부에 제2 가이드 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핀을 따라 선형이동하는 제2 렌즈 유닛을 구비하는 제2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통은 일단에 배치되는 정렬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경통은 상기 정렬 돌기가 삽입되는 정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정렬 돌기가 상기 정렬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정렬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렬 돌기의 크기는 상기 정렬 홈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통 및 상기 제2 경통 중 어느 하나는 외측면에 접착 부재가 주입되는 주입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통과 상기 제2 경통 사이에 삽입되는 조리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통은 상기 정렬 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범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경통은 상기 정렬 홈의 외측으로 함몰된 안착 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유닛은 상기 제1 경통의 내부에서만 선형 이동하고, 상기 제2 렌즈 유닛은 상기 제2 경통의 내부에서만 선형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조립성이 향상된다. 복수개의 경통에는 각각 이동하는 렌즈 모듈이 장착되므로, 경통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각 이동하는 렌즈 모듈이 각각의 경통에 먼저 정렬 및 조립되고, 그 뒤에 조심된 경통을 조립하므로 조립시에 발생하는 정렬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정확하게 2개의 경통을 조심 및 조립할 수 있다. 정렬 돌기가 정렬 홈에 삽입된 이후에, 정렬 돌기의 위치를 이동 및 회전하여, 2개의 경통을 정확하게 조심할 수 있다. 조심이 완료된 이후에는 정렬 돌기에 인접한 주입 홈을 통해서 접착 부재가 주입되므로, 조심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2개의 경통이 조립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렌즈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정렬 돌기와 정렬 홈의 조립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렌즈 모듈(100)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 모듈(200)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제1 렌즈 모듈(100), 제2 렌즈 모듈(200) 및 조리개 모듈(30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은 각각 개별적으로 조립된 이후에,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을 조심 공정으로 정렬하여 조립할 수 있다.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은 각각 서로 이동하는 렌즈 유닛을 구비한다.
제1 렌즈 모듈(100)은 제1 경통(110), 제1 렌즈 유닛(120), 제1 가이드 핀(130) 및 제1 구동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렌즈 모듈(100)은 제1 경통(110)에 제1 렌즈 유닛(120), 제1 가이드 핀(130) 및 제1 구동부(140)가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립된다. 제1 렌즈 모듈(100)은 제1 경통(110)의 내부에 제1 가이드 핀(130)이 배치되고, 제1 가이드 핀(130)을 따라 제1 렌즈 유닛(120)이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제1 경통(110)은 내부 공간에 제1 렌즈 유닛(120)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111)과, 제1 하우징(111)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의 외측에는 제1 구동부(140)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1 지지단(113)를 구비하며, 제1 지지단(113)에 제1 구동부(140)가 설치되므로 컴팩트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의 외측에는 제2 구동부(2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단(1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동부(240)의 단부편이 삽입되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2)는 제1 하우징(111)의 일측을 커버하며, 중앙 개구(112a)를 가진다. 중앙 개구(112a)를 통해서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210)이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2)는 제1 가이드 핀(130)이 지지된다. 제1 가이드 핀(130)은 제1 플레이트(112)와 제1 하우징(1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제1 렌즈 유닛(120)은 제1 가이드 핀(130)을 따라 제1 경통(110)의 안에서만 이동한다.
정렬 돌기(115)는 제1 경통(110)의 일단에 배치된다. 정렬 돌기(115)는 제1 플레이트(112)의 일측 면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다. 정렬 돌기(115)는 정렬 홈(215)에 삽입되어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을 조심 및 조립할 수 있다.
범퍼(116)는 제1 경통(110)에서 정렬 돌기(115)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범퍼(116)는 정렬 돌기(115)를 일주하도록 돌출되며, 제2 경통(210)의 안착 홈(216)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의 외측에는 조립시에 제1 지그(10)에 지지되는 제1 지그홈(11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지그(10)는 제1 지그홈(117)에 지지된 상태로, 3축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 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의 외측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주입되는 주입 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통(110)의 외주에 주입 홈(118)이 배치되므로, 지그에 의해서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이 정렬 된 이후에, 접착 부재가 주입되어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이 고정될 수 있다.
주입 홈(118)은 정렬 돌기(115) 또는 정렬 홈(21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주입 홈(118)으로 주입되는 접착 부재가 정렬 홈(215)으로 유입되므로, 정렬 돌기(115)가 정렬 홈(21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에서 주입 홈(118)은 각각 정렬 돌기(11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로, 주입 홈은 제2 경통(210)에 설치될 수 있다. 주입 홈이 제2 하우징(211)의 외주에 설치되어 접착 부재가 주입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2)의 일측에는 절개 홈(119)이 배치된다. 절개 홈(119)에 제1 구동부(140)가 삽입되어, 제1 구동부(140)는 제1 경통(1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렌즈 유닛(120)은 제1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핀(130)을 따라 선형이동 할 수 있다. 제1 렌즈 유닛(120)은 제1 경통(110)의 내부에서만 선형이동 한다.
제1 렌즈 유닛(120)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에 적용할 수 있는 렌즈 유닛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줌 광학계나 포커스 광학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핀(130)은 제1 하우징(111)과 제1 플레이트(112)에 지지되며, 제1 렌즈 유닛(120)이 삽입되어 선형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핀(130)에는 슬라이더(143)가 장착되어, 제1 구동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40)는 구동 모터(141), 구동축(142) 및 슬라이더(143)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모터(141)의 구동으로 슬라이더(143)가 구동축(14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렌즈 유닛(120)을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제2 렌즈 모듈(200)은 제2 경통(210), 제2 렌즈 유닛(220), 제2 가이드 핀(230) 및 제2 구동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렌즈 모듈(200)은 제2 경통(210)의 내부에 제2 가이드 핀(230)이 배치되고, 제2 가이드 핀(230)을 따라 제2 렌즈 유닛(220)이 선형 이동 할 수 있다. 제2 렌즈 모듈(200)과 제1 렌즈 모듈(100)은 각각 내부공간에서 렌즈 유닛을 선형이동 시키는 것으로 유사하며, 제2 경통(210), 제2 렌즈 유닛(220), 제2 가이드 핀(230) 및 제2 구동부(240)는 각각 제1 경통(110), 제1 렌즈 유닛(120), 제1 가이드 핀(130) 및 제1 구동부(140)에 대응된다.
제2 경통(210)은 제2 하우징(211)과 제2 플레이트(212)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211)과 제2 플레이트(212) 사이의 공간에 제2 렌즈 유닛(220) 제2 가이드 핀(230) 및 제2 구동부(240)가 설치된다. 이로써, 제2 렌즈 유닛(220)은 제2 가이드 핀(230)을 따라 제2 경통(210)의 안에서만 이동한다.
제2 하우징(211)의 일단에는 조리개 모듈(300)이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다. 조리개 모듈(300)은 제2 하우징(211)의 삽입 개구(211a)에 삽입되며, 경사단(211b)과 접촉하여 위치가 설정되고, 제2 하우징(211)의 안착단(211c)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은 조리개 모듈(300)의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211a)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 개구(211a)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직사각형 형상에 따라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 개구(211a)의 일측에는 경사단(211b)이 형성된다. 경사단(211b)은 조리개 모듈(300)의 걸림턱(320)과 접촉하여 지지 및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안착단(211c)은 조리개 모듈(300)의 바디(330)가 지지될 수 있다. 안착단(211c)은 제2 하우징(21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1)의 외측에는 제2 구동부(240)가 삽입 및 지지되는 제2 지지단(213)를 구비하며, 제2 지지단(213)에 제2 구동부(240)가 설치되므로 컴팩트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하우징(211)의 외측에는 제1 구동부(1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단(2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40)의 구동 모터(141)가 삽입되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140)의 구동 모터(141)를 제2 렌즈 모듈(200)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므로, 무게 중심을 제2 렌즈 모듈(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를 안정적으로 배치 및 사용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40)와 제2 구동부(240)는 각각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210) 모두 지지되므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조립성 및 결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40)와 제2 구동부(240)의 삽입 위치를 통해서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이 결합되는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정렬 홈(215)은 제2 경통(210)에 배치되며, 정렬 돌기(115)가 삽입된다. 안착 홈(216)은 정렬 홈(215)의 외측으로 함몰된다. 안착 홈(216)은 정렬 홈(215)을 일주하도록 함몰되며, 정렬 홈(215)과 단차를 형성한다. 안착 홈(216)은 제1 경통(110)의 범퍼(116)가 삽입 및 지지된다.
정렬 돌기(115)와 정렬 홈(215)은 복수개로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정렬 돌기(115)와 정렬 홈(215)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정렬 돌기와 범퍼가 제2 경통(210)에 설치되고, 정렬 홈과 안착 홈이 제1 경통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정렬 돌기와 정렬 홈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센서(250)은 제2 렌즈 모듈(200)의 후단에 배치된다. 센서(250)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에서 촬상 되는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조리개 모듈(300)은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210) 사이에 삽입된다. 조리개 모듈(300)은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210)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조리개 모듈(300)은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에 슬라이딩으로 삽입되므로, 쉽고 컴팩트하게 조립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제2 경통(210)의 삽입 개구(211a)에 삽입되며, 걸림턱(320)이 경사단(211b)에 접촉하여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안착단(211c)에 조리개 모듈(300)의 바디(330)가 지지된다.
도 4는 정렬 돌기(115)와 정렬 홈(215)의 조립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렬 돌기(115)는 정렬 홈(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 중 어느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을 정렬할 수 있다.
정렬 돌기(115)의 크기는 정렬 홈(215)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정렬 돌기(115)는 D2의 직경과 T1의 높이를 가지며, 정렬 홈(215)은 D1 보다 큰 D2의 직경과 T1 보다 큰 T2의 높이를 가진다. 정렬 돌기(115)의 크기보다 정렬 홈(215)의 크기가 크므로, 정렬 돌기(115)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범퍼(116)는 정렬 돌기(115)와 정렬 홈(215)의 조립에 앞서서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을 조립할 수 있다. 범퍼(116)가 안착 홈(216)에 삽입되므로, 정렬 돌기(115)와 정렬 홈(215)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범퍼(116)와 안착 홈(216)에 지지되어 정렬 허용 범위를 설정한다. 즉, 범퍼(116)와 안착 홈(216)은 정렬 돌기(115)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한다. 이로써, 조심 공정시에 렌즈 모듈이 크게 뒤틀려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범퍼(116)의 크기는 안착 홈(216)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범퍼(116)는 D3의 직경과 T3의 높이를 가지며, 안착 홈(216)은 D3보다 큰 D4의 직경과 T3보다 큰 T4의 높이를 가진다. 범퍼(116)의 크기보다 안착 홈(216)의 크기가 크므로, 정렬 돌기(115)의 이동할 수 있는 기 설정 범위를 제공하고, 조립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조립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조심을 위한 지그에 장착되어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이 조립된다.
제1 렌즈 모듈(100)의 제1 지그홈(117)에 제1 지그(10)가 장착되며, 제1 지그(10)의 3축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렌즈 모듈(200)의 제2 지그홈(217)에 제2 지그(20)가 장착되며, 제2 지그(20)에 의해서 제2 렌즈 모듈(2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1 지그(10)를 이동하면, 정렬 돌기(115)는 정렬 홈(215)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정확하게 위치가 설정된다.
이후 주입 홈(118)에 접착 부재를 주입하면, 접착 부재는 제1 플레이트(112)와 제2 플레이트(212)를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접착 부재(미도시)가 정렬 돌기(115)와 정렬 홈(215)으로 유입되어, 제1 렌즈 모듈(100)과 제2 렌즈 모듈(200)을 고정할 수 있다.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하나의 경통에 복수개의 렌즈 이동군을 배치하였다. 그러나,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서 복수개의 렌즈의 이동 경로가 한정되고, 복수개의 렌즈 이동군의 간섭에 의해서 정확한 렌즈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하나의 경통에 복수개의 렌즈 이동군을 삽입해야 하므로, 조립의 어려움이 있다. 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복수개의 렌즈를 조립하기 어렵다. 또한, 이동 렌즈군은 개별적으로 조심이 필수적이나, 이동 렌즈군의 조립에 의해서 정렬된 다른 이동 렌즈군의 조심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조립성이 향상된다. 복수개의 경통에는 각각 이동하는 렌즈 모듈이 장착되므로, 경통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각 이동하는 렌즈 모듈이 각각의 경통에 먼저 정렬 및 조립되고, 그 뒤에 조심된 경통을 조립하므로 조립시에 발생하는 정렬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는 정확하게 2개의 경통을 조심 및 조립할 수 있다. 정렬 돌기(115)가 정렬 홈(215)에 삽입된 이후에, 정렬 돌기(115)의 위치를 이동 및 회전하여, 2개의 경통을 정확하게 조심할 수 있다. 조심이 완료된 이후에는 정렬 돌기(115)에 인접한 주입 홈(118)을 통해서 접착 부재가 주입되므로, 조심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2개의 경통이 조립 및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0: 제1 렌즈 모듈
110: 제1 경통
115: 정렬 돌기
200: 제2 렌즈 모듈
210: 제2 경통
215: 정렬 홈

Claims (6)

  1. 제1 경통의 내부에 제1 가이드 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핀을 따라 선형이동하는 제1 렌즈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렌즈 모듈; 및
    제2 경통의 내부에 제2 가이드 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핀을 따라 선형이동하는 제2 렌즈 유닛을 구비하는 제2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통은 일단에 배치되는 정렬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경통은 상기 정렬 돌기가 삽입되는 정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정렬 돌기가 상기 정렬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정렬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돌기의 크기는 상기 정렬 홈의 크기 보다 작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통 및 상기 제2 경통 중 어느 하나는 외측면에 접착 부재가 주입되는 주입 홈;을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통과 상기 제2 경통 사이에 삽입되는 조리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통은 상기 정렬 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범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경통은 상기 정렬 홈의 외측으로 함몰된 안착 홈;을 더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유닛은 상기 제1 경통의 내부에서만 선형 이동하고, 상기 제2 렌즈 유닛은 상기 제2 경통의 내부에서만 선형 이동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190034487A 2019-03-26 2019-03-2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65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87A KR102658881B1 (ko) 2019-03-26 2019-03-2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87A KR102658881B1 (ko) 2019-03-26 2019-03-2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89A true KR20200113789A (ko) 2020-10-07
KR102658881B1 KR102658881B1 (ko) 2024-04-19

Family

ID=7288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487A KR102658881B1 (ko) 2019-03-26 2019-03-2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416B1 (ko) * 2020-11-26 2021-07-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 렌즈계, 광학장비 및 고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118B1 (ko) * 1993-05-27 1999-11-01 미따라이 하지메 렌즈배럴
KR100397441B1 (ko) 1996-10-14 2003-11-17 펜탁스 프레시젼 가부시키 가이샤 시시티브이카메라용렌즈의마운트시프트장치
JP2005164811A (ja) * 2003-12-01 2005-06-23 Mitsutoyo Corp レンズ保持構造、対物レンズ、光学顕微鏡および組立方法
KR101671340B1 (ko) * 2016-03-15 2016-11-01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용 렌즈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118B1 (ko) * 1993-05-27 1999-11-01 미따라이 하지메 렌즈배럴
KR100397441B1 (ko) 1996-10-14 2003-11-17 펜탁스 프레시젼 가부시키 가이샤 시시티브이카메라용렌즈의마운트시프트장치
JP2005164811A (ja) * 2003-12-01 2005-06-23 Mitsutoyo Corp レンズ保持構造、対物レンズ、光学顕微鏡および組立方法
KR101671340B1 (ko) * 2016-03-15 2016-11-01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용 렌즈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416B1 (ko) * 2020-11-26 2021-07-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 렌즈계, 광학장비 및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881B1 (ko)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22473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小型撮像モジュール
US20060216014A1 (en) Optical module
US20060007564A1 (en) Lens holder for lens device and process of assembring lens device equipped with the lens holder
US20060087751A1 (en) Optical lens system and its assembly process
US20180024307A1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389923B2 (en) Camera module
TW201804193A (zh) 光學單元
US20020118468A1 (en) Lens barrel for use in zoom lens apparatus
KR20200113789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WI395985B (zh) 鏡頭模組及其組裝方法
JP2010066292A (ja)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光学機器、レンズユニットの組立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組立方法
CN114660872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TW201930999A (zh) 鏡頭裝置(二)
JP2010113081A (ja) レンズ鏡筒、撮像装置、及び軸案内機構の製造方法
JP2019132942A (ja) 投写レンズ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US9134589B2 (en) Lens barrel
JP5825230B2 (ja) レンズ鏡筒
JP6929128B2 (ja) レンズ鏡筒の製造方法
JP2021081606A (ja) レンズ調芯機構、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調芯方法
JP4329430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組立方法
WO2011027761A1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
US6930719B2 (en) Lens unit structure for SLR digital camera
CN114666465B (zh) 可变光圈装置及摄像模组、电子设备
JP7481899B2 (ja) レンズの調心構造
KR20100101376A (ko) 렌즈 배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