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197A -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197A
KR20200112197A KR1020190032282A KR20190032282A KR20200112197A KR 20200112197 A KR20200112197 A KR 20200112197A KR 1020190032282 A KR1020190032282 A KR 1020190032282A KR 20190032282 A KR20190032282 A KR 20190032282A KR 20200112197 A KR20200112197 A KR 2020011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moving
electrode
thicknes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177B1 (ko
Inventor
정인수
김승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1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동박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을 포함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Apparatus for Electrodeposition of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Electrolytic Copper Foil}
본 발명은 동박을 전착시키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동박을 제조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銅箔)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박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동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해동박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또한,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동박 전착(電着)에 이용되는 설비로, 전해동박 전착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에 있어서 전착된 동박이 음극부(2)로부터 권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00)는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부(110)는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120)와 통전(通電)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부(110)는 전기도금을 수행함에 있어 양극으로 기능한다.
상기 음극부(120)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상기 동박(200)을 전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음극부(120)는 전기도금을 수행함에 있어 음극으로 기능한다.
전해액 공급장치(미도시)가 상기 양극부(110) 및 상기 음극부(120)의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하면, 상기 양극부(110) 및 상기 음극부(120)는 서로 통전되면서 전기도금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전해액에 용해된 동(銅) 이온이 상기 음극부(120)에서 환원(還元)됨에 따라, 상기 음극부(120)는 상기 동박(200)을 전착시킨다. 상기 음극부(120)는 음극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동박(200)의 전착작업 및 권출(捲出)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동박(200)은 상기 음극부(120)로부터 권출방향으로 권출된 후에 권취부(미도시) 쪽으로 운반되어 상기 권취부에 권취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00)는 상기 음극부(120)가 연속적으로 전착작업 및 권출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폭방향을 따라 상기 동박(200)의 두께편차가 발생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00)는 상기 음극부(120)로부터 권출된 상기 동박(20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동박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이 저하되는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동박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 및 상기 전원전극에 상기 동박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들 중에서 제1이동전극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전극들 중에서 제2이동전극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동박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 및 상기 전원전극에 상기 동박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들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음극부와의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동박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 상기 전원전극에 상기 동박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 상기 음극부로부터 권출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 및 상기 운반부로부터 운반된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동박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 상기 전원전극에 상기 동박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 상기 음극부로부터 권출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 및 상기 운반부로부터 운반된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박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동박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의 이동전극들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이동전극들이 폭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동박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7은 이동전극들이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동박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의 이동전극, 및 전원전극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에 있어서 폭가이드부재, 및 폭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의 댐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의 댐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에 있어서 회전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3은 회전부가 제1이동전극을 회전시킴에 따라 동박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또한, 도 2,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해칭은 단면을 도시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구성을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 이하 도 2에 도시됨)는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동박(銅箔)(20)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운반부(11), 권취부(12), 및 절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운반부(11, 이하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동박(20)을 운반하는 것이다. 상기 운반부(11)는 상기 동박(20)을 상기 절단부(13)와 상기 권취부(12)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11)는 복수개의 롤러 등을 이용해 상기 동박(20)을 운반할 수도 있다. 상기 운반부(11)는 상기 동박(20)을 운반하면서, 상기 동박(20)의 표면에 남은 전해액 등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권취부(12, 이하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운반부(11)로부터 운반된 상기 동박(20)을 권취(捲取)하는 것이다. 상기 권취부(12)는 상기 절단부(13)에 의해 절단된 동박(20)을 권취(捲取)할 수도 있다. 상기 권취부(12)는 권취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상기 동박(20)을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2)에 권취된 동박(20)은,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폭으로 재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2)는 전체적으로 상기 동박(20)이 이동하는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권취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동박(20)을 권취하는 권취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절단부(13, 이하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운반부(11)로부터 운반된 동박(20)을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13)는 전착 과정에서 상기 동박(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 동박(20)의 양측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3)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동박(20)의 양측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13)에 의해 양측이 절단된 동박(20)은 상기 권취부(12)로 운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운반부(11), 상기 절단부(13), 및 상기 권취부(12)를 통해 운반되고 권취되는 동박(20)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제조장치(10)는 전해동박 전착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동박을 전착(電着)시켜 동박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전해동박 전착장치(1)를 통해 제조된 동박은 상기 운반부(11), 상기 절단부(13) 등을 거쳐 상기 권취부(12)에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상기 동박(20)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2),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2)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3), 상기 동박(20)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4),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6), 및 상기 전원전극(6)에 상기 동박(20)의 상기 폭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5)을 포함한다.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은 동박이 운반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음극부(2)의 회전축인 음극축(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 중에서 제1이동전극(51)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전극(5)들 중에서 상기 제2이동전극(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제1이동전극(51)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동박(2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음극부(2)가 연속적으로 전착작업 및 권출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동박(20)의 두께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박(20)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영역인 제1불균일영역(IA1), 및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영역인 제2불균일영역(IA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는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 및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는 2개의 불균일영역들(IA1, IA2)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동박(20)에는 3개 이상의 불균일영역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측정부(4)는 상기 동박(20)의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이동전극(51) 및 상기 제2이동전극(52) 간의 이격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이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의 통전력(通電力)은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서 증가될 수 있다. 통전력은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에 통전되는 전류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전력이 높을수록 상기 동박(20)은 빠르게 전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박(20)은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 비해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서 더 빠르게 전착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측정부(4)는 상기 동박(20)의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동전극(52) 및 상기 제1이동전극(51) 간의 이격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이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의 통전력은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박(20)은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 비해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서 더 느리게 전착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이동전극(51) 및 상기 제2이동전극(52)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이동전극(51) 및 상기 제2이동전극(52)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상기 불균일영역들(IA1, IA2)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통전력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동박(20)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켜 제조된 동박(2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불균일영역들(IA1, IA2)에 서로 다른 크기의 통전력이 인가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불균일영역들(IA1, IA2)에 서로 다른 크기의 통전력이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면서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가 서로 이격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상기 동박(20)을 전착(電着)시키는 상기 음극부(2),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2)와 통전(通電)되는 상기 양극부(3), 상기 동박(20)의 두께를 측정하는 상기 측정부(4),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원전극(6), 및 상기 전원전극(6)에 상기 동박(2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전극(5)들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음극부(2)와의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에서 상기 이동전극(5)들을 상기 음극부(2)에 가깝게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동박(2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음극부(2)가 연속적으로 전착작업 및 권출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동박(20)의 두께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박(20)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영역인 제1불균일영역(IA1), 및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영역인 제2불균일영역(IA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는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 및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는 2개의 불균일영역들(IA1, IA2)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동박(20)에는 3개 이상의 불균일영역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측정부(4)는 상기 동박(20)의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를 통해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이동전극(51) 및 상기 음극부(2) 간의 이격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이 상기 음극부(2)와 가깝게 배치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의 통전력은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박(20)은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 비해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서 더 빠르게 전착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측정부(4)는 상기 동박(20)의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를 통해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동전극(52) 및 상기 음극부(2) 간의 이격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이 상기 음극부(2)와 멀게 배치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의 통전력은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이 상기 제1불균일영역(IA1)에 비해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서 더 느리게 전착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이동전극(51) 및 상기 제2이동전극(52)이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전극(5)들과 상기 음극부(2)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상기 불균일영역들(IA1, IA2)에 서로 다른 크기의 통전력을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동박(20)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켜 제조된 동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극부(2), 상기 양극부(3), 상기 측정부(4), 상기 이동전극(5)들, 및 상기 전원전극(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음극부(2)는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식으로 상기 동박(20)을 전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동박(20)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음극(陰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양극부(3)와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가 상기 양극부(3)와 통전되어 전류가 흐르면, 전해액에 용해된 동 이온은 상기 음극부(2)에서 환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극부(2)의 표면에는 상기 동박(20)이 전착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이동전극(5)들과 통전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부(2)가 상기 이동전극(5)들과 통전되어 전류가 흐르면, 전해액에 용해된 동 이온은 상기 음극부(2)에서 환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극부(2)의 표면에는 상기 동박(20)이 전착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음극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양극부(3)와 통전되어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음극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표면에 상기 동박(20)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과 전착된 상기 동박(20)을 표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권출(捲出)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상기 양극부(3)에 대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극부(2)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되면서 전착작업과 권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양극부(3)는 상기 동박(20)을 전착시키는 전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양극(陽極)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음극부(2)에 대해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음극부(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음극부(2)에 대해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음극부(2)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극부(2)가 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양극부(3)는 반원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3)에는 상기 전원전극(6)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3)에는 전해액공급슬릿(31, 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은 전해액이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은 상기 양극부(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을 통해, 전해액은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은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양극부(3)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전해액공급부(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부(3A)는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을 통해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공급부(3A)는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공급부(3A)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유동되어 상기 전해액공급슬릿(31)을 통과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측정부(4)는 상기 동박(20)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동박(20)의 두께는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동박(20)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측정부(4)는 상기 동박의 불균일영역들(IA1, IA2)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는 상기 불균일영역들(IA1, IA2)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전극(5)들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는 상기 음극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는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전극(5)들은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이동전극(5)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은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다공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의 수평단면을 갖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전극(5)들은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에 비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전극(5)들 중에서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상기 이동전극(5)들 중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이동전극(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상기 불균일영역들(IA1, IA2)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폭방향(X축 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 각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불균일영역들(IA1, IA2)에 서로 다른 크기의 통전력을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동박(20)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이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폭방향(X축 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 각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기구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이동전극(5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이동전극본체(510), 및 이동절연부재(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본체(510)는 상기 전원전극(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이동전극본체(510)가 상기 전원전극(6)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전극본체(510)는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2)와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본체(510)는 상기 제1이동전극(51)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에는 유동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공은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전극본체(5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공을 통해 전해액은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가 전해액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이동전극(5)의 면적증대를 통해 더 높은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절연부재(511)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이동절연부재(511)는 상기 이동전극(5)들 간에 전기적 단락(Short Circuit)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외면(外面)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전기적 단락으로 인한 상기 이동전극(5)들의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전극(5)들의 교체주기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전극(5)들의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절연부재(511)는 절연성(絶緣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절연부재(511)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절연부재(511)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양면, 상기 양면에 연결된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상면, 및 상기 양면에 연결된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극부(2)를 향하는 이동전극본체(510)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이동절연부재(511)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후면(後面)에도 상기 이동절연부재(511)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후면 및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전면(前面)은 서로 반대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이동전극(5)들 중에서 상기 제2이동전극(52)은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은 상기 이동전극(5)들 중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이동전극(5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은 상기 측정부(4)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이동전극(51)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전극(52)은 상기 제1이동전극(51)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상기 이동전극(5) 중에서 두개의 이동전극들(51, 52)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3개 이상의 이동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은 상술한 상기 제1이동전극(51)과 대략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전극(5)들의 일부 전극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이동전극(5)들의 일부 전극들은 상기 전원전극(6)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원전극(6)은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전원전극(6)은 상기 양극부(3)의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극(6)은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극(6)은 상기 양극부(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극(6)에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극(6)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음극부(2)와 상기 양극부(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한 원통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원전극(6)은 전원전극부재(61), 및 전원절연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극부재(61)는 상기 양극부(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전원전극부재(61)는 상기 전원절연부재(62)를 통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극부재(61)는 일측이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이 전원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음극부(2), 상기 양극부(3), 및 상기 전원전극부재(6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양극부(3)는 상기 전원전극부재(61)를 통해 상기 전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절연부재(62)는 상기 전원전극부재(6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원절연부재(62)는 상기 양극부(3) 및 상기 전원전극부재(61)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전극부재(61)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전기적 단락으로 인한 상기 전원전극(6)의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전원전극(6)의 교체주기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원전극(6)의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절연부재(62)는 상기 전원전극부재(61)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절연부재(62)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이동전극(51) 및 상기 전원전극(6)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폭가이드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의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이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전원전극(6)은 폭가이드홈(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홈(63)은 상기 폭가이드부재(512)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는 상기 폭가이드홈(63)에 삽입된 채로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홈(63)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홈(63)은 상기 폭가이드부재(51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홈(63)은 상기 전원절연부재(62)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가이드홈(63)은 상기 전원전극부재(61)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폭가이드홈(63)은 상기 이동전극본체(510)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폭가이드부재(512)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전극본체(510)를 상기 불균일영역들에 위치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이동전극(51) 및 상기 전원전극(6)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은 두께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는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전극본체(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전극(5)의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전극(51)이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전원전극(6)은 두께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두께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는 상기 두께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두께가이드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전원절연부재(62)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전원전극부재(61)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이동전극본체(510)가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전극본체(510)를 상기 불균일영역들에 위치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폭가이드홈(63)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상기 폭가이드부재(512)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며, 상기 두께가이드부재가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도 9을 기준으로 하여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제한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7)는 상기 전원전극(6)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한부(7)는 상기 이동전극(5)들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부(7)는 상기 이동전극(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7)는 상기 전원전극(6)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7)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이동전극(5)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7)는 폭제한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제한부재(71)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폭제한부재(71)를 통하여 상기 이동전극(5)들이 서로 충돌함에 따른 상기 이동전극(5)들의 손상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이동전극(5)들의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부(7)는 복수개의 폭제한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제한부재(71)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전극(5)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폭제한부재(71)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7)는 두께제한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께제한부재(72)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전극(5)들이 상기 음극부(2) 및 상기 양극부(3)와 충돌함에 따른 상기 이동전극(5)들의 손상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부(7)는 복수개의 두께제한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께제한부재(72)들은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전극(5)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댐(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8)은 상기 이동전극(5)들을 도금액에 침지(浸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댐(8)은 상기 이동전극(5)들에 비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이동전극(5)들이 도금액에 침지되므로, 전착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댐(8)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전극(5)들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8)은 상기 양극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8)은 상기 양극부(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댐(8)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동전극(5)들을 도금액에 침지시킬 수 있는 한 원형체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회전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9)는 상기 제1이동전극(51)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9)는 도 13에 도시된 제3불균일영역(IA3)에서 상기 제1이동전극(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불균일영역(IA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2불균일영역(IA2)에 비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짧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깊게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9)는 상기 제3불균일영역(IA3)에 대응되게 배치된 상기 제1이동전극(5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이동전극(51)과 상기 동박(20) 간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전극(51)이 회전되기 이전에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이동전극(51)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되는 반면,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전극(51)이 회전된 이후에는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이동전극(51)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전극(51)이 회전된 이후에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이동전극(51)의 길이가 더 짧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불균일영역(IA3)에 집중적으로 상기 동박(20)이 전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상기 동박(20)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동박(20)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해동박 전착장치(1)는 동박(2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9)는 상기 제1이동전극(91)이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이동전극(9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이동전극(91)에 상기 이동절연부재(511, 도 8에 도시됨)가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제1이동전극(91)에서 상기 이동절연부재(511, 도 8에 도시됨)가 위치하지 않은 전면(前面) 또는 후면이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제3불균일영역(IA3)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회전부(9)가 상기 제1이동전극(51)을 회전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상기 회전부(9)는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9)는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전극(5)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의 회전축은 높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의 회전축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 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전극(5)의 일측과 상기 이동전극(5)의 타측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의 회전축을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전극(5)의 일측과 상기 이동전극(5)의 타측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9)는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을 상기 폭방향(X축 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9)는 상기 이동전극(5)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9)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전극(5)들을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전해동박 전착장치 2 : 음극부
3 : 양극부 4 : 측정부
5 : 이동전극 6 : 전원전극
7 : 제한부 8 : 댐
9 : 회전부 10 : 전해동박 제조장치
11 : 운반부 12 : 권취부
13 : 절단부 21 : 음극축
31 : 전해액공급슬릿 51 : 제1이동전극
52 : 제2이동전극 61 : 전원전극부재
62 : 전원절연부재 63 : 폭가이드홈
510 : 이동전극본체 511 : 이동절연부재
512 : 폭가이드부재

Claims (13)

  1.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동박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 및
    상기 전원전극에 상기 동박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전극들 중에서 제1이동전극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전극들 중에서 제2이동전극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극은 상기 양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전극부재, 및 상기 전원전극부재에 결합된 전원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절연부재는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전원전극부재 간의 전기적 단락(Short Circuit)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전극부재의 외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전극은 상기 전원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동전극본체, 및 상기 이동전극본체에 결합된 이동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절연부재는 상기 이동전극들 간에 전기적 단락(Short Circuit)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전극본체의 외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전극은 상기 전원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동전극본체, 및 상기 이동전극본체와 함께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폭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극은 상기 폭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폭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폭가이드홈은 상기 이동전극본체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폭가이드부재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극에 결합된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이동전극들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동전극들이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폭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는 상기 폭방향에 대해 수직한 두께방향을 상기 음극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이동전극들은 각각 상기 두께방향에 비해 상기 폭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7.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으로 동박을 전착(電着)시키는 음극부;
    전해액을 통해 상기 음극부와 통전(通電)되는 양극부;
    상기 동박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 사이에 배치된 전원전극; 및
    상기 전원전극에 상기 동박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이동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전극들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음극부와의 이격된 거리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원전극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극들 중에서 제1이동전극은, 상기 전원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동전극본체 및 상기 이동전극본체와 함께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두께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극은 상기 두께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두께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두께가이드홈은 상기 이동전극본체가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두께가이드부재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극에 결합된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이동전극들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동전극들이 상기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두께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극에는 상기 이동전극들이 상기 두께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이동전극들은 각각 상기 두께방향에 비해 상기 폭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전극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극들을 도금액에 침지시키기 위한 댐을 포함하고,
    상기 댐은 상기 이동전극들에 비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전착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전해동박 전착장치를 포함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로서,
    상기 음극부로부터 권출된 동박을 운반하는 운반부; 및
    상기 운반부로부터 운반된 동박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0190032282A 2019-03-21 2019-03-21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52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82A KR102528177B1 (ko) 2019-03-21 2019-03-21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82A KR102528177B1 (ko) 2019-03-21 2019-03-21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197A true KR20200112197A (ko) 2020-10-05
KR102528177B1 KR102528177B1 (ko) 2023-05-02

Family

ID=7280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282A KR102528177B1 (ko) 2019-03-21 2019-03-21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1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840B2 (ja) * 1990-05-31 1997-03-26 日鉱グールド・フォイル株式会社 電解銅箔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0132993A (ja) * 2008-12-08 2010-06-17 Showa:Kk 電解用電極
KR101630979B1 (ko) * 2014-12-12 2016-06-16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박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840B2 (ja) * 1990-05-31 1997-03-26 日鉱グールド・フォイル株式会社 電解銅箔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0132993A (ja) * 2008-12-08 2010-06-17 Showa:Kk 電解用電極
KR101630979B1 (ko) * 2014-12-12 2016-06-16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박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177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4274B2 (en) Plating device and plating method
KR20010107985A (ko) 인라인 도금 장치
KR101630979B1 (ko) 금속박판 제조장치
JP2020084280A (ja) 銅張積層板および銅張積層板の製造方法
KR200495516Y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0494323Y1 (ko) 전해액 공급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528177B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20220001701U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US7641775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metal foil
KR20210056550A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US3274092A (en)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narrow strips
KR20190060985A (ko) 전해 처리 지그 및 전해 처리 방법
KR101623711B1 (ko) 도금용 전극 접점 장치
KR102629488B1 (ko) 도금장치
KR102565937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KR200496426Y1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2065220B1 (ko) 에지 마스크를 구비한 전기 도금 장치
EP4293142A1 (en) Positive electrode plate for copper foi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pper foil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595709B1 (ko) 동박 제조장치용 양극판 및 동박 제조장치
KR102338739B1 (ko) 전해 도금 장치
TWI838203B (zh) 銅箔製造設備及正電極板
KR20210053001A (ko) 전해 동박의 전착 장치 및 제조 장치
US4959129A (en) Continuous pla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00541U (ko) 제박기용 연마장치
KR20210000120U (ko) 전해동박 전착장치 및 전해동박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