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127A -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127A
KR20200113127A KR1020190033064A KR20190033064A KR20200113127A KR 20200113127 A KR20200113127 A KR 20200113127A KR 1020190033064 A KR1020190033064 A KR 1020190033064A KR 20190033064 A KR20190033064 A KR 20190033064A KR 20200113127 A KR20200113127 A KR 20200113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or
screen
processing system
transpar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525B1 (ko
Inventor
백승민
백정민
이기영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Priority to KR102019003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5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밝기와 상관 없이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스크린과, 투명스크린의 전방에 위치되는 영상스크린과, 영상스크린으로 제 2 영상을 투영시키는 프로젝터와, 투명스크린으로 제 1 영상에 상응하는 제 1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고, 프로젝터로 제 2 영상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영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projector)는 영사장치의 일종으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신호를 렌즈를 통하여 대형 스크린에 투사함으로써 다수가 볼 수 있는 대형영상을 만들어 내는 장비를 말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제품의 소형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관공서, 학교, 학원, 기업 등의 프레젠테이션, 전시장과 영업점 홍보 영상, 가수의 콘서트 등에서 급속히 확산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프로젝터는 렌즈를 통해 강한 빛을 방사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한 스크린에 상이 맺히도록 하기 때문에 빛을 내는 램프에서의 전력 소모가 상당히 크다. 또한, 프로젝트는 주변 밝기에 따라, 스크린 상에서 보여지는 영상이 선명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프로젝터는 영상을 빛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홀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빛의 세기 및 주변 밝기가 중요하다. 따라서, 프로젝터는 어두운 곳에서는 뛰어난 기능을 보이지만 밝은 곳에서는 기능의 저하로 시각적 효과가 급격히 떨어진다.
이에 따라, 주간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프로젝터 대신 쓰이기도 하나, OLED는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아직 대중화되지 않아, 각종 전시회, 콘서트 등에서는 여전히 프로젝터가 널리 쓰이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7445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924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밝기와 상관 없이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투시할 수 있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스크린;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스크린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투명스크린의 전방에 위치되는 영상스크린; 상기 영상스크린으로 제 2 영상을 투영시키는 프로젝터; 및 상기 투명스크린으로 제 1 영상에 상응하는 제 1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프로젝터로 제 2 영상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영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과, 상기 영상스크린에 투영되는 제 2 영상은 상호 대향된 상태로 상호 동시에 보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영상은 상호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상은 불투명한 검정색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은 단일 색 표시가 가능한 모도 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상서버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상에 상응하는 제 1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1 영상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 2 영상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2 영상출력부; 및 상기 제 1 영상출력부가 생성한 제 1 영상 데이터를 상기 투명스크린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영상출력부가 생성한 제 2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의 후방에 배경이미지가 구비되는 배경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명스크린의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은 제 1 영상에 의하여 불투명하게 구현되고, 상기 투명스크린의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부분은 투명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불투명한 제 1 영상이 투명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프로젝터가 투영하는 제 2 영상이 영상스크린에 표현되므로, 관객의 입장에서, 제 2 영상의 후방은 제 1 영상에 의하여 어둡게 표현되어, 관객은 주변 조도와 상관 없이 제 2 영상을 더욱 잘 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스크린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모도 LCD로 구성되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조도에 따라, 프로젝터가 강한 빛을 방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로젝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스크린 및 영상스크린이 투명하게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배경스크린에 표시된 배경이미지 및 영상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은 배경스크린(100), 투명스크린(200), 영상스크린(300), 프로젝터(400) 및 영상서버(500)를 포함한다. 배경스크린(100), 투명스크린(200) 및 영상스크린(300)은 상호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배경스크린(100)의 전방에 투명스크린(200)이 이격 배치되고, 투명스크린(200)의 전방에 영상스크린(300)이 이격 배치된다.
배경스크린(10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시트 형상으로 얇게 형성되되 정면에 배경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수의 콘서트장에 배경스크린(100)이 설치되는 경우, 배경이미지는 가수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노래와 관련된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스크린(200)은 사용자, 예를 들면 콘서트장의 관객이 투시할 수 있는 투명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영상서버(500)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영상(I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영상(I1)은 불투명한 검정색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스크린(200)은 별도의 프로젝터(400)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그 자체로 영상이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단일 색 표시가 가능한 모도 LCD로 구성될 수 있다. 모도 LCD의 경우 컬러를 표현할 수 있는 일반 LCD 또는 OLED 보다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투명스크린(200)의 제 1 영상(I1)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은 제 1 영상(I1)에 의하여 불투명하게 구현되고, 상기 투명스크린(200)의 제 1 영상(I1)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부분은 투명하게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경우, 투명스크린(200)의 제 1 영상(I1)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부분을 통하여 배경스크린(100)의 배경이미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영상스크린(300)은 예를 들면 사각 형태의 패널로 형성되는 것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스크린(300) 만으로는 영상이나 이미지를 자체 디스플레이 할 수 없어, 별도의 프로젝터(400)를 필요로 한다.
프로젝터(400)는 투명스크린(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I1)의 전방에 제 2 영상(I2)이 중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빔 프로젝터(4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400)는 영상서버(500)로부터 제 2 영상(I2)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제 2 영상(I2)을 영상스크린(300)으로 투영시킨다. 그러면, 제 1 영상(I1)과 제 2 영상(I2)이 상호 대향된 상태로 상호 동시에 관객에게 보여진다. 이때, 제 1 영상(I1)은 마치 제 2 영상(I2)의 그림자와 같이, 불투명한 검정색으로 구현되므로, 관객은 주변 밝기와 상관없이 프로젝터(400)가 영상스크린(300)에 투영시키는 제 2 영상(I2)을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서버(500)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영상서버(500)는 저장부(501), 제 1 영상출력부(502), 제 2 영상출력부(503), 오디오출력부(504) 및 제어부(505)를 포함한다.
저장부(501)는 미리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영상 데이터는 제 2 영상(I2) 즉, 컬러 영상에 상응하는 데이터로 인코딩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제 1 영상출력부(502)는 저장부(50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상(I1)에 상응하는 제 1 영상 데이터로 디코딩하여 투명스크린(200)으로 전달한다. 제 2 영상출력부(503)는 저장부(50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 2 영상(I2)에 상응하는 제 2 영상(I2) 데이터로 디코딩하여 투명스크린(200)으로 전달한다. 즉, 저장부(501)에 저장된 하나의 영상이 제 1 영상출력부(502)를 통하여 흑백의 제 1 영상 데이터로로 디코딩되고, 제 2 영상출력부(503)를 통하여 컬러의 제 2 영상 데이터로 디코딩되는 것이다. 오디오출력부(504)는 저장부(501)에 저장된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의 스피커(미도시)로 전달한다.
제어부(505)는 제 1 영상출력부(502)가 생성한 제 1 영상 데이터를 투명스크린(200)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제 1 영상(I1)이 투명스크린(2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제 2 영상출력부(503)가 생성한 제 2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4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제 2 영상(I2)이 프로젝터(400)를 통하여 영상스크린(300)에 투영되도록 한다. 그러면 영상스크린(300)의 전방에 위치한 관객의 입장에서, 제 2 영상(I2)의 후방은 제 1 영상(I1)에 의하여 어둡게 표현되므로, 관객은 주변 조도와 상관 없이 제 2 영상(I2)을 더욱 잘 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조도에 따라, 프로젝터(400)가 강한 빛을 방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프로젝터(40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배경스크린 200: 투명스크린
300: 영상스크린 400: 프로젝터
500: 영상서버 501: 저장부
502: 제 1 영상출력부 503: 제 2 영상출력부
504: 오디오출력부 505: 제어부

Claims (7)

  1. 사용자가 투시할 수 있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스크린;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스크린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투명스크린의 전방에 위치되는 영상스크린;
    상기 영상스크린으로 제 2 영상을 투영시키는 프로젝터; 및
    상기 투명스크린으로 제 1 영상에 상응하는 제 1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프로젝터로 제 2 영상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영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과, 상기 영상스크린에 투영되는 제 2 영상은 상호 대향된 상태로 상호 동시에 보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영상은 상호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은 불투명한 검정색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스크린은 단일 색 표시가 가능한 모도 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서버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상에 상응하는 제 1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1 영상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 2 영상에 상응하는 제 2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제 2 영상출력부; 및
    상기 제 1 영상출력부가 생성한 제 1 영상 데이터를 상기 투명스크린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영상출력부가 생성한 제 2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스크린의 후방에 배경이미지가 구비되는 배경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스크린의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은 제 1 영상에 의하여 불투명하게 구현되고, 상기 투명스크린의 제 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부분은 투명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KR1020190033064A 2019-03-22 2019-03-22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KR102230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64A KR102230525B1 (ko) 2019-03-22 2019-03-22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64A KR102230525B1 (ko) 2019-03-22 2019-03-22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127A true KR20200113127A (ko) 2020-10-06
KR102230525B1 KR102230525B1 (ko) 2021-03-23

Family

ID=7282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64A KR102230525B1 (ko) 2019-03-22 2019-03-22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5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445A (ko) 2009-02-26 2010-09-03 유니스트림 주식회사 프로젝터 램프 밝기 조절장치
KR20120029246A (ko) 2010-09-16 2012-03-26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프로젝터의 램프 밝기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JP6281857B2 (ja) * 2012-01-13 2018-02-21 株式会社ドワンゴ 映像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KR20190012136A (ko) * 2016-06-21 2019-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유 투명도를 가지는 풀 컬러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445A (ko) 2009-02-26 2010-09-03 유니스트림 주식회사 프로젝터 램프 밝기 조절장치
KR20120029246A (ko) 2010-09-16 2012-03-26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프로젝터의 램프 밝기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JP6281857B2 (ja) * 2012-01-13 2018-02-21 株式会社ドワンゴ 映像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KR20190012136A (ko) * 2016-06-21 2019-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유 투명도를 가지는 풀 컬러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525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529B2 (en) Output light monitoring for benchmarking and enhanced control of a display system
US9013515B2 (en) Emissive display blended with diffuse reflection
JP5996602B2 (ja) 投影システム及びその投影方法
US20070164975A1 (en) Display device
KR20090069339A (ko) 두루마리형 또는 감김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용 전면 발광
WO2017073095A1 (ja) 映像投影装置、舞台装置および映像投影方法
CN101331422B (zh) 具有可变漫射体的显示系统
JP2011249976A (ja) 表示装置
JP2011095309A (ja) 映像表示システム、照明装置
KR102230525B1 (ko)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US20160203744A1 (en) Low profile simulated 3d display device
US20090279053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jecting Images and Method therefor
JPWO2022004866A5 (ko)
EP2084697B1 (en)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a screen
KR20030038607A (ko) 빔프로젝터와 리어스크린을 이용한 옥외광고방법
KR20050072740A (ko)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JP2008040111A (ja) 画像照明装置及び画像照明プログラム
JP2018105902A (ja) 両面投影システム、及び両面投影方法
KR100972237B1 (ko) 스크린을 이용한 광고장치
CN2917127Y (zh) 视频内容增效装置
KR200205083Y1 (ko) 다기능 프로젝터
CN111028710A (zh) 无边框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11698490A (zh) 一种投影方法及投影系统
KR200273341Y1 (ko) 동영상겸용 유리광고장치
JP2009053233A (ja) Led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