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461A -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461A
KR20200106461A KR1020200085183A KR20200085183A KR20200106461A KR 20200106461 A KR20200106461 A KR 20200106461A KR 1020200085183 A KR1020200085183 A KR 1020200085183A KR 20200085183 A KR20200085183 A KR 20200085183A KR 20200106461 A KR20200106461 A KR 20200106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ver
windows
door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247B1 (ko
Inventor
정문경
Original Assignee
피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46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6487B1/ko
Application filed by 피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2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짝을 열면 덮개가 함께 창호 틀에 인접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창호 짝과 창호 틀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실내나 실외 어느 쪽에서도 손 끼임을 방지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창호 짝을 열 때 덮개에 가이드 안내를 할 수 있게 형성한 슬롯 길이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스토퍼에 끼운 덮개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를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창호 짝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창호 짝을 완전히 열면 덮개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바닥에 닿게 구성하므로, 창호 짝을 열었을 때 잠금 작용을 하게 하여 바람 등에도 창호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FINGER PROTECTION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덮개가 창호 짝을 여닫음에 따라 마감 부재 안으로 수납과 인출하게 하면서 창호 짝과 창호 틈 사이의 틈새를 없앨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얇게 제작하여 창호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손 끼임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창호의 여닫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 등에 창호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방식의 창호는 창호 틀에 창호 짝을 회전할 수 있게 시공하여 사용하므로, 창호 틀과 창호 짝 사이에 이물이 끼거나 어린이 등의 손가락이 끼여 안전사고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이러한 여닫이 방식의 창호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14122호
손 끼임 방지문에 관한 것으로,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문과, 상기 제1 문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경첩부과, 상기 경첩부를 통해 상기 제1 문과 연결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상기 경첩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문을 포함하고, 상기 경첩부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문과 상기 제2 문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939131호
문틀 및 문짝과 결합하는 복수의 정첩; 및 상기 문짝의 일측에 결합하며, 상기 문짝과 상기 정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 사이의 틈을 막아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쿠션을 포함하는 손 끼임 방지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문이 열려있을 때 보호쿠션에 의해 문짝과 문틀 사이의 공간을 막아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940513호
점포 등의 출입구로서 설치되는 강화 유리문과 벽 사이에 생긴 틈새로 인한 손 끼임을 방지해주는 강화 유리문 손 끼임 방지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강화 유리문의 일측단부가 삽입 결합하는 'ㄷ'자형 슬라이드 홈을 내측에 형성하는 서로 평행한 제1 판면부와 제2 판면부의 각 외측면 상에 LED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판면부와 제2 판면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를 이루는 유리문측 단부와 벽측 단부로부터 서로 동일한 회전반경을 갖는 유리문측 원호 기단부 및 벽측 원호 기단부가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프로파일과; 상기 횡단면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유리문측 원호 기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 결합 단부를 이루고, 타측 단부가 상기 벽측 원호 기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로 체결되는 볼트결합 단부를 이루며, 상기 유리문측 원호 기단부 및 벽측 원호 기단부와 동일한 회전반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판면부와 제2 판면부를 덮는 제1 투명커버와 제2 투명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깔끔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커버의 베이스 프로파일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개폐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손 끼임 방지를 위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도 어려움이 있고, 시공한 뒤에는 유지 보수에도 어려움이 있다.
(2) 특히, 창호와 창짝의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을 감싸주는 형태로 제작하므로, 손 끼임 장치가 어느 정도 볼륨감이 있다. 이는, 창호에 장착한 상태에서 손 끼임 장치가 도드라지게 되어 미감을 해칠 수 있다.
(3) 때에 따라 창짝을 회전하게 하는 경첩 등을 분리해야 손 끼임 장치를 장착할 수 있어 기존의 손 끼임 장치를 시공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호를 시공한 뒤에는 손 끼임 장치를 시공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14122호 (공개일 : 2014.09.26) 한국등록특허 제1939131호 (등록일 : 2019.01.10) 한국등록특허 제1940513호 (등록일 : 2019.01.1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창호 짝을 열면 덮개가 함께 창호 틀에 인접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창호 짝과 창호 틀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실내나 실외 어느 쪽에서도 손 끼임을 방지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창호 짝을 열 때 덮개에 가이드 안내를 할 수 있게 형성한 슬롯 길이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스토퍼에 끼운 덮개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를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창호 짝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짝을 완전히 열면 덮개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바닥에 닿게 구성하므로, 창호 짝을 열었을 때 잠금 작용을 하게 하여 바람 등에도 창호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는, 창호 틀(F)과 이 창호 틀(F)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창호 짝(D) 사이에 장착하는 손 끼임 방지 장치에서, 창호 짝(D)을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창호 틀(F) 면에 장착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스토퍼(100); 창호 짝(D)의 한쪽 가장자리, 그리고 이 창호 짝(D)의 한쪽 가장자리와 인접하는 창호 틀(F) 사이에 장착하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폭 방향으로는 상기 각 가이드 스토퍼(100)에 끼워져 창호 짝(D)을 여닫음에 따라 안내받는 제1슬롯(210)을 형성한 덮개(200); 및 창호 틀(F)에 장착하여 창호 짝(D)을 여닫음에 따라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덮개(200) 부분을 씌워서 감싸는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덮개(200), 그리고 상기 마감 부재(300)는, 각각 압출 성형하여 창호 길이에 맞게 잘라서 사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알루미늄 합금 패널 및 합성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롯(210)은, 그 길이(W)에 따라 창호 짝(D)을 여닫는 문의 최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감 부재(300)는, 폭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한쪽 면이 창호 틀(F)과 마주하게 설치하되, 창호 틀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100) 끝에 형성한 감압 홈(110)에 강제로 끼울 수 있도록 감압 돌기(31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시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간단한 구조로, 설치한 뒤에 고장이 잘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쉽다.
(3) 덮개를 덮을 수 있는 마감 부재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장치의 전체 두께를 얇게 제작하여 창호의 미감이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손 끼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또한, 덮개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바닥에 닿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창호를 열거나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가 스토퍼 역할을 하여 바람에도 창호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창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5) 가이드 스토퍼가 끼워지는 슬롯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안내 길이가 달라지므로, 그만큼 창호의 최대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6) 새로 시공하는 창호뿐만 아니라 이미 시공한 창호에도 쉽게 시공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창호를 여닫음에 따라 덮개가 휘면서 창호 짝과 창호 틀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므로, 덮개가 휘었다가 펼쳐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탄성 지지 부재로 활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창호를 여닫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창호 틀과 창호 짝에서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를 장착한 창호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창호 틀의 안쪽을 바라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를 장착한 창호를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창호 틀의 안쪽을 바라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스토퍼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가이드 스토퍼(100), 덮개(200), 그리고 마감 부재(300)를 포함한다.
특히, 창호 틀(F)을 기준으로 창호 짝(D)을 여닫으면, 상기 덮개(200)가 마감 부재(300)에서 인출하거나 안으로 수납하게 하여 창호 틀(F)과 창호 짝(D)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시공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격자 형태로 제작하여 건축물 등의 개구부에 시설하는 창호 틀을, "L"은 창호 틀(F) 안에 장착하여 여닫는 형태로 개방할 수 있게 한 창호 짝을 각각 나타낸다.
가. 가이드 스토퍼
가이드 스토퍼(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창호 틀(F)에 장착한다.
이때, 가이드 스토퍼(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창호 짝(D)을 닫았을 때 이 창호 짝(D)의 두께 부분이 접하는 창호 틀(F) 면에 장착한다. 이는, 창호 짝(D)에 장착하는 후술할 덮개(200)가 이 창호 틀(F) 면에 밀착하거나 나란하게 따라가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이드 스토퍼(100)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적어도 두 개를 장착한다. 이때, 가이드 스토퍼(100)는 후술할 덮개(200)의 양쪽 부분에 각각 하나씩 대응하여 두 개를 구성하거나, 덮개(200) 양쪽 부분과 길이 중간 부분 등, 덮개(200)의 길이에 따라 덮개(200)가 처지거나 휘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에 여러 개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스토퍼(100)는, 한쪽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창호 틀(F)에 접착제나 점착제 등으로 부착하거나, 스크루나 비스(Vis) 등을 이용하여 이탈하지 않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도 4]와 같이, 감압 홈(110)을 형성한다. 상기 감압 홈(110)은 플랜지를 형성하지 않은 다른 한쪽 끝에 그 중심에 홈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전체 폭에 걸쳐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마감 부재(300)를 압출 성형함에 따라 일체로 형성하는 감압 돌기(310)가 이 감압 홈(110)에 강제로 끼워져서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가이드 스토퍼(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창호 짝(D)을 장착하는 창호 틀(F) 면에 상하로 적어도 두 개를 장착한다.
나. 덮개
덮개(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 가장자리를 창호 짝(D)의 가장자리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를 창호 틀(F) 면에 나란하거나 밀착하여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특히, 상기 덮개(200)는 창호 짝(D)을 여닫음에 따라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기준을 폭 중간 부분이 휘어지거나 펼쳐지게 되므로, 이처럼 창호 짝(D)을 여닫더라도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한다. 이러한 재질로는, 예시적으로, 알루미늄 합금 패널과 합성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덮개(200)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제1슬롯(210)을 관통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제1슬롯(210)은 창호 짝(D)을 여닫을 때 이 창호 짝(D)에 한쪽 가장자리를 고정한 덮개(200)가 간섭을 받지 않게 하려고 창호 짝(D)이 열리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덮개(200)에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슬롯(21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 스토퍼(100)가 끼워지게 하여, 창호 짝(D)을 여닫으면 이 제1슬롯(210)이 가이드 스토퍼(100)의 안내를 받아 정해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슬롯(210)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그 길이(W) 조절을 통해 창호 짝(D)을 여닫는 최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와 같이, 제1슬롯(210)의 오른쪽 끝에 가이드 스토퍼(100)가 위치했을 때 창호 짝(D)이 직각 형태로 열린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 제1슬롯(210)의 길이를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함에 따라 창호 짝(D)을 직각 이상인 둔각으로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200)는 압출 방식으로 길게 제작하여 창호 짝(D)의 길이만큼 자른 다음 제1슬롯(210)을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창호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창호 짝(D)의 길이에 알맞게 잘라서 제작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30"은 덮개(200)를 창호 짝(D)에 장착할 때 사용하기 위한 장착 구멍이나, 이러한 장착 구멍(230)은 덮개(200)에 관통 형성하지 않고 시공 현장에서 덮개(200)를 강제로 창호 짝(D)에 체결하여 고정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 마감 부재
마감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을 창호 짝(D)에 고정한 덮개(200)의 다른 한쪽을 감싸도록 창호 틀(F)에 장착하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마감 부재(300)는 가이드 스토퍼(100)도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감싸줄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게 제작한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덮개(200)가 창호 틀(F)에 밀착하거나 약간의 틈새를 두고 움직일 수 있는 두께로 제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의 전체 두께를 얇고 간단하게 제작하여 창호의 미감이나 외관을 해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감 부재(300)는, 상술한 덮개(200)와 마찬가지로 압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창호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마감 부재(300)를 길이 부재 형태로 길게 제작하여 창호 크기에 알맞은 크기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마감 부재(300)는, [도 2]·[도 3] 및 [도 6]과 같이, "ㄴ"자 형상으로 제작하되 한쪽 면이 틀(F)에 나란하도록 다른 한쪽 면의 끝을 창호 틀(F)에 장착한다. 이때, 마감 부재(300)와 창호 틀(F) 사이의 두께는 덮개(200)가 드나들 수 있을 정도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300)에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창호 틀(F)과 마주하는 면에는 감압 돌기(310)를 돌출 형성한다. 감압 돌기(310)는 마감 부재(300)를 창호 틀(F)에 장착할 때 상술한 감압 홈(110)에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마감 부재(300)를 가이드 스토퍼(100)에 일체로 고정하면서 덮개(200)가 가이드 스토퍼(100)나 마감 부재(3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시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미감이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시공한 창호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0 : 가이드 스토퍼
110 : 감압 홈
200, 200' : 덮개
210 : 제1슬롯
300 : 마감 부재
310 : 감압 돌기
F: 창호 틀
L :창호 짝

Claims (5)

  1. 창호 틀(F)과 이 창호 틀(F)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창호 짝(D) 사이에 장착하는 손 끼임 방지 장치에서,
    창호 짝(D)을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창호 틀(F) 면에 장착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스토퍼(100);
    창호 짝(D)의 한쪽 가장자리, 그리고 이 창호 짝(D)의 한쪽 가장자리와 인접하는 창호 틀(F) 사이에 장착하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폭 방향으로는 상기 각 가이드 스토퍼(100)에 끼워져 창호 짝(D)을 여닫음에 따라 안내받는 제1슬롯(210)을 형성한 덮개(200); 및
    창호 틀(F)에 장착하여 창호 짝(D)을 여닫음에 따라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덮개(200) 부분을 씌워서 감싸는 마감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덮개(200), 그리고 상기 마감 부재(300)는,
    각각 압출 성형하여 창호 길이에 맞게 잘라서 사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덮개(200)는,
    알루미늄 합금 패널 및 합성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슬롯(210)은,
    그 길이(W)에 따라 창호 짝(D)을 여닫는 문의 최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마감 부재(300)는,
    폭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한쪽 면이 창호 틀(F)과 마주하게 설치하되, 창호 틀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100) 끝에 형성한 감압 홈(110)에 강제로 끼울 수 도록 감압 돌기(31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0200085183A 2019-03-04 2020-07-10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319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83A KR102319247B1 (ko) 2019-03-04 2020-07-10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81A KR102136487B1 (ko) 2019-03-04 2019-03-04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0200085183A KR102319247B1 (ko) 2019-03-04 2020-07-10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81A Division KR102136487B1 (ko) 2019-03-04 2019-03-04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61A true KR20200106461A (ko) 2020-09-14
KR102319247B1 KR102319247B1 (ko) 2021-10-29

Family

ID=7247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83A KR102319247B1 (ko) 2019-03-04 2020-07-10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24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913A (ja) * 1996-07-31 1998-02-17 Tsutomu Kogure ドアの安全装置
KR200201575Y1 (ko) * 2000-06-07 2000-11-01 김동식 도어용 틈새 발생 방지장치
JP2009299447A (ja) * 2008-06-16 2009-12-24 Muneyoshi Itokazu ドアの安全装置
JP2012021344A (ja) * 2010-07-16 2012-02-02 Murakoshi Mfg Corp 指詰め防止構造
KR20140114122A (ko) 2013-03-18 2014-09-26 박영우 손 끼임 방지 여닫이 문
KR101939131B1 (ko)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KR101940513B1 (ko) 2018-08-28 2019-01-21 세이폴 주식회사 강화 유리문 손끼임 방지용 보호대
KR101943386B1 (ko) * 2018-09-18 2019-01-29 전상근 여닫이 도어용 끼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913A (ja) * 1996-07-31 1998-02-17 Tsutomu Kogure ドアの安全装置
KR200201575Y1 (ko) * 2000-06-07 2000-11-01 김동식 도어용 틈새 발생 방지장치
JP2009299447A (ja) * 2008-06-16 2009-12-24 Muneyoshi Itokazu ドアの安全装置
JP2012021344A (ja) * 2010-07-16 2012-02-02 Murakoshi Mfg Corp 指詰め防止構造
KR20140114122A (ko) 2013-03-18 2014-09-26 박영우 손 끼임 방지 여닫이 문
KR101940513B1 (ko) 2018-08-28 2019-01-21 세이폴 주식회사 강화 유리문 손끼임 방지용 보호대
KR101939131B1 (ko)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KR101943386B1 (ko) * 2018-09-18 2019-01-29 전상근 여닫이 도어용 끼임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247B1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961B1 (ko) 기존 도어의 경첩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EP2773831B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101929808B1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US9890586B2 (en) Sunshade structure
US20140069019A1 (en) Door Seal Apparatus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20170062768A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2191259B1 (ko) 측면 힌지장착 도어의 손끼임방지구
KR20200106461A (ko)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2136487B1 (ko)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KR101931960B1 (ko) 문틀에 맞게 도어 폭이 가변되어 설치되는 안전장치
JP5586156B2 (ja) ドアのエッジ装置
US20110120021A1 (en) Door Assembly
KR102113880B1 (ko) 손가락 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KR102244145B1 (ko)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444253B1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102085314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문틀의 단턱 모서리 간섭방지 겸용 커버장치
KR102458496B1 (ko)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AU2016429038B2 (en) Mounting assembly for door or window and door or window assembly employing same
KR102315507B1 (ko)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167249B1 (ko) 간소화된 조립구조로 설치의 용이성과 출입을 위한 문폭확보와 손가락끼임 방지를 위해 문틈을 가려주는 안전장치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JP7432780B2 (ja) 扉の隙間遮蔽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8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29

Effective date: 202109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