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652A - 기관 내관 - Google Patents

기관 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652A
KR20200108652A KR1020190027584A KR20190027584A KR20200108652A KR 20200108652 A KR20200108652 A KR 20200108652A KR 1020190027584 A KR1020190027584 A KR 1020190027584A KR 20190027584 A KR20190027584 A KR 20190027584A KR 20200108652 A KR20200108652 A KR 20200108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directional
cuff
tubular body
outsid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603B1 (ko
Inventor
옥성호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60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5Special cuff forms, e.g. und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09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 for closing the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External cuff pressure control or supply, e.g. synchronisation with re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5Special cuff forms, e.g. undulated
    • A61M16/0447Bell, canopy or umbrella 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은 환자의 기관 내에 삽입 배치하고, 타단은 기관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관형 본체, 관형 본체의 일단 외측면에 구비하며, 기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팽창하는 커프, 커프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하게 원형링 구조를 가지는 연질의 단방향 날개판을 구비하며, 단방향 날개판은, 관형 본체를 통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밀림되면서 기관 내벽에 밀착되어, 커프와 기관 내벽 사이를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기관 내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관 내관{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유지를 위해 기관 내에 삽입되는 기관 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 내관(Endotracheal tube)은 환자에게 산소 및 마취제를 직접 전달하기 위한 공기 통로로서 사용되는 원통형 튜브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관 내관은 기관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개방된 말단부와, 공기공급수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반대쪽의 개방된 기저단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기관 내관은 기관의 내측벽과 사이를 기밀시키기 위해 외측부에 별도의 수단을 통해 팽창가능하도록 커프(Cuff)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커프가 기관의 내벽에 지나치게 높은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으면, 밀착된 부분의 모세혈관에 과잉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점막 내 혈류가 비정상이 되고, 그 결과 조직의 국소빈혈 또는 부적절한 혈류가 유발된다. 더불어, 커프가 기관의 내벽에 지나치게 낮은 압력으로 접촉되어 있으면, 마취 기체, 산소 또는 공기의 누출이 발생함으로써 인공호흡이 저해된다. 더욱이, 압력이 낮으면 분비액, 점막 또는 기타 불필요한 유체가 기관의 내면과 커프의 외면 사이를 점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들 분비액은 기관으로부터 기관지로 진입하여 폐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인공 호흡 중에 팽창된 커프와 기관 내벽 사이를 통해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접촉부위의 모세혈관을 통해 필요한 혈류가 유지되도록 커프와 기관의 내벽 사이에 적정수준의 접촉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나 환자에 따라 압력을 달리해야 함으로써 이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종래의 기관 내관에 대한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94호(2009.08.13)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커프와 기관 내벽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함과 더불어 사용후 합병증 유발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관 내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은 환자의 기관 내에 삽입 배치하고, 타단은 기관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관형 본체, 상기 관형 본체의 일단 외측면에 구비하며, 기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팽창하는 커프, 상기 커프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하게 원형링 구조를 가지는 연질의 단방향 날개판을 구비하며, 상기 단방향 날개판은, 관형 본체를 통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밀림되면서 기관 내벽에 밀착되어, 커프와 기관 내벽 사이를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기관 내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은, 관형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은, 관형 본체에 접하는 내측 단부에서 관형 본체로 멀어지는 외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의 내측에는 방사형의 공기유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로는 커프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 형태의 보조 날개판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 내관은, 관형 본체의 일단에 구비된 커프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연질의 단방향 날개판을 결합 구비함으로써, 관형 본체를 통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단방향 날개판이 밀림되면서 기관 내벽에 밀착되어, 커프와 기관 내벽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함과 더불어 단방향 날개판의 외측 단부만이 기관 내벽에 밀착되는 바, 사용 후 기관 내벽에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내관의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 내관의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내관의 개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기관 내관은, 관형 본체(100), 커프(200), 단방향 날개판(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형 본체(100)는 환자의 기도 유지를 위해 기관 내에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튜브이다. 즉, 관형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환자의 기관 내부에 삽입 배치하고, 관형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은 환자의 기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관형 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은 별도의 기계환기(도면미도시)와 연결 설치하여, 환자의 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관형 본체(100)는 환자의 기관 내부로 삽입시 기관의 손상방지와 더불어 인체에 무해하도록 연성을 가지는 의료용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프(2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팽창하게 되는 부분이다. 즉, 커프(2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팽창하면서 이후 설명될 단방향 날개판(300)을 기관 내벽에 밀착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커프(200)는 환자의 기관 내부로 삽입 배치되는 관형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 외측면에 결합 구비한다. 여기서, 커프(200)는 외부로 연장된 별도의 공급관(210)과 연결되어, 기관 외부에서 팽창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더불어, 공급관(210)에는 별도의 팽창밸브(220)를 연결 구비하여 커프(200) 내부가 팽창된 상태에서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커프(200)는 공기의 공급을 통해 팽창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하면서 무해한 의료용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방향 날개판(300)은 관형 본체(100)를 통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밀림되면서 기관 내벽에 밀착되어, 커프(200)와 기관 내벽 사이를 밀폐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단방향 날개판(300)은 커프(200)의 외측 둘레를 감싼상태로 결합할 수 있게 원형링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단방향 날개판(300)이 커프(200)의 외측에 삽입 배치하고, 단방향 날개판(300)의 내측 단부를 커프(200)의 외측면에 밀착상태로 고정되게 결합한다. 여기서, 단방향 날개판(300)은 관형 본체(100)를 통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기관 내벽에 밀착될 정도만큼 밀림 이동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기관 내벽의 손상방지와 더불어 인체에 무해하도록 연성을 가지는 의료용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방향 날개판(300)은 관형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길이방향 타단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기관 외부 방향으로 밀림되더라도 단방향 날개판(300)의 외측 단부가 펼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관 내벽에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방향 날개판(300)은 관형 본체(100)에 접하는 내측 단부에서 관형 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기관 외부 방향으로 밀림 이동시 단방향 날개판(300)의 접힘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함과 더불어 기관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필요 이상의 높은 압력이 기관 내벽에 가해지지 않도록 단방향 날개판(300)의 밀림 이동되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게 한다. 즉, 단방향 날개판(300)의 외측 단부로 갈수록 밀림힘에 따른 펼침방향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단방향 날개판(300)의 내측 단부로 갈수록 펼침방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단방향 날개판(300)의 외측 단부에 의한 기관 내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단방향 날개판(300)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 형태의 보조 날개판(310)을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날개판(310)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기관 외부 방향으로 밀림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기관 내벽에 밀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기관 내벽에 가해지는 압력은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날개판(400)을 적용한 기관 내관으로, 여기서, 관형 본체(100a)와 커프(200a)는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생략하고 단방향 날개판(4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의 단방향 날개판(400)은 내측에 방사형의 공기유입로(410)로 형성하고, 공기유입로(410)는 커프(200a)의 내부와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방향 날개판(400)은 커프(200a)의 팽창시 공기유입로(410)에 커프(200a)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단방향 날개판(400)을 공기유입로(410)에 공급된 공기압력으로 강도보강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공기유입로(410)는 단방향 날개판(400)의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단방향 날개판(400)의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강도 보강 정도가 낮아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방향 날개판(400)은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기관 외부 방향으로의 밀림힘 발생시, 단방향 날개판(400)의 외측 단부에 밀림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기관 내벽에의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의 단방향 날개판(400)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단방향 날개판(300)과 같이 관형 본체(100)에 접하는 내측 단부에서 관형 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방향 날개판(400)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 형태의 보조 날개판(411)을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날개판(411)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기관 외부 방향으로 밀림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기관 내벽에 밀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기관 내벽에 가해지는 압력은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내관은, 관형 본체(100)의 일단에 구비된 커프(200)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연질의 단방향 날개판(300)을 결합 구비함으로써, 관형 본체(100)를 통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단방향 날개판(300)이 밀림되면서 기관 내벽에 밀착되어, 커프(200)와 기관 내벽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함과 더불어 단방향 날개판(300)의 외측 단부만이 기관 내벽에 밀착되는 바 사용 후 기관 내벽에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 관형 본체 200,200a: 커프
300,400: 단방향 날개판 410: 공기유입로

Claims (5)

  1. 일단은 환자의 기관 내에 삽입 배치하고, 타단은 기관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관형 본체와;
    상기 관형 본체의 일단 외측면에 구비하며, 기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팽창하는 커프; 및
    상기 커프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하게 원형링 구조를 가지는 연질의 단방향 날개판;을 구비하며,
    상기 단방향 날개판은, 관형 본체를 통해 기관 내부에서 외부로의 흡기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밀림되면서 기관 내벽에 밀착되어, 커프와 기관 내벽 사이를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기관 내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은, 관형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기관 내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은, 관형 본체에 접하는 내측 단부에서 관형 본체로 멀어지는 외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기관 내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의 내측에는 방사형의 공기유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로는 커프의 내부와 연결되는 기관 내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날개판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 형태의 보조 날개판이 연장 형성된 기관 내관.
KR1020190027584A 2019-03-11 2019-03-11 기관 내관 KR10219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84A KR102198603B1 (ko) 2019-03-11 2019-03-11 기관 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84A KR102198603B1 (ko) 2019-03-11 2019-03-11 기관 내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52A true KR20200108652A (ko) 2020-09-21
KR102198603B1 KR102198603B1 (ko) 2021-01-05

Family

ID=7270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584A KR102198603B1 (ko) 2019-03-11 2019-03-11 기관 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6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5239A (en) * 1978-09-15 1980-11-25 Elam James O Cuffed endotrachael tube and method
JPH02142574A (ja) * 1988-11-22 1990-05-31 Nissho Corp 気管用チューブ
JP2007521100A (ja) * 2003-09-10 2007-08-02 ザ ラリンジアル マス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ファイバー装置を有する喉頭マスク気道確保器具
JP2012519520A (ja) * 2009-03-03 2012-08-30 ザ ラリンジアル マス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人工気道装置
JP2016027914A (ja) * 2006-06-22 2016-02-25 ネルコー ピューリタン ベネット エルエルシー 気管内カフおよびその使用のための技術
JP2018000622A (ja) * 2016-07-04 2018-01-11 学校法人東京女子医科大学 気管チューブ、膨張性カフ、及び封止部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5239A (en) * 1978-09-15 1980-11-25 Elam James O Cuffed endotrachael tube and method
JPH02142574A (ja) * 1988-11-22 1990-05-31 Nissho Corp 気管用チューブ
JP2007521100A (ja) * 2003-09-10 2007-08-02 ザ ラリンジアル マス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ファイバー装置を有する喉頭マスク気道確保器具
JP2016027914A (ja) * 2006-06-22 2016-02-25 ネルコー ピューリタン ベネット エルエルシー 気管内カフおよびその使用のための技術
JP2012519520A (ja) * 2009-03-03 2012-08-30 ザ ラリンジアル マス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人工気道装置
JP2018000622A (ja) * 2016-07-04 2018-01-11 学校法人東京女子医科大学 気管チューブ、膨張性カフ、及び封止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603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861A (en) Tracheal tube with self-supporting tracheal tube cuff
JP4644673B2 (ja) 呼吸補助器
JP4629934B2 (ja) 喉頭マスク組立体
US8555887B2 (en) Tracheal tube with dividing membrane
JP4474083B2 (ja) 喉頭マスク通気管
US3709227A (en) Endotracheal tube with positive check valve air seal
US20080053454A1 (en) Endotracheal tube including a partially inverted cuff collar
CN109475668A (zh) 导管动态末端闭塞
US9126003B2 (en) Cuff-equipped tube
JPH0363B2 (ko)
JP2000167060A (ja) カフ付きチュ―ブ
KR102198603B1 (ko) 기관 내관
US20120279505A1 (en) Tracheal tube comprising trachea sealing portion
EP0010880B1 (en) Cuffed endotracheal and tracheostomy tubes
JPH10295815A (ja) カフ付き外科用チューブ
JP7425721B2 (ja) 気管チューブ
US20040123869A1 (en) Tracheotomy endotracheal tube
JPS60182963A (ja) 気管用チユーブ
EP3838322B1 (en) Sealing cuff for tracheal tubes
KR101875027B1 (ko) 유연성 소재로 된 커프가 구비된 기관내 튜브
KR20000006713A (ko) 기관내 삽관튜브 커프의 압력조절기
WO2017201641A1 (en) Laryngeal mask device
JP6341532B2 (ja) 生体管留置チューブ
KR101208731B1 (ko) 주름형태의 기낭을 갖는 기관내관
CN219148877U (zh) 一种适用于单肺通气的双腔气管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