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676A - 간편하게 연결되는 일회용 유닛 및 재사용 가능 유닛을 갖춘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간편하게 연결되는 일회용 유닛 및 재사용 가능 유닛을 갖춘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676A
KR20200110676A KR1020207023342A KR20207023342A KR20200110676A KR 20200110676 A KR20200110676 A KR 20200110676A KR 1020207023342 A KR1020207023342 A KR 1020207023342A KR 20207023342 A KR20207023342 A KR 20207023342A KR 20200110676 A KR20200110676 A KR 20200110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housing
locking element
unit
deli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665B1 (ko
Inventor
다니엘 칼손
다니엘 살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11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71Means preventing accident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92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making noise when used correc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구동 및 신호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 부분 및 약물을 갖는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일회용 부분을 구비하는 자동 주입을 위한 자동 약물 전달 장치가 개시된다. 부분들은 임의의 회전 또는 터닝을 회피하면서 한 번의 축방향 움직임으로 간단히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주입 과정 전 및 주입 과정 중에 두 부분으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연결되며, 주입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분리되어 일회용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편하게 연결되는 일회용 유닛 및 재사용 가능 유닛을 갖춘 약물 전달 장치
본 발명은 약물을 구비한 주사기, 용기 또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미숙련 환자에 의해 사용되는 인젝터 또는 자동 인젝터와 같은 약물 전달 장치(medicament delivery device)에 관한 것이다.
약물의 자가 투여를 위한 다수의 약물 전달 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며, 전달될 약물의 종류, 투여량 등에 따라 상이한 디자인이 개발되었다. 흔히 자동 약물 전달 장치는 사용을 위해 상호 연결된 2개의 부분을 갖는다. 장치의 원위 유닛으로 불리는 한 부분은 통상적으로 모터 및/또는 배터리와 같은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다수의 주입 동안 재사용될 수 있다. 근위 또는 일회용 유닛(disposable unit)으로 불리는 다른 부분은 흔히 주사기, 카트리지 등과 같이 약물을 구비한 용기를 포함하거나 수용하며, 이는 약물의 사용 후에 버려지고 새로운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들 두 부분의 하우징은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환자에 의해 상호 연결될 것이고, 그 후 약물의 소비 이후에 근위 부분을 폐기할 수 있도록 분리될 것이다. 상호 연결은 다양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국제 공개 공보 제 WO2014/111370 호는 사용자가 원위 및 근위 부분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이들 하우징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 약물 전달 장치의 두 부분을 조립하기 위한 베요넷(bayonet) 연결 유형을 개시한다.
국제 공개 공보 제 WO2015/018531 호는 약물 전달 장치의 두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나사형 베요넷 및 다른 유형의 연결을 적용하는 것을 교시하지만, 종래의 모든 유형의 연결은 축방향 삽입 및 그와 동시에 하나의 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복잡한 움직임을 필요로 한다. 복잡한 움직임은 미숙련 사용자에 대해서 항상 바람직하거나 수행 가능한 것은 아니며, 약물 전달 장치를 다루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국제 공개 공보 제 WO2012/085031 호는 후단 부분의 플런저를 전단 부분 내에 삽입함으로써 전단 부분이 후단 부분에 부착 가능한 자동 주입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전단 부분은 또한 장착 슬리브를 포함하는데, 장착 슬리브는 전단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로딩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전단 부분의 근위 약물 전달 단부 쪽으로 사용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이동되어야 한다. 슬리브가 해제되면, 연결을 고정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움직임은 상당한 손의 힘을 필요로 하고 사용자가 장치의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충분한 힘을 가하고 다수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자 조립이 한 번의 움직임으로 훨씬 쉽게 이루어지고 주입 과정이 완전히 완료되기 전에 장치가 실수로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와 단점을 극복하고, 모든 사용자가 취급하기 쉬운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방식에 의한 약물 전달 장치의 두 하우징 또는 부분들의 한 번의 움직임으로 간단한 자동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서, 용어 "원위(distal)"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투여량(dose) 전달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원위 부분/단부"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하에서 투여량 전달 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재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이에 상응하여, 용어 "근위(proximal)"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투여량 전달 부위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근위 부분/단부"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하에서 투여량 전달 부위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재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또한, "축"의 유무에 관계없이 용어 "종방향(longitudinal)"은 장치 및/또는 구성요소의 가장 긴 연장부의 방향으로 장치 또는 장치의 구성요소를 통과하는 방향 또는 축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용어 "반경방향(radial)", "횡방향(transversal)" 또는 "직교방향(orthogonal)"은 축방향인 종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을 지칭하고, 예컨대 "반경방향 또는 직교방향 외향"은 종축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수행될 부분들의 임의의 상대적 회전 및 임의의 다른 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 번의 축방향 운동으로 약물 전달 장치의 2개의 부분 또는 유닛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매우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임의의 회전(rotation), 비틀림(twisting) 또는 터닝(turning)을 회피하는 스냅-연결(snap-connection) 유형과 같은 약물 전달 장치의 2개의 유닛의 신규하고 간단한 축방향 연결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 약물 전달 장치는 종축(A), 및 원위 폐쇄 단부 및 개방 근위 연결 단부를 갖는 제1 세장형 유닛을 갖는다. 제1 유닛은 하우징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연결 단부는 유닛의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1 유닛은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구동 요소를 갖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을 구비한 제2 세장형 유닛은 약물 용기(S, C)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제1 근위 약물 전달 단부 및 제2 원위 연결 단부를 갖는다. 제2 유닛의 원위 연결 단부는, 임의의 회전 및 비틀림을 회피하는 한 번의 움직임으로 종축(A)을 따라 개방 연결 단부 내로 제2 연결 단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만 제1 유닛의 개방 근위 연결 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유닛들의 연결 단부들 중 하나에는 개방 연결 단부 내로의 제2 연결 단부의 삽입에 의해 생성된 힘으로 인해 종축(A)에 대해 직교방향 또는 반경방향 내향 및 외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이 장착된다. 가동 잠금 요소(movable locking element)는 제1 유닛 또는 그의 하우징 내부에 동축으로(coaxially) 배치되고, 가요성 부분 및 잠금 요소 중 하나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으로 인해 가요성 부분과 상호 작용하여 유닛들의 연결 단부들 및/또는 장치의 하우징들을 서로에 대해 잠금 및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잠금 요소는 별도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요소 및 하나의 연결 단부와 통합된 잠금 요소 중 하나이다.
가요성 부분은 프레임 및 연결 단부 중 하나의 일체형 부분 및 연결 단부들 중 하나에 배열된 별도의 가요성 부분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를 형성하는 재사용 가능 유닛 및 일회용 유닛 또는 이들의 하우징의 스냅-연결은 한 유닛 또는 하우징에 대한 다른 유닛 또는 하우징의 한 번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는 유닛들 또는 하우징들의 서로에 대한 회전, 비틀림 또는 터닝을 회피하고 사용자에게 임의의 추가 조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원하는 경우, 스냅 연결은 유닛 또는 그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며 약물 전달 장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는 잠금 요소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원위 및 근위 유닛들의 스냅 연결은 사용자의 손/손가락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실수를 방지한다. 내부 자동 잠금 요소는 주입이 시작 및/또는 완료되기 전에 장치 유닛들 또는 하우징들이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작업은 약물 전달 장치의 제1 연결 상태를 제공한다. 장치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는 하나의 단일 단계 또는 2개의 개별 단계에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공지의 연결부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상호 고정을 위한 회전 운동을 배제하는, 단지 하나의 일회용 부분 또는 유닛을 축방향으로 다른 재사용 가능 부분 또는 유닛 내로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미숙련 사용자의 경우, 2개의 하우징을 연결함으로써 훨씬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장치 유닛들이 확실하게 상호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스냅 연결 클릭에 의해 직접 피드백을 받는다. 또한, 매우 중요하고 유리한 특징은 잠금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주입이 완전히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가 실수로 장치를 두 부분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장치 사용에 대한 안전과 사용자에 대한 보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 및 장점은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구체적인 특징 및 장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 함께 조립될 2개의 개별적인 일회용 부분 및 재사용 가능 부분을 갖는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일회용 부분을 도시하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일회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하우징이 제공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재사용 가능 부분의 2개의 직교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 부분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회용 부분 및 재사용 가능 부분의 조립 과정의 시작시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e는 주입 장치의 근위 부분과 원위 부분을 조립하는 모든 순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6f는 유닛들 사이의 연결 간극을 제거하는 타이트한 연결(tight connection)을 위한 간극 없는 잠금 메커니즘(gap free locking mechanism)의 특징을 밝히는 것으로서, 도 6f는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 사이의 2개의 원추형 연결부를 도시하며 도 6g는 축(A)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재사용 가능 유닛 또는 부분과 제2 일회용 유닛 또는 부분이 견고하게 연결된 제1 실시예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2개의 유닛이 함께 연결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또 다른 단면도를 나타내는데, 도 8a 및 도 8b는 제어 센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연결, 주입 및 분리 과정을 제어하는 센서 및 삽입 시퀀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두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재사용 가능 유닛의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제2 실시예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1 및 제2 유닛이 연결된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재사용 가능 유닛의 하우징이 제거되고 잠금 요소가 통합되어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약물 전달 장치를 함께 형성하는 2개의 개별적인 재사용 가능 유닛 및 일회용 유닛을 구비한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닛들이 연결된 상태의, 도 14의 단면에 직교하는 또 다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일회용 유닛을 재사용 가능 유닛 내에 삽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다.
도 17은 재사용 가능 유닛의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상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연결된 재사용 가능 유닛 및 일회용 유닛을 도시한다.
도 18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등각도를 나타내고, 도 18b는 재사용 가능 부분 또는 유닛의 하우징의 상반부가 제거된 동일 장치를 도시한다.
도 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상호 연결된 부분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도 19에 도시된 단면도와 직교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1a 및 도 21b는 제3 실시예의 약물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홀더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별개의 가요성 부분 또는 요소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2개의 재사용 가능 부분 또는 유닛 및 일회용 부분 또는 유닛의 모든 연결 순서를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유사한 도면부호는 전형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주제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다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의 2개의 부분 또는 유닛, 즉 재사용 가능한 파워 팩 또는 부분인 제1의 후단 또는 원위 유닛 및 일회용 약물 카세트 유닛인 제2의 전단 또는 근위 유닛은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약물을 포함하는, 장치의 일회용 부분은 잠금 또는 다른 고정을 위해 추가로 회전시킬 필요 없이 단순히 단 한번의 이동으로 다른 재사용 가능 부분에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가요성 부분(들)의 확장으로 인한 이른바 스냅 연결에 의해 고정된다.
장치 설계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의 양 유닛, 즉 일회용 유닛 및 재사용 가능 유닛 모두는 이들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도록 장착되는 별도의 외측 하우징을 구비하거나, 대안으로서 하우징(들)은 유닛의 적절한 외측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시, 유닛 연결 단부들 또는 2개의 하우징이 스냅 잠금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그 후, 유닛들의 이러한 스냅 연결은 주입이 완전히 수행되거나 중단될 때까지 스냅 연결된 하우징들 또는 연결 단부들의 분리를 방지하는 잠금 요소에 의한 추가적인 자동 고정에 의해 추가로 보장되거나 부가될 수 있다. 이 잠금 요소는 가청 "클릭" 신호로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책에서, 이 잠금 요소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될 수 없도록 항상 하우징 또는 유닛 내부에 위치된 내부 요소이다. 이로 인해, 주입이 완료되기 전에 실수로 또는 오용하여 장치를 분리시킬 수 없다. 이들 유닛의 서로에 대한 잠금 및 잠금 해제는 사용자가 어떠한 조작도 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발생한다. 이 기능은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약물이 완전히 주입된 후, 장치는 2개의 하우징 또는 유닛의 분리를 허용하며, 일회용 부분은 다음 주입 시점에 폐기 및 교체될 수 있다. 일회용 유닛은 단일 사용 또는 다중 사용 유닛일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 전체가 아니라 단지 일부만을 폐기할 필요가 있는 것은 환경적인 장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유닛 구성요소, 부품 및 재료의 최소화는 또한 환경에 중요하다.
도 1은 주입을 수행하고 제1 원위 재사용 가능 부분 또는 유닛(1) 및 제2 근위 일회용 부분 또는 유닛(2)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1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유닛(1)은 중심 종축(A)을 갖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방향 하우징(11)을 갖는다. 유닛(1)은 폐쇄된 원위 단부(12), 및 축방향으로 반대측에 있는 개방된 근위 연결 단부(13)를 갖는다.
제2 근위 일회용 유닛(2)은 도 2a에 도시되어 있고, 그것의 화살표(B) 방향의 종단면이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유닛(2)은 관찰용 윈도우(7)를 가지며, 약물을 구비한 용기(4)를 포함한다. 약물 용기(4)는 단일 또는 다중 전달을 위한 주사기(S) 및 카트리지(C) 중 하나이다.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근위 일회용 유닛(2)은 재사용 가능 유닛(1)보다 세부 사항이 적다.
유닛(2)은 유닛(1) 및 그의 하우징(11)에 대한 것과 동일한 축인 중심축(A)을 갖는 종방향 하우징(21), 제1 약물 전달 단부(22) 및 제2 중공 연결 단부(23)를 포함한다(도 1). 유닛(2)은 주입 바늘(20)(도시되지 않음)을 덮고 보호하기 위해 약물 전달 단부(22) 상의 보호 컵(8) 및 연결 단부(23) 상의 후방 컵(28)을 포함한다. 하우징(11, 21)은 단면 및 치수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유닛(2) 및/또는 유닛(2)의 하우징(21)은 연결 단부(23)를 통해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의 중심축(A)을 따라 연결 단부(23)를 유닛(1)의 연결 단부(13)의 축방향 수용 개구부(16) 내에 삽입함으로써 유닛(1)의 연결 단부(13) 및/또는 유닛(1)의 하우징(11)과 상호 연결될 것이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1)은 스스로 유닛(1)의 연결 단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연결 단부(23)는 제1 유닛(1)의 연결 단부(13)의 수용 개구부(16)에 삽입될 것이지만, 역으로, 유닛(1)의 하우징(11)이 유닛(2)의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약물 용기(4)는 일회용 유닛(2)의 하우징(21)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유닛(1)의 연결 단부(13)에 있는 축방향 수용 개구부(16)의 내면(14)의 기하학적 형태 또는 프로파일은 축(A)에 직교하여 보여지는 상이한 단면 형상 및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유닛(2)의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의 삽입을 위한 안내면(14)으로서 작용한다.
제1 실시예의 근위 일회용 유닛(2)의 하우징(21)은 그 연결 단부(23)에서 도 2 및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가요성 부분(25) 또는 가요성 아암(25)을 갖는데, 이들은, 삽입 순서를 나타내는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부(23)가 연결 단부(13)의 개구부(16) 내에 삽입되고 외부 힘이 이들에 가해질 때, 축(A)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축(A)에 대해 내향으로 더 가깝게 휘어져서 축(A)에 대해 반경방향 및 직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가요성 부분(25)은 단부(23)에서 축방향(도 1 참조)으로 외향으로 연장된 렛지(ledge)(29)를 갖는다.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는 그 단부에 하우징(11)에 삽입될 개구부(23')를 갖는다.
가요성 부분(25)은 축(A)에 대해 직교방향 내향 및/또는 외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가요성 부분이 예컨대 축(A)에 대해 내외로 휘어져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제1 실시예에서, 가요성 부분(25)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텅(tongue)(25)의 형태로 근위 일회용 유닛(2)의 연결 단부(23)에서 하우징(21)과 일체형 요소로 만들어지지만,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가요성 부분(25)은 반경방향 외향으로 또는 축(A)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렛지(29)를 갖는다. 하우징(21)은 요구되는 특성을 갖는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제1 실시예에서, 개구부(16)는 직경이 감소하는 제1 경사부 또는 경사면(14A) 및 축(A)에 대해 직경이 증가하여 홈(14')을 형성하는 또 다른 제2 경사부 또는 경사면(14B)을 갖는 원통형 내면(14)을 구비한다. 제1 경사부(14A)는 가요성 부분(25)의 렛지(29)를 안내하여 이들을 직교방향 내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제2 경사부(14B)는 가요성 부분(25)을 직교방향 외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연장부 또는 렛지(29)를 홈(14')에 끼워맞춘다. 개구부(16)는 그 원위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폐쇄 단부(12)를 향해 원형 홈(14')을 갖는다. 홈(14')은 가요성 부분(25)의 외향 휨으로 인한 하우징(11, 21) 사이의 스냅-잠금(snap-locking)을 수행하기 위해 하우징(11) 상의 대응 연장부 또는 렛지(29)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홈(14')의 직경은 개구부(16)의 가장 좁은 부분 또는 넥(neck)보다 크고 대략적으로 외측 렛지(29)의 치수와 동일하다. 홈(14')이 개구부(16)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삽입시에 가요성 부분(25)은 축(A)에 대해 외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 유닛(1, 2) 및 이들의 하우징(11, 21)의 예비 연결의 제1 단계는 가요성 부분(25)의 확장으로 인해 자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 21) 또는 유닛(1, 2)이 주입 과정 이전 또는 그 동안에 태만으로 사용자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잠금 요소(17)가 추가로 제공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부분(25)이 삽입의 말미에 반경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잠금 요소(17)와의 접촉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되고, 잠금 요소(17)는 압축 스프링(19)에 의해 근위 단부(13)의 방향으로 개구부(23) 내로 압박된다. 사용자는 유닛(1, 2)의 확립된 연결에 대한 스냅 클릭(snap click)과 같은 명확한 신호를 수신한다. 2개의 유닛(1, 2)의 스냅 연결은 가요성 부분(25)의 유연성 및 수용하고 상호 작용하며 상호 연결되는 표면들(14, 14A, 14B)의 대응하는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발생한다.
잠금 요소(17)는 또한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유닛(1, 2)의 연결 단부(13, 23)를 서로에 대해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해 가요성 부분(25) 및 잠금 요소(17) 중 하나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으로 인해 가요성 부분(25)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17)는 플런저 로드(5)에 연결되고, 플런저 로드(5)에 의해 왕복 운동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 잠금 요소는 다른 동등한 수단으로 대체되어 제거될 수도 있다.
도 1, 도 3b 및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요소(17)는 프레임(38) 내에 위치되고, 구동 요소 또는 플런저 로드(5) 주위에 배치된 나선형 스프링(19)에 의해 일회용 부분(2) 방향으로 또는 하우징(11)의 개구부(16) 방향으로 로딩된다. 스프링(19)은 프레임(38) 상에 장착된 구동 유닛(3)과 잠금 요소(17) 사이에 배치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9)은 프레임(38) 상에 놓이고 잠금 요소(17)를 로딩한다. 본 실시예의 잠금 요소(17)는, 가요성 요소(25)와 상호 작용할 때 가요성 요소(25)의 반경방향 또는 직교방향 내향 이동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유닛(1, 2)의 스냅 연결의 해제를 방지하는 잠금 링(17)으로서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잠금 요소(17)의 기능은, 주입 과정 이전에 그리고 그 동안에, 약물 전달 장치(10)를 형성하는 하우징(11, 21) 사이의 스냅 연결의 적절한 잠금을 보장하는 것이다. 잠금 요소(17)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잠금 요소(17)는 약물 전달 장치(10)의 유닛(1, 2)을 서로에 대해 잠그고 주입을 위해 장치(10)를 준비시킬 때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닛(1, 2)의 스냅 연결을 해제할 때 플런저 로드(5)에 의해 축방향으로 폐쇄 원위 단부(12) 쪽으로 이동된다.
도 1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3)은 하우징(11) 내부에서 폐쇄 단부(12)에 가깝게 위치된다. 여기에서는 기어(6)로서 예시된 트랜스미션(6)을 통해 구동 유닛(3)은 플런저 로드(5)와 같은 구동 요소(5)와 상호 작용한다.
구동 유닛(3)은 기계식, 전자기계식, 공압식 또는 전기식 구동부 또는 모터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유형 중 하나일 수 있다. 구동 유닛(3)은 기계식 구동 장치(30), 공압식 구동 장치(31) 및 전기식 구동 장치(32)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모터(32)가 사용되는 경우, 장치(10) 또는 구동 유닛(3)에는 예컨대 약 6볼트의 배터리(37)가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구동 유닛(3)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8) 상에 장착되고, 인쇄 회로(39)의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전기 모터(32)는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런저 로드(5)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으며, 플런저 로드(5)의 운동은 다수의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플런저 로드(5)는 통상적으로 플런저 로드(5)가 일회용 유닛(2)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예컨대 주사기(S)의 플런저(41)를 밀어서 주입을 수행하는 것에 의한 주입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런저 로드(5)가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즉 최초에는 주입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장치(10)의 근위 단부 쪽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폐쇄 단부(12) 쪽으로 이동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자동 약물 전달 장치의 설계가 있다.
플런저 로드(5)는 첫째로는 플런저(41)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카트리지(C) 또는 주사기(S)와 같은 용기(4)로부터의 약물 전달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둘째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입이 완료된 후 유닛(1, 2)의 분리를 보조하기 위해 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약물 전달 장치(10)의 제1 연결 상태에서, 도 6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유닛(2)의 연결 단부(23)를 유닛(1)의 개구부(16) 내로 삽입하는 것의 시작시에, 가요성 부분(25)은 스프링 로딩된 잠금 요소(17)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가요성 부분(25)의 연장부 또는 렛지(29)는 원통형 내면(14)을 따라 압축 없이 활주하고 있다. 계속된 운동에서, 경사면(14A)을 따른 이동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부분(25)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잠금 요소(17)를 스프링(19)의 힘에 대항하여 폐쇄 원위 단부(12) 쪽으로 압박한다. 내향으로 압축된 가요성 부분(25)은, 연장부(29)가 홈(14')에 도달할 때까지, 잠금 스프링(19)을 압축하고 있는 잠금 요소(17)를 밀어 내고 있다. 홈(14')은 연장부(29)를 수용하여 이들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한다. 이는 중공 연결 단부(23)의 개구부(23')의 직경을 증가시켜서 잠금 요소(17)를 가요성 부분(25)으로부터의 압력으로부터 해제시킨다. 이제, 잠금 요소(17)가 해제되어 잠금 스프링(19)에 의해 강제로 근위 유닛(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개구부(23') 내로 진입하여(도 6c에 도시됨), 가요성 부분 또는 요소(25)에 대해 외향 압력을 가한다. 연장부 또는 렛지(29)는 홈(14') 내에 고정되어 가요성 부분(25)이 축(A)에 대해 다시 내향으로 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는 단 한번의 움직임으로 연결 단부(13, 23) 및 유닛(1, 2)의 연결을 자동으로 확립하고 고정시킨다.
유닛(1, 2) 사이의 임의의 회전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 방지 렛지 또는 연장부(21A)(도시되지 않음)가 하우징(21)의 외면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원형 렛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렛지(21A)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렛지(21A)는 하우징(21)의 외면 상에 종방향 연장부(21A)로서 제조될 수 있다. 렛지 및/또는 연장부(21A)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단부(13)의 내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리세스(13A)에 꼭 끼워지는데, 도 6g는 축(A)에 수직으로 바라본 단면도로서, 2개의 렛지/연장부(21A)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유닛(1)에 대한 축(A) 둘레로의 유닛(2)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잠금 요소(17)와 같은 상호 작용 부분과 개구부(23')를 형성하는 가요성 부분(25)의 내면 사이의 공차로 인해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 이미 상호 연결된 유닛(1, 2)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된 간극은 재사용 가능 유닛(1)을 일회용 유닛(2)에 연결할 때 유닛(1, 2)이 적절하게 장착되었음을 알려서 사용자들 사이의 신뢰를 증가시킨다. 유닛(1, 2) 사이의 꼭 끼워맞춤은 또한 사용 전에 장치(10)의 견고성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를 증가시킨다.
간극 없는 연결은 삽입된 유닛(2)이 모든 자유도에서의 어떠한 움직임(예컨대 재사용 가능 유닛에 대한 임의의 병진 또는 회전)도 방지될 것임을 의미한다. 이를 달성하고, 2개의 유닛(1, 2)의 연결시에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의 제조 동안 여전히 편차(예컨대, 공차)를 허용하기 위해, 장치(10)는 연결로 인한 모든 간극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여전히 유닛(1, 2)을 서로에 대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제1 실시예에서, 간극 제거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1) 연결 단부(13)(단부(13)의 경사면(14B)은 축(A)에 대해 각도(β)로 경사질 것임)와, 경사면(14B)과 상호 작용하며 대응하는 경사각(β)을 갖는 가요성 부분(25)의 연장부(29) 사이의 제1 원추면 연결부; 축(A)에 대해 각도(α)로 경사진 잠금 요소(17)의 외면과, 대응하는 경사각(α)을 갖는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의 개구부(23')의 내면과의 제2 원추면 연결부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부(13) 및 하우징(21)의 서로에 대한 종방향 안정화를 위해, 잠금 요소(17)로부터 축(A)을 따라 근위 단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에 연결 단부(13)와 하우징(21) 사이의 제3 원추면 연결부가 배열되고, 제1 및 제2 원추면 타입 연결부와는 별도로 위치된다. 연결 단부(13) 및 하우징(21)과 축(A) 사이의 각도(γ)를 갖는 제3 원추면 연결부는 이들 3개의 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종방향으로 약간 변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부분들을 제조할 때의 공차를 보상한다. 이러한 모든 원추면 연결부는 제조 치수의 공차를 보상하고 연결된 부분들 사이에 꼭 끼워맞춤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요소들의 위치를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2)을 떼어내기 위해 가해지는 임의의 힘(F2)(즉, 플런저 로드(5)의 힘)은 가요성 부분(25)의 각도로 인한 것으로서 힘(F2)을 각도(β)의 탄젠트로 나눈 것과 동일한 반경방향 힘(F3)(도시되지 않음)을 생성할 것이다. 이 힘(F3)은 이어서 축(A) 방향으로 힘 성분(F4)을 생성할 것인데, 이는 힘(F2)에, 각도(α)의 탄젠트를 각도(β)의 탄젠트로 나눈 값을 곱한 것과 동일하다. 잠금 요소(17)는 잠금 스프링(19)의 힘(F1)에 의해 가압되는데, 이 힘(F1)이 최종 축방향 힘(F4)(도시되지 않음)보다 큰 한, 유닛(2)은 유닛(1)의 개구부(16) 내에 고정 및 유지될 것이다. 이것은, 충분한 힘으로 잠금 요소(17)를 여전히 로딩하지만 밀어내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더 작고 가벼우며 약한 스프링(19)을 얻기 위해, 각도 0<α<90°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할 것이며, 예컨대 약 7-10°이다. 동일한 이유로, 각도 0<β<90°는 가능한 한 커야 할 것이며, 예컨대 약 30-55°이다. 충분한 힘이란 이 힘(F1)이 내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잠금 요소(17)를 원위 단부 쪽으로 밀어내는 가요성 부분(25)에 의해 가해지는 힘(F4)을 상쇄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간극을 배제하는 원추형의 연결부는 잠금 요소(17)와 가요성 부분(25)의 상호 작용 표면들, 가요성 부분(25) 및/또는 그의 연장부(29)와 유닛(1)의 연결 단부(13)의 상호 작용 표면들 및 유닛(1, 2)의 연결 단부(13, 23)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때때로 카세트라고 불리는 일회용 유닛(2)의 하우징(21)의 위치뿐만 아니라 부분들에 대한 공차 에러를 설명하기 위해, 각도(α)는 가요성 부분(25)과 연결 단부(13) 사이의 간극 없는 연결뿐만 아니라 유닛(2) 및 잠금 요소(17)를 위한 가요성 부분(25) 내에서의 꼭 끼워맞춤을 항상 보장하기에 충분히 크다. 공칭 치수로부터의 편차는 잠금 요소(17)에 대한 축(A) 방향으로의 더 짧거나 더 긴 운동을 초래할 것이다.
가변 공차는 부분들의 길이, 직경 또는 두께와 같은 모든 유형이 될 수 있다. 간단한 회전 방지 렛지/연장부-리세스 연결부에 추가하여 이러한 원추형 연결부들은 두 개의 유닛(1, 2)을 모든 자유도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장치(10) 상태에서, 주입이 완료된 후, 약물 전달 장치(10)가 바람직하게 쉽게 분리될 때, 구동 유닛(3)은 플런저 로드(5)를 폐쇄 원위 단부(12) 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플런저 로드(5)에 연결되어 있는 잠금 요소(17)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추종하여 개구부(23')에서 빠져 나온다. 이는 가요성 요소(25)의 내면을 잠금 요소(17)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해제하여 가요성 요소(25)가 내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한다. 연장부(29)는 부분(25)의 내향으로의 휨으로 인해 홈(14')을 떠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 단부(13, 23) 및 유닛(1 및 2)의 분리가 가능하다. 구동 유닛(3)은 플런저 로드(5)를 통해 잠금 요소(17)를 도 6e에 도시된 초기 휴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장치(10)의 제1 연결 및 잠금 상태에서, 연결 단부(23)가 개구부(16) 내에 삽입될 때, 렛지(29)가 경사면(14A, 14B)을 따라 안내되어 가요성 부분(25)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시키고, 렛지(29)가 홈(14')에 도달하고 홈(14')에 의해 수용될 때까지, 개방 단부(13) 방향으로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딩된 잠금 요소(17)를 가요성 부분(25)의 외부 에지에 의해 내향으로 누르는데, 홈(14')은 가요성 부분(25)이 축(A)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하여 연결 단부(13)에 대해 연결 단부(23)를, 그리고 그에 따라 하우징(21)에 대해 하우징(11)을 스냅 잠금하게 한다. 그와 동시에, 외향으로 확장된 가요성 부분(25)은 잠금 요소(17)에 대한 가압을 멈추고 그에 따라 스프링(19)이 해제되어 잠금 요소(17)를 축방향으로 근위 하우징(21) 방향으로 밀어낸다. 잠금 요소(17)는 가요성 부분(25)이 연결 단부(13)의 개구부(16)의 경사면(14A, 14B)과 상호 작용할 때 가요성 부분(25)을 외향으로 가압하도록 연결 단부(23)의 개구부(23')로 진입한다. 이는 연결 단부(13, 23) 및 그에 따른 하우징(11, 21)의 분리를 방지한다. 장치(10)의 제2 해제 상태에서, 주입이 이미 완료된 때, 잠금 요소(17)는 원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구동 요소(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요성 부분(25)은 연결 단부(13)의 내면(14, 14A, 14B) 쪽으로 가압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고, 이에 의해 가요성 부분(25)이 축(A)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결 단부(13, 23) 및 대응하는 하우징(11, 21)이 서로 분리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요성 부분(25)은 원위 하우징(11)의 연결 단부(13)에 있는 수용 개구부(16)에 삽입될 근위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에 일체로 마련된다. 수용 개구부(16)는 그 내면(14)에서 반경방향 치수가 다양한 종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대응하는 종단면을 외면에 갖는 가요성 부분(25)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장치(10)의 제1 상태에서 유닛(1, 2)의 연결 단부(13, 23) 및 이들의 하우징(11, 21)을 서로에 대해 삽입 및 잠금하고,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 유닛(2)의 연결 단부(23)를 유닛(1)의 연결 단부(13)로부터 해제함으로써 하우징(11, 21)을 서로에 대한 연결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가요성 부분(25)의 원위 단부에는 하우징(21)의 일체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렛지(29)가 있다. 하우징(21)은 축방향 개구부(23')가 있는 중공 연결 단부(23)를 갖는다. 연결 단부(23)는 경사진 벽면(14A, 14B) 및 홈(14')을 갖는 연결 단부(13)의 수용 개구부(16)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홈(14')은 연결 단부(13, 23) 및 그에 따른 대응하는 하우징(11, 21)을 서로에 대해 스냅 잠금하기 위해 렛지(29)를 수용할 수 있다.
도 8은 원위 유닛(1)의 부분 종단면을 갖는 연결된 유닛(1, 2)을 도시하는데, 도 8a 및 도 8b에서는 모든 요소 및 전자 센서 또는 탐지기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38)을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센서는 전기 모터(32)를 제어하는 스위치(40, 42)이다. 도 9a 내지 도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2)는 잠금 요소(17)의 움직임을 탐지하고, 스위치(40)는 연결 단부(23)의 후방 컵(28)을 탐지함으로써, 흔히 카세트라고 하는 근위 유닛(2)의 연결 단부(23)의 삽입에 반응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에 직교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a는 유닛(2)의 삽입 연결 단부(23)의 후방 컵(28)이 사용자 손에 의해 강제되어 센서(40, 42)를 구비한 유닛(1)의 원위 폐쇄 단부(12)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상태의 삽입 과정의 시작을 도시하는데, 양 센서(40, 42)는 여전히 비활성화되어 있다.
도 9b는, 잠금 요소(17)가 원위 유닛(1)의 원위 단부 쪽으로 압박되고 그 에지에 의해 센서(42)에 도달하여 이를 활성화시키는 반면에, 센서(40)는 후방 컵과 접촉하지 않아서 여전히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의 제2 위치를 도시한다. 도 9c는 후방 컵(28)이 센서(40)에 도달하여 센서(40)를 활성화시키는 반면에 잠금 요소(17)가 (스프링(19)에 의해) 연결 단부(23)의 개구부(23') 내로 이동함에 따라 센서(40)가 해제 및 비활성되어 유닛(1, 2)의 상호 연결을 확보하는 제3 위치를 도시한다. 센서(42)가 해제되지 않으면, 이는 유닛(1, 2)이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들 센서(40, 42)는 정확한 자동 연결 시퀀스를 알린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조립된 장치(10)의 2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축(A)을 따라 결합될 2개의 개별 동축 유닛(1, 2)을 도시한다(원위 재사용 가능 유닛(1)은 종단면이 도시됨). 근위 일회용 유닛(2)은 하우징(21), 약물 전달을 위한 근위 단부(22) 및 근위 재사용 가능 유닛(1)에 연결하기 위한 원위 단부(23)를 포함한다. 중공 하우징(21)은 관찰용 윈도우(7)를 가지며 약물 용기(4)(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 11에서는, 설명을 위해 하우징(11)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근위 일회용 유닛(2)은 약물 전달 장치(10)의 원위 재사용 가능 유닛(1) 내에 삽입된다. 트랜스미션(6) 및 배터리(37)를 구비한 구동 유닛(3)은 유닛(1)의 폐쇄 단부(12)에 인접한 프레임(38)(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된다. 정지 프레임(38)(도 16b)은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11)에 연결된다. 가동 프레임(9) 형태의 내부 요소(9)는 구동 요소(5)를 통해 구동 유닛(3)에 의해 하우징(11)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배열된다. 프레임(9)은 정지 프레임(38)과 가동 프레임(9) 사이에 위치된 몇 개의 스프링(19),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딩된다. 잠금 요소(18)는 그 근위 단부에 의해 유닛(1)의 제2 근위 연결 단부를 형성하는 가동 프레임(9)과 통합된다.
제2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5) 또는 구동 요소(5)는 약물 용기(4)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트랜스미션(6)을 통해 구동 유닛(3)에 의해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약물 용기(4)는 주입을 수행하기 위한 주사기(S) 및 카트리지(C)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플런저 로드(5)는 또한 잠금 요소(18)에 의한 약물 전달 장치(10)의 유닛(1, 2)의 연결 단부(13, 23)의 스냅 연결을 잠그기 위해, 그리고 주입이 완료된 후 연결 단부(13, 23) 및 유닛(1, 2)의 하우징(11, 21)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재사용 가능 유닛(1)의 연결 단부(13)는 원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근위 일회용 유닛(2)의 연결 단부(23)의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개구부(16)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가요성 부분(15)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15)은 또한 구동 유닛(3)을 지지하는 정지 프레임(38) 상에 일체로 마련된다. 가요성 부분(15)은 원위 폐쇄 단부(12)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용 개구부(16)를 형성한다. 개방 연결 단부(13)는 가요성 부분(15)을 둘러싸는 잠금 요소(18)와 통합되고, 정지 하우징(11)에 대해 구동 요소(5)를 통해 구동 유닛(3)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연결 단부(13, 23) 상호 간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와 연결 단부(13, 23) 상호 간의 제2 해제 상태를 허용한다.
가요성 부분(15)의 외면 상에는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형 안내 연장부(15')가 있다.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는 상이한 치수들의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24)의 단부에 렛지(29)가 형성된다. 가요성 부분(15)은 정지 프레임(38)에 연결된다. 플런저 로드(5)는 일회용 부분(2)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약물 주입을 수행하기 위한 주사기(S) 또는 카트리지(C)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주입이 완료되고 일회용 유닛(2)이 제거되어야 할 때, 유닛(1, 2)의 분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의 연결 단부(23)는 종축(A)에 수직으로 보이는 임의의 단면 형상(원형,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일 수 있지만, 이 특정 실시예에서 연결 단부(23)는 바람직하게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에서 원추 원형 연장부 또는 렛지(27)를 갖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도 11 및 도 12는 가요성 요소(15)가 잠금 요소(18)와 통합되어 있는 가동 프레임(9) 내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도시한다. 잠금 요소(18)는 가요성 요소(15)의 외면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가요성 요소(15)를 둘러싼다.
가요성 요소(15)의 외면 상에는 축(A)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쐐기형 연장부(15')가 제공된다. 도 13에 도시된 이 제2 실시예에서, 쐐기형 연장부(15')는 증가 및 감소하는 부분들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갖는다. 이들 쐐기형 연장부(1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 상호 작용한다. 연결 단부(23)가 가요성 요소(15)에 의해 형성된 수용 개구부(16) 내에 삽입될 때, 축방향으로의 가요성 요소(15)의 원위 단부는 연결 단부(23)의 원추형 연장부(27) 상에 놓여 있고 스냅 연결을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도 15는 장치(10)의 연결된 유닛(1, 2)을 도시하는, 도 10a의 화살표 A를 따른 직교 단면도이다. 약물 전달을 위한 유닛(2)의 근위 단부(22)에는 약물 용기(4)의 주입 바늘(20)을 덮는 보호 컵(28)이 제공된다. 플런저 로드(5)는 일 단부가 폐쇄 원위 단부(12)에 연결되고 플런저 로드(5)의 다른 대향 단부는 약물 전달을 활성화시키는 약물 용기(4)의 플런저(41)(도 1에 도시됨)를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플런저(5)는 나선형 스프링(19)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항하여 프레임(9)을 유닛(1)의 근위 단부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운동은 원형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 가요성 요소(15)의 포위된 쐐기형 연장부(15')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가요성 요소(15)가 외향으로 휘어서 수용 개구부(16)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원형 연장부(27)가 통과할 수 있어서 유닛(1, 2)의 분리를 가능케 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이러한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a는 연결 단부(23)의 삽입을 위한 수용 개구부(16)를 형성하는 가요성 부분(15)을 갖는 유닛(1)의 중공 연결 단부(13)만을 도시한다. 도 16b는 관찰용 윈도우를 갖는 연결 단부(23)를 연결 단부(13)의 개구부(16) 내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구동 요소(5)는 통합된 잠금 요소(18)를 갖는 프레임(9)을 통합된 가요성 부분(15)을 갖는 정지 프레임(38)에 대해 원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연결 단부(13) 및 잠금 요소(18)의 기하학적 구조는 가요성 부분(15)의 반경방향 외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의 가요성 부분(15)은, 가요성 부분(15)의 단부가 원형 연장부(27) 상에 놓일 때까지, 유닛(2)이 유닛(1)에 삽입되고 있을 때 연결 단부(23)보다 직경이 더 큰 원형 연장부(27)의 개구부(16)를 통한 통과를 허용하도록 축에 대해 외향으로 휘어진다. 그 후, 구동 요소(5)는 잠금 요소(18)를 갖는 프레임(9)을 원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가요성 부분(15)의 외면 상의 연장부(15')를 도 16c에 도시된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 접촉하게 한다. 이는 잠금 요소(18)가 가요성 부분(15)이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닛(1, 2)의 스냅 연결을 잠그므로 장치(10)의 잠금 위치이다.
이 제2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32)와 같은 구동 유닛(3)에는 배터리(37)가 장착되고 제어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며, 구동 유닛(3)은 플런저 로드(5)의 왕복 운동을 실행하지만, 다른 유형의 구동 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가요성 부분(15)의 외면 상에는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형 안내 연장부(15')가 있다.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는 상이한 치수들의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24)의 단부에 렛지(27)가 형성된다.
장치(10)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에서, 잠금 요소(18)를 구비한 연결 단부(13)는 구동 요소(5)를 통해 구동 유닛(3)에 의해 축방향으로 원위 폐쇄 단부(12) 쪽로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축(A)에 대한 가요성 부분(15)의 반경방향 외향 이동을 허용한다. 이는 가요성 요소(15)의 쐐기형 연장부(15')를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의 상호 작용 상태로부터 해제시켜서 수용 개구부(16)의 직경을 증가시킨다. 이는 더 큰 직경의 렛지 또는 원형 연장부(27)를 갖는 제2 연결 단부(23)의 수용 개구부(16) 내로의 삽입 및 스냅 잠금을 허용한다. 모터 또는 전기식 구동 장치(32)는 플런저 로드(5)와 같은 구동 요소를 통해 가동 프레임(9)을 정지 프레임(38)에 대해 이동시킨다. 스프링(19)은 가동 연결 단부(13)와 하우징(11)에 연결된 정지 프레임(38) 사이에 위치하고, 구동 유닛(3)에 의해 압축 및 해제된다. 구동 유닛(3)은 연결 단부(23)의 삽입에 반응하여 폐쇄 단부(12)와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19)에 의한 연결 단부(13)의 이동을 허용하여 단부(13, 23)의 서로에 대한 스냅 잠금 및 유지를 실행하도록 센서(40, 42)에 의해 제어된다. 연결 단부(23)가 삽입되고 원형 연장부(27)가 가요성 부분(15)의 원위 에지를 지날 때, 전형적인 스냅 연결 "클릭" 소리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연결이 확립되었음을 알린다.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 주입이 완료된 후, 구동 유닛(3)은 연결 단부(13)를 폐쇄 단부(12)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반응하도록 제어되고, 그에 따라 쐐기형 연장부(15')를 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해제함으로써, 가요성 부분(15)이 축(A)에 대해 외향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유닛(1, 2)의 연결 단부(13, 23)를 서로에 대한 연결 상태로부터 해제시킨다.
그리고, 모터(32)가 센서(40, 42)를 통해 주입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모터(32)는 플런저 로드(5)를 근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전에 압축된 스프링(19)이 해제되어 가동 프레임(9)을 잠금 요소(18)에 의해 근위 유닛(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강제하여, 쐐기형 연장부(15')와 잠금 요소(18)의 내면(18')의 연결을 해제시킴으로써, 가요성 요소(15)가 축(A)에 대해 외향으로 휘어져서 렛지(27)의 통과를 허용하고, 그에 따라 유닛(2)의 연결 단부(23)를 유닛(1)의 연결 단부(13)로부터 해제시킨다.
가요성 부분(15) 및 잠금 요소(18 중 하나의 축방향 왕복 운동은 잠금 요소(18)를 축방향으로 로딩하는 스프링(19)과 플런저 로드(5)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달성된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10)는 도 18b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하우징(11)을 갖는 재사용 가능 원위 유닛(1)과, 약물 용기를 수용하는 하우징(21)을 갖는 일회용 유닛(2)을 구비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홀더(34)가 하우징(11) 내에 삽입되어 수용 개구부(16)를 형성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4)를 수용하는 일회용 부분(2)의 하우징(21)은 재사용 가능 원위 유닛(1)의 하우징(11) 내에 삽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1)의 플랜지 단부면에 별개의 가요성 요소 또는 부분(35)이 마련된다. 홀더(34)와 가요성 부분(35) 사이에 별도의 잠금 요소(17)가 제공되고, 이것은 도 2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위 유닛(2)의 방향으로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딩된다. 가요성 부분(35)은 원형 렛지(35')를 갖는다.
가요성 부분(35)은 홀더(34) 내의 적어도 2개의 슬릿(slit)(34')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외향 연장 렛지(35')를 갖는다. 장치(10)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에서,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는 하우징(11)의 홀더(34) 내에 삽입된다. 가요성 부분(35)은 개방 단부(13) 방향으로 잠금 요소(17)를 축방향으로 로딩하는 스프링(19)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하우징(11)의 폐쇄 단부(12) 쪽으로 홀더(34)의 개구부(16)의 안내면(34A, 34B)을 따라 강제되며, 렛지(35')가 슬릿(34')에 의해 수용될 때, 축(A)에 대해 외향으로 휘는 것으로 인해 연결 단부(13, 23)의 스냅 연결을 제공한다. 가동 잠금 요소(17)는 개방 단부(13)의 방향으로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축(A)에 대한 연장 렛지(35')의 반경방향 내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연결 단부(13, 23)를 서로에 대해 잠근다. 장치(10)의 유닛(1, 2)의 제2 분리 상태에서, 잠금 요소(17)는 하우징(11)의 원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구동 요소(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요성 부분(35)을 해제하고 렛지(35')를 축(A)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단부(13, 23) 및 그에 따른 하우징(11, 21)의 분리를 허용하게 한다. 제3 실시예의 잠금 요소(17)는 잠금 링(17)으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가요성 부분(35)은 적어도 2개의 렛지(35')를 갖는 별도의 요소(35)로서 제조되고 연결 단부(23) 상에 배열된다. 연결 단부(13)의 수용 개구부(16)는 별도의 요소로서 연결 단부(13)의 하우징(11) 내에 삽입되는 홀더(34)에 제공된다. 잠금 링(17)은 하우징(11)의 연결 단부(13)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 요소(35)와 상호 작용한다. 개구부(16)는 홀더(34)에 형성되고, 가요성 부분(35)을 안내 및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면을 구비하여, 장치(10)의 제1 상태에서는 연결 단부(13)에 대한 연결 단부(23)의 삽입 및 잠금을 허용하고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는 유닛(1)의 연결 단부(13)에 대한 유닛(2)의 연결 단부(23)의 해제를 허용한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제3 실시예의 자동 약물 전달 장치(10)의 연결 및 분리의 순서를 도시한다. 도 23a는 유닛(2)을 손으로 유닛(1) 내로 누를 때의 삽입 초기 단계를 도시한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더(34)의 내면 상의 안내 프로파일 표면(34A, 34B)은 가요성 부분(35)의 렛지(35')를 대응 슬릿(34') 내로 강제하여 제1 연결 상태로 한다. 도 21a는 별개의 가요성 부분(35)을 수용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별개의 홀더(34)를 도시한다. 도 23b는 가요성 부분의 렛지(35')가 슬릿(34') 내로 안내됨으로써 가요성 부분(35)이 변형된 것을 도시한다. 스프링(19)에 의해 힘을 받는 잠금 요소(17)는 근위 유닛(2) 쪽으로 이동하여 가요성 요소(35)의 내부 개구로 진입하고, 렛지(35')를 슬릿(34')에 고정한 것을 외향으로 가압할 것이다.
따라서, 장치(10)는 제1 연결 및 잠금 상태에 있고, 우발적인 유닛(1, 2)의 분리가 방지된다.
구동 유닛(3), 배터리 및 스프링을 제외하고, 모든 중요한 구성요소들은 정밀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용기(4)는 유리 및 플라스틱 재료 중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주입 과정의 관찰을 허용하기 위해 투명하게 또는 투명하지 않은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3a는 유닛(2)의 하우징(21)이 유닛(1)의 홀더(34) 내의 수용 개구부(16) 내에 삽입될 때의 유닛(1) 및 유닛(2)의 연결 과정을 도시한다. 홀더(34)의 원통형 내면에는 다수의 원형 렛지(35')에 대응하는 다수의 슬릿(34')이 있는데, 이들은 가요성 부분(35)이 축방향으로 이동된 하우징(21)에 의해 홀더(34)의 개구부(16) 내로 가압될 때 가요성 부분(35)의 원형 렛지(35')를 수용한다.
도 23b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삽입 동안 홀더(34)의 안내면이 가요성 요소(35)의 렛지(35')를 내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다. 가요성 요소(35)는 차례로 원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잠금 요소(17)를 축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렛지(35')가 슬릿(34')에 도달하여 슬릿(34')에 의해 수용되고, 렛지(35)는 외향으로 휘어져서 잠금 요소(17)와의 접촉을 해제한다.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잠금 요소(17)는 스프링(19)에 의해 근위 일회용 유닛(2)으로의 방향으로 로딩되고, 홀더 슬릿(34')에 의해 수용된 렛지(35')를 외향으로 가압하도록 가요성 부분(35)으로의 축방향 개구 내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면, 일반적인 스냅 연결 "클릭" 소리가 들리고 연결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이러한 위치에서의 잠금 요소(17)는 재사용 가능 부분(1) 및 일회용 부분(2)의 하우징(11, 21) 사이의 스냅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가요성 부분(35)의 원형 렛지(35')가 축(A)을 향하여 내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도 23c는 주입 과정이 완료될 때 플런저 로드(5)가 구동 유닛(3)에 의해 재사용 가능 원위 유닛의 원위 폐쇄 단부(12)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잠금 요소(17)가 플런저 로드(5)에 연결됨에 따라, 그것은 가요성 부분(35)과의 결합으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가요성 부분(35)의 렛지(35')는 축(A)을 향해 내향으로 휘어지고 홀더(34)의 슬릿(34')과 분리됨으로써, 유닛(1, 2)의 스냅 연결을 해제한다.
가요성 부분(35)은 홀더(34) 내의 적어도 2개의 슬릿(34')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외향 연장 렛지(35')를 갖는다. 장치(10)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에서,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는 하우징(11)의 홀더(34)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 부분(35)이 개방 단부(13) 방향으로 잠금 요소(17)를 축방향으로 로딩하는 스프링(19)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하우징(11)의 폐쇄 단부(12) 쪽으로 홀더(34)의 개구부(16)의 안내면(34A, 34B)을 따라 강제된다. 렛지(35')가 슬릿(34')에 의해 수용될 때, 축(A)에 대해 외향으로 휘는 것으로 인해 연결 단부(13, 23)의 스냅 연결을 제공한다. 가동 잠금 요소(17)는 개방 단부(13)의 방향으로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축(A)에 대한 연장 렛지(35')의 반경방향 내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연결 단부(13, 23) 및 하우징(11, 21)을 서로에 대해 잠근다. 장치(10)의 제2 분리 상태에서, 잠금 요소(17)는 하우징(11)의 원위 폐쇄 단부(12)의 방향으로 구동 요소(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요성 부분(35)을 해제하고 렛지(35')를 축(A)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단부(13, 23) 및 그에 따른 유닛(1, 2) 및 이들의 하우징(11, 21)의 분리를 허용하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에서, 제1 유닛(1) 및 제2 유닛(2)의 하우징(11, 21)은 원형, 타원형 및 다면체의 단면 형상 중 하나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유닛(1) 및 제2 유닛(2)의 하우징(11, 21)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유닛(1) 및 제2 유닛(2)의 하우징(11, 21)은 동일한 외부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전술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예시 및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변경 및/또는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축(A)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1)로서, 상기 장치(10)는,
    - 원위 폐쇄 단부(12) 및 개방 근위 연결 단부(13)를 갖는 제1 유닛(1)― 상기 제1 유닛(1)은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구동 요소(5)를 갖는 구동 유닛(3)을 포함함 ―; 및
    - 약물 용기(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21), 제1 근위 약물 전달 단부(22) 및 제2 원위 연결 단부(23)를 갖는 제2 유닛(2)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2)의 원위 연결 단부(23)는 제2 연결 단부(23)를 축(A)을 따라 개방 연결 단부(13)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유닛(1)의 개방 근위 연결 단부(13)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단부(13, 23) 중 하나에는 상기 개방 연결 단부(13) 내로의 제2 연결 단부(23)의 삽입에 의해 생성된 힘으로 인해 축(A)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 및 외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15, 25, 35)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닛(1) 내에 가동 잠금 요소(17, 18)가 동축으로 배열되고, 상기 가동 잠금 요소(17, 18)는 상기 가요성 부분(15, 25, 35) 및 상기 잠금 요소(17, 18) 중 하나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으로 인해 상기 가요성 부분(15, 25, 35)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장치(10)의 연결 단부(13, 23)를 서로에 대해 잠금 및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별도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요소(17) 및 상기 연결 단부(13)와 통합된 잠금 요소(18)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15, 25, 35)은 프레임(38) 및 연결 단부(23) 중 하나의 일체형 부분(15, 25) 및 연결 단부(13, 23) 중 하나에 배열된 별도의 가요성 부분(35)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3)을 지지하는 정지 프레임(38)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15)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가요성 부분(15)은 상기 원위 폐쇄 단부(12)를 향해 축(A)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용 개구부(16)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 연결 단부(13)는 상기 가요성 부분(15)을 둘러싸는 잠금 요소(18)와 통합되고, 상기 정지 하우징(11)에 대해 상기 구동 요소(5)를 통해 구동 유닛(3)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연결 단부(13, 23) 상호 간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와 상기 연결 단부(13, 23) 상호 간의 제2 해제 상태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15)의 외면에는 상기 잠금 요소(20)의 내면(18')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형 안내 연장부(15')가 있고, 상기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는 다양한 치수들의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의 외면(24)의 단부에 연장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요소(18)를 구비한 상기 연결 단부(13)는 상기 구동 유닛(3)에 의해 상기 구동 요소(5)를 통해 상기 원위 폐쇄 단부(12)로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축(A)에 대한 상기 가요성 부분(15)의 반경방향 외향 이동을 허용하여 상기 가요성 부분(15)의 쐐기형 연장부(15')를 상기 잠금 요소(18)의 내면(18')과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해제시키며, 상기 원형 연장부(27)를 갖는 상기 제2 연결 단부(23)의 상기 수용 개구부(16) 내로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가동 연결 단부(13)와 상기 정지 프레임(38)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19)이 압축되고; 상기 구동 유닛(3)은 상기 연결 단부(13, 23)의 서로에 대한 스냅 잠금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연결 단부(23)의 삽입에 반응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폐쇄 단부(12)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19)에 의한 상기 연결 단부(13)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3)은 상기 연결 단부(13)를 상기 폐쇄 단부(12) 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반응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가요성 부분(15)이 축(A)에 대해 외향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유닛(1, 2)의 연결 단부(13, 23)를 서로에 대한 연결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25)은 상기 원위 하우징(11)의 연결 단부(13) 내의 수용 개구부(2) 내로 삽입될 상기 근위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 상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수용 개구부(16)의 내면(14) 상에는 다양한 반경방향 치수의 종단면 형상이 제공되며, 상기 내면(14)은 그 외면 상에 대응하는 종단면을 갖는 가요성 부분(25)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10)의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유닛(1, 2)의 하우징(11, 21)의 연결 단부(13, 23)의 서로에 대한 삽입 및 잠금을 허용하고 상기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유닛(2)의 연결 단부(23)의, 상기 유닛(1)의 연결 단부(13)로부터의 해제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25)의 (원위) 단부에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렛지(29)가 있고, 상기 가요성 부분(25)은 상기 하우징(21)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21)은 축방향 개구부(23')를 갖는 중공 연결 단부(23)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단부(23)는 경사진 벽면(14A, 14B), 및 상기 연결 단부(13, 23)를 서로에 대해 스냅 잠금하기 위해 상기 렛지(29)를 수용할 수 있는 홈(14')을 갖는 상기 연결 단부(13)의 수용 개구부(16)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9. 제 7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의 제1 연결 및 잠금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부(23)가 상기 개구부(16)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렛지(29)는 경사진 벽면(14A, 14B)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가요성 부분(25)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렛지(29)가 상기 홈(14')에 의해 수용될 때까지, 상기 개방 연결 단부(13)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딩된 상기 잠금 요소(17)를 가요성 부분(25)의 외부 에지에 의해 누르고, 상기 홈(14')은 상기 가요성 부분(25)이 축(A)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하우징(11)을 상기 하우징(21)에 대해 스냅 잠금시키고; 이와 동시에, 외향으로 확장된 가요성 부분(25)은 상기 잠금 요소(17)에 대한 가압을 멈추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19)이 해제되어 상기 잠금 요소(17)를 축방향으로 근위 하우징(21)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연결 단부(23) 상의 개구부(23') 내로 진입시켜서, 상기 가요성 부분(25)이 상기 연결 단부(13)의 개구부(16)의 경사진 벽면(14A, 14B)과 상호 작용할 때 상기 가요성 부분(25)을 외향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 단부(13, 23)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장치(10)의 제2 해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요소(17)가 원위 폐쇄 단부(12) 방향으로 상기 구동 요소(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가요성 부분(25)은 상기 연결 단부(13)의 내면(14, 14A, 14B)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가요성 부분(25)이 축(A)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 단부(13, 23)를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35)은 적어도 2개의 렛지(35')를 갖는 별도의 요소(35)로서 제조되며 상기 연결 단부(23) 상에 배열되고; 상기 연결 단부(13)의 수용 개구부(16)는 별도의 요소로서 상기 연결 단부(13)의 하우징(11) 내에 삽입되는 홀더(34)에 제공되고, 잠금 요소(17)가 상기 홀더(34)와 상기 가요성 요소(35) 사이에서 상기 홀더(34) 내에 삽입되고; 상기 개구부(16)는 상기 홀더(34)에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부분(35)을 안내 및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면을 구비하여, 상기 장치(10)의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단부(13)에 대한 상기 연결 단부(23)의 삽입 및 잠금을 허용하고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단부(13)에 대한 상기 연결 단부(23)의 해제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35)은 상기 홀더(34) 내의 적어도 2개의 슬릿(slit)(34')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외향 연장 렛지(35')를 갖고; 상기 장치(10)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21)의 연결 단부(23)가 하우징(11)의 홀더(34) 내에 삽입되고, 상기 가요성 부분(35)을, 개방 연결 단부(13) 방향으로 상기 잠금 요소(17)를 축방향으로 로딩하는 상기 스프링(19)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의 폐쇄 단부(12) 쪽으로 상기 홀더(34)의 개구부(16)의 안내면(34A, 34B)을 따라 강제하여, 상기 렛지(35')가 상기 슬릿(34')에 의해 수용될 때, 축(A)에 대해 외향으로 휘는 것으로 인해 상기 연결 단부(13, 23)의 스냅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가동 잠금 요소(17)는 개방 연결 단부(13)의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19)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축(A)에 대한 상기 연장 렛지(35')의 반경방향 내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1, 21)을 서로에 대해 잠그고; 제2 분리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 요소(17)가 상기 하우징(11)의 원위 폐쇄 단부(12)의 방향으로 상기 구동 요소(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요성 부분(35)을 해제하고 상기 렛지(35')를 축(A)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11, 21)의 분리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의 제1 삽입 및 잠금 상태는 하나의 단일 단계 또는 2개의 개별 단계에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5)는 주입을 수행하기 위한 약물 용기(4)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트랜스미션(6)을 통해 상기 구동 유닛(3)에 의해 왕복 운동 가능한 플런저 로드(5)이고, 상기 플런저 로드(5)는 상기 잠금 요소(18)에 의한 상기 장치(10)의 연결 단부(13, 23)의 스냅 연결을 잠그고, 주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우징(11, 21)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3)은 기계식 구동 장치(30), 공압식 구동 장치(31) 및 전기식 구동 장치(32)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용기(4)는 주사기(S) 및 카트리지(C)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207023342A 2018-02-19 2019-02-01 간편하게 연결되는 일회용 유닛 및 재사용 가능 유닛을 갖춘 약물 전달 장치 KR102414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7314.8 2018-02-19
EP18157314 2018-02-19
PCT/EP2019/052471 WO2019158372A1 (en) 2018-02-19 2019-02-01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an easily connected disposable and reusable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676A true KR20200110676A (ko) 2020-09-24
KR102414665B1 KR102414665B1 (ko) 2022-06-29

Family

ID=6124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42A KR102414665B1 (ko) 2018-02-19 2019-02-01 간편하게 연결되는 일회용 유닛 및 재사용 가능 유닛을 갖춘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38817A1 (ko)
EP (1) EP3755401A1 (ko)
JP (1) JP7022839B2 (ko)
KR (1) KR102414665B1 (ko)
CN (1) CN111727067B (ko)
WO (1) WO20191583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795A1 (ko) * 2021-12-24 2023-06-29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7103A1 (de) * 2018-03-26 2019-09-26 Henke-Sass, Wolf Gmbh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Fluids
WO2021254744A1 (en) * 2020-06-16 2021-12-23 Shl Medical Ag Cassett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cassette
US11850402B2 (en) 2020-07-09 2023-12-26 Eli Lilly And Company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reusable portion
EP4232124A1 (en) 2020-10-23 2023-08-30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delivery device including disposable and reusable portions
EP4019064A1 (en) 2020-12-22 2022-06-29 Ypsomed AG Modular injection system
EP4129363A1 (en) 2021-08-03 2023-02-08 Ypsomed AG Auto injector with disposable syringe unit
EP4134114A1 (en) * 2021-08-13 2023-02-15 Ypsomed AG Mechanical controlling structure for a drug delivery device
EP4166171A1 (en) 2021-10-14 2023-04-19 Ypsomed AG Pre-assembled cartridge unit for injection device
WO2023078858A1 (en) * 2021-11-03 2023-05-11 Sanofi Drug delivery device and electronic unit
WO2023078852A1 (en) * 2021-11-03 2023-05-11 Sanofi Drug delivery device, drug reservoir unit and set
WO2023078856A2 (en) * 2021-11-04 2023-05-11 Sanofi Drug delivery device
GB2622866A (en) * 2022-09-30 2024-04-03 Owen Mumford Ltd Syringe apparatu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5185A (ja) * 2009-05-01 2012-10-22 オウエン マンフォード リミティド 注射装置
US20130204203A1 (en) * 2010-03-16 2013-08-0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ug Delivery Device
JP2013538637A (ja) * 2010-09-30 2013-10-17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可撓性ファスナ
JP2014503279A (ja) * 2010-12-21 2014-02-13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注射器
KR20140114813A (ko) * 2011-11-24 2014-09-29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자동 주사 장치
US20140336589A1 (en) * 2008-03-10 2014-11-13 Antares Pharma, Inc. Injector safety device
KR20150038607A (ko) * 2011-08-31 2015-04-08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주사 장치
US20160296702A1 (en) * 2009-02-13 2016-10-13 Novo Nordisk A/S Medical Device and Cartridge
KR20170103891A (ko) * 2015-02-09 2017-09-13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약물 전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440825A (zh) 2013-01-15 2014-11-01 Carebay Europe Ltd 藥物輸送裝置
RU2621536C2 (ru) * 2013-03-25 2017-06-06 Кэрбей Юроп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ее запорный механизм
ES2633351T3 (es) 2013-08-09 2017-09-20 Giesecke+Devrient Mobile Security Gmbh Procedimientos y dispositivos para realizar un cambio de red móvil
WO2015121081A1 (en) * 2014-02-17 2015-08-20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delivery finish signal dela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6589A1 (en) * 2008-03-10 2014-11-13 Antares Pharma, Inc. Injector safety device
US20160296702A1 (en) * 2009-02-13 2016-10-13 Novo Nordisk A/S Medical Device and Cartridge
JP2012525185A (ja) * 2009-05-01 2012-10-22 オウエン マンフォード リミティド 注射装置
US20130204203A1 (en) * 2010-03-16 2013-08-0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ug Delivery Device
JP2013538637A (ja) * 2010-09-30 2013-10-17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可撓性ファスナ
JP2014503279A (ja) * 2010-12-21 2014-02-13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注射器
KR20150038607A (ko) * 2011-08-31 2015-04-08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주사 장치
KR20140114813A (ko) * 2011-11-24 2014-09-29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자동 주사 장치
KR20170103891A (ko) * 2015-02-09 2017-09-13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약물 전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795A1 (ko) * 2021-12-24 2023-06-29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27067A (zh) 2020-09-29
CN111727067B (zh) 2022-12-06
KR102414665B1 (ko) 2022-06-29
EP3755401A1 (en) 2020-12-30
JP2021513897A (ja) 2021-06-03
JP7022839B2 (ja) 2022-02-18
US20210038817A1 (en) 2021-02-11
WO2019158372A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0676A (ko) 간편하게 연결되는 일회용 유닛 및 재사용 가능 유닛을 갖춘 약물 전달 장치
EP2646085B1 (en) A drive assembly for an autoinj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n autoinjector
US10933193B2 (en) Injection device
JP5897007B2 (ja) カートリッジホルダ及び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を組立てる方法
KR102651644B1 (ko) 지지 구조체, 약물 전달 장치, 및 조립 방법
US11944795B2 (en) Injection device with safe trigger function
JP2020505202A (ja) 自動注射器デバイス
GB2465389A (en) Syringe needle cover remover
HU227056B1 (hu) Fecskendõpatron
EP3630233A2 (en) Auto injector with recap prevention
US11318256B2 (en) Injection device
KR20240055841A (ko)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
KR20240043760A (ko) 약물 전달 장치 조립 방법
EP3442621A1 (en) Inj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