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213A -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213A
KR20200107213A KR1020190025994A KR20190025994A KR20200107213A KR 20200107213 A KR20200107213 A KR 20200107213A KR 1020190025994 A KR1020190025994 A KR 1020190025994A KR 20190025994 A KR20190025994 A KR 20190025994A KR 20200107213 A KR20200107213 A KR 2020010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tack
plate
ess
flow path
es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225B1 (ko
Inventor
이정훈
강달모
권민호
문정오
유재욱
유정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2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225B1/ko
Priority to JP2020546108A priority patent/JP7062163B2/ja
Priority to PL19918102.5T priority patent/PL3828988T3/pl
Priority to HUE19918102A priority patent/HUE062330T2/hu
Priority to ES19918102T priority patent/ES2949642T3/es
Priority to EP19918102.5A priority patent/EP3828988B1/en
Priority to PCT/KR2019/017894 priority patent/WO2020179994A1/ko
Priority to US17/268,169 priority patent/US11881592B2/en
Publication of KR2020010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75Vent means sensitive to or responsive to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01M2/1077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과 복수의 운모 격벽 어셈블리가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셀 적층체 어셈블리;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양 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운모 격벽 어셈블리는, 인접한 배터리 셀의 사이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최 외각에 구비되어 기준 온도 미만에서는 상기 셀 적층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유로를 형성하고 기준 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유로를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A ESS modu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of a flame and a ESS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SS 팩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셀의 벤팅(venting)에 의한 가스는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이 가능하지만 내부에 화염이 발생된 경우 화염의 외부 유출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SS 팩에 관한 것이다.
ESS(Energy storage system) 모듈의 경우, 화재 시험 대응을 위하여 UL9450A 규정을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UL9450A 규정에 따른 화재 시험은, ESS 모듈 내부의 배터리 셀을 히팅 패드(heating pad)로 분당 5~7도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여 배터리 셀의 열폭주 현상(thermal runaway)을 일으켜야 한다.
또한, UL9450A 규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열폭주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 있어서, ESS 모듈의 외부로 벤팅(venting)에 따른 가스의 배출만이 이루어지고 내부에 발생된 화염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냉각 방식에 있어서 공냉식을 채용하고 있는 ESS 모듈의 경우,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을 따라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로의 형성으로 인해 특정 배터리 셀에서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열 및 화염이 유로를 따라 인접한 배터리 셀들로 쉽게 전파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배터리 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폭주 현상의 발생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그에 앞서 배터리 셀의 벤팅에 따른 가스 발생이 동반된다. 이러한 가스의 외부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만 ESS 모듈의 내부 압력 증가에 의한 화염의 증가 및 폭발 등의 더 큰 이슈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ESS 모듈은 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용 상황에서 내부의 배터리 셀의 원활한 냉각 및 벤팅에 의해 발생된 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동시에 일부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화염이 인접한 배터리 셀로 전파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사용 상황에서 내부의 배터리 셀의 원활한 냉각 및 벤팅에 의해 발생된 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동시에 일부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화염이 인접한 배터리 셀로 전파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과 복수의 운모 격벽 어셈블리가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셀 적층체 어셈블리;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양 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운모 격벽 어셈블리는, 인접한 배터리 셀의 사이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최 외각에 구비되어 기준 온도 미만에서는 상기 셀 적층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유로를 형성하고 기준 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유로를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운모 격벽 어셈블리는,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형성되는 유로 홈을 구비하는 운모 격벽; 및 상기 유로 홈의 일부를 채우되 기준 온도 이상에서 팽창하여 상기 유로 홈을 완전히 채우는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 타입 배터리 셀이며, 폭 방향 양 측부에 부착되는 실링 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셀 적층체의 적층 방향 양 측부에 밀착되어 상기 셀 적층체를 가압하며,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양 측부를 커버하는 한 쌍의 측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 사이 및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는 메쉬 격벽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 격벽 어셈블리는,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형성되는 결합 홈을 구비하는 메쉬 격벽; 및 상기 결합 홈을 채우면서 메쉬 격벽에 결합되며, 복수의 유로 홀을 구비하되 기준 온도 이상에서 상기 유로 홀이 사라지도록 팽창하는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측방 플레이트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는 메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셀 적층체와 메쉬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메쉬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유로 홀을 구비하는 제1 운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셀 적층체와 메쉬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메쉬 플레이트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2 운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을 복수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ESS 모듈의 일반적인 사용 상황에서는 내부의 배터리 셀의 원활한 냉각 및 벤팅에 의해 발생된 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동시에 일부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화염이 인접한 배터리 셀로 전파되는 지연 및/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에 적용되는 셀 적층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에 적용되는 셀 적층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완성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을 제거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팽창 그라파이트가 팽창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모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팽창 그라파이트가 팽창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을 제거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팽창 그라파이트가 팽창한 이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모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팽창 그라파이트가 팽창한 이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쉬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팽창 그라파이트에 형성된 유로 홀이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사라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X-X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의 측부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 모듈은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 하부 하우징(200), 상부 하우징(300), 냉각 팬 블록(400), 메쉬 격벽 어셈블리(500), 메쉬 플레이트(600), 제1 운모 플레이트(700) 및 제2 운모 플레이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는 셀 적층체(110), 버스바 프레임(120) 및 가압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셀 적층체(11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1)과 복수의 운모 격벽 어셈블리(112)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셀(111)로는 파우치 타입의 배터리 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11)은, 길이 방향 양 측을 통해 각각 인출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111a)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 셀(111)의 폭 방향 양 측부에는 배터리 셀(111)을 구성하는 파우치 케이스의 밀봉성을 강화하기 위한 실링 테이프(T)가 부착된다. 이러한 실링 테이프(T)의 적용으로 인해, 파우치 타입의 배터리 셀(111)은, 파우치 케이스의 폭 방향 양 측부의 밀봉성이 길이 방향 양 측부의 밀봉성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파우치 타입 배터리 셀(111)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ESS 모듈의 내압이 증가하는 경우 벤팅(venting)에 의한 내부 가스의 배출은 전극 리드(111a)가 인출되는 방향, 즉 배터리 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도 5 및 도 6과 함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운모 격벽 어셈블리(112)는, 서로 인접한 배터리 셀(111) 사이 및 셀 적층체(110)의 최 외각에 구비되어 기준 온도 미만에서는 셀 적층체(11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유로를 형성하고 기준 온도 이상에서는 유로를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는 냉각을 위한 공기의 이동 및 벤팅 발생 시의 가스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의미하는 것이다.
ESS 모듈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이고, 이에 따라 상기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 ESS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방향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배터리 셀(111)의 적층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터리 셀(111)들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이동 및 벤팅으로 인해 배출된 가스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ESS 모듈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고, 이에 따라 상기 유로가 차단되는 경우, ESS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방향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배터리 셀(111)의 적층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공기와 가스, 그리고 화염의 이동이 모두 차단된다.
즉, ESS 모듈의 정상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냉각을 위한 공기가 배터리 셀(111) 및 운모 격벽 어셈블리(112)의 적층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ESS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111)들 중 일부에 단락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배터리 셀(11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벤팅이 발생되는 온도에 이르게 된 경우에도, 벤팅에 의해 배터리 셀(111)의 외부로 유출된 가스는 유로를 통해 배터리 셀(111) 및 운모 격벽 어셈블리(112)의 적층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일부 배터리 셀(111)에서 열 폭주 현상이 발생되는 온도 이상의 기준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유로는 차단되고 이로 인해 일부 배터리 셀(111)의 열 폭주 현상으로 인해 발생된 화염이 셀 적층체(110) 내부에서 인접한 배터리 셀(111)로 옮겨가는 것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열 폭주 현상의 급격한 전파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운모 격벽 어셈블리(112)는 배터리 셀(111)과 대응되는 길이 및 배터리 셀(111)보다 좀 더 큰 폭을 가지며, 운모 격벽(112a) 및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운모 격벽(112a)은 그 폭이 배터리 셀(111)보다 좀 더 그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셀 적층체(110)의 상단 및 하단으로 배터리 셀(111)보다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운모 격벽(112a)은 그 폭 방향 상단 및/또는 하단에 일정 깊이 및 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유로 홈(G)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 유로 홈(G) 내에는 제1 유로 홈(G)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가 부착된다. 즉, 상기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는 제1 유로 홈(G)을 일부만 채우며 이로써 제1 유로 홈(G) 내에는 일부 빈 공간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빈 공간이 유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운모 격벽(112a)을 구성하는 운모는, 화강암을 구성하는 조암 물질 중 하나로서 우수한 전기 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열 시 물성의 변화가 매우 적은 특성을 갖는다. 상기 운모는 500~1000℃의 고온에서도 절연 저항이 대략 150kV/mm 수준으로 유지되고, 친환경 소재로써 석면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모는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며 연소 또는 가열 시에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셀 적층체(1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인접한 배터리 셀(111) 사이에 운모 재질의 운모 격벽(112a)을 삽입함으로써 인접한 배터리 셀(111) 간의 열 폭주 현상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를 구성하는 팽창 그라파이트 분말은 그 조성의 조절에 따라 팽창이 이루어지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 폭주 현상에 따른 화염이 발생되는 온도 이상에서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의 팽창이 일어나도록 분말의 조성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이 발생되는 온도 이상의 기준 온도에서 팽창하여 제1 유로 홈(G)을 완전히 채우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로 홈(G)이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ESS 모듈 내부에서 셀 적층체(110)의 적층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로가 소멸되고, 이로써 인접한 배터리 셀(111) 간의 화염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 프레임(120)은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버스바 프레임(120)은 전극 리드(111a)가 인출되는 방향에서 셀 적층체(110)에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120)은 리드 안착부(121) 및 한 쌍의 플레이트 지지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안착부(121)는, 전극 리드(111a)가 통과되는 리드 인출 슬릿(121a)을 구비한다. 상기 전극 리드(111a)는 리드 인출 슬릿(121a)을 통해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리드 안착부(121) 상에 설치되는 버스바(미도시)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하나의 버스바에 결합되는 전극 리드(111a)의 개수 및 극성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셀(111)들 간의 전기적 연결 관계가 결정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22)는, 리드 안착부(121)의 폭 방향 양 측 단부로부터 리드 안착부(121)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제1 고정 슬릿(122a) 및 제2 고정 슬릿(122b)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고정 슬릿(122a)은 플레이트 지지부(122)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플레이트 지지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 슬릿(122a)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 지지부(122)의 내측면에 모두 형성되고, 이러한 제1 고정 슬릿(122a)에는 ESS 모듈의 양 측부를 통한 화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운모 플레이트(700)가 삽입/고정 된다(도 15 참조). 상기 제1 운모 플레이트(700)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 고정 슬릿(122b)은 플레이트 지지부(122)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플레이트 지지부(12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고정 슬릿(122b)은 제1 고정 슬릿(122a)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이로써 제2 고정 슬릿(122b)의 형성 개수만큼 제1 고정 슬릿(122a)이 분할된다. 상기 제2 고정 슬릿(122b)에는 버스바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서 화염이 ESS 모듈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운모 플레이트(800)가 삽입/고정된다(도 16 참조).
제2 운모 플레이트(800)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 플레이트(130)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가압 플레이트(130)는 셀 적층체(110)의 적층 방향 양 측부에 밀착되어 셀 적층체(110)를 가압한다. 즉, 상기 셀 적층체(110)는 적층 방향을 따라 가압된 상태로 한 쌍의 가압 플레이트(130) 사이에 배치되며, 가압 플레이트(130)는 버스바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셀 적층체(110)에 대한 가압을 유지한다.
이러한 가압 플레이트(130)에 의한 셀 적층체(110)에 대한 가압은 셀 적층체(110)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며, 또한 배터리 셀(111)의 온도 상승에 따른 벤팅 발생 시에 전극 리드(111a)의 인출 방향으로의 벤팅을 유도한다. 즉, 상기 배터리 셀(1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우치 타입의 배터리 셀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 셀(111)의 폭 방향 양 측부에는 실링 테이프(T)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양 측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밀봉성이 취약한 전극 리드(111a) 인출 부위를 통해 가스 및 화염의 분출이 유도되는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은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하부와 전방 그리고 후방을 커버하는 하부 하우징(200) 및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와 양 측부를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0)은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210),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 플레이트(220) 및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플레이트(220) 및 후방 플레이트(230)는 셀 적층체(110)에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유로 홀(H)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300)은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310) 및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양 측부를 커버하는 한 쌍의 측방 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방 플레이트(320)는 버스바 프레임(120)을 커버하며, 또한 리드 안착부(121)와 플레이트 지지부(122)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버스바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로 홀(H)을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200) 및 상부 하우징(300)에 구비된 상기 유로 홀(H)들은 냉각을 위한 공기의 이동 통로 및 벤팅 발생 시에 가스의 이동 통로로서 기능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 팬 블록(400)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되, 전방 플레이트(220) 및/또는 후방 플레이트(23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냉각 팬 블록(400)의 내부 공간은 전방 플레이트(220) 및/또는 후방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유로 홀(H)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냉각 팬 블록(400)의 내부에는 냉각을 위한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 팬의 구동에 의해 전방 플레이트(220)로부터 후방 플레이트(2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후방 플레이트(230)로부터 전방 플레이트(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냉각을 위한 공기가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4와 함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메쉬 격벽 어셈블리(500)는 전방 플레이트(220)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 사이 및 후방 플레이트(230)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 사이에 개재되며, 공기 및 가스는 통과시키되 화염은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쉬 격벽 어셈블리(500)는, 메쉬 격벽(510) 및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5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메쉬 격벽(510)은, 냉각을 위한 공기 및 벤팅에 따라 발생된 가스는 통과시키되 화염의 통과는 최소화 할 있도록 미세한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메쉬(mesh) 타입의 플레이트로서, 그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일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되는 결합 홈(511)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520)는 결합 홈(511)을 채우면서 메쉬 격벽(510)에 결합되며, 복수의 유로 홀(H)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520)에 형성된 유로 홀(H)은, 앞서 설명한 전방 플레이트(220) 및 후방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유로 홀(H)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520)는 앞서 설명한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와 마찬가지로 기준 온도 이상에서 팽창하며 팽창에 따라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 홀(H)은 사라지게 되며, 이로써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의 전방 및/또는 후방을 따라 분출되는 화염이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112b)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쉬 플레이트(600)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메쉬 플레이트(600)는 측방 플레이트(320)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1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메쉬 플레이트(600)는, 앞서 설명한 메쉬 격벽(510)과 마찬가지로, 냉각을 위한 공기 및 벤팅에 따라 발생된 가스는 통과시키되 화염의 통과는 최소화 할 있도록 미세한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메쉬(mesh) 타입의 플레이트이다.
이러한 메쉬 플레이트(600)의 적용으로 인해 배터리 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출되는 가스는 ESS 모듈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이 되지만, 배터리 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출되는 화염은 ESS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는 양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운모 플레이트(700)는, 셀 적층체(110)와 메쉬 플레이트(6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1 운모 플레이트(700)는, 플레이트 지지부(122)에 형성된 제1 고정 슬릿(122a)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제1 운모 플레이트(700)는, 메쉬 플레이트(600)와 나란히 배치되며, 전극 리드(111a)의 인출 방향을 따라 집중적으로 분출되는 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복수의 유로 홀(H)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운모 플레이트(700)는 전극 리드(111a)의 인출 방향을 따라 ESS 모듈의 외측으로 화염이 분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2중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운모 플레이트(700)는 전극 리드(111a)의 인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열의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운모 플레이트(800)는, 셀 적층체(110)와 메쉬 플레이트(600) 사이에 배치되되 메쉬 플레이트(600)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운모 플레이트(800)는 플레이트 지지부(122)에 형성된 제2 고정 슬릿(122b)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제2 운모 플레이트(80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상기 제2 운모 플레이트(800)는, 버스바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 즉 리드 안착부(121) 및 한 쌍의 플레이트 지지부(122)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ESS 모듈의 전방으로부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운모 플레이트(800)는, 전극 리드(111a)의 인출 방향을 따라 분출된 화염이 버스바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서 전극 리드(111a)의 인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모 플레이트(700) 및/또는 제2 운모 플레이트(800)는, 메쉬 플레이트(600)에 의한 화염의 노출 방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ESS 모듈은, 이러한 제1 운모 플레이트(700) 및/또는 제2 운모 플레이트(800)를 제외하고 메쉬 플레이트(600)만을 적용한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셀 적층체 어셈블리
110: 셀 적층체
111: 배터리 셀
T: 실링 테이프
111a: 전극 리드
112: 운모 격벽 어셈블리
112a: 운모 격벽
112b: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
G: 제1 유로 홈
120: 버스바 프레임
121: 리드 안착부
121a: 리드 인출 슬릿
122: 플레이트 지지부
122a: 제1 고정 슬릿
122b: 제2 고정 슬릿
130: 가압 플레이트
131: 제2 유로 홈
200: 하부 하우징
210: 하부 플레이트
220: 전방 플레이트
230: 후방 플레이트
H: 유로 홀
300: 상부 하우징
310: 상부 플레이트
320: 측방 플레이트
400: 냉각 팬 블록
500: 메쉬 격벽 어셈블리
510: 메쉬 격벽
511: 결합 홈
520: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
600: 메쉬 플레이트
700: 제1 운모 플레이트
800: 제2 운모 플레이트

Claims (11)

  1. 복수의 배터리 셀과 복수의 운모 격벽 어셈블리가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셀 적층체 어셈블리;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양 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운모 격벽 어셈블리는, 인접한 배터리 셀의 사이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최 외각에 구비되어 기준 온도 미만에서는 상기 셀 적층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유로를 형성하고 기준 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유로를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ESS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 격벽 어셈블리는,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형성되는 유로 홈을 구비하는 운모 격벽; 및
    상기 유로 홈의 일부를 채우되 기준 온도 이상에서 팽창하여 상기 유로 홈을 완전히 채우는 제1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 타입 배터리 셀이며, 폭 방향 양 측부에 부착되는 실링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셀 적층체의 적층 방향 양 측부에 밀착되어 상기 셀 적층체를 가압하며,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셀 적층체 어셈블리의 양 측부를 커버하는 한 쌍의 측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 사이 및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는 메쉬 격벽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격벽 어셈블리는,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형성되는 결합 홈을 구비하는 메쉬 격벽; 및
    상기 결합 홈을 채우면서 메쉬 격벽에 결합되며, 복수의 유로 홀을 구비하되 기준 온도 이상에서 상기 유로 홀이 사라지도록 팽창하는 제2 팽창 그라파이트 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측방 플레이트와 셀 적층체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는 메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셀 적층체와 메쉬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메쉬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유로 홀을 구비하는 제1 운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SS 모듈은,
    상기 셀 적층체와 메쉬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메쉬 플레이트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2 운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ESS 모듈을 복수개 포함하는 ESS 팩.
KR1020190025994A 2019-03-06 2019-03-06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8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94A KR102380225B1 (ko) 2019-03-06 2019-03-06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20546108A JP7062163B2 (ja) 2019-03-06 2019-12-17 火炎の外部漏出を防止可能な構造を有するess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PL19918102.5T PL3828988T3 (pl) 2019-03-06 2019-12-17 Moduł ess o konstrukcji umożliwiającej zapobieganie zewnętrznemu wystawieniu płomienia i zawierający go pakiet akumulatorowy
HUE19918102A HUE062330T2 (hu) 2019-03-06 2019-12-17 Láng kívülre terjedésének megelõzését biztosító kialakítású ESS modul és ilyet tartalmazó akkupakk
ES19918102T ES2949642T3 (es) 2019-03-06 2019-12-17 Módulo de ESS que tiene una estructura que permite la prevención de una exposición exterior de una llama y paquete de baterías que comprende el mismo
EP19918102.5A EP3828988B1 (en) 2019-03-06 2019-12-17 Ess module having structure enabling prevention of external exposure of flam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PCT/KR2019/017894 WO2020179994A1 (ko) 2019-03-06 2019-12-17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7/268,169 US11881592B2 (en) 2019-03-06 2019-12-17 ESS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of flame and ESS pack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94A KR102380225B1 (ko) 2019-03-06 2019-03-06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13A true KR20200107213A (ko) 2020-09-16
KR102380225B1 KR102380225B1 (ko) 2022-03-28

Family

ID=7233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94A KR102380225B1 (ko) 2019-03-06 2019-03-06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81592B2 (ko)
EP (1) EP3828988B1 (ko)
JP (1) JP7062163B2 (ko)
KR (1) KR102380225B1 (ko)
ES (1) ES2949642T3 (ko)
HU (1) HUE062330T2 (ko)
PL (1) PL3828988T3 (ko)
WO (1) WO2020179994A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0642A (zh) * 2021-01-28 2021-04-16 唐山鹏安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锂电池电源燃烧时惰性气体保护方法
WO2022158782A1 (ko) 2021-01-22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전이 방지 구조가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170277A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KR20230001169A (ko) 2021-06-28 2023-0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004030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004119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004022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23080581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팩
WO2023080566A1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WO2023121415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WO2023128533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WO2023132519A1 (ko) * 2022-01-07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염차단부재가 부가된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구조체
WO2023158139A1 (ko) * 2022-02-18 2023-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내부 공간 구획을 위한 가림막을 적용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3229373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4019529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유닛,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9451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WO2024019390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400A (ko) * 2021-02-08 2022-08-1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20119956A (ko) * 2021-02-22 2022-08-3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30037269A (ko) * 2021-09-09 2023-03-1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30058849A (ko) * 2021-10-25 2023-05-0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30112413A (ko) * 2022-01-20 2023-07-2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824176B2 (en) 2022-03-25 2023-11-21 Beta Ai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pack cooling using a cooling fin
WO2023200303A1 (ko) * 2022-04-15 2023-10-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KR102649356B1 (ko) * 2022-04-15 2024-03-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KR20230171653A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
KR20240020076A (ko) * 2022-08-05 2024-02-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DE102022124281B3 (de) 2022-09-21 2023-09-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und dessen Verwendung sowie Batterie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Modul
EP4376176A1 (en) * 2022-11-25 2024-05-29 SK On Co., Ltd. Battery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875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70034560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128A (ja) * 1997-02-24 1998-11-04 Hitachi Ltd 高温ナトリウム二次電池モジュ−ルおよび電池システム
JP2008218210A (ja) 2007-03-05 2008-09-18 Lenovo Singapore Pte Ltd 電池パックおよび携帯式電子機器
KR101103755B1 (ko) 2008-09-03 2012-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버스 바 구비 리튬 2차 전지 단위 셋 및 버스 바 구비 리튬2차 전지 셋
KR101543477B1 (ko) 2010-11-08 2015-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팩
AU2012323993B2 (en) 2011-11-17 2016-08-25 Med-Life Discoveries Lp Methods for the synthesis of 13C labeled DHA and use as a reference standard
US20130171487A1 (en) 2011-12-30 2013-07-04 Roger Bull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DE102012207162A1 (de) 2012-04-30 2013-10-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Ionen Batteriemodulen und ein entsprechendes Li-Ionen Batteriemodul
KR101298232B1 (ko) 2012-05-22 2013-08-22 비스티온 인테리어스 코리아 주식회사 메쉬가 적용되는 비엠에이 및 그 제조방법
DE102013200546A1 (de) * 2013-01-16 2014-07-17 Hilti Aktiengesellschaft Akkumulator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kkumulators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S20160032190A1 (en) 2014-07-30 2016-02-04 Samsung Display Co., Ltd. Composition for aligning,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767634B1 (ko) 2014-07-31 201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60041311A (ko)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화성 안전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5275470A (zh) 2015-02-18 2022-11-01 希夫特清洁解决方案有限公司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及制造电池模块的方法
JP6365884B2 (ja) 2015-04-14 2018-08-01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
KR102034208B1 (ko) 2016-03-03 2019-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GR20160100371A (el) 2016-07-05 2018-03-30 Δημοκριτειο Πανεπιστημιο Θρακης-Δπθ Επαναφορτιζομενο ηλεκτροχημικο κελι ιοντων λιθιου
KR102097084B1 (ko) * 2016-09-05 2020-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80813A (ko) 2017-01-05 2018-07-13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냉각 성능 증대를 위한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조립 방법
JP6912217B2 (ja) 2017-02-20 2021-08-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熱伝導率可変材
CN106785225A (zh) * 2017-03-14 2017-05-31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被动防护电池模组结构及其制作方法
JP6885791B2 (ja) 2017-06-05 2021-06-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暴走防止シート
CN208522006U (zh) * 2018-06-28 2019-02-19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结构
CN110459715A (zh) * 2019-09-05 2019-11-15 台州市黄岩双盛塑模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电池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875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70034560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82A1 (ko) 2021-01-22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전이 방지 구조가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106370A (ko)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전이 방지 구조가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112670642A (zh) * 2021-01-28 2021-04-16 唐山鹏安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锂电池电源燃烧时惰性气体保护方法
CN112670642B (zh) * 2021-01-28 2022-07-26 唐山鹏安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锂电池电源燃烧时惰性气体保护方法
KR20220170277A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WO2022270880A1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KR20230001169A (ko) 2021-06-28 2023-0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004030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004119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004022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23080581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팩
WO2023080566A1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WO2023121415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WO2023128533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WO2023132519A1 (ko) * 2022-01-07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염차단부재가 부가된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구조체
WO2023158139A1 (ko) * 2022-02-18 2023-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내부 공간 구획을 위한 가림막을 적용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3229373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4019529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유닛,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9451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WO2024019390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7708A (ja) 2021-07-26
HUE062330T2 (hu) 2023-10-28
US11881592B2 (en) 2024-01-23
WO2020179994A1 (ko) 2020-09-10
ES2949642T3 (es) 2023-10-02
JP7062163B2 (ja) 2022-05-06
US20210320374A1 (en) 2021-10-14
KR102380225B1 (ko) 2022-03-28
EP3828988A1 (en) 2021-06-02
EP3828988A4 (en) 2021-09-22
PL3828988T3 (pl) 2023-08-28
EP3828988B1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7213A (ko)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296381B2 (en) High-density battery pack
CN113939944A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架和能量存储系统
JPWO2020152992A1 (ja) パック電池
CN113013531A (zh) 电池组件、电池模组及电池储能装置
JP2022542124A (ja) 断熱部材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10129512A (ko) 화염 배출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ess
KR20220010876A (ko) 배터리 모듈
JP5978847B2 (ja) 電池パック
JP7472396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US20230022379A1 (en) Battery Pack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30291068A1 (en) Battery pack
KR20240044163A (ko) 파우치형 전지 셀
US2022036796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20240034330A (ko)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WO2024116645A1 (ja) 電池パック
US20230097757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220796920U (zh) 电池模块以及电池组
KR102673791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3013111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40063530A (ko) 배터리 장치
JP2022534701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30112413A (ko) 배터리 팩
KR20230165712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041432A (ko)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