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091A -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091A
KR20200104091A KR1020190022553A KR20190022553A KR20200104091A KR 20200104091 A KR20200104091 A KR 20200104091A KR 1020190022553 A KR1020190022553 A KR 1020190022553A KR 20190022553 A KR20190022553 A KR 20190022553A KR 20200104091 A KR20200104091 A KR 20200104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ive layer
flexible
biosens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178B1 (ko
Inventor
이상남
Original Assignee
(주)사이언아스
주식회사 낫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이언아스, 주식회사 낫소 filed Critical (주)사이언아스
Priority to KR102019002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1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금이 차례로 적층되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층이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형성되어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자 전달을 촉진시켜 센싱의 민감도가 향상되고, 스퍼터링 증착, 스핀코팅 등을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전극에 도입된 화학작용기를 통해 효소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과정이 단순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Flexible biosensor for wearable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금이 차례로 적층되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층이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형성되어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자 전달을 촉진시켜 센싱의 민감도가 향상되고, 스퍼터링 증착, 스핀코팅 등을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전극에 도입된 화학작용기를 통해 효소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과정이 단순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는 분석물질과 생물학적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의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바이오센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실시간 현장진단 장비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증대됨에 따라 상기 바이오센서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연성을 가진 전극 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바이오센서가 제조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 제10-1873206호(2018. 06. 26. 등록) "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상기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이용되는 유연성을 가진 전극은 포토리소그래피 (Photolithography)를 사용하는 방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재료들 간을 접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되었는데, 위와 같은 같은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이 이용된 바이오센서의 경우,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센싱의 민감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순한 제작 과정을 통해 유연하며 높은 민감도를 가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금이 차례로 적층되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층이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형성되어,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자 전달을 촉진시켜 센싱의 민감도가 향상된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퍼터링 증착, 스핀코팅 등을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전극에 도입된 화학작용기를 통해 효소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과정이 단순화된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병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은 플렉서블 지지체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도성을 부여하는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전도성 금속과 전이금속 디칼코게아니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전도성부여층과, 상기 전도성부여층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하며 전이금속 디칼코게아니드를 포함하는 전자전달촉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는 20 내지 60u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전도층은 30 내지 700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는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이 사용되며, 상기 전도층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 상면에 형성되며 금으로 이루어진 제1의 전도성부여층과,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 상면에 형성되며 몰리브덴 화합물로 이루어진 전자전달촉진층과, 상기 전자전달촉진층 상면에 형성되며 금으로 이루어진 제2의 전도성부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은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형성되며, 상기 전자전달촉진층은 스핀 코팅기를 이용하여 몰리브덴 화합물 나노입자를 스핀코팅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의 전도성부여층은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과, 상기 전극에 결합하여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생체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물질은 글루코오스 산화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지지체에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제1의 전도성부여층을 형성하는 제1증착단계와, 이황화몰리브덴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제1의 전도성부여층이 형성된 지지체에 도포한 후 스핀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의 상면에 전자전달촉진층을 형성하는 스핀코팅단계와,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 전자전달촉진층이 차례로 형성된 지지체에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전자전달촉진층 상면에 제2의 전도성부여층을 형성하는 제2증착단계와, 상기 제2의 전도성부여층 상면에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반응시켜 전극에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을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단계 후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용액을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이 고정된 전극에 도포하여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전극에 고정시키는 효소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한 제작 과정을 통해 유연하며 높은 민감도를 가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금이 차례로 적층되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층이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형성되어,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자 전달을 촉진시켜 센싱의 민감도가 향상된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퍼터링 증착, 스핀코팅 등을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전극에 도입된 화학작용기를 통해 효소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과정이 단순화된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제조과정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의 SEM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의 AFM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의 EDS mapping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CV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amperometric i-t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검출한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선택적 글루코오스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바이오센서의 실제 샘플에서 글루코오스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극(1)은 플렉서블 지지체(11)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11)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도성을 부여하는 전도층(12)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12)은 전도성 금속과 전이금속 디칼코게아니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11)는 그 일면에 형성된 전도층(12)을 지지하며 전극(1)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11)는 20 내지 60u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12)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11)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도층(12)은 30 내지 700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도성부여층(13), 전자전달촉진층(1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부여층(13)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11)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극에 전도성을 부여한다. 상기 전도성 금속은 금, 은 등의 공지의 전도성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전자전달촉진층(14)에서 사용되는 디칼코게아니드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금이 사용되게 된다. 상기 전도성부여층(13)의 형성시 다양한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스퍼터링 증착을 이용하여 전도성부여층(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전달촉진층(14)은 상기 전도성부여층(13)의 하측 또는/및 상측에 위치하며 전이금속 티칼코게아니드(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로 이루어져 전자 전달을 촉진하게 된다. 상기 전이금속 티칼코게아니드는 공지된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황화몰리브덴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전달촉진층(14)의 형성시 다양한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스핀코팅을 이용하여 전자전달촉진층(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실시예로, 상기 전극(1)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11) 상면에 금으로 이루어진 제1의 전도성부여층(131)과,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131)의 상면에 몰리브덴 화합물(예컨대, 이황화몰리브덴)로 이루어진 전자전달촉진층(14)과, 상기 전자전달촉진층(14)의 상면에 금으로 이루어진 제2의 전도성부여층(132)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센싱의 민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생체물질(2)과, 상기 생체물질(2)과 결합하며 타겟물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극(1)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1)은 앞서 설명한 전극(1)이 사용됨으로, 상기 전극(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글루코오스를 센싱하는 바이오센서를 구체적인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생체물질(2)은 상기 전극(1)에 결합하며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글루코오스 산화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루코오스 산화효소(Glucose oxidase, GOx)는 상기 전극(1)에 도입된 6-메르캅토헥사노익산(Chemical linker)과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전극(1)에 고정되게 되며, 글루코오스를 굴루콘산과 과산화수소로 산화시키며, 이때 생산된 과산화수소는 하기의 반응식 1에 따라 반응하여 전자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전극(1)에서 변화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반응식 1)
과산화수소→ 2e + O2 + 2H+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는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금이 차례로 적층되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층이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에 형성되어,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자 전달을 촉진시켜 센싱의 민감도가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지지체(11)에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제1의 전도성부여층(131)을 형성하는 제1증착단계와, 이황화몰리브덴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제1의 전도성부여층(131)이 형성된 지지체(11)에 도포한 후 스핀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131)의 상면에 전자전달촉진층(14)을 형성하는 스핀코팅단계와,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131), 전자전달촉진층(14)이 차례로 형성된 지지체(11)에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전자전달촉진층(14) 상면에 제2의 전도성부여층을 형성하는 제2증착단계와, 상기 제2의 전도성부여층 상면에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반응시켜 전극에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을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단계 후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용액을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이 고정된 전극에 도포하여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전극에 고정시키는 효소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극의 제조
1.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Kapton polyimide film, 두께 25μm)을 아세톤에 넣고 30분간 초음파처리(Sonication)를 한 후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질소가스로 건조시켜 지지체를 준비하였다(세척단계). 상기 고분자 지지체 상면에 스퍼터링 증착장비(108 Auto sputter coater, Cressington Scientific Instruments, UK)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하여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제1금층을 형성하고(제1증착단계), 이황화몰리브덴(MoS2) 나노입자를 DMF에 초음파처리하여 분산시켜 10mg/mL의 농도를 가지는 분산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분산용액 100μL를 제1금층이 형성된 지지체 상면에 도포한 후 스핀 코팅기(A spin coater JS301, Jaesung Engineering, Korea)를 이용하여 3000rpm에서 30초 동안 스핀코팅을 진행하여 제1금층의 상면에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이황화몰리브덴층을 형성하였다(스핀코팅단계). 이후, 제1금층, 이황화몰리브덴층이 차례로 형성된 지지체 상면에 제1증착단계와 동일하게 금을 층착하여 이황화몰리브덴층의 상면에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제2금층을 형성하여(제2증착단계), 고분자 지지체 상면에 제1금층, 이황화몰리브덴층, 제2금층이 차례로 형성된 전극(전극 1)을 제조하였다.
2.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 대신 실리콘 기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지지체 상면에 제1금층, 이황화몰리브덴층, 제2금층이 차례로 형성된 전극(전극 2)을 제조하였다.
3. 스핀코팅단계 및 제2증착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 지지체 상면에 제1금층이 형성된 전극(전극 3)을 제조하였다.
4.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 대신 실리콘 기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3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지지체 상면에 제1금층이 형성된 전극(전극 4)을 제조하였다.
5. 제2증착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 지지체 상면에 제1금층, 이황화몰리브덴층이 차례로 형성된 전극(전극 5)을 제조하였다.
6. 상기 세척단계 후의 고분자 지지체 상면에 상기 스핀코팅단계와 동일하게 스핀코팅을 진행하여 지지체 상면에 이황화몰리브덴층을 형성하고, 이황화몰리브덴층이 형성된 지지체 상면에 제1증착단계와 동일하게 금을 층착하여 이황화몰리브덴층의 상면에 제1금층을 형성하여, 고분자 지지체 상면에 이황화몰리브덴층, 제1금층이 차례로 형성된 전극(전극 6)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바이오센서의 제조
1. 과산화수소와 황산을 2:8비율로 섞어 세척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전극 1 내지 6 각각을 상기 세척 용액에 처리한 후, 에탄올과 DI water 순으로 세척한 후 질소 가스로 건조하였다.
2. 이후, 6-mercaptohexanoic acid(6-MHA)와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을 각 전극에 도포한 후 4℃에서 3시간 처리하여 상기 6-MHA가 전극에 고정화되도록 하고, Glucose oxidase(GOx)와 PBS가 혼합된 용액(10mg/mL의 농도를 가짐) 20μL를 각 전극에 도포한 후 3시간 동안 처리하여 GOx가 전극에 고정된 바이오센서 1 내지 6을 준비하였다(GOx는 6-MHA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전극에 고정되게 되며, 바이오센서 1은 전극 1에 GOx가 고정되어 형성된 것을 의미함).
<실시예 3> 전극 제조의 확인
1. 실시예 1의 고분자 지지체, 전극 3 및 전극 1 각각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고, 실시예 1의 고분자 지치체, 전극 3, 전극 1을 원자력 현미경(AFM)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의 전극 1을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법(EDS)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인 EDS mapping 이미지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고분자 지지체의 SEM 이미지이고, 도 2의 (b)는 전극 3의 SEM 이미지이고, 도 2의 (c)는 전극 1의 SEM 이미지이다. 도 3의 (a)는 고분자 지지체의 AFM 이미지이고, 도 3의 (b)는 전극 3의 AFM 이미지이고, 도 3의 (c)는 전극 1의 AFM 이미지이다.
2. 도 2의 SEM 이미지를 보면, 전극 3의 경우 고분자 지지체 표면에 작은 금 알갱이들이 일정하게 깔린 것을 알 수 있고, 전극 1의 경우 표면에 약 20nm 내지 100nm 크기의 MoS2 나노입자가 깔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의 AFM 이미지를 보면, 고분자 지지체의 표면은 거의 평평하며, 전극 3의 표면은 작은 알갱이들이 깔린 것을 알 수 있으며, 고분자 지지체는 약 0.8nm, 전극 3은 3.6nm, 전극 1은 약 13.2nm의 높이 차이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EDS mapping 이미지를 보면, gold, Mo, S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Mo와 S의 비율이 1:2인 것을 통해 MoS2의 존재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분자 지지체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금이 차례로 적층된 전극이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바이오센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확인
1. 순환전압전류법(CV)을 통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센서 1 내지 6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5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CV 실험에서는 CHI-660A 장치(CH Instruments, Inc., USA)를 이용하였으며, PBS를 전해질로 하는 삼전극 시스템이 사용되었고, 바이오센서 1 내지 6 각각이 워킹 전극으로, Ag/AgCl 전극을 레퍼런스 전극으로, 백금 전극을 카운터 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였다. 도 5는 바이오센서 1 내지 4가 사용된 경우의 CV 그래프를 나타내며, 표 1은 바이오센서 1 내지 6이 사용된 경우의 -500mV에서 산화전류피크값을 나타낸다.
2. 도 5 및 표 1을 보면, 바이오센서 1의 경우 산화전류피크값 323.0μA이고, 바이오센서 2의 경우 산화전류피크값이 106.0μA이며, 바이오센서 3의 경우 산화전류피크값이 137.0μA이고, 바이오센서 4의 경우 산화전류피크값이 47.0μA이며, 바이오센서 5의 경우 산화전류피크값이 215.0μA이고, 바이오센서 6의 경우 산화전류피크값 220.0μA임을 알 수 있어, 고분자 지지체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금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의 산화전류피크값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바이오센서 1을 사용하는 경우 클루코오스 센싱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바이오센서 1 2 3 4 5 6
산화전류피크값 323.0μA 106.0μA 137.0μA 47.0μA 215.0μA 220.0μA
<실시예 5> 전극의 유연성 확인
1. Micro-fatigue tester 기계(E3000LT, Instron, UK)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전극 1, 3 및 4의 유연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유연성 분석은 전극 1 내지 3 및 고분자 지지체 각각을 상기 기계에 고정한 후, 위쪽에 고정된 팁을 이용하여 전극에 힘을 가하여 행하여졌으며, 굴곡 연장(Flexure extension)을 통해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 표 2를 보면, 전극 1의 경우 12MPa의 굴곡강도(Flexure strength)에서 굴곡연장값이 3.48mm이며, 전극 3의 경우 12MPa의 굴곡강도에서 굴곡연장값이 3.36mm이고, 전극 4의 경우 307.4MPa의 굴곡강도에서 굴곡연장값이 0.0938mm이며, 고분자지지체의 경우 12MPa의 굴곡강도에서 굴곡연장값이 3.58mm임을 확인할 수 있어, 고분자 지지체에 금, 이황화몰리브덴 및 금이 차례로 적층하여도 고분자지지체이 유연성에 영향을 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전극 1 전극 3 전극 4 고분자지지체
굴곡강도(MPa) 12 12 307.4 12
굴곡 연장(mm) 3.48 3.36 0.0938 3.58
<실시예 6>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글루코오스 측정
1. Amperometric i-t technique을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센서의 글루코오스 검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에서는 PBS를 전해질로 하는 삼전극 시스템이 사용되었고,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센서가 워킹 전극으로, Ag/AgCl 전극이 레퍼런스 전극으로, 백금 전극이 카운터 전극으로 각각 사용되고, -1.0V의 initial potential, 0.1초의 sampling interval 및 5×106(A/V)의 sensitivity로 진행되었다. 10mM 농도의 글루코오스 10μL를 5mL의 PBS 용액에 투입하여, 바이오센서 1 및 2가 각각 사용되었을 때 amperometric i-t curve 데이터를 얻어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바이오센서 1의 한계값(Detection limit)을 얻기 위해 넣어주는 글루코오스의 양을 500nM에서 5nM까지 줄여가며 amperometric i-t 전류값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바이오센서 1이 글루코오스만 선택적 측정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글루코오스와 더불어 동량의 L-ascorbic acid(AA) 및 uric acid(UA)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amperometric i-t curve 데이터를 얻어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제 샘플에서 바이오센서 1의 글루코오스 측정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액 샘플로 구성된 세럼(human serum)에 100nM의 글루코오스를 투입하여 amperometric i-t curve 데이터를 얻어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2. 도 6을 보면 바이오센서 1이 사용된 경우 바이오센서 2가 사용된 경우보다 더 큰 amperometric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7을 보면 바이오센서 1의 한계값이 10nM임을 알 수 있으며, 도 8을 보면 다른 물질과 함께 글루코오스가 존재하여도 글루코오스에만 선택적으로 amperometric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9를 보면 사람의 혈액 샘플에서 오직 글루코오스에만 amperometric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바이오센서 1이 높은 민감도를 가지고 글루코오스를 선택적으로 센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극 2: 생체물질 11: 지지체
12: 전도층 13: 전도성부여층 14: 전자전달촉진층

Claims (7)

  1.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사용되는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플렉서블 지지체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도성을 부여하는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전도성 금속과 전이금속 디칼코게아니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전도성부여층과, 상기 전도성부여층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하며 전이금속 디칼코게아니드를 포함하는 전자전달촉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는 20 내지 60u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전도층은 30 내지 700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는 플렉서블 고분자 필름이 사용되며,
    상기 전도층은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 상면에 형성되며 금으로 이루어진 제1의 전도성부여층과,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 상면에 형성되며 몰리브덴 화합물로 이루어진 전자전달촉진층과, 상기 전자전달촉진층 상면에 형성되며 금으로 이루어진 제2의 전도성부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은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형성되며, 상기 전자전달촉진층은 스핀 코팅기를 이용하여 몰리브덴 화합물 나노입자를 스핀코팅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의 전도성부여층은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과, 상기 전극에 결합하여 타겟물질과 반응하는 생체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물질은 글루코오스 산화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7. 플렉서블 지지체에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제1의 전도성부여층을 형성하는 제1증착단계와, 이황화몰리브덴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제1의 전도성부여층이 형성된 지지체에 도포한 후 스핀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의 상면에 전자전달촉진층을 형성하는 스핀코팅단계와, 상기 제1의 전도성부여층, 전자전달촉진층이 차례로 형성된 지지체에 스퍼터링 증착장비를 이용하여 금을 증착시켜 전자전달촉진층 상면에 제2의 전도성부여층을 형성하는 제2증착단계와, 상기 제2의 전도성부여층 상면에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반응시켜 전극에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을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단계 후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용액을 6-메르캅토헥사노익산이 고정된 전극에 도포하여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전극에 고정시키는 효소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90022553A 2019-02-26 2019-02-26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53A KR102261178B1 (ko) 2019-02-26 2019-02-26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53A KR102261178B1 (ko) 2019-02-26 2019-02-26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91A true KR20200104091A (ko) 2020-09-03
KR102261178B1 KR102261178B1 (ko) 2021-07-14

Family

ID=7245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53A KR102261178B1 (ko) 2019-02-26 2019-02-26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9477A (zh) * 2021-09-27 2022-01-28 西北工业大学 一种二硫化钼薄膜、制备方法、应用及柔性健康传感器
CN117825349A (zh) * 2024-03-05 2024-04-05 南京邮电大学 一种双模式光学传感体系及其检测葡萄糖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174Y2 (ja) * 1992-02-13 1999-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生体信号誘導電極
KR20140037702A (ko) * 2012-09-19 2014-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을 이용한 투명전자소자,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및 트랜지스터 소자
KR20180006835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및 그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174Y2 (ja) * 1992-02-13 1999-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生体信号誘導電極
KR20140037702A (ko) * 2012-09-19 2014-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을 이용한 투명전자소자,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및 트랜지스터 소자
KR20180006835A (ko) * 2016-07-11 2018-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및 그의 제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9477A (zh) * 2021-09-27 2022-01-28 西北工业大学 一种二硫化钼薄膜、制备方法、应用及柔性健康传感器
CN113979477B (zh) * 2021-09-27 2024-01-16 西北工业大学 一种二硫化钼薄膜、制备方法、应用及柔性健康传感器
CN117825349A (zh) * 2024-03-05 2024-04-05 南京邮电大学 一种双模式光学传感体系及其检测葡萄糖的方法
CN117825349B (zh) * 2024-03-05 2024-05-14 南京邮电大学 一种双模式光学传感体系及其检测葡萄糖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178B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ndir et al. Biosensing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triglycerides: A review
JP4374464B2 (ja) バイオセンサ
JP6933500B2 (ja) 酵素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イオセンサ
Palit et al. Ultrasensitive dopamine detection of indium-zinc oxide on PET flexible based extended-gate field-effect transistor
Islam et al. A mediator free amperometric bienzymatic glucose biosensor using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fibers (VACNFs)
Baş et al. Amperometric biosensors based on deposition of gold and platinum nanoparticles on polyvinylferrocene modified electrode for xanthine detection
Guzsvány et al. Screen-printed enzymatic glucose biosensor based on a composite made from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palladium containing particles
Roushani et al. Development of sensitive amperometric hydrogen peroxide sensor using a CuNPs/MB/MWCNT-C60-Cs-IL nanocomposite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KR102261178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Shukla et al. A Chitosan–Carbon Nanotube‐Modified Microelectrode for In Situ Detection of Blood Levels of the Antipsychotic Clozapine in a Finger‐Pricked Sample Volume
CN113130656A (zh) 一种场效应晶体管生物传感器及其制备方法和应用
Lou et al. A 3D bio-platform constructed by glucose oxidase adsorbed on Au nanoparticles assembled polyaniline nanowires to sensitively detect glucose by electrochemiluminescence
Al-Haidary et al. Development of polyaniline for sensor applications: A review
Rahman Fabrication of L-lactate biosensor based on redox species mediated lactate oxidase using micro-device
Hu et al. Glucose sensing on screen-printed electrochemical electrodes based on porous graphene aerogel@ prussian blue
Carvalho et al. New conductive ink based on carbon nanotubes and glass varnish for the construction of a disposable electrochemical sensor
Munje et al. Interfacial tuning for detection of cortisol in sweat using ZnO thin films on flexible substrates
Dhull et al. Development of nanostructured nickel oxide thin film matrix by rf sputtering technique for the realization of efficient bioelectrode
Rocha et al. Recent progress and future perspectives of polydopamine nanofilms toward functional electrochemical sensors
JP5052346B2 (ja) 二酸化チタンを基礎としたハイブリッド材料、並びに関連する調製方法及び使用
Gill et al. Advances in nanomaterials integration in CMOS-based electrochemical sensors: a review
US20170173036A1 (en) Phenothiazine/phenothiazone -graphene oxide composite
Li et al. Self-assembled sulfonated β-Cyclodextrin layer on gold electrode for the selective electroanalysis of dopamine
WO2019186128A1 (en) Biosensor
Santhosh et al. Paper Microfluidics Based on rGO/Polyaniline Nanofibers for Sensing Pyridox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