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679A -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679A
KR20200104679A KR1020190023310A KR20190023310A KR20200104679A KR 20200104679 A KR20200104679 A KR 20200104679A KR 1020190023310 A KR1020190023310 A KR 1020190023310A KR 20190023310 A KR20190023310 A KR 20190023310A KR 20200104679 A KR20200104679 A KR 2020010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con
learner
input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163B1 (ko
Inventor
앤드류 셀프 제임스
정원도
이희승
오클리 이안
김병헌
정영철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2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1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에 대한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learning}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는 동료 학습자들과 학습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학습자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 유투브를 통한 콘텐츠 시장의 확대 및 온라인 공개 수업(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등 무료로 학습 콘텐츠를 학습할 수 있는 웹 서비스 기반의 교육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은 장소, 시간 등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개인이 원하는 학습 콘텐츠를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이를 통해 학습 콘텐츠에 대한 개인의 자율 학습이 확대되고 있다.
여기서, 자율 학습이란, 목표 패턴이 주어지지 않고, 입력 패턴에 근거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개인이 필요로 하는 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주도하에 학업 역량을 향상시키는 학습을 의미한다. 이 때, 자율학습의 성공 요체는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수행 여부에 달려있다. 다시 말해, 자기주도 학습은 개인 스스로가 집중 학습이 필요한 부분이 어디인지를 결정하는 능력(ability) 및 결정된 부분을 꾸준하게 공부하여 흡수하려는 태도(attitude)가 동시에 갖추어질 때 가능한 방법이다. 즉, 자기 주도 학습은 본인 스스로가 학습을 하려는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결과 중심의 추상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에 대한 학습 분석을 수행하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성적을 예측함으로써, '성취 동기'를 촉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순간마다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학습 행위를 가이드 해줄 수 없으며, 특히나 전문직 성인 학습자가 아닌 학령기 학생, 초보 학습자에게는 자기 주도 학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자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방안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70292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동료 학습자의 질문 내용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에게 동료 학습자의 학습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학습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에 대한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영상에 대한 학습시작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학습시작 아이콘에 대한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하는 동료 학습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의 형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에 대한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은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으로 변환되며, 상기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프로필 사진, 학습자 이름 및 학습 달성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별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의 수(number)를 나타내는 그래프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한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응하는 질문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서버에게 상기 학습영상에 대응하는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서버에게 상기 단말의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number)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산출된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송신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표시볼을 가상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시작한 시점 정보 및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완료한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입력 패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패턴 아이콘에 대한 제5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입력패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기 입력패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패턴에 따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알림 제공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제공 아이콘에 대한 제6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에 대한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영상에 대한 학습시작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시작 아이콘에 대한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하는 동료 학습자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의 형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에 대한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은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으로 변환되며, 상기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프로필 사진, 학습자 이름 및 학습 달성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별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의 수(number)를 나타내는 그래프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한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응하는 질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서버에게 상기 학습영상에 대응하는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각각과 연결된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서버에게 상기 단말의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number)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산출된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각각과 연결된 알림유닛에게 송신되어, 상기 알림유닛의 표시볼을 가상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시작한 시점 정보 및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완료한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입력 패턴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입력 패턴 아이콘에 대한 제5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입력패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상기 입력패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패턴에 따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알림 제공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알림 제공 아이콘에 대한 제6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동료 학습자의 질문 내용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단순히 학습영상을 일방적으로 시청하여 공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료 학습자의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여, 양방향 의견교환 및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알림유닛을 통해 동료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을 시작할 경우, 알림정보를 제공하므로 동료 학습자에게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1)의 다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온라인 학습 시스템(100)은 온라인 학습을 이용하는 각 학습자의 단말(110-1 내지 110-N), 서버(120) 및 알림유닛(130-1 내지 130-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말(110-1 내지 110-N)은 각 알림유닛(130-1 내지 130-N)과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 또는 페어링(pairing)되어 있을 수 있다.
온라인 학습을 이용하는 학습자의 단말(110-1)은 온라인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학습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서버(120)는 온라인 학습을 위한 학습영상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영상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10-1)은 학습영상에 대한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질문 아이콘은 학습영상을 통해 학습하는 동료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질문을 업로드하는 경우 등록될 수 있다.
또한, 학습영상을 화면에 표시한 후, 단말(110-1)은 학습영상에 대응하는 학습시작 신호를 서버(1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학습시작 신호를 수신한 서버(120)는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한 단말(110-1)과 연결된 알림유닛(130-1)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신호는 단말(110-1)의 학습자가 학습을 시작함에 따라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에게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것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작동 신호를 수신한 각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은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동료 학습자(즉, 단말(110-1)을 통해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료 학습자가 학습을 시작할 경우,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나머지 학습자들에게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1)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1)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3a 및 3b를 참고하면, S201 단계는 학습영상(309)에 대한 학습시작 아이콘(301)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시작 아이콘(301)은 온라인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을 이용하는 동료 학습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동료 학습자 아이콘(303)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동료 학습자 아이콘(303)의 형태는 동료 학습자들 각각의 학습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동료 학습자들은 서로 다른 학습 유형을 가질 수 있으며, 자신과 다른 학습 유형을 갖는 동료 학습자들과 함께 온라인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의견과 학습 방식을 효과적으로 피드백받을 수 있다.
또한, 각 동료 학습자 아이콘(303)은 동료 학습자의 랭킹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동료 학습자의 랭킹은 동료 학습자의 학습 달성량(%) 및 질문 등록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동료 학습자 아이콘(303)에 대한 입력 신호(323)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동료 학습자 아이콘(303)은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305)으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은 학습자들 각각의 프로필 사진, 이름 및 학습 달성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10-1)의 학습자에 대한 학습자 정보 아이콘(307)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 아이콘(307)은 학습자 이름, 학습하는 학습영상 명칭 및 학습 기한(deadline)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S203 단계는 학습시작 아이콘(301)에 대한 입력 신호(321)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S205 단계는 학습시작 아이콘(301)에 대한 입력 신호(321)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학습영상(309)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S207 단계는 학습영상(309)에 대한 입력 신호(325)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S209 단계는 학습영상(309)에 대한 입력 신호(325)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학습영상(309)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질문 아이콘(311)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학습자 질문 아이콘(311)은 학습영상(309)을 시청하는 동료 학습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료 학습자가 학습영상(309)의 내용에 대한 질문을 온라인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하는 경우 학습영상(309)의 해당 재생시점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영상(309)의 재생시점별 학습자 질문 아이콘(311)의 수(number)를 나타내는 그래프 아이콘(313)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학습영상(309)의 어느 부분에서 학습자들이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지, 질문이 많은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영상(309)에 대한 입력 신호(325)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온라인 학습의 학습자 리스트(315)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리스트(315)는 학습영상(309)을 이용하고 있는 온라인(online) 학습자와 학습영상(309)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오프라인(offline) 학습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학습영상(309)을 이용하여 온라인 학습을 하고 있는 학습자가 누구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자 질문 아이콘(311)에 대한 입력 신호(327)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학습자 질문 아이콘(311)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질문 내용(3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1)의 학습자는 동료 학습자의 해당 질문 내용(317)에 대한 답변(reply)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학습영상(309)을 일방적으로 시청하여 공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료 학습자의 질문에 답변을 해줌으로써, 양방향 의견교환 및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a 및 3b에서 설명되는 입력 신호(321, 323, 325, 327)는 단말(110-1)의 학습자에 의한 탭(tap) 입력, 슬라이딩(sliding) 입력 또는 핀치(pinch out)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의 유형은 예시일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1)의 다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단말(110-1)은 학습 현황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 현황 화면은 학습영상정보 아이콘(401), 학습 진도 아이콘(403), 수강정보 아이콘(405), 학습시작 아이콘(407) 및 알림 아이콘(409)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영상정보 아이콘(401)은 학습영상 명칭, 학습영상(309)에 대응하는 과목 이름 및 학습영상(309)과 연동된 동료 학습자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1)이 학습영상정보 아이콘(401)에 대한 입력 신호(421)를 검출하는 경우, 단말(110-1)은 수강중인 다른 학습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학습 진도 아이콘(403)은 바(bar) 형태의 형상으로, 동료 학습자를 포함하여 각 학습자에 대응하는 특정 색상으로 학습진도에 따라 바(bar)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1)의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의 바가 중복되는 경우 학습자의 바(bar)만이 표시될 수 있다. 즉, 각 학습자가 아직 학습하지 않은 학습영상의 양이 표시되어 학습에 필요한 시간이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수강정보 아이콘(405)은 학습 기한 및 학습완료 시 주어지는 리워드(reward)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시간은 학습자의 입력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다른 학습영상을 수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학습시작 아이콘(407)은 학습영상(309)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110-1)은 학습시작 아이콘(407)에 대한 입력 신호(423)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학습영상(309)을 표시할 수 있다.
알림 아이콘(409)은 도 4b의 알림 제공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110-1)은 알림 아이콘(409)에 대한 입력 신호(425)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알림 제공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411), 입력 패턴 아이콘(413) 및 알림 히스토리 아이콘(415)을 포함할 수 있다.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411)은 동료 학습자 이름, 동료 학습자의 학습 유형, 학습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입력 패턴 아이콘(413)은 입력 신호(427)가 입력됨에 따라 진행되는 특정 색상의 게이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입력 패턴 아이콘(413)은 현재 회전 횟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1)은 입력 패턴 아이콘(413)에 대한 입력 신호(427)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각 동료 학습자의 단말(110-2 내지 110-N) 및 알림유닛(130-2 내지 130-N) 중 적어도 하나에게 입력 신호(427)에 대한 입력패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패턴 정보를 수신한 단말(110-2 내지 110-N)은 입력패턴 정보에 따라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 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패턴 정보를 수신한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은 입력패턴 정보에 따라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동료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물리적 엔티티(entity)인 알림유닛(130-1) 대신에 단말(110-1)의 온라인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동료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알림 히스토리 아이콘(415)은 단말(110-1)의 학습자가 동료 학습자와의 입력패턴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한 히스토리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단말(110-1)은 학습영상(309)에 대한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알림 제공 아이콘(4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1)은 알림 제공 아이콘(419)에 대한 입력 신호(429)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동료 학습자의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후, 작동 신호를 수신한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은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4c에서 설명되는 입력 신호(421, 423, 425, 427, 429)는 단말(110-1)의 학습자에 의한 탭 입력, 슬라이딩 입력 또는 핀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의 유형은 예시일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S501 단계에서, 단말(110-1)은 학습영상(309)을 표시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단말(110-1)은 서버(120)에게 학습영상(309)에 대한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시작 신호는 단말(110-1)에서 학습영상(309)가 표시되어 학습이 시작됨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서버(120)는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한 단말(110-1)과 연결된 알람유닛(130-1)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서버(120)는 학습시작 신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한 단말은 작동 신호를 송신할 알림유닛과 연결된 단말에서 제외되는 바, 학습시작 신호는 작동 신호를 송신할 알림유닛을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작동 신호를 수신한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은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10-1)의 학습자가 알림유닛(130-1)의 손잡이 부재를 회전시키는 경우, 알림유닛(130-1)은 서버(120)에게 조작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정보는 학습자가 조작한 손잡이 부재의 회전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 부재의 회전 패턴에는 손잡이 부재의 분당회전수(RPM)가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서버(120)는 조작정보를 송신한 알림유닛(130-1)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에게 조작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조작정보를 수신한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은 조작정보에 기반하여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알림유닛의 상세한 구조는 하기 도 7a 및 7b에서 설명된다.
S509 단계에서, 단말(110-1)은 서버(120)에게 학습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정보는, 학습영상(309)의 이용을 시작한 시점 정보 및 학습영상(309)의 이용을 완료한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511 단계에서, 서버(120)는 학습정보에 기반하여 학습영상(309)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number)를 산출할 수 있다.
S513 단계에서, 서버(120)는 학습정보를 송신한 단말(110-1)과 연결된 알람유닛(130-1)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에게 산출된 학습영상(309)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515 단계에서,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은 학습영상(309)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알림유닛(130-2 내지 130-N)의 표시볼을 가상 궤적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5의 각 단계는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S503 단계가 수행된 후, S509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S503 단계와 S509 단계는 순서에 관계 없이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1)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단말(110-1)은 표시부(610), 통신부(620) 및 제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610)는 단말(110-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6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63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630)는 단말(110-1)의 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30)는 단말(110-1)에 포함된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전달받은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610)는 학습영상(309)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표시된 학습영상(309)에 대한 입력 신호(325)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표시부(610)는 제어부(630)가 입력 신호(325)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학습영상(309)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질문아이콘(311)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610)는 학습영상(309)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서버(120)에게 학습영상(309)에 대한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서버(120)에게 학습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유닛(130-2)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유닛(130-2)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알림유닛(130-2)은 본체(710), 회전부재(720), 다수의 카드판넬(730), 구동부재(740), 제어부(미도시) 및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10)는 내부에 내부공간(711)이 마련된 사각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710)의 하면에는 다수의 다리부재(71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리부재(7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710)를 지지한다. 이때, 본체(710)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710)는 전면에 원형의 삽입홈(7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홈(713)은 본체(710)의 전면에 대해 후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본체(710)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72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본체(710)의 내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720)는 회전 시 카드판넬(730)이 본체(7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본체(710)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카드판넬(730)은 회전부재(720)가 회전 시 알림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회전부재(720)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드판넬(7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가장자리가 회전부재(720)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카드판넬(730)은 회전부재(720)의 회전 시 회동되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740)는 본체(710)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741)와, 구동모터(741)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풀리(742)와, 상기 회전부재(720)의 단부에 설치된 피동풀리(743)와, 구동모터(74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부재(720)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풀리(742) 및 피동풀리(743)에 설치된 연결벨트(7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재(74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부재(7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작동 신호를 수신할 경우, 회전부재(720)가 회전되도록 구동부재(7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작동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수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회전부재(720)가 회전되도록 구동부재(7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유닛(130-2)은 학습자가 동료 학습자들에게 학습을 독촉하기 위한 조작정보를 보낼 수 있도록 손잡이 부재(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부재(750)는 학습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본체(710)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손잡이 부재(7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예시일 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알림유닛(130-2)은 손잡이 부재(750)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손잡이 부재(771)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손잡이 부재(750)에 대한 학습자의 조작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는 생성된 조작정보를 서버(1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손잡이 부재(750)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7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학습자에 의해 조작된 손잡이 부재(75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부재(720)가 회전되도록 구동부재(7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조작정보에 따라 회전부재(720)가 회전되도록 구동부재(74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20)로부터 조작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는 조작정보에 따라 회전부재(7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서버(120)를 통해 단말(110-1)로부터 전송된 조작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제어부는 해당 조작정보에 대응되게 회전부재(720)가 회전하도록 구동부재(7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유닛(130-2)은 본체(710)에 설치되어 학습영상(309)를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표시부(760)는 표시볼(761) 및 볼 구동부(76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볼(761)은 본체(710)의 일측면에, 호형의 가상 궤적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표시볼(761)은 소정의 자성을 갖는 금속성 소재인 구형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삽입홈(713)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삽입홈(713) 내에 설치된다.
볼 구동부(762)는 호형의 가상 궤적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본체(710)에 설치되는 기어 플레이트(763)와, 기어 플레이트(763)의 회전에 따라 표시볼(761)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상 궤적의 중심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기어 플레이트(763)에 설치되어 표시볼(761)에 자력을 인가하는 접촉자석(764)과, 기어 플레이트(763)를 회전시키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기어 구동부재(76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플레이트(76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기어 플레이트(763)는 표시볼(761)에 대향되는 본체(710)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삽입홈(713)의 중심가 동축 선상에 회전중심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기어 플레이트(763)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접촉자석(764)은 삽입홈(713)의 중심에서 표시볼(761)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기어 플레이트(763)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기어 플레이트(763)가 회전시 접촉자석(764)의 자력에 의해 표시볼(761)이 삽입홈(713)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기어 구동부재(765)는 본체(710)의 내부에 설치되며, 180° 서보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기어 구동부재(765)는 구동축이 기어 플레이트(763)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기어 플레이트(76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학습영상(309)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학습영상(309)을 이용한 학습자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표시볼(761)이 가상 궤적 상의 초기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볼 구동부(762)의 기어 구동부재(765)를 제어한다. 이때, 본체(7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삽입홈(713)의 가장자리에 인접된 위치에, 표시볼(761)의 초기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학습자는 표시볼(761)이 표시눈금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통해 학습영상(309)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유닛(130-2)은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회전부재(7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수면설정 스위치(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면설정 스위치(770)는 학습자가 수면설정모드 또는 수면해제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학습자는 수면 상황과 같이 알림유닛(130-2)에 의해 간섭받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 수면설정 스위치(770)를 조작하여 수면설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면설정 스위치(770)에서 수면설정모드가 설정될 경우, 알림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회전부재(720)를 정지시키도록 구동부재(740)를 제어할 수 있다. 수면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작동 신호를 수신하거나 조작정보를 수신하더라도 회전부재(720)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동부재(7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수면설정 스위치(770)에서 수면해제모드가 설정될 경우, 회전부재(720)의 정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알림유닛(130-2)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100)에 포함된 모든 알림유닛(130-1 내지 130-N)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온라인 학습 시스템
110-1 내지 110-N: 단말
120: 서버
130-1 내지 130-N: 알림유닛
301: 학습시작 아이콘
303: 동료 학습자 아이콘
305: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
307: 학습자 정보 아이콘
309: 학습영상
311: 학습자 질문 아이콘
313: 그래프 아이콘
315: 학습자 리스트
317: 질문 내용
321 내지 327: 입력 신호
401: 학습영상정보 아이콘
403: 학습 진도 아이콘
405: 수강정보 아이콘
407: 학습시작 아이콘
409: 알림 아이콘
411: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
413: 입력 패턴 아이콘
415: 알림 히스토리 아이콘
417: 알림 제공 아이콘
421 내지 429: 입력 신호
610: 표시부
620: 통신부
630: 제어부
710: 본체
720: 회전부재
730: 다수의 카드판넬
740: 구동부재
741: 구동모터
742: 구동풀리
743: 피동풀리
744: 연결벨트
750: 손잡이 부재
760: 정보표시부
761: 표시볼
762: 볼 구동부
763: 기어 플레이트
764: 접촉자석
765: 구동부재
770: 수면설정 스위치

Claims (22)

  1.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에 대한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영상에 대한 학습시작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학습시작 아이콘에 대한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하는 동료 학습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의 형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 유형을 나타내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에 대한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은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으로 변환되며,
    상기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프로필 사진, 학습자 이름 및 학습 달성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별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의 수(number)를 나타내는 그래프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한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응하는 질문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서버에게 상기 학습영상에 대응하는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서버에게 상기 단말의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number)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산출된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송신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표시볼을 가상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시작한 시점 정보 및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완료한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입력 패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패턴 아이콘에 대한 제5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입력패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기 입력패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패턴에 따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알림 제공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제공 아이콘에 대한 제6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에 대한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질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영상에 대한 학습시작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시작 아이콘에 대한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영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하는 동료 학습자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의 형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 유형을 나타내는,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에 대한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동료 학습자 아이콘은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으로 변환되며,
    상기 동료 학습자 프로필 아이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각각의 프로필 사진, 학습자 이름 및 학습 달성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단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학습영상의 재생시점별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의 수(number)를 나타내는 그래프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한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4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질문 아이콘에 대응하는 질문 내용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서버에게 상기 학습영상에 대응하는 학습시작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서버에게 상기 단말의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number)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산출된 학습영상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송신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표시볼을 가상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시작한 시점 정보 및 상기 학습영상의 이용을 완료한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입력 패턴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입력 패턴 아이콘에 대한 제5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입력패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상기 입력패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패턴에 따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알림 제공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알림 제공 아이콘에 대한 제6 입력 신호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알림유닛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에게 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작동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유닛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 장치.
KR1020190023310A 2019-02-27 2019-02-27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226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10A KR102261163B1 (ko) 2019-02-27 2019-02-27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10A KR102261163B1 (ko) 2019-02-27 2019-02-27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679A true KR20200104679A (ko) 2020-09-04
KR102261163B1 KR102261163B1 (ko) 2021-06-07

Family

ID=7247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310A KR102261163B1 (ko) 2019-02-27 2019-02-27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1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617A (ko) * 2006-02-13 2007-08-17 최진열 온라인 실시간 첨삭지도 및 동기지향형 학습 시스템 및 그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기록매체
KR100994434B1 (ko) * 2009-12-02 2010-11-16 (주)익스트리플 쌍방향 동영상 재생기 및 재생방법과 쌍방향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02929B1 (ko) 2015-04-13 2017-0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코발트-인 코어 및 탄소 쉘을 포함하는 알카라인 산소 환원 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6056A (ko) * 2016-07-08 2018-01-17 (주) 이에스엘에듀 학습자 반응이 반영되는 실시간 통계기반 문제풀이 강의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617A (ko) * 2006-02-13 2007-08-17 최진열 온라인 실시간 첨삭지도 및 동기지향형 학습 시스템 및 그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기록매체
KR100994434B1 (ko) * 2009-12-02 2010-11-16 (주)익스트리플 쌍방향 동영상 재생기 및 재생방법과 쌍방향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02929B1 (ko) 2015-04-13 2017-0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코발트-인 코어 및 탄소 쉘을 포함하는 알카라인 산소 환원 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6056A (ko) * 2016-07-08 2018-01-17 (주) 이에스엘에듀 학습자 반응이 반영되는 실시간 통계기반 문제풀이 강의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163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6866A1 (en) Pre-License Development Tool
US202103431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learner engagement during a learning event
Lodge et al. Supporting self-regulated learning with learning analytics
Schell et al. Catalyzing learner engagement using cutting-edge classroom response systems in higher education
US10573191B2 (en) Interactive educational tool
Beaumont et al. Evaluating a Second Life Problem-Based Learning (PBL) demonstrator project: what can we learn?
US20150020003A1 (en) Interactions Between Users in a Virtual Space
EP1899939B1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US10720082B1 (en) Device and system to teach stem lessons using hands-on learning method
US20150302757A1 (en) Learning aid
KR101755261B1 (ko) 원아 관찰일지 작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단말기, 방법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Sánchez et al. Guidelines for designing mobility and orientation software for blind children
Chiou Teaching technology using educational robotics
KR102261163B1 (ko)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장치
KR20160138681A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상호작용 기반의 원격 화상 통신 및 강의 시스템
Bauer et al. Making the usage of guidance systems in pedestrian infrastructures measurable using the virtual environment DAVE
KR20220032458A (ko) 원격 강의 방법 및 시스템
KR101505598B1 (ko) 로봇 교육 장치
KR20190048185A (ko) 전자 플레이트를 이용한 언플러그드 코딩 시스템
WO2020192854A1 (en) Gaming unit
KR102261157B1 (ko) 온라인 학습에서의 학습자 동기 부여 시스템
WO2010143872A2 (ko) 모션캡쳐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한 동작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4313B1 (ko) 교실 환경에서 교사 개입에 의한 에이치알아이 기술이적용되는 학습 보조용 로봇
Ellis et al. " Piece it together": Insights from one year of engagement with electronics and programm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R100973680B1 (ko) 학습수행이 게임형식으로 안내되는 아동학습용 매트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