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841A -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841A
KR20240055841A KR1020247012018A KR20247012018A KR20240055841A KR 20240055841 A KR20240055841 A KR 20240055841A KR 1020247012018 A KR1020247012018 A KR 1020247012018A KR 20247012018 A KR20247012018 A KR 20247012018A KR 20240055841 A KR20240055841 A KR 20240055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tubular body
drug delivery
delivery devic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팅 인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5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8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7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with guiding tracks for controlled sliding of needle protective sleeve from needle exposing to needle covering position
    • A61M5/3272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with guiding tracks for controlled sliding of needle protective sleeve from needle exposing to needle covering position having projections following labyrinth p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61M2005/2437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by clamping means
    • A61M2005/244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by clamping means by flexible cl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55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 A61M5/2466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by piercing without internal pressure increase
    • A61M2005/247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by piercing without internal pressure increase with fixed or steady piercing means, e.g. piercing under movement of ampo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77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comprising means to reduce play of ampoule within ampoule holder, e.g.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88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rotation, e.g. threads or bayo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92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 A61M2205/6072Bar c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 작동 방법.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하기 위한 튜브형 바디로서, 튜브형 바디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튜브형 바디와, 약물 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튜브형 캐리어로서,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튜브형 캐리어와 튜브형 바디는 동축이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가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하기 위한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고, 튜브형 캐리어는 원위 지향면이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종축의 방향으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튜브형 캐리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에 관련되고, 특히,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약물 전달 장치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이동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서브 조립체에 관련된다.
펜 타입 수동 주사기나 자동 주사기와 같은 약물 전달 장치는 일반적으로 정식 의료 교육을 받지 않은 환자가 약물을 자가 투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주사를 반복적으로 맞아야 할 수도 있거나, 환자는 성장 호르몬과 같은 다른 유형의 약물을 정기적으로 주사해야 할 수도 있다.
일부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환자가 사용하기 전에 연결해야 하는 2개의 부품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또는 주사기와 같은 약물 용기는 보통, 한 부분에 삽입되거나 사전 설치된다. 이 부분은 일반적으로 카세트 또는 카세트 유닛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부분은 보통, 약물의 배출을 작동시키는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보통, 카트리지 또는 주사기와 같은 약물이 수용하는 약물 용기는 전달 장치의 한 부분에 삽입되거나 상기 부분에 사전 설치되어 있다. 약물을 수용하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는 부분은 보통, 카세트 또는 카세트 유닛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약물 전달 장치는 일반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 카세트는 일회용 부분이고, 드라이버를 갖는 다른 부분은 일반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 드라이버는 스프링이나 모터와 같은 동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일부 약물 전달에 재사용될 수 있다.
보다 많은 자동 기능을 추가하고 카세트 비용을 최소화하거나 줄이는 것과 같이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카세트 디자인을 개선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며, 이제 이를 참조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원위 방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에 약물 전달 부위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원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동안에, 약물 전달 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그 부재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근위 방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동안에, 약물 전달 부위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근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동안에, 약물 전달 부위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그 부재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또한, "종방향", "종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이라는 용어는 전형적으로 장치 또는 그 구성요소를 따라 장치 및/또는 구성요소의 가장 긴 연장 방향으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는, “횡방향” 및 “횡방향으로”라는 용어는 대체로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원주방향", "원주방향으로"라는 용어는 축(일반적으로는, 장치 및/또는 구성요소의 가장 긴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에 대한 원주 또는 원주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는, “반경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는 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하고, “회전”, “회전의” 및 “회전적으로”는 축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지칭한다.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가 제공되며, 서브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하기 위한 튜브형 바디로서, 튜브형 바디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튜브형 바디와, 약물 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튜브형 캐리어로서,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튜브형 캐리어와 튜브형 바디는 동축이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가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하기 위한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며,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원위 단부에 가요성 섹션을 포함하고, 가요성 섹션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바디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로크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튜브형 캐리어를 포함하며, 튜브형 캐리어는 캐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캐리어 바디의 벽에는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가 배열되고, 가요성 섹션은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결합 위치와,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밖에 위치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튜브형 바디의 가요성 섹션은 가요성 섹션의 로크 돌출부가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부터 가압될 때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를 제공하며, 서브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하기 위한 튜브형 바디로서, 튜브형 바디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튜브형 바디와, 약물 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튜브형 캐리어로서,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튜브형 캐리어와 튜브형 바디는 동축이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가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하기 위한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며, 튜브형 캐리어는 원위 지향면이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종축의 방향으로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튜브형 캐리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홈 및 레지 결합부를 통해 튜브형 바디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의 벽의 외부면으로부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튜브형 바디의 내부 벽 상에는 홈이 배열되고, 레지는 홈 내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튜브형 캐리어의 외부면 상에는 홈이 배열되고, 레지는 홈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은 리세스 또는 슬롯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의 외부면 상에 배열되는 카운터 레지를 포함하고, 레지는 카운터 레지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용기를 이동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전달 부재 조립체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조립체는 전달 부재 및 전달 부재 홀더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는 전달 부재 홀더에 부착되며, 전달 부재 홀더는 튜브형 바디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전달 부재 조립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가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와 비유체 연결로 약물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가 근위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와 유체 연결로 약물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원위 단부에 가요성 섹션을 포함하고, 가요성 섹션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바디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로크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캐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캐리어 바디의 벽에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가 배열되고, 가요성 섹션은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결합 위치와,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밖에 위치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의 가요성 섹션은 가요성 섹션의 로크 돌출부가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부터 가압될 때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튜브형 바디 내에 신축식으로 배열된 전달 부재 가드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가드는 편향 부재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근위 지향면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는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근위 지향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원위 지향면은 플랜지에 의해 한정되며, 플랜지는 튜브형 바디 밖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를 튜브형 바디의 외부면 상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스너는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 나사 스크류 또는 바요넷 커넥터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의 플랜지는 파스너 옆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캐리어는 원위 지향면이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종축의 방향으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지향면은 튜브형 바디가 파스너를 통해 약물 전달 장치의 일부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는 종축을 기준으로 튜브형 바디의 바요넷 커넥터에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부재는 바늘이고, 전달 부재 조립체는 바늘을 감싸는 가요성 시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종축을 중심으로 전달 부재 가드에 대해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세트 유닛 서브 조립체는 전달 부재 가드의 제 1 원위 지향면과 바디의 근위 지향면 사이에 배열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를 제공하며, 서브 조립체는 튜브형 바디, 전달 부재 가드 및 로테이터를 포함하고, 튜브형 바디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이고, 전달 부재 가드는 튜브형 바디 내에 신축식으로 배열되고, 전달 부재 가드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고, 로테이터는 튜브형 바디에 의해 종축을 따라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로테이터는 근위 지향면을 포함하며, 로테이터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로테이터는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이 로테이터의 근위 지향면과 정렬되는 로킹 위치로부터,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이 로테이터의 근위 지향면과 정렬되지 않는 언로킹 위치로 전달 부재 가드에 대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는 로테이터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그러므로, 서브 조립체는 약물 카세트 유닛을 위해, 특히, 전방 보호 캡이 없는 약물 전달 카세트 유닛을 위해 안전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로테이터는 카세트 유닛이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제대로 부착되기 전에 전달 부재 가드가 튜브형 바디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최종 사용자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로 차폐된 약물 전달 부재에 실수로 접촉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는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는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레지는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구동 유닛이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회전할 때, 로테이터는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구동 유닛과 함께 회전한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는 종축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레지는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구동 유닛의 일부가 레지의 제 1 단부에 인접하는 원위 위치로부터, 구동 유닛의 일부가 레지의 제 2 단부에 인접하는 근위 위치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이 로테이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에 의해 로테이터가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로크 부재는 튜브형 바디에 회전 고정되고, 로테이터 및 로크 부재 중 하나는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로테이터 및 로크 부재 중 다른 하나는 돌출부에 인접한 레지를 포함하고, 레지는 종축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되고, 로크 부재는 돌출부가 레지의 제 1 단부에 인접하는 원위 위치로부터, 돌출부가 레지의 제 2 단부에 인접하는 근위 위치로 로테이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로크 부재는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이 튜브형 바디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크 부재는 구동 유닛과 함께 이동하고, 이에 의해 로테이터는 돌출부와 레지 사이의 결합에 의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 및 전달 부재 가드 중 하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로테이터 및 전달 부재 가드 중 다른 하나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 및 로테이터의 근위 지향면 각각은 돌출부와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에 의해 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는 로테이터의 튜브형 바디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지는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로테이터의 튜브형 바디로부터 연장된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는 로테이터의 튜브형 바디 상에 배열되고, 레지는 제 2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의 에지에 의해 한정된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형상 레지는 레지의 제 2 단부로부터 종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지의 제 1 단부는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가드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고, 로크 부재는 근위 지향면을 포함하며, 편향 부재의 근위 단부는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에 인접하며,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는 로크 부재의 근위 지향면에 인접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전달 부재 가드의 제 1 원위 지향면과 바디의 근위 지향면 사이에 배열된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를 튜브형 바디의 외부면 상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스너는 나사 스크류,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 또는 바요넷 커넥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크 부재는 로크 부재 바디와, 로크 부재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튜브형 바디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플랜지는 파스너 옆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는 종축을 기준으로 튜브형 바디의 바요넷 연결부에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원위 단부로부터 튜브형 바디의 근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아암을 포함하고, 가요성 아암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크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크 부재는 로크 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는 로크 부재 바디의 벽에 배열되며, 튜브형 바디의 가요성 섹션의 후크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가요성 섹션의 로크 돌출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튜브형 바디가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구동 유닛의 섹션은 로크 돌출부를 튜브형 바디에 대해 내측으로 가압하여, 후크가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로부터 구부러진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는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의 종축을 중심으로 전달 부재 가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부재 가드는 종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가드의 근위 지향면은 돌출부의 일부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부재 가드는 원위 트리거 위치와 근위 사용 후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전달 부재 가드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약물 전달 장치용 카세트 유닛 서브 조립체를 제공하며, 카세트 유닛 서브 조립체는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와, 바디에 동축으로 부착되고 바디에 대해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근위적으로 편향되는 전달 부재 가드와, 바디에 부착되는 로테이터를 포함하고, 로테이터는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전달 부재 가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로테이터는 로테이터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 가드를 원위 위치에 로킹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는 전달 부재 가드가 근위 사용 후 위치로 이동할 때, 근위 사용 후 위치에서 전달 부재 가드를 로킹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세트 유닛 서브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용 카세트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카세트 유닛을 포함한다. 카세트 유닛은 약물 전달 장치 구동 유닛에 탈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세트 유닛은 재사용 가능한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재사용 가능한 구동 조립체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카세트 유닛은 재사용 가능한 구동 조립체의 근위 단부의 내부면 및 카세트 유닛의 원위 단부의 외부면 상의 바요넷 연결부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구동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사용 가능한 구동 조립체의 근위 단부 상의 내부면은 바요넷 홈을 포함하고, 카세트 유닛의 바디의 원위 단부 상의 외부면은 바요넷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는 로크아웃 섹션을 포함하는 트랙을 포함하고,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는 전달 부재 가드의 근위 사용 후 위치를 향한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이동과 함께 로크아웃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는 전달 부재 가드의 가요성 섹선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는 주사 장치, 흡입 장치 또는 의료용 분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은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유닛은 카세트 유닛 내의 약물 용기에 수용된 약물을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바디의 원위 단부에 부착 가능한 원위 리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리드는 서브 조립체의 바디의 일부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리드는 바디 내에 수용된 약물 용기의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된 리드 바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바디는 튜브형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리드는 바디 내에 수용된 약물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고, 용기 지지부는 근위 지향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지지부는 가요성 아암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지지부의 가요성 아암은 리드 바디 상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리드 바디의 컷아웃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아암은 리드 바디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지지부의 근위 지향면은 가요성 아암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거나 가요성 아암의 원위 팁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지지부는 바디 내에 수용된 약물 용기의 원위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공학적인 공차와 관련하여 수용된 약물 용기의 치수, 예를 들면, 수용된 약물 용기의 특정 길이 및/또는 폭의 변화를 허용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표 서브 조립체를 사용하는 약물 전달 장치는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 및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은 바디 및 캐리어를 포함하고, 방법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의 순서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대해 종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캐리어를 구동 유닛의 일부에 연결하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대해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안에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되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과 약물 용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설정하도록 캐리어의 바디에 대한 캐리어의 이동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 및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은 튜브형 바디, 전달 부재 가드 및 로테이터를 포함하고, 방법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의 순서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종축을 따라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의 순서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로테이터와 구동 유닛의 일부 사이에 연결부를 설정하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회전시켜서, 로테이터가 로테이터와 구동 유닛 사이의 연결부를 통해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터와 구동 유닛의 일부 사이에 연결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크 부재를 통해 구동 유닛의 일부에 로테이터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로크 부재가 구동 유닛에 의해 로테이터의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로테이터가 로크 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청구항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 그들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비, 구성요소, 수단 등에 대한 모든 참조는 명시적으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요소, 장비,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지칭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제, 발명적인 개념의 실시예는 예로서만,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서브 조립체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서브 조립체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상이한 예에서의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전달 부재 조립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상이한 예에서의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캐리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튜브형 캐리어와 도 5 및 도 6의 튜브형 바디의 외부 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전달 부재 가드, 편향 부재 및 튜브형 캐리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b는 다른 예에서의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전달 부재 가드, 편향 부재 및 튜브형 바디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c는 도 11a의 배열과 도 7a 및 도 7b의 전달 부재 조립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3b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되기 전과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된 후의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5b는 상이한 예에서의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로테이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도 11b의 전달 부재 가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4a 내지 도 15b의 로테이터와 도 16의 전달 부재 가드 사이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상이한 예의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의 로크 부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a 및 도 18b의 로크 부재와 도 14a 내지 도 15b의 로테이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상이한 예의 로크 부재는 도 14a 및 도 14b, 또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로테이터와 함께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연결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f는 로크 부재와 로테이터 사이의 상호작용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0f에 도시된 로크 부재는 도 18a 또는 도 18b에 도시된 예시적인 로크 부재일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f에 도시된 로테이터는 도 14a 및 도 14b, 또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예시적인 로테이터일 수 있다.
도 21은 도 14a 내지 도 15b의 로테이터와 도 5 및 도 6의 튜브형 바디 사이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갖는 카세트 유닛과 구동 유닛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 및 도 24는 상이한 예에서의 튜브형 바디, 튜브형 캐리어 및 전달 부재 가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24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 튜브형 캐리어가 튜브형 바디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카세트 유닛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함). 게다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는 최종 사용자가 약물 전달 부재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종 사용자에 의해 약물 전달 부재가 손상/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카세트 유닛”으로 축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라는 용어와 “카세트 유닛”이라는 용어 둘 모두는 본 설명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카세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분리 가능한 부분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제어 가능한 약물 전달 속도, 고용량 및/또는 고점도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높은 출력, 상이한 약물 전달 단계에 대한 다수의 지시(indications), 및/또는 예를 들면, 처방전 준수를 추적하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통신과 같은 약물 전달 장치를 만들기 위한 특정 기술적 요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기능을 수행하고 상술된 기술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를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은 일반적으로 높아서, 빈번한 치료에 이러한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저렴하지 않다. 2개의 분리 가능한 부분을 갖는 약물 전달 장치는 일반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부분과 일회용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대부분의 기계 및/또는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파워팩, 즉, 동력원과 동력원으로부터 출력된 힘을 약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회용 부분은 일반적으로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 전자 장치가 없다. 일반적으로 카세트 유닛(C)이라고 하는 일회용 부분은 일반적으로, 약물이 수용되는 약물 용기, 예를 들면, 주사기나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는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의 원위 단부를 밀봉하는 고무 스토퍼와,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의 근위 단부를 밀봉하는 고무 시스를 갖는 격막(septum) 또는 약물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의 근위 단부를 밀봉하는 고무 전달 부재 시스를 갖는 격막 또는 약물 전달 부재만으로(즉, 스토퍼 없이)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를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의 재사용 가능한 부분(즉, 구동 유닛(D))은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방향으로 약물 용기 내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구동 유닛(D)은 약물 용기를 가압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일례에서, 약물 용기의 스토퍼는 약물 용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플런저 로드는 약물 용기를 카세트 유닛(C)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약물 용기를 붕괴시킬 수도 있다. 구동 유닛(D)은 또한 약물 배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가스 캐니스터 또는 모터 구동식 기어 세트와 같은 동력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의 초점은 구동 유닛이 아닌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용 서브 조립체이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서브 조립체를 갖는 카세트 유닛에는 다양한 유형의 구동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유닛은 포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는 튜브형 바디(1, 1', 1")를 포함한다. 서브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구성요소, 즉, 튜브형 캐리어(2, 2', 2"), 로크 부재, 전달 부재 가드(3), 로테이터(4, 4'), 전달 부재 조립체(5) 및 편향 부재(6)를 더 포함한다. 서브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요소와 그 배열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튜브형 바디(1, 1', 1")는 외부 쉘(10)에 약물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례에서, 튜브형 바디는 단일 구성요소이다. 다른 예에서, 튜브형 바디(1, 1', 1")는 서로 부착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도 2 참조), 튜브형 바디(1, 1')는 외부 쉘(10)과 원위 리드(11, 11')를 포함한다. 전자의 예에서, 약물 용기는 튜브형 바디(1, 1')의 근위 단부로부터 튜브형 바디(1, 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후자의 예에서, 약물 용기는 외부 쉘(10)의 원위 단부로부터 튜브형 바디(1, 1') 내로 삽입될 수 있어서, 원위 리드(11, 11')는 외부 쉘(10)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어서 약물 용기를 지지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원위 리드(11, 11')는 바디(1, 1')의 원위 단부에 이동불가능하게 유지되고, 그에 따라 원위 리드(11, 11')는 종축(L)의 방향으로, 그리고 종축(L)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튜브형 바디(1, 1')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한다. 예를 들어, 원위 리드(11, 11')는 튜브형 바디(1, 1') 상의 스냅 아암(10a)과 원위 리드(11, 11') 상의 스냅 리세스(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튜브형 바디(1, 1')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튜브형 바디(1, 1')에 대한 원위 방향으로의 약물 용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약물 용기를 볼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부 쉘(10)은 약물 용기와 정렬된 창(12)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최종 사용자는 창(12)을 통해 약물을 관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외부 쉘(10)은 투명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튜브형 바디는 창(12)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카세트 유닛(C)은 최종 사용자가 약물 전달 작동을 수행하고자 할 때, 튜브형 바디(1, 1', 1")와 구동 유닛(D)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구동 유닛(D)에 부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튜브형 바디(1, 1', 1")는 구동 유닛(D) 상의 카운터 파스너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스너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파스너와 카운터 파스너는 바요넷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튜브형 바디(1, 1', 1")와 구동 유닛(D) 중 하나가 바요넷 돌출부를 구비하고 튜브형 바디(1, 1, 1") 및 구동 유닛(D) 중 다른 하나는 바요넷 리세스 또는 컷아웃부를 구비하는 의미이다. 바요넷 리세스 또는 컷아웃부는 종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방되고, 바요넷 리세스 또는 컷아웃부는 종방향 섹션과 원주방향 섹션을 포함한다. 종방향 섹션은 종축(L)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 섹션은 종축(L)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요넷 돌출부는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외부 바디(1, 1')는 도 5 및 도 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요넷 돌출부와 같이, 튜브형 바디의 외부 쉘 또는 원위 리드(11, 11')의 파스너로서, 바요넷 커넥터(13)(도 22에 도시된 예에서, 바요넷 커넥터는 바요넷 돌출부임)를 구비할 수도 있고, 구동 유닛(D)은 카운터 바요넷 커넥터(D0)(도 22에 도시된 예에서, 카운터 바요넷 커넥터는 바요넷 리세스임)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튜브형 바디(1, 1', 1")는 종축(L)을 따라, 바요넷 커넥터(13) 및 카운터 바요넷 커넥터(D0)를 통해 구동 유닛(D)의 근위 부분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그 다음에, 튜브형 바디(1, 1', 1")는 종축(L)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D)에 대해 회전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카세트 유닛(C)은 구동 유닛에 적절히 부착된다.
대안적으로는, 튜브형 바디(1, 1', 1")와 구동 유닛(D) 사이의 연결부는 스냅 끼워맞춤 연결부 또는 나사 연결부와 같은 다른 적절한 연결부를 사용할 수 있거나, 카세트 유닛은 구동 유닛에 내로 완전히 수용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카세트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 유닛의 섹션은 카세트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형태 끼워맞춤 연결부일 수도 있다.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 내로 완전히 수용되는 경우, 바디의 형상은 카세트 유닛을 수용하는 구동 유닛의 섹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튜브형 바디(1, 1')가 원위 리드(11, 11')를 포함하는 일례에서, 바요넷 커넥터는 원위 리드(11, 11') 상에 배열되고, 튜브형 바디(1, 1')는 구동 유닛(D)에 대해 종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동 유닛(D)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원위 리드는 예를 들면, 강성 또는 두꺼운 재료로 제조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화된 벽을 구비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튜브형 바디(1, 1')가 구동 유닛(D)에 대해 회전될 때, 원위 리드(11, 11')의 커넥터에 대한 결과적인 토크 전달은 원위 리드(11, 11')의 나머지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원위 리드(11, 11')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튜브형 바디(1, 1')의 원위 단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원위 리드(11, 11')는 튜브형 바디(1, 1') 내에 수용되는 약물 용기의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될 수 있는 리드 바디, 예를 들면, 원통형 약물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튜브형 리드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원위 리드(11, 11')는 일반적으로 약물 용기의 원위 단부의 일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카세트 유닛(C)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 플런저 로드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약물 용기에 작용하여 포함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원위 리드(11, 11')는 선택적으로 카세트 유닛(C) 또는 수용된 약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 예를 들면, RFID 태그, 바코드, QR 코드 또는 기계 코드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구동 유닛(D)의 리더가 추가 사용을 위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원위 리드(11, 11')는 선택적으로 튜브형 바디(1, 1') 내에 수용된 약물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기 지지부를 포함한다. 용기 지지부는 근위 지향면을 포함한다. 일례에서, 컨테이너 지지부는 가요성 아암이다. 가요성 아암은 종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리드 바디 상의 컷아웃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는, 가요성 아암은 리드 바디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용기 지지부는 튜브형 바디(1, 1') 내에 수용된 약물 용기의 원위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 지지부의 근위 지향면은 가요성 아암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거나 가요성 아암의 원위 팁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지지부는 수용된 약물 용기의 치수 변화, 예를 들면, 수용된 약물 용기의 특정 길이 및/또는 폭을 공학적 허용 오차에 따라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 튜브형 캐리어(2, 2', 2")가 튜브형 바디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카세트 유닛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함).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약물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튜브형 캐리어(2, 2', 2")는 튜브형 바디(1, 1', 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된다. 튜브형 캐리어(2, 2', 2") 및 튜브형 바디(1, 1', 1")는 동축이다. 튜브형 캐리어(2, 2', 2")는 튜브형 바디(1, 1', 1")가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과 접촉하기 위한 원위 지향면(24a)을 포함한다.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원위 지향면(24a)이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과 접촉할 때 구동 유닛(D)에 의해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종축(L)의 방향으로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약물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형 캐리어는 많은 약물 용기, 예를 들면, 카트리지 또는 주사기가 원통형 바디를 구비하기 때문에, 원통형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는 플랜지 또는 약물 용기의 숄더부에 간단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링 또는 서클립(circlip)이다. 대안적으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캐리어는 종축(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과 그 사이에 연결된 조인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튜브형 캐리어(2, 2', 2")가 2개의 아암을 포함하는 일례에서,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아암 섹션과 조인트 섹션을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바디(20)와 캐리어 캡(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캐리어 바디(20)는 약물 용기의 원위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캐리어 캡(21)은 약물 용기의 근위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캡(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끼워맞춤 결합을 통해 캐리어 바디(2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스냅 끼워맞춤 결합은 캐리어 캡(21) 상의 스냅 끼워맞춤 아암(21a)과 캐리어 바디(20) 상의 스냅 끼워맞춤 리세스 또는 컷아웃부(20a)를 포함한다. 스냅 끼워맞춤 결합은 캐리어 캡 상의 스냅 끼워맞춤 리세스나 컷아웃부를 갖는 캐리어 바디 상의 스냅 끼워맞춤 아암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캐리어 캡은 나사 스크류 연결부 또는 바요넷 연결부를 통해 캐리어 바디에 부착될 수 있다. 캐리어 캡은 캐리어 바디의 형상과 약물 용기의 형상, 예를 들면, 튜브형 또는 돔형에 따른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개구는 캐리어 캡의 근위 단부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는 통과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캐리어 캡은 내부면으로부터 종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레지를 포함한다. 지지 레지는 약물 용기의 숄더부에 약물 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2')는 캐리어 캡 없이 캐리어 바디(20)에 의해 간단히 형성된다. 본 예에서, 캐리어 바디(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바디(20)의 근위 단부에 있는 캐리어 바디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핑거(20b)를 포함한다. 지지 핑거(20b)는 도 11c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용기의 숄더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는 홈 및 레지 결합부를 통해 튜브형 바디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튜브형 캐리어(2, 2')는 바람직하게는,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의 캐리어 바디(20)의 벽의 외부면 상에서, 튜브형 캐리어(2, 2')의 벽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레지(22)를 포함한다. 튜브형 캐리어와 튜브형 바디를 연결하는 홈은 튜브형 바디의 내부면에 배열되는 리세스, 또는 컷아웃부(도 10에 도시됨)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는, 홈은 튜브형 캐리어의 캐리어 바디의 외부벽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일례에서, 홈(16)은 튜브형 바디(1, 1')의 내부 벽 상에,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바디(1, 1')의 외부 쉘(10) 내부 벽 상에 배열된다. 레지(22)는 튜브형 캐리어(2, 2')가 튜브형 바디(1, 1')에 부착될 때 홈 내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는,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한다. 홈은 튜브형 캐리어의 외부면 상에 배열된다. 레지는 홈 내에 위치된다. 게다가, 홈은 리세스 또는 슬롯이다. 대안적으로는, 튜브형 바디는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바디의 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한다.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의 외부면 상에 배열된 카운터 레지를 포함한다. 레지는 카운터 레지 내에 위치된다. 튜브형 캐리어(2, 2')와 튜브형 바디(1, 1', 1") 사이의 이러한 결합은 튜브형 캐리어(2, 2')가 회전 없이 종축(L)의 방향으로 튜브형 바디(1, 1')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2, 2', 2")는 바람직하게는 종축(L)의 방향으로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용기를 이동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약물 용기는 종축(L)의 방향으로 튜브형 캐리어(2, 2', 2")에 대해 이동할 수 없게 한다. 대안적으로는, 튜브형 캐리어는 약물 용기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대신, 약물 용기가 사전결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만을 제한하는 것, 즉,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용기가 튜브형 캐리어에 대해 사전결정된 거리만, 바람직하게는, 종축(L)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튜브형 캐리어(2, 2', 2")는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D)에 부착하는 과정 동안에, 구동 유닛(D)의 일부에 의해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원위 지향면(24a, 24a')을 포함한다. 원위 지향면(24a, 24a')은 구동 유닛(D)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다. 따라서, 구동 유닛(D)은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D)에 부착하는 과정 동안에, 튜브형 캐리어(2, 2', 2")를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카세트 유닛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함). 일례에서, 튜브형 캐리어(2, 2')는 종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4)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플랜지는 캐리어 바디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원위 지향면(24)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4)에 의해 한정된다. 바람직한 예에서, 플랜지(24)는 튜브형 바디(1, 1')로부터 연장된다, 즉, 플랜지(24)는 튜브형 바디(1, 1')의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 플랜지는 캐리어 바디(20)의 외부면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바디(20)의 근위 단부보다 캐리어 바디(20)의 원위 단부에 더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2, 2')는 캐리어 바디(2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레지(22)로부터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23)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플랜지(2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의 외부면 상에 배열된다.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7)는 튜브형 바디(1, 1', 1") 상에 배열되고, 리세스(17)는 튜브형 캐리어(2, 2')가 근위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2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는, 원위 지향면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캐리어의 원위 단부, 예를 들면, 튜브형 캐리어의 에지에 배열된다. 본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는 플랜지(24)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예에서, 원위 지향면(24')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바디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튜브형 바디(1")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이 바요넷 연결부에 의해 구동 유닛에 부착되고 튜브형 캐리어(2, 2', 2")가 플랜지(24)를 포함하는 예에서, 플랜지(24)는 (튜브형 바디의 파스너로서) 바요넷 커넥터(13) 옆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랜지(24)는 튜브형 바디의 바요넷 커넥터(13)에 대해 종축의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바요넷 커넥터(13)가 바요넷 돌출부이고 구동 유닛(D)의 카운터 파스너가 바요넷 홈인 예에서, 바요넷 커넥터(13)가 바요넷 홈의 종방향 부분 내로 이동하면, 플랜지(24)는 구동 유닛(D)의 근위 에지(D1)에 접하고, 바요넷 커넥터(13)가 바요넷 홈의 원주방향 부분 내로 이동하면, 플랜지(24)는 구동 유닛(D)의 근위 에지(D1)에 의해 구동 유닛에 대해 근접 방향으로 밀려나간다. 따라서, 튜브형 캐리어(2, 2')는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튜브형 바디(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대안적으로는, 파스너 및 카운터 파스너는 스냅 끼워맞춤, 나사 스크류 끼워맞춤 또는 바요넷 끼워맞춤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언급된 구성체 중 어느 하나가 플랜지(24)를 포함하는 튜브형 캐리어 또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지향면(24')이 튜브형 캐리어(2')의 원위 단부에 배열되는 튜브형 캐리어(2') 둘 모두에 적합하다. 본 예에서, 파스너와 카운터 파스너 사이의 종축을 따른 상대 축방향 이동은 구동 유닛(D)의 일부가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원위 지향면(24, 24')을 밀어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카세트 유닛(C)을 구동 유닛(D)에 부착하는 과정 동안에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카세트 유닛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함).
게다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는 초기 로크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까지 튜브형 캐리어(2, 2', 2")가 근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로킹된다. 일례에서, 초기 로킹 구성체는 튜브형 바디(1')의 원위 단부에 가요성 섹션(14)을 포함한다. 가요성 섹션(14)은 외부 쉘(10) 또는 원위 리드(11')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가요성 섹션(14)은 원위 리드(11') 상에 배열된다. 가요성 섹션(14)은 가요성 부분, 로크 돌출부(14a) 및 후크(14b)를 포함한다. 가요성 부분은 가요성 아암, 또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원위 리드의 일부일 수 있다. 로크 돌출부(14a)는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바디(1')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후크(14b)는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캐리어 바디의 벽에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26)가 배열된다. 대안적으로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26)는 튜브형 캐리어(2')의 아암(23)의 벽에 배열된다. 가요성 섹션(14)은 가요성 섹션(14)의 후크(14b)가 튜브형 캐리어(2')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26) 내에 위치되는 결합 위치와, 가요성 섹션(14)의 후크(14b)가 튜브형 캐리어(2')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26) 밖에 위치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바디(1')에 대해 종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튜브형 바디(1')의 가요성 섹션(14)은 가요성 섹션(14)의 로크 돌출부(14a)가 구동 유닛(D)의 일부, 예를 들면, 구동 유닛(D)의 내부 벽에 의해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부터 가압될 때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로크 돌출부(14a)가 가압되면, 가요성 섹션(14)의 변형은 후크(14b)가 튜브형 캐리어(2')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26)로부터 구부러지게 하고, 그에 따라 튜브형 캐리어(2')는 튜브형 바디(1')로 로킹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되기 전에, 튜브형 캐리어(2')는 가요성 섹션(14)의 후크(14b)와 튜브형 캐리어(2')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26) 사이의 결합에 의해 튜브형 바디(1')에 로킹되고,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까지 튜브형 캐리어(2')는 도 12b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바디(1)로부터 해제되므로 근위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에서, 초기 로크 메커니즘 대신에, 서브 조립체는 튜브형 캐리어(2)의 근위 지향면에 대향하고 튜브형 바디(1)의 일부 또는 전달 부재 가드(3)의 일부에 연결되는 편향 부재(6)를 포함한다. 편향 부재(6)는 스프링 또는 가요성 아암일 수 있다. 전자의 예에서, 편향 부재(6)는 튜브형 캐리어(2, 2')의 근위 지향면에 인접하고, 튜브형 바디(1)의 일부 또는 전달 부재 가드(3)의 일부에 인접하다. 후자의 예에서, 편향 부재는 튜브형 캐리어의 근위 지향면에 대면하고, 즉, 편향 부재는 튜브형 캐리어의 근위 지향면에 인접하거나 튜브형 캐리어의 근위 지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향 부재는 튜브형 캐리어가 사전결정된 거리에서 튜브형 바디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만 튜브형 캐리어를 차단한다. 게다가, 본 예에서, 편향 부재는 튜브형 바디(1)의 일부 또는 전달 부재 가드(3)의 일부로부터 연장된다.
일례에서, 튜브형 캐리어(2)의 근위 지향면(22a)은 레지(22)에 의해 한정된다. 편향 부재(6)는 튜브형 캐리어(2)를 원위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튜브형 캐리어(2)가 의도치 않게 근위 위치로 이동하는 것, 예를 들면, 흔들리거나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예에서, 서브 조립체는 튜브형 바디(1, 1', 1")에 동축으로 부착되고 종축(L)을 따라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달 부재 가드(3)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 가드(3)는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전달 부재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전방 쉴드(30)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 가드(3)의 전방 쉴드(30)는 튜브형 바디(1, 1', 1")의 근위 단부에 대해 신축식이다. 본 예에서, 편향 부재(6)의 근위 단부는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지향면에 인접하고, 편향 부재(6)의 원위 단부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캐리어(2)의 근위 지향면에 인접하다. 따라서, 편향 부재(6)는 튜브형 바디(1)의 근위 방향으로 전달 부재 가드(3)를 편향하도록 구성되고, 튜브형 캐리어(2)의 원위 위치에서 튜브형 캐리어(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는, 편향 부재(6)는 전달 부재 가드 편향 부재로서의 기능만 제공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튜브형 바디는 서브 조립체가 초기 로크 메커니즘 및/또는 초기 지지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근위 지향면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서브 조립체는 전달 부재 조립체(5)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 조립체(5)는 전달 부재(50)와 전달 부재 홀더(51)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50)는 전달 부재 홀더(51)에 부착된다. 전달 부재 홀더(51)는 튜브형 바디(1, 1')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이 예시적인 서브 조립체는 카트리지를 약물 용기로서 사용하는 카세트 유닛에 적합하다.
일례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 조립체(5)는 전달 부재를 감싸는 가요성 시스를 포함한다. 가요성 시스는 전달 부재의 적어도 일단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예에서, 전달 부재(50)는 바늘이다. 본 예에서, 바늘(50)은 전달 부재 홀더(51)에 의해 유지되고 가요성 시스(50a)로 감싸여 있다. 전달 부재 홀더(51)는 튜브형 바디의 근위 레지(18)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파스너(51a), 예를 들면, 후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근위 레지는 전달 부재(50) 및 가요성 시스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통로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근위 레지(18)는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근위 레지(18)는 서로 대면하는 링 또는 2개의 레지이다.
서브 조립체가 전달 부재 조립체(5)를 포함하는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2, 2', 2")의 근위 이동은 수용된 약물 용기와 전달 부재(50) 사이의 유체 연통을 확립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2, 2', 2")의 근위 이동은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를 튜브형 바디로부터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약물 전달 장치를 약물 용기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례에서, 튜브형 캐리어(2, 2', 2")는 도 12a 내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된 약물 용기와 전달 부재(50) 사이에 유체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원위 위치 및 근위 위치 사이에서 전달 부재 조립체(5)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튜브형 캐리어(2, 2', 2")는 튜브형 캐리어(2, 2', 2")가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50)와 유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약물 용기(M)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튜브형 캐리어(2, 2', 2")는 튜브형 캐리어(2, 2', 2")가 근위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50)와 유체 연결되는 상태로 약물 용기(M)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되면, 구동 유닛(D)은 상술된 바와 같이 튜브형 캐리어(2, 2', 2")를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약물 용기는 튜브형 캐리어(2, 2', 2")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튜브형 캐리어(2, 2', 2")가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약물 용기(M)도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튜브형 캐리어(2, 2', 2")가 근위 위치에 도달하면, 전달 부재(50)는 약물 용기(M) 내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50)와 약물 용기(M) 사이에 유체 연통이 이루어진다. 일례에서, 가요성 시스(50b)는 전달 부재의 원위 단부를 밀봉하고, 그에 따라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용기(M)와 전달 부재 사이에 유체 통신이 이루어질 때 전달 부재 홀더(50)와 약물 용기(M)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가요성 시스(50b)가 압축된다. 일례에서, 전달 부재 조립체는 전달 부재의 근위 단부를 밀봉하는 캡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약물 전달 작동을 수행하기 전에 캡을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예에서, 전달 부재 조립체(5)는 전달 부재의 근위 단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또 다른 가요성 시스(50a)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전달 부재 가드(3)의 근위 단부 또는 튜브형 바디의 근위 단부는 전달 부재만 통과하게 하도록 크기설정된 개구부를 갖는 근위 벽을 포함한다. 일례에서, 전달 부재 가드(3)의 근위 단부는 사용자가 약물 전달 부위에서 전달 부재 가드(3)의 근위 벽(33)을 밀어냄으로써 약물 전달 작동을 수행할 때, 전달 부재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설계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근위 벽(33)을 포함하고, 전달 부재의 근위 단부를 밀봉하는 가요성 시스(50a)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 가드의 근위 벽의 후방면(33b)과 전달 부재 홀더(51)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러므로, 전달 부재(50)는 전달 부재 가드의 근위 벽(33)의 개구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을 제공하는 단계, 구동 유닛(D)을 제공하는 단계,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L)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의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의 튜브형 캐리어(2, 2', 2")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D)을 사용하는 단계의 순서로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세트 유닛(C)은 바요넷 연결부 또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 구동 유닛(D)에 부착된다.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의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의 튜브형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종축을 따라 구동 유닛(D)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을 이동시키는 것과, 종축(L)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D)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을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게다가, 튜브형 캐리어(2, 2', 2")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D)을 사용하는 단계는, 튜브형 캐리어(2, 2', 2")를 구동 유닛(D)의 일부에 연결하는 단계와, 종축(L)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D)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튜브형 캐리어(2, 2', 2")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 조립체가 전달 부재 조립체(5)를 포함하는 예에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의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의 튜브형 캐리어(2, 2', 2")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되는 동안, 약물 용기(M)와 전달 부재(50) 사이의 유체 연결을 설정하도록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한 튜브형 캐리어(2, 2', 2”)의 이동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는 카세트 유닛을 위한 안전 메커니즘을 추가로 제공한다. 안전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해, 서브 조립체는 튜브형 바디(1, 1'), 전달 부재 가드(3) 및 로테이터(4, 4')를 포함한다. 안전 메커니즘은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되기 전에 전달 부재 가드(3)가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안전 메커니즘이 카세트 유닛이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D)(카세트 유닛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함)에 부착될 때, 튜브형 캐리어(2, 2', 2")가 튜브형 바디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는, 안전 메커니즘은 상술된 메커니즘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튜브형 바디(1, 1', 1") 및 전달 부재 가드(3)는 상술된 튜브형 바디(1, 1', 1") 및 전달 부재 가드(3)와 유사하다. 전달 부재 가드(3)는 바디(1, 1')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 전방 쉴드(30)를 포함한다. 전방 쉴드(30)는 사용자가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할 때 약물 전달 부재를 약물 용기와 일체형으로 또는 부착 가능하게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쉴드(30)는 전방 쉴드(30)의 근위 단부에 개구부를 갖는 튜브 형상의 요소이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3)의 전방 쉴드(30)는 튜브형 바디(1, 1', 1")에 동축으로 부착되고,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종축(L)을 따라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사하게, 전달 부재 가드의 전방 쉴드(30)는 튜브형 바디(1, 1', 1")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장치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지만, 전달 부재 가드는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종축(L)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른 임의의 적절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전달 부재 가드(3)는 튜브형 바디(1, 1', 1")의 원위 방향으로 전방 쉴드(30)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31)을 포함한다. 전달 부재 가드(3)는 원위 지향면(3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달 부재 가드(3)는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지향면(34)을 한정하는 돌출부(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돌출부(35)는 전달 부재 가드의 가요성 섹션(36)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예에서, 전달 부재 가드(3)는 튜브형 바디(1, 1', 1") 내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즉, 전달 부재 가드(3)는 바디(1, 1')의 외부 쉘(10) 내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본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아암(31)은 바디(1, 1') 내에 완전히 배열되고, 전방 쉴드(30)는 튜브형 바디(1, 1', 1")의 근위 단부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전방 쉴드(30)는 약물 전달 부재를 커버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전달 부재 가드(3)의 아암(31)은 구동 유닛(D)의 일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C)이 구동 유닛(D)에 조립되면, 전달 부재 가드(3)의 추가 원위 이동은 동력원, 예를 들면, 스프링, 가스 캐니스터, 모터와 연결된 플런저 로드를 해제하거나 동력원을 켜기 위해 구동 유닛(D) 내로 아암(31)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4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터(4, 4')는 튜브형 바디(1, 1', 1”)에 의해 종축(L)을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로테이터(4, 4')는 근위 지향면(41)을 포함한다. 로테이터(4, 4')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C)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로테이터(4, 4')는,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지향면(34)이 로테이터(4)의 근위 지향면(41)과 정렬된 로킹 위치로부터,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지향면(34)이 로테이터(4, 4')의 근위 지향면(41)과 정렬되지 않은 언로킹 위치로 전달 부재 가드(3)에 대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3)가 로테이터(4, 4')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로테이터(4, 4')는 튜브 형상, 링 또는 서클립일 수 있다. 일례에서, 로테이터(4, 4')는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40)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40)의 근위 에지(40a)는 도 17a 및 도 17b,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바디(1, 1', 1")의 내부 레지(10b)에 인접하고, 로테이터 바디의 원위 에지는 원위 리드(11, 11')의 근위 지향면에 인접하고, 그에 따라 로테이터(4, 4')는 튜브형 바디(1, 1', 1')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로테이터(4, 4')의 근위 지향면(41)은 도 14a 및 도 14b,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터의 반경방향 연장 리브 상에 배열되거나, 로테이터(4, 4')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410)의 에지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410)는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40) 상에 배열된다.
일례에서, 로테이터는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한다. 레지는 구동 유닛(D)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구동 유닛(D)이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회전할 때, 로테이터는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구동 유닛과 함께 회전된다.
다른 예에서, 로테이터(4, 4')는 종축(L)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제 1 단부(42a)로부터 제 2 단부(42b)로 연장되는 레지(42)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레지는 로테이터 바디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대안적으로는, 레지(42)는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40)의 벽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의 에지에 의해 한정된다. 레지(42)는 구동 유닛(D)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이 구동 유닛(D)의 일부가 레지(42)의 제 1 단부(42a)에 인접하는 원위 위치로부터, 구동 유닛(D)의 일부가 레지(42)의 제 2 단부(42b)에 인접하는 근위 위치로 로테이터(4, 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테이터(4, 4')가 회전된다.
대안적으로는, 다른 예에서, 서브 조립체는 로크 부재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로크 부재(2, 2')는 튜브형 캐리어(2, 2')에 일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브형 캐리어(2, 2')의 원위 부분은 로크 부재(2, 2')로서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 배열된다. 다른 예에서, 로크 부재는 독립 구성요소일 수 있다. 후자의 예는 약물 용기 캐리어가 필요 없는 카세트 유닛에 적합하지만, 후자의 예는 약물 용기 캐리어를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에도 사용될 수 있다. 서브 조립체가 이하에 기재된 로크 부재를 포함하는 일례의 설명은 로크 부재가 튜브형 캐리어와 일체형인 도면을 사용한다. 그러나, 튜브형 캐리어, 즉, 약물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가 안전 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그에 따라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 부호도 상기 언급된 튜브형 캐리어 및 튜브형 캐리어의 구조체에 대한 도면 부호, 예를 들면, 도면 부호 "2,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구성요소 및 구조체는 튜브형 캐리어가 아닌 로크 부재를 지칭한다. 게다가, 이하에 기재된 설명도 로크 부재가 튜브형 캐리어와 일체형인 도면을 사용하고, 이러한 로크 부재의 구조체는 튜브형 캐리어와 별개의 구성요소인 로크 부재를 형성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게다가, 튜브형 캐리어(2, 2')에 관한 상술된 구조적 구성체 중 일부는 로크 부재가 튜브형 캐리어의 일부이거나 독립 구성요소인 경우에, 로크 부재에 적용된다. 특히, 초기 로크 장치 구성체, 및 편향 부재(6)와 튜브형 캐리어(2, 2') 사이의 연결부와 같은 구조적 구성체는 약물 용기를 지지하는 것과 관련이 없다.
로크 부재(2, 2')는 로테이터(4, 4')와 직접 결합되고 구동 유닛(D)의 일부와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부착되면, 구동 유닛(D)은 로크 부재(2, 2')를 이동시키므로 로테이터(4, 4')를 회전시킨다. 로크 부재(2, 2')는 구동 유닛(D)에 의해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튜브형 캐리어(2, 2')를 이동시키는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구동 유닛(D)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로크 부재(2, 2')에 의해 로테이터(4, 4')를 회전시키는 방식만을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로크 부재(2, 2')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부재(2, 2')의 레지(22)와 튜브형 바디(1, 1', 1")의 홈(16) 사이의 결합에 의해 튜브형 바디(1, 1', 1")에 회전 고정된다.
안전 메커니즘은 종축(L)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테이터(4, 4') 또는 로킹 부재(2, 2') 상의 돌출부와, 다른 구성요소의 돌출부에 인접한 레지를 포함한다. 돌출부가 로테이터(4, 4') 상에 나타나고 레지가 로크 부재(2, 2') 상에 나타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레지는 종축(l)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된다. 일례에서, 로크 부재(2, 2')는 도 8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 25')를 포함한다. 로크 부재(2, 2')가 튜브형 캐리어(2, 2')의 일부인 일례에서, 돌출부(25)는 캐리어 바디(20)의 외부면(로크 부재 바디(20)라고도 함) 상에 배열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는, 돌출부(25')는 튜브형 캐리어(2, 2')의 아암(23)의 내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로테이터(4, 4')는 상기 언급된 나선형 연장 레지(42)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로테이터(4, 4')의 레지(42))는 구동 유닛(D)의 일부와 결합되는 대신에, 로크 부재(2, 2')의 돌출부(25, 25')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돌출부(25, 25')가 도 19a, 및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42)의 제 1 단부(42a)에 인접하는 원위 위치로부터, 돌출부(25, 25')가 카세트 유닛(카세트 유닛은 본 발명의 서브 조립체를 포함함)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는 동안에, 레지(42)의 제 2 단부(42b)에 인접하는 근위 위치로, 로크 부재가 로테이터(4, 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크 부재의 축방향 이동은 로테이터가 돌출부(25, 25')와 레지(42) 사이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게 한다.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터(4, 4')가 언로킹 위치로 이동하면,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지향면(도 20a 내지 도 20f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은 로테이터(4, 4')의 근위 지향면(41)과 정렬되지 않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3)는 튜브형 바디(1, 1')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테이터(4, 4')가 나선 연장 레지(42)를 포함하는 예에서, 레지(42)(42가 구동 유닛(D)의 일부와 직접 맞물리도록 구성되거나 로크 부재(2, 2')의 돌출부(25, 25')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지에 관계없이, 레지의 제 1 단부(42a)는 선택적으로, 도 14a 및 도 1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축(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46)을 포함한다. 종방향 부분(46)은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D)에 대한 사전결정된 위치, 예를 들면, 적절히 부착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만, 로테이터(4, 4')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D)에 적절히 부착하기 전에 약물 작동을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로테이터(4, 4')는 로킹 위치에 머물도록 한다. 게다가, 선택적으로, 원주방향 레지(47)는 도 14a 및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의 제 2 단부(41b)로부터 종축(L)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로테이터(4, 4')가 구동 유닛(D)에 의해 직접 회전될 때, 원주방향 레지(47)를 갖는 레지(42)는 튜브형 바디(1, 1', 1")의 파스너(13)를 대체할 수 있다, 즉, 카세트 유닛은 로테이터(4, 4')의 원주방향 레지(47) 및 구동 유닛(D)의 카운터 파스너를 통해 구동 유닛(D)에 부착된다. 로테이터(4, 4')가 로크 부재(2, 2')에 의해 회전될 때, 원주방향 레지(47)는 도 20a 내지 도 2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부재(2, 2')가 튜브 바디(1, 1', 1")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서브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전달 부재 가드를 근위 사용 후 위치에서 로킹하도록 구성된 전달 부재 가드 로크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는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전달 부재 가드(3)의 전방 쉴드(30)는 전달 부재 가드가 근위 사용 후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50)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본 예에서, 로테이터(4, 4')는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40)의 벽 상에 배열된 트랙(44)을 포함한다. 트랙은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 상에 배열된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또는 다수의 횡방향 연장 레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3)의 돌출부(35)는 약물 전달 작업 동안에 약물 전달 부재 가드(3)가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테이터(4, 4')의 트랙(44)을 따르도록 구성된다. 트랙(44)은 로크아웃 섹션(45)을 포함하고, 전달 부재 가드(3)의 돌출부(35)는 도 20d 내지 도 2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 가드(3)의 근위 사용 후 위치를 향해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이동의 결과로서 로크아웃 섹션(45)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지향면(34)은 로테이터의 차단면(45a)에 접하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3)는 로테이터(4, 4')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례에서,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이동은 편향 부재(6)에 의해 발생한다.
로테이터(4, 4')는 선택적으로, 트랙(44)과 레지(42)의 제 2 단부(42b) 사이에 연결되는 브리지면(43, 43')을 포함한다. 브리지면은 트랙(44)으로부터 레지(42)의 제 2 단부(42b)까지 경사진 램프면이다. 브리지면(43)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트랙(44)으로 연장되거나,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44)을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 유닛(D) 및 카세트 유닛(C)으로 약물 전달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일례로서, 전달 부재 가드(3)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 유닛(D)을 향해 원위 트리거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이동은 수용된 약물과 연결되는 약물 전달 부재를 드러내고, 구동 유닛(D)을 트리거링하여 수용된 약물에 힘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달 부재 가드(3)가 원위 트리거 위치에 있을 때, 약물 전달 부재는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이러한 전달 부재 가드(3)의 원위 이동은 약물 전달 부위 상에서 전달 부재 가드(3)의 전방 쉴드(30)의 근위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서브 조립체가 편향 부재(6)를 포함하는 예에서, 편향 부재(6)는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전달 부재 가드(3)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단 약물 전달 작동이 수행되면, 사용자는 약물 전달 부위로부터 약물 전달 장치를 제거할 수도 있고, 그러므로 편향 부재(6)는 튜브형 바디(1, 1', 1")의 근위 방향으로 전달 부재 가드(3)를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3)의 전방 쉴드(30)는 약물 전달 부재를 차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달 부재 가드(3)는 편향 부재(6)에 의해 근위 사용 후 위치로 편향된다. 근위 사용 후 위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설계에 따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 가드(3)의 근위 위치일 수 있거나, 상기 언급된 전달 부재 가드(3)의 근위 위치보다 제 2 근위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바늘 삽입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와 같이,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전달 부재가 사용 후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방향으로 초기 위치를 넘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 전달 부재 가드는 근위 사용 후 위치로서 제 2 근위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주로 몇 가지 예를 참조하여 상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가 쉽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상술된 것 이외의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발명적인 개념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부 관점이 이하의 항목에 설명된다.
항목 1.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하기 위한 튜브형 바디로서, 튜브형 바디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튜브형 바디와,
약물 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튜브형 캐리어로서,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튜브형 캐리어와 튜브형 바디는 동축이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가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하기 위한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는, 상기 튜브형 캐리어를 포함하며,
튜브형 캐리어는 원위 지향면이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과 접촉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종축의 방향으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서브 조립체.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홈 및 레지 결합부를 통해 튜브형 바디와 결합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의 벽의 외부면으로부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튜브형 바디의 내부 벽 상에는 홈이 배열되며, 레지는 홈 내에 위치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4. 항목 2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의 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홈은 튜브형 캐리어의 외부 벽 상에 배열되며, 레지는 홈 내에 위치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5. 항목 3 또는 항목 4에 있어서, 홈은 리세스 또는 슬롯인, 서브 조립체.
항목 6. 항목 1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바디의 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의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레지는 카운터 레지 내에 위치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용기를 이동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달 부재 조립체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조립체는 전달 부재 및 전달 부재 홀더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는 전달 부재 홀더에 부착되며, 전달 부재 홀더는 튜브형 바디의 근위 단부에 부착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9. 항목 8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전달 부재 조립체에 대해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가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와 비유체 연결로 약물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튜브형 캐리어는 튜브형 캐리어가 근위 위치에 있을 때, 전달 부재와 유체 연결로 약물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원위 단부에 가요성 섹션을 포함하고, 가요성 섹션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바디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로크 돌출부를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1. 항목 10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캐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캐리어 바디의 벽에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가 배열되며, 가요성 섹션은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결합 위치와,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밖에 위치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튜브형 바디에 대해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서브 조립체.
항목 12. 항목 11에 있어서, 튜브형 바디의 가요성 섹션은 가요성 섹션의 로크 돌출부가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부터 가압될 때,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3. 항목 1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서브 조립체는 튜브형 바디 내에 신축식으로 배열된 전달 부재 가드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가드는 편향 부재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4. 항목 13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근위 지향면을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5. 항목 13에 있어서, 튜브형 바디는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근위 지향면을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6. 항목 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는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원위 지향면은 플랜지에 의해 한정되며, 플랜지는 튜브형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튜브형 바디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를 튜브형 바디의 외부면 상에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8. 항목 17에 있어서, 파스너는 바요넷 커넥터인, 서브 조립체.
항목 19. 항목 16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17 또는 항목 18에 있어서, 튜브형 캐리어의 플랜지는 파스너 옆에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20. 항목 18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19에 있어서, 플랜지는 종축에 대해 튜브형 바디의 바요넷 커넥터에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21. 항목 8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1 내지 항목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달 부재는 바늘이고, 전달 부재 조립체는 바늘을 감싸는 가요성 시스를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22. 항목 1 내지 항목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
항목 23.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 및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은 바디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상기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항목 24. 항목 23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종축의 방향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항목 25. 항목 24에 있어서,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구동 유닛의 일부에 캐리어를 연결하는 단계와,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회전하는 동안에 캐리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항목 26. 항목 23 내지 항목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까지, 종축을 따라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되는 동안, 약물 용기와 전달 부재 사이의 유체 연결을 설정하도록 튜브형 바디에 대한 튜브형 캐리어의 이동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이 이하의 항목에 설명된다.
항목 1.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에 있어서,
튜브형 바디, 전달 부재 가드 및 로테이터를 포함하고,
튜브형 바디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이고,
전달 부재 가드는 튜브형 바디 내에 신축식으로 배열되고, 전달 부재 가드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고,
로테이터는 튜브형 바디에 의해 종축을 따라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로테이터는 근위 지향면을 포함하며,
로테이터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이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로테이터는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이 로테이터의 근위 지향면과 정렬되는 로킹 위치로부터,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이 로테이터의 근위 지향면과 정렬되지 않는 언로킹 위치로 전달 부재 가드에 대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전달 부재 가드는 로테이터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로테이터는 튜브형 로테이터 바디인, 서브 조립체.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로테이터는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레지는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구동 유닛이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회전할 때, 로테이터는 서브 조립체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구동 유닛과 함께 회전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4.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로테이터는 종축에 대해 나선 방향으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레지는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이 구동 유닛의 일부가 레지의 제 1 단부에 인접하는 원위 위치로부터, 구동 유닛의 일부가 레지의 제 2 단부에 인접하는 근위 위치로 로테이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에 의해 로테이터가 회전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5.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로크 부재는 튜브형 바디에 회전 고정되고, 로테이터 및 로크 부재 중 하나는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로테이터 및 로크 부재 중 다른 하나는 돌출부에 인접하는 레지를 포함하고, 레지는 종축에 대해 나선 형상으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장되고, 로크 부재는 돌출부가 레지의 제 1 단부에 인접하는 원위 위치로부터 돌출부가 레지의 제 2 단부에 인접하는 근위 위치로 로테이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로크 부재는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이 튜브형 바디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크 부재는 구동 유닛과 함께 이동하고, 이에 의해 로테이터가 돌출부와 레지 사이의 결합에 의해 회전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로테이터 및 전달 부재 가드 중 하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로테이터 및 전달 부재 가드 중 다른 하나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 및 로테이터의 근위 지향면 각각은 돌출부와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에 의해 한정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7. 항목 2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6, 또는 항목 2에 종속되고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6에 있어서,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는 로테이터의 튜브형 바디 상에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8. 항목 2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 또는 항목 2에 종속되고 항목 6 또는 항목 7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레지는 종축에 대해 로테이터의 튜브형 바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9. 항목 2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 또는 항목 2에 종속되고 항목 6 또는 항목 7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2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는 로테이터의 튜브형 바디 상에 배열되고, 레지는 제 2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의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0. 항목 3 내지 항목 5 또는 항목 8 및 항목 9 중 어느 하나, 또는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6 또는 항목 7에 있어서, 원주방향 레지는 레지의 제 2 단부로부터 종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1. 항목 3 내지 항목 5 또는 항목 8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하나, 또는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6 또는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레지의 제 1 단부는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을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2. 항목 5, 또는 항목 5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6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가드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고, 로크 부재는 근위 지향면을 포함하고, 편향 부재의 근위 단부는 전달 부재 가드의 원위 지향면에 인접하며,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는 로크 부재의 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3.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튜브형 바디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를 튜브형 바디의 외부면 상에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4. 항목 13에 있어서, 파스너는 바요넷 커넥터인, 서브 조립체.
항목 15. 항목 5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13 또는 항목 14, 또는 항목 5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6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로크 부재는 로크 부재 바디와, 로크 부재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튜브형 바디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플랜지는 파스너 옆에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6. 항목 14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15에 있어서, 플랜지는 종축에 대해 튜브형 바디의 바요넷 커넥터에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튜브형 바디는 튜브형 바디의 원위 단부로부터 튜브형 바디의 근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아암을 포함하고, 가요성 아암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크 돌출부를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8. 항목 5에 종속되는 경우에 항목 17, 또는 항목 5에 종속될 때 항목 6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되는 경우 항목 17에 있어서, 로크 부재는 로크 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는 로크 부재 바디의 벽에 배열되고, 튜브형 바디의 가요성 섹션의 후크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가요성 섹션의 로크 돌출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튜브형 바디가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에 부착될 때, 구동 유닛의 일부는 로크 돌출부를 튜브형 바디에 대해 내측으로 가압하므로, 후크가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로부터 구부러지는, 서브 조립체.
항목 19. 항목 1 내지 항목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
항목 20.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 및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은 튜브형 바디, 전달 부재 가드 및 로테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의 순서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항목 21. 항목 20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종축의 방향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의 순서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항목 22. 항목 21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면서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튜브형 바디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테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는,
로테이터와 구동 유닛의 일부 사이에 연결부를 설정하는 단계와,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회전시키고 로테이터는 로테이터와 구동 유닛 사이의 연결을 통해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항목 23. 항목 22에 있어서, 로테이터와 구동 유닛의 일부 사이에 연결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로크 부재를 통해 로테이터를 구동 유닛의 일부에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종축을 중심으로 구동 유닛에 대해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로크 부재는 구동 유닛에 의해 로테이터의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로테이터는 로크 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작동 방법.

Claims (14)

  1.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에 부착하기 위한 튜브형 바디(1, 1', 1")로서, 상기 튜브형 바디(1, 1', 1")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튜브형 바디(1, 1', 1”)와,
    약물 용기(M)를 유지하기 위한 튜브형 캐리어(2, 2', 2")로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상기 튜브형 바디(1, 1', 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튜브형 캐리어(2, 2', 2")와 상기 튜브형 바디는 동축이고, 상기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상기 튜브형 바디(1, 1', 1")가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에 부착될 때,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과 접촉하기 위한 원위 지향면(24a, 24a')을 포함하는, 상기 튜브형 캐리어(2, 2', 2")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형 바디(1, 1', 1")는 상기 튜브형 바디(1, 1', 1")의 원위 단부에 가요성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섹션은 상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와, 상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튜브형 바디(1, 1', 1")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로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캐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바디의 벽에는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가 배열되고, 상기 가요성 섹션은 상기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상기 튜브형 캐리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가요성 섹션의 후크가 상기 튜브형 캐리어(2, 2', 2")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 밖에 위치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튜브형 바디에 대해 상기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튜브형 바디의 가요성 섹션은 상기 가요성 섹션의 로크 돌출부가 상기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부터 가압될 때 상기 결합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서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는 홈 및 레지 결합부를 통해 상기 튜브형 바디와 결합되는
    서브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는 상기 튜브형 캐리어의 벽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바디의 내부 벽 상에는 홈이 배열되며, 상기 레지는 상기 홈 내에 위치되는
    서브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는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용기를 이동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달 부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 조립체는 전달 부재와 전달 부재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 홀더에 부착되며, 상기 전달 부재 홀더는 상기 튜브형 바디의 근위 단부에 부착되는
    서브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는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달 부재 조립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튜브형 캐리어는 상기 튜브형 캐리어가 상기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달 부재와 비유체 연결로 상기 약물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형 캐리어는 상기 튜브형 캐리어가 상기 근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달 부재와 유체 연결로 상기 약물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조립체는 상기 튜브형 바디 내에 신축식으로 배열된 전달 부재 가드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 가드는 상기 편향 부재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는 원위 지향면을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바디는 상기 편향 부재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근위 지향면을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는 상기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 지향면은 상기 플랜지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튜브형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바디는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를 상기 튜브형 바디의 외부면 상에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바요넷 커넥터인
    서브 조립체.
  12. 제 12 항에 종속되는 경우에,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의 플랜지는 상기 파스너 옆에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캐리어(2, 2', 2")는 상기 원위 지향면(24a, 24')이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과 접촉할 때, 상기 구동 유닛(D)에 의해 상기 튜브형 바디(1, 1', 1")에 대해 상기 종축의 방향으로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서브 조립체.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종속되는 경우에,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지향면(24a, 24')은 상기 튜브형 바디가 상기 파스너를 통해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일부에 부착될 때 상기 약물 전달 장치의 구동 유닛(D)과 접촉하는
    서브 조립체.
KR1020247012018A 2021-10-14 2022-09-30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 KR20240055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202570 2021-10-14
EP21202568 2021-10-14
EP21202568.8 2021-10-14
EP21202570.4 2021-10-14
PCT/EP2022/077254 WO2023061770A1 (en) 2021-10-14 2022-09-30 A sub-assembly of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assette unit and a method of operating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assette unit comprising the sub-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841A true KR20240055841A (ko) 2024-04-29

Family

ID=8404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018A KR20240055841A (ko) 2021-10-14 2022-09-30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5841A (ko)
WO (1) WO20230617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361831B2 (en) * 2012-12-21 2016-08-11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JP6254714B2 (ja) * 2014-09-30 2017-12-27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薬剤カートリッジ保持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薬剤注入装置
WO2016055636A1 (en) * 2014-10-09 2016-04-14 Sanofi Housing and drug delivery device herewith
WO2016075254A1 (en) * 2014-11-12 2016-05-19 Novo Nordisk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one of a range of autoinjectors
EP3595751B1 (en) * 2017-03-14 2021-01-27 Novo Nordisk A/S Cap assembly with cartridge
EP3597236A1 (en) * 2018-07-18 2020-01-22 Sanofi Cartridge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1770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0175B (zh) 自动注射器装置
EP1660158B1 (en) Syringe with automatically triggered safety sleeve
JP6002041B2 (ja) 薬物送達デバイスと一緒に使用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ホルダ
EP2538997B1 (en) Force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uto-injector
US20090326477A1 (en) Medical Needle Safety Devices
JP2016522038A (ja) 放出機構の作動を不能にする手段を有する薬剤送達装置
WO2018215270A9 (en) Auto injector with recap prevention
EP4233944A2 (en)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2482880A2 (en) Drug delivery system, drug delivery device, needle assembly and method for priming
US20200139046A1 (en) Auto injector with hollow plunger rod
US11759570B2 (en) Medicament injector and interchangeable cartridges therefor
US20240082505A1 (en) A cassette unit sub-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20240055841A (ko)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서브 조립체 및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카세트 유닛의 작동 방법
EP4110436A1 (en) Medicament injector and interchangeable cartridges therefor
CN118119419A (zh) 药剂输送装置盒单元的子组件及包括该子组件的药剂输送装置盒单元的操作方法
WO2021069284A1 (en) Keyed connectors for medicament delivery devices
US20240001042A1 (en) A sub-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assette unit
CN117255702A (zh) 用于药剂输送装置的盒体单元子组件
US20230019820A1 (en) Medicament injector and interchangeable cartridges therefor
EP4329842A1 (en) A component and a sub-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23126249A1 (en) A sub-assembly of a medicament cassette unit
GB2611569A (en) Drug delivery device
EP4294481A1 (en) Drug delivery device for delivering a predefined fixed d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