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00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001A
KR20200103001A KR1020207017596A KR20207017596A KR20200103001A KR 20200103001 A KR20200103001 A KR 20200103001A KR 1020207017596 A KR1020207017596 A KR 1020207017596A KR 20207017596 A KR20207017596 A KR 20207017596A KR 20200103001 A KR20200103001 A KR 2020010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direction
starting point
region
absorbent articl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마루야마
요우스케 소가베
세이 이시카와
겐이치로 구로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25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8571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2549A external-priority patent/JP6857118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02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including dispos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흡수성 물품(10)은, 본체부(20)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갖는다. 본체부는,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과,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을 갖는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는, 본체부를 전후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80)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는 제1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영역의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은 제1 영역의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보다 짧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때에는,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일단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고, 상기 둥글게 만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타단을 테이프 부재에 의해 고정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0747호 공보
그러나, 폐기시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하고 있어, 사용전과 비교하여 그 두께가 두껍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 때에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테이프 부재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만 상태로 고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일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보다 짧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보다 짧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으로 감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변형예 1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도 6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2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일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보다 짧다.
사용자는, 폐기시에 제2 영역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고, 테이프 부재에 의해 둥글게 만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고정한다. 이 때,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의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이 짧기 때문에,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 수 있다. 또한,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도 복수의 절곡 기점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모두 용이하게 둥글게 말 수 있고, 또한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보다 많다.
일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절곡 기점부의 수가 많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의 내측에 많은 변형 기점이 형성되어, 컴팩트하게 보다 둥글게 말기 쉽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보다 짧다.
사용자는, 폐기시에 제2 영역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고, 테이프 부재에 의해 둥글게 만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고정한다. 이 때, 둥글게 말았을 때에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은,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따라 감긴다. 제1 영역의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이 짧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을 짧은 간격으로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을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더라도, 제1 영역을 원 형상으로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또한,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도 복수의 절곡 기점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모두 절곡 기점부에 의해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 수 있고, 또한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보다 많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 절곡 기점부의 수가 많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의 외측에 많은 변형 기점이 형성되어, 보다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통상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 때에,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 또는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기 시작한다. 그 중 약 8할의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둥글게 말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는,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길다.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가 길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 의해 덮을 수 있어, 둥글게 만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압착부를 포함한다.
압착부는,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또한 두께가 얇다. 상기 압착부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함으로써,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압착부는,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해 움푹 패어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폐기시에 배설물이 부착된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만다.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해 압착부가 움푹 패어 있기 때문에, 피부 대향면측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 인접하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흡수 코어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상이한 단위중량 변화부를 포함한다.
단위중량 변화부는,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상이하고, 흡수 코어의 두께 및 강성이 상이하다. 상기 단위중량 변화부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함으로써,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단위중량 변화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에 대하여 단위중량이 낮은 저단위중량부이며,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상기 저단위중량부의 피부 대향면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저단위중량부의 피부 비대향면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폐기시에 배설물이 부착된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만다. 저단위중량부의 피부 대향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저단위중량부의 피부 비대향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피부 대향면측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이 마주보도록 접히는 접음선을 포함한다.
접음선의 접은 자국에 의해 피부 대향면측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 때의 변형 기점이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전역을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제1 절곡 기점부와,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제2 절곡 기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절곡 기점부의 수는 상기 제2 절곡 기점부의 수보다 많다.
제1 절곡 기점부의 수가 제2 절곡 기점부가 수보다 많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 때에 폭 방향보다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보다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기 쉽고, 또한 둥글게 만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의 1/3까지의 범위에 3개 이상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를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만 상태의 둘레 길이는, 일반적으로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대한 1/3 정도가 된다.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대한 1/3은,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 부분에 3개 이상의 절곡 기점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둥글게 만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2) 흡수성 물품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실금 패드, 분변 패드 또는 땀흡수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좋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피부 대향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쪽에 상당한다. 「피부 비대향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쪽에 상당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전후 방향으로 감긴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쪽)으로부터 후측(등쪽)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물품(10)은, 본체부(20)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갖는다. 본체부(20)는, 착용자의 피부로 향해진 표면 시트(21)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23)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21)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쪽으로 향한다. 이면 시트(22)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한다. 흡수 코어(23)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체부(20)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20CL)에 대하여 전후 방향(L)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과,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20CL)에 대하여 전후 방향(L)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을 가져도 좋다. 제1 영역(R1)은, 테이프 부재(60)가 고정된 영역이며, 제2 영역(R2)은, 테이프 부재(60)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영역(R1)은,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20CL)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하고, 제2 영역(R2)은,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20CL)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영역(R1)은, 본체부(20)의 후단 가장자리와 중심(20CL) 사이의 영역이고, 제2 영역(R2)은, 본체부(20)의 전단 가장자리와 중심(20CL) 사이의 영역이다.
본체부(20)는 압착부(26)를 가져도 좋다. 압착부(26)는, 적어도 흡수 코어(23)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으면 되며, 표면 시트(21)와 흡수 코어(23)가 압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압착부(26)는, 주위보다 밀도가 높고, 그 강성이 높다. 압착부(26)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움푹 패어도 좋다.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이면 시트측으로 압축하는 것에 의해, 압착부(26)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움푹 패인 형상이 된다.
흡수 코어(23)는, 저단위중량부(25) 및 고단위중량부(27)(도 5 참조)를 가져도 좋다. 저단위중량부(25)는, 주위와 비교하여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낮은 영역이다. 여기서, 「저단위중량부」는, 그 주위의 흡수 코어보다 낮은 단위중량을 갖는 흡수 코어로 이루어진 영역 또는 흡수 코어를 갖지 않는 영역(즉, 단위중량이 0인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고단위중량부(27)는, 주위와 비교하여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높은 영역이다. 저단위중량부(25) 및 고단위중량부(27)는, 후술하는 단위중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본체부(20)는, 힙플랩(50)을 갖고 있어도 좋다. 힙플랩(50)은,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중심(20CL)보다 후측에서, 폭 방향(W)으로 팽창된 부분이다. 힙플랩(50)은, 폭 방향(W)에서의 흡수 코어(23)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팽창된 부분이다. 본체부(20)는 윙을 가져도 좋다. 본체부(20)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갖는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며, 흡수 코어(23)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0)는,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마련된 점착부(52, 70)를 가져도 좋다. 점착부(52, 70)는, 흡수성 물품(10)을 착용 물품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가 마련된 영역이다. 점착부는, 본체 점착부(70)와, 플랩 점착부(52)를 포함해도 좋다.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마련된 점착부(52, 70)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부(52, 70)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의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10)을 감은 상태로 테이프 부재(60)를 고착시켜, 감은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점착부(52, 70)는, 착의에 고정하는 용도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고착하는 용도의 두가지로 겸용할 수 있다.
본체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10)의 두께 방향(T)에서, 흡수 코어(23)와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70)는, 적어도 배설구 대향 영역(S1)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후방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체 점착부(70)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플랩 점착부(52)는 힙플랩(50)에 마련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0)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된 접음선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접음선은,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이 마주보도록 접히는 접음선이어도 좋다. 도 1,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의 접음선은, 제1 접음선(F1)과, 제2 접음선(F2)과, 제3 접음선(F3)을 갖고 있다. 제1 접음선(F1)은,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에 가장 가까운 접음선이다. 제2 접음선(F2)은, 흡수성 물품(10)의 후단 가장자리(E2)에 가장 가까운 접음선이다. 제3 접음선(F3)은, 제1 접음선(F1)과 제2 접음선(F2) 사이에 배치된다. 또, 접음선은, 4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접음선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시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0)을 접기 위한 라인이다.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20)의 제1 영역(R1)에 고정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0)에 고정된 고정부(62)를 가져도 좋다. 고정부(62)는, 테이프 부재(60)의 일단에 마련되어도 좋다. 고정부(62)는,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본체부(20)에 고정되어도 좋다. 고정부(62)는,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을 구성하는 이면 시트(22)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2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64)를 가져도 좋다. 비고정부(64)는, 이면 시트(22)에 고정되고 있지 않고,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를 조작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사용할 때에, 비고정부(64)를 인장하거나, 고정부(62)를 기점으로 비고정부(64)를 접거나 한 후에, 비고정부(64)를 본체부(20)에 고착한다. 비고정부(64)는, 신장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비고정부(64)의 신장 방향은, 고정부(62)로부터 비고정부(64)로 향하는 방향이어도 좋다. 고정부(62)와 비고정부(64)가 전후 방향(L)으로 인접하는 구성에서는, 신장 방향은 전후 방향(L)이어도 좋다. 여기서, 「신장」이란,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에 의한 신장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테이프 부재(60)는, 신축성 시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에 가고정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도 좋다. 가고정부는, 본체부(20)의 피부 비대향면인 이면 시트(22)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도 좋다. 가고정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사용전(제조시, 착용시)에 비고정부(64)가 말리거나, 비고정부(64)가 접히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고정부의 접합력은, 고정부(62)의 접합력보다 낮아도 좋다. 가고정부의 접합력이 고정부(62)의 접합력보다 낮기 때문에,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의 사용시에 용이하게 가고정부를 박리하고, 비고정부(64)를 잡아 테이프 부재(60)를 조작할 수 있다. 가고정부의 고정 수단으로는, 접착제, 엠보스 가공, 열용착, 초음파 용착을 예시할 수 있고, 고정부(62)보다 접착제의 도포량(면적, 단위중량)을 적게 하거나, 고정부(62)보다 엠보스 가공의 압착을 약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가고정부는, 본체부의 외연의 엠보스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감긴 상태의 본체부(20)에 고착하여, 흡수성 물품(10)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본체부(20)에 대하여 고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고정부(64)가 본체부(20)에 고착되는 구성은, 본체부(20)의 점착부이어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마련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착 수단이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본체부(20)에 대하여 고착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고정부(62)가 본체부(20)에 고착되는 구성은, 본체부(20)의 점착부이어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마련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착 수단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본체 점착부(70)를 통해 폐기시에 본체부(20)에 고착한다. 본체부(20)의 점착부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본체부(20)에 고착되는 구성에서는, 비고정부(64)에는, 점착제 등의 고착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60)는, 신장되지 않은 상태(자연 상태)에서 본체부(20)의 외연(20E)보다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는, 피부 대향면측에서 보면, 본체부(20)에 가려진 상태이어도 좋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60)는, 신장된 상태(신장 상태)에서 본체부(20)의 외연(20E)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후에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감은 후, 테이프 부재(60)를 본체부(20)의 외연(20E)보다 외측으로 연장시켜, 본체부(20)에 테이프 부재(60)를 고착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10)의 사용중에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체부(20)의 외연(20E)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후에, 외측으로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 등에 고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60)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와 본체 점착부(70)의 접합력의 저하 또는 테이프 부재의 고착 수단의 접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0)의 사용중에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마련되고, 본체부(20)의 외연(20E)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60)는, 신장되지 않은 상태(자연 상태)에서 본체부(20)의 외연(20E)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는, 피부 대향면측에서 보면, 시인 가능한 상태이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통상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 때에,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 또는 후단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둥글게 말기 시작한다. 그 중, 약 8할의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로부터 둥글게 말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중심(20CL)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23)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쳐, 또는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제1 접음선(F1)∼제3 접음선(F3) 중의 가장 후측의 제2 접음선(F2)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약 8할의 사용자는, 사용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전측으로부터 감기 시작한다. 테이프 부재(60)가 제2 접음선(F2)보다 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많은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로부터 둥글게 말기 시작하고, 다 감은 끝부분을 테이프 부재(60)에 의해 고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면 시트는, 단위중량 30 g/㎡의 에어스루 부직포(PE/PET)로 구성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의 사이에 세컨드 시트가 마련되어도 좋다. 세컨드 시트로는, 표면 시트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부의 폭 방향의 외측에는, 표면 시트가 배치되지 않고,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로는, 단위중량 13 g/㎡의 SMS 부직포(PP)로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코어의 흡수 재료는,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와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재료 전체의 중량에 대한 고흡수 폴리머의 중량의 비율은 10%이어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은, 주위의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은 950 g/㎡이어도 좋고, 주위의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은 300 g/㎡이어도 좋다. 이면 시트는, 단위중량 2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비통기 타입)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의 단위중량은 27 g/㎡이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마련되어도 좋다. 각 본체 점착부의 폭 방향의 길이는 5 mm, 각 본체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320 mm이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420 mm,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길이는 200 mm이어도 좋다.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단위중량 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긴 방향의 길이는 45 mm, 테이프 부재의 짧은 방향의 길이는 25 mm이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는, 단위중량 100 g/㎡의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어도 좋다. 접착제는 폭 21 mm, 또한 길이 5 mm의 범위로 도포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이면 시트측의 면은 인쇄되어도 좋다. 인쇄는 핑크계의 우레탄계 잉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신장하는 테이프 부재로는, 단위중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 단위중량 10 g/㎡의 스티렌계 고무층 및 단위중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의 절곡 기점부(80)에 관해 설명한다. 절곡 기점부(80)는,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절곡할 때의 기점이 된다. 절곡 기점부(80)는, 강성차, 두께차, 단위중량차 등에 의해 본체부(20)를 절곡하기 쉽게 한다.
절곡 기점부(80)는 압착부(26)를 포함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부(26)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는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또한, 복수의 압착부가 전후 방향으로 틀어져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각각의 압착부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가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하는 압착부는, 흡수 코어를 압축한 부분이며, 표면 시트만을 압축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압착부(26)는, 압착부(2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또한 두께가 얇다. 상기 압착부(26)가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함으로써,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본체부(20)를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적합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26)는,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움푹 패어 있어도 좋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폐기시에 배설물이 부착된 피부 대향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만다.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을 향해 압착부(26)가 움푹 패어 있기 때문에, 피부 대향면측(T1)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 대향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80)는, 단위중량 변화부를 포함해도 좋다. 단위중량 변화부는, 전후 방향(L)에서 인접하는 영역에 대하여 흡수 코어(23)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상이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23)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는 단위중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고단위중량부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도 단위중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저단위중량부는 전후 방향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저단위중량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20 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저단위중량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은 단위중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저단위중량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20 mm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저단위중량부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가 단위중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복수의 저단위중량부가 마련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저단위중량부가 이어져 있는 경우에는, 전후 방향으로 떨어진 저단위중량부의 각각이 단위중량 변화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중량 변화부는,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상이하고, 흡수 코어(23)의 두께 및 강성이 상이하다. 상기 단위중량 변화부가 절곡 기점부를 구성함으로써,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80)는, 단위중량 변화부로서의 흡수 코어(23)에 마련된 저단위중량부(25)를 포함해도 좋다. 저단위중량부(25)는, 저단위중량부(2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또한 두께가 얇다. 저단위중량부(25)가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함으로써, 두께차 및 강성차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단위중량 변화부로서의 저단위중량부(25)는,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전후 방향(L)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저단위중량부(25)의 피부 대향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L251)는, 저단위중량부(25)의 피부 비대향면의 전후 방향(L)의 길이(L252)보다 길어도 좋다. 저단위중량부(25)의 피부 대향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L251)가 저단위중량부(25)의 피부 비대향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L252)보다 길기 때문에, 피부 대향면측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80)는, 흡수성 물품(10)의 피부 대향면이 마주보도록 접히는 접음선(F1, F2 및 F3)을 포함해도 좋다. 접음선이 전후 방향(L)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있는 구성에서는, 접음선(F1, F2 및 F3)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가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접음선(F1, F2 및 F3)의 접은 자국에 의해 피부 대향면측이 근접하도록 변형되기 쉬워,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즉, 절곡 기점부(80)는, 압착부(26), 저단위중량부(25) 및 접음선의 적어도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10)을 전후 방향으로 감기 쉬워져, 둥글게 만 상태로 폐기하기 쉬워진다.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각각에는 절곡 기점부(80)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즉, 절곡 기점부(80)는, 제1 영역(R1)에 복수 마련되고, 또한 제2 영역(R2)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각각에 복수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 전체를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간격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절곡 기점부끼리의 전후 방향의 거리이어도 좋다. 또, 절곡 기점부(80)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각각이 절곡 기점부(80)로서 기능한다. 단, 절곡 기점부(80)끼리의 전후 방향의 거리가 5 mm 이하인 경우에는, 일체화한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5 mm 이하의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절곡 기점부(80) 전체가 1개의 절곡 기점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의 절곡 기점부(80)는, 흡수 코어의 전단 가장자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쌍의 점형의 압착부(26), 본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압착부(26), 제1 접음선(F1), 저단위중량부(25), 저단위중량부(25) 및 제3 접음선(F3)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는, 제3 접음선(F3),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제2 접음선(F2),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및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은,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보다 짧다. 간격은, 각 영역에서 전후 방향(L)으로 인접하는 절곡 기점부(80)끼리의 간격이다. 상기 간격은, 흡수성 물품의 외단 가장자리와, 가장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절곡 기점부(80)의 거리도 포함한다. 평균 간격은, 예컨대, 제1 영역(R1)에 2개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상기 2개의 절곡 기점부(80)의 간격(D1)이다. 또한, 제1 영역(R1)에 제1 절곡 기점부, 제2 절곡 기점부 및 제3 절곡 기점부의 3개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제1 절곡 기점부와 제2 절곡 기점부의 간격과, 제2 절곡 기점부와 제3 절곡 기점부의 간격의 평균치이다. 또한, 간격은, 제1 절곡 기점부와 제2 절곡 기점부의 전후 방향의 거리이며, 예컨대, 제1 절곡 기점부의 후단 가장자리와 제2 절곡 기점부의 전단 가장자리의 전후 방향(L)의 거리이다. 도 1에, 제1 영역(R1)에서의 절곡 기점부(80)의 간격(D1)과,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간격(D2)을 나타낸다. 또, 복수의 절곡 기점부(80) 전체가 1개의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경우는, 5 mm 이하의 간격으로 마련된 절곡 기점부끼리의 간격은 절곡 기점부(80)의 간격에 포함하지 않는다.
또, 폭 방향(W)을 따르는 동일 라인상에 동일 형상의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동일 라인상의 절곡 기점부 중 1개만을 선택하여 전후 방향의 간격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영역(R2)에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둔 점형의 압착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점형의 압착부(26)는, 폭 방향(W)을 따르는 동일 라인(FL1)상에 마련된 제1 점형 압착부(261) 및 제2 점형 압착부(262)를 갖는다. 제1 점형 압착부(261) 및 제2 점형 압착부(262)와 전후 방향(L)으로 이격하여, 제3 점형 압착부(26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을 산출할 때에는, 제1 점형 압착부(261)와 제3 점형 압착부(263)의 간격(D2)을 산입(算入)하고, 제2 점형 압착부(262)와 제3 점형 압착부(263)의 간격(D2)을 산입하지 않아도 좋다. 제1 점형 압착부(261) 및 제2 점형 압착부(262)가 협동하여,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구부리는 기점으로서 기능하고, 전후 방향(L)으로 틀어진 절곡 기점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폐기시에 제2 영역(R2)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고, 테이프 부재(60)에 의해 둥글게 만 상태의 흡수성 물품(10)을 고정한다. 이 때,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이 짧기 때문에,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 수 있다. 또한,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에도 복수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 모두 용이하게 둥글게 말 수 있고, 또한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0)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고, 테이프 부재(60)에 의해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수는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의 수보다 많아도 좋다.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의 수가 많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의 내측에 많은 변형 기점이 형성되어, 컴팩트하게 보다 둥글게 말기 쉽다. 절곡 기점부(80)의 수는, 모든 절곡 기점부(80)의 수를 더하는 것에 의해 산출한다. 예컨대, 폭 방향(W)을 따르는 동일 라인상에 동일 형상의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동일 라인상의 절곡 기점부 중 1개만을 선택하지 않고, 모든 절곡 기점부를 더하여 절곡 기점부의 수를 산출한다.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 때에는, 전후 방향으로 감으려고 해도 전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감겨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점형 압착부(261)와 제2 점형 압착부(262)는, 상이한 굴곡 기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절곡 기점부(80)는,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구성은, 폭 방향(W)과 평행한 구성뿐만 아니라, 폭 방향(W)에 대하여 45도 미만으로 경사진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말 때의 변형 기점이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흡수성 물품(10)의 폭 방향 전역을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점형이어도 좋고, 띠 모양이어도 좋고, 원호형이어도 좋고, 다각 형상이어도 좋다. 절곡 기점부(80)는, 제1 절곡 기점부(81)와, 제2 절곡 기점부(82)를 가져도 좋다. 제1 절곡 기점부(81)의 폭 방향(W)의 길이(W81)는, 제1 절곡 기점부(81)의 전후 방향(L)의 길이(L81)보다 길다. 제2 절곡 기점부(82)의 전후 방향(L)의 길이(L82)는, 제2 절곡 기점부(82)의 폭 방향(W)의 길이(W82)보다 길다. 본체부(20)는, 제1 절곡 기점부(81)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L)으로 굴곡되기 쉬워지고, 제2 절곡 기점부(82)를 기점으로 하여 폭 방향(W)으로도 굴곡되기 쉬워진다. 흡수성 물품 전체에서의 제1 절곡 기점부(81)의 수는 제2 절곡 기점부(82)의 수보다 많아도 좋다.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 때에 폭 방향보다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보다 컴팩트하게 둥글게 말기 쉽고, 또한 둥글게 만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적합하게는, 제2 영역(R2)에서, 제1 절곡 기점부(81)의 수는 제2 절곡 기점부(82)의 수보다 많고, 제1 영역(R1)에서, 제1 절곡 기점부(81)의 수는 제2 절곡 기점부(82)의 수보다 많아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으로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구성되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R1)의 폭 방향(W)의 최대 길이(WR1)는, 제2 영역(R2)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WR2)보다 길어도 좋다.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WR1)가 길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을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에 의해 덮을 수 있어, 둥글게 만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절곡 기점부(80)는, 제1 영역(R1)에서의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1/3까지의 범위에 3개 이상 마련되어도 좋다. 제1 영역(R1)에서의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본체부(20)의 후단 가장자리이다. 도 1에,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1/3까지의 범위(R3)를 나타낸다. 본체부를 전후 방향으로 둥글게 만 상태의 둘레 길이는, 일반적으로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대한 1/3 정도가 된다.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대한 1/3은,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 부분에 3개 이상의 절곡 기점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둥글게 만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어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변형예 및 제2 형태의 설명에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개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변형예 1에 관한 흡수성 물품(10A)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변형예 1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고단위중량부(27)를 갖고 있다. 변형예 1에 관한 흡수성 물품(10A)은, 중심(20CL)과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테이프 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영역(R1)은 제2 영역(R2)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변형예 1에 관한 흡수성 물품(10A)에는 복수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형예 1의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의 절곡 기점부(80)는, 흡수 코어의 전단 가장자리, 좌우 한쌍으로 마련된 제1 압착부(26A)의 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26A)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압착부(26B)의 전단 가장자리, 제2 압착부(26B)의 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좌우 한쌍으로 마련된 제3 압착부(26C)의 전단 가장자리, 접음선(F1)의 전단 가장자리, 접음선(F1)의 후단 가장자리, 고단위중량부의 전단 가장자리, 제3 압착부(26C)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4 압착부의 전단 가장자리, 및 제3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이 때, 제2 압착부(26B)의 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3 압착부(26C)의 전단 가장자리, 및 접음선(F1)의 전단 가장자리는, 서로의 전후 방향의 거리가 5 mm 이하이기 때문에, 1개의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또한, 변형예 1의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절곡 기점부(80)는, 고단위중량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3 접음선의 전단 가장자리, 제3 접음선의 후단 가장자리, 제4 압착부(26D)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5 압착부(26E)의 전단 가장자리, 제4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5 압착부(26E)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6 압착부(26F)의 전단 가장자리, 제5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2 접음선의 전단 가장자리, 제2 접음선의 후단 가장자리, 제6 압착부(26F)의 후단 가장자리, 및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이 때, 제3 접음선의 후단 가장자리, 제5 압착부(26E)의 전단 가장자리, 및 제4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는, 서로의 전후 방향의 거리가 5 mm 이하이기 때문에, 1개의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또한, 도 5에서 하트형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표면 시트만을 압축한 부분이며,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0B)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0B)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 및 전후 방향으로 감긴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는,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도 2 및 도 4와 공통이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의 절곡 기점부(80)에 관해 설명한다. 절곡 기점부(80)는,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절곡할 때의 기점이 된다. 절곡 기점부(80)는, 강성차, 두께차, 단위중량차 등에 의해 본체부(20)를 절곡하기 쉬워진다.
제2 실시형태의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는,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절곡 기점부(80)는,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쌍의 점형의 압착부(26), 본체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압착부(26), 제1 접음선(F1), 저단위중량부(25), 저단위중량부(25), 및 제3 접음선(F3)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는,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는, 제3 접음선(F3),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제2 접음선(F2),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착부(26), 및 흡수 코어의 전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은,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보다 짧다. 간격은, 각 영역에서 전후 방향(L)으로 인접하는 절곡 기점부(80)끼리의 간격이다. 상기 간격은, 흡수성 물품의 외단 가장자리와, 가장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절곡 기점부(80)의 거리도 포함한다. 평균 간격은, 예컨대 제1 영역(R1)에 2개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상기 2개의 절곡 기점부(80)의 간격(D1)이다. 또한, 제1 영역(R1)에 제1 절곡 기점부, 제2 절곡 기점부 및 제3 절곡 기점부의 3개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제1 절곡 기점부와 제2 절곡 기점부의 간격과, 제2 절곡 기점부와 제3 절곡 기점부의 간격의 평균치이다. 또한, 간격은, 제1 절곡 기점부와 제2 절곡 기점부의 전후 방향의 거리이며, 예컨대, 제1 절곡 기점부의 후단 가장자리와 제2 절곡 기점부의 전단 가장자리의 전후 방향(L)의 거리이다. 도 6에, 제1 영역(R1)에서의 절곡 기점부(80)의 간격(D1)과,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간격(D2)을 나타낸다. 또, 복수의 절곡 기점부(80) 전체가 1개의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경우는, 5 mm 이하의 간격으로 마련된 절곡 기점부끼리의 간격은 절곡 기점부(80)의 간격에 포함하지 않는다.
또, 폭 방향(W)을 따르는 동일 라인상에 동일 형상의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동일 라인상의 절곡 기점부 중 1개만을 선택하여 간격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영역(R2)에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둔 점형의 압착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점형의 압착부(26)는, 폭 방향(W)을 따르는 동일 라인(FL1)상에 마련된 제1 점형 압착부(261) 및 제2 점형 압착부(262)를 갖는다. 제1 점형 압착부(261) 및 제2 점형 압착부(262)와 전후 방향(L)으로 이격하여, 제3 점형 압착부(26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을 산출할 때에는, 제1 점형 압착부(261)와 제3 점형 압착부(263)의 간격(D1)을 산입하고, 제2 점형 압착부(262)와 제3 점형 압착부(263)의 간격(D1)을 산입하지 않아도 좋다. 제1 점형 압착부(261) 및 제2 점형 압착부(262)가 협동하여,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구부리는 기점으로서 기능하고, 전후 방향(L)으로 틀어진 절곡 기점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폐기시에 제2 영역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고, 테이프 부재에 의해 둥글게 만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고정한다. 이 때, 둥글게 말았을 때에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은,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제2 영역(R2))을 따라 감긴다.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의 평균 간격이 짧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R1)을 짧은 간격으로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R2)을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더라도, 제1 영역(R1)을 원 형상으로 둥글게 말기 쉬워진다. 또한, 둥글게 만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에도 복수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 모두 절곡 기점부(80)에 의해 용이하게 둥글게 말 수 있고, 또한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의 수는,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의 수보다 많아도 좋다. 둥글게 만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의 수가 많기 때문에, 둥글게 만 상태의 외측에 많은 변형 기점이 형성되어, 보다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절곡 기점부(80)의 수는, 모든 절곡 기점부(80)의 수를 더하는 것에 의해 산출한다. 예컨대, 폭 방향(W)을 따르는 동일 라인상에 동일 형상의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동일 라인상의 절곡 기점부 중 1개만을 선택하지 않고, 모든 절곡 기점부를 더하여, 절곡 기점부의 수를 산출한다. 흡수성 물품을 둥글게 말 때에는, 전후 방향으로 감으려고 해도 전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감겨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점형 압착부(261)와 제2 점형 압착부(262)는, 상이한 굴곡 기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변형예 2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변형예 2에 관한 흡수성 물품(10C)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변형예 2에 관한 흡수성 물품(10C)은 고단위중량부(27)를 갖고 있다. 변형예 2에 관한 흡수성 물품(10C)은, 중심(20CL)과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테이프 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영역(R1)은 제2 영역(R2)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변형예 2에 관한 흡수성 물품(10C)에는 복수의 절곡 기점부(80)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형예 2의 제1 영역(R1)의 절곡 기점부(80)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절곡 기점부(80)는, 흡수 코어의 전단 가장자리, 좌우 한쌍으로 마련된 제1 압착부(26A)의 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26A)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압착부(26B)의 전단 가장자리, 제2 압착부(26B)의 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좌우 한쌍으로 마련된 제3 압착부(26C)의 전단 가장자리, 접음선(F1)의 전단 가장자리, 접음선(F1)의 전단 가장자리, 접음선(F1)의 후단 가장자리, 고단위중량부의 전단 가장자리, 제3 압착부(26C)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4 압착부의 전단 가장자리, 및 제3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이 때, 제2 압착부(26B)의 후단 가장자리, 제1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3 압착부(26C)의 전단 가장자리, 및 접음선(F1)의 전단 가장자리는, 서로의 전후 방향의 거리가 5 mm 이하이기 때문에, 1개의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또한, 변형예 2의 제2 영역(R2)의 절곡 기점부(80)는,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음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의 절곡 기점부(80)는, 고단위중량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3 접음선의 전단 가장자리, 제3 접음선의 후단 가장자리, 제4 압착부(26D)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5 압착부(26E)의 전단 가장자리, 제4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5 압착부(26E)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6 압착부(26F)의 전단 가장자리, 제5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 제2 접음선의 전단 가장자리, 제2 접음선의 후단 가장자리, 제6 압착부(26F)의 후단 가장자리, 및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이 때, 제3 접음선의 후단 가장자리, 제5 압착부(26E)의 전단 가장자리, 및 제4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는, 서로의 전후 방향의 거리가 5 mm 이하이기 때문에, 1개의 절곡 기점부(80)를 구성한다. 또한, 도 8에서 하트형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표면 시트만을 압축한 부분이며,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2017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52549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52547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둥글게 만 상태를 유지하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0, 10A, 10B, 10C: 흡수성 물품
20: 본체부
21: 표면 시트
22: 이면 시트
23: 흡수 코어
25: 저단위중량부(절곡 기점부)
26: 압착부(절곡 기점부)
60: 테이프 부재
80: 절곡 기점부
F1, F2, F3: 접음선(절곡 기점부)
R1: 제1 영역
R2: 제2 영역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Claims (14)

  1.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
    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보다 짧은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보다 많은 흡수성 물품.
  3.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
    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평균 간격보다 짧은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절곡 기점부의 수보다 많은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긴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압착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해 움푹 패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 인접하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흡수 코어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상이한 단위중량 변화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중량 변화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에 대하여 단위중량이 낮은 저단위중량부이며,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상기 저단위중량부의 피부 대향면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저단위중량부의 피부 비대향면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이 마주보도록 접히는 접음선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제1 절곡 기점부와,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제2 절곡 기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절곡 기점부의 수는 상기 제2 절곡 기점부의 수보다 많은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의 1/3까지의 범위에 3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207017596A 2017-12-27 2018-12-12 흡수성 물품 KR20200103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2549 2017-12-27
JP2017252547A JP6857117B2 (ja) 2017-12-27 2017-12-27 吸収性物品
JP2017252549A JP6857118B2 (ja) 2017-12-27 2017-12-27 吸収性物品
JPJP-P-2017-252547 2017-12-27
PCT/JP2018/045695 WO2019131132A1 (ja) 2017-12-27 2018-12-12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001A true KR20200103001A (ko) 2020-09-01

Family

ID=6706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96A KR20200103001A (ko) 2017-12-27 2018-12-12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20200103001A (ko)
CN (1) CN111565691B (ko)
PH (1) PH12020550970A1 (ko)
RU (1) RU2770852C2 (ko)
TW (1) TWI760587B (ko)
WO (1) WO2019131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991B2 (ja) * 2018-06-05 2022-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7390970B2 (ja) * 2020-05-14 2023-1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0747A (ja) 2009-03-23 2010-10-07 Daio Paper Corp 吸収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45495U (ko) * 1973-04-12 1974-12-16
JPS61111421U (ko) * 1984-12-25 1986-07-15
AU687237B2 (en) * 1994-10-04 1998-02-19 Johnson & Johnson Inc.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secondary liquid- containment structure
JPH1128223A (ja) * 1997-07-10 1999-02-02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US6595977B1 (en) * 2000-04-20 2003-07-22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backsheet and a self-release tape tab
JP4522073B2 (ja) * 2003-10-24 2010-08-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CN101193617B (zh) * 2005-06-01 2011-10-05 Sca卫生产品股份公司 具有处理用紧固装置的吸收制品
US7695463B2 (en) * 2005-06-22 201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layer barrier cuff strips
JP4508966B2 (ja) * 2005-07-26 2010-07-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420252C1 (ru) * 2007-07-05 2011-06-1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4923017B2 (ja) * 2008-09-24 2012-04-25 大王製紙株式会社 個装吸収性物品
AU2010235860B2 (en) * 2009-10-28 2015-06-11 Mcneil-Ppc, Inc.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assembly
ES2568733T3 (es) * 2011-06-28 2016-05-04 Sca Hygiene Products Ab Artículo absorbente que tiene estructura de admisión
JP6158519B2 (ja) * 2013-01-29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個装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0747A (ja) 2009-03-23 2010-10-07 Daio Paper Corp 吸収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65691B (zh) 2021-12-24
PH12020550970A1 (en) 2021-03-22
CN111565691A (zh) 2020-08-21
RU2770852C2 (ru) 2022-04-22
TWI760587B (zh) 2022-04-11
RU2020120340A3 (ko) 2022-02-25
RU2020120340A (ru) 2022-01-27
WO2019131132A1 (ja) 2019-07-04
TW201940143A (zh)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9907B2 (ja) 吸収性物品及び生理用ナプキン
JP6006289B2 (ja) 吸収性物品
TW200425878A (en) Absorbent article equipped with compressed groove and flexible part
JP7097287B2 (ja) 吸収性物品
KR20200103001A (ko) 흡수성 물품
JP6857118B2 (ja) 吸収性物品
JP6857117B2 (ja) 吸収性物品
CN111511329A (zh) 吸收性物品
JP6226947B2 (ja) 吸収性物品
JP6385395B2 (ja) 吸収性物品
JP7039274B2 (ja) 吸収性物品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JP6223413B2 (ja) 吸収性物品
JP5232502B2 (ja) 吸収性物品
CN111511331B (zh) 吸收性物品
JP7083640B2 (ja) 吸収性物品
JP6857116B2 (ja) 吸収性物品
WO2020130041A1 (ja) 吸収性物品
CN109069325B (zh) 吸收性物品
WO2019131133A1 (ja) 吸収性物品
TW201936149A (zh) 吸收性物品
JP2020103650A (ja) 吸収性物品
JP2019115584A (ja) 吸収性物品
JP2024000123A (ja) 吸収性物品
JP2017225902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