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096A -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096A
KR20200113096A KR1020190032572A KR20190032572A KR20200113096A KR 20200113096 A KR20200113096 A KR 20200113096A KR 1020190032572 A KR1020190032572 A KR 1020190032572A KR 20190032572 A KR20190032572 A KR 20190032572A KR 20200113096 A KR20200113096 A KR 20200113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display unit
unit
screen display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익
박상효
김태훈
이건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9003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096A/ko
Publication of KR2020011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02F2001/133331

Abstract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지그; 디스플레이부에서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의 틈새를 벌려주는 국부 분리부; 및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분리 니들부와, 화면표시부와 광학접착층을 분리하도록 국부 분리부와 분리 니들부 사이로 분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글라스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DISPLAY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표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는 화면표시부와 커버 글라스를 포함한다. 화면표시부의 외측면에는 광학점착층에 의해 커버 글라스가 부착된다. 화면표시부는 박막트랜지스터, 광 다이오드층 및 편광층 이나 액정, 컬러 필터 및 편광층 등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화면표시부에서 셀 불량이나 화소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화면표시부와 커버 글라스를 분리하여 화면표시부와 커버 글라스를 재활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면표시부와 커버 글라스를 고온으로 가열한 후 화면표시부에서 커버 글라스를 분리하는 경우, 광학점착층이 분리되지 않고 화면표시부 내부의 어느 한 접착층이 분리됨에 따라 화면표시부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저온 상태에서는 화면표시부 내부의 접착층의 강도가 커버 글라스의 광학점착층의 강도보다 상대적으로 약하다. 따라서, 화면표시부를 저온 상태에서 분리하는 경우, 분리 플레이트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화면표시부 내부의 어느 한 접착층이 분리됨에 따라 화면표시부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4149호(2010. 10. 28 공개, 발명의 명칭: 터치감지유닛의 재생을 위한 터치감지유닛 분리 및 세정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표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지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의 틈새를 벌려주는 국부 분리부; 및 상기 광학접착층과 상기 화면표시부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분리 니들부와, 상기 화면표시부와 상기 광학접착층을 분리하도록 상기 국부 분리부와 상기 분리 니들부 사이로 분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글라스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 니들부는 그 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니들부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평행하게 분리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물질은 에어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분리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슬라이더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분리 니들부가 지지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리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상기 화면표시부에서 분리된 상기 커버 글라스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글라스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노즐이 국부 분리부와 분리 니들부 사이로 분리물질을 분사하므로, 분리물질이 국부 분리부와 분리 니들부에 의해 가로막혀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 사이의 틈새로 집중적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거의 모든 분리물질이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를 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므로,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의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서 커버 글라스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리물질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니들부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분리 니들부와 국부 분리부가 분사노즐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분리물질이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 사이의 틈새에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노즐이 디스플레이부에 평행하게 분리물질을 분사하므로, 광학접착층의 일단부가 분사물질의 분사압력에 의해 화면표시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글라스 분리부에서 분리 니들부와 분사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글라스 분리부에서 분리 니들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분리 니들부가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분사 니들부와 국부 분리부 사이로 분사물질이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글라스 분리부에서 분리 니들부와 분사노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글라스 분리부에서 분리 니들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냉각지그(110), 국부 분리부(120) 및 글라스 분리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면표시부(11) 및 커버 글라스(15)를 포함한다. 화면표시부(11)와 커버 글라스(15)는 광학접착층(13)에 의해 부착된다. 광학접착층(13)은 화면표시부(11)와 커버 글라스(15)의 둘레부를 부착한다. 광학접착층(13)은 직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화면표시부(11)로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화면표시부(11)로는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냉각지그(110)는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킨다.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챔버(미도시)에서 인출되었을 때에 냉각지그(110)가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키므로, 디스플레이부(10)가 -45℃에 도달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면표시부(11)와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될 때에 광학접착층(13)이 점착성을 가질 수 있는 온도로 상승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화면표시부(11)에서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키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지그(110)가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키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가 인출된 후 대략 8초 정도 경과되면 광학접착층(13)의 온도가 -45℃ 정도로 상승되어 광학접착층(13)(13)이 점착성을 갖게 된다.
이에 비해, 냉각지그(110)가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가 인출된 후 대략 60초 정도 경과되면 광학접착층(13)의 온도가 -45℃ 정도로 상승되어 광학접착층(13)이 점착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화면표시부(11)에서 커버 글라스(15)를 분리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국부 분리부(120)는 디스플레이부(10)에서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의 틈새를 벌려준다. 국부 분리부(120)의 폭은 디스플레이부(10)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국부 분리부(120)는 얇은 필름이나 판 형태로 형성된다. 국부 분리부(120)가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 사이의 틈새를 벌려주므로, 분사노즐(138)에서 분사되는 분리물질이 벌려진 틈새로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물질의 분사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글라스 분리부(130)는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분리 니들부(137)와, 화면표시부(11)와 광학접착층(13)을 분리하도록 국부 분리부(120)와 분리 니들부(137) 사이로 분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38)을 구비한다. 분사노즐(138)이 국부 분리부(120)와 분리 니들부(137) 사이로 분리물질을 분사하므로, 분리물질이 국부 분리부(120)와 분리 니들부(137)에 의해 상하측이 차폐된다. 따라서, 분리물질이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 사이의 틈새로 집중적으로 분사된다. 또한, 거의 모든 분리물질이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를 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므로,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의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에서 커버 글라스(15)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리물질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물질이 커버 글라스(15)의 단부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 니들부(137)는 그 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분리 니들부(137)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분리 니들부(137)와 국부 분리부(120)가 분사노즐(138)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분사노즐(138)에서 분사되는 분리물질이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 사이의 틈새에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분리 니들부(137)의 폭(W2)은 디스플레이부(10)의 폭(W1)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 니들부(137)가 디스플레이부(10)의 폭 전체를 커버하고, 디스플레이부(10)의 폭방향 양측에도 분리물질이 거의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의 폭방향 양측에서 분리물질이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분리 니들부(137)의 단부는 폭방향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분리 니들부(137)의 단부가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 사이의 틈새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분사노즐(138)은 디스플레이부(10)에 평행하게 분리물질을 분사한다. 분사노즐(138)은 디스플레이부(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화면표시부(11)는 냉각지그(110)의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광학접착층(13)의 일단부는 국부 분리부(120)에 의해 벌어짐에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분사노즐(138)이 분리물질을 평행하게 분사함에 따라 광학접착층(13)의 일단부가 분사물질의 분사압력에 의해 화면표시부(11)에서 보다 용이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분사물질이 분리 니들부(137)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분사압력을 가하므로, 분사물질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리물질은 에어일 수 있다. 따라서, 화면표시부(11)에서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된 후에 분사물질이 화면표시부(11)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글라스 분리부(130)는 바디부(131), 슬라이더부(132), 회전부재(133) 및 분리헤드부(135)를 포함한다.
바디부(131)는 실린더부(136)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136)는 바디부(131)의 하측에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132)는 바디부(1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바디부(131)에는 레일부(131a)가 형성되고, 슬라이더부(132)는 레일부(131a)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더부(132)에는 레일부(13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부(132a)가 형성된다. 슬라이더부(132)는 리니어모터와 같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의 분리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된다. 따라서, 분사노즐(138)에서 분사물질이 분사될 때에 분리 니들부(137)가 슬라이더부(132)에 의해 이동되면서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를 분리시킨다.
회전부재(133)는 슬라이더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133)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분리헤드부(135)는 회전부재(133)에 연결되고, 분리 니들부(137)가 지지되고, 분사노즐(138)이 형성된다. 분리 니들부(137)는 분리헤드부(135)에서 돌출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133)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분리헤드부(135)의 각도가 변경된다. 따라서, 분리 니들부(137)의 각도와 분사노즐(138)의 분사 각도가 회전부재(13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화면표시부(11)에서 분리된 커버 글라스(15)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글라스 이동부(140)를 더 포함한다. 글라스 이동부(140)에는 커버 글라스(15)를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포트(143)가 설치된다. 글라스 이동부(140)는 커버 글라스(15)를 흡착한 후 냉각지그(110)의 외측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분리 니들부가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분사 니들부와 국부 분리부 사이로 분사물질이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냉각지그(110)가 냉각챔버에서 냉각된 후 글라스 분리부(130)의 분리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냉각지그(110)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부(10)가 탑재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10) 역시 냉각된 상태이다.
화면표시부(11)와 광학접착층(13) 사이로 국부 분리부(120)가 삽입된다. 광학접착층(13)의 일단부는 국부 분리부(120)에 의해 국부적으로 분리되어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슬라이더부(132)가 냉각지그(11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분리 니들부(137)의 단부가 화면표시부(11)와 광학접착층(13)의 사이의 틈새로 삽입된다. 이때, 분리 니들부(137)는 국부 분리부(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분사노즐(138)은 분리 니들부(137)와 국부 분리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분사노즐(138)에서 분사물질이 분사되면, 분사물질은 분리 니들부(137)와 국부 분리부(120) 사이로 분사된다. 이때, 분리 니들부(137)는 화면표시부(11)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분사노즐(138)에서는 분사물질이 화면표시부(11)에 평행하게 분사된다. 분사노즐(138)이 국부 분리부(120)와 분리 니들부(137) 사이로 분리물질을 분사하므로, 분리물질이 국부 분리부(120)와 분리 니들부(137)에 의해 상하측이 차폐된다. 따라서, 분리물질이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 사이의 틈새로 집중적으로 분사된다. 또한, 거의 모든 분리물질이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를 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므로,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부(11)의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니들부(137)의 폭이 디스플레이부(10)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부(10)의 폭방향 양측에도 분리물질이 거의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의 폭방향 양측에서 분리물질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부 11: 화면표시부
13: 광학접착층 15: 커버 글라스
110: 냉각지그 120: 국부 분리부
130: 글라스 분리부 131: 바디부
131a: 레일부 132: 슬라이더부
132a: 가이드부 133: 회전부재
134: 회전축부 135: 분리헤드부
140: 글라스 이동부 143: 흡착포트

Claims (8)

  1. 디스플레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지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광학접착층과 화면표시부의 틈새를 벌려주는 국부 분리부; 및
    상기 광학접착층과 상기 화면표시부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분리 니들부와, 상기 화면표시부와 상기 광학접착층을 분리하도록 상기 국부 분리부와 상기 분리 니들부 사이로 분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글라스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니들부는 그 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니들부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평행하게 분리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물질은 에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분리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슬라이더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분리 니들부가 지지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리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부에서 분리된 상기 커버 글라스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글라스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KR1020190032572A 2019-03-21 2019-03-21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KR20200113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72A KR20200113096A (ko) 2019-03-21 2019-03-21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72A KR20200113096A (ko) 2019-03-21 2019-03-21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096A true KR20200113096A (ko) 2020-10-06

Family

ID=7282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72A KR20200113096A (ko) 2019-03-21 2019-03-21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0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8389A1 (en) Mask for deposi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with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having mask for deposition
US2011026670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JP2002090760A (ja) 液晶表示パネル製造装置及び方法
US9261729B2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70821A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W201409676A (zh) 軟性顯示器與其製法
US2006020923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583316B1 (ko) 평판표시소자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30132411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3096A (ko)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KR10166680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필름 부착장치
KR101365073B1 (ko) 판넬 박리 장치
US202202192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2006208545A (ja) 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2307732B1 (ko)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KR102382356B1 (ko) 디스플레이부의 전처리방법 및 디스플레이부용 전처리장치
CN112497930A (zh) 喷墨打印装置及其操作方法
CN112185832A (zh) 用于制造显示装置的设备和方法
KR102333110B1 (ko) 디스플레이부 분리방법 및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JP2005099303A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
KR20070051416A (ko) 표시 패널의 실링 장치 및 방법
JP2013033788A (ja) コレット、ピックアップ装置、チップのピ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200113095A (ko) 디스플레이부용 전처리장치
KR101864235B1 (ko) 오엘이디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엘이디 보강씰 도포 장치
KR20220036451A (ko) 디스플레이부용 전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