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979A - Linkage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 and self-driving car - Google Patents

Linkage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 and self-driving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979A
KR20200112979A KR1020207025290A KR20207025290A KR20200112979A KR 20200112979 A KR20200112979 A KR 20200112979A KR 1020207025290 A KR1020207025290 A KR 1020207025290A KR 20207025290 A KR20207025290 A KR 20207025290A KR 20200112979 A KR20200112979 A KR 2020011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elevator
information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543B1 (en
Inventor
쇼고 타구치
히데유키 타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5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4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 B66B17/16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mining-hoist cars or cages
    • B66B17/20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mining-hoist cars or cages by moving vehicles into, or out of, the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10)와 자립주행차(40)의 연계 운행 시스템(100)으로서, 엘리베이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릴레이와, 엘리베이터(10)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릴레이를 포함하는 제어반(21)과, 동작 릴레이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와, 정보 출력 릴레이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와, 정보 취득 릴레이와 지령 입력 릴레이에 접속되고, 제어반(21)으로부터 운행 정보를 추출하는 동시에, 제어반(21)에 동작 지령을 입력해서 엘리베이터(10)를 동작시키는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포함하되, 인터페이스 장치(30)와 자립주행차(40) 사이에 운행 정보와 동작 요구를 송수신하고,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자립주행차(40)로부터 수신한 동작 요구에 따라서, 엘리베이터(10)를 동작시킨다.A control panel comprising an operation rela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 and an information output relay for out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as a linked operation system 100 between the elevator 10 and the self-standing vehicle 40 (21) and a command input relay connected to the operation relay,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utput relay, and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and a command input rela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21 while extracting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panel Including an interface device 30 for operating the elevator 10 by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in (21),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request between the interface device 30 and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and the interface device In response to an oper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self-standing vehicle 40, 30 operates the elevator 10.

Description

엘리베이터와 자립주행차의 연계 운행 시스템Linkage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 and self-driving car

본 발명은, 릴레이(relay) 제어 방식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 자립주행차의 층간 이동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와 자립주행차의 연계 운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that can move between floors of a self-supporting vehicle by using an elevator of a relay control method and a linked operation system between an elevator and a self-supporting vehicle.

최근,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무인반송차나 자립주행차를 층간 이동시키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In recent years, a system for moving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or an independent vehicle between floors by an elevator has been proposed.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PLC를 접속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무인반송차에 송신해서 무인반송차를 엘리베이터에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승강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n elevator lift system that connects a PLC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to obtain elevator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obtained elevator operation information to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and raises and lowers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into the elevator. Is proposed.

또, 특허문헌 2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중계 장치를 접속하고, 중계 장치를 개재해서 자립주행차가 승강장 호출 신호 혹은 행선지 지정 신호를 제어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카를 소망의 층에 이동시키는 자립주행차의 이동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 relay device is connected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self-standing vehicle transmits a platform call signal or a destination designati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via the relay device, thereby moving the elevator car to a desired floor. A moving system for a traveling vehicle has been proposed.

JPJP 2015-2107612015-210761 AA JPJP 2010-239592010-23959 AA

그런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PLC 혹은 중계 장치를 접속하는 단자를 설치하고, 이 단자를 개재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거나 엘리베이터에 소망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동작 지령을 입력하거나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와 자립주행차의 연계 운행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운행용의 통상 제어 프로그램 이외에 자립주행차와의 연계 운행 전용의 제어 프로그램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By the way, in 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 terminal connecting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PLC or a relay device is provided, and through this terminal, the elevator operation information is output or the elevator executes a desired operation. By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r the like, the elevator and the self-driving vehicle are operated in conjunction. 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the normal control program for elevator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ontrol program exclusively for cooperative operation with a self-driving vehicle.

한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것 외에, 릴레이나 스위치 등에 의해서 제어 회로를 구성한 릴레이 제어 방식의 제어반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릴레이 제어 방식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자립주행차의 층간 이동을 행하는 것이 곤란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using a computer as a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a control panel of a relay control method in which a control circuit is formed by a relay or a switch is also widely used. In the relay control method, sinc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elevator cannot be changed by changing the control program,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floor movement of the self-standing vehicle i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그래서, 본 발명은, 릴레이 제어 방식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간편한 방법으로 자립주행차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self-standing vehicle to move between floors in a simple manner in an elevator of a relay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연계 운행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와 자립주행차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서,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릴레이와,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릴레이를 포함하는 제어반과, 상기 동작 릴레이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와, 상기 정보 출력 릴레이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와, 상기 정보 취득 릴레이와 상기 지령 입력 릴레이에 접속되어, 상기 정보 취득 릴레이의 개폐에 의거해서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운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령 입력 릴레이를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 지령을 입력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운행 정보를 상기 자립주행차에 송신하고, 상기 자립주행차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운행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동작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수신한 상기 동작 요구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ked operation system between an elevator and a self-driving vehicle, and an operation relay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on/off operation, and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by on/off operation. A control panel including an information output relay, a command input relay connected to the operation relay,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utput relay,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and the command input relay, An interface device for operating the elevator by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elevator to the control panel by extrac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from the control panel based on opening and clos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ommand input relay, wherein the interface device comprises: ,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to the self-standing vehicle, the self-standing vehicle transmits an operation request to the interface devic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face device, and the interface device recei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ques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is operated.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어반의 정보 출력 릴레이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의 개폐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추출하고, 동작 릴레이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를 개폐시킴으로써 제어반에 엘리베이터의 동작 지령을 입력해서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므로, 제어반의 제어 로직을 변경하는 일 없이 간편하게 엘리베이터에 의한 자립주행차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terface device extracts elevator operation informa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utput relay of the control panel, an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mmand input relay connected to the operation relay, the elevator operation command is input to the control panel. By operating,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independent vehicle between floors by an elevator without changing the control logic of the control panel.

본 발명의 연계 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상태 정보, 카 위치 정보, 도어 완전 개방 정보이고, 상기 자립주행차가 송신하는 상기 동작 요구는, 카 호출 요구, 도어 개방 요구이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동작 요구에 따라서 카의 승강 동작과 도어의 개방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연계 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에 배치된 상기 정보 출력 릴레이는, 서비스 가능 릴레이와, 카 위치 릴레이와,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에 배치된 상기 동작 릴레이는, 카 호출 릴레이와, 도어 개방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서비스 가능 릴레이와, 상기 카 위치 릴레이와, 상기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에 접속된 상기 정보 취득 릴레이의 개폐에 의거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상태 정보와, 카 위치 정보와,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카 호출 릴레이와, 상기 도어 개방 릴레이에 접속된 상기 지령 입력 릴레이를 개폐시켜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카의 승강 동작과 도어의 개방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In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nterface device is service state information, car position information, and door complete opening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nd the operation request transmitted by the self-standing vehicle is a car call It is a request and a door opening request, and the interface device may perform a car lifting operation and a door open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request. Further, in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utput relay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serviceable relay, a car position relay, and a door fully open relay, and the operation relay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A car call relay and a door open relay, and the interface device includes opening/closing of the service enable relay, the car position relay,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connected to the door fully open relay. Service status information, car location information, and door complete opening information are extracted, and the car call relay and the command input relay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relay are opened and closed to move the car up and down and open the door to the elevator. You may make it run.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와 자립주행차 사이의 송수신 항목을 한정함으로써, 시스템을 간편화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ystem can be simplified by limiting the item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nterface device and the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릴레이 제어 방식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간편한 방법으로 자립주행차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vator of a relay control system, it is possible to move an independent vehicle between floors in a simple manner.

도 1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의 제어반 속에 배치된 릴레이와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반에 설치된 카 위치 릴레이와 정보 취득 릴레이와 카에 설치된 표시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반에 설치된 카 위치 릴레이와 정보 취득 릴레이와 카에 설치된 표시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반에 설치된 카 호출 릴레이와 지령 입력 릴레이의 카에 설치된 입력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반에 설치된 카 호출 릴레이와 지령 입력 릴레이와의 카에 설치된 입력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시퀸스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시퀸스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 자립주행차가 승강장층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 카가 승강장층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 자립주행차가 카에 승차하는 상태를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 자립주행차가 카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 카가 목적층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 자립주행차가 카로부터 퇴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입면도이다.
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ked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and an interface device arranged in a control panel of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3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ar position relay and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installed on a control panel constituting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car.
Fig. 4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ar position relay and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installed on a control panel constituting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car.
Fig. 5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input device installed in a car of a car call relay and a command input relay installed in a control panel constituting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6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input device installed in a car between a car call relay and a command input relay provided in a control panel constituting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7 is an operation sequ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nked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n operation sequ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nked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lf-driving vehicle has arrived at the platform level with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10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 has arrived at the platform level with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11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lf-supporting vehicle rides on a car with the linked driving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12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of a car is closed in a self-supporting vehicle in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13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 has arrived at a destination floor in the linked operation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14 is an elev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lf-driving vehicle is removed from the car in the linked driving system of the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계 운행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10)와, 자립주행차(40)와, 인터페이스 장치(30)로 구성된다.Hereinafter, the linked operation system 100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shown in FIG. 1, the linked operation system 100 is composed of an elevator 10, a self-supporting vehicle 40, and an interface device 30.

엘리베이터(10)는 승강로(11) 속에 배치된 카(12)와, 카(12)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22)와, 구동장치(22)에 감겨 늘어진 평형추(23)와 카(12)를 접속하는 와이어(24)와, 구동장치(22)와 카(12)의 도어(1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반(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반(21)은 릴레이와 스위치 등을 조합시켜서 구성된 릴레이 제어 방식의 제어장치이다.The elevator 10 includes a car 12 disposed in the hoistway 11, a driving device 22 for lifting the car 12, and a counterweight 23 and a car 12 wound around the driving device 22. And a control panel 21 that controls the opening/closing of the door 13 of the drive device 22 and the car 12 with a wire 24 that connects. The control panel 21 is a relay control type control device configured by combining a relay and a switch.

카(12)에는 표시장치(18)와, 입력장치(14)와, 완전 개방 검출 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장치(18)는 엘리베이터(10)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입력장치(14)는 엘리베이터(10)의 제어반(21)에 동작 지령을 입력하는 장치이다. 완전 개방 검출 스위치(20)는 도어(13)의 완전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이다.The car 12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18, an input device 14, and a fully open detection switch 20. The display device 18 is a device that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10. The input device 14 is a device that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21 of the elevator 10. The fully open detection switch 20 is a switch that outputs a complete open signal of the door 13.

표시장치(18)에는, 엘리베이터(10)의 서비스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 상태표시기(17)와 카(12)가 위치하고 있는 층을 표시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19)가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상태표시기(17)는, 예를 들어, 지진 발생 시, 화재 발생 시 등의 경우에, 엘리베이터(10)의 운행을 일부 제한하는 관제 운행을 행하고 있을 경우에 점등하고, 엘리베이터(10)가 통상 운행을 행하고 있고, 자립주행차(40)와의 연계 운행이 가능할 경우에는 소등하는 점등기이다. 인디케이터(19)는, 카(12)가 그 층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점등하고, 카(12)가 그 층에 없을 경우에는 소등한다.The display device 18 is provided with a service status indicator 17 that displays servic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and a plurality of indicators 19 that display the floor on which the car 12 is located. The service status indicator 17 lights up,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arthquake, a fire, etc., when a control operation that partially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 is being performed, and the elevator 10 is normally It is a lighter that turns off when it is running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The indicator 19 lights up when the car 12 is located on the floor, and turns off when the car 12 is not on the floor.

입력장치(14)에는, 정지층의 번호가 들어간 누름 버튼인 복수의 층 버튼(16)과, 개방 마크가 들어간 누름 버튼인 도어 개방 버튼(15)이 설치되어 있다. 층 버튼(16)은 제어반(21)에 접속되어 있고, 층 버튼(16)을 누르면 그 층이 목적층으로서 제어반(21)에 등록된다. 또한, 도어 개방 버튼(15)도 제어반(21)에 접속되어 있고, 도어 개방 버튼(15)을 누르면, 제어반(21)은 도어(13)의 개폐 장치를 동작시켜서 도어(13)를 개방으로 한다.The input device 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oor buttons 16 which are push buttons with a stop floor number and a door open button 15 which is a push button with an open mark. The floor button 1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21, and when the floor button 16 is pressed, the floor is registered in the control panel 21 as a destination floor.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button 15 is also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21, and when the door opening button 15 is pressed, the control panel 21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door 13 to open the door 13 .

자립주행차(40)는 카메라나 센서, GPS 등으로 얻어지는 화상이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행 경로를 인식해서 목적지까지 자립적으로 주행하는 로봇이다. 예를 들어, 화물을 소정의 장소까지 반송하는 반송로봇, 장애자나 환자를 소정의 장소까지 이송하는 탑승형 이동 지원 로봇, 소정의 공간을 청소하는 청소로봇, 소정의 경로를 순회하는 경비로봇,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나 조명기기, 공기조절기와 같은 빌딩 설비를 점검 진단하는 점검 진단 로봇 등이다. 자립주행차(40)는 인터페이스 장치(30)와의 사이에서 통신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장치가 탑재되어 있다.The self-standing vehicle 40 is a robot that independently travels to a destination by recognizing a travel route based on an image o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camera, sensor, or GPS. For example, a transport robot that transports cargo to a predetermined place, a boarding-type movement support robot that transports a disabled person or a patient to a predetermined place, a cleaning robot that cleans a predetermined space, a security robot that traverses a predetermined route, and an elevator. It is an inspection diagnostic robot that inspects and diagnoses building equipment such as escalators, lighting equipment, and air conditioners. The self-standing vehicle 4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face device 3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와, 자립주행차(40)에 탑재된 통신장치 사이에서 통신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나중에 설명하는 제어반(21)에 탑재된 정보 취득 릴레이(31), 지령 입력 릴레이(32)에 접속되어 있다.The interface device 30 includes a computer including a CPU and a memory therein,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communicating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The interface device 30 is connected to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and a command input relay 32 mounted on a control panel 21 to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반(21)은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릴레이(60)와,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10)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릴레이(5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반(2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 릴레이(60)로서, 카 호출 릴레이(61), 도어 개방 릴레이(62)를 포함하고 있다. 카 호출 릴레이(61)는, 복수의 층 버튼(16)에 대응해서 각 층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어떤 층의 층 버튼(16)이 눌리면 대응하는 카 호출 릴레이(61)가 온 상태로 되어, 그 층이 목적층으로서 등록된다. 또한, 도어 개방 릴레이(62)는, 도어 개방 버튼(15)이 눌리면 온 상태가 되고, 도어(13)의 개방 동작이 행해진다. 또, 제어반(21)에는, 예를 들어, 도어 폐쇄 릴레이 등 도시하지 않은 다른 동작 릴레이(60)도 탑재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panel 21 has an operation relay 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 by on/off operation, and the operation relay 60 for out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by on/off operation. It includes an information output relay (50).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panel 21 includes a car call relay 61 and a door opening relay 62 as the operation relay 60. The car call relay 61 is provided one for each floo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loor buttons 16, and when the floor button 16 of a certain floor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car call relay 61 is turned on, The floor is registered as the destination floor. Further, the door opening relay 62 is turned on when the door opening button 15 is pressed, and the door 13 is opened. Further, the control panel 21 is also equipped with another operation relay 60 not shown, such as a door closing relay.

또한, 제어반(21)은, 정보 출력 릴레이(50)로서, 서비스 가능 릴레이(51), 카 위치 릴레이(52),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가능 릴레이(51)는, 엘리베이터(10)가 통상 운행 가능한 상태에서, 자립주행차(40)와의 연계 운행이 가능한 경우에 온 상태가 되고, 예를 들어, 지진 발생 시, 화재 발생 시 등의 경우에, 엘리베이터(10)의 운행을 일부 제한하는 관제 운행을 행하고 있을 경우에 오프가 되는 릴레이이다. 또한, 카 위치 릴레이(52)는, 복수의 릴레이로 구성되고, 카(12)의 위치를 나타내는 층의 릴레이를 온 상태로 해서 카(12)가 위치하고 있는 층의 인디케이터(19)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는 카(12)에 설치되어 있는 완전 개방 검출 스위치(20)가 온 상태가 되면 온 상태가 되는 릴레이이다. 또, 제어반(21)에는 예를 들어, 도어 완전 폐쇄 릴레이 등 도시하지 않은 다른 정보 출력 릴레이(50)도 탑재되어 있다.Further, the control panel 21 includes, as the information output relay 50, a serviceable relay 51, a car position relay 52, and a door fully open relay 53. The serviceable relay 51 is turned on when the elevator 1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for example, when an earthquake occurs or a fire occurs. In this case, it is a relay that turns off when a control operation that partially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 is being performed. In addition, the car position relay 5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lays, and turns on the relay of the flo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ar 12 to light the indicator 19 of the floor where the car 12 is located. . Further, the door completely open relay 53 is a relay that is turned on when the fully open detection switch 20 provided in the car 12 is turned on. Further, the control panel 21 is also equipped with another information output relay 50 (not shown) such as a door complete closing relay.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반(21)에 포함되는 카 호출 릴레이(61), 도어 개방 릴레이(62)에는 각각 지령 입력 릴레이(32)가 접속되어 있다. 또, 서비스 가능 릴레이(51), 카 위치 릴레이(52),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에는, 각각 정보 취득 릴레이(31)가 접속되어 있다. 각 정보 취득 릴레이(31), 각 지령 입력 릴레이(32)는 인터페이스 장치(30)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command input relay 32 is connected to the car call relay 61 and the door opening relay 62 included in the control panel 21, respectively. In addition,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is connected to the serviceable relay 51, the car position relay 52, and the door fully open relay 53, respectively. Each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and each command input relay 32 are connected to the interface device 30.

다음에, 도 3, 도 4를 참조하면서 제어반(21)의 카 위치 릴레이(52)와 위치 릴레이(52)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31)와, 카(12)의 표시장치(18)에 부착된 인디케이터(19)의 구성의 상세와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car position relay 52 and the position relay 52 of the control panel 21 and the display device 18 of the car 12 The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ttached indicator 19 will be described.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위치 릴레이(52)는 케이싱(52e)에 격납되어 있다. 케이싱(52e)에는 전원(70)에 접속되는 2개의 전원단자(52a, 52b)와, 인디케이터(19)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52c, 52d)가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위치 릴레이(52)와 전원(70)과 인디케이터(19)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정보 취득 릴레이(31)는 인디케이터(19)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ar position relay 52 is stored in the casing 52e. The casing 52e is provided with two power supply terminals 52a and 52b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70 and output terminals 52c and 52d connected to the indicator 19. As shown in Fig. 3, the car position relay 52, the power supply 70, and the indicator 19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ndicator 19.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위치 릴레이(52)가 오프인 경우에는, 인디케이터(19)는 소등되어 있고, 정보 취득 릴레이(31)에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car position relay 52 is off, the indicator 19 is turned off, and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카(12)가 승강해서, 카 위치 릴레이(52)에 대응하는 층에 도달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위치 릴레이(52)가 온 상태로 되고, 인디케이터(19)에 전류가 흘러서 인디케이터(19)가 점등한다. 이때, 정보 취득 릴레이(31)에도 전류가 흐르므로, 정보 취득 릴레이(31)가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정보 취득 릴레이(31)는 온 신호를 인터페이스 장치(30)에 출력한다.When the car 12 rises and descends and reaches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car position relay 52, the car position relay 52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4, an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indicator 19, and the indicator ( 19) lights up. At this time, since a current also flows in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is turned on. The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outputs an ON signal to the interface device 30.

카(12)가 위치하고 있는 층의 카 위치 릴레이(52)는 온 상태가 되어서 그 층의 인디케이터(19)를 점등시키고, 다른 층의 카 위치 릴레이(52)는 오프 상태가 되어서 인디케이터(19)를 소등시키므로,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카 위치 릴레이(52)에 접속한 정보 취득 릴레이(31)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해, 카(12)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car position relay 52 of the floor on which the car 12 is located is turned on and the indicator 19 of the floor is turned on, and the car position relay 52 of the other floor is turned off and the indicator 19 is turned on. Since it is turned off, the interface device 30 can extrac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 12 by the ON signal from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car position relay 52.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서비스 가능 릴레이(51)에 접속한 정보 취득 릴레이(31)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10)가 통상 운행 상태인지 관제 운행 상태인지의 엘리베이터 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도어(13)가 완전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의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서비스 가능 릴레이(51), 카 위치 릴레이(52),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에 각각 부착된 정보 취득 릴레이(31)의 개폐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서비스 상태 정보와, 카 위치 정보와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device 30 extracts elevator state information of whether the elevator 10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or a controlled operating state from the on/off state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serviceable relay 51. I can. Similarly,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door fully open information on whether the door 13 is fully open from the on/off state of the door fully open relay 53. In this way, the interface device 30 opens and closes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attached to the serviceable relay 51, the car position relay 52, and the door fully open relay 53. Service status information, car location information, and door complete opening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다음에, 도 5, 도 6을 참조하면서 제어반(21)의 카 호출 릴레이(61)와 카 호출 릴레이(61)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32)와, 카(12)의 입력장치(14)에 부착된 층 버튼(16)의 구성의 상세와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car call relay 61 and the car call relay 61 of the control panel 21 and the input device 14 of the car 12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ayer button 16 attached to will be described.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호출 릴레이(61)는 케이싱(61e)에 격납되어 있다. 케이싱(61e)에는 전원(70)에 접속되는 2개의 전원단자(61a, 616b)와, 층 버튼(16)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61c, 61d)가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호출 릴레이(61)와 전원(70)과 층 버튼(16)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지령 입력 릴레이(32)는 층 버튼(16)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ar call relay 61 is stored in the casing 61e. Two power supply terminals 61a and 616b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70 and output terminals 61c and 61d connected to the layer button 16 are attached to the casing 61e. As shown in FIG. 5, the car call relay 61, the power supply 70, and the floor button 16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ommand input relay 32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loor button 16. As shown in FIG.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령 입력 릴레이(32)가 오프인 경우에는, 카 호출 릴레이(61)는 오프 상태가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command input relay 32 is turned off, the car call relay 61 is turned off.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30)로부터의 온 신호가 입력되면 지령 입력 릴레이(32)가 온 상태가 된다. 그렇게 하면, 층 버튼(16)이 눌린 것과 마찬가지의 상태가 되고, 카 호출 릴레이(61)가 온 상태로 되고, 카 호출 릴레이(61)가 대응하는 층이 제어반(21)에 등록된다. 그리고, 제어반(21)은 등록된 층을 향해서 카(12)를 승강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6, when an ON signal from the interface device 30 is input, the command input relay 32 is turned on. Then, the same state as the floor button 16 is pressed, the car call relay 61 is turned on, and the floor to which the car call relay 61 corresponds is registered in the control panel 21. Then, the control panel 21 moves the car 12 up and down toward the registered floor.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 장치(30)로부터의 온 신호가 도어 개방 릴레이(62)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32)에 입력되면 도어 개방 릴레이(62)가 온 상태로 되고, 제어반(21)은 도어(13)의 개폐 장치를 동작시켜서 도어(13)의 개방 동작을 실행한다.Similarly, when the ON signal from the interface device 30 is input to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relay 62, the door opening relay 62 is turned on, and the control panel 21 is ) By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13).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카 호출 릴레이(61)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그 층을 목적층으로 해서 제어반(21)에 등록할 수 있고, 도어 개방 릴레이(62)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제어반(21)에 도어(13)를 개방으로 하는 동작 지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카 호출 릴레이(61), 도어 개방 릴레이(62)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개폐시킴으로써 제어반(21)에 동작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In this way, by turning on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car call relay 61, the interface device 30 can register the floor as a target floor in the control panel 21, and the door opening relay By turning on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62, an operation command for opening the door 13 can be input to the control panel 21. In this way, the interface device 30 can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21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car call relay 61 and the door opening relay 62.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계 운행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7로부터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linked driving system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4.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제어반(21)의 서비스 가능 릴레이(51)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31)의 개폐로부터 엘리베이터(10)의 서비스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카 위치 릴레이(52)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31)의 개폐 상태로부터 카 위치 정보를 추출해서 자립주행차(40)에 송신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립주행차(40)는, 엘리베이터(10)가 통상 운행 상태인 경우, 승강장층(26)에 도착하면, 인터페이스 장치(30)에 동작 요구인 승강장층(26)의 카 호출 요구를 송신한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자립주행차(40)로부터의 카 호출 요구를 수신하면, 제어반(21)의 승강장층(26)에 대응하는 카 호출 릴레이(61)에 접속되어 있는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온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어반(21)의 승강장층(26)에 대응하는 카 호출 릴레이(61)가 온 상태가 되고, 승강장층(26)이 제어반(21)에 등록된다. 제어반(21)은 카(12)를 정지층(25)으로부터 승강장층(26)을 향해서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7, the interface device 30 extracts servic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serviceable relay 51 of the control panel 21, and a plurality of The car posi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open/closed state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car position relay 52 and transmitted to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As shown in FIG. 9, when the elevator 10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when the elevator 10 arrives at the platform level 26,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sends an operation request to the interface device 30 to the platform level 26 Send a car call request. When the interface device 30 receives a car call request from the self-standing vehicle 40,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car call relay 61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floor 26 of the control panel 21 ) Is turned on. Thereby, the car call relay 61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floor 26 of the control panel 21 is turned on, and the landing floor 26 is registered in the control panel 21. The control panel 21 moves the car 12 from the stationary floor 25 toward the landing floor 26.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12)가 승강장층(26)에 도착하면, 제어반(21)의 승강장층(26)에 대응하는 카 위치 릴레이(52)가 온 상태로 되고, 카(12)의 표시장치(18)의 승강장층(26)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9)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카 위치 릴레이(52)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취득 릴레이(31)가 온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카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자립주행차(40)에 송신한다. 자립주행차(40)는, 승강장층(26)에 대응하는 카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인터페이스 장치(30)에 동작 요구인 도어 개방 요구를 송신한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도어 개방 요구를 수신하면, 도어 개방 릴레이(62)에 접속되어 있는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온 동작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반(21)의 도어 개방 릴레이(62)가 온 상태가 되고, 제어반(21)은 도어 개폐 장치를 동작시켜서 도어(13)를 개방 동작시킨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car 12 arrives at the platform level 26, the car position relay 52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level 26 of the control panel 21 is turned on, and the car 12 The indicator 19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floor 26 of the display device 18 is turned on. The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car position relay 52 is turned on. Thereby, the interface device 30 extracts the car 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lf-standing vehicle 40. When the self-standing vehicle 40 receives the car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floor 26, it transmits a door opening request, which is an operation request, to the interface device 30. When the interface device 30 receives the door opening request, the interface device 30 outputs a signal for turning on and operating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relay 62. As a result, the door opening relay 62 of the control panel 21 is turned on, and the control panel 21 operate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open the door 13.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3)가 완전 개방되면, 카(12)에 설치되어 있는 완전 개방 검출 스위치(20)가 동작하고, 제어반(21)의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가 온 상태가 된다. 그렇게 하면,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취득 릴레이(31)가 온 상태로 되고, 인터페이스 장치(30)에는 도어 완전 개방 신호가 입력된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도어 완전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자립주행차(40)에 송신한다. 자립주행차(40)는,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수신하면 카(12) 속에 승차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door 13 is fully opened, the fully open detection switch 20 installed in the car 12 operates, and the door fully open relay 53 of the control panel 21 is turned on. Becomes. The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door complete open relay 53 is turned on, and a door complete open signal is input to the interface device 30. The interface device 30 transmits the door complete open information to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when a door complete open signal is input. The self-standing vehicle 40 rides in the car 12 upon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mplete door opening.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립주행차(40)는, 카(12)에 승차하면, 인터페이스 장치(30)에 동작 요구인 목적층(27)의 카 호출 요구를 송신한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카 호출 요구를 수신하면, 제어반(21)의 목적층(27)에 대응하는 카 호출 릴레이(61)에 접속되어 있는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온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목적층(27)에 대응하는 카 호출 릴레이(61)가 온 상태로 되고, 목적층(27)이 제어반(21)에 등록된다. 제어반(21)은, 도어(13)를 폐쇄 상태로 한 후, 카(12)를 승강장층(26)으로부터 목적층(27)을 향해서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self-standing vehicle 40 gets on the car 12, it transmits a car call request from the destination floor 27, which is an operation request, to the interface device 30. When the interface device 30 receives the car call request,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car call relay 61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27 of the control panel 21 is turned on and operated. Thereby, the car call relay 61 corresponding to the target floor 27 is turned on, and the target floor 27 is registered in the control panel 21. The control panel 21 moves the car 12 from the landing floor 26 toward the destination floor 27 after the door 13 is closed.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12)가 목적층(27)에 도착하면, 제어반(21)의 목적층(27)에 대응하는 카 위치 릴레이(52)가 온 상태로 되고, 카(12)의 표시장치(18)의 목적층(27)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9)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카 위치 릴레이(52)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취득 릴레이(31)가 온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카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자립주행차(40)에 송신한다. 자립주행차(40)는, 목적층(27)에 대응하는 카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인터페이스 장치(30)에 동작 요구인 도어 개방 요구를 송신한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도어 개방 요구를 수신하면, 도어 개방 릴레이(62)에 접속되어 있는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온 동작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반(21)의 도어 개방 릴레이(62)가 온 상태가 되고, 제어반(21)은, 도어 개폐 장치를 동작시켜서 도어(13)를 개방 동작시킨다.13, when the car 12 arrives at the destination floor 27, the car position relay 52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27 of the control panel 21 is turned on, and the car 12 The indicator 19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ayer 27 of the display device 18 of is turned on. The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car position relay 52 is turned on. Thereby, the interface device 30 extracts the car 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lf-standing vehicle 40. Upon receiving the car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27, the self-standing vehicle 40 transmits a door opening request, which is an operation request, to the interface device 30. When the interface device 30 receives the door opening request, the interface device 30 outputs a signal for turning on and operating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relay 62. As a result, the door opening relay 62 of the control panel 21 is turned on, and the control panel 21 operates 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to open the door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3)가 완전 개방되면, 카(12)에 설치되어 있는 완전 개방 검출 스위치(20)가 동작하고, 제어반(21)의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취득 릴레이(31)가 온 상태로 되고, 인터페이스 장치(30)에는 도어 완전 개방 신호가 입력된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도어 완전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자립주행차(40)에 송신한다. 자립주행차(40)는,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수신하면 카(12)로부터 퇴출되어 목적층(27)으로 진행한다.As shown in Fig. 14, when the door 13 is fully opened, the fully open detection switch 20 installed in the car 12 operates, and the door fully open relay 53 of the control panel 21, the door completely ope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open relay 53 is turned on, and a door complete open signal is input to the interface device 30. The interface device 30 transmits the door complete open information to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when a door complete open signal is input. When the self-standing vehicle 40 receives the door complete opening information, it is expelled from the car 12 and proceeds to the target floor 27.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계 운행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장치(30)가 제어반(21)의 서비스 가능 릴레이(51), 카 위치 릴레이(52),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31)의 개폐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운행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반(21)의 카 호출 릴레이(61), 도어 개방 릴레이(62)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개폐시킴으로써 제어반(21)에 엘리베이터(10)의 동작 지령을 입력해서 엘리베이터(10)를 동작시키므로, 제어반(21)의 제어 로직을 변경하는 일 없이 간편하게 엘리베이터(10)에 의한 자립주행차(40)의 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inked oper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face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serviceable relay 51 of the control panel 21, the car position relay 52, and the door fully open relay 53.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is extrac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ed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and the car call relay 61 of the control panel 21, the door opening relay 62, and the connected command input relay 32 Since the elevator 10 is operated by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elevator 10 to the control panel 21 by opening and closing, the self-supporting vehicle 40 by the elevator 10 is simple without changing the control logic of the control panel 21. It can make it possible to move between layers of

또한, 연계 운행 시스템(100)에서, 인터페이스 장치(30)가 자립주행차(40)에 송신하는 항목을 엘리베이터(10)의 서비스 상태 정보, 카 위치 정보, 도어 완전 개방 정보로 하고, 자립주행차(40)로부터 인터페이스 장치(30)에 송신하는 동작 요구를, 카 호출 요구, 도어 개방 요구로 한정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을 간편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nked operation system 100, the item transmitted by the interface device 30 to the self-standing vehicle 40 is set as service status information, car location information, and door complete opening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and Since the oper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40 to the interface device 30 is limited to a car call request and a door opening request, the system can be simplified.

이상의 설명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0)가 제어반(21)의 서비스 가능 릴레이(51), 카 위치 릴레이(52),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53)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31)의 개폐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운행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다른 릴레이나 신호로부터 엘리베이터(10)의 운행 정보를 추출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terface device 30 is an elevator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connected to the serviceable relay 51, the car position relay 52, and the door fully open relay 53 of the control panel 21.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extrac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10),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 may be extracted from other relays or signals as follows.

예를 들어, 서비스 가능 릴레이(51) 대신에, 전자동 운전의 경우에 온 상태가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 오프 상태가 되는 전자동 릴레이에 정보 취득 릴레이(31)를 접속해서 엘리베이터(10)가 통상 운행 상태인지의 여부를 추출해도 되고, 안전 스위치 동작 릴레이에 정보 취득 릴레이(31)를 접속해서 엘리베이터(10)가 통상 운행 상태인지의 여부를 추출해도 된다.For example, instead of the serviceable relay 51, the elevator 10 operates normally by connect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to a fully automatic relay that turns on in the case of fully automatic operation, and turns off in the other case. Whether or not the elevator 10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may be extracted by connect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to the safety switch operation relay.

또, 카 위치 릴레이(52) 대신에, 제어반(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층바닥 선택기(셀렉터)에 정보 취득 릴레이(31)를 접속해서 카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카 위치 릴레이(52) 대신에, 제어반(21)에 카 위치 정보를 디지털 표시나 LED 표시하는 표시기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광 센서나 카메라 등에 의해 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독출해서 카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Further, instead of the car position relay 52,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1 may be connected to a floor selector (selector) arranged inside the control panel 21 to acquire car position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display for digital display or LED display of car position information is arranged on the control panel 21 instead of the car position relay 52, the display contents of the indicator are read out by an optical sensor or a camera, and the car position information You may try to acquire.

또, 앞서의 설명에서는, 제어반(21)의 카 호출 릴레이(61), 도어 개방 릴레이(62)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개폐시킴으로써 제어반(21)에 엘리베이터(10)의 동작 지령을 입력해서 엘리베이터(1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다른 릴레이에 동작 지령 신호를 입력해서 엘리베이터(10)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mmand input relay 32 connected to the car call relay 61 and the door opening relay 62 of the control panel 21, an operation command of the elevator 10 is given to the control panel 21. Although the description was made to operate the elevator 10 by inputting i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levator 10 may be operated by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signal to another relay as described below.

예를 들어, 도어 개방 릴레이(62) 대신에, 카(12)의 도어(13)에 부착되어 있어서 도어(13)에 끼임이 발생했을 경우에 온 상태가 되는 도어 세이프티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는 릴레이에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접속하고, 도어 세이프티 스위치가 동작한 것과 마찬가지의 상태로 함으로써, 도어(13)를 개방 동작시켜도 된다. 또, 도어 개방 릴레이(62) 대신에, 제어반(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도어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온/오프 조작하는 지령 입력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도어(13)를 개폐시켜도 된다.For example, instead of the door opening relay 62, the relay connected to the door safety switch that is attached to the door 13 of the car 12 and is turned on when the door 13 is pinched. The door 13 may be opened by connecting the command input relay 32 and setting it to the same state as the door safety switch operated. Further, instead of the door opening relay 62, the door 13 may be opened and closed by disposing a command input device for mechanically turning on/off the door switch disposed inside the control panel 21.

또한, 카 호출 릴레이(61) 대신에, 보수 점검 시에 사용하는 카 호출 스위치에 지령 입력 릴레이(32)를 접속하거나, 동일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호출 등록을 행하는 지령 입력장치를 배치하거나 함으로써, 카(12)를 승강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car call relay 61, a command input relay 32 is connected to a car call switch used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or a command input device for registering a call by mechanically operating the same switch is arranged. The car 12 may be moved up and down.

10: 엘리베이터, 11: 승강로, 12: 카, 13: 도어, 14: 입력장치, 15: 도어 개방 버튼, 16: 층 버튼, 17: 서비스 상태표시기, 18: 표시장치, 19: 인디케이터, 20: 완전 개방 검출 스위치, 21: 제어반, 22: 구동장치, 23: 평형추, 24: 와이어, 25: 정지층, 26: 승강장층, 27: 목적층, 30: 인터페이스 장치, 31: 정보 취득 릴레이, 32: 지령 입력 릴레이, 40: 자립주행차, 50: 정보 출력 릴레이, 51: 서비스 가능 릴레이, 52: 카 위치 릴레이, 52a, 52b, 61a, 61b: 전원단자, 52c, 52d, 61c, 61d: 출력 단자, 52e, 61e: 케이싱, 53: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 60: 동작 릴레이, 61: 카 호출 릴레이, 62: 도어 개방 릴레이, 70: 전원, 100: 연계 운행 시스템.10: elevator, 11: hoistway, 12: car, 13: door, 14: input device, 15: door open button, 16: floor button, 17: service status indicator, 18: display device, 19: indicator, 20: complete Open detection switch, 21: control panel, 22: drive device, 23: counterweight, 24: wire, 25: stop floor, 26: platform floor, 27: destination floor, 30: interface device, 31: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32: Command input relay, 40: autonomous vehicle, 50: information output relay, 51: serviceable relay, 52: car position relay, 52a, 52b, 61a, 61b: power terminal, 52c, 52d, 61c, 61d: output terminal, 52e, 61e: casing, 53: door fully open relay, 60: operation relay, 61: car call relay, 62: door open relay, 70: power supply, 100: linked operation system.

Claims (3)

엘리베이터와 자립주행차의 연계 운행 시스템으로서,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릴레이와,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릴레이를 포함하는 제어반;
상기 동작 릴레이에 접속된 지령 입력 릴레이;
상기 정보 출력 릴레이에 접속된 정보 취득 릴레이; 및
상기 정보 취득 릴레이와 상기 지령 입력 릴레이에 접속되어, 상기 정보 취득 릴레이의 개폐에 의거해서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운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령 입력 릴레이를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 지령을 입력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인터페이스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운행 정보를 상기 자립주행차에 송신하고,
상기 자립주행차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운행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동작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수신한 상기 동작 요구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 운행 시스템.
As a linkage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s and self-driving cars,
A control panel including an operation relay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on/off operation, and an information output relay for out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by on/off operation;
A command input relay connected to the operation relay;
An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utput relay; And
I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and the command input relay, extra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from the control panel bas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and opens and closes the command input relay to command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the control panel. Interface device that operates the elevator by inputting
Including,
The interface device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to the self-supporting vehicle,
The self-standing vehicle transmits an operation request to the interface devic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face device,
The interface device operates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received operation requ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상태 정보, 카 위치 정보, 도어 완전 개방 정보이고,
상기 자립주행차가 송신하는 상기 동작 요구는 카 호출 요구, 도어 개방 요구이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동작 요구에 따라서 카의 승강 동작과 도어의 개방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 운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nterface device is service state information, car location information, and door complete opening information of the elevator,
The operation request transmitted by the self-standing vehicle is a car call request and a door opening request,
The interfac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request, performs a car lifting operation and a door opening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에 배치된 상기 정보 출력 릴레이는, 서비스 가능 릴레이와, 카 위치 릴레이와,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에 배치된 상기 동작 릴레이는, 카 호출 릴레이와, 도어 개방 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서비스 가능 릴레이와, 상기 카 위치 릴레이와, 상기 도어 완전 개방 릴레이에 접속된 상기 정보 취득 릴레이의 개폐에 의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상태 정보와, 카 위치 정보와, 도어 완전 개방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카 호출 릴레이와, 상기 도어 개방 릴레이에 접속된 상기 지령 입력 릴레이를 개폐시켜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카의 승강 동작과 도어의 개방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 운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formation output relay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serviceable relay, a car position relay, and a door fully open relay,
The operation relay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car call relay and a door opening relay,
The interface device,
Bas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rviceable relay, the car position relay,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lay connected to the door fully open relay, service state information, car position information, and door fully ope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re extracted, ,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ar call relay and the command input relay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relay to perform an elevating operation of a car and an opening operation of a door in the elevator.
KR1020207025290A 2018-04-05 2018-04-05 Linked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 and self-driving car KR1024355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4617 WO2019193719A1 (en) 2018-04-05 2018-04-05 Coordinated operation system for elevator and autonomous trave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979A true KR20200112979A (en) 2020-10-05
KR102435543B1 KR102435543B1 (en) 2022-08-22

Family

ID=6776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290A KR102435543B1 (en) 2018-04-05 2018-04-05 Linked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 and self-driving ca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67196B1 (en)
KR (1) KR102435543B1 (en)
CN (1) CN111971246B (en)
TW (1) TWI777022B (en)
WO (1) WO201919371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056A1 (en) * 2016-10-04 2018-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ystem
CN112623905B (en) * 2020-12-18 2023-05-05 上海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Simulation test system for robot riding elevator
CN114180428A (en) * 2021-11-29 2022-03-15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obot to recover tas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365A (en) * 1998-08-07 2000-03-06 이종수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01171918A (en) * 1999-12-21 2001-06-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7137650A (en) * 2005-11-22 2007-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2010023959A (en) 2008-07-16 2010-02-04 Fuji Heavy Ind Ltd Moving system for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by elevator
JP2015210761A (en) 2014-04-30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Unmanned carrier trave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802B2 (en) * 1993-03-29 2002-09-03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Mobile body movement control system
JPH09230938A (en) * 1996-02-23 1997-09-05 Meidensha Corp Unmanned carriage system
JP2003146412A (en) * 2001-11-12 2003-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Transfer system
JP4241678B2 (en) * 2005-06-30 2009-03-1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JP5449952B2 (en) * 2009-09-29 2014-03-19 Cyberdyne株式会社 Autonomous traveling robot and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traveling robot
JP5545539B2 (en) * 2010-07-09 2014-07-09 村田機械株式会社 Autonomous traveling body moving system
JP2012018645A (en) * 2010-07-09 2012-01-26 Murata Mach Ltd Autonomous traveling body mobile system
CN201817157U (en) * 2010-09-08 2011-05-04 佛山市顺德区鼎力电气有限公司 Multifunctional elevator information acquiring and processing device
TWI533100B (en) * 2014-10-09 2016-05-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CN105035893B (en) * 2015-06-30 2017-05-31 广东嘉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ans of communication of a kind of AGV and elevator
CN106044419B (en) * 2016-05-31 2019-04-30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Th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engaging elevator
JP2018008760A (en) * 2016-07-11 2018-0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CN107445002B (en) * 2017-07-28 2019-11-12 苏州博众机器人有限公司 A kind of elevator floor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device and external lift faci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365A (en) * 1998-08-07 2000-03-06 이종수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01171918A (en) * 1999-12-21 2001-06-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7137650A (en) * 2005-11-22 2007-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2010023959A (en) 2008-07-16 2010-02-04 Fuji Heavy Ind Ltd Moving system for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by elevator
JP2015210761A (en) 2014-04-30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Unmanned carrier trave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67196B1 (en) 2019-08-28
CN111971246B (en) 2022-08-09
TWI777022B (en) 2022-09-11
KR102435543B1 (en) 2022-08-22
CN111971246A (en) 2020-11-20
WO2019193719A1 (en) 2019-10-10
TW201943634A (en) 2019-11-16
JPWO2019193719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7463B (en) Robot and elevator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CN101065312B (en) Destination entry passenger interface with multiple functions
CN102092607B (en) Elevator running control device
KR102435543B1 (en) Linked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 and self-driving car
JP2009051617A (en) Elevator control system
CN111902357B (en) Cooperative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and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KR20100077920A (en) Robot, robot control method, elevator system linked with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125198A (en) Elevator system
KR20100080278A (en) Robot, robot control method, elevator system linked with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730361B2 (en) Maintenance inspection equipment for elevators
CN111747250A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robot and person mixed elevator
CN114728758B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CN104418188B (en) Elevator self-rescue control system
JP5433606B2 (en) Group management elevator
US20220363513A1 (en) Mobile control unit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KR20160043642A (en) Elevator Control System
CN109715541B (en) Method for setting elevator in service mode
KR102183746B1 (en) Control system of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737941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8193166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CN116323464A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JP6898578B2 (en) User detection device and elevating movement system
JP7128235B2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CN117897350A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1293035B1 (en) Inspection position automatic landing system of elevator ca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