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149A -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149A
KR20200102149A KR1020190020387A KR20190020387A KR20200102149A KR 20200102149 A KR20200102149 A KR 20200102149A KR 1020190020387 A KR1020190020387 A KR 1020190020387A KR 20190020387 A KR20190020387 A KR 20190020387A KR 20200102149 A KR20200102149 A KR 2020010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panies
index
indicato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001B1 (ko
Inventor
김군호
송지현
전상경
정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앤가이드
밸류투알파리서치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앤가이드, 밸류투알파리서치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앤가이드
Priority to KR102019002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0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는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하는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 및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를 포함하고, 지표 산출부는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영업 수익성 지표: Return On Invested Capital),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제 1 지표 산출부,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제 2 지표 산출부 및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제 3 지표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INVESTMENT PORTFOLIO}
본 발명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자전략은 위험성이 비교적 낮으면서, 수익성과 성장성이 좋은 기업들을 얼마의 가격에 사느냐의 문제와 관련된다. 아무리 훌륭한 기업이라 해도 그 가격이 비싸다면 좋은 투자 대상이 아닐 수도 있다.
종래의 경우, 기업의 투자 종목에 대한 수익성, 이익성, 성장성은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측정되어 왔다. 투자 포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에는 자기자본이익률(ROE), 총자산이익률(ROA) 및 영업 수익성 지표(ROIC)가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부터 도출된다.
Figure pat00001
이 수식에서 보듯이 자기자본이익률은 재무레버지리에 영향을 받고, 기업은 재무레버리지를 이용해 자기자본이익률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의 순수 영업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보기 어렵다.
자기자본이익률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총자산이익률(ROA)은 이론적 측면뿐 아니라 상식적 판단으로도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척도로는 활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총자산은 "자기자본+차입부채+비차입부채"이므로 총자산을 이자비용차감전이익(ROA의 한 버전)이나 당기순이익에 대비시키면 분자/분모의 비교가능성에 문제가 있어 수익성이 부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다.
영업활동의 수익성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영업 수익성 지표이다. 영업 수익성 지표의 개념적 정의는 세후순영업이익(NOPAT 또는 NOPLAT)/투하자본(Invested Capita)이다. 영업 수익성 지표는 다양한 이익률과 회전율로 결정요인 분석이 가능해, 결정요인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다. 영업 수익성 지표는 개념상으로는 어렵지 않게 보이나 실제 측정 시, 여러 판단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22707호 (2014.02.25. 공개)
본 발명은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 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는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하는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상기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표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영업 수익성 지표: Return On Invested Capital),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제 1 지표 산출부; 상기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제 2 지표 산출부; 및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제 3 지표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방법은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상기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영업 수익성 지표: Return On Invested Capital),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투자자의 투자 성향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 지표의 비중을 결정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 지표를 이용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경우, 수익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투자금이 운용될 수 있기 때문에 투자금의 투자 기회 비용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지표의 유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지표의 유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지표의 유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4 지표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지표, 제 2 지표, 제 3 지표 및 제 4 지표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폴리오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트폴리오 구축 시스템은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 및 복수의 투자자 단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포트폴리오 구축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포트폴리오 구축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 마다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를 기준으로 한 과거 기설정 기간 동안의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시계열 변동성에 기초한 제 1 시그널,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총자산회전율(ATO: Asset Turnover Ratio)의 변동성에 기초한 제 2 시그널, 영업투하본회전율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영업이익률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영업이익률의 시계열 경향 정보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영업 이익의 비율에 따른 영업현금 흐름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전년도 동분기 대비 영업현금 흐름의 성장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및 영업 매출의 성장에 기초한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분기마다 복수의 기업 별로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복수의 기업 별 제 1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횡단면(cross-section) 데이터는 현 시점에 해당하는 기업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시점이 2019년 1월이라고 가정하면, 활용 가능한 가장 최근 데이터가 2018년 4분기에 대한 데이터이므로 현 시점에서의 횡단면 데이터는 2018년 1분기, 2분기, 3분기 및 4분기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한 개별 기업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종단면(time-series) 데이터는 특정 기업에 대한 과거 시계열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의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추세 시그널은 삼성 전자에 대한 과거 제무제표 상의 종단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즉, 삼성전자의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추세 시그널의 경우, 삼성전자 각 분기별 TTM(Total Twelve Months)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를 계산한 후, 최근 8개 자료로 회귀분석(X 값은 분기, Y값은 TTM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서 도출되는 X 변수의 계수값으로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별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시그널, 매출액총이익률의 변동율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시그널, 매출 대비 판관비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총자산회전율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순운영자산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영업 이익의 지속성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총매출이익률의 전년대비 분기 변화율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영업 이익의 시계열 회귀 분석을 통해 추정된 제 8 시그널,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급 오차(RMSE, root mean squared error)를 통해 추정된 제 9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분기마다 복수의 기업 별로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제 8 시그널 및 제 9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복수의 기업 별 제 2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시가총액 대비 금융투자자산의 비율에 기초한 제 1 시그널, 총자산 대비 순재무부채 비율에 기초한 제 2 시그널, 재무부채의 변화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이자지급능력의 비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재무부채 대비 영업현금흐름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기업의 영업 이익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영업 수익성 지표의 예측성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및 현금 자산의 유동성에 기초한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분기마다 복수의 기업 별로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복수의 기업 별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포트폴리오 구축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200), 지표 산출부(210) 및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표 산출부(210)는 제 1 지표 산출부(212), 제 2 지표 산출부(214), 제 3 지표 산출부(216) 및 제 4 지표 산출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와 함께 도 3a 내지 7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200)는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200)는 분기마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기반의 언어로 작성된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데이터(예컨대, XBRL(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를 수집할 수 있다.
지표 산출부(210)는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데이터를 해석하여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한 복수의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지표 산출부(210)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ROIC),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지표는 품질 좋은 영업 수익성 지표와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로부터 견고한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이다. 이러한, 제 1 지표는 예를 들면, 영업 수익성 지표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 및 매출, 영업이익, 영업 현금의 성장성을 평가하는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를 기준으로 한 과거 기설정 기간 동안의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시계열 변동성에 기초한 제 1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에 기초하여 매분기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높은 기업들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고, 매분기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낮은 기업들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과거 8분기의 연율화한 세전 영업 수익성 지표를 시계열 회귀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기업의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을 이용하여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시계열 변동성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학식 1]을 이용한 모델에 대한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를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시계열 변동성의 예측가능성의 대용치로 사용할 수 있다.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가 낮다는 것은 영업 수익성 지표가 전체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가 크다는 것은 영업 수익성 지표가 상당한 변동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매분기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높은 제 1 그룹안에서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를 이용하여 4분위로 기업을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4분위 중 제 1 분위로 분류된 기업(가장 낮은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를 갖는 기업)에게 제 1 점수(예컨대, +1점)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점수를 획득한 기업은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높으면서, 지난 2년간 안정적인 영업 수익성 지표를 보인 기업일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매분기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낮은 제 2 그룹안에서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를 이용하여 3분위로 기업을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3분위 중 제 1 분위로 분류된 기업(가장 낮은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를 갖는 기업)에게 제 2 점수(예컨대, -1점)을 부여하고, 나머지 기업에 대하여 제 3점(예컨대,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점수를 획득한 기업은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낮으면서, 지난 2년간 낮은 수치의 영업 수익성 지표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일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총자산회전율의 변동성에 기초한 제 2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영업투하자본회전율를 추가로 고려하여 제 2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예컨대, 과거 8분기)의 변동성을 연율화한 총자산회전율를 시계열 회귀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로 측정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업을 3그룹으로 분류하였을 때,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크고, 1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영업 수익성 지표가 기설정된 중위수보다 낮고, 1분위로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을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영업투하본회전율(NOATurnOver)에 기초한 제 3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영업 수익성 지표는 영업투자본회전율 및 매출액순영업이익률 간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제 3 시그널은 영업투하자본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예컨대, 과거 8분기)의 영업투하자본에 대한 변동성을 연율화한 영업투하본회전율을 시계열 회귀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로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업을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가 가장 낮은 그룹에 해당하는 1분위에서 영업투하본회전율의 현재 수준에 따라 다시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1분위 안에서 현재 영업투하본회전율이 가장 높은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현재 영업투하본회전율이 가장 낮은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그룹에게 제 3 점을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영업이익률(OM)에 기초한 제 4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시그널은 영업 이익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영업이익률에 대한 변동성을 연율화한 영업이익률을 시계열 회귀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로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업을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영업 이익의 제곱근 오차가 가장 낮은 그룹에 해당하는 1분위에서 영업이익률의 현재 수준에 따라 다시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1분위 안에서 현재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현재 영업이익률이 가장 낮은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그룹에게 제 3 점을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영업이익률의 시계열 경향 정보에 기초한 제 5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1원으로부터 얼마만큼 영업이익이 획득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영업이익률의 증가는 영업 수익성 지표의 증가로 이어지고, 시계열 휘귀분석을 통해 경향 정보의 방향성 및 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과거 기설정 기간 동안의 연율화한 영업이익률을 시계열 회귀 분석에서 기울기 및 해당 기울기의 기준 에러(standard error)를 이용하여 t-통계(t-statistics)를 계산하고, t-통계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기업을 5그룹으로 분류한 후, t-통계가 가장 큰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t-통계가 가장 낮은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영업 이익의 비율에 따른 영업현금 흐름에 기초한 제 6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세전/이자지급*수취전영업 현금 흐름과 영업이익의 비율로 영업현금 흐름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세전/이자지급, 수취전영업현금흐름 및 세전영업이익(ttm)에 기초한 제 1 식(세전/이자지급*수취전영업현금흐름
Figure pat00003
세전영업이익)의 절대화된 결과값이 1보다 크고, 세전/이자지급 및 수취전영업현금흐름에 기초한 제 2 식(
Figure pat00004
)의 결과값이 0보다 크고, 당분기 세전/이자지급 및 수취전영업현금흐름 간의 곱이 전년도 동분기 세전/이자지급과 수취전영업현금흐름 간의 곱보다 큰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제 1 식의 절대화된 결과값이 1보다 크고, 제 2 식의 결과값이 0보다 작고, 영엽이익이 0보다 큰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전년도 동분기 대비 영업현금 흐름의 성장에 기초한 제 7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전년도 동분기 대비 세전/이자지급
Figure pat00005
수치전 영업현금흐름의 증감으로 영업현금흐름의 성장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당분기 세전/이자지급 및 수취전영업현금흐름 간의 곱이 전년도 동분기 세전/이자지급 및 수취전영업현금흐름 간의 곱보다 큰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당분기 세전/이자지급 및 수취전영업현금흐름 간의 곱이 전년도 동분기 세전/이자지급 및 수취전영업현금흐름 간의 곱보다 작은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 마다 영업 매출의 성장에 기초한 제 8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연율화한 매출을 시계열 회귀 분석에서 기울기 및 기울기의 기준 에러를 이용하여 t-시작값(t-stat)을 계산하고, t-시작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기업을 5그룹으로 분류한 후, t-시작값이 가장 큰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t-시작값이 가장 낮은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당분기 매출의 성장이 전년도 동분기 대비 기설정된 비율(예컨대, 5%) 이상으로 증가한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당분기 매출의 성장이 전년도 동분기 대비 기설정된 비율 이하로 감소한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지표 산출부(212)는 분기마다 복수의 기업 별로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복수의 기업 별 제 1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a은 제 1 지표를 산정할 수 있는 연도별 기업의 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지표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최근 8분기의 분기별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 때, 비금융업 기업은 제 1 지표의 산정에서 제외될 수 있다. 매분기 약 1000-1400개의 상장기업에 대해 제 1 지표를 계산할 수 있다.
도 3b는 제 1 지표를 기준으로 연도별 5그룹으로 나눈 기업의 수익성 및 성장성의 기본 지표들의 평균 및 중위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본 기간 중 세전 영업 수익성 지표의 평균은 7.05%이다. 매분기 제 1 지표가 상위 20%에 속하는 기업은 평균 16.82%의 세전 영업 수익성 지표를 가지며, 이들은 최근 분기 매출 성장은 평균 19%이고, 중앙값은 11.6%로 다른 그룹의 기업보다 영업 수익률과 매출 성장이 크다.
한편, 제 1 지표가 하위 20%에 속한 기업은 평균적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세전 영업 수익성 지표의 중위수 또한 0에 가까운 걸로 보아 영업수익성이 좋지 않은 회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제 1 지표를 이용한 포트폴리오에 따른 수익률을 나타낸 표이고, 도 3d는 분기별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나타낸 표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 1 지표가 낮은 기업의 포트폴리오와 제 1 지표가 높은 포트폴리오의 규모 조정 수익률은 -1.95%와 1.30%이다.
두 그룹 간의 수익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테스트(t-test) 결과 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며 t-가치(t-value)는 3.85과 p-가치(p-value)는 0.0001이다. 포트폴리오에 속한 종목의 6개월 수익률의 표준편차를 보면 제 1 지표가 높은 기업의 수익률의 표준편차가 제 1 지표가 낮은 기업의 수익률의 표준편차보다 낮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강한 종목(Strong Fundamentals)을 가진 기업에 대한 투자가 위험수익의 상쇄관계(risk-return trade-off)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포트폴리오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분기별 제 1 지표를 이용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또한 제 1 지표의 크기에 따라 도 3c와 유사한 규모 조정 수익률의 패턴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제 1 지표는 비교적 기업의 영업 펀더멘털을 요약화하여 나타낸 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지표는 기업의 영업수익성에 대한 영업이익 변화(예컨대, 긍정적, 부정적, 불확실)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의 분기별 예상 이익 증가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기업의 영업 수익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균으로 회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현재의 영업 수익성은 미래의 영업 수익성에 대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극도로 높은 영업 수익성 지표를 가진 기업은 새로운 경쟁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이익과 영업 수익성 지표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극도로 낮은 영업 수익성 지표를 가진 기업은 미래의 이윤을 높이고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때문에 영업 수익성 지표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영업 수익성 지표를 사용하여 매분기 5 분위수로 순위를 매긴 최상위 5 분위수 기업에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최하위 5 분위수 기업에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수 기업에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1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매출액총이익률(GM)의 변동율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시그널은 매출액총이익률의 변화(GM)를 의미한 것으로, 기업에 대한 매출액총이익 변화율에서 매출변화율을 뺀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제 2 시그널은 매출증가에 대한 매출 총 이익의 증가를 나타내고, 매출액 대비 매출원가에 대한 기업의 관리 능력을 반영한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제 2 시그널의 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수의 크기에 따라 기업-분기를 5 분위수로 분류하여 순위를 매긴 후, 최상위 분위의 관측치에 제 1 점수를 할당하고, 최하위 분위의 관측치에 제 2 점수를 할당하고, 중간 3개의 분위수의 관측치에 제 3 점수를 각각 할당함으로써 제 2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매출 대비 판관비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3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시그널은 매출 대비 판관비의 비율의 변화(SGA)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매출 성정 기간에 판관비(SGA) 비용이 매출 증가 비율과 비슷한 속도로 증가하면, 기업이 간접비에 대하여 비효율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미래 이익에 좋지 않은 신호가 될 수 있다. 매출의 성장 기간에 판관비 비용이 감소하거나 증가 폭이 크기 않다면, 이는 기업이 간접비에 대해 효율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으며 영업 자산효용성(operating leverage)를 가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이는 미래이익의 증가를 나타내는 시그널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매출이 감소하는 기간에, 판관비 비용이 증가하면, 판매 및 수입의 미래 성장에 대한 경영자의 낙관적 신호(예컨대, 광고, 제품 및 시장 개발에 대한 새로운 투자 등)를 나타내는 시그널이 될 수도 있다. 기업의 매출 감소 기간에 경영자가 판관비 비용을 동시에 줄이면 미래에 대한 비관적 신호로 해석할 수 있어, 미래의 매출과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시그널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제 3 시그널을 이용하여 미래 수익성을 예측하기 위해 매 분기 매출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따라 기업을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매출 증가 그룹 및 매출 감소 그룹 각각에서 매분기 제 3 시그널을 기반으로 5 분위수로 순위를 매긴 후, 매출 증가 그룹에서 제 3 시그널이 가장 낮은 5분위에 속하는 기업(분기 매출 성장에 비해 효율적 간접비 관리를 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제 3 시그널이 가장 높은 1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중간 3분위에 속한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3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매출 감소 그룹에서 제 3 시그널이 가장 높은 1분위(관리자의 낙관론을 나타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제 3 시그널이 가장 낮은 5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중간 3분위에 속한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3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총자산회전율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자산 회전율의 연간 변화와 영업 수익성 지표의 미래 변화는 서로 양의 관계에 있다. 현재의 자산 이용 효율성 향상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이고, 이 지속성은 미래의 영업 수익성 지표의 증가 또는 지속성에 기여하는데, 일반적으로 영업 수익성 지표의 증가는 이익의 증가와 상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매 분기 연율화한 총자산회전율의 전년도 동 분기 대비 자산회전율의 증감률을 기준으로 복수의 기업을 5분위수로 분류한 후, 자산회전율의 변화(ATO) 가 가장 높은 5분위에 속하는 기업(전년도 동 분기 대비 연율화한 총자산회전율의 증가가 가장 큰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자산회전율의 변화가 가장 낮은 1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중간 3개의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4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순운영자산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5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순운영자산의 증가(NOA)는 미래의 영업 수익성 지표와 음의 관계에 있다. 직관적으로, 순운영자산의 현재 성장률이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에 비해 낮으면 영업자산효율성(operating leverage)이 증가한다. 이러한 영업자산효율성의 증가는 미래 이익의 증가를 가져오는데 반해, 순운영자산의 현재 성장률이 영업 수익성 지표에 비해 높으면 영업자산(예: 재고자산, 매출채권, 고정자산)의 비효율적인 축적을 의미하며 이후 이익은 감소한다.
이러한 직관을 측정하기 위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영업 수익성 지표와 순운영자산의 증가를 이중 정렬(double-sort)함으로써 제 5시그널(GNOA)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매분기 영업 수익성 지표를 기준으로 기업을 5분위수로 분류하고, 각 영업 수익성 지표 5분위 내에서의 순운영자산의 증가에 대하여 5분위수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각 영업 수익성 지표 5분위 내에서 최상위 분위수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최하위 분위수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중간 3개의 분위수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을 부여함으로써 제 5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영업 이익의 지속성에 기초한 제 6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6 시그널은 영업 이익의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발생액 관련 정보의 측정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제 6 시그널은 (영업이익-영업활동에서창출한현금흐름)
Figure pat00006
평균순운영자산의 증가에 대한 결과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매분기 순영업자산에 대한 이익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기업을 5 분위수로 나누고, 각 5 분위 내에서 제6시그널의 크기에 따라 5 분위로 나눈 후, 각 순영업자산에 대한 이익의 5 분위 내 최상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최하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중간 3개의 분위수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을 부여함으로써 제 6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총매출이익률의 전년대비 분기 변화율에 기초한 제 7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로짓(logit) 분석을 통해 도출된 미래 영업 이익 예측 능력을 갖는 총매출이익률의 전년대비 분기 변화율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기업을 5 분위수로 나누고 최상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최하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중간 3개의 분위수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을 부여함으로써 제 7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복수의 기업별 영업 이익의 시계열 회귀 분석을 통해 추정된 제 8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영업 이익의 모멘텀 효과를 포착하기 위해, 매 분기 최근 분기 영업이익의 증감 여부에 따라 복수의 기업을 분류하고, 영업 이익의 증가 그룹 및 감소 그룹 내에서 최근 8분기의 연율화한 영업이익의 추세선(trend line)을 시계열 회귀모형(time series regression)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영업 이익의 증가 그룹 내에서 매분기 추세선의 t- 통계를 기반으로 4분위수로 순위를 매긴 후, 영업 이익의 증가 그룹에서 t- 통계가 가장 높은 분위에 속하는 기업(strong upward trend line)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영업이익의 감소 그룹에서 t-통계가 가장 낮은 분위에 속하는 기업(strong downward trend line)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그룹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8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급 오차를 통해 추정된 제 9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영업 이익의 모멘텀 효과를 추가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연율화한 영업이익의 추세선을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통해 추정한 후, 영업이익의 증가 그룹 내에서 매분기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기반으로 4분위수로 순위를 매기고, 영업이익의 증가 그룹에서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가 가장 낮은 분위에 속하는 기업(strong upward predictability)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영업이익의 감소 그룹에서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가 가장 낮은 분위에 속하는 기업(strong downward predictability)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그룹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9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2 지표 산출부(214)는 분기마다 복수의 기업 별로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제 8 시그널 및 제 9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복수의 기업 별 제 2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a는 제 2 지표의 산정이 가능한 기업 분기의 분포를 나타낸 표이고, 도 4b는 제 2 지표의 분위별 포트폴리오의 차기에 실현된 영업이익의 방향을 나타낸 표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2 지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음 분기의 영업이익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 1 지표를 적용했던 표본(도 3a)보다 수가 줄어든다.
제 2 지표의 미래 영업이익의 예측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매분기 기업의 제 2 지표를 이용하여 5급으로 분류하면, 분위별로 기업의 차기 이익의 증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약 50.72%의 기업이 차기에 영업이익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 2 지표가 상위 20%에 속하는 기업들의 그룹 5는 평균적으로 3.6정도의 제 2 지표의 지수를 가지고, 63.55%의 기업이 영업이익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2 지표가 하위 20%에 속하는 기업들의 그룹 1 에서는 평균적으로 -2.08의 제 2 지표의 지수를 가지고, 42.71%의 기업만이 영업이익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5 그룹과 1 그룹의 미래이익 예측력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테스트(t-test) 결과 두 그룹의 예측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다.
도 4c는 제 2 지표를 이용한 포트폴리오에 대한 수익률을 나타낸 표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 2 지표는 미래이익의 방향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이다. 제 2 지표를 이용한 투자 전략은 제 2 지표가 높은 그룹을 롱 포지션으로 설정하고, 제 2 지표가 낮은 그룹을 숏 포지션으로 하는 전략을 포함할 수 있다. 종목의 벤치마크 수익률은 거래 직전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10개의 포트폴리오를 만든 후 종목이 편입되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은 벤치마크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플랜 A에는 단순 수익률, 플랜 B는 규모조정수익률을 나타내고, 두 플랜 모두에서 제 2 지표가 높은 포트폴리오 5가 제 2 지표가 낮은 포트폴리오 1의 수익률보다 높으며, 제 2 지표의 크기에 따라 뚜렷한 수익률 증가 패턴을 볼 수 있다. 포트폴리오 5와 포트폴리오 1의 수익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d는 연도별/분기별 제 2 지표를 이용한 전략의 평균 규모 조정 수익률을 나타낸 표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연도/분기별 평균 규모 조정 수익률을 살펴보면, 제 2 지표를 이용한 예측 능력이 수익률과 연관성이 있으며, 제 2 지표는 투자자의 투자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정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재무 정보에는 예를 들면, 투자 자산(예컨대, 투자부동상, 유동투자자산, 비유동투자자산 등), 금융 자산(예컨대, 유동금융자산, 비유동금융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등), 금융 부채(예컨대, 유동금융부채, 비유동금융부채 등), 실적 지표(예컨대, 영업 이익, 이자 수취 및 지급/법인세 납부 전 영업현금 흐름, 세전 영업 수익성 지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지표는 주가의 급격한 하락을 유발하는 사건 발생 가능성이 낮은 기업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주가의 급격한 하락을 유발하는 사건은 예를 들면, 만기도래 부채/이자지급능력, 거래 정지 및 관리 종목 지정, 자본의 가치를 희석시키는 유상증자, 분식회계, 급격한 실적 하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지표는 주가 하락을 유발하는 시그널을 기업의 여러 재무 비율을 이용하여 점수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을 예측하는 다양한 시그널을 선정 후, 각 시그널의 분위수에 따라 제 1 점수, 제 2 점수 및 제 3 점수를 부여하고, 각 시그널의 점수를 합산한 총점을 제 3 지표의 지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의 점수 별로 실현된 주가 급락 위험의 분포를 통해 제 3 지표의 지수가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 예측에 도움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시가총액 대비 금융투자자산의 비율에 기초한 제 1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가총액 대비 금융투자자산의 비율은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금융투자자산은 일반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되어 있어, 가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적다. 금융투자자산이 시가총액에 차지하는 비율이 크면, 고평가로 인한 가치하락의 가능성이 적고, 유동성 위기시, 영업 활동에 큰 영향없이 현금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7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시가총액 대비 금융투자자산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10그룹으로 분류한 후, 시가총액대비 금융/투자자산의 비율이 가장 낮은 10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1분위 내지 3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1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총자산 대비 순재무부채 비율에 기초한 제 2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총자산 대비 순재무부채 비율은 [수학식 3]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순재무부채는 일반적으로 {재무부채(이자발생부채) - 비영업부채(금융자산+투자자산)}으로 계산되나, 유동성 위기 시, 가장 빨리 유동화가 가능한 유동금융자산과 현금 및 현금성자산만을 재무부채를 차감하는 금융자산으로 사용한다. 지분법투자자산 또는 비유동금융자산은 유동성 위기 시 쉽게 처분이 어려운 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순재무부채의 계산시에는 제외될 수 있다.
[수학식 3]
총자산 대비 순재무부채 비율 = (금융부채(t-1)-유동금융자산(t-1)-현금및현금성자산(t-1))/시가총액(t연도 3월말)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총자산 대비 순재무부채 배율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4그룹으로 분류한 후, 1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4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2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재무부채의 변화에 기초한 제 3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재무부채의 변화는 [수학식 4]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시그널은 이자발생부채의 변화를 측정한 시그널이다.
[수학식 4]
재무부채의 변화 = (재무부채(t)-재무부채(t-1))/평균총자산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재무부채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4그룹으로 분류한 후, 1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4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3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이자지급능력의 비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자지급능력의 비율은 [수학식 5]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8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이자지급능력의 비율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4그룹으로 분류한 후, 4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1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4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재무부채 대비 영업현금흐름에 기초한 제 5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재무부채 대비 영업현금흐름은 [수학식 6]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각 전 영업이익 대비 차입금 비율(DEBT to EBITDA 비율)을 이용하여 부채의 원금 지불 능력을 많이 측정하는데, 세전
Figure pat00009
이자지급전이익(EBITDA) 대신 세전
Figure pat00010
이자수취
Figure pat00011
지급 전 영업현금흐름을 사용하여, 부채의 원금 지불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세전
Figure pat00012
이자수취
Figure pat00013
지급 전 영업현금흐름은 유동 영업자산에 대한 투자를 반영하고 있어 세전
Figure pat00014
이자지급전이익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의 더 정확한 척도일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15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재무부채 대비 영업현금흐름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4그룹으로 분류한 후, 4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1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4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기업의 영업 이익에 기초한 제 6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6 시그널은 영업 이익에 대한 질적인 지수를 나타내는 시그널이다. 영업 이익에 대한 질적 지수는 [수학식 7]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16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기업의 영업 이익의 질적 지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10그룹으로 분류한 후, 양 극단의 1분위 및 10분위 각각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2분위 내지 4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6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영업 수익성 지표의 예측성에 기초한 제 7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업 수익성 지표의 예측성은 기설정된 기간 동안(예컨대, 최근 7분기)의 연율화한 세전 영업 수익성 지표를 시계열 회귀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영업 수익성 지표 모델(ROIC(t)= a+b
Figure pat00017
t 모델)에 대한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영업 수익성 지표의 예측성의 대용치로 사용할 수 있다.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가 낮다는 것은 영업 수익성 지표가 전체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근 오차가 크다는 것은 영업 수익성 지표가 상당한 변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영업 수익성 지표의 예측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4그룹으로 분류한 후, 4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1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7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현금 자산의 유동성에 기초한 제 8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기업의 자산 유동성 비율은 [수학식 8]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8]
자산 유동성 비율= (현금 및 현금성자산)/(유동금융부채)
예를 들면,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현금 자산의 유동성 비율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업을 4그룹으로 분류한 후, 4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1 점수를 부여하고, 1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2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분위에 속하는 그룹에게 제 3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제 8 시그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지표 산출부(216)는 분기마다 복수의 기업 별로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복수의 기업 별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a는 연도별 주가 급락 발생률을 경험한 기업의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 3 지표를 이용한 미래 주가 급락 예측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차기 연도의 급락 발생 정도 및 제 3 지표와의 관계를 살펴봐야 한다. 급락 발생 정도는 [수학식 9]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기업이 1년 동안의 주간 수익률에 있어서 한 번이라도 주가 급락을 경험한 적이 있으면, 주가 급락 발생률을 1으로 정의하고, 주가 급락이 1년 동안의 주간 수익률에서 발생하지 않았다면, 주가 급락 발생률을 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pat00018
여기서,
Figure pat00019
는 j 기업의 t주의 수익률,
Figure pat00020
은 기설정된 시장 포트폴리오의 t주의 수익률
한편, 표는 15%의 상장기업이 2013년-2017년 기간 동안 주가 급락 발생률을 기록하고 있다. t년도의 제 3 지표와 t+1년도의 급락 발생 정도와의 관계를 통해 제 3 지표의 주가 급락 발생률 예측력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제 3 지표의 측정치에 따른 주가 급락 발생률의 분포는 도 5b와 같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 3 지표의 분포는 [-8,8]이나 표본 기간 중 8점을 기록한 기업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3 지표가 낮아짐에 따라 주가 급락 발생률을 경험한 기업 수의 비율은 증가하고 제 3 지표가 증가할 수록 주가 급락 발생률을 경험한 기업 수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3 지표의 크기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분류한 후, 차기 연도의 주가 급락 발생률과 평균 주간 수익률 변동률은 도 5c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 3 지표가 가장 낮은 그룹과 제 3 지표가 가장 높은 그룹간의 주가 급락 발생률 비율과 평균 주간 수익률 변동률 간의 차이는 명확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d는 제 3 지표를 이용한 자본비용의 추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자본비용 추정을 위해 기설정된 거래일의 시가총액 및 주가 급락 위험의 발생률 각각에 따라 복수의 기업을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5분위 그룹과, 주가 급락 위험이 가장 낮은 5분위그룹, 시가총액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과 주가 급락 위험이 가장 높은 1분위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그룹마다 할당할 최소 자본비용과 최대 자본비용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5분위 그룹과, 주가 급락 위험이 가장 낮은 5분위그룹에 7%를 할당하고, 시가총액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과 주가 급락 위험이 가장 높은 1분위그룹에 20%를 할당한 후, 시가총액 X 주가 급락 위험의 분위별 자본비용을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제 4 지표 산출부(218)는 기업가치 및 세전영업이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가치지표와 주주지분의 가치 및 시장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가치지표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업에 대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하기 위한 제 4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치 지표는 [수학식 10]를 통해 계산되고, 제 2 가치 지표는 [수학식 11]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제 1 가치지표와 제 2 가치 지표는 클수록 가격 매력도가 높다.
[수학식 10]
Figure pat00021
[수학식 11]
Figure pat00022
예를 들면, 제 4 지표 산출부(218)는 제 1 가치지표를 이용하여 매분기 복수의 기업을 5분위수로 순위를 매긴 후, 최상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할당하고, 최하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할당하고, 중간 3개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 4 지표 산출부(218)는 제 2 가치지표를 이용하여 매분기 복수의 기업을 5분위수로 순위를 매긴 후, 최상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1 점수를 할당하고, 최하위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2 점수를 할당하고, 중간 3개 분위에 속하는 기업에게 제 3 점수를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제 4 지표를 이용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투자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및 2 가치 지표에 따른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분석해 보면, 저PB 전략은 음의 규모조정 수익률이 -0.63%인 반면, 고PB전략은 약의 규모조정 수익률 0.76%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지표의 1분위와 5분위 포트폴리오의 성과와 비교해 보면, 제 1 가치지표와 제 2 가치지표는 1분위와 5분위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있어 예상한 방향이며, 비교적 그 차이가 확연하며 t-test결과 5분위의 수익률이 1분위의 수익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큼을 알 수 있다(제 1 가치지표: t=2.16, p=0.0153/제 2 가치지표: t=2.38, p=0.0085).
고PE 전략 및 저PE 전략의 결과를 보면, -1.51%와 -1.04% 각각의 규모조정 수익률을 보이고 있어, 저PE전략이 고PE전략보다는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갖지는 않는다(t=1.075, p=0.141).
마지막으로, 제 4 지표(제 1 가치지표 + 제 2 가치지표)의 점수별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보면, 1분위와 5분위가 각각 -2.36% 와 0.11%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준다(t= 2.5811, p=0.0049).
결론적으로, 표본 기간 동안의 전통적인 저PE와 저PB전략은 과거와 같은 뚜렷한 수익률 패턴을 보여주지 못하고, 주가의 방향을 예측하는 힘도 약하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 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복수의 기업 중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예컨대, -2점)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1 기업 중 제 2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2 기업 중 제 4 지표가 기설정된 제 2 점수(예컨대, 0점) 이상인 제 3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3 기업 중 제 1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1 투자 포트폴리오(예컨대, 가치 포트폴리오 또는 우량주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시점에서 시가총액 기준 상위권에 위치한 복수의 기업(예컨대, 300개 기업) 중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예컨대, -2점)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1 기업 중 제 2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2 기업 중 제 4 지표가 기설정된 제 2 점수(예컨대, 0점) 이상인 제 3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3 기업 중 제 1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2 투자 포트폴리오(예컨대, 대형가치주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시점에서 시가총액 기준 상위권에 위치한 복수의 기업(예컨대, 300개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 중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예컨대, -2점)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1 기업 중 제 2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2 기업 중 제 4 지표가 기설정된 제 2 점수(예컨대, 0점) 이상인 제 3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3 기업 중 제 1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3 투자 포트폴리오(예컨대, 중소형가치주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복수의 기업 중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예컨대, -2점)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1 기업 중 제 1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2 기업 중 제 2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4 투자 포트폴리오(예컨대, 성장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시점에서 시가총액 기준 상위권에 위치한 복수의 기업(예컨대, 400개 기업) 중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예컨대, -2점)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1 기업 중 제 1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2 기업 중 제 2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5 투자 포트폴리오(예컨대, 대형 성장주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시점에서 시가총액 기준 상위권에 위치한 복수의 기업(예컨대, 400개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 중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예컨대, -2점)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1 기업 중 제 1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제 2 기업 중 제 2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6 투자 포트폴리오(예컨대, 중소형 성장주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투자자가 미래의 이익 성장을 중요시하는 투자자인 경우, 제 2 지표가 높은 투자 종목의 비중을 많이 두고, 제 1 지표 또는 제 4 지표가 높은 투자 종목의 비중을 적게 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는 투자자가 현재의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의 종목을 적절한 가격에 매수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제 1 지표 및 제 4 지표가 높은 투자 종목을 위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a은 제 2 지표 및 제 4 지표를 이용한 투자 전략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제 2 지표가 가장 높은 그룹과 제 2 지표가 가장 낮은 그룹에서 제 4 지표가 포트폴리오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지표가 가장 낮은 그룹의 경우, 제 4 지표의 정보는 포트폴리오의 수익 향상에 기여하는 반면, 제 2 지표가 가장 높은 그룹에서는 제 4 지표가 매력적인 종목이 수익률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b은 제 1 지표 및 제 4 지표를 이용한 투자 전략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을 참조하면, 제 1 지표가 가장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에서 제 4 지표가 포트폴리오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지표가 가장 낮은 그룹의 경우, 제 4 지표의 정보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향상에 기여하는 반면, 제 2 지표가 가장 높은 그룹에서는 제 4 지표가 매력적인 종목이 수익률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c는 제 1 지표 및 제 2 지표를 이용한 투자 전략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을 참조하면, 제 1 지표가 가장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에서 제 2 지표가 포트폴리오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지표가 가장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모두에서 제 2 지표의 정보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향상에 기여한다. 제 1 지표가 상위권에 있는 종목 중 제 2 지표가 높은 종목은 제 1 지표 또는 제 2 지표 중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수익률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200), 지표 산출부(210), 제 1 지표 산출부(212), 제 2 지표 산출부(214), 제 3 지표 산출부(216) 및 제 4 지표 산출부(218),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220) 및 투자 비중 결정부(2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803에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803에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803에서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110: 복수의 투자자 단말
200: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
210: 지표 산출부
212: 제 1 지표 산출부
214: 제 2 지표 산출부
216: 제 3 지표 산출부
218: 제 4 지표 산출부
220: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

Claims (20)

  1.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하는 재무제표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상기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표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Return On Invested Capital),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제 1 지표 산출부;
    상기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제 2 지표 산출부; 및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제 3 지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표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기업 마다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를 기준으로 한 과거 기설정 기간 동안의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시계열 변동성에 기초한 제 1 시그널, 상기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총자산회전율(ATO: Asset Turnover Ratio)의 변동성에 기초한 제 2 시그널, 영업투하본회전율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영업이익률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상기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영업이익률의 시계열 경향 정보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영업 이익의 비율에 따른 영업현금 흐름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전년도 동분기 대비 상기 영업현금 흐름의 성장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및 영업 매출의 성장에 기초한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표 산출부는
    분기마다 상기 복수의 기업 별로 상기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 별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표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기업별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시그널, 매출액총이익률의 변동율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시그널, 매출 대비 판관비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총자산회전율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순운영자산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영업 이익의 지속성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총매출이익률의 전년대비 분기 변화율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상기 영업 이익의 시계열 회귀 분석을 통해 추정된 제 8 시그널, 상기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급 오차(RMSE, root mean squared error)를 통해 추정된 제 9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표 산출부는
    분기마다 상기 복수의 기업 별로 상기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제 8 시그널 및 제 9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 별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표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시가총액 대비 금융투자자산의 비율에 기초한 제 1 시그널, 총자산 대비 순재무부채 비율에 기초한 제 2 시그널, 재무부채의 변화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이자지급능력의 비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재무부채 대비 영업현금흐름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기업의 영업 이익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영업 수익성 지표의 예측성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및 현금 자산의 유동성에 기초한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표 산출부는
    분기마다 상기 복수의 기업 별로 상기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 별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산출부는
    기업가치 및 세전영업이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가치지표와 주주지분의 가치 및 시장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가치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에 대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하기 위한 제 4 지표를 산출하는 제 4 지표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는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기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 1 기업 중 상기 제 2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 2 기업 중 상기 제 4 지표가 기설정된 제 2 점수 이상인 제 3 기업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 3 기업 중 상기 제 1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1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부는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기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 1 기업 중 상기 제 1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 2 기업 중 상기 제 2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2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
  11. 포트폴리오 구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재무제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지표, 상기 기업의 미래 영업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제 2 지표 및 미래의 주가 급락 위험(Crash Risk)의 발생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 1 지표, 제 2 지표 및 제 3지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영업 수익성 지표(Return On Invested Capital), 매출 및 영업 이익에 대한 시계열 경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업별 재무제표의 횡단면 데이터 및 종단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업 마다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를 기준으로한 과거 기설정 기간 동안의 영업 수익성 지표에 대한 시계열 변동성에 기초한 제 1 시그널, 상기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총자산회전율(ATO: Asset Turnover Ratio)의 변동성에 기초한 제 2 시그널, 영업투하본회전율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영업이익률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상기 과거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영업이익률의 시계열 경향 정보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영업 이익의 비율에 따른 영업현금 흐름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전년도 동분기 대비 상기 영업현금 흐름의 성장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및 영업 매출의 성장에 기초한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분기마다 상기 복수의 기업 별로 상기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 별 상기 제 1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업별 현재 영업 수익성 지표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시그널, 매출액총이익률의 변동율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시그널, 매출 대비 판관비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총자산회전율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순운영자산의 변동율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영업 이익의 지속성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총매출이익률의 전년대비 분기 변화율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상기 영업 이익의 시계열 회귀 분석을 통해 추정된 제 8 시그널, 상기 영업 이익의 평균 제곱급 오차(RMSE, root mean squared error)를 통해 추정된 제 9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분기마다 상기 복수의 기업 별로 상기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제 8 시그널 및 제 9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 별 상기 제 2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업 각각의 복수의 재무 정보에 기초하여 시가총액 대비 금융투자자산의 비율에 기초한 제 1 시그널, 총자산 대비 순재무부채 비율에 기초한 제 2 시그널, 재무부채의 변화에 기초한 제 3 시그널, 이자지급능력의 비율에 기초한 제 4 시그널, 재무부채 대비 영업현금흐름에 기초한 제 5 시그널, 기업의 영업 이익에 기초한 제 6 시그널, 영업 수익성 지표의 예측성에 기초한 제 7 시그널 및 현금 자산의 유동성에 기초한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분기마다 상기 복수의 기업 별로 상기 산출된 제 1 시그널, 제 2 시그널, 제 3 시그널, 제 4 시그널, 제 5 시그널, 제 6 시그널, 제 7 시그널 및 제 8 시그널 각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 별 상기 제 3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기업가치 및 세전영업이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1 가치지표와 주주지분의 가치 및 시장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 2 가치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업에 대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하기 위한 제 4 지표를 더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기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제 1 기업 중 상기 제 2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제 2 기업 중 상기 제 4 지표가 기설정된 제 2 점수 이상인 제 3 기업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제 3 기업 중 상기 제 1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1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기 제 3 지표가 기설정된 제 1 점수 이상인 제 1 기업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제 1 기업 중 상기 제 1 지표에 기초하여 구성된 기설정된 기준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제 2 기업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제 2 기업 중 상기 제 2 지표의 상위 종목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상위 종목에 기초하여 제 2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포트폴리오 구축 방법.
KR1020190020387A 2019-02-21 2019-02-21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0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87A KR102201001B1 (ko) 2019-02-21 2019-02-21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87A KR102201001B1 (ko) 2019-02-21 2019-02-21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149A true KR20200102149A (ko) 2020-08-31
KR102201001B1 KR102201001B1 (ko) 2021-01-11

Family

ID=7223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387A KR102201001B1 (ko) 2019-02-21 2019-02-21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7634A (zh) * 2020-12-29 2021-04-16 广州广电运通信息科技有限公司 企业数据的对标分析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KR20220074176A (ko) * 2020-11-27 2022-06-03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금융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기업분석 및 투자 포트폴리오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640A (ko) * 2012-07-12 2014-01-23 (주) 소프트브리지 투자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2707A (ko) 2012-08-15 2014-02-25 김대성 투자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피드백형 투자상품
KR20160090447A (ko) * 2015-01-21 2016-08-01 (주)한국투자교육연구소 투자 성향에 따른 맞춤형 투자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640A (ko) * 2012-07-12 2014-01-23 (주) 소프트브리지 투자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2707A (ko) 2012-08-15 2014-02-25 김대성 투자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피드백형 투자상품
KR20160090447A (ko) * 2015-01-21 2016-08-01 (주)한국투자교육연구소 투자 성향에 따른 맞춤형 투자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76A (ko) * 2020-11-27 2022-06-03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금융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기업분석 및 투자 포트폴리오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CN112667634A (zh) * 2020-12-29 2021-04-16 广州广电运通信息科技有限公司 企业数据的对标分析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001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co et al. Corporate diversification and the cost of debt: The role of segment disclosures
De Angelis et al. Performance terms in CEO compensation contracts
Banker et al. Implications of impairment decisions and assets' cash-flow horizons for conservatism research
Goyal et al. The selection and termination of investment management firms by plan sponsors
US20160342922A1 (en) Performance analytics based on high performance indices
US200702504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using human capital metrics as measures of economic value of persons to an organization
US20210012425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non-price based indexation in automated passive asset management
Gupta‐Mukherjee et al. Limited attention and portfolio choice: The impact of attention allocation on mutual fund performance
CN112700149A (zh) 一种投资组合风险评估系统、方法及计算机设备
Bernile et al. Geography of firms and propagation of local economic shocks
Abdullah An empirical analysis of liquidity, profitability and solvency of Bangladeshi banks
KR100742164B1 (ko) 주식자산 운용 시스템에서의 포트폴리오 및 계량적 방법에의한 주식 종목 선택 방법
Skoogh et al. The Impact of Tangible Assets on Capital Structure-An analysis of Swedish listed companies
Gallagher et al. Quality investing in an Australian context
KR102201001B1 (ko)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US8275637B1 (en) Earnings at risk method and system
KR101004375B1 (ko) Psr 분석을 이용한 펀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pastamos et al. Assessing the accuracy and dispersion of real estate investment forecasts
Bergmann et al. Accounting based valuation: a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for forecasting earnings to proxy for ‘other information’
Nagy et al. An Analysis of the Financial Health of Companies Concerning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he V4 Countries
KR20220035060A (ko)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Laitinen Financial failure of a startup: a simulation approach
Javadi et al. Financi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as Distribution Companies of National Iranian Gas Company
Angelika et al. DETERMINANTS OF CASH HOLDING OF NON-CYCLICALS SECTOR COMPANIES LISTED ON INDONESIA STOCK EXCHANGE
GATAWA Financial Stewardship of Cooper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