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060A -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060A
KR20220035060A KR1020220026203A KR20220026203A KR20220035060A KR 20220035060 A KR20220035060 A KR 20220035060A KR 1020220026203 A KR1020220026203 A KR 1020220026203A KR 20220026203 A KR20220026203 A KR 20220026203A KR 20220035060 A KR20220035060 A KR 2022003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company
rating
information
stat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진
박광현
정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부스터
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부스터, 정원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부스터
Publication of KR2022003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은, 현황정보 입력부, 실행정보 추출부, 경영목표 도출부,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 및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로 구성된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업의 일반현황 및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 - 상기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금흐름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현황정보가 상기 현황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 단계;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정보 - 상기 실행정보는, 상기 재무제표 상의 재무정보 및 이를 기초로 도출될 수 있는 재무비율정보로 구성됨 - 가 상기 실행정보 추출부에 의해 상기 현황정보 내에서 추출되는 제2 단계; 상기 기업과 관련한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 - 상기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는, 상기 현황정보 및 상기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외부기관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임 - 를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가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제3 단계; 상기 산출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에 근거하여 상기 기업의 이상적인 재무제표가 상기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에 의해 도출되는 제4 단계;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와 상기 현황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이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산출된 상기 경영목표에 대한 증가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보정하여 상기 기업의 목표 재무제표가 상기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에 의해 도출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에 기초하여 산출되되,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각각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분포시킨 후, 이를 기초로 마련되는 간격의 크기가 정해진 등급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등급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등급 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Target financial statements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financial rating of a company}
본 발명의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의 재무적인 요소를 근거로 하여 기업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경영평가를 받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정도로 정리될 수 있으며, 이는 조달청과 같은 공공기관 입찰을 위한 기업신용평가와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기 위한 기업신용평가가 그것이다.
하지만 기업의 경영평가는 전술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업 입장에서 자체적으로 현재의 경영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객관적으로 평가 받아 기업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기업의 경영평가는 얼마만큼의 자금을 금융기관으로부터 융자받을 수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경영계획 및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기업 입장에서 경영평가를 받는 것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우선, 기업은 경영평가를 받기 위해서 경영평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야 하는데, 이때 생각보다 과도한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또한, 기업이 경영평가 전문기관에 경영평가를 의뢰할 때, 경영평가 전문기관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데, 기업신용평가 전문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영평가를 하기에 요구하는 자료도 많으며 현실적으로 개선이 어려운 비재무적인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경영평가 전문기관에 의한 경영평가는 평가의 결과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경영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8678호는 경영평가 전문기관에 의한 경영평가와 마찬가지로 평가의 결과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평가의 결과만을 보여주는 방식의 경영평가에서 벗어나 기업의 미래 지향적인 목표 및 개선 방향 등을 보여줄 수 있는 신개념의 경영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의 현재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경영목표 및 기업의 개선방향이 제시된 재무제표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경영계획 및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은, 현황정보 입력부, 실행정보 추출부, 경영목표 도출부,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 및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로 구성된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업의 일반현황 및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 - 상기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금흐름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현황정보가 상기 현황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 단계;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정보 - 상기 실행정보는, 상기 재무제표 상의 재무정보 및 이를 기초로 도출될 수 있는 재무비율정보로 구성됨 - 가 상기 실행정보 추출부에 의해 상기 현황정보 내에서 추출되는 제2 단계; 상기 기업과 관련한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 - 상기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는, 상기 현황정보 및 상기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외부기관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임 - 를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가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제3 단계; 상기 산출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에 근거하여 상기 기업의 이상적인 재무제표가 상기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에 의해 도출되는 제4 단계;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와 상기 현황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이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산출된 상기 경영목표에 대한 증가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보정하여 상기 기업의 목표 재무제표가 상기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에 의해 도출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에 기초하여 산출되되,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각각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분포시킨 후, 이를 기초로 마련되는 간격의 크기가 정해진 등급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등급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등급 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의 상기 실행정보는, 상기 현황정보에 포함된 상기 재무제표 상의 임의의 항목을 연산하여 산출되는 재무비율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의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실행정보 및 상기 수집정보를 기초로 하여, 안정성, 수익성, 성장성, 활동성 및 현금흐름성의 측면에서 상기 기업의 상태를 도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의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제5 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을 상향 조절하는 범위 내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의 상기 기업의 이상적인 재무제표는, 이상적인 재무상태표, 이상적인 손익계산서 및 이상적인 현금흐름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은, 기업의 현재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경영목표 및 기업의 개선방향이 제시된 재무제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은 개선방향이 제시된 재무제표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의 경영계획 및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비즈니스적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진행되는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100)은 기업의 현재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경영목표 및 기업의 개선방향이 제시된 재무제표를 제공하여, 앞으로의 경영계획 및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현황정보 입력부(110), 실행정보 추출부(120), 경영목표 도출부(130),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140),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 및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황정보 입력부(110)는 기업의 일반현황 및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를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입력 받는 구성요소로, 상기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금흐름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업의 일반현황은, 예를 들어, 기업명, 대표자, 기업규모, 업종, 종업원수, 회사위치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재무상태표, 상기 손익계산서 및 상기 현금흐름표는 비교식으로 작성된 재무제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황정보 입력부(110)가 상기 현황정보를 입력 받는 방식은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제무재표 상의 각 항목별로 직접 입력되거나, 정보 파일 자체, 즉, 제무재표 엑셀 파일 등을 업로딩하는 방식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실행정보 추출부(120)는 상기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160)에 의한 해당 기업의 목표 재무제표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정보를 상기 현황정보 내에서 추출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실행정보는 현황정보 내의 다양한 재무정보 및 재무정보를 통해 연산되는 다양한 비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정보는 재무상태표 상의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자산총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부채총계, 자본금, 자본총계 등의 재무정보 및/또는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채권, 판매비와 관리비, 영업이익, 이자비용, 당기순이익, 영업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 등의 재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행정보는 상기와 같은 재무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되는 매출액증가율, 매출액영업이익률,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 이자보상비율, 매출채권회전율, 현금흐름보상비율, 당기순이익대 영업활동현름흐름 등의 여러 재무비율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130)는 상기 현황정보 및 상기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외부기관의 서버부터 해당 기업의 외부 정보, 해당 기업과 관련한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 해당 기업의 재무상태에 대한 통계적 정보, 상·하한과 같은 제한조건, 제약조건, 제한비율 및/또는 권장조건 등과 같은 평가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기초로 해당 기업의 경영목표를 산출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관은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중소기업진흥공단, 코스콤(KOSCOM) 또는 나이스 신용평가㈜ 등일 수 있다.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130)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수집정보는, 예를 들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으로부터 해당 기업과 관련하여 전송 받은 각 항목 - 상기 항목은, 매출액영업이익율(%), 매출액당기순이익율(%), EBITDA 마진율(%), 총자산영업이익률(ROA, %), 자기자본순이익률(ROE, %), 자기자본비율(%), 유동비율(%), 이자보상비율(%), 차입금의존도(%), 단기차입금비율(%),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 총자산증가율(%), 자기자본증가율(%),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매입채무회전율(%) 및/또는 순운전자본회전율(%) 등임 - 에 대한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증가율 정보 및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130)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수집정보는, 중소기업진흥공간으로부터 전송 받은 업종별 융자제한 부채비율 등과 같은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하여 증가율이나 재무비율과 같은 권장조건 및/또는 제약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130)는 상기 수집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기업의 경영목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경영목표는 재무제표 상의 다양한 재무정보 및 재무정보를 통해 연산되는 다양한 비율정보에 대한 목표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영목표는 첫 번째로 재무제표 상의 다양한 재무정보 및 재무정보를 통해 연산되는 다양한 비율정보가 상기 수집정보 상의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 이상이 되도록 하는 목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영목표는 두 번째로 해당 기업의 발전 추세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목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수집정보 상의 산업업종별 평균 영업이익률보다 높은 경우, 해당 기업의 현재 영업이익이 부족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전년도 영업이익률과 비교한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영업이익률이 나올 수 있도록 영업이익을 계산하며, 이후 다시 이자보상비율에서 같은 방식으로 도출한 영업익과 비교하여, 더 높은 수준의 영업이익을 목표치로 삼고, 이 값에 의한 영업이익률과 이자보상비율을 다시 구하는 방법으로 경영목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재무제표 상의 영업이익률과 이자보상비율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재무제표 상의 다양한 재무정보 및 재무정보를 통해 연산되는 다양한 비율정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130)에 의해 도출되는 경영목표는 전술한 첫 번째 방식과 두 번째 방식 등이 혼용되어 도출될 수도 있다.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140)는 경영목표 도출부(130)에 의해 도출된 해당 기업의 경영목표에 근거하여 해당 기업의 현재 경영상태를 반영했을 때 가장 이상적이라고 판단되는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도출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에는 이상적인 재무상태표, 이상적인 손익계산서 및 이상적인 현금흐름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는 실행정보에 포함된 재무정보와 재무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재무정보와 재무비율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기업의 현재의 경영상태에서 실제로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는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와 상기 현황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을 산출하는 구성요소로, 경영목표 대비 얼마나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계산하여 등급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등급은 예를 들어 10단계의 등급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 사이의 간격의 크기 또한 일정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기업(사용자)이 많이 분포하는 구간 내에서는 간격의 크기를 작게 하게 하여 상기 기업(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이용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기업(사용자)이 적게 분포하는 구간 내에서는 간격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에 의해 도출되는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에 기초하여 산출되되,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각각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분포시킨 후, 이를 기초로 마련되는 간격의 크기가 정해진 등급을 가진 등급표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에 의해 도출되는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미리 준비된 상기 등급표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등급표는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을 샘플로 하여 간격의 크기가 정해진 등급을 갖는 일종의 미리 작성된 표본 데이터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등급표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등급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기업 중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등급 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기업(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이용에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에 의해 도출되는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복수의 등급을 가진 등급표에 대입시켜 산출된다.
상기 등급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을 샘플로 하여 작성된 표본데이터이며, 상기 복수의 등급 각각은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표본수준 - 상기 표본수준은,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하여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실제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의미함 - 을 분포시킨 후, 상기 분포의 밀집도에 기초한 분포 영역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분포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큰 영역은 상기 분포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보다 동일 크기의 영역 내에 더 많은 개수의 등급을 포함하게 되며, 분포의 밀집도에 따라 하나의 등급에 해당하는 영역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상기 기업(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이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에 의해 도출되는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기업신용평가의 신용등급과는 다른 것으로, 상기 신용등급은 기업의 부도 가능성과 위험 수준을 의미하는 반면,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현재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재무등급 및 상기 현금흐름등급은 상기 신용등급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은 기업의 입장에서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고려된 것이다.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160)는 해당 기업의 현재의 경영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수준인 경우, 실현 가능한 수준으로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보정하여 해당 기업의 목표 재무제표를 도출하는 구성요소로, 실현 가능한 수준의 기준은 예를 들어 해당 기업의 동종 업계의 실제 경영에 따른 경험적인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상적인 재무제표는 경영목표 도출부(130)에 의해 수집된 수집정보 상의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 이상이 되도록 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제무제표일 수 있으나, 목표 제무제표는 현실성을 고려하여 해당 기업의 동종 업계의 실제 경영에 따른 경험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보정하여 도출되는 것이다.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160)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재무제표의 보정이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해당 기업의 현실적인 목표 재무제표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현 가능한 수준의 기준은 해당 기업의 재무등급 및/또는 해당 기업의 현금흐름등급일 수도 있다.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판단할 때, 현재의 해당 기업의 재무등급 및/또는 현금흐름등급이 낮은 등급인 경우 그보다 더 높은 재무등급 및/또는 현금흐름등급이 되도록 하는 재무제표가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보정하여 생성되는 목표 재무제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해당 기업의 경영목표에 대한 증가율을 낮추는 방식을 통해 목표 재무제표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100)은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저장부에는 현황정보, 실행정보, 이상적인 재무제표 및 목표 재무제표 등이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진행되는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진행되는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은 도 1을 기초로 설명한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에 의해 진행되는 방법으로, 현황정보가 입력되는 제1 단계(S10), 실행정보가 추출되는 제2 단계(S20), 경영목표가 산출되는 제3 단계(S30), 이상적인 재무제표가 도출되는 제4 단계(S40),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이 산출되는 제5 단계(S50), 목표 재무제표가 도출되는 제6 단계(S60)를 포함할 있다.
상기 제1 단계(S10)는 현황정보 입력부(110)가 기업의 일반현황 및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를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로,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름흐름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0)는 상기 현황정보 입력부(110)가 현황정보를 입력 받은 후에 진행되는 단계로,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정보가 실행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상기 현황정보 내에서 추출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정보는 재무제표 상의 재무정보 및/또는 상기 재무제표 상의 재무정보를 기초로 연상될 수 있는 다양한 재무비율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는 상기 실행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실행정보가 추출된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로, 상기 현황정보 및 상기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외부기관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수집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가 경영목표 도출부(130)에 의해 산출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정보는 상기 기업의 외부 정보, 상기 기업과 관련한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 해당 기업의 재무상태에 대한 통계적 정보, 상·하한과 같은 제한조건, 제약조건, 제한비율 및/또는 권장조건 등과 같은 평가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계(S30)는 상기 기업에 대한 외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업과 관련한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업의 재무상태에 대한 통계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평가기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후에 진행되는 경영목표를 산출하는 단계(S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에 의해 산출되는 경영목표는 상기 기업의 재무적인 측면에서 상기 기업이 목표로 선정될 수 있는 재무증가율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기업이 해당되는 산업군의 통계적 분석 결과에 따른 증가율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130)에 의해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가 산출되면,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140)에 의해 상기 산출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에 근거하여 상기 기업의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도출하는 제4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는 실행정보에 포함된 재무정보 및 재무비율정보와 대응되는 재무정보 및 재무비율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업의 현재의 경영상태에서 실제로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고, 단지 상기 제3 단계(S30)에 의해 산출되는 경영목표를 바탕으로 작성되게 된다.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는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경영목표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업의 재무적인 측면에서 상기 기업이 목표로 선정될 수 있는 재무증가율이 반영된 재무제표일 수 있으며, 상기 기업이 해당되는 산업군의 통계적 분석 결과에 의한 증가율에 따른 결과가 반영된 재무제표일 수 있다.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는 이상적인 재무상태표, 이상적인 손익계산서 및 이상적인 현금흐름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상기 기업의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및 현금흐름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각종 재무정보 및 각종 비율정보를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상기와 같이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140)에 의해 이상적인 재무제표가 도출되면,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에 의해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와 상기 현황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을 산출하는 제5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상기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140)에 의해 도출된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상기 기업의 현재의 경영상태가 반영된 재무제표를 비교하여 판단된 결과로, 경영목표 대비 얼마나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계산하여 도출되는 등급일 수 있다.
상기 재무등급 및/또는 상기 현금흐름등급은 일반적인 신용평가사나 금융기관 등에서 실시하는 기업신용평가와는 다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즉, 기업신용평가는 기업의 부도위험성을 책정하고 이 순서를 매겨서 등급을 평가하는 방식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재무등급은 경영목표를 세운 후에 이를 만족하는 정도를 표시하는 방식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재무등급 및/또는 현금흐름등급은 공공기관 입찰과 자금 대출을 만족하는 수준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단계(S50)는 상기 실행정보 및 상기 수집정보를 기초로 하여, 안정성, 수익성, 성장성, 활동성 및 현금흐름성의 측면에서 동종업계 평균 대비 상기 기업의 현재 상태가 도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정성은 상기 실행정보 및 상기 수집정보 각각에 포함된 자기자본비율(%), 부채비율(%), 유동비율(%), 이자보상비율(%), 차입금의존도(%) 및 단기차입금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재무정보(비율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익성은 상기 실행정보 및 상기 수집정보 각각에 포함된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당기순이익률(%), EBITDA마진율(%), 총자산영업이익률(ROA, %) 및 자기자본순이익률(ROE, %) 중 적어도 하나의 재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고, 상기 성장성은 상기 실행정보 및 상기 수집정보 각각에 포함된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 총자산증가율(%) 및 자기자본증가율(%) 중 적어도 하나의 재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으며, 상기 활동성은 상기 실행정보 및 상기 수집정보 각각에 포함된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매입채무회전율(%) 및 순운전자본회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재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으며, 상기 현금흐름성은 상기 실행정보 및 상기 수집정보 각각에 포함된 현금흐름보상비율(%),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 당기순이익대 영업활동현금흐름(%), 당기차입금대 영업활동현금흐름(%), 영업활동현금흐름대 매출액(%), 투자안정성 비율(%), 영업활동현금흐름대 총부채(%) 및 영업활동현금흐름대 차입금(%) 중 적어도 하나의 재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정성은 기업의 재무 구조가 가진 안전성과 창출된 이익에 의한 원리금 상환능력이 가지는 안전성으로 볼 수 있으며, 기업의 이익이 아무로 많다고 하더라도 차입금과 이에 따른 금융비용부담이 과중하면 안정성은 낮아지게 된다.
재무구조 분석에 있어 가장 먼저 수행하는 작업은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분류하는 것이다. 타인자본은 원금을 투자자들에게 상환해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이자 지급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청산상황에서 변제순위가 자기자본보다 우선순위이다.
상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산*100, %) 및 부채비율(총부채/자기자본*100, %)은 재무구조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재무비율로서 자본구성의 합리성과 균형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이 지표는 자산재평가, 감가상각정책 등 회계처리방침 차이, 부외자산 및 부외부채 등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100, %)은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 또는 그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쓰이는 것으로 신용분석적 관점에서는 가장 중요하다.
이 비율이 클수록 그만큼 기업의 재무유동성은 크게 되며, 200%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이상적이고, 2 대 1의 원칙(two to one rule)이라고 한다.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금융비용*100, %)은 영업이익을 통하여 금융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금융비용 부담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으나 감가상각정책의 편차가 큰 경우, 또는 설비조달에서 운용리스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업간 비교가능성 확보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차입금의존도(총차입금/총자산*100, %)은 차입금의 총자본에 대한 비율로서 재무위험 수준을 평가한다.
부채비율과 마찬가지로 이 지표 역시 자산재평가, 감가상각정책 등 회계처리방침의 차이에 의하여 상당한 영향을 받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단기차입금비율(단기성차입금/총차입금*100, %)은 전체 차입금 가운데 단기성차입금의 비중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단기성차입금 비중이 높을수록 재무정책은 공격적인 것으로 평가되나, 계절적인 등락이나 회전사용 가능성의 차이가 심하므로 해석시 고려가 필요하다.
상기 수익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출액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100, %)은 매출액과 관련한 수익성 측정의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비율로 매출단위당 영업이익 창출능력을 의미한다.
기업의 생산 및 영업활동의 총체적 성과를 나타내며 생산 및 판매 효율성, 제품 또는 원재료의 가격변동에 대한 대응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매출액당기순이익률(당기순이익/매출액*100, %)은 기업의 영업활동의 전체적인 능률과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유리한 지표로 기준이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산업평균 혹은 경쟁사들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다.
EBITDA마진율(EBITDA/매출액*100, %)은 매출액영업이익률 지표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감가상각에 의한 영향을 조정하여 비교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 지표로 감가상각 전 이익인 EBITDA를 활용한다.
유형자산 내용연수가 길게 설정되면 매출액영업이익률 보다 EBITDA마진율이 상대적으로 비교 적정성이 높다
총자산영업이익률(영업이익/총자산*100, ROA, %)은 총자산을 통하여 영업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자, 배당 등 자본비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중요한 특성이다. 비영업자산의 비중이 높은 경우 비교적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자기자본순이익률(순이익/자기자본*100, ROE, %)은 투자한 자기자본에 대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상기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출액증가율(당기매출액-전기매출액)/전기매출액*100, %)은 성장성의 분석의 기본적인 지표로 기준연도 매출액에 대한 비교연도 매출액의 증가율을 의미한다.
영업이익증가율(당기영업이익-전기영업이익)/전기영업이익*100, %)은 기업의 성장을 이익의 증가로 판단하는 지표로, 기업의 주된 사업의 현황과 성장성을 판단하는 데에는 영업이익의 증가율을 살피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순이익증가율(당기 당기순이익-전기 당기순이익)/전기 당기순이익*100, %)은 영업활동과 관계없이 비경상적으로 발생하는 특별손익을 가감하여 산출한 순이익의 증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성장성 분석에서 매출액증가율과 더불어 기본이 되는 비율이다.
총자산증가율(당기말 총자산-전기말 총자산)/전기말 총자산*100, %)은 자본과 부채의 합과 관련된 것으로, 기업의 규모가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자기자본증가율(당기 자기자본/전기 자기자본*100, %)은 유상증자, 내부유보, 자산재평가 등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총자산증가율(%), 자기자본증가율(%), 유형자산증가율(%) 및 재고자산증가율(%) 등을 함께 비교하면 자산 증가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활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총자산회전율(매출액/총자산*100, %)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비율로 기업의 총자산이 1년에 몇 번이나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낸다.
총자산회전율이 높으면 유동자산·고정자산등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반대로 낮으면 과잉투자와 같은 비효율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고자산회전율(매출액/평균재고자산*100, %)은 재고자산이 당좌자산으로 변화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재고자산 보유수준의 과부족을 판단하는데 적합하며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높으면 자본수익률이 높아지고, 매입채무가 감소되며, 상품의 재고손실을 막을 수 있어 기업측에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과대하게 높을 경우는 원재료 및 제품 등의 부족으로 계속적인 생산 및 판매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매출채권회전율(매출액/평균매출채권*100, %)은 기말의 매출채권잔액이 1년간의 영업활동을 통하여 매출액으로 회전되는 속도를 나타낸다.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매출채권이 순조롭게 회수되고 있음을 나타내나, 반대로 이 회전율이 낮게 되면 매출채권의 회수기간이 길어지므로, 그에 따른 대손발생의 위험이 증가하고 수익감소의 원인이 된다.
매입채무회전율(매출액/매입채무*100, %)은 매입채무의 변제속도를 표시해 주는 비율로 일정 기간 중 매입채무가 몇 번 회전되는가를 나타낸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지급능력이 양호한 상태이다.
순운전자본회전율(매출액/순운전자본*100, %)은 기업의 순운전자본 통제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기업이 일상적인 생산 및 판매활동을 영위할 때 필요한 순운전자본이 크면 현금이 묶여있다는 의미가 되므로 매출액 대비 작을수록 유리하다.
상기 현금흐름성은 현금흐름 창출 활동을 통해 기업의 실제적인 부채 상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기업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금흐름의 적정성은 차입금 상환과 투자활동에 소요되는 자금을 경상적인 영업활동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항목이며, 지속적인 발생가능성이 예상되는 경상적인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외부에서 조달되는 자금보다 신뢰도가 높게 된다.
현금흐름의 부족은 외부자금에의 의존도를 심화시키거나, 새로운 투자기회를 상실하게 하여 재무구조 약화 또는 사업경쟁력 저하를 초래하므로, 현금흐름은 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현금흐름성은 기본적으로는 수익성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수익성 지표에 비하여 회계처리방법의 차이 등에 의한 기업간 격차를 축소시켜 상환불능위험의 측정에 보다 정확한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금흐름성에 대한 분석은 현금수지분석과 현금흐름비율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현금수지분석은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바탕으로 회사의 유형을 판단하고 현금흐름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현금흐름의 방향을 판단하고 그 이후에 현금흐름비율을 통하여 현금흐름의 크기와 지속성 등을 판단한다.
현금수지분석은 영업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현금흐름, 재고자산의 증감, 매출채권의 증감, 매입채무의 증감, 기말과 기초자산의 변화 등을 포함하며 현금흐름비율은 현금흐름보상비율(%),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 당기순이익대 영업활동현금흐름(%), 영업활동현금흐름대 매출액(%)등을 포함한다.
현금흐름비율은 크게 ① 연간 창출하는 현금흐름과 총차입금 규모를 대비함으로써 전체 차입금을 상환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기간이 소요될 것인가를 나타내는 비율 ② 현금흐름과 운전자금, 고정자산투자, 배당금, 투자자산취득 등에 관련된 자금소요액을 대비함으로써 자금소요에 대한 충당능력을 나타내는 비율로 구성된다.
다만, 비율의 사용에 있어 산업 또는 기업 고유의 특성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사업위험이 영향을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단일비율에 의존하지 말고 다양한 비율을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현금흐름 지표는 나름대로 우월한 설명력을 가지는 영역을 보유하고 있으나 특정 지표 가 다른 지표에 비해 기업의 재무상태 전반을 설명하는데 우월하다고 할 수는 없다.
산업이나 개별기업의 특성에 따라 설명력이 우월한 지표는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업 경쟁력이 우수하고 재무구조도 양호한 기업은 손익활동현금흐름(총현금흐름)에 대비한 비율이 중시되고, 재무구조가 취약하여 차입금의 절대규모가 주요 현안인 기업은 잉여현금흐름에 대비한 비율이 중시된다.
현금흐름성 판단에 필요한 비율 정보는 현금흐름보상비율(%),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 당기순이익대 영업활동현금흐름(%), 당기차입금대 영업활동현금흐름, 영업활동현금흐름대 매출액(%), 투자안정성비율(%), 영업활동현금흐름대총부채(%) 및/또는 영업활동현금흐름대차입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금흐름보상비율(영업활동현금흐름+이자비용/(단기차입금+이자비용)*100, %)은 단기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기차입금과 이자비용과 같은 단기 자금에 대한 현금의 부담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상기 영업활동현금흐름대매출액(영업활동현금흐름/매출액*100, %)은 매출활동을 통하여 현금을 얼마나 창출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외상매출이 높으면 낮은 결과물이 나오므로 자금사정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투자안정성비율(영업활동현금흐름/유형자산투자순지출*100, %)은 영업활동으로 조달한 현금으로 유형자산 투자를 위한 현금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100%미만이면 조달하는 현금보다 많은 양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유동성 위험에 빠질 우려가 있다.
상기 영업활동현금흐름대총부채(영업활동현금흐름/총부채평균*100, %)은 부채상환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부채를 상환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상기 영업활동현금흐름대차입금(영업활동현금흐름/차입금평균*100, %)은 영업활동현금흐름을 통하여 차입금을 상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으로 차입금상환능력을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차입금규모가 작을수록 좋다.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150)에 의해 재무등급 및/또는 동종업계 평균 대비 상기 기업의 현재 상태가 도출되면, 상기 기업의 경영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보정하여 상기 기업의 목표 제무제표가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160)에 의해 도출되는 제6 단계(S6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6 단계(S60)는 상기 기업의 동종 업계의 실제 경영에 따른 경험적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목표 재무제표로 보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단계(S60)는 상기 제5 단계(S50)를 통해 산출되는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을 상향 조절하는 범위 내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결국, 해당 기업의 경영목표에 대한 증가율을 낮추는 방식, 즉, 실현 가능한 수준으로 이상 제무재표를 기초로 목표 재무제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다만,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160)에 의한 목표 재무제표는 한번에 완료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상기 기업에 가장 적당하고 합리적인 수준에서의 재무제표가 재설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110: 현황정보 입력부
120: 실행정보 추출부
130: 경영목표 도출부
140: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
150: 재무등급 산출부
160: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

Claims (1)

  1. 현황정보 입력부, 실행정보 추출부, 경영목표 도출부,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 및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로 구성된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업의 일반현황 및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 - 상기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현금흐름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현황정보가 상기 현황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정보 - 상기 실행정보는, 상기 재무제표 상의 재무정보 및 이를 기초로 도출될 수 있는 재무비율정보로 구성됨 - 가 상기 실행정보 추출부에 의해 상기 현황정보 내에서 추출되는 제2 단계;
    상기 기업과 관련한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 - 상기 산업 업종별 평균 정보는, 상기 현황정보 및 상기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외부기관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임 - 를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가 상기 경영목표 도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제3 단계;
    상기 산출된 상기 기업의 경영목표에 근거하여 상기 기업의 이상적인 재무제표가 상기 이상 재무제표 도출부에 의해 도출되는 제4 단계;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와 상기 현황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이 상기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산출된 상기 경영목표에 대한 증가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를 보정하여 상기 기업의 목표 재무제표가 상기 목표 재무제표 도출부에 의해 도출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기업의 재무등급 및 현금흐름등급은,
    상기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상기 기업의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복수의 등급을 가진 등급표에 대입시켜 산출되며,
    상기 등급표는,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을 샘플로 하여 작성된 표본데이터이며,
    상기 복수의 등급 각각은,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한 표본수준 - 상기 표본수준은, 상기 기업을 제외한 복수의 기업 각각에 대하여 이상적인 재무제표에 실제 재무제표가 도달한 수준을 의미함 - 을 분포시킨 후, 상기 분포의 밀집도에 기초한 분포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분포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큰 영역은,
    상기 분포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보다 동일 크기의 영역 내에 더 많은 개수의 등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KR1020220026203A 2019-05-21 2022-02-28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KR20220035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9592 2019-05-21
KR1020190059592 2019-05-21
KR1020190161517A KR20200134135A (ko) 2019-05-21 2019-12-06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517A Division KR20200134135A (ko) 2019-05-21 2019-12-06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060A true KR20220035060A (ko) 2022-03-21

Family

ID=737909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517A KR20200134135A (ko) 2019-05-21 2019-12-06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KR1020220026203A KR20220035060A (ko) 2019-05-21 2022-02-28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517A KR20200134135A (ko) 2019-05-21 2019-12-06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341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2551A (zh) * 2021-09-02 2021-12-21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供电分公司 一种电力公司财务预算管控系统及其预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35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20577A1 (en) Business performance index processing system
Minifie Super sting: how to stop Australians paying too much for superannuation
CN112700149A (zh) 一种投资组合风险评估系统、方法及计算机设备
KR20220035060A (ko) 기업의 재무등급 개선을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재무제표 제공 시스템
JP2003167989A (ja) 市場効率的付加価値処理システム
JP2005038292A (ja) 経営計画策定支援システム及び経営計画策定支援プログラム
JP2003233703A (ja) 経営指標処理システム
Ghanizadeh et al. The Effect of CEOs' Financial Knowledge on Unsystematic Risk,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anagerial Ability
Grody et al. Risk accounting-part 2: The risk data aggregation and risk reporting (BCBS 239) foundation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ERM) and risk governance
Baum et al. How to Assess Fiscal Risks from State-Owned Enterprises: Benchmarking and Stress Testing
Oki et al. Capital budgeting and cost evaluation techniques: A conceptual analysis
Chen Valuation Risk in Mutual Fund Portfolio Disclosure
Poudel Financial Performance Analysis of Public Enterprises (PEs) in Nepal
Noriska et al. An Analysis of Capital Structure, Stock Ownership Structure, and Profitability as Intervening Variables in Firm Value Testing
Makarova How to organize the efficient ERM model in non-financial companies and evaluate it efficiency in respect of corporate governance
Zatrochova et al. Investment Evaluation Methods for Business Performance
Higdon Monitoring, benchmarking and improving treasury performanc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in treasury.
Welc Prospectiv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imulations
Amenc et al. Submission to the Department of Work and Pensions (DWP) Call for Evidence: Options for Defined Benefit schemes: a call for evidence 5 September 2023
Medas et al. How to Assess Fiscal Risks from State-Owned Enterprises
Смоквина et al. Influence elements in accounting policies on the financial results of the company
Tang Important variables to calculate the Small firm premium for Dutch SMEs
Carvalho et al. The Effect of Inventory Leanness on Firms’ Credit Ratings: The Case of Pakistan. Risks 10: 226
Salmi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ounting, Stock Market, and R&D Measures on Economic Value Added (EVA): An Empirical Analysis
Arief et al. Company Stock Valuation Of Pt. Waskita Karya Tbk And The Impact Of Delayed Bonds Pay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