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707A - 골프장 캐디용 드론 - Google Patents

골프장 캐디용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707A
KR20200106707A KR1020190025269A KR20190025269A KR20200106707A KR 20200106707 A KR20200106707 A KR 20200106707A KR 1020190025269 A KR1020190025269 A KR 1020190025269A KR 20190025269 A KR20190025269 A KR 20190025269A KR 20200106707 A KR20200106707 A KR 20200106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golf ball
unit
golf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갑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707A/ko
Publication of KR2020010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B64C2201/042
    • B64C2201/066
    • B64C2201/12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 캐디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골프 플레이어가 친 공의 위치를 측정하고, 공의 위치에서 홀까지의 거리 등의 정보를 알려주는 골프장 캐디용 드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카메라부; 영상 분석부; 상기 골프공의 위치 또는 상기 홀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1 센서; 상기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무선 통신부; 전원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장 캐디용 드론{The Caddy Drones for Golf}
본 발명은 골프장 캐디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캐디는 골프장에서 골프 클럽을 운반해주고 공의 위치를 찾으며, 홀까지의 거리를 알아봐 주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원이다. 이런 골프활동 보조 역할을 개선하기 위해, 골프플레이어를 자동으로 좇아가는 자동골프카트 또는 골프플레이어의 위치에서 홀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시계형태의 보조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 제 10-1832613 호
본 발명은 골프 플레이어가 친 공의 위치를 측정하고, 공의 위치에서 홀까지의 거리 등의 정보를 알려주는 골프장 캐디용 드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골프공 또는 홀을 인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골프공의 위치 또는 상기 홀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1 센서; 상기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상기 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거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전원부 및 상기 영상 분석부, 상기 제1 센서, 상기 거리 측정부, 상기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드론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바람과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측정된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세기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상기 전원부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드론을 배터리 충전 데크로 이동시키는 충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상기 영상 분석부가 골프공의 색깔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된 골프공 색깔을 갖는 골프공을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면과 드론이 수직하는 위치까지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까지 이동한 드론의 위치인 제1 위치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홀이 위치하는 지면과 드론이 수직하는 위치까지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홀의 위치까지 이동한 드론의 위치인 제2 위치를 측정하며,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골프 플레이어가 친 골프 공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골프 공의 위치 정보, 골프 공의 위치에서 홀까지의 거리 및 방향 등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상기 측정한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골프 플레이어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골프 플레이어는 실제 캐디 없이도 골프를 즐길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은 배터리 잔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면 스스로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에 대한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에서 홀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100)은 4개의 프로펠러(101)를 포함하고 프로펠러(101)의 동작에 의해 골프장을 주행할 수 있다. 다만, 프로펠러(101)의 개수가 상기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골프장 캐디용 드론(100)은 골프장을 주행하며 골프공을 찾고, 골프공과 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등 골프 게임의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100)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110), 위치를 인식하는 제1 센서(130), 바람과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는 제2 센서(132), 배터리가 포함된 전원부(160)가 외관에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100)의 자세한 구성에 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의 블록도이다.
골프장 캐디용 드론(100)은 카메라부(110), 영상 분석부(120), 제1 센서(130), 제2 센서(132), 거리 측정부(140), 무선 통신부(150), 제어부(170) 및 전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20)는 카메라부(110)에서 촬영한 골프공 또는 홀을 인식할 수 있는데, 골프공을 인식하는 방식은 골프공의 색깔별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 플레이어 A가 사용하는 골프공의 색깔(예컨대, 하얀색)이 제어부에 기 설정되어 있어서, 골프 플레이어 A가 사용하는 캐디용 드론 A'는 하얀색 골프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골프공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120)는 영상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객체 인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골프공의 위치 또는 상기 홀의 위치는 제1 센서(130)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제1 센서(130)는 GPS 센서 등이 사용되어 위치 지점이 측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은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면으로 이동하고 제1 센서(130)가 골프공 위치에 수직하는 지점에서의 위치를 측정하면 골프공의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부(140)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골프공의 위치에서 홀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132)는 바람과 관련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바람과 관련된 정보는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세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센서(132)로는 풍속 측정 센서(Anemomete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상기 제1 센서(130)로부터 측정한 골프공의 위치, 상기 제2 센서(132)로부터 측정한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세기, 거리 측정부(140)에서 측정한 골프공의 위치에서 홀 까지의 거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골프 플레이어는 자신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또는 개인 단말기를 통해 골프공의 위치,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세기 등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60)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부는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드론을 배터리 충전 데크로 이동시키는 충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데크는 골프카트에 설치된 무선 충전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 분석부, 상기 제1 센서, 상기 거리 측정부, 상기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캐디용 드론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에서 홀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가 골프공을 인식하면(S101) 드론은 골프공을 따라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면까지 이동한다(S102). 그리고 드론이 골프공 위치에 수직하는 지점까지 이동하면 상기 지점에서 제1 센서를 통해 드론의 위치를 측정한다(S103). 이 때 측정한 위치를 제1 위치라고 지칭한다.
드론은 다음으로 홀이 위치하는 지면으로 이동하여(S104), 홀이 위치하는 지면과 수직하는 지점에서 드론의 위치인 제2 위치를 측정한다(S1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차이를 계산하여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골프장 캐디용 드론
110 : 카메라부
120 : 영상 분석부
130 : 제1 센서 132 : 제2 센서
140 : 거리 측정부
150 : 무선 통신부
160 : 전원부 162 : 충전제어부
170 : 제어부

Claims (5)

  1.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골프공 또는 홀을 인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골프공의 위치 또는 상기 홀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1 센서;
    상기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상기 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거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전원부 및
    상기 영상 분석부, 상기 제1 센서, 상기 거리 측정부, 상기 무선 통신부 또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드론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장 캐디용 드론.
  2. 제1 항에 있어서,
    바람과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측정된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세기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골프장 캐디용 드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드론을 배터리 충전 데크로 이동시키는 충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골프장 캐디용 드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골프공의 색깔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골프공 색깔을 갖는 골프공을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캐디용 드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면과 드론이 수직하는 위치까지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까지 이동한 드론의 위치인 제1 위치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프공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홀이 위치하는 지면과 드론이 수직하는 위치까지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홀의 위치까지 이동한 드론의 위치인 제2 위치를 측정하며,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상기 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캐디용 드론.
KR1020190025269A 2019-03-05 2019-03-05 골프장 캐디용 드론 KR20200106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69A KR20200106707A (ko) 2019-03-05 2019-03-05 골프장 캐디용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69A KR20200106707A (ko) 2019-03-05 2019-03-05 골프장 캐디용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07A true KR20200106707A (ko) 2020-09-15

Family

ID=7245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269A KR20200106707A (ko) 2019-03-05 2019-03-05 골프장 캐디용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6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605A (ko) 2021-02-15 2022-08-23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스마트 캐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613B1 (ko) 2016-06-23 2018-02-26 이주환 골프 코칭기능을 탑재한 개인용 드론 그늘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613B1 (ko) 2016-06-23 2018-02-26 이주환 골프 코칭기능을 탑재한 개인용 드론 그늘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605A (ko) 2021-02-15 2022-08-23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스마트 캐디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3532B (zh) 一种基于无人机的野外失联人员搜寻方法
CN107860358A (zh) 楼层的定位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05549614A (zh) 无人机目标跟踪方法
KR101695773B1 (ko) 골프 연습 보조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113200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escape system, unmanned aerial vehicle escape method, and program
CN107402580A (zh) 基于无人机的电网巡检自动化方法
CN104865846B (zh) 组合自主导航系统的地面半物理仿真平台
US2022012619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specific movement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299058A1 (en) Camera system for filming golf gam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20130078838A (ko) 스마트 캐디형 골프 카트
CN107820585A (zh) 飞行器降落方法、飞行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125512A1 (ko) 스마트 골프장 운영을 위한 관제 서버,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6707A (ko) 골프장 캐디용 드론
TWM591172U (zh) 多旋翼載具之精準停位控制裝置
CN105983225A (zh) 一种基于3d机器视觉的射门训练装置
KR20220049851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퍼팅 가이드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5718973B2 (ja) 顔認識装置、顔認識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538284B (zh) 一种便携篮球机器人
CN109663325B (zh) 一种击球类运动的计分系统及计分方法
WO2020138714A1 (ko) 골프에 관한 어드바이스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
KR102192839B1 (ko) 인공 지능형 낚시대 캐스팅 실외 연습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캐스팅 연습 플랫폼
KR102513703B1 (ko) 국소 지역 바람정보를 이용한 골프공의 궤적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EP4080466A1 (en) Ball position identification system, ball posi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22102491A1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270171B1 (ko) 협업형 자율주행 카트 운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