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115A - 충전용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용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115A
KR20200102115A KR1020190020298A KR20190020298A KR20200102115A KR 20200102115 A KR20200102115 A KR 20200102115A KR 1020190020298 A KR1020190020298 A KR 1020190020298A KR 20190020298 A KR20190020298 A KR 20190020298A KR 20200102115 A KR20200102115 A KR 2020010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outlet unit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878B1 (ko
Inventor
박한규
권혁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케이 filed Critical (주)에스엔케이
Priority to KR102019002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8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voltage or current in AC suppl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설정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1 콘센트부; 및 상기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콘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콘센트부를 통하여 상기 설정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경우,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제2 콘센트부를 통한 전원 공급이 중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충전용 콘센트 장치{SOCKET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본 발명은 충전용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 파괴로 인하여 내연 기관으로 운행하는 자동차에 대한 규제가 날로 강화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 자동차의 대안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각국은 이를 위하여 다양한 지원제도를 확충하고 있고 자동차 제조회사 역시 전기 자동차의 가격을 계속하여 떨어뜨리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운행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충전은 전기 자동차의 운행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설비 확충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존에 설치된 콘센트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키는 경우가 많다.
하나의 전력 라인에 연결된 복수의 일반 콘센트를 이용할 경우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따른 전기 요금 과금의 문제나 전력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한정에 따른 과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아파트 주차장에 설치된 기존 콘센트를 통하여 이루어지면 상기 전력 라인에 연결된 다른 콘센트들이 이용되면 전력 라인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8-0069540 (공개일 2018년06월25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전력 라인의 설정 전력에 따른 콘센트부의 전력 공급의 제어를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설정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1 콘센트부; 및 상기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콘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콘센트부를 통하여 상기 설정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경우,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제2 콘센트부를 통한 전원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전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차 충전용 단자, 상기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통하여 도출된 전력이 상기 설정 전력과 같거나 클 경우 상기 제2 콘센트부를 통한 전원 공급 중지를 위하여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전원공급 상태 정보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전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전원용 단자와, 상기 일반 전원용 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일반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동차 충전용 단자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때 상기 일반용 스위치를 턴오프 제어하여 상기 일반 전원용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를 제외한 전기 소비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상기 제1 콘센트부 및 상기 제2 콘센트부와 통신하는 충전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콘센트부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경우,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상기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전원공급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콘센트부로 전력공급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콘센트부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 중이고 상기 제2 콘센트부가 전력공급 중지 상태인 것과, 상기 제1 콘센트부 및 상기 제2 콘센트부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사용자의 단말기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콘센트부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비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과금하도록 전력회사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센트부가 상기 설정 전력의 일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설정 전력의 일부 전력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콘센트부는 상기 전력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전력의 나머지 전력 이내에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제1 콘센트부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동안에는 제2 콘센트부에 의한 전력 공급을 중지함으로써 전력 라인의 설정 전력에 따른 콘센트부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의 제1 콘센트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의 사용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를 포함한다.
제1 콘센트부(100)는 설정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된다. 제2 콘센트부(300)는 역시 상기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된다. 즉,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는 하나의 전력 라인에 연결된다.
도 1에서는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가 각각 한 개씩이나 2개 이상의 제2 콘센트부(3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은 별도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하우징에 동작에 필요한 여러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전력 라인은 전력회사의 전력망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정 전력은 전력 회사에서 전력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경우 하나의 전력 라인은 일반적으로 3 k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설정 전력은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콘센트부(100)의 지지부재와 제2 콘센트부(300)의 지지부재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지지부재는 건축물의 기둥이나 벽일 수도 있고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의 고정을 위한 시설물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 콘센트부(100)를 통하여 설정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경우, 제1 콘센트부(100)는 제2 콘센트부(300)를 통한 전원 공급이 중지되도록 한다.
이는 전력 라인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라인이 3kw의 전력을 공급할 경우, 제1 콘센트부(100)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에 3kw가 공급되면 더 이상의 전력 공급은 전력 라인에 과부하를 일으키므로 제2 콘센트부(300)를 통한 전력 공급은 중지된다.
제1 콘센트부(100)를 통한 충전이 완료되면, 3개의 제2 콘센트부(300) 중 하나가 충전을 개시할 수 있고, 제1 콘센트부(100)와 나머지 2개의 제2 콘센트부(300)의 전력 공급은 중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센트부(100)를 통한 충전이 완료되고 충전 중인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가 제1 콘센트부(100)에서 빠진 상태이면, 제1 콘센트부(100)과 제2 콘센트부(300) 모두 충전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었지만 충전기가 제1 콘센트부(100)에 삽입된 상태라면 제2 콘센트부(300)만 충전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콘센트부(100)는 충전 관리 서버(500)와 통신하고, 충전 관리 서버(500)는 제2 콘센트부(300)로 전력공급 중지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콘센트부(100)는 충전 관리 서버(5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제2 콘센부트의 전력 공급 중지를 요청할 수도 있다.
제1 콘센트부(100)를 통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1 콘센트부(100)는 충전 완료 신호를 충전 관리 서버(500) 또는 제2 콘센트부(300)로 전송함으로써 제2 콘센트부(300)를 통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완충 여부 확인은 제1 콘센트부(100)가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는 전력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콘센트부(100)가 충전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와 캔(CAN :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의 완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일반적인 콘센트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아파트 주차장에 설치된 기존 콘센트를 통하여 이루어지면 전력 라인에 연결된 다른 콘센트들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들은 영문도 모른체 전력 공급이 중지되거나 전력 라인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며 이는 주민들 간의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기존의 콘센트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하나의 인입선에 연결된 다른 콘센트들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 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콘센트의 교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 설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의 제1 콘센트부(10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콘센트부(100)는 자동차 충전용 단자(110), 전류 측정부(120), 전압 측정부(130), 컨트롤러(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충전용 단자(110)는 전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을 자동차 충전용 단자(110)와 접속시킴으로써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류 측정부(120)는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고, 전압 측정부(130)는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통하여 도출된 전력이 설정 전력과 같거나 클 경우 제2 콘센트부(300)를 통한 전원 공급 중지를 위하여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7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제1 콘센트부(100)의 컨트롤러(140)는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통하여 도출된 전력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 자동차에서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송신되는 파일롯 신호(pilot)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에 공급된 전력을 도출할 수도 있다. 파일롯 신호는 전기 자동차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전기 자동차가 공급받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콘센트부(300) 역시 제1 콘센트부(100)와 유사한 구성을 지닐 수 있으며, 제2 콘센트부(300)는 제1 콘센트부(100)와의 통신에 따라 전원 공급하거나 중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 상태 정보는 제1 콘센트부(100)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 중이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콘센트부(100)와 제2 콘센트부(300)가 서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 상태 정보는 충전 관리 서버(500)를 거치지 않고 제1 콘센트부(100)로부터 제2 콘센트부(3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콘센트부(300)는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콘센트부(100)는 충전 관리 서버(500)로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전 관리 서버(500)는 제2 콘센트부(300)로 전력공급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설정 전력은 제1 콘센트부(100)의 메모리부(160)에 설정될 수도 있는데, 제1 콘센트부(100)의 제조 과정에서 설정될 수도 있고, 충전 관리 서버(500)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충전 관리 서버(500)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700)가 제1 콘센트부(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설정 전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700)는 스마트폰, 테블렛 PC,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단말기(700)에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의 설정 전력과,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의 전력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및 제2 콘센트부(100,300)의 전력 정보, 사용가능유무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의 제1 콘센트부(100)는 일반 전원용 단자(170)와 일반용 스위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콘센트부(300) 역시 일반 전원용 단자(170)와 일반용 스위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전원용 단자(170)는 자동차 충전 이외의 여러 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기존 콘센트를 대체하여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충전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전기/전자 제품, 조명 제품이나 기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콘센트부(100)는 일반 전원용 단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콘센트부(100)의 일반용 스위치(180)는 전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전원용 단자(170)와, 일반 전원용 단자(170)를 통한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러(140)는 자동차 충전용 단자(110)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때 일반용 스위치(180)를 턴오프 제어하여 일반 전원용 단자(170)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를 제외한 전기 소비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즉, 전력 라인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은 한계가 있으며,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경우에 일반 전원용 단자(170)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면 전력 라인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컨트롤러(140)는 일반용 스위치(180)를 턴오프함으로써 전기 자동차 충전 외에 다른 제품들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콘센트부(100)와 제2 콘센트부(300)는 자동차 충전용 단자(110)와 연결된 충전용 스위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콘센트부(100)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제2 콘센트부(300)는 전원 공급을 중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2 콘센트부(300)의 컨트롤러(140)는 제2 콘센트부(300)의 충전용 스위치(190) 및 일반용 스위치(180)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제2 콘센트부(300)를 통한 전력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와 통신하는 충전 관리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콘센트부(100)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경우, 제1 콘센트부(100)는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충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충전 관리 서버(500)는 전원공급 상태 정보에 따라 제2 콘센트부(300)로 전력공급 중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500)는 제1 콘센트부(100)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 중이고 제2 콘센트부(300)가 전력공급 중지 상태인 것과,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사용자의 단말기(7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700)를 통하여 제1 콘센트부(100)를 통한 충전 완료 이후에 사용가능한 제2 콘센트부(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가능한 제2 콘센트부(300)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가능한 제2 콘센트부(300) 중 하나를 예약할 수 있다. 충전 관리 서버(500)는 예약한 사용자, 예약 순서 및 사용자가 예약한 제2 콘센트부(300)의 위치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들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충전 가능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파트 주자장 등에 여러 개의 전력 라인이 존재할 경우, 복수의 전력 라인마다 다수의 콘센트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력 라인별 사용가능한 콘센브부 위치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 콘센트부(100)는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의 도출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센트부(100)의 메모리부(160)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충전 프로파일(profile)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압, 전류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현재 공급되는 전력이 충전 프로파일의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은 사용자의 단말기(700)에 표시될 수 있다.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은 충전 프로파일과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와의 캔 통신을 통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 콘센트부(100)의 컨트롤러(14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1 콘센트부(100)는 이를 통하여 충전 완료 예상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충전 관리 서버(500)는 제1 콘센트부(100)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의 단말기(700)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하고, 전기 자동차의 충전 비용을 사용자에게 과금하도록 전력회사로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기(700)에 대한 접속 인증 이전에는 충전용 스위치(190)가 턴오프되어 자동차 충전용 단자(110)를 통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일반용 스위치(180)는 턴온되어 일반 전원용 단자(170)를 통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700)에 대한 접속 인증 이후에 제1 콘센트부(100)의 컨트롤러(140)가 충전 프로파일에 따른 전력사용이 감지되면, 콘트롤러(140)는 충전용 스위치(190)를 턴온시키고 일반용 스위치(180)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700)가 충전 관리 서버(500)로의 접속 인증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 인증이 이루어지면 충전 관리 서버(500)는 이를 제1 콘센트부(100) 및 제2 콘센트부(300)에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700)는 NFC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및 제2 콘센트부(100, 3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부는 인증 정보를 충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700)에 대한 접속 인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콘센트 장치는 건축물이나 충전 설비의 전력 라인을 통하여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가 충전할 경우 전기 요금은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가 아닌 전력 라인이 인입된 건축주나 설비주 등이 부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단말기(700)는 충전 관리 서버(500)로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을 통하여 접속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제1 콘센트부(100) 또는 제2 콘센트부(300)를 충전 관리 서버(5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제1 콘센트부(100) 또는 제2 콘센트부(300)가 전기 자동차에 공급한 전력량을 충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면, 충전 관리 서버(500)는 제1 콘센트부(100) 또는 제2 콘센트부(300)를 사용한 사용자에게 충전 비용을 과금하도록 전력 회사에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제1 콘센트부(100)가 설정 전력의 일부를 사용할 경우, 제1 콘센트부(100)는 설정 전력의 일부 전력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사용 정보의 전송은 제1 콘센트부(100)와 제2 콘센트부(300) 사이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콘센트부(100)로부터 충전 관리 서버(500)가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받아 제2 콘센트부(300)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콘센트부(300)는 전력 사용 정보에 따라 설정 전력의 나머지 전력 이내에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전력이 3kw인 경우, 제1 콘센트부(100)가 사용하는 전력량에 따라 제2 콘센트부(3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콘센트부(100)가 설정 전력보다 작은 전력을 공급할 동안이라도 제2 콘센트부(300)가 나머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2 콘센트부(300)가 나머지 전력을 나누어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콘센트부(100)가 1kw를 공급할 경우 두 개의 제2 콘센트부(300) 각각은 1kw씩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공급 전력의 도출은 전류 측정부(120) 및 전압 측정부(13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앞서 설명된 파일롯 시그널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제1 콘센트부(100) 자동차 충전용 단자(110)
전류 측정부(120) 전압 측정부(130)
컨트롤러(140) 통신부(150)
메모리부(160) 일반 전원용 단자(170)
일반용 스위치(180) 충전용 스위치(190)
제2 콘센트부(300) 충전 관리 서버(500)
단말기(700)

Claims (7)

  1. 설정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1 콘센트부; 및
    상기 전력 라인에 연결되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콘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콘센트부를 통하여 상기 설정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경우,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제2 콘센트부를 통한 전원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전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차 충전용 단자,
    상기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통하여 도출된 전력이 상기 설정 전력과 같거나 클 경우 상기 제2 콘센트부를 통한 전원 공급 중지를 위하여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전원공급 상태 정보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전력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전원용 단자와, 상기 일반 전원용 단자를 통한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일반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동차 충전용 단자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가 충전될 때 상기 일반용 스위치를 턴오프 제어하여 상기 일반 전원용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를 제외한 전기 소비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센트부 및 상기 제2 콘센트부와 통신하는 충전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콘센트부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경우,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전원공급 상태 정보를 상기 충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전원공급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콘센트부로 전력공급 중지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콘센트부가 전기 자동차를 충전 중이고 상기 제2 콘센트부가 전력공급 중지 상태인 것과, 상기 제1 콘센트부 및 상기 제2 콘센트부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사용자의 단말기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콘센트부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접속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비용을 상기 사용자에게 과금하도록 전력회사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센트부가 상기 설정 전력의 일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콘센트부는 상기 설정 전력의 일부 전력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콘센트부는 상기 전력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 전력의 나머지 전력 이내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콘센트 장치.
KR1020190020298A 2019-02-21 2019-02-21 충전용 콘센트 장치 KR102186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98A KR102186878B1 (ko) 2019-02-21 2019-02-21 충전용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98A KR102186878B1 (ko) 2019-02-21 2019-02-21 충전용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115A true KR20200102115A (ko) 2020-08-31
KR102186878B1 KR102186878B1 (ko) 2020-12-04

Family

ID=7223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298A KR102186878B1 (ko) 2019-02-21 2019-02-21 충전용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844B1 (ko) * 2022-09-13 2023-10-30 주식회사 큐아이티 복수의 충전모듈을 통해 차량을 충전하는 방법 및 그 차량 충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691B1 (ko) * 2013-10-25 2015-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충전기 제어방법
KR101505744B1 (ko) * 2013-10-17 2015-04-02 피에스텍주식회사 지능형 멀티 충전 시스템
KR20160122918A (ko) * 2015-04-14 2016-10-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20180069540A (ko)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상명엔지니어링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20180091605A (ko) * 2017-02-07 2018-08-16 한찬희 사용자 인증 및 정보처리가 가능한 이기종간 전기 접속장치와 이의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744B1 (ko) * 2013-10-17 2015-04-02 피에스텍주식회사 지능형 멀티 충전 시스템
KR101493691B1 (ko) * 2013-10-25 2015-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충전기 제어방법
KR20160122918A (ko) * 2015-04-14 2016-10-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20180069540A (ko)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상명엔지니어링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20180091605A (ko) * 2017-02-07 2018-08-16 한찬희 사용자 인증 및 정보처리가 가능한 이기종간 전기 접속장치와 이의 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878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3772B2 (en) Dynamic allocation of power module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20220024345A1 (en) Dynamic allocation of power module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11535111B2 (en) Mobile charging unit, particularly for electric vehicles, and a management system thereof for the delivery of charges on request
KR101245540B1 (ko)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US8860366B2 (en) Plug-i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US20130162221A1 (en) Direct Communications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JP7426755B2 (ja) 電気車用充電器の電力供給方法
JP6194910B2 (ja) 電気機器の制御装置及び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CN103516034A (zh) 与内置电缆式充电控制装置附接的附加通信设备及其操作方法
EP3241703B1 (e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having a socket and a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Bohn et al. Overview of SAE standards for plug-in electric vehicle
ES2905153T3 (es) Dispositivo de carga, sistema y método para controlar un dispositivo de carga
TW201632381A (zh) 充電站系統與相關電動車充電方法
KR102186878B1 (ko) 충전용 콘센트 장치
KR101680102B1 (ko) 사용자인증 콘센트 또는 커넥터
US20220266705A1 (en) Function extension module for charging stations
CN114665461A (zh) 服务器、电力管理方法
KR20230018636A (ko) 공동주택 및 빌딩 주차장에 적용되는 양방향 정보 Network 기반 전기자동차 스마트 충전시스템
KR20200128910A (ko)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90071873A (ko) 중앙 집중형 전기차 충전 시스템
JP7420061B2 (ja) サーバ、電力管理方法
WO2022181192A1 (ja) 充放電ステーション
US20220089055A1 (en) Vehicle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of
JP2022147843A (ja) 充電管理システム
KR20230064134A (ko)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부가 착탈 용이하고 배터리 추가 연결이 가능한 차량용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