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194A -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194A
KR20200104194A KR1020190039214A KR20190039214A KR20200104194A KR 20200104194 A KR20200104194 A KR 20200104194A KR 1020190039214 A KR1020190039214 A KR 1020190039214A KR 20190039214 A KR20190039214 A KR 20190039214A KR 20200104194 A KR20200104194 A KR 2020010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tension
frames
vehicle body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6434B1 (en
Inventor
조용균
Original Assignee
한국상용트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상용트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상용트럭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assembled from readily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chassis frame extension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xtension frame (310) disposed between a front main frame (110) and a rear main frame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340) disposed as if surrounding the front and the rear main frame (110,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from the outside, which ar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being inserted into each other by using the extension frame (310) or using a connection frame (320)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a coupling means bolt-coupling the frames to each other to integrate the same, wherein a plurality of fixation nuts welded on the periphery of each of a plurality of holes and bolt-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are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positioned innermost in a traverse direction, bolt-coupled between the extension frame (310) and the connection frame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te frames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Description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차량{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Body frame extension module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이 발명은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프레임의 길이연장을 위해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는 프레임들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단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short bolts that do not cross the frames arranged in an overlapping form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vehicle body frame. It relates to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that is integrated by bolting each other and a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은 화물을 실어 운반한다. 화물차량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차체 프레임에 적재함이 탑재된다. 또한, 화물차량은 적재함의 크기에 따라 적재물의 적재량이 달라진다. 따라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을 늘려 적재용량을 증설하기 위해 차체 프레임을 증설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In general, freight vehicles carry cargo on board. Freight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loading box on the body frame so that they can load cargo. In addition, in a freight vehicle, the loading amount of the load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oading box.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for expanding a vehicle body frame have been disclosed in order to increase the loading capacity by increasing the loading box of a freight vehicle.

특허등록 제1570108호는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에 대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함에 있어서, 보강링크로 연장프레임을 연결하고, 연장프레임에는 보강체를 도입하여 내구력을 강화하는 내용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Patent Registration No. 1570108 is for "frame assembly for increasing loading capacity and a freight car using the same". In extending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the extension frame is connected with a reinforcing link, and a reinforcing body is introduced into the extension frame to increase durability. Reinforcement content is disclosed.

특허등록 제1620014호는 "차체 프레임 연장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볼트/너트 체결방식 대신에 BOM 볼트를 이용한 리벳 방식으로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는 내용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Patent Registration No. 1620014 is for a "body frame extension structure", and it is disclosed about extending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by a rivet method using a BOM bolt instead of a general bolt/nut fastening method.

특허등록 제1804432호는 "화물차량 및 화물차량용 연장 프레임"에 대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함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과 연장 프레임의 체결부위가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Patent Registration No. 1804432 is for "freight vehicles and extension frames for freight vehicles". In extending the length of the vehicle body frame, the contents of preventing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extension frame from being deformed inward by using spacers. About it.

특허공개 제2018-0063743호는 "차량의 적재함 연장 방법 및 연장된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에 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돌출 볼트를 갖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메인 바디와 연장 유닛을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는 내용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Patent Publication No. 2018-0063743 is for "a method of extending a loading box of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an extended loading box", and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is connected b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unit using a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bolts. It is open to the contents of the extension.

그리고, 특허등록 제1927382호는 "연장된 차체 프레임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웨브와 플랜지 등을 갖는 연장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을 이용하여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는 내용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927382 relates to an "extended body frame structure", and discloses the contents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by using an extension frame having a web and a flange, and a cover frame.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함에 있어서, BOM 볼트를 이용한 리벳 방식이나 장볼트를 이용한 볼트/너트 체결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BOM 볼트의 경우에는 수입제품인 관계로 차체 프레임의 길이연장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장볼트의 경우에는 차체 프레임의 길이연장을 위해 서로 중첩된 형태로 프레임들을 배치한 후 이들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해야 하므로 다수개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체결하는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use a rivet method using a BOM bolt or a bolt/nut fastening method using a long bolt in extending the length of the vehicle body frame. However, in the case of BOM bolts, since they are imported produc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lot of cost to extend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and in the case of long bolts, frames are arranged in an overlapping form to extend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and then cross them.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t of work time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fasten it through the nut.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의 길이연장을 위해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는 프레임들 중에서 볼트 체결되는 횡방향 제일 안쪽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용접되는 고정너트와 여기에 볼트 체결되는 단볼트를 이용하여 프레임들을 효율적으로 일체화하는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mong frames arranged in a form overlapping each other for lengthening of the vehicle body frame.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that efficiently integrates frames using fixing nuts welded to the inner side and short bolts bolted thereto, and a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은 적재함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차량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을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과 후방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연결 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밀착되거나 삽입된 상태로 배열된 상기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배치되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 및 각 프레임들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프레임 또는 연결 프레임 중에서 볼트 체결되는 횡방향 제일 안쪽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멍 둘레에 각각 용접되어 상기 체결수단과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hicle body frame by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formed by cutting the main frame supporting the loading box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to extend the length of,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main frame and the rear main frame, and an extensi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using the extension frame or a connecti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inserted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ranged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and the extension frames arranged in a closed state, and fastening means for integrating each frame by bolting each other, and the extension frame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fixing nuts which are respectively welded around a plurality of holes and bolted to the fastening means are disposed inside the frame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e bolted.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장 프레임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을 용접하여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은 구멍과 고정너트를 다수개씩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fram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by welding a pair of C-shaped frames, and the pair of C-shaped frames has a plurality of holes and fixing nuts, respectively.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제2 결합 프레임은 서로 간의 단부면이 밀착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의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vehicle body frame in a state in which end surfaces thereof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제2 결합 프레임은 각 단부면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구멍을 형성하는 홈을 여러 곳에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 forming weld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each end surfac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화물차량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이 발명은 차체 프레임의 길이연장을 위해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는 프레임들 중에서 볼트 체결되는 횡방향 제일 안쪽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용접되는 고정너트와 여기에 볼트 체결되는 단볼트를 이용하므로, 프레임들을 편리하면서 효율적으로 일체화할 수가 있다.This invention uses a fixing nut that is weld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ame, which is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fram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which the bolts are fastened, among the frames arranged in an overlapping form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the short bolts that are bolted to it , Frames can b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integrated.

또한, 이 발명은 결합 프레임을 서로 간의 단부면이 밀착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의 상하로 배치하고, 서로 간의 용접 접합을 통해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빗물 등으로 인해 물기가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예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due to rainwater, etc., by arranging the coupling frame up and down the vehicle body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end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locking the gap through welding joints between each other. .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일부분을 선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일부분을 선B-B 및 선C-C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연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연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bod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1,
3 and 4 are plan and front views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2,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1;
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shown in FIG.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frame shown in FIG. 5,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frame shown in FIG. 5,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3,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BB and CC of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4,
1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frame shown in FIG. 12,
1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frame shown in FIG. 14,
1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frame shown in FIG. 16.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는 이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nd a freight vehic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completely limit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1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bod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1, and FIGS. 3 and 4 are plan views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And a front view.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은 일반적인 화물차량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하되, 적재함을 늘려 적재용량을 증설하기 위해 연장된 형태의 차체 프레임(10)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차체 프레임(10)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부재(200), 및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이하, "연장 모듈"이라 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a freigh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freight vehicle, but the body frame 10 in an extended form to increase the loading capacity by increasing the loading box. It is configured to have. The vehicle body frame 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main frames 100, a connection member 200, and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tension module").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은 적재함(미도시)을 지지하고, 전륜(미도시)과 후륜(미도시) 사이의 일부분이 절단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차체 프레임(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적재함의 폭방향 양측을 지지한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전륜과 후륜 사이의 일부분이 절단됨에 따라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0)은 중심부가 비어있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에는 적재함이 고정되도록 마운트 브라켓 등이 설치된다.The pair of main frames 100 supports a loading box (not shown), and a part between the front wheels (not shown) and the rear wheels (not shown) is cut. The main frame 1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10 in the width direction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in the width direction. Meanwhile, the main frame 100 is divided into a front main frame 110 and a rear main frame 120 as a part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is cut.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with an empty center. In addition, a mount bracket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00 so that the loading box is fixed.

연결부재(200)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을 연결하도록 차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연결부재(200)는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연결부재(200)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을 복수의 개소에서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The connecting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nect the pair of main frames 10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main frame 110 and the rear main frame 120, respectively.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200 are installed to connect a pair of main frames 100 at a plurality of locations.

연장 모듈은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을 차체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10)의 길이를 연장한다. 이러한 연장 모듈은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연장 프레임과, 연장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연결 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밀착되거나 삽입된 상태로 배열된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배치되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 및 각 프레임들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연장 프레임 또는 연결 프레임 중에서 볼트 체결되는 횡방향 제일 안쪽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멍 둘레에 각각 용접되어 체결수단과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가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 extension module extends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10 by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0. These extension modules are disposed between the front main frame 110 and the rear main frame 120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an extensi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 extension frame, or a connecti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rranged in the insert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ranged to surround the extension frame from the outside, and a fastening means for integrating each frame by bolting each other. It is configured such that, among the extension frame or the connecting frame, a plurality of fixing nuts that are respectively welded around a plurality of holes and bolted to the fastening means ar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e bolted.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연장 모듈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an extension module having the above technical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일부분을 선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차체 프레임의 일부분을 선B-B 및 선C-C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view of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shown in FIG. It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frame shown in Figure 5,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frame shown in Figure 5, Figure 9 is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ure 3 line AA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BB and CC of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shown in FIG. 4.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연장 모듈(300)은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연장 프레임(310)과, 각 일단부가 연장 프레임(310)의 양측에서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각 타단부는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320)과, 한 쌍의 연결 프레임(320)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상하로 배치되어 결합하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각 프레임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체결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11, the extension module 3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extension frame 310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disposed between the front main frame 110 and the rear main frame 120, and each end A pair of connection frames 320 that ar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both sides of the additional extension frame 310 and each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main frame 110 and the rear main frame 120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on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re arranged vertically so as to wrap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connection frames 320 from the outside. ), and a fastening means 350 for integrally bolting each frame to each other.

연장 프레임(310)은 차체 프레임(10)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으로서, 연장하고자 하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절단 단부와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 프레임(310)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311)을 용접하여 사각 파이프 형태를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100)과 동일한 사각형 단면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ㄷ자형 프레임(311)에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과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312)(제1 구멍)이 다수개씩 형성되고, 또한 ㄷ자형 프레임(311) 내측에서 다수개의 구멍(312) 둘레에 각각 용접되는 제1 고정너트(313)(웰딩너트)가 다수개씩 배치된다. 따라서, ㄷ자형 프레임(311)의 외측에서 제1 볼트(351)를 삽입하고 조일 경우, 제1 볼트(351)가 제1 고정너트(313)에 맞물려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extension frame 310 extends the length of the vehicle body frame 1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to be extended, and extend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 ends of the opposit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desirable. The extension frame 310 is configured to have a square pipe shape by welding a pair of U-shaped frames 311,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square cross-sectional size as the main frame 100. On the other hand, the C-shaped frame 311 has a plurality of holes 312 (first holes)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nd the bolts, and further from the inside of the C-shaped frame 311 A plurality of first fixing nuts 313 (welding nuts) that are respectively welded around the plurality of holes 312 are disposed. Therefore, when the first bolt 351 is inserted and tightened from the outside of the U-shaped frame 311, the first bolt 35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olt 351 is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nut 313 to be fastened.

한편, 연장 프레임(310)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311)의 플랜지(311a) 단부가 서로 간에 면접촉하도록 용접하여 일체화하고, 각 ㄷ자형 프레임(311)의 웨브(311b)에 다수개의 구멍(312)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용접된 ㄷ자형 프레임(311)의 플랜지(311a) 부분이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고, ㄷ자형 프레임(311)의 웨브(311b) 부분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배치한 것은 후술할 체결수단(350)을 이용한 체결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frame 310 is integrated by welding so that the ends of the flanges 311a of the pair of C-shaped frames 31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les in the web 311b of each C-shaped frame 311 (312) was formed. In addition, the flange 311a portion of the welded C-shaped frame 311 is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web 311b portion of the C-shaped frame 311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This arrangement is to improve workability when fastening using the fastening means 350 to be described later.

연결 프레임(320)은 각 일단부가 연장 프레임(310)의 양측에서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각 타단부는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어 연결하는 것으로서,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의 단부가 서로 간에 밀착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 프레임(320)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321)을 용접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320)은 양 측이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에 일정 깊이로 각각 삽입되어 서로 간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 및 연장 프레임(310)에 삽입될 수 있는 테두리 크기를 갖는다. The connection frame 320 has one end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both sides of the extension frame 310, and each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main frame 110 and the rear main frame 120 at a predetermined depth to connect. ,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ends of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frame 320 is configured by welding a pair of U-shaped frames 321. This connection frame 32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ront or rear main frame (110,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at a predetermined depth to connect to each other, and the front or rear main frame (110, 120) and It has a rim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frame 310.

한편, 연결 프레임(320)을 구성하는 ㄷ자형 프레임(321)에도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322)(제2 구멍)이 다수개씩 형성되고, 또한 ㄷ자형 프레임(321) 내측에서 다수개의 구멍(322) 둘레에 각각 용접되는 제2 고정너트(323)(웰딩너트)가 다수개씩 배치된다. 여기서, 구멍(322)은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을 볼트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ㄷ자형 프레임(321)의 외측에서 제2 볼트(352)를 삽입하고 조일 경우, 제2 볼트(352)가 제2 고정너트(323)에 맞물려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Meanwhile, a plurality of holes 322 (second holes) for bolt fastening are formed in the C-shaped frame 321 constituting the connection frame 320, and a plurality of holes 322 inside the C-shaped frame 321 )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nuts 323 (welding nuts) that are respectively welded around are disposed. Here, the hole 322 is for bolting the front or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Therefore, when the second bolt 352 is inserted and tightened from the outside of the U-shaped frame 321, the second bolt 35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bolt 352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nut 323 to be fastened.

그리고, 연결 프레임(320)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321)의 플랜지(321a) 단부가 서로 간에 면접촉하도록 용접하여 일체화하고, ㄷ자형 프레임(321)의 웨브(321b)에 다수개의 구멍(322)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용접된 ㄷ자형 프레임(321)의 플랜지(321a) 부분이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고, ㄷ자형 프레임(321)의 웨브(321b) 부분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배치한 것은 후술할 체결수단(350)을 이용한 체결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rame 320 is integrated by welding so that the ends of the flanges 321a of the pair of C-shaped frames 321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les in the web 321b of the C-shaped frame 321 ( 322). In addition, the flanges 321a of the welded C-shaped frame 321 a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web 321b of the C-shaped frame 321 is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This arrangement is to improve workability when fastening using the fastening means 3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은 연결 프레임(320)은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을 서로 간에 각각 연결하는 역할을 하므로, 반드시 용접 등으로 일체화할 필요는 없지만, 강도 및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용접 등으로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320)은 양 측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체 프레임(10)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 등을 고려한, 효과적인 체결방법 및 체결력을 고려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onnection frame 320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connect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to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be integrated by welding or the like, but strength and workability, etc. Considering this,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by weld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nnection frame 320 may have different shapes on both sides. That is, it is desirable to have a form in consideration of an effective fastening method and fastening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other components of the vehicle body frame 10.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은 한 쌍의 연결 프레임(320)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상하로 배치되어 결합하는 것으로서,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331, 341)이 다수개씩 형성된다. 이때, 구멍(331, 341)은 ㄷ자 형태를 갖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의 플랜지에 각각 형성되되, 연장 프레임(310) 및 연결 프레임(320)의 구멍(312, 322)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re arranged vertically as if wrapping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connection frames 320 from the outside. As to be coupled, a plurality of holes 331 and 341 for fastening bolts are formed. At this time, the holes 331 and 341 are formed in the flan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having a U-shape, respectively, and the holes 312 and 322 of the extension frame 310 and the connection frame 320 And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한편,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은 서로 간에 상하로 배치되어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을 외측에서 감쌀 경우, 각 플랜지의 단부면이 서로 간에 접촉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의 각 플랜지의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파인 홈(332, 342)이 여러 곳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간에 접촉할 경우 타원형, 원형 등의 용접을 위한 용접구멍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re disposed vertically and wrap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from the outside, the end surfaces of each flange are It has the size of contact with the liver. In addition, grooves 332 and 342 are formed in several places at the ends of each flang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weld hole is formed.

따라서, 용접구멍을 통한 용접으로 연장 프레임(310) 또는 메인 프레임(100)과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또한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가 있다. 이렇듯,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을 서로 간에 상하로 배치하고, 서로 간의 용접 접합을 통해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빗물 등으로 인해 물기가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예방할 수가 있다.Therefore, by welding through a welding hole, a solid coupling between the extension frame 310 or the main frame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is possible,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340) can prevent gaps between them.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up and down with each other and blocking the gap through welding joints between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the inside due to rainwater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은 서로 간에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체 프레임(10)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 등을 고려한, 효과적인 체결방법 및 체결력을 고려한 길이를 각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s described above may have different length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in consideration of an effective fastening method and fastening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other components of the vehicle body frame 10.

체결수단(350)은 각 프레임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는 것으로서, 제1 고정너트(313)에 체결되어 제1 또는 제2 결합 프레임(330, 340)과 연장 프레임(310)을 서로 체결하는 다수개의 제1 볼트(351)와, 제2 고정너트(323)에 체결되어 제1 또는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 및 연결 프레임(320)을 서로 체결하는 다수개의 제2 볼트(352)로 구성된다.The fastening means 350 is a bolt fastening each frame to each other,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nut 313 to fasten the first or second combining frames 330 and 34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to each other. It is fastened to the first bolt 351 and the second fixing nut 323 to fasten the first or second coupling frame 330, 340, the front or rear main frame 110, 120, and the connection frame 320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cond bolts (352).

한편, 제1, 제2 볼트(351, 352)로는 제1, 제2 고정너트(313, 323)에 체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단볼트를 이용하면 된다. 즉, 제1 볼트(351)는 제1 또는 제2 결합 프레임(330, 340)과 연장 프레임(310)을 연통하여 제1 고정너트(313)에 체결되므로, 그에 대응하는 길이의 단볼트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제2 볼트(352)는 제1 또는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 및 연결 프레임(320)을 연통하여 제2 고정너트(323)에 체결되므로, 그에 대응하는 길이의 단볼트를 이용하면 된다.Meanwhile, as the first and second bolts 351 and 352, short bolts having a length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nuts 313 and 323 may be used. That is, since the first bolt 351 is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nut 313 b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r second coupling frame 330, 34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a short bolt of a corresponding length is used. Just do it. And, the second bolt 352 is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nut 323 b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r second coupling frame 330, 340, the front or rear main frame 110, 120, and the connection frame 320 Therefore, a short bolt of a corresponding length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제1, 제2 볼트(351, 352)를 이용해 각 프레임을 체결함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에서 볼트 체결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즉, 볼트 체결되는 제1, 제2 고정너트(313, 323)가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ㄷ자형 프레임(311, 321)의 웨브(311b, 321b) 내측에 고정되므로, 전방 및 후방에서 편리하게 볼트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In fastening each frame using the first and second bolts 351 and 352 as described above,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front and the rear, so that workability is excellent.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nuts (313, 323) to be bolted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webs (311b, 321b) of the C-shaped frames (311, 321)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so conveniently from the front and rear Bolt fastening can be performed.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에도 서로 간에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111, 12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구멍(111, 121)은 연결 프레임(320)의 구멍(322)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즉, 각 프레임의 구멍들은 서로 간에 연결하고 밀착시킨 상태에서 서로 간에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A plurality of holes 111 and 121 for fastening bolts are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holes 111 and 12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322 of the connection frame 320, respectively. That is, the holes of each frame are formed in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연결 프레임(320)을 이용해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을 서로 간에 연결하고, 그 상부에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350)인 다수개의 제1, 제2 볼트(351, 352)로 체결함으로써, 각 프레임을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가 있다. 즉, 제1, 제2 볼트(351, 352)를 연장 프레임(310) 및 연결 프레임(320)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개의 제1, 제2 고정너트(313, 323)에 체결함으로써, 차체 프레임(10)의 길이를 연장하면서 각 프레임을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connection frame 3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thereof. By fastening with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olts 351 and 352, which are fastening means 350, each frame can be rigidly integrated. That is, by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bolts 351 and 352 to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ing nuts 313 and 323 respectively positioned inside the extension frame 310 and the connection frame 320, the vehicle body Each frame can be firmly integrated while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rame 10.

<제2 실시예><Second Example>

이 실시예의 연장 모듈은 연장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연장 모듈(3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해 설명은 생략한다.The extension module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he same as the extension module 30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are partially changed. Accordingl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1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연장 모듈(300A)은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연장 프레임(310A)과, 각 일단부가 연장 프레임(310A)의 양측에서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각 타단부는 전방 메인 프레임(110)과 후방 메인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320A)과, 한 쌍의 연결 프레임(320A)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A)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각 프레임들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frame shown in FIG. 12. 1, 12 and 13, the extension module 300A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extension frame 310A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disposed between the front main frame 110 and the rear main frame 120 , Each one end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both sides of the extension frame 310A, and each other end is a pair of connection frames 320A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main frame 110 and the rear main frame 120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which are arranged vertically as if wrapping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A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connection frames 320A from the outside. 340), and a fastening means for integrally bolting each frame to each other.

여기서,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은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31, 341)과 용접구멍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홈(332, 342)을 구비하고, 연장 프레임(310A)은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연결 프레임(320A)과 함께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320A)은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함께, 그리고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연장 프레임(310A)과 함께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22)과; 연결 프레임(320A)의 내측에서 구멍(322) 둘레에 각각 용접되어 체결수단과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장 프레임(310A)은 중심부가 비어있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하고, 연결 프레임(320A)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321)을 용접하여 구성하고, ㄷ자형 프레임(321)은 플랜지(321a)와 웨브(321b)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331 and 341 for fastening bolts and a plurality of grooves 332 and 342 forming welding holes, and an extension frame 310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311 for fastening bolts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nd the connection frame 320A. And, the connection frame (320A)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nd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nd the extension frame A plurality of holes 322 for fastening bolts together with 310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nuts 323 which are respectively welded around the hole 322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frame 320A to be bolted to the fastening means. Here, the extension frame 310A is composed of a square pipe with an empty center, the connection frame 320A is configured by welding a pair of C-shaped frames 321, and the C-shaped frame 321 is a flange 321a. Was configured to have a web (321b).

한편, 연장 프레임(310A)은 연장하고자 하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절단 단부와 밀착되도록 연장되고, 한 쌍의 연결 프레임(320A)은 연장 프레임(310A)의 양측에서 삽입된 각 일단부가 연장 프레임(310A)의 중간부위에서 서로 간에 밀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frame 310A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to be extended, and extend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 ends of the opposit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320A is extended. It is preferable that each end portion inserted from both sides of the frame 310A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extension frame 310A.

<제3 실시예><Third Example>

이 실시예의 연장 모듈은 연결 프레임을 생략하고 체결수단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연장 모듈(3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해 설명은 생략한다. The extension module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he same as the extension module 30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nection frame is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means is partially changed. Accordingl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14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연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연장 모듈(300B)은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절단 단부와 각각 밀착 상태로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의 사이에 배치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연장 프레임(310B)과,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B)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배치되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과,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연장 프레임(310B)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는 다수개의 단볼트(도시안됨), 및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을 서로 간에 결합하는 다수개의 장볼트(도시안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frame shown in FIG. 14. 1, 14, and 15, the extension module 300B of this embodi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t ends of the opposit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10B)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disposed between the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ranged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B from the outside ( 330, 340, a plurality of short bolts (not shown) for bolt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340, and the extension frame 310B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340) and a plurality of long bolts (not shown) for coupling the front or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to each other.

여기서,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은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31, 341)과 용접구멍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홈(332, 342)을 구비하고, 연장 프레임(310B)은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과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12)과, 연장 프레임(310B) 내측에서 다수개의 구멍(312) 둘레에 각각 용접되어 단볼트와 각각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장 프레임(310B)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311)을 용접하여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고, ㄷ자형 프레임(311)은 플랜지(311a)와 웨브(311b)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331 and 341 for fastening bolts and a plurality of grooves 332 and 342 forming welding holes, and the extension frame 310B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340) and a plurality of holes 312 for fastening bolts, and the extension frame (310B) is welded around a plurality of holes (312) inside each of the bolts and fastened with a single bol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nuts (313). Here, the extension frame 310B is configured to have a square pipe shape by welding a pair of C-shaped frames 311, and the C-shaped frame 311 is configured to have a flange 311a and a web 311b.

이렇듯, 이 실시예에서는 연장 프레임(310B)의 양 단부에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의 절단 단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단볼트 및 장볼트를 이용해 서로 간에 일체화한 것이다. 여기서, 장볼트 대신에 용접하여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 340) 및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을 서로 간에 일체화할 수도 있다.As such, in this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cut ends of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extension frame 310B, a plurality of short bolts and long bolts as described above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 Here, by welding instead of long bolt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 and 340 and the front or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may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한편, 연장 프레임(310B)은 각 일단부가 연장 프레임(310B)의 양단부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각 타단부는 연장 프레임(310B)의 양단부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각각 돌출되어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31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frame (310B) is each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both ends of the extension frame (310B), and each other e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both ends of the extension frame (310B) a predetermined length, respectively, the front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314 inserted into the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t a predetermined depth.

<제4 실시예><Fourth Example>

이 실시예의 연장 모듈은 연장 프레임을 연결 프레임의 역할까지 병행하도록 연장 프레임의 구성을 일부 변경하고, 그에 따라 제1, 제2 결합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연장 모듈(3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해 설명은 생략한다.The extension module of this embodiment is the extension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frame is partially changed to parallel the extension frame to the rol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e changed accordingly. It is configured the same as 300). Accordingl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16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연장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연장 모듈(300C)은 양 단부가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각각 삽입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연장 프레임(310C)과, 서로 간에 연결된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연장 프레임(310C)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C, 340C), 및 각 프레임들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frame shown in FIG. 1, 16, and 17, the extension module 300C of this embodiment is an extension frame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in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respectively. (310C),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C, 340C), and each frame arranged up and down so as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C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the out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that is integrated by bolting each other.

여기서,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C, 340C)은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31, 341)과,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을 감싸는 양측 부분과 연장 프레임(310C)을 감싸는 중간 부분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연장 프레임(310C)은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C, 340C)과 볼트 체결하거나, 제1, 제2 결합 프레임(330C, 340C) 및 전방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110, 120)과 함께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312)과; 연장 프레임(310C) 내측에서 다수개의 구멍(312) 둘레에 각각 용접되어 체결수단과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3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장 프레임(310C)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311)을 용접하여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고, ㄷ자형 프레임(311)은 플랜지(311a)와 웨브(311b)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C and 340C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331 and 341 for fastening bolts, both sides surrounding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nd the extension frame 310C. The surrounding middle part has different sizes. Further, the extension frame 310C is bol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C and 340C, or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330C and 340C and the front or rear main frames 110 and 120. A plurality of holes 312 for fastening bolts; The extension frame 310C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nuts 313 which are welded around a plurality of holes 312, respectively, and bolted to a fastening means. Here, the extension frame 310C is configured to have a square pipe shape by welding a pair of C-shaped frames 311, and the C-shaped frame 311 is configured to have a flange 311a and a web 311b.

이상에서 이 발명의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차량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nd the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is invention. Examples or modifications will also fall within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100 : 메인 프레임 110 : 전방 메인 프레임
120 : 후방 메인 프레임 200 : 연결부재
300 : 연장 모듈 310 : 연장 프레임
320 : 연결 프레임 330 : 제1 결합 프레임
340 : 제2 결합 프레임 350 : 체결수단
100: main frame 110: front main frame
120: rear main frame 200: connecting member
300: extension module 310: extension frame
320: connection frame 330: first combination frame
340: second coupling frame 350: fastening means

Claims (5)

적재함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차량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서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을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는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과 후방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연결 프레임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밀착되거나 삽입된 상태로 배열된 상기 전방 및 후방 메인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외측에서 감싸듯이 배치되는 제1, 제2 결합 프레임, 및
각 프레임들을 서로 간에 볼트 체결하여 일체화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프레임 또는 연결 프레임 중에서 볼트 체결되는 횡방향 제일 안쪽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멍 둘레에 각각 용접되어 상기 체결수단과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In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vehicle body frame by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formed by cutting the main frame supporting the loading box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extension frame disposed between the front main frame and the rear main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ranged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and the extension frames arranged in close contact or inserted st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extension frame or a connecti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 And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for integrating each frame by bolting each other,
A vehicle bod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xing nuts which are respectively welded around a plurality of holes to be bolted to the fastening means are disposed inside the frame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extension frame or the connecting fram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e bolted. Extension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을 용접하여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ㄷ자형 프레임은 구멍과 고정너트를 다수개씩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frame is configured in a square pipe shape by welding a pair of C-shaped frames,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U-shaped frames each have a plurality of holes and fixing nut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결합 프레임은 서로 간의 단부면이 밀착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의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ar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vehicle body frame in a state in which end surfaces thereof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결합 프레임은 각 단부면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구멍을 형성하는 홈을 여러 곳에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frames have a plurality of grooves for forming weld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each end surface, respectivel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A freight vehicle comprising the vehicle body frame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190039214A 2019-02-26 2019-04-03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KR1026164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616 2019-02-26
KR20190022616 201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94A true KR20200104194A (en) 2020-09-03
KR102616434B1 KR102616434B1 (en) 2023-12-21

Family

ID=6846005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080A KR102034499B1 (en) 2019-02-26 2019-03-29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KR1020190037098A KR102034498B1 (en) 2019-02-26 2019-03-29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KR1020190037121A KR102034497B1 (en) 2019-02-26 2019-03-29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KR1020190039214A KR102616434B1 (en) 2019-02-26 2019-04-03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KR1020190039202A KR102616433B1 (en) 2019-02-26 2019-04-03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080A KR102034499B1 (en) 2019-02-26 2019-03-29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KR1020190037098A KR102034498B1 (en) 2019-02-26 2019-03-29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KR1020190037121A KR102034497B1 (en) 2019-02-26 2019-03-29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202A KR102616433B1 (en) 2019-02-26 2019-04-03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03449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0184B2 (en) * 2004-02-10 2009-11-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Body frame structure and dissimilar metal frame member connection adapter
KR20180107541A (en) * 2017-03-22 2018-10-02 (주)광석 Body frame structure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401A (en) * 2004-09-02 2006-03-16 Nissan Motor Light Truck Co Ltd Frame reinforcing member
KR101620014B1 (en) * 2015-07-02 2016-05-13 나르미모터스 주식회사 An extension structure of the chassis of vehicles
JP2017056874A (en) * 2015-09-18 2017-03-2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body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0184B2 (en) * 2004-02-10 2009-11-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Body frame structure and dissimilar metal frame member connection adapter
KR20180107541A (en) * 2017-03-22 2018-10-02 (주)광석 Body frame structur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497B1 (en) 2019-10-21
KR20200104193A (en) 2020-09-03
KR102034498B1 (en) 2019-10-21
KR102616434B1 (en) 2023-12-21
KR102034499B1 (en) 2019-10-21
KR102616433B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859B2 (en) Trailer with rear impact guard
US7784858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US8870224B2 (en) Engine cradle with deflector device
US6729639B2 (en) Tow hook mounting structure
US7980594B2 (en) Chassis frame especially for a heavy vehicle
US7775556B2 (en) Frame structure for working vehicle
KR100253881B1 (en) Suspension frame bracket
EP1053166B1 (en) A band device for vehicle wheels
US11225289B2 (en) Vehicle rear part structure
WO2015080088A1 (en) Structure for underrun protector
JP2001171560A (en) Structure for attaching towing hook for vehicle
KR20200104194A (en) Frame extension module and truck including the same
JP2009255665A (en) Cross member of vehicle
KR101927382B1 (en) Body frame structure of vehicle
JP6519554B2 (en) Vehicle rear structure
JP4506406B2 (en) Low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WO2015080089A1 (en) Structure for underrun protector
JP2000211555A (en) Vehicular chassis frame structure
JP2007045228A (en) Mounting structure for high roof
KR102423093B1 (en) Front side member for vehicle
JP5397603B2 (en) Muffler support structure
US20240132007A1 (en) Bumper assembly with a connecting device between a deformation element and a cross member, and motor vehicle
JP4712434B2 (en) Fastening hook structure of vehicle
WO2015068549A1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0155333Y1 (en) Fuel tank bracket of ca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