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707A -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 Google Patents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707A
KR20230090707A KR1020210179696A KR20210179696A KR20230090707A KR 20230090707 A KR20230090707 A KR 20230090707A KR 1020210179696 A KR1020210179696 A KR 1020210179696A KR 20210179696 A KR20210179696 A KR 20210179696A KR 20230090707 A KR20230090707 A KR 20230090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lide
catching
fish
bent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114B1 (ko
Inventor
권관익
김근식
강동원
윤주덕
Original Assignee
국립생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생태원 filed Critical 국립생태원
Priority to KR102021017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1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4Devices for spreading or positioning, e.g.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 10cm 이내의 소형 개체인 멸종위기 담수어류 중 하천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의 포획을 위한 그물로서 하천 바닥의 토사 및 자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저서성 어류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그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A net for capturing small freshwater demersal fish}
본 발명은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 10cm 이내의 소형 개체인 멸종위기 담수어류 중 하천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의 포획을 위한 그물로서 하천 바닥의 토사 및 자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저서성 어류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그물에 관한 것이다.
하천은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성된 육상 생태계, 수생 생태계 및 생물 무생물의 상호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하천은 에너지 고정과 흐름, 온도 조절, 영양소 순환, 서식처 제공, 오염물질 자정작용, 경관 향상 등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하천의 생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조사 대상종을 특정하고 이를 포획하여 분포자료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대상종 중에서 하천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는 조사자가 접근하는 경우 쉽게 도망가고, 수심이 깊은 하천의 경우에는 안전성 문제로 포획이 어려웠다.
저서성 어류 또는 패각류의 포획을 위해서 사용되었던 어구의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3164호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주로 해저 지형이 암반으로 구성되는 지역에서 사용되며 적어도 한 척 이상의 어선이 잡아끄는 방식의 트롤어구였다. 이러한 트롤 조업은 기다란 자루 형태의 그물과 그것을 예인하는 1척의 배 사이를 끌줄과 후릿줄, 목줄로 연결하고, 그물 입구를 좌우로 전개시키기 위한 한 쌍의 판 즉 전개판을 밧줄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하여 해저를 예인함으로써, 해저에 서식하는 수족이 그물 속으로 들어가게 하여 어획하는 어법으로서 예망어구류 중에서 가장 발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어느 어구에 못지않게 어획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구는 어선에서 사용하는 대형어구로서 하천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퇴적물,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재질의 바닥을 쓸기에 걸림이 발생하여 축적된 퇴적물, 모래, 자갈 등을 제거하고 다시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을 위해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하천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가 쉽게 도망갈 수 있어 대상종을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3164호(2001.05.24.)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 10cm 이내의 소형 개체인 멸종위기 담수어류 중 하천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의 포획을 위한 그물로서 하천 바닥의 토사 및 자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저서성 어류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그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은,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그물로 형성되는 포획망부(110); 및
상기 포획망부(110)의 입구부분과 결합하여 입구부분을 개방된 형태로 유지하는 지지수단(121)과,
상기 지지수단(121)의 하부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며 선택되는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어 상측으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드수단(122)과,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수단(122)의 상측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수단3(127)과,
상기 지지수단(121)의 상측단부와 상기 보강수단3(127)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수단1(123)과,
상기 슬라이드수단(122)과 다른 슬라이드수단(122)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수단2(124)로 구성되는 슬라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획망부(110)의 그물은 망목이 5~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은 슬라이드헤드(122a)와 슬라이드바닥(122b)이 이루는 각도가 100~1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20)는 작업자 또는 모터보트가 견인을 위해 연결하는 연결줄(200) 및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의 연결을 위해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의 상측단부에 두개 이상 형성되는 고리형태의 연결수단(1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포획용 그물은 상기 연결수단(125)과 상기 연결줄(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수단(125)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측정수단(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획용 그물은 하천 바닥의 토사 및 자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전장 10cm 이내의 소형 개체인 멸종위기 담수어류 중 하천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수단을 구성하는 슬라이드헤드와 슬라이드바닥이 100~160°의 각도를 이루어 구성되므로, 종래의 90°로 형성된 포획망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천의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이 누적되어 포획용 그물의 전진을 방해하여 전진하다가 짧은 거리에서 다시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을 제거하고 작업을 진행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으며,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 제거에 소모되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작업자나 모터보트와 같이 포획용 그물을 끄는 연결줄과 연결되는 연결수단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따라 미리 정해진 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부가될 때에 포획용 그물의 전진을 중단시키고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포획용 그물을 사용할 때 부가되는 인장력을 확인하지 못해 발생되던 포획용 그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포획용 그물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포획용 작업자 사용 구성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포획용 그물 모터보트 사용 구성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포획용 그물 측면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포획용 작업자 사용 구성 실시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포획용 그물 모터보트 사용 구성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그물로 형성되는 포획망부(110); 및
상기 포획망부(110)의 입구부분과 결합하여 입구부분을 개방된 형태로 유지하는 지지수단(121)과,
상기 지지수단(121)의 하부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며 선택되는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어 상측으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드수단(122)과,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수단(122)의 상측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수단3(127)과,
상기 지지수단(121)의 상측단부와 상기 보강수단3(127)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수단1(123)과,
상기 슬라이드수단(122)과 다른 슬라이드수단(122)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수단2(124)로 구성되는 슬라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은, 하천의 바닥부에 서식하는 저서성의 담수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용 그물로서, 상기 포획망부(110)의 그물은 망목이 5~10mm로 형성되어 소형 담수어류를 포획하기 최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종래의 망구가 10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그물로 포획되지 않는 소형의 어류까지 포획할 수 있어 별도의 포획용 그물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어류를 포획하여 개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은 슬라이드헤드(122a)와 슬라이드바닥(122b)이 이루는 각도가 100~160°일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종래의 포획용 그물의 경우 슬라이드헤드와 슬라이드바닥이 90°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로 형성되어 있는 하천의 바닥을 이동할 때,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이 상기 슬라이드부에 쉽게 누적되어 이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은 스키 판의 스키 헤드-웨이스트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져 하천 바닥의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을 슬라이딩하는 형태로 이동하여 상기 포획망부(110) 및 상기 슬라이드부(120)에 누적되는 퇴적물, 모래 또는 자갈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포획용 그물을 재정비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하는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정비에 소모되던 시간 및 작업자의 체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어류의 포획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20)는 작업자 또는 모터보트가 견인을 위해 연결하는 연결줄(200) 및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의 연결을 위해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의 상측단부에 두개 이상 형성되는 고리형태의 연결수단(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은 상기 연결수단(125)과 상기 연결줄(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수단(125)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측정수단(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종래의 포획용 그물의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나 컨디션에 따라 인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업을 중단하고 포획용 그물을 재정비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며,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근력에 따라 재정비하는 인장력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포획용 그물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과도한 인장력으로 인하여 그물의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의 경우, 도 3, 5 및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26)을 통하여 현재 포획용 그물에 가해지고 있는 인장력을 객관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여 적정한 인장력을 초과할 경우, 작업자가 포획용 그물을 재정비할 수 있도록 수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은 객관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포획용 그물의 재정비를 수행할 수 있어 재정비 없이 과도한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포획용 그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포획용 그물을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26)에 현재 포획용 그물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인장력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단말(400)에서 알람을 울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는 포획용 그물이 파손될 것에 대한 걱정을 최소화 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터보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26)에서 측정되는 인장력 수치가 상기 연결줄(200) 또는 슬라이드부에 함께 구비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데이터처리장치(313)에 전달될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인장력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단말(400)에서 알람을 울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줄(200) 및 상기 슬라이드부(120) 중 선택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환경수집센서(312)를 통하여 현재 하천의 수중 환경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환경수집센서(312)에서 수집된 유속, 수질 및 부유물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26)의 수치를 기반으로 해당 환경의 특성을 데이터처리장치(313)에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313)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통하여 모터보트에 탑승한 작업자는 해당 하천의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당 어류의 효율적인 포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터보트를 통한 조사 시 포획용 그물의 재정비 필요시기를 상기 인장력측정수단(126)의 인장력과 함께 유속과 같은 하천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게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터(311)를 직접 제어하여 포획용 그물을 재정비 위치로 끌어올릴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10: 포획망부
120: 슬라이드부
121: 지지수단 122: 슬라이드수단
122a: 슬라이드헤드 122b: 슬라이드바닥
123: 보강수단1 124: 보강수단2
125: 연결수단 126: 인장력측정수단
127: 보강수단3
200: 연결줄
310: 자동조절부
311: 모터 312: 환경수집센서
313: 데이터처리장치
400: 사용자단말

Claims (4)

  1.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그물로 형성되는 포획망부(110); 및
    상기 포획망부(110)의 입구부분과 결합하여 입구부분을 개방된 형태로 유지하는 지지수단(121)과,
    상기 지지수단(121)의 하부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며 선택되는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어 상측으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드수단(122)과,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수단(122)의 상측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수단3(127)과,
    상기 지지수단(121)의 상측단부와 상기 보강수단3(127)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수단1(123)과,
    상기 슬라이드수단(122)과 다른 슬라이드수단(122)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수단2(124)로 구성되는 슬라이드부(120);를 포함하는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은
    슬라이드헤드(122a)와 슬라이드바닥(122b)이 이루는 각도가 100~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120)는
    작업자 또는 모터보트가 견인을 위해 연결하는 연결줄(200) 및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의 연결을 위해 상기 슬라이드수단(122)의 상측단부에 두개 이상 형성되는 고리형태의 연결수단(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25)과 상기 연결줄(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수단(125)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측정수단(1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그물.
KR1020210179696A 2021-12-15 2021-12-15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장치 KR10257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96A KR102572114B1 (ko) 2021-12-15 2021-12-15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96A KR102572114B1 (ko) 2021-12-15 2021-12-15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707A true KR20230090707A (ko) 2023-06-22
KR102572114B1 KR102572114B1 (ko) 2023-08-28

Family

ID=8698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96A KR102572114B1 (ko) 2021-12-15 2021-12-15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1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373A (en) * 1985-03-27 1987-10-06 Boats Of The Future, Inc. Shrimping/fishing net with vibratory bottom roller
KR200233164Y1 (ko) 2000-10-26 2001-10-25 이주희 개량 트롤 어구
KR20100043391A (ko) * 2008-10-20 2010-04-29 한국해양연구원 트롤어구
CN103444666A (zh) * 2012-06-01 2013-12-18 福建省丰盛食品有限公司 一种捕捞花蛤的新型网具
KR20200110550A (ko) * 2019-03-14 2020-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CN212728463U (zh) * 2020-06-22 2021-03-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采集海山区底层生物的采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373A (en) * 1985-03-27 1987-10-06 Boats Of The Future, Inc. Shrimping/fishing net with vibratory bottom roller
KR200233164Y1 (ko) 2000-10-26 2001-10-25 이주희 개량 트롤 어구
KR20100043391A (ko) * 2008-10-20 2010-04-29 한국해양연구원 트롤어구
CN103444666A (zh) * 2012-06-01 2013-12-18 福建省丰盛食品有限公司 一种捕捞花蛤的新型网具
KR20200110550A (ko) * 2019-03-14 2020-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그물 분리 장치
CN212728463U (zh) * 2020-06-22 2021-03-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采集海山区底层生物的采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114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rtt et al. A review of fish sampling methods commonly used in Canadian freshwater habitats
Morrison et al.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size structure of an estuarine population of the sparid Pagrus auratus, using a towed camera during nocturnal periods of inactivity, and comparisons with conventional sampling techniques
Rabeni et al. Warmwater fish in wadeable streams
CN201682896U (zh) 江河底层生物采集网
CN203040458U (zh) 诱捕式自动分级捕鱼台网
Franco et al. Appendix A: Study Methods: Field Equipment, Sampling and Methods
KR102572114B1 (ko)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장치
Kaller et al. Wetland fish monitoring and assessment
Folkins et al. A feasibility study to determine the use of baited pots in Greenland halibut (Reinhardtius hippoglossoides) fisheries, supported by the use of underwater video observations
CN215913005U (zh) 一种淡水贝类资源调查专用艇耙
JP2007105002A (ja) 外来魚採捕装置
Metz et al. Trends in Kemp's ridley sea turtle (Lepidochelys kempii) relative abundance, distribution, and size composition in nearshore waters of the northwestern Gulf of Mexico
CN210352797U (zh) 自动捕捞装置
Swales The use of small wire‐mesh traps in sampling juvenile salmonids
CN208462754U (zh) 一种外来物种的清除装置
Rowe Level 1 risk assessment for incidental seabird mortality associated with fisheries in New Zealand's Exclusive Economic Zone
Manjaji Elasmobranchs recorded from rivers and estuaries in Sabah
CN105941357B (zh) 利用配对漂流人工集鱼装置围捕金枪鱼的方法
Gilman et al. ACAP Guidelines on Fisheries Electronic Monitoring Systems
Lucchetti et al. Catalogue of fishing gear in the Mediterranean and Black Sea region
OKWUOSA et al. A review on fishing gear technology of the world and its application
Trout Annual Operations Plan
Rose Initial tests of a flexible grate for size selection of trawl caught fish
CN207544115U (zh) 一种具有标识功能的悬浮式定置渔网
Flint et al. 14 Research methods for freshwater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