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397A -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397A
KR20200108397A KR1020200116190A KR20200116190A KR20200108397A KR 20200108397 A KR20200108397 A KR 20200108397A KR 1020200116190 A KR1020200116190 A KR 1020200116190A KR 20200116190 A KR20200116190 A KR 20200116190A KR 20200108397 A KR20200108397 A KR 2020010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otective film
fixing
electronic devi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367B1 (ko
Inventor
정태두
김민정
김영균
오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47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9780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3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06Ultraviolet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29C66/914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over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 트레이, 상기 고정 트레이가 탈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된 상기 전자장치의 표면을 가압하는 롤러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상기 안착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상기 고정 트레이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가 소개된다. 이 밖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APPARATUS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TTACHING PROTECTIVE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장치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곡면 형상을 갖는 전자장치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균일하고 틀어짐 없이 부착할 수 있는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자장치의 표면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방지하거나 전자장치의 낙하에 의하여 전자장치의 표면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보호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필름을 전자장치의 표면에 부착함에 있어, 틀어지거나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빠르게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전자장치의 표면이 평면인 경우에 부착 가능한 장비들이었으며, 곡면 형상을 갖는 전자장치의 표면이나, AF(anti finger print)코팅이 되어 있는 전자장치의 표면에는 부착이 어려운 장치들이었다.
곡면 형상을 갖는 전자장치의 표면이나 AF코팅이 되어있는 전자장치의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은 접착력이 높은 고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데, 종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로는 기포의 발생없이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표면에 틀어짐이나 기포 발생 없이 신속하게 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곡면 형상을 갖는 전자장치의 표면에도 빠르고 정확하게 기포 발생 없이 부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곡면 형상의 전자장치 표면에 대응하여 보호필름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자외선 경화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전자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 트레이, 상기 고정 트레이가 탈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된 전자장치의 표면을 가압하는 롤러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상기 안착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상기 고정 트레이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곡면 형상의 표면을 갖는 전자장치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및 상기 전자 장치에 부착할 보호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트레이, 상기 고정 트레이가 탈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된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롤러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상기 안착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고정 트레이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방법은 고정 트레이를 베이스부의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동작, 롤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는 동작, 전자장치를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시키는 동작, 보호필름의 일측면의 이형지를 제거하는 동작, 상기 보호필름의 일측면이 상기 전자장치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필름을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고정시키는 동작, 상기 롤러부를 베이스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작 및 상기 보호필름의 타측면 이형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빠르고 정확하게 곡면 형상의 전자장치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 장치는, 보호필름을 전자장치에 부착과 동시에 경화시켜 전자장치 표면의 곡면부분에서도 보호필름의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 및 보호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하우징과 롤러 마운트가 결합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방법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호필름이 부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를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는 고정 트레이(110), 베이스부(120), 롤러부(130) 및 경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길이방향(예: X축)은 베이스부(120)를 기준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폭방향(예: Y축)은 길이가 짧게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123)이 길이방향(예: X축)으로 형성되었다 함은 베이스부(120)의 길이가 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중복되는 설명은 최대한 지양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는 안착부(111),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1)에는 전자장치(200, 도 3a 참조)가 안착될 수 있고,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에는 보호필름(300, 도 3b 참조)이 장착될 수 있다. 안착부(111),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를 통해 전자장치(200) 및 보호필름(30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켜, 전자장치(200)에 보호필름(300)을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고정 트레이(110)는 후술할 베이스부(120)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전자장치(200)의 형상에 따라 안착부(111)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0)는 결합부(121), 레일(123)들, 제1둔턱(125)들, 제2둔턱(127)들 및 롤러 마운트(12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1)는 고정 트레이(11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123)들은 결합부(121)의 길이방향(예: X축)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2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둔턱(125)들은 베이스부(12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21)의 폭방향(예: Y축)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되, 결합부(121) 중에서 제1고정부(113)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1둔턱(125)들은 베이스부(120)의 길이방향(예: X축)을 따라 점차 돌출 정도가 증가하다가 결합부(121) 측에 가까워 질수록 다시 돌출정도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둔턱(125)들의 최대 돌출 부분의 높이는 제1고정부(113)의 돌출 부분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둔턱(127)들은 베이스부(12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21)의 폭방향(예: Y축)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되, 결합부(121) 중에서 제2고정부(116)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둔턱(127)은 베이스부(120)의 길이방향(예: X축)을 따라 결합부(121)에서 멀어질 수록 점차 돌출 정도가 증가하다가 일정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둔턱(127)의 최대 돌출 부분의 높이는 제2고정부(116)의 돌출 부분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마운트(124)들은 레일(123)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0)는 롤러 하우징(133, 도 5b 참조), 롤러(135, 도 5b 참조) 및 롤러 가압부(137, 도 5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130)는 고정 트레이(110)에 장착되는 전자장치(200) 표면의 형태(예: 전자장치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는 윈도우의 곡면 형상, 도 10d 참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부(140)는 램프 하우징(141) 및 전원 하우징(145)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41)은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안착부(111)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irradiation)할 수 있는 광원(143)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 하우징(145)은 베이스부(120)와 힌지(129)를 통하여 결합하며 베이스부(120)와 램프 하우징(141)을 연결할 수 있다. 전원 하우징(145)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광원(143)에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 및 보호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는 안착부(111),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중심부분이 함몰되어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는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는 전면 또는 전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200)를 안착부(111)에 안착시키면 전자 장치(200)의 상하좌우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111)의 저면(111`)은 전자장치(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자부품(예: 카메라, 플래쉬 등)의 형상에 대응하여 자리파기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에는 안착부(111)를 사이에 두고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는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가 안착부(111)를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예: X축)으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가 폭방향(예: Y축)에 대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는 전자장치(200)에 부착될 보호필름(300)을 전자장치(200)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3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는 보호필름(300)이 고정 트레이(110)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보호필름(300)의 홀(115`, 118`)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에 삽입됨으로써 보호필름(300)을 전자장치(200)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300)은 평상시에는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나 자외선에 노출되면 유연성을 잃고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300)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장치(200)에 부착되기 전까지 보호필름(300)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필름(300) 일측면에 부착된 이형지는 제1태그(301)와 함께 보호필름(3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타측면에 부착된 이형지는 제2태그(302)와 함께 보호필름(3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태그(301)와 함께 제거되는 이형지는 보호필름(300)이 전자장치(200)에 부착되는 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태그(302)와 함께 제거되는 이형지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113)는 제1고정 베이스(114) 및 제1고정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고정 베이스(114)는 고정 트레이(110)의 표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a)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고정 돌기(115)는 제1고정 베이스(114)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 보호필름(300)의 홀(115`)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돌기(115)는 제1고정 베이스(114)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 돌기(115)의 위치는 전자장치(200)에 보호필름(300)을 붙이기 위한 시작 지점으로서 2개 이상의 제1고정 돌기(115)를 배치하여 전자장치(200)에 대한 보호필름(30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에 전자장치(200)를 안착시킬 때, 리시버홀 또는 전면 카메라 등 전자장치(20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물이 주로 위치하는 상단부(210)가 제1고정부(113)를 향하도록 안착시킬 수 있다. 제1고정부(113)의 제1고정 돌기(115)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제2고정 돌기(118)에 측과 비교하여 전자장치(200)에 대한 보호필름(30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장치(200)의 상단부(210)가 제1고정부(113) 측에 위치하도록 고정 트레이(1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116)는 제2고정 베이스(117) 및 제2고정 돌기(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 베이스(117)는 고정 트레이(110)의 표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b)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고정 돌기(118)는 제2고정 베이스(117)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 보호필름(300)의 홀(118`)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고정 베이스(117)의 높이(b)는 제1고정 베이스(114)의 높이(a)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 베이스(117)의 높이(b)가 제1고정 베이스(114)의 높이(a)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보호필름(300)을 붙이기 시작하는 제1고정부(113) 측은 전자장치(200)의 표면과 보호필름(300)의 간격을 좁힐 수 있고, 전자장치(200)에 대한 보호필름(30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200)와 보호필름(300)이 붙는 제2고정부(116) 측은 전자장치(200)의 표면과 보호필름(300)의 간격을 확보해 줌으로써, 보호필름(300)이 제1고정 베이스(114) 위치부터 밀착되어 부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d 내지 도 3e는 도 3a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제2고정부(116)의 형상을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 돌기(118)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d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M자형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d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 돌기(118)의 좌우측 형상이 안착부(111, 도 3a 참조) 방향으로 갈수록 퍼지는 형상이 보호필름을 전자장치에 부착함에 있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113, 도 3a 참조) 측에서부터 제2고정부(116, 도 3a 참조) 방향으로 보호필름(300, 도 3b 참조)이 전자장치(200, 도 3b 참조) 표면에 압착되며 부착되어가는 과정에서 압착부분이 제2고정부(116) 방향에 가까워 질수록 보호필름(300)에 가해지는 장력은 커질 수 있다. 보호필름(300)에 가해지는 장력은 장력이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따라 보호필름(300)의 표면이 굴곡지게 변형되는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3d 또는 도 3e와 같이 제2고정 돌기(118)의 좌우측 형상이 안착부(111, 도 3a 참조) 방향으로 갈수록 퍼지도록 형성되면, 보호필름(300)에 작용하는 장력의 방향은 보호필름(300)의 중심이 아닌 외곽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외곽방향으로 유도된 장력의 방향에 따라 보호필름(300)이 일시적으로 굴곡지게 변형되더라도, 보호필름(300)의 중심부분은 굴곡지지 않기 때문에 전자장치(200) 표면에 보호필름(300)이 부착되는 과정에서 보호필름(300)의 굴곡진 부분은 다시 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0)에는 결합부(121), 레일(123)들, 제1둔턱(125)들, 제2둔턱(127)들 및 롤러 마운트(124)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중심부분이 만입되어 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1)는 고정 트레이(110, 도 3a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트레이(110)를 결합부(121)에 결합시키면 상하좌우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21)는 고정 트레이(11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 도 3a 참조)가 전자장치(200, 도 3a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고정 트레이(110)의 외곽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고정 트레이(110)를 교체함에 따라, 베이스부(120)에 다양한 전자장치(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123)들은 결합부(121)의 길이방향(예: X축)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2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3)은 후술할 롤러부(130, 도 5a 참조)가 제1고정부(113, 도 3a 참조)로부터 제2고정부(116, 도 3a 참조)에 이르기 까지 일정한 경로로 이동하며 보호필름을 전자장치 표면에 균일하게 압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둔턱(125)들은 베이스부(120)에서 돌출(h)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21)의 폭방향(예: Y축)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되, 결합부(121) 중에서 제1고정부(113)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제1둔턱(125)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게 될 롤러부(130)의 롤러(135, 도 5b 참조)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둔턱(125)은 베이스부(120)의 길이방향(예: X축)을 따라 점차 돌출 정도가 증가하다가 결합부(121) 측에 가까워 질수록 다시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둔턱(125)의 최대 돌출 부분의 높이(h)는 제1고정부(113)의 돌출 부분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1고정부(113)의 돌출 부분의 높이는 제1고정 베이스(114)의 높이(a)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제1고정 돌기(115)의 높이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롤러부(130)가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고정부(113)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둔턱(127)들은 베이스부(12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21)의 폭방향(예: Y축)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되, 결합부(121) 중에서 제2고정부(116)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둔턱(127)은 베이스부(120)의 길이방향(예: X축)을 따라 결합부(121)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돌출 정도가 증가하다가 일정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둔턱(127)의 최대 돌출 부분의 높이는 제2고정부(116)의 돌출 부분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2고정부(116)의 돌출 부분의 높이는 제2고정 베이스(117)의 높이(b)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제2고정 돌기(118)의 높이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롤러부(130)가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고정부(116)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마운트(124)는 일측이 베이스부(120)의 레일(123)에 삽입되어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고 타측에는 롤러 하우징(133, 도 5a 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롤러 마운트(124)는 롤러부(130, 도 5a 참조)를 베이스부(120)에서 일정간격 이격시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0)는, 롤러 하우징(133), 롤러(135) 및 롤러 가압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130)는 고정 트레이(110, 도 3a 참조)에 장착되는 전자장치(200, 도 3a 참조) 표면의 형태(예: 전자장치(200)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는 윈도우의 곡면 형상, 도 10d 참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되는 고정 트레이(110)에 대응하여 교체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하우징(133)은 베이스부(120, 도 4 참조)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러 하우징(133) 내에는 롤러(135) 및 롤러 가압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하우징(133)의 개방된 면을 통해 롤러(135)가 전자장치(200)의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 5c는 도 5a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135)는 롤러 하우징(133)에 내장되고 상기 베이스부(120) 방향을 향해 접근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롤러(135)는 롤러 하우징(133)과 결합되는 샤프트(135a) 및 샤프트(135a)를 감싸고 보호필름의 표면과 접촉되는 탄성부(135b)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135a)와 샤프트(135a)를 감싸는 탄성부(135b)는 접착제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롤러(135)는 양측 단부의 직경(c)보다 중심부의 직경(d)이 작게 형성되고, 롤러(135) 양측 단부에서 중심부로 이어는 직경의 변화가 전자장치의 길이방향(예: X축) 또는 폭방향(예: Y축)으로 절개한 단면의 표면형상(도 10d 참조)과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체형상 또는 곡면을 갖는 전자장치의 표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135)의 탄성부(135b)는 상기 샤프트(135a)의 길이방향(예: Y축)에 수직으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135)의 탄성부(135b)의 적어도 일부는 이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의 후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경우, 롤러(135)의 중심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자장치(200)의 카메라 등 돌출된 부품과 롤러(135)가 간섭될 수 있다. 이때, 롤러(135)의 중심부분은 연질의 탄성물질로, 롤러(135)의 양단부측은 중심부분보다 경질의 탄성물질로 형성하면, 롤러(135)가 전자 장치(200)의 카메라 위치를 통과할 때 양단부측 보다 많이 압축 변형되며 카메라의 돌출량을 흡수하여 롤러(135)의 양단부측이 나머지 전자장치(200)의 표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하우징(133)에는 롤러(135)를 전자장치(200) 표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롤러 가압부(137)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c에서는 롤러 가압부(137)의 일 실시예로서 스프링을 도시하고 있으나,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 소정의 힘을 일정하게 가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하우징(133)과 롤러 마운트(124)가 결합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120) 및 롤러부(130)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앞서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롤러 하우징(133)은 롤러 하우징(133) 에 내장되는 롤러(135, 도 5b 참조) 및 롤러 가압부(137, 도 5b 참조)와 함께 일체로 교체될 수 있다. 롤러 하우징(133)이 롤러 마운트(124)와 결합되는 부분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고정 트레이(110, 도 3a 참조)에 안착되는 전자장치(200, 도 3a 참조)에 대응하여 롤러 하우징(133)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전자장치(200)의 표면에 보호필름(300, 도 3b 참조)을 부착시킬 수 있다.
도 6b에서는 롤러 하우징(133)과 롤러 마운트(124)가 레치(latch) 결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자성체 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결합 등 롤러 하우징(133)과 롤러 마운트(124)의 탈착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응용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부(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부(140)는 램프 하우징(141) 및 전원 하우징(145)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41)은 고정 트레이(110, 도 3a 참조)의 안착부(111, 도 3a 참조)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가 폐쇄상태라 함은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0)를 램프 하우징(141)이 덮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가 개방상태라 함은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0)를 램프 하우징(141)이 덮고 있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41)의 내부에는 안착부(111)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143)이 배치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41)은 내장된 광원(143)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이 투과되어 누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하우징(145)은 램프 하우징(14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베이스부(120, 도 4 참조)와 힌지(129)를 통해 결합하며 베이스부(120)와 램프 하우징(141)을 연결할 수 있다. 전원 하우징(145)에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원(143)에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하우징(145)에는 램프 하우징(141)이 안착부(111)를 폐쇄했을 때 광원(143)에 전원을 공급하고 램프 하우징(141)이 개방되었을 때 광원(143)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149)가 배치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41)이 개방된 상태에서 광원(143)에 전원이 공급되어 자외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램프 하우징(141)이 폐쇄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광원(143)에 전원을 공급한 뒤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은 보호필름을 경화시키는 필요한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램프 하우징(141)이 폐쇄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더라도 램프 하우징(141) 내부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광원(14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과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147)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부(140)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D-D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하우징(141)이 폐쇄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램프 하우징(141)이 개방되어 자외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b와 같이 램프 하우징(141)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장치(147)를 배치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베이스부(120)와 램프 하우징(141)이 물리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경우를 일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자성체 또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방법 등 램프 하우징(141)이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는 전자장치(200)가 안착되는 안착부(111)가 형성된 고정 트레이(110), 상기 고정 트레이(110)가 탈착되도록 결합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123)이 형성된 베이스부(1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에 안착된 상기 전자장치(200)의 표면을 가압하는 롤러부(130), 및 상기 베이스부(120)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상기 안착부(11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상기 고정 트레이(110)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레일(123)은 상기 결합부(121)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는 상기 안착부(111)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1)에 대한 보호필름(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113)는 상기 고정 트레이(110)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고정 베이스(114) 및 상기 제1고정 베이스(114)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고정 돌기(1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116)는 상기 고정 트레이(110)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고정 베이스(117) 및 상기 제2고정 베이스(117)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고정 돌기(118)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 베이스(117)가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1고정 베이스(114)가 돌출된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돌기(115)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 돌기(11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부(1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롤러 마운트(124), 상기 롤러 마운트(124)에 탈착되고, 상기 베이스부(120)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된 롤러 하우징(133), 상기 롤러 하우징(133)에 내장되고, 상기 베이스부(120) 방향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롤러(135), 및 상기 롤러 하우징(133)에 내장되어 상기 롤러(135)를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하는 롤러 가압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135)는 상기 롤러 하우징(133)과 결합하는 샤프트(135a) 및 상기 샤프트(135a)를 감싸고 보호필름(300)과 접촉되는 탄성부(135b)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135)는 양측 단부의 직경보다 중심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135)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와 중심부의 직경 변화가, 상기 전자장치(20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135)의 상기 탄성부(135b)는 상기 샤프트(135a)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구획되어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가압부(137)는 스프링 또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부(140)는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자장치(200)에 대향되는 면이 개방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143)이 배치되고, 자외선의 투과가 차단되는 램프 하우징(141), 및 상기 램프 하우징(141)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원(143)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20)와 결합되는 전원 하우징(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부(140)는 상기 램프 하우징(14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141)이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를 폐쇄했을 때 상기 베이스부(120)와 결합하여 상기 램프 하우징(141)의 개방을 방지하는 잠금장치(14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하우징(145)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141)이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를 폐쇄했을 때 상기 광원(143)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하우징(145)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광원(14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스위치(149)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램프 하우징(141) 내부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에 도달된 후에는 상기 광원(143)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0)에는, 상기 베이스부(1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폭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부(113)의 위치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 정도가 점점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둔턱(1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둔턱(125)의 돌출 정도가 최대인 곳은 상기 제1고정부(113)의 돌출 정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20)에는, 상기 베이스부(1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폭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부(116)의 위치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 정도가 점점 증가하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둔턱(1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는 곡면 형상의 표면을 갖는 전자장치(2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111) 및 상기 전자 장치(200)에 부착할 보호필름(300)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트레이(110), 상기 고정 트레이(110)가 탈착되도록 결합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123)이 형성된 베이스부(120), 상기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에 안착된 상기 전자장치(200)에 상기 보호필름(300)을 부착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롤러부(130), 및 상기 베이스부(12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110)의 상기 안착부(11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고정 트레이(110)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방법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 도 1 참조)를 활용하여 보호필름(300, 도 3b 참조)의 부착방법은 다음과 같다. 910동작에서는 보호필름(300)을 부착하고자 하는 전자장치(200, 도 3a 참조)에 대응하는 고정 트레이(110, 도 3a 참조) 및 롤러부(130, 도 5a 참조)를 선택하여 베이스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920동작에서는 전자장치(200)를 고정 트레이(1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리시버홀 또는 전면 카메라 등 전자 장치(20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물이 위치하는 상단부(210, 도 3a 참조)가 제1고정부(113, 도 3a 참조)를 향하도록 안착시킬 수 있다. 930동작에서는 보호필름(300)의 일측면 이형지(301, 도 3b 참조)를 제거할 수 있다. 940동작에서는 일측면 이형지(301)가 제거된 보호필름(300)을 이형지가 제거된 면이 전자장치(200)의 표면을 향하도록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 도 3a 참조)에 고정시킬 수 있다. 940동작에서 보호필름(300)과 보호필름이 부착될 전자장치(200) 표면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고정될 수 있다.
950동작에서는 롤러부(130)를 베이스부(120, 도 4 참조)의 레일(123, 도 4 참조)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부(130)가 이동하면서 롤러(135, 도 5b 참조)가 보호필름(300)을 전자장치(200) 표면을 향해 균일하게 가압하여 보호필름(300)이 전자장치(200)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롤러부(130)를 레일(123)을 따라 제1고정부(113)와 제2고정부(116) 사이를 복수회 왕복 이동시켜 보다 확실하게 보호필름(300)을 전자장치(200)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960동작에서는 보호필름(300)의 타면측 이형지(302, 도 3b 참조)를 제거하여 보호필름 부착을 완료할 수 있다.
970동작에서는 보호필름의 부착이 완료된 전자장치(200)를 안착부(111, 도 3a 참조)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램프 하우징(141, 도 7 참조)으로 폐쇄하고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이 조사된 보호필름은 경화되어, 전자장치 표면의 다양한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된 보호필름의 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호필름(300)이 부착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 트레이(110) 및 롤러부(130)가 베이스부(12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고정 트레이(110)의 안착부(111)에 안착되되 전자장치(200)의 상단부(210)가 제1고정부(113)측을 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트레이(110)의 제1고정부(113)와 제2고정부(116)에 보호필름(300)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1고정부(113) 측이 제2고정부(116)와 비교하여 낮게 형성되어 보호필름(300)과 전자장치(200) 표면의 거리가 가까울 수 있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0)가 전자장치(200) 표면위로 보호필름(300)을 가압하며 레일(123)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롤러부(130)가 전자장치(200) 표면의 형상을 따라 균일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0d는 도 10c에 따라 롤러부(130)가 전자장치(200) 표면을 가압하는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135)의 탄성부(135b) 형상이 전자장치(20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샤프트(135a)를 통해 힘을 가하면 전자장치(200)의 표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300)이 부착된 전자장치(20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보호필름(300)을 경화시키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경화부(140)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중간에 램프 하우징(141)이 개방되어 자외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147)를 이용하여 램프 하우징(141)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방법은 고정 트레이(110)를 베이스부(120)의 결합부(121)에 결합시키는 동작(910), 롤러부(130)를 상기 베이스부(120)에 결합시키는 동작(910), 전자장치(200)를 상기 고정 트레이(110)에 안착시키는 동작(920), 보호필름(300)의 일측면의 이형지를 제거하는 동작(930), 상기 보호필름(300)의 상기 이형지가 제거된 일측면이 상기 전자장치(200)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필름을 제1고정부(113) 및 제2고정부(116)에 고정시키는 동작(940), 상기 롤러부(130)를 상기 베이스부(120)의 레일(123)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작(950), 상기 보호필름(300)의 타측면 이형지를 제거하는 동작(960), 및 경화부(140)를 통하여 상기 보호필름(30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작(9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방법은 전자장치(200)를 상기 고정 트레이(110)에 안착시키는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장치(200)의 상단부(210)가 상기 제1고정부(113) 측에 위치하도록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방법은 롤러부(130)를 상기 베이스부(120)의 레일(123)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작에서 상기 롤러부(130)를 상기 베이스부(120)의 상기 레일(123)을 따라 복수회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00 :보호필름 부착장치 110 : 고정 트레이
111 : 안착부 113 : 제1고정부
114 : 제1고정 베이스 115 : 제1고정 돌기
116 : 제2고정부 117 : 제2고정 베이스
118 : 제2고정 돌기 120 : 베이스부
121 : 결합부 123 : 레일
124 : 롤러 마운트 125 : 제1둔턱
127 : 제2둔턱 130 : 롤러부
133 : 롤러 하우징 135 : 롤러
137 : 롤러 가압부 140 : 경화부
141 : 램프 하우징 143 : 광원
145 : 전원 하우징 147 : 잠금장치
149 : 스위치 200 : 전자장치
300 : 보호필름

Claims (19)

  1.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 트레이;
    상기 고정 트레이가 탈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된 상기 전자장치의 표면을 가압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상기 안착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상기 고정 트레이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롤러 마운트와, 상기 롤러 마운트에 탈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된 롤러 하우징과, 상기 롤러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롤러를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롤러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의 롤러는,
    양측 단부의 직경보다 중심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와 중심부의 직경 변화가, 상기 전자장치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 하우징과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감싸고 보호필름과 접촉되는 탄성부로 형성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구획되어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압부는 스프링 또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상기 고정 트레이의 안착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자장치에 대향되는 면이 개방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되고, 자외선의 투과가 차단되는 램프 하우징; 및
    상기 램프 하우징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전원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이 상기 고정 트레이의 안착부를 폐쇄했을 때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하여 상기 램프 하우징의 개방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하우징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이 상기 고정 트레이의 안착부를 폐쇄했을 때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하우징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스위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에 도달된 후에는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은 상기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트레이는
    상기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대한 보호필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고정 트레이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고정 베이스 및 상기 제1고정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고정 트레이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고정 베이스 및 상기 제2고정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고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 베이스가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1고정 베이스가 돌출된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돌기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 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폭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상기 고정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부의 위치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상기 고정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 정도가 점점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둔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둔턱의 돌출 정도가 최대인 곳은 상기 제1고정부의 돌출 정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폭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상기 고정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부의 위치 대응하는 곳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상기 고정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 정도가 점점 증가하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둔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6. 곡면 형상의 표면을 갖는 전자장치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및 상기 전자장치에 부착할 보호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트레이;
    상기 고정 트레이가 탈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된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트레이의 상기 안착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고정 트레이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롤러 마운트와, 상기 롤러 마운트에 탈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된 롤러 하우징과, 상기 롤러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롤러를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롤러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의 롤러는,
    양측 단부의 직경보다 중심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와 중심부의 직경 변화가, 상기 전자장치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7. 보호필름 부착방법에 있어서,
    고정 트레이를 베이스부의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동작;
    롤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는 동작;
    전자장치를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시키는 동작;
    보호필름의 일측면의 이형지를 제거하는 동작;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이형지가 제거된 일측면이 상기 전자장치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필름을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고정시키는 동작;
    상기 롤러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보호필름의 타측면 이형지를 제거하는 동작; 및
    경화부를 통하여 상기 보호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롤러 마운트와, 상기 롤러 마운트에 탈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된 롤러 하우징과, 상기 롤러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롤러를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롤러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된 상기 전자장치의 표면을 가압하고, 양측 단부의 직경보다 중심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와 중심부의 직경 변화가, 상기 전자장치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고정 트레이에 안착시키는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상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 측에 위치하도록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작에서 상기 롤러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레일을 따라 복수회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20200116190A 2018-02-28 2020-09-10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236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90A KR102361367B1 (ko) 2018-02-28 2020-09-10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47A KR102169780B1 (ko) 2018-02-28 2018-02-28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20200116190A KR102361367B1 (ko) 2018-02-28 2020-09-10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47A Division KR102169780B1 (ko) 2018-02-28 2018-02-28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397A true KR20200108397A (ko) 2020-09-18
KR102361367B1 KR102361367B1 (ko) 2022-02-11

Family

ID=8026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190A KR102361367B1 (ko) 2018-02-28 2020-09-10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6107B2 (en) 2021-07-15 2024-03-12 Whitestone Co., Ltd.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apparatus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kit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202U (ja) * 2012-12-25 2013-03-14 許瑞峯 フィルムの貼り付け装置
KR101791831B1 (ko) * 2017-06-01 2017-10-3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휴대 단말기의 글래스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1833257B1 (ko) * 2017-01-10 2018-04-13 김지안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202B2 (ja) * 1992-03-31 2001-07-03 日鉱金属株式会社 アパーチャグリル用素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202U (ja) * 2012-12-25 2013-03-14 許瑞峯 フィルムの貼り付け装置
KR101833257B1 (ko) * 2017-01-10 2018-04-13 김지안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91831B1 (ko) * 2017-06-01 2017-10-3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휴대 단말기의 글래스 보호필름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6107B2 (en) 2021-07-15 2024-03-12 Whitestone Co., Ltd.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apparatus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kit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367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780B1 (ko)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20200108397A (ko)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2388886B1 (ko) 임프린트 장치
US9494178B2 (en) Methods for bonding substrates using liquid adhesive
EP369758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sting polymer products
DK159251C (da) Fremgangsmaade til lukning af spalten mellem en paa et dybtrykapparats trykformcylinder opspaendt dybtrykplades ender, samt indretning ved dybtryksapparatet,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US9457548B2 (en) Manual and automatic fastening device for a bonding element and method therefor
BR0001565A (pt) Processo de posicionamento de elementos em placa na estação de introdução de uma máquina de tratamento, e dispositivo para a aplicação do processo
KR970016856A (ko)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와 이러한 스캐너 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JP6303773B2 (ja) 面光源装置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293872B1 (ja) 露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80063421A (ko) 스크라이빙 장치
TW200714932A (en) Prism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air gap therebetween
EP1775161A2 (en) Vehicle lamp
US11079793B2 (en) Adhesive member for an electronic device
EP3025837B1 (en) Optical fiber recoating device
US10532503B2 (en) Optical fiber re-coating device
JP2021079608A (ja) 材料回収装置及び三次元造形装置
JP3210802U (ja) 貼着具
BRPI0902608A2 (pt) método para acoplar e alinhar uma parte de acabamento, montagem, e, gabarito de alinhamento
JP6769026B2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0887933B1 (ko) 광학부재 제조용 필름벨트 및 이를 이용한 광학부재제조장치
JP2007040750A (ja) マイクロチップ基板貼り合わせ装置
JP2021045872A (ja) 箔転写装置
KR20190061216A (ko) 패턴형성방법 및 패턴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