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211A -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효율을 높인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 - Google Patents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효율을 높인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211A
KR20200103211A KR1020190020858A KR20190020858A KR20200103211A KR 20200103211 A KR20200103211 A KR 20200103211A KR 1020190020858 A KR1020190020858 A KR 1020190020858A KR 20190020858 A KR20190020858 A KR 20190020858A KR 20200103211 A KR20200103211 A KR 20200103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pipe
flange
humid
odor ai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932B1 (ko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테크
Priority to KR102019002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9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24F2003/166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기능이 개선된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처리시설에서 발생한 다습한 악취 공기를 별도의 공기정화시설 없이 손쉽고 효율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이송 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Advanced deodorizing Conveying duct for humid air}
본 발명은 쓰레기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다습한 악취 공기를 처리하여 수분과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에 관한기술이다.
생활민원으로 제기되어 왔던 악취 발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그 중 대표적인 분야는 축산업, 하수 및 축산폐수처리 시설, 음식점, 세탁소, 찜질방, 미용실, 정비업 등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악취가 주요 민원으로 관리되기 시작하며 최근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 경기 아산국가산단 포승지구, 충남 서산시 삼성화학단지,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 부산 신평장림 피혁공업사업조합, 전북 익산제1산업단지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는 악취관리지역을 특별히 지정하여 관리할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악취는 원인에 따라 성분이 전혀 다른 특성이 있는데 음식점 배출 쓰레기에서는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아세트알데하이드, 트리메틸아민, 프로피온 알데하이드, 스티렌 성분 등이 대표적이며 의류 나염공장에서는 톨루엔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대표적이다.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 처리법, 생물학적 처리법, 물리적 처리법이 있다. 이 중 약액 세정법(Wet Scrubber Method)은 물에는 별로 용해되지 않으나 산, 알칼리의 수용액과 반응하는 악취성분 또는 특정 약액과 반응하는 악취성분을 산 또는 알칼리 세정액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방법이며 주로 암모니아, 아민류의 염기성 성분을 제거한다.
약액 세정법은 사용하는 약액에 따라 산 세정법, 알칼리 세정법, 산화제인 차아염소산나트륨, 이산화염소 등의 산화제를 이용한 산화제 용액 세정법, 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 용액 세정법 또는 기체상 산화제로서 오존, 이산화염소, 염소 등의 산화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래의 산 및 알칼리 세정을 위한 세정장치는 기-액접촉을 촉진하는 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산세정 반응실과 알칼리세정 반응실을 병렬로 설치한 후, 산세정액(H2SO4)은 산세정 반응실로, 알칼리세정액(NaOH)은 알칼리 세정 반응실로 공급하여 살수하여 산세정 반응실과 알칼리 반응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악취 물질로부터 염기성 악취물질과 산성 악취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의 탈취장치로는 소각장,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매립장 등 쓰레기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다습한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악취 물질의 성상 및 종류를 고려하지 않고 여러 방법을 무리하게 접목시켜 운전하고 있어 사실상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하는 축산폐수와 음식물처리장에는 운전하기에 다소 무리한 기종들이 타 기종과 결합한 상태로 설치되어 과도한 설치비로 경제적 손실과 공간적 손실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전에 있어 일부 기종들은 2차적 오염원을 발생시켜 또 다른 악취 유발이나 그 부산물의 2차적인 처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산 및 알칼리 세정장치는 부피가 크고 복잡하며 세정액의 소모가 과도하여 설치비 및 운전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83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5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특히 다습한 공기의 악취를 별도 공기정화시설 없이 손쉽고 효율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이송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습한 공기의 습기와 악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기술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는 다습한 악취 공기를 이송하는 원형 파이프와; 상기 원형 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원형 파이프 또는 가이드부재 표면에 형성되는 광촉매 코팅층과; 상기 원형 파이프 내부의 광촉매 코팅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송되는 악취 공기를 탈취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는 상기 원형 파이프에는 열전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하단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는 다습한 악취 공기를 이송하며 내주면에 나선형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복수의 원형 파이프와; 좌우측에 배치된 원형 파이프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관부와, 상기 한 쌍의 삽입관부의 중앙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환형의 돌부로 이루어져 좌우 양측에 이웃하는 원형 파이프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상기 원형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악취 공기를 탈취하는 광촉매부와; 상기 원형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악취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의 상기 광촉매부는, 상기 원형 파이프, 가이드부재 및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는 광촉매 코팅층과, 상기 삽입관부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원형 파이프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삽입관부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열전소자와 및 냉각필터를 포함하는 열전냉각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하단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에서 상기 플랜지는 내주면에 상기 냉각필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플랜지와, 내주면에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에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는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배치된 삽입관부에는 상기 열전냉각모듈이 설치되고, 타측에 배치된 삽입관부에는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는 쓰레기처리시설에서 발생한 다습한 악취 공기를 별도의 공기정화시설 없이 손쉽고 효율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의 제1실시예에서 냉각과 탈취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원형 파이프에 가이드부재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원형 파이프에 나선형의 가이드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촉매 코팅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과 달리 하나의 플랜지에 냉각수단과 열전냉각모듈이 설치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다습한 악취공기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가 설치되는 쓰레기처리시설은 예를 들어 쓰레기 매립시설, 소각시설, 보관시설, 중간처리시설, 쓰레기 감량화 시설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음식물 쓰레기나, 분뇨와 같이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쓰레기처리시설의 경우에는 환경 오염, 위생, 작업성 개선을 위해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다습한 악취 공기를 탈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탈취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처리과정에 시설된 이송 덕트 내에서 효율적으로 다습한 악취 공기를 탈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의 제1실시예에서 냉각과 탈취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원형 파이프에 가이드부재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원형 파이프에 나선형의 가이드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100)는 다습한 악취 공기(113)를 이송하는 원형 파이프(110)와, 상기 원형 파이프(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가이드부재(119)와, 상기 원형 파이프(110) 또는 가이드부재(119) 표면에 형성되는 광촉매 코팅층(121)과, 상기 원형 파이프(110) 내부의 광촉매 코팅층(121)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 파이프(110)는 다습한 악취 공기(113)가 이송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형 가이드부재(119)는 원형 파이프(110) 내에서 이송되는 다습한 악취 공기(113)가 마찰하며 와류를 형성하여 원형 파이프(110) 또는 가이드부재(119) 표면에 형성된 광촉매 코팅층(121)과의 접촉을 더욱 활성화시키게 함으로써 탈취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의 표면에는 요철부를 더 부가하여 이송되는 공기와 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원형 파이프(11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의 다수의 가이드부재(119)를 직사각형의 금속 판(110a)에 사선 방향으로 부착한 다음 원통 형상으로 말아서 접합함으로써 나선형의 가이드부재를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접합하기 전 금속 판 또는 가이드부재(119) 표면에 광촉매 코팅도료를 도포하여 광촉매 코팅층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119)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성형성, 내약품성, 내구성, 내열성이 모두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탄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램프(123)는 도 1a와 같이 상기 원형 파이프(110) 내벽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b와 같이 원형 파이프(11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도 1b의 경우 원형 파이프(110)는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게 일측에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광투과부(111)가 마련된다.
상기 광촉매 코팅층(121)은 이산화티탄(TiO2), 산화텅스텐(WO3) 등을 포함하는 도료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자외선 램프(123)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촉매가 활성화되어 유기화합물 악취 성분을 분해하여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형 파이프(110)에는 열전소자(131)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열전소자(131)는 원형 파이프(110)에서 이송되는 다습한 악취 공기가 고온인 경우 냉각함으로써 수증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이때 냉각되어 응축된 응축수(117)는 원형 파이프의 하단에 마련된 드레인홀(115)을 통해 원형 파이프(110)에서 배출된다. 상기 드레인홀(115)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15a)를 설치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응축수(117)를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수분센서를 활용하여 일정한 시간 또는 저장량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필터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태로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접촉되는 공기와 최대한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터는 외부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원형파이프(110)에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연속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응축수로 응축되는 경우 악취 성분 또한 수분의 응축시 용해되어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다습한 공기의 탈취 효율은 크게 높아진다.
열전소자(131)는 전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도체 사이의 접합의 한쪽은 가열되는 반면, 다른 한쪽은 냉각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인데, N 타입과 P 타입 열전반도체 소자 1쌍이 기본 단위로 사용되며 직류(DC) 전압을 양단에 인가하면 N 타입에서는 전자(Electron)의 흐름에 따라, P 타입에서는 정공(Hole)의 흐름에 따라 열이 이동하여 흡열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열전소자(131)는 원형 파이프(110) 내측 방향에서 흡열을 하여 고온의 악취 공기를 냉각하고, 원형 파이프(110) 외측 방향으로 발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광촉매 코팅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100)는 쓰레기처리시설에서 발생한 다습한 악취 공기(113)를 이송하는 복수의 원형 파이프(110)와, 좌우측에 배치된 원형 파이프(1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관부(151)와, 상기 한 쌍의 삽입관부(151)의 중앙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환형의 돌부(153)로 구성되어 좌우 양측에 이웃하는 원형 파이프(1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50)와, 상기 원형 파이프(110)를 통해 이송되는 악취 공기(113)를 탈취하는 광촉매부(120)와, 상기 원형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악취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복수 개의 원형 파이프를 플랜지로 연결하는 이송 덕트에서 간편하게 냉각과 탈취를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원형 파이프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제조 비용, 탈취 효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이드부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원형 파이프에 나선형의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와류가 형성되지 않아 냉각, 탈취 효율은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시중에서 유통되는 원형 파이프(덕트)를 별도의 가공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광촉매부(120)는 광촉매 코팅층과, 자외선 램프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광촉매 코팅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50)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50)와 원형 파이프(11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삽입관부(151)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광촉매 코팅층(121)이 형성된 영역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삽입관부(15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열전소자(131)와, 냉각필터(133)을 포함하는 열전냉각모듈(130)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냉각필터(133)는 냉각팬을 더욱 갖춤으로써 냉각효과를 더욱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파이프의 하단에는 드레인홀(115)이 형성되어 상기 열전냉각모듈(13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응축되어 생기는 응축수(117)가 상기 드레인홀(115)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플랜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상기 냉각필터(133)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플랜지(150a)와, 내주면에 자외선 램프(123)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플랜지(1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150a)와 제2플랜지(150b)는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조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도 3과 달리 하나의 플랜지에 냉각수단과 열전냉각모듈이 동시에 설치된 것으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플랜지가 도 3과 같이 제1플랜지, 제2플랜지가 구분된 구조가 아니고, 도 6과 같이 하나의 플랜지의 일측에 배치된 삽입관부(151)에는 상기 열전냉각모듈(130)이 설치되고, 타측에 배치된 삽입관부(151)에는 자외선 램프(123)가 설치되도록 연속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열전냉각모듈과 자외선램프는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정 길이만큼 길게 연장하여 각각 연속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랜지에 열전냉각모듈과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는 구조는 이송 덕트의 길이, 악취 공기의 종류, 유량 등 제반 사정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냉각 모듈이나 자외선 램프 수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송 덕트 110 : 원형 파이프
111 : 광투과부 113 : 다습한 악취 공기
115 : 드레인홀 115a : 솔레노이드 밸브
117 : 응축수 119 : 가이드부재
120 : 광촉매부 121 : 광촉매 코팅층
123 : 자외선 램프 130 : 열전냉각모듈
131 : 열전소자 133 : 냉각팬
150 : 플랜지 151 : 삽입관부
153 : 돌부

Claims (7)

  1. 다습한 악취 공기를 이송하는 원형 파이프와;
    상기 원형 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원형 파이프 또는 가이드부재 표면에 형성되는 광촉매 코팅층과;
    상기 원형 파이프 내부의 광촉매 코팅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송되는 악취 공기를 탈취하는 자외선 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파이프에는 열전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하단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
  3. 다습한 악취 공기를 이송하며 내주면에 나선형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복수의 원형 파이프와;
    좌우측에 배치된 원형 파이프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관부와, 상기 한 쌍의 삽입관부의 중앙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환형의 돌부로 이루어져 좌우 양측에 이웃하는 원형 파이프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상기 원형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악취 공기를 탈취하는 광촉매부와;
    상기 원형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악취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는,
    상기 원형 파이프, 가이드부재 및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는 광촉매 코팅층과, 상기 삽입관부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원형 파이프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삽입관부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열전소자와 및 냉각필터를 포함하는 열전냉각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하단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내주면에 상기 냉각필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플랜지와, 내주면에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는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배치된 삽입관부에는 상기 열전냉각모듈이 설치되고, 타측에 배치된 삽입관부에는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기능이 개선된 이송 덕트.
KR1020190020858A 2019-02-22 2019-02-22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효율을 높인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 KR10218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58A KR102182932B1 (ko) 2019-02-22 2019-02-22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효율을 높인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58A KR102182932B1 (ko) 2019-02-22 2019-02-22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효율을 높인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11A true KR20200103211A (ko) 2020-09-02
KR102182932B1 KR102182932B1 (ko) 2020-11-26

Family

ID=7246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58A KR102182932B1 (ko) 2019-02-22 2019-02-22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효율을 높인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945A (ko) * 2020-10-20 2022-04-27 이헌주 공기 정화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209A (ja) * 1998-01-26 1999-08-06 Daikin Ind Ltd ダクト設置型光触媒ユニット
JP2000079324A (ja) * 1998-07-07 2000-03-21 Kyowa Gijutsu Keikaku Kk 光触媒機能付き螺旋形構造体装着筒
KR100932517B1 (ko) 2009-05-19 2009-12-17 김성종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대기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298376B1 (ko) 2013-01-11 2013-08-20 (주)엠비티 덕트 설치형 탈취장치
KR20170001438A (ko) * 2015-06-26 2017-01-04 이영민 드레스룸 환경조성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209A (ja) * 1998-01-26 1999-08-06 Daikin Ind Ltd ダクト設置型光触媒ユニット
JP2000079324A (ja) * 1998-07-07 2000-03-21 Kyowa Gijutsu Keikaku Kk 光触媒機能付き螺旋形構造体装着筒
KR100932517B1 (ko) 2009-05-19 2009-12-17 김성종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대기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298376B1 (ko) 2013-01-11 2013-08-20 (주)엠비티 덕트 설치형 탈취장치
KR20170001438A (ko) * 2015-06-26 2017-01-04 이영민 드레스룸 환경조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945A (ko) * 2020-10-20 2022-04-27 이헌주 공기 정화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932B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402B1 (ko) 산업용 탈취기
KR1012533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WO2005105675A1 (en) Water sterilizing purified equipment using photocatalyst and ultraviolet lamp and purified system
KR101946320B1 (ko) 광촉매를 이용한 다단 정화장치
KR102182932B1 (ko) 다습한 악취공기의 탈취 효율을 높인 쓰레기처리시설용 이송 덕트
KR20180113247A (ko) 다양한 구조의 메디아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장치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102322602B1 (ko) 플라즈마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이용하여 피처리물질에서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KR101789146B1 (ko) 약액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101217258B1 (ko) 가스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0395427B1 (ko) 탈취기
KR102388987B1 (ko) 오물 처리용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898530B1 (ko) 광촉매 정화장치
KR100832888B1 (ko) 광촉매 회전용 블래이드를 구비한 정화장치
KR101303687B1 (ko) 광촉매 정화장치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CZ31903U1 (cs) Zařízení pro čištění odpadního vzduchu
KR102241225B1 (ko) 모듈형 공기정화장치
KR100732497B1 (ko) 광촉매 정수장치
KR101789148B1 (ko) 기-액 접촉 효율이 향상된 기-액 접촉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KR102565792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에너지 절감형 악취저감시스템
KR102431219B1 (ko) 약액 세정식 플라즈마 산화 복합 탈취장치 및 그 방법
KR200497987Y1 (ko) 탈취 유니트
JP3842103B2 (ja) 脱臭装置用ユニット部材
CN213387894U (zh) 一种分步式工业废水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