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013A -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 Google Patents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013A
KR20200110013A KR1020190029979A KR20190029979A KR20200110013A KR 20200110013 A KR20200110013 A KR 20200110013A KR 1020190029979 A KR1020190029979 A KR 1020190029979A KR 20190029979 A KR20190029979 A KR 20190029979A KR 20200110013 A KR20200110013 A KR 2020011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dapter
insertion portion
inner diameter
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701B1 (ko
Inventor
조산옥
서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산애강
주식회사 동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산애강, 주식회사 동우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산애강
Priority to KR102019002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7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0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joining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04Shrunk pipe-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16L13/103Adhesiv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 재질의 제1 파이프(100); 합성수지 재질의 제2 파이프(200)와 상기 제1 파이프(100)를 결합하기 위하여, 타측에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제1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본드결합을 위해 삽입되기 위한 제2 삽입부(320)가 형성된 어댑터(300);를 포함하는 배관부재(A)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제1 파이프(100)의 내경에 비해, 상기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은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의 외측과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타단의 내측 사이에 여분의 본드가 대피하기 위한 본드 대피공간(301)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를 제시함으로써, 여분의 본드가 대피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과도하게 도포된 본드로 인한 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PIPE JOINT MEMBER AND PIP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139646호(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신축배관(A)은 스프링쿨러용 가지배관(B)과 스프링쿨러 헤드(C)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D)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가지배관(B)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역할을 하며,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지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어댑터(2)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가지배관(B) 측 일단에는 상기 가지배관(B)이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가지배관(B)의 내면과 접촉되는 가지배관 내부삽입부(12)와; 상기 가지배관 내부삽입부(12)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지배관(B)의 말단이 접촉하며, 상기 어댑터(2)가 상기 가지배관(B)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관 후 프레싱하여 형성시키는 단말부(13)와; 상기 단말부(13)의 상기 주름부(11) 측에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2)의 내부와 접촉하여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상기 어댑터(2)의 내주면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14)과; 상기 제1오링(14)에서 누설 발생 시 2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2오링(151)이 설치되는 제1링홈(15)과; 상기 제2오링(151)에서 누설 발생 시 3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3오링(161)이 설치되는 제2링홈(16)과; 상기 어댑터(2)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벌징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2)는 CPVC(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0050] 재질로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다.
상기 어댑터(2)의 상기 신축파이프(1) 측 말단에는 상기 어댑터(2)가 상기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벌징부(17)와 어댑터(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벌징부(17) 형성 시 같이 벌징(Bulging)되어 끝 부분이 확관되고 상기 벌징부(17)와 밀착되는 벌징링(4)과; 상기 벌징링(4)의 가지배관(B) 측 일단에 맞닿아 상기 신축파이프와 상기 어댑터 사이의 유격을 잡아주어 상기 제2오링(15), 제3오링(16)의 기밀성을 향상시켜주며, 벌려서 끼울 수 있게 절개된 링 형상의 스토퍼링(5)이 형성된다.
신축배관(A)은 소방용 가지배관(B)의 재질이 CPVC 일 때 사용하며, 비교적 저층의 압력이 10kg/㎠G 이하의 배관에 사용하므로 상기 단말부(13)를 형성할 수 있는 살두께가 03mm 이하인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사용한다.
상기 신축파이프(1)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고 상기 어댑터(2)는 CPVC재질이어서 스프링쿨러의 가지배관(B)이 CPVC 재질을 사용할 때 다른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로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어 신축배관의 기능 저하없이 시공비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신축파이프(1)와 어댑터(2) 사이에는 상기 제1오링(14)에서 일차로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제1오링(14) 누설 시 상기 제2오링(151)과 제3오링(161)에서 추가로 누설을 잡아주는 3중 누설 방지의 배관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상기 신축파이프(1)에 단말부(13)와 벌징부(17)를 형성시켜 상기 신축파이프(1)와 어댑터(2)의 결합력을 높여 배관의 내구성을 높였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신축배관(A)은 스프링쿨러용 가지배관(B)과 스프링쿨러 헤드(C)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D)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가지배관(B)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역할을 하며,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지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어댑터(2)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3)가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가지배관(B) 측 일단에는 상기 가지배관(B)이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가지배관(B)의 내면과 접촉되는 가지배관 내부삽입부(12)와; 상기 가지배관 내부삽입부(12)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지배관(B)의 말단이 접촉하며, 상기 어댑터(2)가 상기 가지배관(B)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관 후 프레싱하여 형성시키는 단말부(13)와; 상기 단말부(13)의 상기 주름부(11) 측에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2)의 내부와 접촉하여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상기 어댑터(2)의 내주면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14)과; 상기 제1오링(14)에서 누설 발생 시 2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2오링(151)이 설치되는 제1링홈(15)과; 상기 제2오링(151)에서 누설 발생 시 3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3오링(161)이 설치되는 제2링홈(16)과; 상기 어댑터(2)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벌징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설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D) 측으로 상기 후레아 너트(3)가 빠지지 않게 하는 너트단말부(19)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너트단말부(19)와 주름부(11) 사이의 상기 후레아 너트(3) 끝부분에는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상기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벌징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2)는 CPVC 재질로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고, 상기 어댑터(2)의 상기 신축파이프(1) 측 말단에는 상기 어댑터(2)가 상기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벌징부(17)와 어댑터(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벌징부(17) 형성 시 같이 벌징(Bulging)되어 끝 부분이 확관되고 상기 벌징부(17)와 밀착되는 벌징링(4)과; 상기 벌징링(4)의 가지배관(B) 측 일단에 맞닿아 상기 신축파이프와 상기 어댑터 사이의 유격을 잡아주어 상기 제2오링(15), 제3오링(16)의 기밀성을 향상시켜주며, 벌려서 끼울 수 있게 절개된 링 형상의 스토퍼링(5)이 형성된다.
상기 후레어 너트(3)는 너트본체(31)와, 접합되는 상기 신축파이프(1)와 상기 후레어 너트(3)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32)과, 상기 신축파이프(1)와 상기 후레어 너트(3)와의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패킹(33)으로 구성된다.
신축배관(A)은 소방용 가지배관(B)의 재질이 CPVC 일 때 사용하며, 비교적 저층의 압력이 10kg/㎠G 이하의 배관에 사용하므로 상기 단말부(13)를 형성할 수 있는 살두께가 03mm 이하인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사용한다.
도 3,4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39894호(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에 관한 것이다.
도 3,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신축배관(A)은 스프링쿨러용 소방배관에서 CPVC 재질의 가지배관(B)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거나,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가지배관(B)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신축배관(A)는 스프링쿨러용 소방배관에서 CPVC 재질의 가지배관(B)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거나, 소방배관이 아니고 다른 배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축배관(A)는 일단은 레듀싱 엘보우에 결합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기 위해 양단의 일정 부분을 제외하고는 주름부(11)가 형성된 신축파이프(1)와; CPVC 재질로 제작되며,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25)이 형성되어 일단에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지배관(B)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접착되는 어댑터(2)와; 상기 가지배관(B)에서 상기 어댑터(2)를 통해 상기 신축파이프(1)로 흐르는 소방수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이나 상기 어댑터(2)의 내주면을 타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3)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이 내부로 통과하고 일면은 상기 어댑터(2)와 접촉되고 타면은 상기 패킹(3)과 접촉되어 상기 어댑터(2)와 패킹(3)의 유격을 줄여주어 상기 패킹(3)이 상기 어댑터(2)의 내주면 방향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늘어날 수 있게 하여 상기 패킹(3)의 기밀 유지를 도와주는 백업링(4)과;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3)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 시 상기 신축파이프(1) 쪽으로 전진하여 상기 패킹(3)을 압착시켜 상기 패킹(3)과 어댑터(2) 및 신축파이프(1)와의 기밀을 향상시켜주는 동시에 상기 패킹(3)이 상기 가지배관(B) 쪽으로 밀리지 않게 하며, 내부로 소방수가 통과할 수 있게 중공(51)이 형성되는 패킹누름나사(5)로 구성된다.
핵심사항은 상기 패킹누름나사(5)가 상기 패킹(3)을 상기 신축파이프(1)의 길이 방향으로 압착시켜 상기 패킹(3)이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外周面)과 어댑터(2)의 내주면(內周面)에 밀착할 수 있도록 기밀성을 향상시켜 소방수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과 어댑터(2)의 내주면을 타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백업링(4)이 상기 어댑터(2)의 내주면 방향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늘어날 수 있게 하여 상기 패킹(3)의 기밀 유지를 도와주는 보조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신축배관(A)의 어댑터(2)와 가지배관(B)은 모두 합성수지로서 본드에 의해 결합하는데, 구체적으로 가지배관(B)의 단부의 외면에 본드를 도포한 상태에서 이를 어댑터(2)에 삽입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한다.
안전한 접착, 작업 숙련도 미숙 등의 이유로 인하여, 실제 접착에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본드가 가지배관(B)의 단부의 외면에 도포되는데, 종래의 구조에서는 여분의 본드가 대피할 공간이 없으므로, 여분의 본드가 가지배관(B)의 내면으로 역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과도하게 도포되어 역류된 본드로 인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가지배관(B)에 손상이 발생하는바,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도 5,6).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139646호(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39894호(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여분의 본드가 대피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과도하게 도포된 본드로 인한 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강 재질의 제1 파이프(100); 합성수지 재질의 제2 파이프(200)와 상기 제1 파이프(100)를 결합하기 위하여, 타측에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제1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본드결합을 위해 삽입되기 위한 제2 삽입부(320)가 형성된 어댑터(300);를 포함하는 배관부재(A)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제1 파이프(100)의 내경에 비해, 상기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은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의 외측과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타단의 내측 사이에 여분의 본드가 대피하기 위한 본드 대피공간(301)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를 제시한다.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상기 걸림턱(302)에 걸리도록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의 단부와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 사이에 본드 유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303)이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턱(30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는, 상기 제1 삽입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2-1 삽입부(321); 상기 제2-1 삽입부(321)의 내경에 비해 내경이 크도록, 상기 제2-1 삽입부(3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2 삽입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302)은 상기 제2-1 삽입부(321)와 제2-2 삽입부(322) 사이의 단차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302)은,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턱부(302a)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경이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300)의 제1 삽입부(310)의 일측에는 확공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확공부(311)에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누수방지부재(330)가 설치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330)의 일측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주를 둘러 이탈방지부(1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드 대피공간(301)은 상기 이탈방지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드 대피공간(301)이 확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확공부(311)의 내경에 비해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수방지부재(330)는, 열지어 결합한 복수의 오-링(331); 상기 복수의 오-링(331) 사이에 결합한 사각형 단면의 백업링(33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배관부재(A)와, 상기 제2 파이프(200)를 포함하는 배관구조물로서,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경이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여분의 본드가 대피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과도하게 도포된 본드로 인한 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2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139646호의 도면.
도 3,4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39894호의 도면.
도 5,6은 종래기술이 구현된 제품의 사진.
도 7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은 제1 실시예의 제1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예의 제2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강(스테인레스 스틸 등) 재질의 제1 파이프(100); 합성수지 재질의 제2 파이프(200)와 제1 파이프(100)를 결합하기 위하여, 타측에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제1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본드결합을 위해 삽입되기 위한 제2 삽입부(320)가 형성된 어댑터(300);를 포함하는 배관부재(A)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삽입부(310) 및 제1 파이프(100)의 내경에 비해,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은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부(101)가 형성된다.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의 외측과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타단의 내측 사이에 여분의 본드가 대피하기 위한 본드 대피공간(301)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주면에는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걸리도록(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걸림턱(3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와 제2 삽입부(3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2 파이프(200)가 걸림턱(302)에 의해 걸림으로써 위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 공간에 의해 본드 대피공간(301)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도 7,8).
따라서, 안전한 접착, 작업 숙련도 미숙 등의 이유로 인하여, 실제 접착에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본드가 제2 파이프(200)의 타단에 도포된 상태에서 이를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에 삽입하더라도, 여분의 본드가 위 본드 대피공간(301)에 대피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여분의 본드가 제2 파이프(200) 내부로 역류함에 따른 손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드 대피공간(301)의 크기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여분의 본드가 도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여분의 본드가 대피할 수 있는 유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걸림턱(302)에 걸리도록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의 단부와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 사이에 본드 유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303)이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에 걸림턱(3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 재질의 제1 파이프(100)는 많은 양의 본드가 도포되더라도, 합성수지 재질의 제2 파이프(200)와 달리, 이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없다.
따라서, 제1 파이프(100)의 내경이 제2 파이프(2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위 간격(303)을 통해 유출된 여분의 본드가 합성수지 재질의 제2 파이프(200) 측으로 흐르지 않고, 강 재질의 제1 파이프(100) 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드 유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303)은,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턱(302)에 의해 제2 파이프(200)가 일정 지점까지만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위 걸림턱(302)은 제2 파이프(200)가 일정 지점까지만 삽입되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다.
예컨대, 이러한 걸림턱(302)은 다음 2가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첫째,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는, 제1 삽입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2-1 삽입부(321); 제2-1 삽입부(321)의 내경에 비해 내경이 크도록, 제2-1 삽입부(3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2 삽입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걸림턱(302)은 제2-1 삽입부(321)와 제2-2 삽입부(322) 사이의 단차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도 7,8).
둘째, 걸림턱(302)은,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턱부(302a)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도 9).
어댑터(300)의 제1 삽입부(310)와 제1 파이프(100)의 외주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댑터(300)의 제1 삽입부(310)의 일측에는 확공부(311)가 형성되고, 확공부(311)에는 제1 파이프(10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누수방지부재(330)가 설치되고, 누수방지부재(330)의 일측에는, 누수방지부재(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파이프(100)의 외주를 둘러 이탈방지부(110)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위 본드 대피공간(301)은 이탈방지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이탈방지부(110)는 본드 대피공간(301)에 충전된 본드가 누수방지부재(330) 측으로 유입되어 누수방지부재(33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확공부(311)의 내경과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동일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본드 대피공간(301)이 확대되도록 하기 위하여, 확공부(311)의 내경에 비해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수방지부재(330)는, 열지어 결합한 복수의 오-링(331); 복수의 오-링(331) 사이에 결합한 사각형 단면의 백업링(332);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안정적인 누수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어댑터(300)의 제1 삽입부(310)의 타단에 슬리브 링(340)이 설치되고, 그 슬리브 링(3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파이프(100)의 외주에 만곡진 돌출구조의 이탈방지용 돌출부(120)가 형성되는 경우, 배관 내의 갑작스런 수압 변화에 의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댐핑 기능을 수행할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 배관부재 100 : 제1 파이프
101 : 돌출부 110 : 이탈방지부
200 : 제2 파이프 300 : 어댑터
301 : 본드 대피공간 302 : 걸림턱
302a : 돌출턱부 303 : 간격
310 : 제1 삽입부 311 : 확공부
320 : 제2 삽입부 321 : 제2-1 삽입부
322 : 제2-2 삽입부 330 : 누수방지부재
331 : 오-링 332 : 백업링

Claims (9)

  1. 강 재질의 제1 파이프(100);
    합성수지 재질의 제2 파이프(200)와 상기 제1 파이프(100)를 결합하기 위하여, 타측에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제1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본드결합을 위해 삽입되기 위한 제2 삽입부(320)가 형성된 어댑터(300);를 포함하는 배관부재(A)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제1 파이프(100)의 내경에 비해, 상기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일단은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의 외측과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타단의 내측 사이에 여분의 본드가 대피하기 위한 본드 대피공간(301)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이 상기 걸림턱(302)에 걸리도록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돌출부(101)의 단부와 상기 제2 파이프(200)의 타단 사이에 본드 유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303)이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턱(3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는,
    상기 제1 삽입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2-1 삽입부(321);
    상기 제2-1 삽입부(321)의 내경에 비해 내경이 크도록, 상기 제2-1 삽입부(3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2 삽입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302)은 상기 제2-1 삽입부(321)와 제2-2 삽입부(322) 사이의 단차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02)은,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턱부(302a)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경이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0)의 제1 삽입부(310)의 일측에는 확공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확공부(311)에는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누수방지부재(330)가 설치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330)의 일측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파이프(100)의 외주를 둘러 이탈방지부(1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드 대피공간(301)은 상기 이탈방지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대피공간(301)이 확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확공부(311)의 내경에 비해 상기 어댑터(300)의 제2 삽입부(320)의 내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330)는,
    열지어 결합한 복수의 오-링(331);
    상기 복수의 오-링(331) 사이에 결합한 사각형 단면의 백업링(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A).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배관부재(A)와, 상기 제2 파이프(200)를 포함하는 배관구조물로서,
    상기 제2 파이프(200)의 내경이 상기 제1 파이프(1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조물.
KR1020190029979A 2019-03-15 2019-03-15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KR10229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79A KR102290701B1 (ko) 2019-03-15 2019-03-15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79A KR102290701B1 (ko) 2019-03-15 2019-03-15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13A true KR20200110013A (ko) 2020-09-23
KR102290701B1 KR102290701B1 (ko) 2021-08-18

Family

ID=7270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79A KR102290701B1 (ko) 2019-03-15 2019-03-15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7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8751A1 (en) * 2008-02-28 2009-09-03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Adhesively secured, fluid-tight pipe joint of pvc/cpvc pipe and fitting
KR200463796Y1 (ko) * 2010-08-23 2012-11-27 이종태 파이프이음관의 파이프접속구조
KR20140139646A (ko) 2013-05-27 2014-12-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환경의 공간 스카이라인을 위한 가시권 이웃 질의 방법
KR101609822B1 (ko) * 2014-11-17 2016-04-0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스프링클러 헤드 조인트용 신축이음쇠
KR20160039894A (ko) 2014-10-02 2016-04-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구글스테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60044766A (ko) * 2014-10-16 2016-04-2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JP2018141505A (ja) * 2017-02-27 2018-09-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及び空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8751A1 (en) * 2008-02-28 2009-09-03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Adhesively secured, fluid-tight pipe joint of pvc/cpvc pipe and fitting
KR20100133393A (ko) * 2008-02-28 2010-12-2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vc/cpvc 파이프와 피팅의 접착 고정된 유체-밀폐형 파이프 조인트
KR200463796Y1 (ko) * 2010-08-23 2012-11-27 이종태 파이프이음관의 파이프접속구조
KR20140139646A (ko) 2013-05-27 2014-12-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환경의 공간 스카이라인을 위한 가시권 이웃 질의 방법
KR20160039894A (ko) 2014-10-02 2016-04-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구글스테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60044766A (ko) * 2014-10-16 2016-04-2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09822B1 (ko) * 2014-11-17 2016-04-0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스프링클러 헤드 조인트용 신축이음쇠
JP2018141505A (ja) * 2017-02-27 2018-09-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及び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701B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5794A (en) Compression joint
US3700268A (en) Positive locking terminal bushings for flexible pipe
JPH0160713B2 (ko)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KR101997671B1 (ko) 배관 커플링 구조체
US3560028A (en) Pipe joint device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940013439A (ko)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의 접속기구
US5180195A (en) Joint locking system for pipe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US2685460A (en) Expansion coupling
JP2019120309A (ja) 金属管継手
KR20200110013A (ko)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US20120001425A1 (en) Fluid Line Connecting Fitting
KR20190048170A (ko) 금속 주름관의 연결 구조
JP4593409B2 (ja) 伸縮可撓継手構造
JP4948082B2 (ja) 水圧試験装置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JP7096894B2 (ja) 蛇腹管連結装置、及びその結合方法
KR20200137343A (ko) 무용접 플랜지 양 이음쇠 및 그 조립 방법
JP2001254878A (ja) 蛇腹管用管継手
CN214618297U (zh) 管连接器和航空发动机
KR20180000828U (ko) 수밀 성능이 향상된 단관 플랜지붙이 관 구조
RU2044207C1 (ru) Вакуу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3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18

Effective date: 2021042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