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429A - 고관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관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429A
KR20200104429A KR1020207024640A KR20207024640A KR20200104429A KR 20200104429 A KR20200104429 A KR 20200104429A KR 1020207024640 A KR1020207024640 A KR 1020207024640A KR 20207024640 A KR20207024640 A KR 20207024640A KR 20200104429 A KR20200104429 A KR 20200104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hip joint
femoral
medical device
femora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포셀
Original Assignee
임플란티카 페이턴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플란티카 페이턴트 엘티디. filed Critical 임플란티카 페이턴트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3700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581A/ko
Priority claimed from PCT/SE2010/05080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005189A1/en
Publication of KR2020010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4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61B17/1617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with mobile or detach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6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28Collars; Bone edg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61F2/3601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for replacing only the epiphyseal or metaphyseal parts of the femur, e.g. endoprosthetic femoral heads or necks directly fixed to the natural femur by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F2/3603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for replacing only the epiphyseal or metaphyseal parts of the femur, e.g. endoprosthetic femoral heads or necks directly fixed to the natural femur by internal fixation devices implanted without ablation of the whole natural femoral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61F2/3609Femoral heads or necks; Connections of endoprosthetic heads or necks to endoprosthetic femoral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4Acetabular cups
    • A61F2002/3401Acetabular cups with radial apertures, e.g. radial bores for receiving fixation scre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Neur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관절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고관절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의료 장치는 2개 이상의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을 포함하며, 2개 이상의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은 수술 동안 인공 고관절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의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고관절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고관절은 대퇴골두 및 관골구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환자의 피부를 커팅하는 단계, 관골구의 반대측의 골반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해부된 영역에 골반뼈를 통과하여 환자의 고관절 내로 이어지는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의료 장치를 환자의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고관절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관절 장치 및 방법{HIP JOIN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고관절에의 이식을 위한 의료 장치 및 이러한 의료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관절 관절염(hip joint Osteoarthritis)은 덜 심각한 염증이 고관절 내부에서 쿠션으로서 작용하는 연골의 비정상적인 마모에 의해 야기되는 고관절에서의 고통을 발생하는 증후군이다. 이러한 연골의 비정상적인 마모는 또한 시노비얼 플루이드(Synovial fluid)로 지칭되는 관절 윤활액의 감소를 초래한다. 고관절 관절염은 65세 이상의 모든 사람의 80%가 더 심각하거나 덜 심각한 상태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관절 관절염의 현재의 치료는 NSAID 약물, 고관절을 윤활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의 국소 주입, 및 고관절 외과수술을 통한 고관절의 일부분을 보철물(prosthesis)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고관절의 일부분을 대체하는 것은 매년 전세계의 수십만의 환자에게 지금까지 시술된 가장 흔한 외과수술 중의 하나이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대퇴골(Femur)에 금속 보철물을 위치시키고 관골구(Acetabulum)에 플라스틱 보울(plastic bowl)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수술은 통상적으로 둔부 및 대퇴 상부의 외측방 절개를 통해 또한 대퇴근막(Fascia Lata) 및 둔부의 외측 근육을 통해 행해진다. 고관절에 접근하기 위해, 대퇴골 및 골반의 장골(ilium)에 부착된 지지 고관절낭(supporting hip joint capsule)이 침투될 필요가 있어, 외과수술 후에 관절이 완전하게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곤란하다. 대퇴골은 그 후 골절단용 톱으로 경부(neck)에서 절단되며, 보철물이 골 시멘트(bone cement)로 또는 골 시멘트 없이 대퇴골에 위치된다. 관골구는 관골구 확공기(Acetabular reamer)를 이용하여 다소 확장되며, 나사 또는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보울이 위치된다.
외과수술은 통상적으로 감염 위험의 증가로 인해 1주일간의 입원을 요구한다. 회복 과정은 평균적으로 약 6주가 소요되지만, 이 기간 후에도 환자는 관절에 커다란 압박을 가하는 어떠한 신체적 활동도 하지 않아야 한다.
고관절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고관절에의 이식을 위한 의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의료 장치는, 그 기능적 위치(functional position)에 있을 때에 고관절의 지탱 표면(bearing surface)으로서기능하도록 구성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artificial caput femur surface)과,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대퇴부 뼈에 고정하기 위해 대퇴부 뼈의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 고정부(fixating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 장치는 상기 의료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그 자리에서 서로에 대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은 장착된 의료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제자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제1 부분은 고관절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의 제2 부분은 고관절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의료 장치의 상호연결 영역에서 연결되며, 상호연결 영역은 장착된 의료 장치의 접촉 표면의 일부분이다.
상기 의료 장치는, 장착된 의료 장치 안으로 상기 2개 이상의 부분 중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연결된 후에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함께 잠금하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관골구 또는 이 관골구의 인공 대체물과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된 고관절 접촉 표면과, 환자의 대퇴부 뼈와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된 대퇴골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는 절두형 구체(frustum spherical)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은 고관절에서의 중량을 지탱하는 제1 지탱 표면(carrying surface)을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제1 연결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결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지탱 표면 내에 위치된다.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은 530 ㎟ 미만, 380 ㎟ 미만, 250 ㎟ 미만, 180 ㎟ 미만, 또는 110 ㎟ 미만의 단면적을 갖는 구멍을 통해 골반뼈에 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잠금 부재는 대퇴부 뼈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잠금 밴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은 원의 일부분이 되는 분포(distribution)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착된 의료 장치는 속이 빈 부분적 구체 형상을 보이고 있으며, 대퇴부 뼈의 일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환자의 대퇴부 뼈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장착된 의료 장치를 상기 대퇴부 뼈의 일부분에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장착된 의료 장치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잠금 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부분은 관골구(acetabulum)의 반대쪽으로부터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멍은, 상기 의료 장치가 고관절에 기능적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의료 장치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부분은 고관절낭(supporting hip joint capsule)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멍은, 상기 의료 장치가 고관절 내의 기능적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의료 장치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2개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부분은 대퇴부 뼈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멍은 고관절 내의 기능적 위치에서의 상기 의료 장치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 중의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부분이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의료 장치는 복수의 링 형상 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링 형상 물체는, 인공 관골구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고관절에 삽인된 후에 그 자리에서 서로에 대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고관절에서 중량을 지탱하는 제2 지탱 표면을 대체하기 위한 제2 인공 고관절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 중의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은 기능적 둔부 움직임(functional hip movement) 동안 제1 지탱 표면 및 이 제1 지탱 표면의 인공 대체물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은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제2 연결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인공 관골구 표면의 지탱 표면 내에 위치된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은 함께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 라인을 따라 상기 실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분은 최대 10 ㎛의 높이 차이를 갖는다.
상기 연결 라인을 따라 상기 실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분은 최대 100 ㎛ 또는 최대 1 mm의 높이 차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부분은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잠금 위치를 갖는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form fitted structure)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 장치는 잠금 위치에서 잠금하도록 구성된 자체 잠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은 이들 부분을 서로에 관련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적어도 슬라이딩 방향 및/또는 그 역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은, 부분들을 함께 장착할 때에, 상기 부분들 중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상이한 방향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잠금 위치에서 적어도 최종 도입 방향 및/또는 그 역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된 부분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은, 상기 의료 장치가 고관절 표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이들 부분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고관절 내부의 기능적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서로에 관하여 변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은 그 자리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부분이 그 자리에서 연결된 때에는 고관절 표면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2개 이상의 부분 중의 하나 이상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 장치는 대퇴부 뼈 또는 골반뼈에 압착력(squeezing force)을 가하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대퇴골두 또는 골반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관절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고관절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료 장치가 제공된다. 의료 장치는 2개 이상의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을 포함하며, 2개 이상의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은 고관절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 동안 인공 고관절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인공 관골구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장치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 및 인공 관골구 표면 양자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형(APPEARANCE)
의료 장치의 2개 이상의 부분은 원형 분포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부분은 관골구 및/또는 대퇴골두에 대응하기 위한 원의 일부분이 되는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수술 동안 고관절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및/또는 인공 관골구 표면을 포함하고, 속이 빈 부분 구체 형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 형상을 통해, 대퇴골두의 최대 직경을 초과하여 대퇴골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대퇴골두 또는 그 인공 대체물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부분은 환자의 관골구의 반대측으로부터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멍은 의료 장치의 침습성이 덜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고관절의 기능적 위치에서의 의료 장치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부분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부분이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베이스부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부분에 관련하여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인공 관골구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고관절에의 삽입 후에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링 형상 물체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반구형 이상의 구체 형상으로 정해진다.
이식 가능한 의료 장치는 고관절에서 중량을 지탱하는 제1 지탱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은 서로 고정되어 이들 사이에서 제1 연결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1 지탱 표면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라인이 상기 제1 지탱 표면을 포함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식 가능한 의료 장치는 고관절에서 중량을 지탱하는 제2 지탱 표면을 대체하기 위한 제2 인공 고관절 표면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지탱 표면은 기능적 둔부 움직임 동안 제1 지탱 표면 또는 그 인공 대체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고정되어 이들 사이에서 제2 연결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라인은 상기 제2 접촉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라인이 상기 제1 지탱 표면을 포함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지탱 표면을 포함하는 연결 라인을 따르는 부분은 함께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표면은 일실시예에 따라 최대 10 ㎛의 높이 차이를 갖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최대 100 ㎛의 높이 차이를 갖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최대 1 mm의 높이 차이를 갖는다.
일실시예에 따라, 이식 가능한 의료 장치의 부분은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잠금 위치를 갖는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을 포함한다.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은 상기 잠금 위치로 잠금하도록 구성된 자체 잠금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 구조물은, 함께 장착할 시에 서로에 관련하여 슬라이드하는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고, 또한 잠금 위치에서는 적어도 슬라이딩 방향 및/또는 그 역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된, 부분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 구조물은, 함께 장착할 시에 상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안쪽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잠금 위치에서는 적어도 도입 방향 및/또는 그 역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된, 부분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 구조물은, 함께 장착할 시에 상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안쪽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2개 이상의 연속적인 상이한 방향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잠금 위치에서는 적어도 최종 도입 방향 및/또는 그 역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된, 부분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식 가능한 의료 장치는 구조물을 잠금 위치로 잠금하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상기 부분을 잠금 위치로 잠금하여 상기 부분을 서로에 대해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잠금 부재는 상기 부분을 인간의 뼈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부분을 상기 잠금 위치로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부재는 스플린트(splint) 및/또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상기 부분에 관련하여 상기 부분을 상기 잠금 위치로 잠금하기 위해 회전되거나, 각을 이루거나, 도입되거나, 또는 굽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식 가능한 의료 장치는 자체 잠금 위치로 잠금하도록 구성된 자체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체 잠금 부재는 잠금 부재에 의해 추가로 도움을 받아 상기 자체 잠금 위치로 추가로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라, 이식 가능한 의료 장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의 부분은, 고관절 내에서 잠금 위치로 함께 장착될 시에는 다른 부분 내로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잠금 부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된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형상 끼워맞춤 구조물의 부분은, 상기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에 따라, 고관절에 잠금 위치로 함께 장착될 시에 서로를 향해 장착되도록 각각 구성되고 또한 잠금 부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평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고관절 내의 제1 접촉 표면은, 상기 고관절낭 내부에서 상기 고관절에 도입된 후에 상기 고관절에 이식된 때에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3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관절 내의 제2 접촉 표면을 대체하기 위한 제2 인공 표면은, 고관절낭 내부에서 고관절에 도입된 후에 상기 고관절에 이식된 때에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3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인공 표면은 함께 장착된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층은 하나 이상의 지탱 층이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연성 층(flexible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지탱 층은 연성 층 위에 장착된 2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인공 표면은 함께 장착된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하나의 층은 하나 이상의 지탱 층이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연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지탱 층은 연성 층 위에 장착된 2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공 표면은 굽어지거나 감겨진 상태로 고관절에 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탱 층의 부분은, 상기 고관절낭 내부에서 상기 고관절 내에 도입된 후에 풀어지거나(unrolled) 또는 펴지도록(unbented) 되는 서로에 대한 제1 위치에 있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지탱 층의 상기 부분은, 고관절의 기능적 움직임 동안 고관절에서 중량을 지탱하는 적어도 상기 제2 접촉 표면의 부분을 대체하기 위해 지탱 표면을 생성하도록 되는 서로에 대한 제2 위치에 있게 된다.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지탱 층은 연성 층 위에 장착된 3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탱 층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지탱 층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형상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탱 층의 부분은 고른 표면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접착될 수 있다.
연결/고정(CONNECTION/FIXATION)
2개의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은, 상기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라, 하나 이상의 나사, 하나 이상의 스플린트, 상기 부분 중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부분 내로 도입되도록 되고, 또한 이들 부분이 다른 부분 내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는 상기한 적어도 일부분,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스프린트(sprint), 와이어, 상기 파타의 일부분인 컵 내에 장착된 볼(ball), 다른 부분의 암형부(female part) 내로 장착된 하나의 부분의 수형부(male part), 상기 부분의 일부분인 잠금부(lock) 내로 도입된 열쇠부(key), 밴드, 및/또는 다른 기계적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요소를 이용하여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부분은 접착제 또는 뼈 시멘트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자체 잠금 요소를 이용하여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장치는 의료 장치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라, 서로에 대해 연결되고 또한 연결 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서로에 관련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변위 가능한 부분은, 이들 부분이 소정의 위치를 포함한 상기 고관절 내부의 기능적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서로에 관련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부분은 의료 장치가 고관절 표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고정되게 된다.
2개 이상의 부분은, 의료 장치가 구멍을 통한 고관절 내로의 삽입을 위한 제1 상태와 인공 고관절 표면을 고관절 표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상태를 갖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는 상기한 회전 가능한 연결을 통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하나 이상의 나사, 하나 이상의 핀(pin), 상기 부분 중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부분 내로 도입되도록 되고, 또한 이들 부분이 다른 부분 내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는 상기한 적어도 일부분,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핀, 와이어, 상기 부분의 일부분인 보울(bowl) 내에 장착된 볼(ball), 다른 부분의 암형부 내로 장착된 하나의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의 일부분인 잠금부(lock) 내로 도입된 열쇠부(key), 밴드, 및 다른 기계적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요소를 이용하여 대퇴골두 또는 골반 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의료 장치는 예컨대 대퇴골두 또는 골반 뼈에 압착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통해 대퇴골두, 대퇴부 뼈 또는 골반 뼈의 외피(cortex)를 침투하지 않고서도 대퇴골두 또는 골반뼈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의료 장치는 또한 대퇴골두, 대퇴부 뼈 또는 골반뼈의 외피의 침투에 의해 대퇴골두 또는 골반뼈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장치는 골반뼈의 구멍, 대퇴부 뼈의 구멍, 또는 고관절낭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장치는 고관절이 정상적인 기능적 위치 또는 탈구 위치(dislocated position)에 있을 때에 하나 이상의 고관절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의료 장치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는 상기 의료 장치의 최대 직경 또는 최대 단면 거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구멍을 통한 삽입을 위해 상기 의료 장치의 최대 직경 또는 최대 단면 거리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의료 장치의 침습성이 덜한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고관절 표면부는 환자의 관골구의 반대측으로부터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이 구멍은 상기 의료 장치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는, 의료 장치가 530 ㎟보다 작은 단면적, 380 ㎟보다 작은 단면적, 250 ㎟보다 작은 단면적, 180 ㎟보다 작은 단면적, 또는 110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구멍을 통해 도입될 수 있도록, 변화될 수 있는 최대 직경, 최대 반경 또는 최대 단면 거리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재료(MATERIAL)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는 PIEE, 코리안(corian), 폴리에틸렌계 재료, 티타늄, 스테인레스 강, 볼프람(wolfram), 기타 금속 재료, 금속 재료의 조합물, 탄소 섬유, 붕소, 금속과 가소성 재료의 조합물, 금속과 탄소계 재료의 조합물, 탄소와 가소성계 재료의 조합물, 하나의 재료가 연성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multi-material), 하나의 재료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하나의 재료가 다른 하나 이상의 재료보다 많은 부분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PE 및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장치는 또한 예컨대 이식 가능한 윤활 시스템을 통해 상기 고관절에 삽입된 후에 비침투 방식으로 윤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의료 장치는 자체 윤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INSTRUME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료 장치는 수동 조작 또는 이를 위해 구성된 외과수술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 내에 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과수술 기구는 고정된 각도, 조정 가능한 각도, 및 병렬 배치된 부분 또는 섹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과수술적 방법/복강경 수술적 방법(SURGICAL / LAPAROSCOPIC METHOD)
상기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고관절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환자의 피부를 커팅하는 단계, 관골구의 반대측의 골반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골반뼈를 통해 환자의 고관절 내로 이어지는 구멍을 해부된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 및 환자의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의료 장치를 고관절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고관절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환자의 인체에 삽입하여, 이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체의 부분을 가스로 채움으로써 인체 내의 캐비티(cavity)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캐비티에 2개 이상의 복강경 투관침(trocar)을 위치시키는 단계, 하나의 복강경 투관침을 통해 상기 캐비티 내에 카메라를 삽입하는 단계, 2개 이상의 복강경 투관침 중의 하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해부 툴을 삽입하는 단계, 관골구의 반대측의 골반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골반뼈를 통해 환자의 고관절 내로 이어지는 구멍을 해부된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 및 환자의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고관절에 의료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방법은, 환자의 피부를 커팅하는 단계, 고관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환자의 고관절 내로 이어지는 구멍을 해부된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멍을 통해 의료 장치를 고관절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고관절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환자의 인체에 삽입하여, 이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체의 부분을 가스로 채움으로써 인체 내의 캐비티(cavity)를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캐비티에 2개 이상의 복강경 투관침(trocar)을 위치시키는 단계, 하나의 복강경 투관침을 통해 상기 캐비티 내에 카메라를 삽입하는 단계, 2개 이상의 복강경 투관침 중의 하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해부 툴을 삽입하는 단계, 고관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환자의 고관절 내로 이어지는 구멍을 해부된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멍을 통해 의료 장치를 고관절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방법은 이하의 단계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관골구의 반대측의 골반뼈를 해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관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골반뼈를 통해 환자의 고관절 내로 이어지는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해부된 영역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환자의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고관절에 의료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관절에 의료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추가 수술 단계(FURTHER STEPS OF THE OPERATION)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방법은, 관골구 및/또는 대퇴골두를 확공하는(reaming) 단계, 고관절 표면을 대퇴골두 및/또는 관골구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은 기계적 고정 수단, 뼈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뼈 시멘트, 뼈 플러그(bone plug), 또는 보철부를 통해 구멍을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고관절의 내부에 몰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환자의 고관절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몰드에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또는 관골구와 대퇴골두 사이에 하나 이상의 실링 부재를 위치시켜, 관골구와 대퇴골두 사이에 밀봉된 영역을 생성하고, 밀봉된 영역에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방법이 완료된 후에는, 기구를 철수시키고 봉합선(suture) 또는 스테이플(staple)을 이용하여 환자의 피부를 메우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 및 해부(INCISION AND DISSECTION)
일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피부를 커팅하는 단계는 환자의 복벽(abdominal wall), 서혜부(inguinal area) 및/또는 골반 영역에서 수행된다.
캐비티가 형성되는 실시예에 따라, 캐비티는 환자의 복부 부위, 서혜부 및/또는 골반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기술된 골반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는, 복강(abdominal cavity)의 영역, 복막과 골반뼈 사이의 영역, 골반뼈와 주위 조직(surrounding tissue) 사이의 영역, 골반 부위의 영역, 및/또는 서혜부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를 이식하는 외과수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환자의 피부를 커팅하는 단계, 고관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제1 지탱 표면의 영역을 해부하여 준비하는 단계, 고관절낭을 통해 부분을 고관절 내로 도입하는 단계, 부분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제1 지탱 표면을 제1 인공 고관절 표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및 함께 장착된 부분을 기능적 고관절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를 이식하는 외과수술적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환자의 피부를 커팅하는 단계, 고관절의 영역을 해부하는 단계, 제2 지탱 표면의 영역을 해부하여 준비하는 단계, 고관절낭을 통해 제2 부분을 고관절 내로 도입하는 단계, 제2 부분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제2 지탱 표면을 제2 인공 표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및 함께 장착된 제2 부분을 기능적 고관절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를 고관절에 이식하는 관절경 수술적 방법은, 하나 이상의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환자의 고관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을 유체로 채우는 단계, 고관절에 2개 이상의 관절경 투관침(trocar)을 위치시키는 단계, 하나의 관절경 투관침을 통해 고관절에 카메라를 삽입하는 단계, 2개 이상의 관절경 투관침 중의 하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해부 툴을 삽입하는 단계, 제1 지탱 표면의 영역을 절개하여 준비하는 단계, 고관절낭을 통해 고관절 내로 부분을 도입하는 단계, 부분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제1 지탱 표면을 인공 고관절 표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부분들을 함께 기능적 고관절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관절을 유체로 채우기 위해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고관절로부터의 하나의 입구(inlet) 및 하나의 출구(outlet)로 유체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의료 장치를 고관절에 이식하는 관절경 수술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환자의 고관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늘 또는 튜브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을 유체로 채우는 단계, 고관절에 2개 이상의 관절경 투관침(trocar)을 위치시키는 단계, 하나의 관절경 투관침을 통해 고관절에 카메라를 삽입하는 단계, 2개 이상의 관절경 투관침 중의 하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해부 툴을 삽입하는 단계, 제2 지탱 표면의 영역을 절개하여 준비하는 단계, 고관절낭을 통해 고관절 내로 제2 부분을 도입하는 단계, 제2 부분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제2 지탱 표면을 인공 고관절 표면으로 대체하는 단계, 제2 부분들을 함께 기능적 고관절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고관절로부터의 하나의 입구 및 하나의 출구로 유체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실시예의 일부, 특징부, 방법, 관련 시스템, 및 시스템의 일부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고관절 외과수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외과수술에서 이용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외과수술에 이용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외과수술에 이용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외과수술에 이용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외과수술에 이용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외과수술에 이용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외과수술에 이용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봉합을 이용하여 절개부를 봉합할 때의 환자의 대퇴부 부위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균분원 절두형 구체(equator frustum spherical)보다 큰 인공 대퇴골두 표면(caput femur surface)을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b는 대퇴골두에 고정될 때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고관절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더 큰 균분원 절두형 구체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접혀진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b는 조립 시의 도 18a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c는 도 18a 및 도 18b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연결 부재를 확대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b는 도 19a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c는 조립 시의 도 19a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a는 확장 가능한 대퇴골두 표면의 기능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b는 인공 관골구 표면 상에 탑재될 조정 가능 잠금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c 내지 도 20f는 잠금 부재 및 맞물림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g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장치 및 잠금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h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 및 잠금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i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잠금 부재를 갖는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j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잠금 부재를 갖는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k는 의료 장치 및 기계적 고정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l은 3개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과 하나의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m은 하나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과 3개의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n은 3개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과 3개의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제3 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확장 가능한 대퇴골두 표면의 기능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2a는 확장 가능한 관골구 표면의 기능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2b는 인공 관골구 표면이 제공될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a, 도 27b, 및 도 27c는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a, 도 28b, 및 도 28c는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a, 도 29b, 및 도 29c는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a, 도 30b, 및 도 30c는 의료 장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a는 제1 연성 층(flexible layer)을 대퇴골두 상에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b는 연성 층이 제공될 때의 대퇴골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a는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b는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2 강성 층(stiff layer)을 제1 연성층에 위치시키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제2 강성 층을 제1 연성 층 상에 위치시킨 때의 고관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인공 고관절 표면 부분을 외과수술법으로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복강경 수술법(laparoscopic method)/관절경 수술법(arthroscopic method)의 단계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외과수술법으로 인체에 이루어진 절개부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으로 인체에 작은 절개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a는 환자의 고관절을 수술하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b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의 단면을 측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골반뼈에 구멍을 생성한 때의 고관절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골반뼈에 작은 구멍을 생성한 때의 고관절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반뼈에 구멍을 생성하는 장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반뼈에 구멍을 생성하는 장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골반뼈에 구멍을 생성하는 장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골반뼈에 구멍을 생성하는 장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뼈 접촉 기관(bone contacting organ)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뼈 접촉 기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8a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8b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제공한 후의 고관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9는 확장 가능한 확공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0은 확장 가능한 확공기를 접혀진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1은 확장 가능한 확공기를 밑에서 본 도면이다.
도 52는 외과수술법 또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에 이용되는 확장 가능한 확공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3a는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이동할 때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3b는 대퇴골두 상에 위치될 때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3c는 대퇴골두 상에 위치될 때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4a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를 고관절 내에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4b는 고관절의 내부에서 연결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형성한 후의 인공 대퇴골두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4c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 부분의 형태가 어떻게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연결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4d는 고관절에 삽입되고 있는 카메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5a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가 제공될 때의 고관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5b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가 제공될 때의 고관절을 평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6은 골반 뼈에 구멍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의료 장치가 제공될 때의 환자를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7은 골반 뼈에 구멍을 생성하고 있을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8은 대퇴골두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수술 기구가 제공될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9는 대퇴골두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수술 기구가 대퇴골두 및 대퇴골경(column femur)의 내부에 위치될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0은 대퇴부 뼈(femoral bone)의 구멍을 통한 대퇴골두의 제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1은 대퇴골두로부터 뼈 조각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2는 의료 장치 상에 위치되는 뼈의 조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3은 뼈의 조각이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의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4는 의료 장치가 제공될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5는 골반뼈의 구멍에서부터 대퇴골경를 확공하는(reaming)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6은 대퇴골경의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7은 대퇴골경에 인공 고관절 표면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의 부분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9는 의료 장치가 제공될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0은 골반뼈의 구멍에 보철부를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1은 의료 장치가 고정될 때의 고관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2는 의료 장치의 사전 장착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3은 의료 장치의 사전 장착 실시예를 조립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4는 의료 장치의 사전 장착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5는 의료 장치의 사전 장착 실시예를 조립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6은 대퇴골경에 장착되고 있을 때의 의료 장치의 사전 장착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7은 대퇴골경에 장착된 상태의 의료 장치의 사전 장착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8은 고관절에 삽입되고 있을 때의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0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0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0c는 조립 시의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1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1b는 조립 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1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의 연결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2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2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의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2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접혀진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2d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의 연결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3a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3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을 접혀진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4a는 제1 실시에에 따른 고관절에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4b는 제2 실시에에 따른 고관절에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4c는 제3 실시에에 따른 고관절에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5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 및 인공 관골구 표면이 제공된 후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6은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1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7은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8은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1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9는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0은 의료 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1은 제1 상태에 있는 도 88에 도시된 의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2는 제2 상태에 있는 도 88에 도시된 의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1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5a는 탄성 밴드 또는 파단 밴드(rupture band)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1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5b는 제1 상태에서의 도 95a의 의료 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6a는 탄성 밴드 또는 파단 밴드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6b는 제2 상태에서의 도 96a의 의료 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1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1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1은 인공 관골구 표면이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1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2는 인공 관골구 표면이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공된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3은 도 101에 도시된 의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4는 인공 관골구 표면이 골반뼈에 고정되고 인공 대퇴골두 표면이 대퇴골두에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5는 몰드(mould)가 삽입되고 있는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6a는 대퇴부 뼈의 구명의 생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6b는 대퇴부 뼈를 통해 고관절 내로 물체를 도입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6c는 대퇴부 뼈를 관통하여 작동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의 내부에 몰드를 위치시키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6d는 대퇴부 뼈를 관통하여 작동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의 내부에 몰드를 위치시킨 후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7은 제1 실링 부재를 고관절에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8은 제2 실링 부재의 삽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9a는 대퇴부 뼈에 구멍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9b는 대퇴부 뼈를 통해 고관절에 물체를 도입하는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9c는 대퇴부 뼈를 관통하여 작동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의 내부에 실링 부재를 위치시키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0a는 몰드 또는 실링 부재를 고관절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0b는 몰드 또는 실링 부재를 고관절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를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0c는 제2 실시예에 따라 몰드 또는 실링 부재를 고관절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를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1은 골반뼈를 통하여 작동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 내부의 밀봉된 영역을 채우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2는 대퇴부 뼈를 관통하여 작동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 내부에 몰드를 채우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3은 대퇴부 뼈를 관통하여 작동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고관절 내부의 밀봉된 영역을 채우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4는 고관절의 밀봉된 영역을 유체로 채운 후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5는 고관절의 영역에 유체를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6은 뼈 플러그(bone plug)를 이용하여 고관절의 구멍을 메우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7은 골반뼈에 뼈 플러그를 고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8은 변위 가능한(displaceable) 지지 부재를 갖는 골반뼈의 구멍을 메우기 위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9a는 골반뼈의 구멍을 메우기 위해 이용되는 보철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9b는 보철부의 섹션을 골반뼈의 구멍의 에지에 대항하는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9c는 골반뼈의 구멍에 보철부를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0은 나사를 이용하여 환자의 골반뼈의 구멍에 뼈 플러그 또는 보철부를 고정하고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1은 골반뼈의 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2a는 지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뼈 플러그 또는 보철부를 환자의 골반뼈의 구멍에 고정하고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2b는 지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는 2개의 뼈 플러그 또는 보철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2c는 골반뼈의 2개의 구멍을 유체로 채운 후의 고관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3a는 고관절의 영역에 유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주입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3b는 유체를 주입할 때에 고관절의 영역에 유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주입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4는 주입 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5a는 외과수술법에서의 봉합 또는 스탬플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5b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에서의 봉합 또는 스탬플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6은 윤활 시스템이 제공된 때의 환자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7은 고관절 및 윤활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8은 순환 윤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9는 필터를 갖는 순환 윤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일례로서 설명한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낮은 수준의 면역 반응을 갖는 재료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종종 생체재료로도 지칭된다. 유사하게, 생체적합성 금속은 티타늄 또는 탄탈과 같은 낮은 면역 반응을 갖는 금속이다. 이러한 생체적합성 금속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합금일 수 있다.
형상 끼워맞춤은 부분 또는 섹션을 이용하여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 또는 섹션을 갖는 부재로서 이해될 수 있다. 형상 끼워맞춤 구조는 형상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의 구조이다.
탄성은 탄성적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료의 능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탄성 변형은 재료가 응력(예를 들어, 외부 힘) 하에서 변형되지만 응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지칭한다. 보다 탄성적인 재료는 더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로서 이해될 수 있다. 물체의 탄성 계수는 탄성 변형 영역에서 응력-변형 곡선의 기울기로서 정의된다. 탄성 계수는 응력/변형으로서 계산되고, 여기서 응력은 변형을 유발하는 힘을 이러한 힘이 가해지는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변형은 응력에 의해 유발된 변형의 비율이다.
강성은 가해진 힘에 의한 변형에 대한 탄성체의 저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기능적 둔부 움직임은 둔부의 자연스런 움직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둔부의 움직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고관절의 자연스런 움직임은 고관절 외과수술 후 다소 제한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과수술에 의해 인공 표면을 갖는 고관절의 기능적 둔부 움직임은 자연스런 고관절의 기능적 둔부 움직임과는 다소 달라지게 된다.
이식가능한 의료 장치 또는 보철물(prosthesis)의 기능적 위치는 고관절이 기능적 둔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이다.
기능적 고관절은 이식된 의료 장치 또는 보철물이 있거나 또는 이식된 의료 장치 또는 보철물이 없는 경우 기능적 둔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고관절이다.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표면은 지르코늄 이산화물 세라믹 재료와 같은 세라믹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여러 도면을 통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위" 또는 "아래"와 같은 방향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언급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임의의 치수 등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도 1은 환자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고관절은 대퇴부뼈(7)의 최상부인 대퇴골경(6; collum femur)의 가장 꼭대기에 위치된 대퇴골두(5; caput femur)를 포함한다. 대퇴골두는 골반뼈(9)의 보울(bowl) 형상을 갖는 부분인 관골구(8)에 연결된다. 대퇴골두 표면(10) 및 관골구 표면(11)은 고관절에서 쿠션으로 작용하는 관절 연골(13)로 덮여 있다. 고관절 관절염을 앓는 환자에 있어서, 이러한 관절 연골(13)은 가벼운 정도의 염증에 의해서도 비정상적으로 닳아 없어진다. 고관절은 관절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탈구를 막는 고관절낭(12)에 의해 둘러 쌓인다. 고관절낭을 관통하는 기존 고관절 수술 후에는, 인대 조직의 제한된 치유 능력때문에 고관절낭(12)은 극적으로 약화된다. 고관절낭(12)에 손상을 주지 않고 고관절 수술을 실시함으로써, 환자는 완전히 회복하여 자연 관절에 가능한 것과 동일한 양의 압력을 인공 관절 상에 가할 수 있다.
기능적 둔부 움직임은 둔부의 자연스런 움직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둔부의 움직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고관절의 자연스런 움직임은 고관절 수술 후 다소 제한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술에 의해 인공 표면을 갖는 고관절의 기능적 둔부 움직임은 자연스런 고관절의 기능적 둔부 움직임과는 다소 달라지게 된다.
이식가능한 의료 장치 또는 보철물의 기능적 위치 또는 정상적인 기능적 위치는 고관절이 기능적 둔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이다. 최종 위치는 의료 장치가 더 이상의 위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기능적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대퇴부(113)에 절개부(112)가 이루어져 외과의가 대퇴골두(5)가 위치된 대퇴부뼈(7)에 도달할 수 있게 된 기존 고관절 외과수술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고관절에서의 위치로부터 대퇴골이 제거되었을 때 기존 외과수술에서 대퇴골두(5) 상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기존 수술에서 대퇴골두 상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구조가 대퇴골두(5)를 파지(clasp)하고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연성이 있게 해 주는 슬릿(49) 및 암(50)을 포함한다. 또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삽입될 수 있어, 침습성이 덜한 외과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기존 수술에서 대퇴골두 상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구조가 대퇴골두(5)를 파지하고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연성이 있게 해 주는 보다 큰 슬릿(49)과 보다 작은 암(50)을 포함한다. 또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삽입될 수 있어, 침습성이 덜한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기존 수술에서 대퇴골두 상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복수의 링 형상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링 형상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는 서로 연결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기존의 외과수술에서 대퇴골두 상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서로 연결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부분(46)을 포함한다.
도 8은 기존의 외과수술에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대퇴부뼈(7)는 경부, 즉 대퇴골경에서 절단되고, 경부는 보철물 스템(1201)으로 대체되며, 이러한 보철물 스템(1201)은 또한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또는 골 시멘트 없이 대퇴부뼈(7)에 고정됨으로써 대퇴부뼈(7)에 의료 장치를 고정시킨다.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인공 대퇴골두(45) 상에 사전 장착된다.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슬릿(66)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연성을 가진다.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인공 대퇴골두(45)에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고정하기 위해 대퇴골두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 배치된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59)에 의해 추가로 고정된다.
도 9는 환자의 관골구에 배치되고 골반뼈(9)에 고정된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도시한다.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설 수 있게 하는 슬릿(66)을 포함하고/하거나 인공 관골구 표면(65)의 최대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통과하여 침습성이 덜한 시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구조상 연성이 있다.
도 10은 고관절에 이르기 위해 이루어진 절개부가 봉합선(110)에 의해 봉해지는 경우 환자의 대퇴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구성된 최대 단면 거리(52)를 갖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대응하는 최대 단면 거리(61)에 위치된다. 제2 거리(62)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는 거리이다. 이러한 거리(62)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초과 부분이고 대퇴골두(5)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기계적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도 12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도시하고,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구성된다. 이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형태를 이용하여 기계적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연성을 갖게 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49)을 포함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통해 삽입되도록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크기가 더 작게 변화되도록 구조가 추가로 연성으로 될 수 있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서로 간에 단면 거리(52)를 갖는 둘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을 포함하는 것도 예상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단면 거리(52)는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보다 짧아,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에 의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기계적 고정이 가능해 진다. 추가적인 고정을 위해서,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주위에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59)가 배치될 수 있다. 대퇴골두(5)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링 형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59)가 자체 잠금 부재(50)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b는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주위에 배치된 지지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대퇴골두에 고정될 때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한다. 암은 또한 대퇴골두(5)의 뼈 안으로 들어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잠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고관절을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고관절은 대퇴골두(5)에 이르는 제1 축 분포를 갖는 대퇴골경(6)를 포함하고, 대퇴골두(5)의 중심 축(L1)은 대퇴골두 중심 축(L1)이며, 대퇴골두는 A-A 단면으로 도시될 때 대퇴골두 중심 축(L1)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외측 최대 지름(1203)을 갖는 실질적으로 볼(ball)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대퇴골두(5)는 개구를 갖는 보울 형상의 관골구(8)에 통상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보울 형상의 관골구(8)는 관골구 보울(8)의 하부의 중심으로부터 보울의 중심을 따라 보울 개구의 중심을 향해 대퇴골두(5)를 향하는 관골구 중심 축(L2)을 갖는 제2 축 분포를 갖는다. 관골구 보울(8)은 단면(B-B)으로 도시될 때 관골구 중심 축(L2)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내측 최대 지름(1202)을 갖고, 대퇴골두 중심 축(L1)은 대퇴골두(5)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고관절의 관골구 보울(8)에 위치되고, 정렬되고, 중심설정되고 대칭될 때 특정 중심설정된 위치에서 관골구 중심 축(L2)와 나란하게 된다. 대퇴골두(5) 및 관골구(8)는 서로를 향하고 접촉하도록 배치된 하나의 고관절 표면을 각각 갖고, 고관절 표면은 고관절에서의 중량을 견디게 된다.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가운데에 위치한 샤프트 또는 나사는 대퇴골두(5)의 피질을 관통하여 대퇴골두(5)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고정시키는 기계적 부착물(44)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샤프트 또는 나사는 나사들, 용접, 스프린트, 밴드, 접착제 또는 어떤 다른 기계적 연결 부재로 보조되거나 이들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 표면을 도시하고, 인공 고관절 표면은 내측 표면(906), 및 외측 표면(907)을 포함한다. 내측 표면은 제1 지점(908a), 제2 지점(909a), 제3 지점(908b), 제4 지점(909b), 제5 지점(908c), 및 제6 지점(909c)를 갖고, 모든 지점은 상기 내측 표면(906)의 길이 축(L1)을 따라 상이한 위치 상에 배치되며, 제1 지점(908a)으로부터 제2 지점(909a)에 이르는 제1 직선(910a)은 제3 지점(908b)으로부터 제4 지점(909b)에 이르는 제2 직선(910b)에 평행하고, 그 다음 이러한 제2 직선(910b)은 제5 지점(908c)으로부터 제6 지점(909c)에 이르는 제3 직선(910c)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및 제3 직선(910a, 910c)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제2 직선(910b)은 상기 제1 직선(910a) 및 상기 제3 직선(910c)보다 길고 상기 제1 직선(910a)과 상기 제3 직선(910c)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인공 고관절 표면은 인공 고관절 표면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게 되고, 이는 인공 고관절 표면이 대퇴골두(5), 인공 대퇴골두 표면 또는 대퇴골두의 인공적 대체물과 같은 부재를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인공 고관절 표면은 둘 이상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곡률을 따르는 라인인 L1 및 L2을 참조하여 도시된 것과 같다.
도 15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하고,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49)을 포함하며, 이러한 슬릿(49)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구조가 연성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골반뼈(9) 내의 구멍을 통해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이 삽입되도록 최대 지름(51)이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49)의 측면 상에 위치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을 더 포함한다. 대퇴골두 표면 암(50)은 연성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전체 기능적 크기에 있을 때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최대 지름(51)보다 작은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통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실시예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형태를 이용하여 기계적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는 실시예에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골반뼈 내의 구멍(18)을 통해 삽입되도록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크기가 더 작게 변화되도록 구조가 연성을 가질 수 있고,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적 크기에 있을 때 개구보다 더 클 수 있는 대퇴골두(5)를 넘어서는 개구 어댑터를 가질 수 있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관골구(8)의 방향으로부터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는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서로 간에 단면 거리(52)를 갖는 둘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단면 거리(52)는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보다 짧아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에 의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기계적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16a, 도 16b, 도 16c, 도 16d, 및 도 16e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하고, 여기서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도 16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섹션(53a) 및 제2 섹션(53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섹션은 서로에 대해 변위(displace)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섹션(53a)은 상기 제2 섹션(53b)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 도 16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 섹션(53b)이 상기 제1 섹션(53a) 아래로 이동하여 변위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54)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변위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54)은 계란형인 구멍(18)을 통해 환자의 고관절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적어도 도 16a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 기능적 크기(45)에 있을 때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6e에 도시된 것처럼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기계적 형상 끼워맞춤(55)을 이용하여 전체 기능적 크기로 복귀할 때 이러한 2개의 섹션은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은 또한 나사, 용접, 스프린트, 밴드, 접착제 또는 어떤 다른 기계적 연결 부재로 보조되거나 이러한 것들로 대체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하고, 여기서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4개의 슬릿을 포함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구조상 연성이 있어 4개의 인공 대퇴골두 암(50)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중심 축을 향해 접힐(folded)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슬릿(49)을 갖는 구조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전체 기능적 크기보다 작은 크기 및 이보다 큰 크기 양자 모두로 변화할 수 있게 한다.
도 17b는 전체 기능적 크기에 있을 때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최대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구멍(18)을 통해 삽입되도록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이 접히는 경우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하고, 여기서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복수의 링 형상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링 형상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는 도 18b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연결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는 기계적 연결 부재(64a, b)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8c에서, 64a는 연속되는 링 형상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링 형상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가 그 자체로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64b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링 형상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가 다른 링 형상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3)에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19a, 도 19b, 도 19c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하고, 여기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복수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는 고관절 내로 삽입된 후 상호연결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56)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부(56)의 역할을 하는 상호연결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는 도 19b에 도시된 것처럼 자체 잠금 연결 부재(57)를 포함하고, 이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의 대응하는 자체 잠금 부재(58)에 들어맞는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은 실질적으로 고른 표면을 갖고, 이러한 고른 표면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10 ㎛의 높이 차이(1204)를 갖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100 ㎛의 높이 차(1204)를 갖고,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1 mm의 높이 차(1204)를 갖는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대퇴골두 상에 적어도 2개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를 제자리에 장착한 후,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부분은 잠금 부재를 이용하여 대퇴골두에 추가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 또는 부분과 조합된 잠금 부재의 실시예는 도 20a 내지 도 20n을 참조하여 이하 추가로 개시된다.
도 20a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하고, 여기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은 이동가능부(1224)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동작가능한 관절(1205)에 의해 상호연결부(56)에 연결된 복수의 이동가능부(1224)를 포함한다. 이동가능부(1224)가 그들의 기능적 위치에 배치되어 대퇴골두(5)을 파지한 후, 인공 대퇴골두 표면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 배치되는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59)와 같은 잠금 부재(59)에 의해 대퇴골두에 더 고정된다. A-A 섹션은 기능 상태에 있지 않을 때의 이동가능부(1224)를 도시한다. 이동가능부는 힌지(1205)의 형태인 이동가능 부재를 통해 상호연결부(56)에 연결되어 이동가능부가 이동하여 대퇴골두(5)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하거나 기능 상태에서 대퇴골두 표면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구멍을 통과하도록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최대 지름을 변경하고, 이러한 경우 이동가능 부재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미도시)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20b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상에 장착될 조절가능한 잠금 부재(59)를 개시한다. 잠금 부재(59)는 맞물림 부재(60)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특정 원주를 갖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2개의 단부(59a, 59b)를 갖는 루프 형태 부재이다. 잠금 부재(59)는 응력(예를 들어, 외부 힘) 하에 변형되지만 응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최대 지름(52)을 형성하는 둘 이상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을 포함한다. 대퇴골두(5)에 인공 대퇴골두를 잠금하기 위해서, 잠금 부재(59)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는 거리(D)로 연장되는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표면(45)을 넘어 당겨진다. 잠금 부재(59)는 또한 표면 암(50)에 도달하여 그 위에 놓일 때까지 당겨질 수 있다. 최종 위치에 있을 때, 잠금 부재 단부(59a, 59b)는 맞물림 부재(6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인공 대퇴골두는 제위치에 유지된다.
도 20c 내디 도 20f는 잠금 부재(59) 및 맞물림 부재(6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잠금 부재(59) 및 맞물림 부재(60)의 제1 실시예는 도 20c에서 개시된다. 맞물림 부재(60)는 각각 제1 및 제2 잠금 부재 단부(59a, 59b)에 배열된 제1 및 제2 부분(60a, 60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맞물림 부재 부분(60a, 60b)은 제1 및 제2 잠금 부재 단부로부터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축방향 연장된 돌출부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수평 배열된 그립핑 클로(gripping claw)를 형성한다. 제1 맞물림 부재 부분(60a)은 하부 표면에 절개부를 가지고, 제2 맞물림 부재 부분(60b)은 상부 표면에 절개부를 가진다. 이러한 절개부는, 재료의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자체 연결되어 대퇴골두(5)의 지름에 적합한 특정 원주를 갖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부 및 하부 후크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도 20d에 도시된 잠금 부재(59)의 제2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재(60')는 잠금 부재의 하나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59a, 59b)에 배열된다. 제1 잠금 부재 단부(59a)에서, 루프의 중심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의 형태인 하나의 제1 맞물림 부재 부분(60a')이 배열된다. 제1 맞물림 부재 부분(60a)은 하나의 대응하는 제2 맞물림 부재 부분(60b)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제2 맞물림 부재 부분(60b)은 루프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부재의 나머지 제2 단부(59b)에 배열된 돌출부이다. 돌출부는 함께 수직 배열된 그립핑 클로(60')의 형태의 맞물림 부재를 형성한다. 둘 이상의 제2 맞물림 부재 부분(60b)을 이용하고 잠금 부재의 제2 단부(59b)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이들을 배열함으로써 잠금 부재의 원주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0d의 제2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6개의 그립핑 클로(60b')가 잠금 부재(59)의 제2 단부(59b) 상에 배열된다. 잠금 부재(59) 지름은 이런 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잠금 부재(59)의 제3 실시예가 도 20e에서 개시된다. 잠금 부재(59)의 하나의 제1 단부(59a)에서 돌출부 형태인 제1 맞물림 부재 부분(60a")이 잠금 부재(59)의 나머지 제2 단부(59b)에서 리세스 또는 구멍의 형태인 대응하는 제2 맞물림 부재 부분(60b") 내로 들어맞도록 구성된다. 잠금 부재(59)의 원주가 조절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구멍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 부재(59)의 제4 실시예가 도 20f에서 개시된다. 여기서 잠금 부재(59)의 제1 및 제2 단부(59a, 59b)는 2개의 피봇가능한 제1 잠금부(60a1''', 60a2''') 및 하나의 제2 잠금부(60b''')를 포함하는 맞물림 부재(60''')를 이용함으로써 연결된다. 제1 잠금부(60a1''')는 잠금 부재(59)의 제1 단부(59a) 및 제2 잠금부(60a2''')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잠금부(60a2''')는 제1 잠금부(60a1''')의 외측 단부들 사이에 배열된 맞물림 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잠금부(60a1''')의 실질적으로 가운데에 배열된 지점에서, 제1 잠금부(60a1''')에 부착된다. 제2 잠금부(60a2''')는 또한 잠금 부재(59)의 제2 단부(59b)에 배열된 돌출부(60b''')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2 잠금부(60a2''')가 돌출부(60b''')와 맞물릴 때, 잠금 부재(59a, 59b)의 제1 및 제2 단부는 함께 잠금되어 제1 원주를 갖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잠금 부재 단부(59a, 59b)는 함께 모이도록 당겨져서 인공 대퇴골두를 견고하게 둘러싸고 이를 대퇴골두(5)에 잠금하는 제2 원주를 갖는 폐쇄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잠금 부재 단부(59a, 59b)는 락팅 부재의 제1 단부(59a)에서 맞물림 지점 주위로 제1 잠금부를 피봇시킴으로써 함께 모이도록 당겨진다. 제1 및 제2 잠금 부재 단부(59a, 59b)는 함께 잠금될 때 서로 중첩되거나 단부 대 단부로 배열될 수 있어, 제2 원주를 가진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도 20g는 잠금 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잠금 부재는 대퇴골두 표면(45)을 완전히 둘러싸지는 않고, 따라서 잠금 부재가 없는 지점(2101)을 남겨둔다. 도 20g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59)는 잠금 부재를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클램핑한다. 잠금 부재를 갖는 구조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이 보다 탄성 있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인공 대퇴골두 표면이 대퇴골두의 보다 큰 부분을 넘어설 수 있게 한다. 도 20g에 도시된 실시예의 한가지 장점은, 잠금 부재(59)가 외과의에 의해 제자리에 장착되기 위해 대퇴골두를 완전히 둘러싸는 잠금 부재만큼 탄성적일 필요는 없다는 점이다.
도 20h는 도 20g를 참조하여 이전에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 부재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20h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59)는 잠금 부재(59)의 중심에 위치된 힌지(2105)를 포함하며, 여기에 잠금 부재의 두 부분(2106a, 2106b)이 연결된다. 힌지에 연결된 잠금 장치가 암형부(2109)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수형부(2108)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잠금 위치를 형성한다.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부재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파지하고 따라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대퇴골두에 더 고정시킨다. 힌지가 있는 도 20h의 실시예는, 도 20g를 참고하여 기술된 실시예와 같이, 단일 조각의 재료로 전체 잠금 부재가 제조되는 실시예의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덜 탄성적인 재료로 잠금 부재가 제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상으로 잠금 부재(59)를 제자리에 장착하는데 필요한 힘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0i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부재(59)를 도시하고, 여기서 잠금 부재(59)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슬릿(49)의 두 측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유닛(2102a, 2102b)을 포함한다. 제1 유닛(2102a)은 제2 유닛(2102b)의 암형부(2104) 내로 삽입가능한 수형부(2103)를 포함하고, 암형부(2104) 내에서 수형부(2103)가 잠금되어 대퇴골두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고정시키기 위해 보다 폐쇄된 상태로 슬릿(49)을 배치한다.
도 20j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잠금 부재(59)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실시예의 최상부 중앙에 배치되고, 인공 대퇴골두 표면은 2개의 반부(halve)로 나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도 20i를 참고하여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유닛(2102a, 210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제2 유닛에 하우징된 암형부의 내측에 잠금되도록 구성된 수형부(2103)를 포함한다.
도 20k는 잠금 부재(59)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잠금 부재(59)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제1 지점으로부터 대퇴골두 및/또는 대퇴골경의 뼈를 통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제2 지점까지 나아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압착력(squeezing force)을 가하여 대퇴골두를 파지함으로써 및/또는 뼈 내부에 있는 잠금 부재(59)가 실제적으로 기계적 잠금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잠금 부재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를 대퇴골두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20k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59)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한 지점으로부터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다른 지점까지 대퇴골두/대퇴골경의 뼈를 통해 나아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잠금 부재가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한 지점으로부터 대퇴골두/대퇴골경의 뼈로 진행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잠금 부재가 정형외과용 나사와 같은 기계적 고정 부재일 수 있다.
도 20l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트를 도시하고, 이러한 키트는 세 가지 다른 크기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45a, b, c)을 포함하며, 이는 환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고, 특정 환자에 맞추기 위해 잠금 부재(59)는 상이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a, b, c) 주위로 단단히 조여질 수 있는 몇몇 상태를 갖게 된다.
도 20m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트를 도시하고, 이러한 키트는 하나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및 3개의 상이한 크기의 잠금 부재(59a, b, c)를 포함하며, 3개의 상이한 크기의 잠금 부재(59a, b, c)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환자의 특정 대퇴골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도 20n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트를 도시하고, 이러한 키트는 환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는 3개의 상이한 크기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45a, b, c) 및 3개의 상이한 크기의 잠금 부재(59a, b, c)를 포함하며, 3개의 상이한 크기의 잠금 부재(59a, b, c)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환자의 특정 대퇴골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키트 솔루션은 대퇴골두가 노출될 때 정형외과 전문의가 적합한 의료 장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신체의 외부로부터 형성된 단순한 이미지만으로는 대퇴골두의 정확한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도 21은 개념도로서, 여기서는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지름 또는 단면 거리(d1)를 갖는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통해 이동한 후,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확장되어 지름 또는 단면 거리(d2)가 대퇴골두(5)를 넘어서도록 충분히 길게 된다. 마지막으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 상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지름(d3) 또는 단면 거리는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보다 작고, 이는 대퇴골두(5)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기계적으로 부착시킨다. d3는 의료 장치의 정상 상태 단면 거리, 즉 의료 장치가 기능적 위치에 있을 때 의료 장치가 가지는 단면 거리이다. 본 도면은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대퇴골두 상에 장착된 인공 관골구 표면 또는 동일한 잠금 원리를 갖는 이의 인공 대체물을 도시할 수 있다.
도 22a는 개념도로서, 여기서는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통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지름 또는 단면 거리(d1)를 갖는다.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통해 이동한 후, 인공 관골구 표면은 도 22b에 도시된 것처럼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통해 나아가지 못하도록 지름 또는 단면 거리(d2)가 충분히 크게 확장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의료 장치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고정 부재(608), 및 안정화 부재(612)를 포함하고, 안정화 부재(612)는 대퇴골경(6) 상의 절단부 표면(610)과 접촉하도록 위치됨으로써, 대퇴골경(6)의 외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관골구 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의료 장치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안정화 부재(612) 및 고정 부재(608)는 접착제(614) 또는 골 시멘트에 의해 대퇴골경(6)에 고정될 수 있다. 안정화 부재(612)는 생체적합성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탄탈)과 같은 인공 재료, 또는 생체적합성 중합체 또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다. 의료 장치는 상호연결되어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1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1 부분(45')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2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2 부분(45")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슬라이딩 도브테일 결합(sliding dovetail joint)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의 도브테일 섹션(1206)에 들어맞는 도브테일 홈(1207)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외과 시술 전에 또는 외과 시술 중에 상호연결되어 의료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과 시술 중에 이러한 부분들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이러한 부분들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A-A 단면은 슬라이딩 도브테일(1206, 1207)에 의해 상호연결될 때의 고정 부분 및 인공 대퇴골두(45)를 나타낸다.
도 24는 인공 대퇴골두(45) 및 보철물 스템(1201)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의료 장치는 각각 보철물 스템의 부분(1201', 1201") 및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45")을 포함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는 복수의 슬라이딩 도브테일 결합(1206, 1207)에 의해 상호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의 도브테일 홈은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의 도브테일 섹션(1206)에 들어맞는다. A-A 단면은 도브테일 섹션(1206)을 갖는 제1 부분(1201')의 보철물 스템 및 도브테일 홈(1207)을 갖는 제2 부분의 보철물 스템을 도시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의료 장치는 인공 대퇴골두(45), 고정 부재(608), 및 안정화 부재(612)를 포함하고, 안정화 부재(612)는 대퇴골경(6) 상의 섹션 표면(610)과 접촉하도록 위치됨으로써, 대퇴골경(6)의 외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관골구 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의료 장치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는 상호연결되어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1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1 부분(45')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2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2 부분(45")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들어맞는 핀(1208) 및 홈(1209)을 갖는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의 핀(1208)에 들어맞는 홈(1209)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외과 시술 전에 또는 외과 시술 중에 상호연결되어 의료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과 시술 중에 이러한 부분들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이러한 부분들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핀(1208) 및 홈(1209)은 기다란 부재(1212)에 의해 고정되고, 이는 와이어와 같이 연성이 있거나, 또는 핀과 같이 강성이 있을 수 있다. 기다란 부재(1212)는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의 구멍(1211) 및 핀(1208)의 구멍(121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홈(1211) 내에 핀을 고정시킨다. A-A 단면은 기다란 부재(1212)가 핀(1208) 내의 구멍(1210) 및 의료 장치 내의 구멍(1211)에 위치된 의료 장치의 고정 부분(608' 608")을 도시한다. 기다란 부재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평탄한 상부 표면을 갖는 단부(1213)를 포함한다.
도 26은 인공 대퇴골두(45) 및 보철물 스템(1201)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의료 장치는 각각 보철물 스템의 부분(1201', 1201") 및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45")을 포함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들어맞는 핀(1208) 및 홈(1209)을 갖는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의 핀(1208)에 들어맞는 홈(1209)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외과 시술 전에 또는 외과 시술 중에 상호연결되어 의료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과 시술 중에 이러한 부분들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이러한 부분들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핀(1208) 및 홈(1209)은 기다란 부재(1212)에 의해 고정되고, 이는 와이어와 같이 연성이 있거나, 또는 핀과 같이 강성이 있을 수 있다. 기다란 부재(1212)는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의 구멍(1211) 및 핀(1208)의 구멍(121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홈(1211) 내에 핀을 고정시킨다. A-A 단면은 기다란 부재(1212)가 핀(1208) 내의 구멍(1210) 및 의료 장치 내의 구멍(1211)에 위치된 의료 장치의 보철물 스템부(1201', 1201")를 도시한다. 기다란 부재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평탄한 상부 표면을 갖는 단부(1213)를 포함한다.
도 27a는 인공 대퇴골두(45) 및 보철물 스템(1201)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의료 장치는 각각 보철물 스템의 부분(1201', 1201") 및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45")을 포함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들어맞는 핀(1214) 및 홈(1215)을 갖는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구멍(1215)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멍(1215)은 제1 방향으로 핀(1214)을 수용한 후 제2 방향으로 구멍 내에 핀을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외과 시술 전에 또는 외과 시술 중에 상호연결되어 의료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과 시술 중에 이러한 부분들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이러한 부분들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7c의 A-A 단면은 핀(1214)이 우선 한 방향으로 도입되고 그 후 측면으로 가압되어 구멍 내에 핀(1214)을 잠금한 후의 구멍(1215) 내의 핀(1214)을 도시한다.
도 28a는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의료 장치는 인공 대퇴골두(45), 고정 부재(608), 및 안정화 부재(612)를 포함하고, 안정화 부재(612)는 대퇴골경(6) 상의 섹션 표면(610)과 접촉하도록 위치됨으로써, 대퇴골경(6)의 외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관골구 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의료 장치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는 도 28b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연결되어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1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1 부분(45')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2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2 부분(45")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들어맞는 핀(1216) 및 구멍(1217)을 갖는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구멍(1217)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멍(1217)은 제1 방향으로 핀(1216)을 수용한 후 제2 방향으로 구멍(1217) 내에 핀을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외과 시술 전에 또는 외과 시술 중에 상호연결되어 의료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과 시술 중에 이러한 부분들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이러한 부분들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8c의 A-A 단면은 핀(1216)이 우선 한 방향으로 도입되고 그 후 측면으로 가압되어 구멍(1217) 내에 핀(1216)을 잠금한 후의 구멍(1217) 내의 핀(1216)을 도시한다.
도 29a는 인공 대퇴골두(45) 및 보철물 스템(1201)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도시한다. 의료 장치는 각각 보철물 스템의 부분(1201', 1201") 및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45")을 포함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들어맞는 핀(1218) 및 홈(1219)을 갖는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구멍(1219)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멍(1219)은 제1 방향으로 핀(1218)을 수용한 후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제2 방향으로 구멍 내에 핀을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도 29b에 도시된 것처럼 외과 시술 전에 또는 외과 시술 중에 상호연결되어 의료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과 시술 중에 이러한 부분들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이러한 부분들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9c의 A-A 단면은 핀(1218)이 우선 한 방향으로 도입되고 그 후 회전되어 구멍(1219) 내에 핀(1218)을 잠금한 후의 구멍(1219) 내의 핀(1218)을 도시한다.
도 3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의료 장치는 인공 대퇴골두(45), 고정 부재(608), 및 안정화 부재(612)를 포함하고, 안정화 부재(612)는 대퇴골경(6) 상의 섹션 표면(610)과 접촉하도록 위치됨으로써, 대퇴골경(6)의 외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관골구 측으로부터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의료 장치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의료 장치는 도 30b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연결되어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1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1 부분(45')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2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2 부분(608") 및 대퇴골두 표면의 제2 부분(45")을 포함한다. 의료 장치의 제1 부분은 구멍(1221)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멍(1221)은 제1 방향으로 핀(1220)을 수용한 후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제2 방향으로 구멍(1221) 내에 핀(1220)을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도 30b에 도시된 것처럼 외과 시술 전에 또는 외과 시술 중에 상호연결되어 의료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과 시술 중에 이러한 부분들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호연결된 의료 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내로 이러한 부분들이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0c의 A-A 단면은 핀(1220)이 우선 한 방향으로 도입되고 그 후 회전되어 구멍(1221) 내에 핀(1220)을 잠금한 후의 구멍(1221) 내의 핀(1220)을 도시한다.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의 부분들은, 530㎟ 이하 또는 380㎟ 이하 또는 250㎟ 이하 또는 180㎟ 이하 또는 110㎟ 이하의 단면적을 가지는 구멍을 통해 의료 장치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최대 지름, 최대 반지름 또는 최대 단면 거리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1a는 제1 연성 층(1222)이 대퇴골두(5) 상에 가해지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연성 층(1222)은 제2 강성 층의 고정을 위한 층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인공 관골구 표면(45)으로서 작용한다. 제1 연성 층(1222)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대퇴골두(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1b는 제1 연성 층(1222)이 그 위에 가해질 때의 대퇴골두(5)를 갖는 고관절을 도시한다. 제1 연성 층(1222)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2a는 복수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를 포함하는 강성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러한 복수의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는 고관절 내로 삽입된 후 상호연결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5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기저부(56)의 역할을 하는 상호연결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56)는 도 32b에 도시된 것처럼 자체 잠금 연결 부재(57)를 포함하고, 이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의 대응하는 자체 잠금 부재(58)에 들어맞는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는 서로 연결될 때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한다. 자체 잠금 부재(57, 58)는 나사, 용접, 스프린트, 밴드, 접착제 또는 어떤 다른 기계적 연결 부재로 보조되거나 이러한 것들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은 제1 연성 인공 층(1222)이 위에 위치되는 대퇴골두(5)에 표면부가 가해지는 것을 도시한다. 제1 연성 층(1222)은 제2 강성 층의 보다 나은 고정을 달성하기 위해 대퇴골두(5)의 표면을 고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으로서 기능하거나, 고관절 상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고관절이 기능적 위치에 있을 때 탄성 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34는 강성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완성되어 제1 연성 층(1222) 꼭대기 상에 고정될 때의 대퇴골두(5)를 도시한다. 강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관골구(8)와의 연결에 의해 생성되는 마모에 저항하기 위해 단단한 재료, 또는 이의 인공 대체물로 제조된다. 제2 강성 층(45)은 접착제, 형상 끼워맞춤 또는 기계적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연성 층(122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강성 층(4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지름을 넘어서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5에 따르면,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 표면부(48)가 외과수술적 방법에 따른 절개를 통해 삽입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고관절 표면부(48)는 삽입 후에 서로 연결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이다.
도 36에 따르면,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 표면부(48)가 복강경/관절경 투관침(33a, b, c)을 통해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에 따른 작은 절개를 통하여 삽입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고관절 표면부(48)는 삽입 후에 서로 연결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이다.
관골구의 반대편 측으로부터 환자의 골반뼈을 통해 고관절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고관절 관절염을 치료하는 외과적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이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이 이제 추가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37은 환자의 신체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관골구(8)의 반대편 측으로부터 고관절을 수술하는 외과적 방법은 환자의 복벽의 절개(1)로 시작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절개(1)는 복벽을 통과하여, 환자의 복막을 포함하여 복부 내로 통과한다. 제2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절개(2)는 복벽 내로 그리고 골반 영역 내로, 복막 복강낭 아래로 실시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3)는 골반뼈의 뼈와 주위 조직 사이에 실시되고, 이러한 절개(3)는 근막 및 근육 조직을 거의 관통하지 않고 골반뼈(9)가 절개될 수 있게 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4)는 서혜부 영역에 이루어진다. 4개의 실시예 모두에서, 관골구(8) 반대편 영역의 골반뼈(9)를 둘러싸는 조직은 제거되거나 관통되거나 분할되거나 이전되어 외과의가 골반뼈(9)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기술된 방법들은 조합되거나 변경되어 관골구(8)의 반대편 측 상에서 골반뼈(9)를 해부(dissect)하기 위한 동일한 목적에 이를 수 있음이 명백하다.
도 38은 환자의 신체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고관절을 수술하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은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관골구(8)의 반대측으로부터 환자의 복벽에 작은 절개(14)를 실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작은 절개는 외과의가 환자의 복부 내로 복강경/관절경 투관침을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14)는 환자의 복벽 및 복막을 통하여 복부 내로 통과한다. 제2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 절개(15)는 복직근을 통해 또는 복직근의 측면 상에 그리고 골반 영역 내로 복막 아래에서 실시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 절개(16)는 골반뼈의 뼈와 주위의 조직 사이에 실시되고, 이러한 절개(16)는 근막 및 근육 조직을 거의 관통하지 않고 골반뼈가 해부될 수 있게 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17)는 서혜부 영역에 이루어진다. 4개의 실시예 모두에서, 관골구(8) 반대편 영역의 골반뼈(9)를 둘러싸는 조직은 제거되거나 관통되거나 분할되거나 이전되어 외과의가 골반뼈(9)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39a는 환자의 신체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관골구(8)의 반대측으로부터 고관절을 수술하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을 도시한다. 고관절은 관골구(8) 및 대퇴골두(5)를 포함한다. 환자의 복벽의 작은 절개(14)는 환자의 신체 내로 복강경/관절경 투관침(33a, b, c)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 후 하나 이상의 카메라(34), 골반뼈(35)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기구, 또는 보철물 또는 보철부를 해부, 도입, 배치, 연결, 부착, 형성 또는 다듬기 위한 기구(36)가 복강경/관절경 투관침(33a, b, c)을 통해 신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9b는 환자의 신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고관절은 더 상세하게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고관절은 대퇴부뼈(7)의 최상부인 대퇴골경(6)의 가장 꼭대기에 위치된 대퇴골두(5)를 포함한다. 대퇴골두(5)는 골반뼈(9)의 보울 형상부인 관골구(8)와 연결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카메라(34), 골반뼈(35)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기구, 또는 보철물 또는 보철부를 해부, 도입, 배치, 연결, 부착, 형성 또는 다듬기 위한 기구(36)와 함께, 복강경/관절경 투관침(33a, b, c)이 고관절(39)에 도달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골반뼈(9)을 해부한 후 골반뼈(9)에 구멍(18)이 형성된다. 구멍(18)은 관골구(8)의 반대측으로부터 골반뼈(9)를 통하여 고관절(19) 내로 통과한다.
도 4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반뼈(9) 내의 구멍(18)을 도시하고, 이러한 구멍(18)은 보철물이 전체 기능적 크기에서 구멍(18)을 통과할 수 있게 할 정도로 크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외과적 또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에서 형성된 구멍(20)은 도 4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훨씬 작아, 구멍을 형성하는 외과용 기구가 더 작아질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신체에 실시되는 절개 및 해부도 더 작아지게 된다.
도 41은 제1 실시예에 따라 골반뼈(9a)에 구멍(18, 20)을 형성하기 위한 외과 기구를 도시한다. 이러한 외과 기구는 구동 부재(21a, b)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21a, b)는 샤프트, 로드(rod), 벨트, 체인, 또는 힘 또는 토크를 전달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부재일 수 있다. 외과용 기구는 또한 골반뼈(9)에 구멍(18, 2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골 접촉 기관(bone contacting organ; 22)을 포함한다. 골 접촉 기관(22)은 날카로운 물체를 이용하여 톱질, 드릴링 또는 밀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골 접촉 기관(22)은 물, 연마 유체, 레이저 또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구멍을 형성한다. 외과용 기구는 또한 구동 부재(21a, b)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장치(23a)를 포함한다. 작동 장치는 전기적, 기계적, 공압식 또는 자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 발진, 진동 또는 반복 운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장치는 초음파, 방사선, 레이저 또는 물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2는 평행 변위부 또는 평행 변위 부분(26)을 더 포함하는 외과용 기구를 도시한다. 평행 변위부 또는 평행 변위 부분(26)은 의료 장치의 도달범위를 개선하여 관골구(8)의 반대측으로부터 골반뼈(9)에 구멍(18)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도 4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평행 변위부 또는 평행 변위 부분(26)은 제1 및 제2 부분(27a, b)으로 분할되는 것에 의해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고, 여기서 제2 부분(27b)은 제1 부분(27a) 안팎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43은 작동 장치(23b)가 골 접촉 기관(22)과 직접 연결되도록 위치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러한 경우 작동 장치(23b)는 또한 구동 부재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핸들부(24)는 외과용 기구에 부착될 수 있어, 외과용 기구를 외과의가 핸들링하기 쉽게 한다. 외과용 기구의 도달범위를 개선하기 위해서, 핸들부(24)는 외과용 기구의 구멍 형성 방향(25)에 수직하게 부착될 수 있고, 핸들부(24)는 평행 변위부 또는 평행 변위 부분, 고정된 각도, 조절가능한 각도 또는 연성 부분에 의해 휠 수 있음이 예상된다.
도 4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기구를 도시하고, 여기서 외과용 기구는 2개의 각 조절 부재(29a, b)를 갖는 구동 부재(28a, b, c)를 포함한다. 각 조절 부재(29a, b)는 상기 구동 부재(28a, b, c)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조절가능하거나, 관골구(8)의 반대측으로부터 골반뼈(9)에 구멍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골 접촉 기관(22)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 부재(28c)의 부분은 매우 짧을 수 있어 골반뼈(9)에 구멍(18)을 형성할 때 외과용 기구가 골반뼈(9)에 매우 가까이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4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기구를 도시하고, 여기서 구동 부재(30)는 연성이 있어 구동 부재(30)가 환자의 골반뼈(9)에 구멍(18)을 형성하도록 매우 정확히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 부재(30)의 강성은 특정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완전한 연성에서 완전한 강성에 이르는 범위일 수 있다.
도 4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접촉 기관을 도시하고, 여기서 골 접촉 기관(22a)은 골 플러그(31)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골 플러그(31)는 고관절에 실시된 외과 또는 복강경/관절경 단계가 완료된 후 구멍(18)로 대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접촉 기관을 도시하고, 여기서 골 접촉 기관(22b)은 골반뼈(9)에 구멍(18)을 형성할 때 작은 조각의 뼈(3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작은 조각의 뼈는 진공 동력 또는 유압식 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역으로부터 신체 밖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8a는 대퇴부뼈(7)의 최상부인 대퇴골경(6)의 가장 꼭대기에 위치된 대퇴골두(5)를 갖는 고관절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대퇴골두는 골반뼈(9)의 보울 형상부인 관골구(8)와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관골구(8)의 반대측으로부터 골반뼈(9)에 형성된 구멍(18)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보다 더 크고, 이는 전체 기능적 크기에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이러한 삽입은 외과적 방법의 단계뿐만 아니라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의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 삽입 이후에,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에 부착되고, 이러한 부착은 피질을 관통하는 샤프트 또는 나사를 포함하는 기계적 부착(44)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계적 부착(44)은 대퇴골두(5)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간에 위치되거나 샤프트 또는 나사(44)와 연결되어 있는 골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보조되거나 이들로 대체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부착하는 대안적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다른 부분 내로 도입되도록 구성된 부분들로서 다른 부분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 부분의 적어도 일부,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 핀, 와이어, 상기 부분들의 일부인 보울 내로 장착된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내로 장착된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들의 일부인 잠금부(lock) 내로 도입된 열쇠부, 밴드, 또는 다른 기계적 연결 부재.
도 48b는 대퇴골두(5)에 부착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갖는 고관절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기술된 외과적인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은 관골구(8) 또는 대퇴골두(5)를 확공(ream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관골구(8) 또는 대퇴골두의 확공은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확장가능한 확공기(reamer)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확장가능한 확공기는 확공 표면(41a, 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공 블레이드(40)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가능한 확공기는 관골구(8), 대퇴골두(5), 또는 양자 모두를 확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가능한 확공기가 관골구(8)를 확공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공 표면(41a)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공 블레이드(40)의 외부 상에 위치되는 반면, 상기 확장가능한 확공기가 대퇴골두(5)를 확공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공 표면(41a)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공 블레이드(40)의 내부 상에 위치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가능한 확공기는 관골구 및 대퇴골두 양자 모두를 확공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경우 확공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공 블레이드(40)의 외부 및 내부 상에 확공 표면(41a, b)을 갖는다.
도 50은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확공기를 도시하고, 도 49에 도시된 것처럼 확장가능한 확공기가 확장된 상태에서 생성하는 반구의 중심을 향해 확공 블레이드(40)가 접힐 수 있다. 이렇게 확공 블레이드(40)가 접히게 되면 상기 확장가능한 확공기를 이용하여 확공가능한 영역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확장가능한 확공기가 고관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도 51은 확공 블레이드(40)를 갖는 확장가능한 확공기의 내부를 도시한다. 확장가능한 확공기가 대퇴골두를 확공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공 블레이드(40)의 내측은 확공 표면(41b)을 포함한다.
도 52는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골구(8) 및/또는 상기 대퇴골두(5)를 확공할 때의 확장가능한 확공기를 도시한다. 확공기는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회전, 진동 또는 발진 작동 장치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반뼈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외과용 기구의 골 접촉 기관(22)은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확장가능한 확공기로 대체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확장가능한 확공기는 상기 외과용 기구에 이용되는 작동 장치(23a, b)를 이용하여 동력 공급될 수 있다.
고관절 표면의 준비 이후에 새로운 표면을 삽입 또는 형성하는 방법 단계가 수행된다.
도 53a는 의료 장치(1240)의 삽입을 위한 도구를 이용하여 확장가능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어떻게 삽입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53b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의 암(50)이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연성 있게 함으로써 확장가능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이 어떻게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과하여 대퇴골두(5)를 넘어서 나아가는지를 도시한다.
도 53c는 상기 대퇴골두(5) 상에 배치된 후의 확장가능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 암(50)은 대퇴골두(5)를 파지한다.
도 54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고관절을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여기서 골반뼈(9) 내의 구멍(18)은 전체 기능적 크기에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관골구(8)의 반대측으로부터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고관절 내로 도입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는 고관절 내로 삽입된 후 서로 연결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형성하게 된다.
도 54b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가 형상 끼워맞춤(47)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때의 고관절을 부분적으로 도시하지만, 이러한 형상 끼워맞춤은 접착제 또는 골 시멘트로 보조되거나 이들로 대체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가 고관절에 도입되고 연결된 후,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는 대퇴골두(5)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이러한 기계적 고정은 다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다른 부분 내로 도입되도록 구성된 부분들로서 다른 부분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 부분의 적어도 일부,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 핀, 와이어, 상기 부분들의 일부인 보울 내로 장착된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내로 장착된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들의 일부인 잠금부(lock) 내로 도입된 열쇠부, 밴드, 또는 다른 기계적 연결 부재.
도 54c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형상 끼워맞춤(47)을 제공하는 부분들을 갖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46)를 도시한다.
도 54d는 고관절을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여기서 골반뼈(9)의 제2 구멍(18b)은, 외과의가 바람직하게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에 이용되는 카메라(34)를 고관절 내로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도 55a 는 복수의 위치설정 샤프트(900a, b, c)가 대퇴골두(5)에 위치된 대퇴부뼈(7)을 도시한다. 위치설정 샤프트(900a, b, c)는,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를 대퇴골두(5) 상으로 가이드, 위치설정 및 중심설정하거나,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를 관골구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위치설정 및 중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는 대퇴골두(5)에 위치된 위치설정 샤프트(900a, b, c)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위치설정 구멍(910a, b)을 갖는다.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는 기계적 연결 부재(914a, b)를 이용하여 고관절 내로 삽입된 후에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기계적 연결 부재는 제1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b)에 위치되어 대응하는 제2 부분(914b)에 들어맞도록 구성된 제1 부분(914a)을 포함하고, 이러한 대응하는 제2 부분(914b)은 제2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위치설정 샤프트(900a, b)는 복수의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조한다. 그러나 기계적 연결 부재(914a, b)는 접착제에 의해 보조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도 55b는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의 위치설정을 위로부터 도시하고,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의 위치설정 구멍(910a, b)이 위치설정 샤프트(900a, b, c)를 둘러싸며, 이에 의해 위치설정 샤프트(900a, b, c)는 고관절에 인공 고관절 표면부(913a, b)를 가이드, 위치설정 및 중심설정하게 된다.
도 56은 환자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골반뼈(9)의 복부측으로부터 골반뼈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기구(35)는 복벽의 절개부를 통해 삽입된다. 외과용 기구는 고정가능부 또는 섹션(300)을 포함할 수 있어, 외과용 기구가 골반뼈에 이르거나 골반뼈의 복부측으로부터 고관절에 이르도록 매우 정확히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연성부 또는 섹션(300)의 강도는 특정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완전한 연성에서 완전한 강성에 이르는 범위일 수 있다. 외과용 기구(35)는 작동 장치를 통해 동력 공급될 수 있고, 이러한 작동 장치는 전기적, 기계적, 공압식 또는 자기 엔진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 발진, 진동 또는 반복 운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외과용 기구(35)는, 대퇴부 영역에서, 인체의 외부에 위치된 작동 장치로부터 동력 공급된다. 그 다음 작동 장치에서 생성된 힘은 대퇴골경 및 대퇴골에 위치된 힘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된다. 이는 외과의가 고관절 영역 및 대퇴부의 절개부를 통과하는 환경에 힘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 57은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내는 것으로, 골반뼈(9)에 구멍(18)을 만들기 위한 수술 기구(35)가 뼈 플러그(31)를 만들도록 되어 있다. 이 뼈 플러그(31)는 고관절에서 행해지는 수술 또는 복강경 검사 단계가 종료된 후에 상기 구멍(18) 안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도 58은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내는 것으로, 대퇴골두(5)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 기구(604)가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제공된다. 상기 수술 기구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통과하여 대퇴골두(5)에 구멍을 만들게 된다. 이 수술 기구는 대퇴골경에서 대퇴골두를 분리하기 위한 톱부재(605a,b)를 더 포함한다. 제1 상태(605a)에서, 톱부재(605a)는 수술 기구(604) 의 내부에 물러나 있다. 수술 기구가 원하는 위치에서 대퇴골경의 내부에 위치되면, 톱부재는 제2 상태(605b)로 접혀져, 이 톱부재가 대퇴골경(6)에서 대퇴골두(5)를 분리하여 대퇴골경에 절단부를 만들게 된다.
도 59는 상기 수술 기구(604)와 톱부재(605b)가 대퇴골경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을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대퇴골두(5)가 제거된 후에, 대퇴골경(6)의 안정화부가 유지된다. 대퇴골경(6)의 안정화부는 대퇴골경(6)의 근위 절반부, 대퇴골경의 근위 2/3 부분, 대퇴골경의 근위 3/4 부분, 대퇴골경의 근위 90% 부분 또는 전체 대퇴골경로 정해질 수 있다. 대퇴골경의 근위부는 대퇴골경에서 있어서 인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다.
도 60 내지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 및 이 의료 장치를 배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0은 수술 기구가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절단부(610)의 표면을 만든 후에 대퇴골두(5)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다. 분리된 대퇴골두(5)는 그런 다음에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제거된다.
도 61은 대퇴골두(5)에서 뼈 조각(609)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뼈 조각(609)을 제거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밖에서 수행된다. 도 13은 대퇴골두(5)의 상부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그러나 뼈 조각은 마찬가지로 대퇴골두의 다른 측에서도 제거될 수 있다.
도 6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600)를 나타낸다. 이 의료 장치는 고정 부재(608) 및 인공 대퇴골두 표면(607)을 포함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607)은 관골구 표면(11)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과 접촉하게 된다. 고정 부재(60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퇴골경(6)의 안정화부의 피질골(601)로 안정화된다. 안정화는 내부에서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관골구 측에서는 상기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수행될 수 있다. 안정화는 관골구측에서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외부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내부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외부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또는 관골구측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또한 외부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료 장치(6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대퇴골경(6)의 안정화부의 피질골(601)에 의해 직접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거나, 대퇴골경(6)의 안정화부의 피질골(601)에 의해 간접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미도시), 의료 장치(600)가 대퇴골경(6)의 피질골(601)에 의해 간접적으로 안정화되는 경우, 피질골(601)과 의료 장치(600)의 고정 부재(608) 사이에 어떤 재료를 배치할 수 있다. 이 재료는 골 시멘트,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인 재료, 아교, 접착제, 항생물질, 생체적합성 플라스틱 재료, 생체적합성 세라믹 및/또는 티타늄이나 탄탈륨과 같은 생체적합성 금속이 될 수 있다.
대퇴골두(5)에서 얻어진 뼈조각(606)에 있는 구멍(609)은 바람직하게는 대퇴골두의 제거 과정 중에 수술 기구(604)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멍이지만, 대퇴골두(5)에서 제거된 뼈조각(606)에 있는 구멍(609)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608)를 끼우기 위해서 구멍(609)를 변경시키나 또는 적합하게 만들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63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607), 고정 부재(608) 및 안정화 부재(606)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600)가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삽입될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부재는 고정 부재(608)의 외부에 배치되는 뼈조각(606)이다. 안정화 부재(606)는 접착제나 나사, 코드, 밴드 또는 팝 리벳과 같은 기계적 연결 수단을 사용해서 고정 부재(608)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 부재가 대퇴골경(6)의 절단부(610)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됨으로써, 의료 장치는 내측에서 대퇴골경(6)의 피질골(601)에 의해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또한 관골구측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안정화된다. 안정화 부재와 고정 부재는 접착제나 골 시멘트로 대퇴골경(6)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600)가 대퇴골경(6)에 배치되어 그의 내측에서 대퇴골경(6)의 피질골과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연결로 안정화될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5는 구멍을 만들기 위해 근위부가 상기 의료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절단부를 따라 제거된 후의 대퇴골두(5)를 나타낸다. 대퇴골두(5)의 근위부를 제거하면, 대퇴골두(5)의 피질골에서 절단부(102)의 표면이 형성된다. 대퇴골두(5)에서 오목한 표면(103)을 만들기 위한 확공기(reamer: 40)가 연결부(101)를 통해 힘전달 부재(21)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힘 전달 부재(21)는 골반뼈(9)에 구멍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힘 전달 부재와 동일한 것이지만, 그 힘 전달 부재(21)는 대퇴골두(5)의 확공이 가능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도 있다. 대퇴골두와 대퇴골경(6)의 일부분에 대한 확공은 주로 해면질 골에서 수행되는데, 하지만 일부 확공은 대퇴골두(5) 및/또는 대퇴골경(6)의 피질골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66는 확공기(40)로 만들어진 오목한 표면에 접착제(106)를 가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이 접착제(106)는 주입 노즐(105)을 포함하는 주입 부재(104)로 가해진다. 접착제(106)는 바람직하게는 골 시멘트와 같은 생체적합성 접착제이다. 이 실시예에서 주입 부재(104)는 구부려져서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도입된다.
도 67은 오목한 인공 고관절 표면(110)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109)를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오목한 인공 고관절 표면(110)은 대퇴골두(5)와 대퇴골경(6)에 형성된 오목한 표면(103)에 고정된다. 의료 장치(109)는 상기 오목한 인공 고관절 표면(110)을 대퇴골두(5) 및 대퇴골경(6)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 지지부(111)를 포함한다. 의료 장치(109)는 삽입 부재(107)를 사용해서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고관절에 도입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 부재는 구부려져서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작동하게 된다. 삽입 부재(107)는 의료 장치(109)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10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장치(109)는 PTFE 와 같은 자체 윤활성 재료를 포함하는데, 하지만 이 의료 장치는 티타늄, 스테인레스 강, 코리안(Corian), PE 또는 다른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하며, 이 경우 의료 장치는 고관절에 삽입된 후에 운활될 수 있다.
도 68은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나타낸다. 이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은 골반뼈(9)에 고정되며,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의료 장치는 너트(120)를 포함하며, 이 너트는 의료 장치를 골반뼈(9)에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포함한다. 의료 장치는 이 의료 장치가 환자에 이식된 후에 골반뼈(9)에 형성된 구멍(18)을 점유하게 되는 보철부(prosthesis part)(118)를 더 포함한다. 이 보철부(118)는 골반뼈(9)와 접촉하게 되는 지지 부재(119)를 포함하는데, 이 지지 부재는 정상적인 사용시 환자의 체중으로부터 의료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것을 돕게 되어 있다. 정상적인 사용은 사람이 자연적인 고관절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의료 장치는 표면(117)을 포함하는 잠금 요소(116)를 포함하는데, 이 표면은 상기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 요소(116)는 고정 부재(115)를 더 포함하며, 이 고정 부재는 잠금 부재(116)를 대퇴골두(5)나 대퇴골경(6)에 고정하는 것을 도와 주며, 잠금 부재는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을 고정시키게 된다.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은 나사(114)를 포함하는 부착 로드(113)에 고정되며, 그 나사는 상기 보철부(118)와의 연결시 너트(120)의 나사에 대응하게 된다. 도 68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 부착 로드(113) 및 나사(114)를 포함하는 부분은 두 부분으로 형성되는데, 제1 부분(1241')은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의 제1 부분, 부착 로드(113)의 제1 부분 및 나사(114)의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부분(1241")은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112')의 제2 부분, 부착 로드(113)의 제2 부분 및 나사(114')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2 부분은 예컨대 도 23 내지 도 3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상호연결 기능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피연결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69는 볼록한 인공 고관절 표면이 오목한 고관절 표면(110)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109)에 고정되어 있을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볼록한 고관절 표면(112)은 나사(121)를 사용하여 대퇴골두에 고정되는 잠금 요소(116)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잠금 요소(117)의 표면과 오목한 고관절 표면(117)은 볼록한 고관절 표면과 연결되어 배치되며 PTFE 또는 자체 윤활성 분말 재료와 같은 마찰 감소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의료 장치가 환자에 이식된 후에 의료 장치를 윤활하도록 되어 있는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을 사용하여 연결 표면을 운활할 수도 있다.
도 70은 골반뼈(9)에 형성된 구멍(18)을 점유하는 보철부(118)를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보철부(118)는 골반뼈(9)와 접촉하게 되는 지지 부재(119)를 포함하는데, 이 지지 부재는 환자의 체중으로부터 의료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것을 돕게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19)는 골반뼈(9)의 복부측에 위치되는데, 하지만 이 지지 부재(119)는 골반뼈(9)의 관골구 측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부재는 보철부(118)가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변위가능하다. 또한, 도 12에는 너트(120)가 부착 로드(113)에 고정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은 의료 장치보다 크게 되어 있어 그 의료 장치는 그의 전체 기능적인 크기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18)은 더 작게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의료 장치는 도 6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관절에 삽입된 후에 연결되는 여러개의 부분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의료 장치는 이의 전체 기능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확장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가능한 의료 장치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의 요소들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도 71은 의료 장치의 모든 요소들이 고관절의 영역 또는 그의 주변에 고정되어 있을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점유하게 되는 보철부(113)는 여기서는 나사(121)로 고정되는데, 하지만 이 나사(121)는 보철부와 골반뼈(9) 사이의 표면(S)에 발라질 수 있는 접착제의 도움을 받거나 이 접착제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의료 장치(600)는 골반뼈의 복부측으로부터 진행하는 수술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그 의료 정치는 대퇴골에 있는 구멍이나 고관절낭에 있는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도 있고 또한 그렇게 되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의료 장치(600)가 고관절낭을 통해 삽입되는 실시예의 개념도는 보통 종래의 고관절 수술로 설명한 것이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 다음에, 수술적 및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은 인공 관골구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72는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 상에 미리 설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는 고정 부재(608) 및 안정화 부재(612)를 더 포함하며, 이 안정화 부재(612)는 대퇴골경(6)의 절단부의 표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대퇴골경(6)의 외부에서 그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관철구 측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의료 장치(600)를 안정화시키게 된다. 도 72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다수의 슬릿(66)을 갖는 가요성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들 슬릿으로 인해,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최대 직경을 넘어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잡을 수 있게 된다. 인공 관골구 표면은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1223)에 의해 고정된다.
도 73은 미리 설치된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제공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최대 직경을 넘어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둘러싸는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122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의료장치를 나타낸다.
도 74는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에 미리 설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는 의료 장치를 대퇴골에 고정하기 위한 보철 스템을 더 포함한다. 도 74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다수의 슬릿(66)을 갖는 연성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들 슬릿으로 인해,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최대 직경을 넘어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인공 관골구 표면은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1223)에 의해 고정된다.
도 75는 미리 설치된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제공되어,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최대 직경을 넘어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둘러싸는 밴드, 코드 또는 와이어(122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의료 장치를 나타낸다.
도 76은 대퇴골경(6)에 있는 절단부(610)의 표면이 준비되는 단계에서의 대퇴골을 나타낸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에서 미리 설치되는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고정 부재(608) 및 안정화 부재(612)를 사용하여 대퇴골경(6)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대퇴골경(6)의 절단부(610)의 표면에 바른다.
도 77은 의료 장치를 대퇴골경(6)에 도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후의 대퇴골을 나티낸다. 안정화 부재(612)는 대퇴골경(6)의 외측면 및 이 대퇴골경(6)의 절단부(610)의 표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대퇴골경(6)의 외부에서 그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관철구 측에서는 대퇴골경(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의료 장치(600)를 안정화시키게 된다. 안정화 부재(612)는 접착제(614)에 의해 대퇴골경(6)의 외측면 및/또는 대퇴골경(6)에 있는 절단부(610)의 표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 접착제(614)는 골 시멘트나 기계적 고정 요소로 대체되거나 이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제공된다
도 78은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삽입되는 중에 전체 기능 크기의 인공 관골구 표면을 나타낸다.
도 7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나타내는데, 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66)을 포함하며, 이 슬릿으로 인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의 전체 기능 크기보다 작은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삽입되도록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슬릿들은 하나 이상의 인공 관골구 표면 아암(67)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 아암은 재료에 의해 또는 상기 인공 관골구 표면 아암(67)에 영향을 주는 조인트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도 80a, 도 80b 및 도 80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나타내는데, 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다수의 인공 관골구 표면부(68)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인공 관골구 표면부(68)는 고관절 안으로 삽입된 후에 상호연결용 인공 관골구 표면부(69)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호연결용 인공 대퇴골두 표면부(69)는 도 8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 잠금성 연결 부재(70a)를 포함하는데, 이 부재는 인공 관골구 표면부(68)의 대응하는 자기 잠금성 부재(70b)와 끼워맞춤된다. 인공 관골구 표면부(68)는 도 8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면 인공 관골구 표면(65)를 형성하게 된다. 자기 잠금성 부재(70a, 70b)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다른 부분 안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부분들(다른 부분 안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간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핀, 와이어, 상기 부분의 일부인 보울(bowl) 안에 설치되는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안에 설치되는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의 일부인 잠금부 안에 들어가는 열쇠부, 밴드 또는 기타 기계적 연결 부재로 대체되거나 이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81a, 도 81b 및 도 81c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나타내는데, 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다수의 링 형상 인공 관골구 표면부(71)를 포함한다. 이 다수의 링 형상 인공 관골구 표면부(71)는 고관절 안에 삽입된 후에 서로 연결되어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형성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 관골구 표면부(71)는 기계적인 연결 부재(72a,b)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81c는 기계적인 연결 부재(72a)를 사용하여 개별적인 링 형상 인공 관골구 표면부(71)가 어떻게 자신에 연결되어 연속적인 링 모양을 이루는 지를 보여준다. 또한, 도 81c는 기계적인 연결 부재(72b)를 사용하여 개별적인 링 형상 인공 관골구 표면부(71)가 어떻게 다른 링 형상 인공 관골구 표면부(71)에 연결되어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이루는 지를 보여준다.
도 82a, 도 82b, 도 82c 및 도 82d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나타내는데, 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도 8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부분(73a) 및 제2 부분(73b)을 포함한다. 제1 및 2 부분은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73a)은 제2 부분(73b)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 제2 부분(73b)은 제1 부분(73a) 밑에서 이동하여, 도 3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위된 인공 관골구 표면(74)을 형성하게 되며, 타원형인, 또는 적어도 전체 기능 크기(65) 시의 인공 관골구 표면(65)의 단면적보다 작은 영역을 갖는 구멍을 통해 상기 변위된 인공 관골구 표면은 환자의 고관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8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기계적인 형상 끼워맞춤부(75)를 사용하여, 인공 관골구 표면이 그의 전체 기능 크기로 복귀될 때 상기 두 부분(73a, 73b)은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다른 부분 안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부분들(다른 부분 안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간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핀, 와이어, 상기 부분의 일부인 보울(bowl) 안에 설치되는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안에 설치되는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의 일부인 잠금부 안에 들어가는 열쇠부, 밴드 또는 기타 기계적 연결 부재로 대체되거나 이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83a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나타내는데, 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4개의 슬릿(66)을 포함한다.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연성 구조로 되어 있어, 4개의 인공 관골구 아암(67)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의 중심 축선 쪽으로 접힐 수 있고, 그러면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그의 전체 기능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 고관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3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어느 실시예의 인공 관골구 표면(65)이라도 대퇴골두(5)의 최대 직경을 넘어가 그 대퇴골두(5)를 잡아서 이 대퇴골두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보철부 또는 고관절 표면을 형성 또는 제공하는데 필요한 부품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수술 기구를 나타낸다. 이 수술 기구는 파지부(76) 및 핸들링부(77)를 포함한다. 도 84a, 도 84b 및 도 84c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술 기구는 파지부(76)가 핸들링부(77)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해주는 회전 요소(78)를 더 포함하는데, 하지만 그 수술 기구에는 이 회전 요소(78)가 없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도 84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보철부 또는 고관절 표면을 형성 또는 제공하는데 필요한 부품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수술 기구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술 기구는 평행 변위부(79)를 더 포함하는데, 이 평행 변위부로 인해, 수술 기구의 도달 범위가 증가되며 또한 관골구의 반대쪽에서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고관절에 도달하는 것이 쉽게 된다.
도 84c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철물, 보출부 또는 고관절 표면을 형성 또는 제공하는데 필요한 부품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수술 기구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술 기구는 2개의 각도 조절 부재(84a,b)를 더 포함한다. 이 각도 조절 부재는 핸들링부(77)에 대한 상기 파지부(77)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으며, 또는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고관절에서 작업하는데 적합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5는 인공 대퇴골두 표면(45)과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골반뼈의 구멍을 통해 제공된 후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6은 골반뼈(9) 안에 배치되어 있는 보울형의 인공 관골구 컵(65)을 나타낸다. 보울형의 인공 관철구 컵(65)은 해제 부재(801)를 포함하는데, 이 해제 부재는 제1 상태에서 대퇴골두(5)(대퇴골경(6)에 부착되어 있는 볼형 부분임)를 골반뼈(9)에 배치되는 보울형의 인공 관골구 컵(65)에 대한 고관절에서 위치 유지시키게 된다. 제2 상태에서 상기 해제 부재(801)는 골반뼈(9)에 배치되어 있는 보울형의 인공 관골구 컵(65)으로부터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을 풀어주게 된다. 해제 부재(801)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해제 부재(801)에 가해지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스트레인은 예컨대 환자가 떨어짐으로 해서 생기는 고관절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다. 도 9 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부재(801)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탄성부는 전체 해제 부재(801)이다.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해제 부재(801)에 가해지면 그 해제 부재는 비침습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또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7은 해제 부재(801)가 제2 상태에 있을 때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해제 부재(801)는 골반뼈(9)에 배치되어 있는 보울형의 인공 관골구 컵(65)으로부터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을 풀어주게 된다. 해제 부재(801)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그 해제 부재(801)에 가해졌으므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된 상태이다.
도 88은 보울형의 인공 관골구 표면(65)이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되는 홀딩 부재(802a, 802b)를 포함하는 해제 부재(801)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나타낸다. 홀딩 부재는 제1 상태에서,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대퇴골경(6)에 부착되는 볼형 부분임)을 골반뼈(9)에 배치되는 보울형의 인공 관골구 컵(65)에 대한 고관절에서 위치 유지시키게 된다. 제2 상태에서 상기 해제 부재(801)는 골반뼈(9)에 있는 보울형의 인공 관골구 컵(65)으로부터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을 풀어주게 된다. 홀딩 부재(802a, 802b)는 보정 부재(보정 나사(804a, 804b))와 홀딩 부재(802a, 802b)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803a, 803b)을 통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스프링(803a, 803b)으로부터 홀딩 부재(802a, 802b)에 가해지는 힘은, 정상적인 고관절의 기능 운동시에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을 인공 관골구(65)에 유지시키게 되며, 하지만 예컨대 환자가 떨어짐으로 해서 생기는 고관절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해제 부재에 가해지면 인공 관골구(65)로부터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인공 대체물을 풀어주게 된다. 상기 보정 나사(804a, 804b)를 통해, 스트레인이 홀딩 부재(802a, 802b)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게 할 것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9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예컨대 환자의 떨어짐으로 인한 고관절이 비정상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초과되었을 때 제2 상태에 있는 해제 부재를 나타낸다. 홀딩 부재(802a, 802b)는 인공 관골구 표면(65)의 슬리브(806) 안으로 물러나 있어 스프링(803a, 803b)을 압축한다. 홀딩 부재(802a, 802b)가 물러나 있으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에서의 그의 위치에서 벗어나고/탈구되는데, 이는 큰 스트레인이 고관절과 대퇴골(7)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홀딩 부재(802a, 802b)에 가해지면, 환자의 대퇴골(7) 또는 골반뼈(9)가 파열되는 위험이 줄어든다.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홀딩 부재(802a, 802b)에 가해지면, 홀딩 부재(802a, 802b)는 비침습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된다.
도 90은 인공 관골구(65)의 단면을 따라 균등하게 분산되어 있는 홀딩 부재(802)를 갖는 인공 관골구(65)를 나타내는데, 이들 홀딩 부재는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인공 관골구(65)내에 위치 유지시킨다
도 91은 도 88 내지 도 90에 나타나 있는 원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홀딩 부재(802a, 802b)는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과 접촉하는 볼형 부재(805a,b)를 포함하며, 이들 볼형 부재는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에서 구르게 되고, 홀딩 부재(802a, 802b)가 보정 나사(804a, 804b)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803a, 803b)과의 접촉을 통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그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인공 관골구(65)내에 위치 유지시킨다.
도 92는 예컨대 환자가 떨어짐으로 인해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초과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고관절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했을 때 제2 상태에 있는 해제 부재를 나타낸다. 볼형 부재(805a,b)를 포함하는 홀딩 부재(802a, 802b)는 인공 관골구 표면(65)의 슬리브(806) 안으로 물러나 있어 스프링(803a, 803b)을 압축한다. 홀딩 부재(802a, 802b)가 물러나 있으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에서의 그의 위치에서 벗어나고/탈구되는데, 이는 큰 스트레인이 고관절과 대퇴골(7)에 가해질 때, 환자의 대퇴골(7) 또는 골반뼈(9)가 파열되는 위험이 줄어든다.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홀딩 부재(802a, 802b)에 가해지면, 홀딩 부재(802a, 802b)는 비침습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시술 없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인공 관골구(65)에 재배치될 수 있다.
도 93은 해제 부재(801)가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에서 기능 상실되는 파단 장치(807, 808, 809)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의료 장치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단 장치는 파단 핀(807, 808, 809)으로 되어 있는데, 이 파단 핀은 인공 관골구(65)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부(809a, 809b) 및 약화된 부분(808a, 808b)을 통해 베이스부(809a, 809b)에 부착되는 파단부(807a, 807b)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과 접촉하는 파단 장치에 가해지면, 상기 파단부(807a, 807b)는 베이스부(809a, 809b)에서 분리되게 된다.
도 94는 파단 장치에 대한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초과되어 그 파단 장치가 기능 상실된 경우의 도 93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파단부(807a, 807b)는 파단 장치의 기능 상실 후에도 안전 와이어가 파단부(807a, 807b)를 베이스부(809a, 809b)의 근처에 유지시킴으로써 파단부(807a, 807b)가 베이스부에 연결된다.
도 95a는 인공 관골구(65)가 원형 슬리브(806)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나타내는데, 이 슬리브 안에는 탄성 밴드 또는 파단 밴드(810)가 제공된다. 탄성 밴드 또는 판단 밴드(810)는 볼형의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된다.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탄성 또는 파단 밴드(810)에 가해지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둘러싸는 원형 개구가 확장되고,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인공 관골구(65)에서 풀리게 되며, 대퇴골두 또는 인공 대체물은 탄성 밴드(610)에 의해 인공 관골구에 유지된다. 의료 장치가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인공 관골구(65)에 유지하는 파단 밴드(81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밴드(810)의 약화된 부분(811)이 기능 상실되고 그래서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둘러싸는 원형 개구가 확장되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인공 관골구(63)에서 풀리게 된다. 밴드(810)가 탄성 밴드(810)인 실시예에서는, 그 밴드(810)는 탄성부를 포함하거나, 전체 밴드(810)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95는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유지하는 탄성 밴드 또는 파단 밴드(810)가 인공 관골구(65)에 있는 원형 슬리브(806) 안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의료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개구 또는 약화된 부분(811)은 밴드(810)의 둘레에 수직하게 제공된다.
도 96a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탄성 또는 파단 밴드(810)에 가해진 후에 대퇴골두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관골구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제2 상태의 의료 장치를 나타낸다. 도 9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틈 또는 약화된 부분은 확장되어 있으며, 그래서 골두 태퇴골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은 탄성 또는 파단 밴드(810)로 규정되는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장치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밴드(810)에 가해지면, 비침습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시술 없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인공 관골구(65)에 재배치될 수 있다.
도 97은 해제 부재(801)가 인공 관골구(65)의 탄성 윙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를 나타내는데, 이 탄성 윙은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에서 있어서 최대 단면 거리를 갖는 지점을 넘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인공 관골구(65) 안에 내포시켜 의료 장치를 에워싸는 탄성 또는 파단 밴드(810)의 도움을 받는다. 탄성 또는 파단 밴드(810)는 인공 관골구(65)의 둘레를 따라 있는 홈 안에 배치됨으로써 인공 관골구(65)에 대한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홈은 접착제 또는 기계적인 고정 요소로 대체되거나 그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98은 제2 상태에 있는 의료 장치를 나타내는데, 이 상태에서 해제 부재(801)는 인공 관골구(65)로부터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풀어주게 된다. 밴드(810)가 탄성 밴드(810)인 실시예에서는, 이 탄성 밴드가 확장되어, 대퇴골두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커지게 된다. 밴드(810)가 파단 밴드인 실시예에서는, 그 밴드(810)가 기능 상실되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은 해제 부재(801)에 의해서만 위치 유지되며 이 해제 부재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을 받으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을 풀어주게 된다. 의료 장치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밴드(810) 및/또는 해제 부재(801)에 가해지면, 비침습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시술 없이 대퇴골두(5) 또는 그의 인공 대체물이 인공 관골구(65)에 재배치될 수 있다.
도 9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부(818)를 나타내는데, 이 보철부(818)는 대퇴골(7)에 고정되며, 캐비티(816)를 포함하는 대퇴골두(812), 인공 관골구(65)의 고정부(815), 및 도 9 와 도 10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 따른 해제 부재(801)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로 인해, 고관절은 인공 대퇴골두(812)의 고정부(814)에 고정된 탄성 밴드(817)를 사용해서 인공 관골구에 유지되는 제1 상태에서 기능적인 고관절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해제 부재(801)와 탄성 밴드(817)의 조합은 제1 상태에서 보철부(818)를 인공 관골구(65)에 유지시키며 제2 상태에서는 인공 관골구(65)로부터 보철부(818)를 풀어주게 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보철부는 물론 나머지 고관절낭 및 피영향 근육의 지지를 받으면서 탄성 밴드(817)만 사용해서 인공 관골구(65)에 유지된다.
도 100은 제2 상태에 있는 도 99에 따른 의료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제2 상태에서는, 보철부(818)가 인공 관골구(65)로부터 풀어지도록 탄성 밴드(817)가 늘어난다. 이 탄성 밴드(817)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핀, 와이어, 보울(bowl) 안에 설치되는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안에 설치되는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의 일부인 잠금부 안에 들어가는 열쇠부, 밴드 또는 기타 기계적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인공 대퇴골두(812)의 고정부(814) 및/또는 인공 관골구(65)의 고정부(815)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환자가 떨어짐으로 해서 고관절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 의해 파단 밴드(813)가 기능 상실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밴드(817)는 전체 탄성 밴드(818)일 수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이 탄성부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부틸렌) 또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공중합 재료와 같은 탄성 폴리머 재료와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재료는 폴리우레탄 탄성중합 재료, 폴리아미드 탄성중합 재료 및 엔틸렌과 적어도 일종의 비닐 모노머(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불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및 이러한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의 폴리에스테르 탄성 중합재료 탄성 코폴리머일 수 있다. 탄성 밴드(813)는 배리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코팅은 인체 세포가 뚫고 들어갈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배리어 코팅은 파릴렌 코팅이나 금, 은 또는 티타늄과 같은 생체 적합성 금속 코팅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밴드는 스프링형 부재, 금속과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물, 금속과 탄소계 재료의 조합물 또는 탄소와 플라스틱계 재료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도 101은 의료 장치가 대퇴골(7)에 고정되는 보철부(819)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보철부는 인공 대퇴골두를 포함하는데, 이 인공 대퇴골두는 탄성 밴드(820)를 포함하며, 이 밴드는 골반뼈에 고정되는 인공 관골구(65)의 내부에 상기 인공 대퇴골두를 유지하는 해제 부재로서 작용한다. 인공 대퇴골두의 탄성 요소(820)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 탄성 재료는 예컨대 탄성중합 폴리머 재료 또는 탄성 금속 재료일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인공 관골구(65)와 연결되는 외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외층은 인공 관골구 표면(세라믹 재료일 수 있음)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 대해 저항성이 있다.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고관절과 탄성 요소(820)에 가해지면, 그 탄성 요소는 압축된다. 탄성 요소(820)가 압축되면, 인공 대퇴골두가 인공 관골구(65)로부터 풀려나게 된다.
도 102는 도 101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가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 제2 상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의료 장치에 가해지면 탄성 요소(820)가 압축된다. 그리하여, 의료 장치는 제2 상태에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인공 대퇴골두는 유지되고 있었던 인공 관골구로부터 풀려나게 된다.
도 103은 의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탄성 요소(820)는 두 탄성 요소(820)와 연결된 스프링(821)의 도움을 더 받게 되며, 미리 정해진 스트레인이 인공 골두 관골구를 포함하는 보철부(819)에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821)은 탄성 부재(820)를 따라 압축된다.
도 104는 골반뼈(9)에 고정되는 확장가능한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나타낸다. 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대퇴골두(5)의 최대 직경을 넘어가 그 대퇴골두(5)를 잡게 된다.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은 대퇴골두(5)상에 제공되며, 인공 대퇴골두는 대퇴골두(5)의 최대 직경을 넘어 그 대퇴골두(5)를 잡게 된다. 표면이 대퇴골두(5)의 최대 직경을 넘는 구성으로, 고관절 표면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고 탈구의 위험이 감소된다.
인공 고관절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에 대한 다른 방안을 지금 설명하도록 한다. 이 방안은 인공 고관절 표면을 고관절의 내부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는 몰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는 대퇴골두 및/또는 관골구 또는 임의의 인공 고관절 표면과 같은 인체 부분을 사용한다.
도 105는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몰드(81)를 환자의 고관절의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몰드(81)를 배치하는 단계는 수술적인 방법,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6a, 도 106b, 도 106c 및 도 106d는 몰드(81)를 환자의 고관절에 배치하는 대안적인 방안을 나타낸다. 이러한 대안적인 방안은 대퇴골경(6)의 길이 축선을 따라 대퇴골(7)에 구멍(82)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구멍은 대퇴부의 측면에서부터 시작하여, 대퇴골(7)의 피질을 통과하여, 내측으로부터 대퇴골두(5)의 피질에 도달하고 고관절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대퇴골(7)에 구멍(82)을 만든 후, 그를 위해 적합하게 된 수술 기구(83)(도 106b에 나타나 있음)를 사용하여 몰드(81)를 구멍(82)을 통해 고관절 안으로 삽입한다.
도 106c는 그를 위해 적합하게 된 수술 기구(83)를 사용하여 몰드(82)가 고관절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6d는 고관절 안으로 삽입된 후의 몰드(82)를 나타내는데, 몰드(82)를 고관절에 배치하는데 사용된 수술 기구는 삽입 완료 후에 물러나 있다.
또한, 몰드를 사용하지 않고 고관절의 내부에 고관절 표면을 만들어 고관절 표면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7은 그를 위해 적합하게 된 기구(85)를 사용해서 제1 실링 부재(84)가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삽입되는 경에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실링링 부재(84)를 배치하는 단계는 외과수술법 또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8은 제2 실링 부재(86)가 수술적 방법 또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실링 부재(84)와 제2 실링 부재(86)는 관골구(8)와 대퇴골두(5) 또는 이를 위한 하나 또는 2개의 인공 대체물 사이에 밀봉된 공간(87)을 형성하게 되며, 이는 인공 관골구(65) 및/또는 대퇴골두 표면(45)을 제공하기 위한 몰드로서 사용된다.
도 109a, 도 109b 및 도 109c는 제1 실링 부재(84)를 환자의 고관절에 배치하는 대안적인 방안을 나타낸다. 이 대안적인 방안은 도 4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퇴골경(6)의 길이 축선을 따라 대퇴골(7)에 구멍(82)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구멍은 대퇴부의 측면에서부터 시작하여, 대퇴골(7)의 피질을 통과하여, 내측으로부터 대퇴골두(5)의 피질에 도달하고 고관절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대퇴골(7)에 구멍(82)을 만든 후, 도 10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를 위해 적합하게 된 수술 기구(83)를 사용하여 제1 실링 부재(84)를 구멍(82)을 통해 고관절 안으로 삽입한다.
도 110a, 도 110b 및 도 110c는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 또는 대퇴골(9)에 있는 구멍(82)을 통해 몰드(81) 및/또는 제1 및 2 실링 부재(84, 86)를 환자의 고관절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수술 기구를 나타낸다.
도 110b는 몰드(81) 및/또는 제1 및 2 실링 부재(84, 86)를 수용하는 튜브형 요소를 포함하는 수술 기구(83, 85, 88)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몰드(81) 및/또는 제1 및 2 실링 부재(84, 86)를 환자의 고관절 안으로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피스톤(89)이 또한 나타나 있다.
도 110c는 몰드(81) 및/또는 제1 및 2 실링 부재(84, 86)를 환자의 고관절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수술 기구(83, 85, 88)를 나타내며, 제2 실시예는 수술 기구의 도달을 개선해주는 연성의 또는 굽은 부분(91)을 더 포함한다.
몰드(81) 또는 실링된 공간(87)을 제공하는 단계 후에,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 또는 대퇴골(7)에 있는 구멍(82)을 통해 유체가 상기 몰드(81) 또는 밀봉된 공간(87) 안으로 주입된다.
도 111은 주입 부재(92)가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유체(93)를 고관절 내의 밀봉된 영역(87) 안으로 주입하는 경우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밀봉된 영역(87)은 제1 실링 부재(84) 및 제2 실링 부재(86)로 실링된다. 주입 부재(92)는 상기 유체(93)를 밀봉된 영역(87) 안으로 밀어 넣는 피스톤(94)을 포함한다.
도 112는 주입 부재(92)가 대퇴골(7)의 구멍(82)을 통해 고관절 내의 몰드(81) 안으로 유체(93)를 주입하는 경우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주입 부재(92)는 상기 유체(93)를 몰드(81) 안으로 밀어 넣는 피스톤(94)을 포함한다.
도 113은 주입 부재(92)가 대퇴골(7)의 구멍(82)을 통해 고관절 내의 밀봉된 영역(87) 안으로 유체(93)를 주입하는 경우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밀봉된 영역(87)은 적어도 제1 실링 부재(84)로 실링된다. 주입 부재(92)는 상기 유체(93)를 상기 밀봉된 영역(87) 안으로 밀어 넣는 피스톤(94)을 포함한다.
도 114는 대퇴골두(5) 및 골반뼈(9)와 함께 제1 실링 부재(84) 및 제2 실링 부재(86)로 실링되는 밀봉된 영역(87)을 나타낸다. 경화되는 유체(93)가 상기 밀봉된 영역 안으로 주입되어 있고, 그 유체의 경화 후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관절 표면이 제공된다.
도 115는 주입 부재(92)가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고관절 내의 몰드(81) 안으로 유체(92)를 주입하는 경우에 인체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주입 부재(92)가 유체(93)를 몰드(81) 또는 밀봉된 영역(87) 안으로 주입한 후에 그 영역에서 물러나게 된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81)와 제1 실링 부재(84) 및 제2 실링 부재(86)는 인체에 다시 흡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이 목적을 수행한 후에 용해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고관절 표면이 골반뼈(9)의 구멍(18)을 통해 제공된 후에, 상기 구멍(18)은 폐쇄될 필요가 있다.
몰드, 또는 몰딩 또는 주입, 인간 조직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주입 또는 상기 방법에 관련된 기구에 관한 전술한 모든 실시예는 어떤 부분을 고관절낭을 통해 삽입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실링 부재 및 제2 실링 부재 모두가 그런 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16은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폐쇄하기 위해 골 플러그(31)가 그 구멍(18)에 배치되는 경우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관골구 표면(65)은 대퇴골두(5)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의 체중으로부터 관골구(8)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 부재(94)를 포함한다. 이 지지 부재는 변위가능한 지지 부재(97)일 수 있다. 상기 골 플러그(31)는 골 시멘트, 접착제,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다른 부분 안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부분들(다른 부분 안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간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핀, 와이어, 상기 부분의 일부인 보울(bowl) 안에 설치되는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안에 설치되는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의 일부인 잠금부 안에 들어가는 열쇠부, 밴드 또는 기타 기계적 연결 부재에 의해 인공 관골구 표면(11) 및/또는 골반뼈(9)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17은 골 시멘트, 접착제,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다른 부분 안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부분들(다른 부분 안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간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핀, 와이어, 상기 부분의 일부인 보울(bowl) 안에 설치되는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안에 설치되는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의 일부인 잠금부 안에 들어가는 열쇠부, 밴드 또는 기타 기계적 연결 부재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골반뼈(9)의 구멍(18)에 배치되는 골 플러그(31)가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골 플러그(31)와 골반뼈(9)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96)의 지지를 더 받는 경우에 환자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8은 대퇴골두(5)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의 체중으로부터 관골구(8)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게 되는 여러 개의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골 플러그(31) 또는 보철부(98)를 나타낸다. 변위 가능한 부분(97)들은 골반뼈(9)의 구멍(18) 또는 그의 가장자리에 있는 대응 부분 안으로 변위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골반뼈의 구멍(18)의 폐쇄는 보철부(98)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19a는 보철부(98)가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골반뼈(9)의 구멍(18)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철부(98)는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의 부분(100)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는 지지 부재(99)를 포함한다. 보철부(98)가 골반뼈(9)의 상기 구멍(18) 안으로 삽입된 후에는, 지지 부재(99)가 골반뼈(9)와 접촉하게 되고 또한 대퇴골두(5)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의 체중으로부터 관골구(8)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상기 보철부(98)는 또한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관골구 표면(65)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19b는 대퇴골두(5)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의 체중으로부터 관골구(8)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도록 회전될 때의 보철부(98)를 나타낸다.
이 지지 부재는 다른 많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봐야 한다.
도 119c는 보철부(98)가 골반뼈(9)의 구멍(18)을 폐쇄하고 대퇴골두(5)와의 접촉을 통해 환자의 체중으로부터 관골구(8)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부재(99)로 지탱하는 경우에 환자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보철부(98)는 골 시멘트, 접착제, 적어도 하나의 나사, 적어도 하나의 핀, 다른 부분 안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부분들(다른 부분 안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간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 형상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핀, 와이어, 상기 부분의 일부인 보울(bowl) 안에 설치되는 볼, 다른 부분의 암형부 안에 설치되는 한 부분의 수형부, 상기 부분의 일부인 잠금부 안에 들어가는 열쇠부, 밴드 또는 기타 기계적 연결 부재에 의해 골반뼈(9)에 더 고정될 수 있다.
도 120은 골 플러그(31) 또는 보철부(98)가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배치되는 나사(101)에 의해 골반뼈(9)에 부착되는 경우에 환자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나사(101)는 도달 거리 또는 지지의 필요성에 따라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른 많은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21은 골반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골반뼈는 골반뼈의 복부측(AB)에 배치되는 내부 피질(201) 및 골반뼈의 관골구측(AC)에 배치되는 외부 피질(201b)를 포함한다. 내외부 피질(201a,b)은 피질골을 포함하는데, 이 피질골은 더 밀한 경화성 골이다. 골반뼈는 해면질 골(202)을 더 포함하는데, 이 해면질 골은 상기 내부 피질(201a)과 외부 피질(201b) 사이에서 골수 안에 위치된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의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203)로서 내부 피질(201a)의 외측과 접촉할 수 있고, 또는 지지 부재(204)로서 내부 피질(20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리하여 지지 부재는 복부 방향(AB) 및 관골구 방향(AC)으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205)로서 해면질 골 안에서 내부 피질(201a)과 외부 피질(201b) 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부재는 내부 피질(201a)의 내측에서 그 내부 피질과 접촉할 수 있고 외부 피질(201b)의 내측에서는 그 외부 피질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리하여 지지 부재는 복부 방향(AB) 및 관골구 방향(AC)으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207)로서 외부 피질(201b)의 외측과 접촉할 수 있고 또는 지지 부재(206)로서 외부 피질(201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지지 부재는 복부 방향(AB) 및 관골구 방향(AC)으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도 122a는 골 플러그(31) 또는 보철부(98)가 이 골 플러그(31) 또는 보철부(9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플레이트(102)에 의해 골반뼈(9)에 부착되는 경우에 환자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102)는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배치되는 나사(103)에 의해 골반뼈(9)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 나사(103)는 골 시멘트, 접착제, 형상 끼워맞춤, 용접, 스프린트, 밴드 또는 일부 기타 기계적인 연결 부재로 대체되거나 그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도 122b는 2개의 골 플러그(31) 또는 보철부(98)가 이 골 플러그(31) 또는 보철부(9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플레이트(102)에 의해 골반뼈(9)에 부착되는 경우에 환자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102)는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배치되는 나사(103)에 의해 골반뼈(9)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 나사(103)는 골 시멘트, 접착제, 형상 끼워맞춤, 용접, 스프린트, 밴드 또는 일부 기타 기계적인 연결 부재로 대체되거나 그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도 122b는 또한 제공된 인공 관골구 표면(65)을 나타낸다.
도 122c는 골반뼈에 있는 2개의 구멍(18)이 실링 부재(104)를 통해 상기 구멍(18) 안으로 주입되는 유체로 덮여 있는 경우에 환자의 고관절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체(93)는 경화된다. 또한, 상기 구멍(1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풀레이트(102)가 제공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02)는 관골구(8)의 반대쪽에서 배치되는 나사(103)에 의해 골반뼈(9)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나사(103)는 골 시멘트, 접착제, 형상 끼워맞춤, 용접, 스프린트, 밴드 또는 일부 기타 기계적인 연결 부재로 대체되거나 그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도 122c는 또한 제공된 인공 관골구 표면(65) 및 제공된 인공 대퇴골두 표면(45)을 나타낸다.
도 123a는 골반뼈(9)의 구멍(18)을 폐쇄할 때 지지부로서 사용되는 경화될 유체(93), 바람직하게는 골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부재(105)를 나타낸다. 이 주입 부재(105)는 상기 유체(93)를 이것이 필요한 영역 안으로 밀어 넣기 위한 피스톤(94)을 포함한다.
도 123b는 외과수술법 또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으로 환자의 피부(106)를 통해 삽입되는 주입 부재(105)를 나타내는데, 이 주입 부재는 골반뼈(9)에 있는 구멍(18)을 통해 고관절과 연결되어 배치된다. 주입 부재(105)는 경화되는 유체(93)를 주입한다.
도 124는 몰드(81), 밀봉된 영역(87) 또는 골반뼈(9)와 보철부 사이, 골반뼈(9)와 골 플러그(31) 사이 또는 대퇴골두(5)와 보철부 사이의 연결 영역 안으로 유체(93)를 주입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부재(105)를 나타낸다. 이 주입 부재(105)는 주입용 유체를 담는 용기(107)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107)는 2개의 다른 유체를 담는 2개의 격실(108a, 108b)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는 혼합시 경화된다. 용기(107)가 두 종류의 유체를 담도록 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주입 부재(105)는 혼합 부재(109)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두 유체는 주입 전에 혼합된다. 제2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용기는 유체를 무균 상태로 유지한다. 제 3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용기는 상기 유체를 저온으로 유지하고, 제 4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용기는 상기 유체를 어두운 환경에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하다.
환자의 골반뼈에 있는 구멍을 폐쇄하는 단계가 종료된 후에는 모든 기구가 물러나게 되며, 수술적 방법 또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의 최종 단계가 수행된다. 이 최종 단계는 영향받은 조직을 봉합하거나 스테이플로 고정시키고 최종적으로 환자 피부를 봉합하거나 스테이플로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125a는 수술적 방법에서 환자의 피부(106)를 봉합하거나(110) 또는 스테이플로 고정시키는(111) 단계를 나타내며, 도 125b는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에서 환자의 피부(106)를 봉합하거나(110) 또는 스테이플로 고정시키는(111) 단계를 나타낸다. 복강경 수술법/관절경 수술법에서는 봉합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26은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120)이 이식되어 있는 환자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120)은 윤활 유체를 연속적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필요할 때에 고관절 안으로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6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은 서로 연결된 2개의 유닛(121, 122)을 포함한다. 서로 연결된 두 유닛은 환자의 복부 영역에 배치되며, 유체 전달 부재(129)를 통해 고관절과 연결된다.
도 127은 상기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120)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은 송출 부재(123)를 포함하는 제1 유닛(121)을 포함하며, 이 송출 유닛은 저장부(127)로부터 윤활 유체를 고관절의 영역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유닛(121)은 시술을 수행할 필요 없이 인체의 외부에서 저장부(127)를 채우기 위한 주입 포트(125)를 더 포함한다. 이 주입 포트(125)는 주사기에 부착되어 있는 바늘로 뚫릴 수 있는 자체 정화성 막을 포함한다. 제1 유닛(121)은 바람직하게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에너지 수용부(124)를 더 포함한다. 이 무선 에너지 수용부는 배터리(126)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120)은 제2 유닛(122)을 더 포함하고, 이 유닛은 배터리(126)와 유체 저정부(127)를 포함한다. 송출 장치에 의해 윤활 유체(128)가 저장부로부터 송출되어 제1 유닛(121)과 유체 전달 부재(129)를 통과해서 고관절 영역 안으로 가게 되며, 거기서 고관절 표면에 대한 윤활을 돕게 된다. 윤활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생체적합성 윤활 유체이다.
도 1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그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은 윤활될 관절에 들어가는 하나의 입구(130)와 하나의 출구(131)를 포함하는 순환식 윤활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시스템은 송출 부재(123)가 고관절의 내부에서 윤활 유체(128)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연속 윤활 시스템이다.
도 129는 순환식 윤활을 위한 이식가능한 윤활 시스템을 나타내는데, 이 윤활 시스템은 윤활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 부재(132)를 더 포함한다. 여과기는 자체 정화성이 있으며, 여과되어 걸러진 물질은 처리 채널(133)을 통해 환자의 복부 안으로 또는 처리 채널(133)에 부착되어 있는 용기 안으로 처리된다. 윤활 유체(128)의 여과를 통해, 순환식 윤활 시스템은 수술적 절차가 필요 없이 장기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는 코발트-크롬-몰리브덴 또는 티타늄 또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합금 또는 가교 결합 폴리에틸렌 또는 가스 살균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지르코늄 또는 이산화 지르코늄 세라믹 또는 알루미나 세라믹과 같은 세라믹 재료가 접촉 표면이나 전체 의료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의료 장치에 있어서 인간 뼈에 의료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인간 뼈와 접촉하는 부분은, 의료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그 의료 장치에서 인간 뼈의 성장을 촉진시키도록 되어 있는 다공성의 마이크로 또는 나노 구조일 수 있다. 다공성 구조는 하이드록시-애파타이트(HA) 코팅, 또는 거친 개방 세공형 티타늄 코팅을 형성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이들 코팅은 공기 플라즈마 분무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거친 개방 세공형 티타늄 코팅과 HA 상부층을 포함하는 조합도 가능하다. 접촉부는 PIFE, PFA, FEP, PE 및 UHMWPE와 같은 왁스질 폴리머와 같은 자기 윤활성 재료, 또는 윤활유(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같은 생제적합성 윤활 물질임)가 주입될 수 있는 분말 야금 재료로 만들어질 수있다. 또한, 의료 장치의 접촉부 또는 표면의 재료는 항상 또는 간헐적으로 윤활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장치의 일 부분은 금속 재료 및/또는 탄소 섬유 및/또는 붕소의 조합물, 금속과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물, 금속과 탄소계 재료의 조합물, 탄소와 플라스틱계 재료의 조합물, 가요성 재료와 강직성 재료의 조합물, 탄성 재료와 덜 탄성적인 재료의 조합물, 코리안(Corian) 또는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나 그의 일 부분 및 임의의 방법 및 그 일부분은 어떤 방식으로도 조합될 수 있다. 본원의 모든 실시예들은 일반적인 설명의 일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그래서 일반적으로 어떤 방식으로도 조합될 수 있다.

Claims (1)

  1.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KR1020207024640A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KR20200104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3247A KR20230020581A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900972 2009-07-10
SE0900970-5 2009-07-10
SE0900960-6 2009-07-10
SE0900981-2 2009-07-10
SE0900957-2 2009-07-10
SE0900957 2009-07-10
SE0900968 2009-07-10
SE0900963-0 2009-07-10
SE0900976 2009-07-10
SE0900962-2 2009-07-10
SE0900972-1 2009-07-10
SE0900973 2009-07-10
SE0900959-8 2009-07-10
SE0900976-2 2009-07-10
SE0900978-8 2009-07-10
SE0900978 2009-07-10
SE0900974-7 2009-07-10
SE0900981 2009-07-10
SE0900966 2009-07-10
SE0900958-0 2009-07-10
SE0900974 2009-07-10
SE0900968-9 2009-07-10
SE0900959 2009-07-10
SE0900970 2009-07-10
SE0900958 2009-07-10
SE0900966-3 2009-07-10
SE0900960 2009-07-10
SE0900965-5 2009-07-10
SE0900963 2009-07-10
SE0900965 2009-07-10
SE0900973-9 2009-07-10
SE0900962 2009-07-10
PCT/SE2010/050805 WO2011005189A1 (en) 2009-07-10 2010-07-12 Hip joint device and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681A Division KR102150600B1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247A Division KR20230020581A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429A true KR20200104429A (ko) 2020-09-03

Family

ID=4802399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247A KR20230020581A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KR1020187027681A KR102150600B1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KR1020207024640A KR20200104429A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KR1020187004442A KR101903698B1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KR1020177017846A KR101831342B1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247A KR20230020581A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KR1020187027681A KR102150600B1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442A KR101903698B1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KR1020177017846A KR101831342B1 (ko) 2009-07-10 2010-07-12 고관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20230020581A (ko)
CN (1) CN1030378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019B1 (ko) * 2021-11-26 2022-03-23 알앤엑스(주) 인공 고관절용 스템에 시멘트를 도포하기 위한 몰드, 상기 몰드에 사용 가능한 인공 고관절용 스템 및 상기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템에 시멘트를 도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8767B2 (en) * 2016-09-20 2018-07-24 RELIGN Corporatio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CN112274305A (zh) * 2020-11-11 2021-01-29 北京积水潭医院 一种用于松质骨重建可扩张假体
CN115634033B (zh) * 2022-11-29 2023-03-1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一种用于骨盆骨折微创手术的骨折复位机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987A (en) * 1989-08-25 1993-11-23 Shah Mrugesh K Method and apparatus for arthroscopically replacing a bone joint
SE9200597D0 (sv) * 1992-02-28 1992-02-28 Astra Ab Hip joint prosthesis ii
DE19834277C2 (de) * 1998-07-30 2000-08-10 Gamal Baroud Schenkelhalsendoprothese für ein künstliches Hüftgelenk
NL1009832C2 (nl) * 1998-08-10 2000-02-11 Novarticulate Bv Heupprothese.
DE20003360U1 (de) 2000-02-24 2001-06-28 Koenig Helmut Gelenk-Prothese, insbesondere Hüftgelenk-Endoprothese
DE602004013965D1 (de) 2003-06-17 2008-07-03 Hopro As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der verlagerung von hüftgelenkimplantaten
US20060247790A1 (en) 2005-04-30 2006-11-02 Mckay William F Shaped osteochondral grafts and methods of using same
DE202005018322U1 (de) * 2005-11-17 2006-01-19 Aesculap Ag & Co. Kg Künstliches Gelenkteil
CN101543435A (zh) * 2008-03-24 2009-09-30 曼德卡姆有限公司 一种嵌套于股骨颈的人工股骨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019B1 (ko) * 2021-11-26 2022-03-23 알앤엑스(주) 인공 고관절용 스템에 시멘트를 도포하기 위한 몰드, 상기 몰드에 사용 가능한 인공 고관절용 스템 및 상기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템에 시멘트를 도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864A (ko) 2018-02-21
CN103037810A (zh) 2013-04-10
KR20180108904A (ko) 2018-10-04
KR20170078878A (ko) 2017-07-07
CN103037810B (zh) 2016-01-20
KR101903698B1 (ko) 2018-10-02
KR20230020581A (ko) 2023-02-10
KR101831342B1 (ko) 2018-02-22
KR102150600B1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7932B2 (en) Hip joint device and method
US20020111690A1 (en) Joint prosthesis and method of implantation
JP6265444B2 (ja) 患者の股関節に移植する際に使用する医療装置
US11207186B2 (en) Hip joint device and method
KR102150600B1 (ko) 고관절 장치 및 방법
RU27343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зобедренного сустава и способ
US9180014B2 (en) Hip joint device and method
MX2012000519A (es) Dispositivo y metodo de articulacion coxofemoral.
JP2020037025A (ja) 患者の股関節に移植する際に使用する医療装置
KR101754173B1 (ko) 고관절 장치 및 방법
WO2011005194A1 (en) Hip joint device and method
EP2451382B1 (en) A medical device for treating a hip joint
US11963876B1 (en) Hip joint method
EP3111891B1 (en) Prosthetic hip joint
EP2451364B1 (en) Hip joint device
BR112012000645B1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a articulação do quadr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19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127

Effective date: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