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550A -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550A
KR20200110550A KR1020190029466A KR20190029466A KR20200110550A KR 20200110550 A KR20200110550 A KR 20200110550A KR 1020190029466 A KR1020190029466 A KR 1020190029466A KR 20190029466 A KR20190029466 A KR 20190029466A KR 20200110550 A KR20200110550 A KR 20200110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hip
tension
electromagn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550A/ko
Publication of KR2020011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63B35/16Traw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는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그물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감지부;와, 장력감지부에서 측정한 장력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물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전자석과 자성체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판단부는 그물 분리 판단 시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해제하여 전자석과 자성체의 자기 결합을 분리한다.

Description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Dragnet Separating Apparatus of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저 장애물에 의해 그물이 손상되거나 또는 투망한 그물에 의해 해저 설치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파이프 라인은 대륙과 대륙, 육지와 섬, 육지와 바다 등과 같이 바다를 사이에 두고 격리된 두 지점 사이에 설치된다. 파이프 라인은 통상 지름이 1M 이상이고 그 길이가 수백미터 에서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는 대규모의 구조물이다.
해저 파이프 라인은 운송하는 대상물에 따라 오일이 통과하는 송유관,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관, 식수가 통과하는 상수도관, 발전소 취수관 등이 있으며, 또한 전력, 통신 등을 위해 부설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복합 파이프 라인도 있다.
해저 파이프는 바다 작업선(부설선, 포설선 등)에 강관 형태의 중량물인 단위 파이프를 다량 적재하고 선상에서 용접 접합함과 동시에 작업선을 이동시키면서 해저로 파이프를 침하시키며 설치해 가는 레이 바지 공법(lay barge method)이 대표적이다.
한편, 해저 파이프 라인은 파랑, 조류, 해저 산사태와 같은 자연 환경 요소와, 선박의 닻, 저인망 어구, 폐그물 등에 의한 인위적 유해 환경 요소에 상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대상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해 파이프 라인이 설치될 지역에서는 적절한 보호 조치를 해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79735호(2009.07.2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는 해저 파이프 라인과 같은 해저 장애물에 그물이 걸릴 경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그물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감지부;와, 장력감지부에서 측정한 장력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물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전자석과 자성체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판단부는 그물 분리 판단 시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해제하여 전자석과 자성체의 자기 결합을 분리하는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은 선박의 끌줄에 마련되는 전개판을 통해 입구가 벌어지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개판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의 전자석은 상기 전개판에 마련되고, 상기 스위칭부의 자성체는 상기 전개판과 그물을 연결하는 후릿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센서는 상기 전개판과 그물을 연결하는 후릿줄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는 장력감지부를 이용하여 해저에 투망한 그물이 해저 파이프 라인과 같은 해저 장애물에 걸려 끊어지거나 파손되기 전에 그물을 선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저 파이프 라인의 단선 및 파손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물 분리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의 스위칭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물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트롤 조업은 각종 어군이 형성된 곳에 자루형 그물(10)을 선박(1)의 양망기로부터 풀어 내어 예망하고,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포획된 어군이 단부의 끝자루(13)에 갇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트롤 조업 방식에 사용되는 자루형 그물(10)의 경우 입구를 좌우방향으로 크게 벌려주어야만 보다 많은 어군을 포획할 수 있다.
자루형 그물(10)의 입구를 좌우로 벌려주기 위하여 선박(1)은 한 쌍의 전개판(3)을 사용하며, 선박(1)으로부터 연장되는 끌줄(trawl warp)(2)에 전개판(3)이 연결된다. 선박(1)의 진행 방향에서 양측 전개판(3)이 일차적으로 좌우로 벌어지게 되고, 이 전개판(3)에 후릿줄(hand rope)(4) 및 넷 펜던트(net pendant)(5)로서 연결된 자루형 그물(10)의 양측 날개 그물(12)이 전개판(3)과 함께 좌우로 벌어지게 되면서 자루형 그물(10)의 입구가 좌우로 벌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물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100)는 선박(1)와 그물(10)을 연결하는 그물의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감지부(110)와, 장력감지부(110)에서 측정한 장력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물의 손상 위험을 판단하는 판단부(120)와,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위험 정보에 따라 소정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30)와,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위험 정보에 따라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알람부(140) 및 그물이 손상되기 전에 그물(10)을 선박(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스위칭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감지부(110)는 선박(1)과 그물(10)을 연결하는 로프의 장력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끌줄(2)과 후릿줄(4) 중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장력감지부(110)는 두 로프(2,4) 중 후릿줄(4)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판단부(120)는 장력감지부(110)의 장력센서로부터 전송된 장력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일정 간격으로 취득하고, 이를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그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선과 같은 그물의 손상 위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력 관련 데이터 및 정보는 관리서버(122)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그물 손상 위험 정보 및 장력센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실시간으로 상기 정보 및 데이터를 선박(1)에 마련되는 관리서버(122)에 전송할 수 있으며, 나아가 GPS를 통해 선박이 해저 파이프 라인이 매설된 지역 내에 있을 경우는 일정 주기로 해저 파이프 라인 관리국에 관련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알람부(140)는 판단부(120)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 청각적 경고음이나 시각적 경고표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고알람부(140)는 기준값에 대해 소정의 범위를 설정하여 기준값에 근접할 경우 선박(1)에 1차 경고 신호를 전송하고, 해저 파이프 라인이 매설된 지역일 경우 해당 신호 및 위치 정보를 해저 파이프 라인 관리국에 2차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칭부(150)는 판단부(120)에 의해 장력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넘을 경우 선박(1)으로부터 그물(10)을 분리시킨다. 스위칭부(15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과 같은 금속의 자성체(151)와, 자성체(151)와 자기장을 형성하여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전자석(152)과, 전자석(15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15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금속의 자성체(151)는 그물(10)에 근접한 후릿줄(4)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자석(152) 및 케이블(155)은 전개판(3)에 마련될 수 있다. 전자석(152)은 코일(153)과 철심(154)으로 이루어진다. 철심(154)이 없는 코일(153)은 자계도 약하며 자극이 생기지 않지만, 코일(153)에 철심을 설치하면 자력선이 철심에 집중되기 때문에 전자석(152)에 강한 자력선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155)은 선박(1)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야 하므로 선박(1)에 근접한 끌줄(2)에 함께 엮어 전개판(3)의 전자석(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를 활용하여 그물 보호 및 해저 파이프 라인과 같은 해저 설치물(장애물)을 보호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1)은 어선과 그물을 연결하는 중간 부위인 전개판(3)에 스위칭부(150)를 구비한다. 스위칭부(150)의 전자석(152)은 끌줄(2)에 엮여 있는 케이블(155)을 통해 선박(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자석(152)과 자기 결합하는 자성체(151)는 그물 측의 후릿줄(4)에 설치된다. 평상 시 스위칭부(150)는 끌줄(2)과 함께 엮인 케이블(155)을 통해 선박(1)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전류를 공급받은 전자석(152)은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물(10)의 자성체(151)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그물(10)이 파이프 라인과 같은 해저 설치물 또는 암초와 같은 해저 장애물에 걸린 상태에서 선박(1)이 이동하면 장력센서에 의해 장력(tension)이 생긴다. 판단부(120)는 장력감지부(110)를 통해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전달된 장력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판단부(120)는 비교한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케이블(155)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를 차단하며, 이를 통해 전자석(152)은 자기장이 해제되면서 자성체(151)와 접촉이 해제되므로, 결과적으로 해저 파이프 라인에 걸린 그물(10)은 해저 파이프 라인을 손상하기 전에 선박(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1..선박 2..끌줄
3..전개판 4..후릿줄
10..그물 100..그물 분리 장치
110..장력감지부 120..판단부
130..통신부 140..경고알람부
150..스위칭부 151..자성체
152..전자석 153..코일
155..케이블

Claims (4)

  1.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그물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감지부;와,
    상기 장력감지부에서 측정한 장력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물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전자석과 자성체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그물 분리 판단 시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해제하여 전자석과 자성체의 자기 결합을 분리하는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은 선박의 끌줄에 마련되는 전개판을 통해 입구가 벌어지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개판에 마련되는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전자석은 상기 전개판에 마련되고,
    상기 스위칭부의 자성체는 상기 전개판과 그물을 연결하는 후릿줄에 마련되는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센서는 선박와 끌줄로 연결되는 전개판에 그물을 연결하는 후릿줄에 마련되는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KR1020190029466A 2019-03-14 2019-03-14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KR20200110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66A KR20200110550A (ko) 2019-03-14 2019-03-14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66A KR20200110550A (ko) 2019-03-14 2019-03-14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550A true KR20200110550A (ko) 2020-09-24

Family

ID=7270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466A KR20200110550A (ko) 2019-03-14 2019-03-14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707A (ko) * 2021-12-15 2023-06-22 국립생태원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735A (ko) 2008-01-18 2009-07-22 김영한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735A (ko) 2008-01-18 2009-07-22 김영한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707A (ko) * 2021-12-15 2023-06-22 국립생태원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077B2 (en) Towing and subsea installation of long articles
US6350085B1 (en) Cable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3527851B (zh) 海底管道起始铺设系统的预布设工艺
KR101341563B1 (ko) 해저 케이블 보호장치
US9475553B2 (en) Wing releasing system for a navigation control device
US20150294541A1 (en) Instrumented flexible waterside security barrier system
KR20200110550A (ko)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JP6406665B2 (ja) 浮魚礁の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EP2955548B1 (en) Towed seismic arrangement comprising a multi-sectional separation rope for streamers and method for generating such towed seismic arrangement
JPS5910128B2 (ja) 可撓体の水中布設方法
CN104092153B (zh) 多条海缆共用一个j形管的穿管方法
US11061160B1 (en) System and methods of mapping buried pipes underwater
CN109895955A (zh) 一种防渔船破坏的海洋潜标系统及其布设方法
KR102467831B1 (ko) 해저파이프라인 보호시스템
JP7424487B2 (ja) 作業中ケーブルの保護監視システム、作業中ケーブルの保護監視方法及び作業中ケーブルの保護監視プログラム
JP3101430U (ja) 浮魚礁等中層型海洋構造物のアンカー位置検知装置
CN116534214B (zh) 一种基于甲板船的远程控制系统及方法
Costello et al. Insulated pipelines between the underwater manifold centre and Cormorant a platform in the northern North Sea
CN107247320A (zh) 一种海底铠装光缆登海洋平台的方法
KR101480756B1 (ko) 배전 해저케이블의 보호용 매트리스 장치
Fyrileiv et al. Trawl gear protection within platform safety Zones
Worzyk et al. Damages and repair
SU1290029A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одводных переходов
Baxter et al. The development of ocean-cable plows
JP2558331Y2 (ja) 水底敷設式ケーブ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