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634A -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634A
KR20200106634A KR1020190025090A KR20190025090A KR20200106634A KR 20200106634 A KR20200106634 A KR 20200106634A KR 1020190025090 A KR1020190025090 A KR 1020190025090A KR 20190025090 A KR20190025090 A KR 20190025090A KR 20200106634 A KR20200106634 A KR 20200106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filter
filter paper
plat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624B1 (ko
Inventor
송태섭
Original Assignee
(주) 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엠씨 filed Critical (주) 씨엠씨
Priority to KR102019002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6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4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44Injection needles, syr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지의 타발과 여과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사출몸체의 사출이 하나의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은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주사기용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어핀을 포함하는 하부금형; 및 여과지 시트가 삽입되는 시트 이동홈과, 필터 바디를 사출하기 위한 사출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핀을 덮는 캐비티코어와, 상기 여과지 시트에서 필터 여과지를 타발함과 동시에 상기 사출 캐비티로 상기 필터 여과지를 전달하는 펀치코어와, 상기 사출 캐비티로 수지가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상기 필터 바디가 성형되도록 하는 수지주입구를 포함하는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Mold for manufacturing filter assembly for syringe}
본 발명은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지의 타발과 여과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사출몸체의 사출이 하나의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액상과 분말이 혼합되거나 또는 액상만으로 이루어진 약액을 환자에게 직접 주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주사과정에서 2차 감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일회용 주사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환자의 혈관이 작거나 주사액의 점성이 높아 게이지가 다른 니들로 변경하여 주사액을 투여애햐 할 경우 또는 인젝션 포트에 직접 주사액을 투여해야 할 경우 각각 필요에 따라 주사기의 실린더로부터 니들 홀더를 분리시켜 교체하거나 또는 니들 홀더를 제거한 상태로 실린더를 인젝션 포트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니들 홀더와 실린더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반적인 주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주사액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1), 실린더(1)의 공간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주사액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피스톤(2), 실린더(1)의 전방에 형성된 네크부(1a)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니들 홀더(3), 니들 홀더(3)의 첨단에 인서트 몰딩된 니들(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주사기에 사용되는 약액의 경우, 액상은 주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앰플에 담겨져 있으므로 앰플을 오픈할 겨우에 유리 가루나 플라스틱 등의 기타 이물질 가루가 발생되어 약액에 혼입되기도 하며, 이러한 이물질은 액상의 약액을 주사기의 니들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흡입될 때, 약액과 함께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흡입되어 여과되지 않고 그대로 인체에 주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은 인체에 많은 부작용을 발생기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앰플의 경우 보관 및 운송중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앰플병이 대부분 유리로 제조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앰플은 일부를 깨뜨려서 흡입구를 만들거나 고무로 막혀있는 마개에 니들을 강제로 삽입하여 약액을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로 흡입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미세한 유리가루 또는 고무조각이 약액에 섞여서 주사기로 유입된 후 약액과 함께 환자에게 투여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의료현장에서 약액을 주사기로 흡입하여 충전시킬 때는 필터를 장착한 니들과 홀더를 사용하고, 약액을 충전한 후에 환자에게 약액을 주입할 때 니들과 홀더를 새것으로 교체한 후 주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실질적으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응급환자에게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하루에도 매우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는데, 1회 주사시에 니들과 홀더를 복수 개 사용함에 따라 의료폐기물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의 부수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사기의 약액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구간에 필터를 내장하여 앰플로부터 주사기의 실린더 내부에 약액 충전시와 환자에게 약액 투여시 투여되는 약액에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니들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936호(2014.02.11.)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은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지의 타발과 여과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사출몸체의 사출이 하나의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필터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은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주사기용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어핀을 포함하는 하부금형; 및 여과지 시트가 삽입되는 시트 이동홈과, 필터 바디를 사출하기 위한 사출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핀을 덮는 캐비티코어와, 상기 여과지 시트에서 필터 여과지를 타발함과 동시에 상기 사출 캐비티로 상기 필터 여과지를 전달하는 펀치코어와, 상기 사출 캐비티로 수지가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상기 필터 바디가 성형되도록 하는 수지주입구를 포함하는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펀치코어가 관통하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코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내코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코어에는 상기 상부관통구와 사출 캐비티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이동홈은 상기 안내코어와 캐비티코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은, 복수의 상기 펀치코어가 고정장착되는 상고정판과, 상기 안내코어 및 캐비티코어가 결합되고 상기 상고정판 하부에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원판과, 상기 상고정판과 상원판 사이에서 상기 상고정판과 상원판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상부스프링과, 상기 상고정판과 상원판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스톱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은, 복수의 상기 코어핀이 고정장착되는 하원판과, 상기 코어핀이 관통하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원판의 상부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리퍼판과, 상기 스트리퍼판을 상승시키는 리턴핀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핀의 상단에는 상기 필터 바디를 성형하기 위한 코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리퍼판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리퍼판이 상승하면 상기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성형된 필터 바디가 상기 코어부와 분리된다.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은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지의 타발과 여과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사출몸체의 사출이 하나의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주사기용 필터를 자동으로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고, 필터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주사기와 앰플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3은 시트 이동홈으로 여과지 시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상원판이 스트리퍼판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부금형이 더 하강하여 필터 여과지를 타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필터 여과지의 타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수지주입구 및 수지이동통로를 보여주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의 수직단면도.
도 8은 수지이동통로를 보여주기 위한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의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주사기용 필터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 여과지가 타발되어 사출 캐비티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코어부 및 필터 여과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은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주사기용 필터를 자동으로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금형(100)은 하공정판(110), 하원판(120), 코어핀(130), 스트리퍼판(140), 밑판(150)으로 이루어진다.
하공정판(110)의 상부에는 하원판(120)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원판(120)은 상부에 복수의 코어핀(130)이 고정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원판(120)은 하공정판(110)으로부터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코어핀(130)은 하원판(120)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코어핀(130)의 상단에는 필터 바디(B)를 성형하기 위한 코어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코어핀(130)은 스트리퍼판(140)을 관통하고, 코어부(131)가 스트리퍼판(140)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코어부(131)는 타발된 필터 여과지(S2)를 지지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코어부(131)에는 필터 여과지(S2)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제1 오목홈(132)이 형성된다. 즉 제1 오목홈(13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코어부(131)의 가장자리 부분은 필터 여과지(S2)와 접촉하여 필터 여과지(S2)를 지지하고, 제1 오목홈(132)이 형성되는 부분은 필터 여과지(S2)와 접촉하지 않는다. 코어부(131)에 제1 오목홈(132)을 형성하여 필터 여과지(S2)의 하면 중 일부분이 코어부(131)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터 여과지(S2)가 코어부(131)와 펀치코어(220) 사이에서 가압되어 여과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리퍼판(140)은 하원판(120)의 상부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스트리퍼판(140)에는 코어핀(130)이 관통하는 하부관통구(141)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트리퍼판(140)은 리턴핀(151)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스트리퍼판(140)이 상승하면 필터 여과지(S2)와 일체로 성형된 필터 바디(B)가 함께 상승하여 코어부(131)와 분리된다.
밑판(150)은 하공정판(110)과 하원판(120) 사이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밑판(150)의 상부에는 리턴핀(151)이 장착된다. 리턴핀(151)은 하단이 밑판(150)에 장착되어 하원판(120)을 관통한다. 그리고 리턴핀(151)의 상단은 스트리퍼판(140)에 고정장착된다. 이에 따라 리턴핀(151) 및 스트리퍼판(140)은 밑판(15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밑판(150)과 하원판(120) 사이에는 밑판(150)을 하부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스프링(152)이 설치된다.
이러한 밑판(150)은 하공정판(110)을 관통하는 이젝터로드(160)와 연결되어 이젝터로드(160)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밑판(150)이 상승함에 따라 리턴핀(151)에 의해 연결된 스트리퍼판(14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밑판(150)이 상승함에 따라 밑판(150)과 하원판(120) 사이에 설치된 하부스프링(152)이 압축된다. 이후, 이젝터로드(160)에 의한 상승가압력에 해제되면 자중 및 하부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 밑판(150) 및 스트리퍼판(140)이 하강하게 된다.
상부금형(200)은 상술한 하부금형(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금형(200)은 상고정판(210), 펀치코어(220), 상원판(230), 안내코어(240) 및 캐비티코어(250)로 이루어진다.
상고정판(210)은 하부에 복수의 펀치코어(220)가 고정장착된다. 그리고 상고정판(210)에는 수지주입구(211)가 형성된다. 수지주입구(211)를 통해 사출 캐비티(251)로 수지가 주입되어 필터 여과지(S2)와 일체로 필터 바디(B)를 성형할 수 있다. 수지주입구(211)와 사출 캐비티(251)를 연결하는 수지이동통로(212)는 상고정판(210), 상원판(230), 안내코어(240) 및 캐비티코어(25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수지주입구(211) 및 수지이동통로(212)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펀치코어(220)는 상고정판(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필터 여과지(S2)를 타발함과 동시에 사출 캐비티(251)로 필터 여과지(S2)를 전달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코어(220)의 하단에는 필터 여과지(S2)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제2 오목홈(221)이 형성된다. 즉 펀치코어(220)가 필터 여과지(S2)를 타발할 때, 제2 오목홈(2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펀치코어(220)의 나머지 부분이 필터 여과지(S2)와 접촉하여 여과지 시트(S1)로부터 필터 여과지(S2)를 타발한다. 펀치코어(220)에서 제2 오목홈(22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필터 여과지(S2)와 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필터 여과지(S2)가 펀치코어(220)에 의해 타발될 때 및 펀치코어(220)가 타발된 필터 여과지(S2)를 코어부(131)를 향해 가압할 때 타발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필터 여과지(S2)의 여과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펀치코어(220)에 형성되는 제2 오목홈(221)과 코어부(131)에 형성되는 제1 오목홈(132)은 필터 여과지(S2)를 중심으로 상하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원판(230)은 상고정판(210) 하부에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원판(230)의 하부에 안내코어(240) 및 캐비티코어(25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고정판(210)과 상원판(230) 사이에는 상부스프링(231)이 설치된다. 상부스프링(231)은 상고정판(210)과 상원판(23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낸다. 즉 상부스프링(231)은 상원판(230)을 하부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원판(230)에는 상고정판(210)과 상원판(230)의 사이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스톱볼트(232)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부스프링(231)에 의해 상고정판(210)과 상원판(23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스톱볼트(232)에 의해 상고정판(210)과 상원판(230) 사이의 이격거리가 제한된다.
안내코어(240)는 상원판(23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안내코어(240)는 캐비티코어(250)의 상부에 위치한다. 안내코어(240)에는 펀치코어(220)가 관통하는 상부관통구(241)가 형성된다.
캐비티코어(250)는 상원판(230)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상원판(230)의 하부에는 안내코어(240)와 캐비티코어(250)가 차례로 결합된다. 캐비티코어(250)에는 필터 바디(B)를 사출하기 위한 복수의 사출 캐비티(251)가 형성된다. 사출 캐비티(251)는 수지이동통로(212)와 연결되어 수지가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캐비티코어(250)에는 상부관통구(241)와 사출 캐비티(251)를 연결하는 연결구(252)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코어(240)와 캐비티코어(250) 사이에는 시트 이동홈(260)이 형성된다. 여과지 시트(S1)는 롤(roll)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여과지 시트(S1)는 시트 이동홈(260)으로 삽입되어 펀치코어(220) 하부를 지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펀치코어(220)가 하강하여 여과지 시트(S1)에서 복수의 필터 여과지(S2)를 타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연결구(252)를 통해 타발된 필터 여과지(S2)를 사출 캐비티(251)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에 의한 주사기용 필터의 제조과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이 열린 상태에서, 스트리퍼판(140)은 하강하여 하원판(120)의 상부에 밀착되고, 코어부(131)는 스트리퍼판(140)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부금형(200)은 하부금형(10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원판(230)은 상고정판(210)으로부터 이결되어 있다. 이때, 펀치코어(220)는 하단이 관통구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이 열린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이동홈(260)으로 여과지 시트(S1)를 삽입한다. 여과지 시트(S1)는 시트 이동홈(260)으로 삽입되어 펀치코어(2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0)이 하강하면, 상원판(230)은 스트리퍼판(140)의 상부에 접촉하여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캐비티코어(250)는 코어핀(130)을 덮는다. 이에 따라 사출 캐비티(251)가 코어부(131)를 덮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0)이 더 하강하면, 상고정판(210)이 하강하면서 상부스프링(231)이 압축되고, 펀치코어(220)가 여과지 시트(S1)에서 필터 여과지(S2)를 타발한다. 이와 동시에 타발된 필터 여과지(S2)는 펀치코어(220)에 의해 사출 캐비티(251)로 전달되어 사출 캐비티(251)의 내부에 배치된다. 사출 캐비티(251)로 전달된 필터 여과지(S2)는 코어부(13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펀치코어(220)는 사출 캐비티(251)의 상부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코어부(131), 사출 캐비티(251) 및 펀치코어(220)에 의해 필터 바디(B)를 성형하기 위하여 수지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주입구(211)를 통해 수지를 주입하여 필터 여과지(S2)와 일체로 필터 바디(B)를 성형할 수 있다. 사출 캐비티(251)에서 성형되는 필터 바디(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여과지(S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필터 바디(B)의 성형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0)이 상승한다. 상부금형(200)이 상승하면 자중 및 상부스프링(231)의 탄성력에 의해 상원판(230)이 상고정판(210)으로부터 하강하고, 펀치코어(220)의 하단은 상부관통구(241)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스톱볼트(232)에 의해 상고정판(210)과 상원판(230) 사이의 이격거리가 제한된다.
그리고 이젝터로드(160)에 의해 밑판(150)이 상승하고, 밑판(150)에 장착된 리턴핀(151)이 스트리퍼판(140)을 상승시킴으로써, 스트리퍼판(140)이 상승됨에 따라 필터 여과지(S2)가 일체로 형성된 필터 바디(B)가 코어부(131)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완성된 주사기용 필터를 취출한 후 여과지 시트(S1)를 이동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주사기용 필터의 제조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하부금형,
110 : 하고정판,
120 : 하원판,
130 : 코어핀,
131 : 코어부,
132 : 제1 오목홈,
140 : 스트리퍼판,
141 : 하부관통구,
150 : 밑판,
151 : 리턴핀,
152 : 하부스프링,
160 : 이젝터로드,
200 : 상부금형,
210 : 상고정판,
211 : 수지주입구,
212 : 수지이동통로,
220 : 펀치코어,
221 : 제2 오목홈,
230 : 상원판,
231 : 상부스프링,
232 : 스톱볼트,
240 : 안내코어,
241 : 상부관통구,
250 : 캐비티코어,
251 : 사출 캐비티,
252 : 연결구,
260 : 시트 이동홈,

Claims (4)

  1.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주사기용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복수의 코어핀을 포함하는 하부금형; 및
    여과지 시트가 삽입되는 시트 이동홈과, 필터 바디를 사출하기 위한 복수의 사출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핀을 덮는 캐비티코어와, 상기 여과지 시트에서 복수의 필터 여과지를 타발함과 동시에 상기 사출 캐비티로 상기 필터 여과지를 전달하는 복수의 펀치코어와, 상기 사출 캐비티로 수지가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상기 필터 바디가 성형되도록 하는 수지주입구를 포함하는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핀의 상단에는 상기 필터 여과지를 지지하고 상기 필터 바디를 성형하기 위한 코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부에는 상기 필터 여과지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제1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코어의 하단에는 상기 필터 여과지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제2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펀치코어에 의해 상기 여과지 시트로부터 타발되는 상기 필터 여과지는 상기 사출 캐비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출 캐비티에서 성형되는 상기 필터 바디는 상기 필터 여과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펀치코어가 관통하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코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내코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코어에는 상기 상부관통구와 사출 캐비티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이동홈은 상기 안내코어와 캐비티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복수의 상기 펀치코어가 고정장착되는 상고정판과,
    상기 안내코어 및 캐비티코어가 결합되고 상기 상고정판 하부에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원판과,
    상기 상고정판과 상원판 사이에서 상기 상고정판과 상원판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상부스프링과,
    상기 상고정판과 상원판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스톱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복수의 상기 코어핀이 고정장착되는 하원판과,
    상기 코어핀이 관통하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원판의 상부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리퍼판과,
    상기 스트리퍼판을 상승시키는 리턴핀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퍼판이 상승하면 상기 필터 여과지와 일체로 성형된 필터 바디가 상기 코어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KR1020190025090A 2019-03-05 2019-03-05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KR10220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90A KR102203624B1 (ko) 2019-03-05 2019-03-05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90A KR102203624B1 (ko) 2019-03-05 2019-03-05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34A true KR20200106634A (ko) 2020-09-15
KR102203624B1 KR102203624B1 (ko) 2021-01-19

Family

ID=7245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090A KR102203624B1 (ko) 2019-03-05 2019-03-05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6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550Y1 (ko) * 1985-11-01 1988-03-14 김영덕 해태 양식용 항목 제조장치
JPH10128785A (ja) * 1996-11-05 1998-05-19 Shin Etsu Polymer Co Ltd インサート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射出成形金型装置
KR101245378B1 (ko) * 2011-10-31 2013-03-25 김근배 필터 니들
KR101358936B1 (ko) 2013-07-23 2014-02-11 주식회사 아이엠티코리아 커넥터형 여과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주사기 및 커넥터형 여과장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8355B2 (ja) * 2012-04-19 2016-05-18 東海興業株式会社 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550Y1 (ko) * 1985-11-01 1988-03-14 김영덕 해태 양식용 항목 제조장치
JPH10128785A (ja) * 1996-11-05 1998-05-19 Shin Etsu Polymer Co Ltd インサート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射出成形金型装置
KR101245378B1 (ko) * 2011-10-31 2013-03-25 김근배 필터 니들
KR101358936B1 (ko) 2013-07-23 2014-02-11 주식회사 아이엠티코리아 커넥터형 여과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주사기 및 커넥터형 여과장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624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936B1 (ko) 커넥터형 여과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주사기 및 커넥터형 여과장치 제조방법
CN106456883B (zh) 自动药物注射装置
EP0341281B1 (en) Non-reusable syringe
EP1703931B1 (en) Positive displacement flush syringe
US20150258280A1 (en) Filter syringe
CN101171044B (zh) 以带无菌保护的注射针设备给药多剂量的注射器
US20040147901A1 (en) Intradermal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intradermal delivery
KR101251713B1 (ko) 환자용 피부천자기
KR101684487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JPS59115053A (ja) 注射器用プランジヤ−ロツド組立体
WO2008036043A1 (en) Needle structur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needle structures
JP5947823B2 (ja) 医療用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JP2008284375A (ja) 注射器として使用できるアンプル、及び注射器ユニット
KR102203624B1 (ko)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CN201131972Y (zh) 一种改进的溶药针
KR101957755B1 (ko)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JP2018047227A (ja) 注射針
KR20210008330A (ko) 일회용 3d 프린터 카트리지
CN113181475B (zh) 一种自毁式一次性注射器及其使用方法
CN211050246U (zh) 一种药学中配药装置
KR101711090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2353507B1 (ko) 주사기용 안전필터 조립체
CN216536425U (zh) 一种安全型胰岛素注射笔
CN213554473U (zh) 一种新型胰岛素注射用设备
CN210873052U (zh) 一种核医学注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