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214A - Automatic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tell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214A
KR20200108214A KR1020190027041A KR20190027041A KR20200108214A KR 20200108214 A KR20200108214 A KR 20200108214A KR 1020190027041 A KR1020190027041 A KR 1020190027041A KR 20190027041 A KR20190027041 A KR 20190027041A KR 20200108214 A KR20200108214 A KR 20200108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lamping plate
clamping lever
automation device
financial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9252B1 (en
Inventor
김석원
김경수
이승수
서영대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52B1/en
Priority to US16/423,273 priority patent/US10872506B2/en
Priority to EP19209730.1A priority patent/EP3671677B1/en
Priority to CN201911215350.9A priority patent/CN111341037B/en
Publication of KR2020010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es a main body and a tray. The tray includes: a tray body which is movable between a customer service unit and a deposit/withdrawal unit; a clamping plate installed at the tray body to be vertically movable to clamp a medium inserted into the tray body; and a clamping lever configured to move the clamping plate upward and downward through a gripping groove for restricting at least a part of the clamping plate to move the clamping plate upward and downwa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a pocket type and a present type and allowing effective vertical movement of the clamping plate.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In general,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 can provide unattended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and withdrawal of cash and checks using a card or passbook without a bank employ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It is an automated device.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Financial automation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a cash machine, a deposit machine, and a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deposit or withdraw. These automated financial devices are used not onl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but also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hecks, organizing bankbooks, paying giro fees, and ticketing.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받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포켓 타입으로서 입출금부가 포켓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매체를 포켓 내부로 투입하도록 하는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프리젠트 타입으로서 입출금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지폐가 투입 및 인출되는 타입이다. Conventional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ceiving media such as cash and checks. One is a pocket type, which is a type in which the deposit/withdrawal part is provided in a pocket shape so that the user inserts the media into the pocket. The other is a present type, in which bills are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a slot formed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이 중, 포켓 타입의 경우 사용자가 입금을 하기 위해 매체를 입출금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손을 포켓 내부까지 넣어야 하는데, 사용자가 소속된 문화권에 따라서는 이렇게 기계 내부로 신체의 일부를 넣는 것 자체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포켓 타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사용자가 손을 입출금부에 넣지 않고도 매체를 입출금할 수 있는 프리젠트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프리젠트 타입은 보안에 다소 취약하고, 한번에 입출금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번에 많은 금액을 입출금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Among them, in the case of the pocket type, in order for the user to put the media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department for deposit, the hand must be put into the pock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many cases.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is pocket type problem, a presentation type that allows users to deposit and withdraw media without putting their hands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may be applied, but such a presentation type is somewhat vulnerable to security and allows deposit and withdrawal at once. Since the quantity is very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who wants to deposit and withdraw a large amount at once may feel uncomfortable.

이러한 두 가지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을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실제 적용까지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two types of problems, there is an attempt to fuse the pocket type and the present type, but the actual application is still inadequate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poor practicality.

이에,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를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on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having an innovative structur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pocket type and present type.

특허등록공보 10-1094499 (2011.12.08)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10-1094499 (2011.12.0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 각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클램핑 플레이트의 효율적인 승강 작동이 가능한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to propose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lifting and lowering a clamping plate while solving the problems of each of the pocket type and the present ty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의 투입 및 수취가 가능한 접객부와 상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를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에 투입되는 매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속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파지홈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핑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roviding a reception unit capable of inputting and receiving a medium and a deposit/withdrawal unit for separating and accumulating the medium; And a tray for transferring a medium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unit and the reception unit, wherein the tray includes a tray body movable between the reception unit and the deposit/withdrawal unit; A clamping plate installed to be elevating and descending on the tray body to clamp the medium input to the tray body; And a clamping lever for moving the clamping plat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hrough a gripping groove for lifting and low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lamping plate.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클램핑 레버의 회전 높이를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바디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는 높이 제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dy may include a height limiting bracket protruding on a moving path through which the tray body moves in order to limit the rotational height of the clamping lever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less.

또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클램핑 레버에 의해 상승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승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mping plate may include a lif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portion so as to be raised by the clamping lever.

또한, 상기 클램핑 레버는 높이 제한 브라켓(130)이 상기 트레이 바디에 힌지 연결되고, 높이 제한 브라켓(130)이 상기 파지홈부를 통해 상기 승강 돌기에 대한 구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lamping lever, a height limiting bracket 130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tray body, and a height limiting bracket 130 may maintain a restra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protrusion through the gripping groove.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클램핑 레버를 상기 접객부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means for operating the clamping lever in the reception part.

또한, 상기 승강 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램핑 레버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가 승강 가능한 경사면을 제공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크편; 및 상기 레크편을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ans may include a link member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selectively supports the clamping lever; A leg piece that provide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link member can be lifted and i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t may include a pinion gear for moving the leg piece.

또한,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레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mping lever may include a lev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to be supported by the link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포켓 타입의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장치 내부로 유입될 것이 요구된다는 문제점과 프리젠트 타입의 취약한 보안과 한번에 입출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소하여 실용화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both the problem of requiring that a part of the body of a conventional pocket-type user is requi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device, the weak security of the present type, and the problem of limiting the number of media that can be entered and exited at once In spite of be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practical use is eas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패너 형태의 클램핑 레버를 통해 클램핑 플레이트를 구속하여 클램핑 플레이트의 효율적인 승강 작동이 가능함으로써, 트레이 바디에 투입된 매체를 효율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plate is restrained through a clamping lever in the form of a spanner, thereby enabling an efficient lifting operation of the clamping plate, thereby effectively clamping the medium input to the tray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높이 제한 브라켓을 통해, 클램핑 레버의 회전 높이를 일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가 이동 경로를 이동할 때, 클램핑 플레이트와 주변 장치 간 간섭을 방지하고, 클램핑 플레이트의 약한 가압력으로 인한 매체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al height of the clamping lever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height through the height limiting bracket, when the tray moves through the movement path, interference between the clamping plate and the peripheral device is prevented, and clamping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medium from falling due to the weak pressing force of the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에서, 클램핑 플레이트가 클램핑 레버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레크 앤 피니언 방식에 의해 링크 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에서, 클램핑 플레이트가 클램핑 레버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레크 앤 피니언 방식에 의해 링크 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에 매체가 클램핑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가 매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입출금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tray of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amping plate is raised by a clamping lever in a tray of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member is raised by a rack-and-pinion method 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amping plate is lowered by a clamping lever in the tray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member is lowered by a rack-and-pinion method in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edium is clamped to a tray of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y of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a deposit/withdrawal unit while clamping a mediu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invention that are claimabl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Further,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rresponding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connect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및 트레이(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and a tray 30.

구체적으로,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외관을 구성하며, 전방측에 접객부(4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접객부(40)는 접객구(11)를 통해 지폐나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 또는 수취하기 위해 마련되는 접객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and may provide a customer service part 40 at the front side. Here, the customer service unit 40 may be understood as a customer service space provided for inputting or receiving media such as bills or checks through the customer service port 11.

본체(10)의 내부에는 접객부(40), 입출금부(20) 및 트레이(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 사이에는 트레이(30)가 왕복 이동이 가능한 이동 경로(L)가 마련될 수 있다. A customer service part 40, a deposit/withdrawal part 20, and a tray 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 moving path L through which the tray 30 can reciprocat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and the customer service unit 40.

접객부(40)는 사용자에 의한 입금 또는 출금이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접객부(40)에서는 매체가 금융 자동화 기기(1)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접객부(40)는 개폐하기 위한 입출금 셔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ption unit 4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deposit or withdrawal by a user. In the customer service unit 40, a medium may be introduced or discharged into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 The reception part 40 may include a deposit/withdrawal shutter 410 for opening and closing.

입출금부(20)는 입출금을 위한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금부(20)는 하우징(210), 분리 집적 모듈(220) 및 리프팅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separate and integrate a medium for deposit and withdrawal.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may include a housing 210, a separate and integrated module 220, and a lifting module 230.

예를 들어, 하우징(210)은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분리 집적 모듈(220)이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집적 모듈(220)은 분리 롤러(222) 및 집적 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롤러(222)는 트레이(30)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분리할 수 있고, 집적 롤러(224)는 분리 롤러(222)에서 분리된 매체 중 리젝트권 또는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매체를 트레이(30)에 집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separate and integrated module 2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10. The separation and integration module 220 may include a separation roller 222 and an integration roller 224. The separation roller 222 may separate the media conveyed by the tray 30, and the accumulation roller 224 transfers the media conveyed for rejection or withdrawal among the media separated by the separation roller 222 in a tray ( 30) can be accumulated.

그리고 리프팅 모듈(230)은 하우징(210) 내에 제공될 수 있고, 트레이(30)를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프팅 모듈(230)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트레이(3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는 본체(10) 내부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모듈(230)의 의해, 본체(10) 내에 있던 매체는 트레이(30)로 집적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module 23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210 and may selectively move the tray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module 230,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tray 30 may be conveyed through a conveying path inside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by the lifting module 230, the medium in the body 10 may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accumulated into the tray 30.

트레이(3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본체(10) 내에서 이송할 수 있다. 이 트레이(30)는 접객부(40)에서 고객으로부터 매체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동할 수 있고, 분리롤러(222)에 의해 낱장 분리된 매체를 금융자동화기기(1) 내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이송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입출금부(20)에서 출금 대상인 매체를 공급받아 접객부(40)로 이송하여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The tray 30 may transfer the medium within the main body 10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and the customer service unit 40. This tray 30 can be moved to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by receiving the media from the customer at the customer service unit 40, and a separate storage unit in the automated financial machine 1 for the media separated by the separation roller 222 It may be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not shown), and the media to be withdrawn from the deposit/withdrawal unit 20 may be supplied and transferred to the customer service unit 40 to deliver the media to the custom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는 트레이 바디(300), 클램핑 플레이트(360) 및 클램핑 레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ray 30 may include a tray body 300, a clamping plate 360, and a clamping lever 370.

트레이 바디(300)는 본체(10)의 이동 경로(L)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바디(300)의 저면에는 매체의 집적을 위한 저판(110)이 마련될 수 있다. The tray body 300 may be provided to be reciproc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movement path L of the body 10. In this case, a bottom plate 110 for accumulating media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ray body 300.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저부에 마련된 저판(110)과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360)에는 클램핑 레버(370)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 돌기(3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lamping plate 360 may be installed on the tray body 300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lamping plate 36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o face the bottom plate 11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ray body 300, and the lifting protrusion 361 supported by the clamping lever 370 on the clamping plate 360 ) May be formed to protrude.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에는 클램핑 레버(370)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 돌기(3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6, a lifting protrusion 361 supported by a clamping lever 370 may protrude from the clamping plate 360.

이에 따라,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가 클램핑 레버(37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370)가 승강 수단(80)의 링크 부재(810)에 의해 상방향 회전(도 3의 반시계 방향)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360)와 저판(110) 사이의 공간에는 매체의 집적을 위한 매체 집적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plate 360 is constrained by the clamping lever 370, the clamping lever 370 rotates upward by the link member 810 of the lifting means 80 ( 3), the clamping plate 360 may be moved upward of the tray body 300. In this case, in the space between the clamping plate 360 and the bottom plate 110, a medium accumulation space S for accumulation of the medium may be formed (see FIG. 2 ).

아울러, 매체가 매체 집적공간(S)에 집적된 경우, 승강 수단(80)의 링크 부재(810)가 하방향 회전(도 5의 시계 방향)되고, 클램핑 레버(370)가 하방향 회전(도 5의 시계 방향)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클램핑 레버(370)의 회전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매체 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를 클램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edium is accumulated in the medium accumulation space (S), the link member 810 of the lifting means 80 rotates downward (clockwise in FIG. 5), and the clamping lever 370 rotates downward (FIG. 5), the clamping plate 360 may clamp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medium accumulation space S while moving downward by the rotation of the clamping lever 370.

클램핑 레버(370)는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할 수 있는 스패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클램핑 레버(370)의 높이 제한 브라켓(130)은 트레이 바디(300)에 힌지축(373)을 통해 힌지 연결될 수 있고, 클램핑 레버(370)의 높이 제한 브라켓(130)은 스패너 형태로 제공되는 파지홈부(372)를 통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레버(370)의 측단부에는 승강 수단(80)의 링크 부재(810)에 의해 지지되도록 돌출되는 레버 돌기(371)가 마련될 수 있다. The clamping lever 37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panner capable of restraining the lif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plate 360. For example, the height limiting bracket 130 of the clamping lever 370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tray body 300 through a hinge shaft 373, and the height limiting bracket 130 of the clamping lever 37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panner. The lif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plate 360 can be restrained and rotated through the gripping groove 372. In addition, a lever protrusion 371 protruding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link member 810 of the lifting means 80 may be provided at the side end of the clamping lever 370.

이에 따라, 클램핑 레버(370)의 파지홈부(372)가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한 상태, 다시 말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가 클램핑 레버(370)의 파지홈부(372)에 인입된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370)가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groove 372 of the clamping lever 370 restrains the lif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plate 360, that is, the lif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plate 360 is clamping lever 370 ), when the clamping lever 37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FIG. 3, the clamping plate 360 may be moved upward of the tray body 300.

아울러, 클램핑 레버(370)의 파지홈부(372)가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를 구속한 상태, 다시 말해,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승강 돌기(361)가 클램핑 레버(370)의 파지홈부(372)에 인입된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370)가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트레이 바디(300)의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groove portion 372 of the clamping lever 370 restrains the eleva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plate 360, that is, the eleva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plate 360 is clamping lever 370 When the clamping lever 37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 5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ripping groove 372 of FIG. 5, the clamping plate 360 may be moved downward of the tray body 300.

이와 같은 클램핑 레버(370)의 작동은 승강 수단(8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lever 37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lifting means 80.

승강 수단(80)은 클램핑 레버(370)를 지지하도록 본체(10)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810)와, 링크 부재(810)가 승강 가능한 경사면을 제공하는 레크편(820)과, 레크편(820)을 본체(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830)와, 피니언기어(8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80 includes a link member 810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to support the clamping lever 370, a rake piece 820 providing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link member 810 can elevate, and a rake piece ( A pinion gear 830 that moves the 8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n actuator (not shown)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830 may be included.

여기서, 링크 부재(810)는 복수의 링크편이 링크 연결되는 4절 링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링크 부재(810)의 적어도 일부는 클램핑 레버(370)의 승강 돌기(361)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부재(810)에는 레크편(820)에 의해 지지 가능한 링크 돌기(8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link member 8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our-fold link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pieces are linke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k member 810 may support the lifting protrusion 361 of the clamping lever 370. In addition, a link protrusion 811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leg piece 82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ink member 810.

레크편(820)은 본체(10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크편(820)의 상면에는 피니언기어(830)에 맞물리는 레크 나사산(8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레크편(820)은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4 및 도 6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leg piece 82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rack thread 8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piece 820 to mesh with the pinion gear 830. The leg piece 820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FIGS. 4 and 6 by rotation of the pinion gear 830.

피니언기어(830)는 액츄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피니언기어(8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피니언기어(830)와 벨트(미도시)를 통해 구동 연결될 수 있다. The pinion gear 830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an actuator. The actuator is a drive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830 and may be connected to drive through the pinion gear 830 and a belt (not shown).

이에 따라, 레크편(820)이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 부재(810)의 링크 돌기(811)는 레크편(820)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상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상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leg piece 820 moves to the right side of FIG. 4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830, the link protrusion 811 of the link member 810 is up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g piece 820 As it moves to, the link member 810 moves upward. In this case, the clamping lever 370 may move the clamping plate 360 upward by moving the link member 810 upward.

반면에, 레크편(820)이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6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 부재(810)의 링크 돌기(811)는 레크편(820)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ke piece 820 moves to the left of FIG. 6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830, the link protrusion 811 of the link member 810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ake piece 820 As it moves to, the link member 810 moves downward. At this time, the clamping lever 370 may move the clamping plate 360 downward by moving the link member 810 downward.

한편, 본체(10)에는 트레이(30)의 이동시 클램핑 레버(370)의 회전 높이를 기 설정된 높이 이내로 제한하는 높이 제한 브라켓(130)이 마련될 수 있다. 높이 제한 브라켓(130)은 클램핑 레버(370)의 최대 회전 높이가 기 설정 높이 이하로 제한되도록, 본체(10)의 이동 경로(L)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limiting bracket 130 that limits the rotational height of the clamping lever 370 to within a preset height when the tray 30 is moved. The height limit bracket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h L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ximum rotational height of the clamping lever 370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less.

이에 따라, 트레이(30) 내에 매체의 과적재로 인해, 클램핑 플레이트(360)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더라도, 트레이(30)가 이동 경로(L)의 높이 제한 브라켓(130)을 통과하게 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승강 작동을 구현하는 클램핑 레버(370)의 회전 높이가 높이 제한 브라켓(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트레이 바디(30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Accordingly, due to the overloading of the medium in the tray 30, even if the clamping plate 360 is positioned higher than a preset height, when the tray 30 passes through the height limiting bracket 130 of the moving path L, While the rotational height of the clamping lever 370 that implement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lamping plate 360 is guided by the height limiting bracket 130, it descends along the tray body 300.

이와 같이, 높이 제한 브라켓(130)는 클램핑 레버(370)의 회전 높이 조절을 통해, 매체를 가압하면서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높이를 일정 높이 이하로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이(30)가 이동 경로(L)를 이동할 때, 클램핑 플레이트(360)는 주변 장치와 간섭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약한 가압력으로 인한 매체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height limiting bracket 130 may maintain the height of the clamping plate 360 low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pressing the medium through the rotational height adjustment of the clamping lever 370. Through this, when the tray 30 moves in the moving path L, the clamping plate 360 can mov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peripheral device, and the drop of the medium due to the weak pressing force of the clamping plate 360 is prevented in advance. can do.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에서 보듯이, 트레이(30)가 접객부(40)로 이동되면, 접객구(11)를 통한 매체의 입금을 위해, 트레이(30)의 트레이 바디(300)는 매체 집적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2, when the tray 30 is moved to the customer service unit 40, the tray body 300 of the tray 30 is a media accumulation space (S ) Can be provided.

예컨대, 트레이(30)가 접객구(11)로 이동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기어(830)가 회전되면, 레크편(820)은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상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2와 같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와 저판(110) 사이의 공간에는 매체의 집적을 위한 매체 집적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inion gear 8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while the tray 30 is moved to the customer service port 11, the rake piece 820 is shown in FIG. 4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830. As it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the link member 810 moves upward. At this time, the clamping lever 370 moves the clamping plate 360 upwar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link member 81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clamping plate 360 and the bottom plate 110 as shown in FIG. 2 A media accumulating space (S) for accumulating media may be formed.

이후, 도 7에서 보듯이, 트레이 바디(300)의 매체 집적공간(S)에 매체가 투입되면, 매체 집적공간(S)에 투입된 매체는 클램핑 플레이트(360)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7, when a medium is input into the medium accumulation space S of the tray body 300, the medium input into the medium accumulation space S may be clamped by the clamping plate 360.

예를 들어, 매체가 매체 집적공간(S)에 투입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기어(830)가 회전되면, 레크편(820)은 피니언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도 6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링크 부재(810)는 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 레버(370)는 링크 부재(810)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7과 같이, 클램핑 플레이트(360)와 저판(110) 사이의 공간에 매체를 클램핑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inion gear 8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while the medium is inserted into the medium accumulation space (S), the rake piece 820 is rotated by the pinion gear 830 on the left side of FIG. As it moves in the direction, the link member 810 moves downward. At this time, the clamping lever 370 moves the clamping plate 360 downward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ink member 81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clamping plate 360 and the bottom plate 110 is as shown in FIG. 7. Can clamp the medium on.

매체 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M)가 클램핑 플레이트(360)에 의해 클램핑되면, 도 8에서 보듯이, 트레이 바디(300)는 본체(10)에 마련된 이동 경로(L)를 통해 입출금부(20)로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medium (M) accumulated in the medium accumulation space (S) is clamped by the clamping plate (360), as shown in FIG. 8, the tray body (300) deposits and withdraws through the moving path (L)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t can be moved to the unit 20.

이때, 트레이(30)가 이동 경로(L)의 높이 제한 브라켓(130)을 통과하게 되면, 클램핑 플레이트(360)를 승강 작동을 구현하는 클램핑 레버(370)의 회전 높이가 높이 제한 브라켓(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클램핑 플레이트(360)의 높이는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tray 30 passes through the height limiting bracket 130 of the moving path L, the rotational height of the clamping lever 370 that implement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lamping plate 360 is the height limiting bracket 130 While guided by, the height of the clamping plate 360 may be maintained below a preset heigh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eld of application, or combine or substitute embodiments to implement it in a form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and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금융 자동화 기기 10: 본체
20: 입출금부 30: 트레이
40: 접객부 80: 승강 수단
300 :트레이 바디 360: 클램핑 플레이트
370 :클램핑 레버 810: 링크 부재
820 :레크편 830: 피니언 기어
1: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0: main body
20: deposit and withdrawal unit 30: tray
40: customer service 80: elevating means
300: tray body 360: clamping plate
370: clamping lever 810: link member
820: Reck 830: Pinion Gear

Claims (7)

매체의 투입 및 수취가 가능한 접객부와 상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는 입출금부를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접객부 및 상기 입출금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에 투입되는 매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바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속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파지홈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 main body providing a reception unit capable of inputting and receiving a medium and a deposit/withdrawal unit for separating and accumulating the medium; And
And a tray for transferring a medium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unit and the reception unit,
The tray is
A tray body movable between the customer service unit and the deposit/withdrawal unit;
A clamping plate installed to be elevating and descending on the tray body to clamp the medium input to the tray body; And
Comprising a clamping lever for moving the clamping pl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rough a gripping groove for restra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lamping plate to lift and lower,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클램핑 레버의 회전 높이를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바디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는 높이 제한 브라켓을 포함하고,
금융 자동화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n order to limit the rotational height of the clamping lever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less, a height limiting bracket protruding on a moving path in which the tray body moves, and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클램핑 레버에 의해 상승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승강 돌기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amping plate is
Comprising an eleva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to be raised by the clamping lever,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는
일단이 상기 트레이 바디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파지홈부를 통해 상기 승강 돌기에 대한 구속 상태를 유지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lamping lever is
One end is hinged to the tray body, and the other end maintains a restra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protrusion through the gripping groov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클램핑 레버를 상기 접객부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eans for operating the clamping lever in the reception part,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램핑 레버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가 승강 가능한 경사면을 제공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크편; 및
상기 레크편을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vating means
A link member at least partially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support the clamping lever;
A leg piece that provide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link member can be lifted and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ing a pinion gear for moving the rake piec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레버 돌기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lamping lever is
Including a lever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to be supported by the link member,
Financial automation device.
KR1020190027041A 2018-12-19 2019-03-08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639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41A KR102639252B1 (en) 2019-03-08 2019-03-08 Automatic teller machine
US16/423,273 US10872506B2 (en) 2018-12-19 2019-05-28 Automated teller machine
EP19209730.1A EP3671677B1 (en) 2018-12-19 2019-11-18 Automated teller machine
CN201911215350.9A CN111341037B (en) 2018-12-19 2019-12-02 Automatic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41A KR102639252B1 (en) 2019-03-08 2019-03-08 Automatic teller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14A true KR20200108214A (en) 2020-09-17
KR102639252B1 KR102639252B1 (en) 2024-02-21

Family

ID=7270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041A KR102639252B1 (en) 2018-12-19 2019-03-08 Automatic teller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20B1 (en) * 2010-01-13 2011-12-07 주식회사 위즈메카트로닉스 Media stacking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KR101094499B1 (en) 2010-08-03 2011-12-20 엘지엔시스(주)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140077440A (en) * 2012-12-14 2014-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20B1 (en) * 2010-01-13 2011-12-07 주식회사 위즈메카트로닉스 Media stacking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KR101094499B1 (en) 2010-08-03 2011-12-20 엘지엔시스(주)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140077440A (en) * 2012-12-14 2014-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252B1 (en)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72083A1 (en) Paper-slip handl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KR101250693B1 (en)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KR100973875B1 (en)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KR101016245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543468B1 (en) App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notes i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110079092A (en) Cassette to store recovery paper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6571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paper money thereof
KR20200108214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5769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WO2014155644A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US10994955B2 (en) Tray unit assembly
US9643785B2 (en) Bunch presentation
KR10263925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57693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15769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57686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locking structure for tray
JP4319436B2 (en) Automatic cash handling equipment
CN111341037B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268131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tray unit thereof
KR200389004Y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262189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160077908A (en) Teller cash recycler
KR102588262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5289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6763223B2 (en) Media stacker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