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540A -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540A
KR20180069540A KR1020160171820A KR20160171820A KR20180069540A KR 20180069540 A KR20180069540 A KR 20180069540A KR 1020160171820 A KR1020160171820 A KR 1020160171820A KR 20160171820 A KR20160171820 A KR 20160171820A KR 20180069540 A KR20180069540 A KR 2018006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dule
electric vehicle
charg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986B1 (ko
Inventor
김상균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7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9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60L11/1818
    • B60L11/18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2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의 고장시 비상용으로 전기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를 포함하고, 비상용콘센트장치는 개폐장치에 의해 차단되어 인증된 사용자만이 개폐장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의 고장시 전기자동차를 견인하거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항상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사용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의 무단 사용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A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Having an Emergency Concent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의 고장시 비상용으로 전기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를 포함하고, 비상용콘센트장치는 개폐장치에 의해 차단되어 인증된 사용자만이 개폐장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의 고장시 전기자동차를 견인하거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항상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사용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의 무단 사용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 유해 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를 대신할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 자동자의 하나인 전기자동차는 차량 내부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의 힘으로 차량 모터를 구동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가 주유소 등과 같은 시설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자동차 역시 전기 충전 스테이션(예컨대, 충전기)에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여 운행한다.
다만, 전기자동차는 아직 화석 연료 자동차에 비해 그 비중이 크게 늘지 못하고 있고, 이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족과 1회 충전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가 크게 늘지 못하고 있음에 일정 부분 원인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도 지속적인 충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급속충전기를 가진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되고 있으나, 그 숫자가 매우 부족하고 아직 내구성 또한 현저하게 떨어져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1회 주행거리가 많지 않고, 충전소가 현저하게 부족한 상황에서 충전기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는 전기자동차를 견인하여 다른 충전소로 이동시켜야 할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738호(2011. 10. 13. 공개)"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충전기의 고장시 전기자동차를 견인하거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항상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사용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의 무단 사용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충전기의 고장시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분전반을 통해 다른 계통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의 고장시 전기자동차와 연결하여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는 전기자동차와 연결되는 플러그를 삽입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와,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는 상기 충전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충전기의 고장을 인식하여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로 고장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고장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는 상기 고장인식부에 의해 전달된 고장 발생 정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인식부는 전기자동차의 연결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모듈과, 접속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는 충전전류측정모듈과, 상기 충전전류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값이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충전기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모듈과, 상기 고장판단모듈에 의해 충전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장 발생 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로 전달하는 비상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장치의 개방과 폐쇄를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를 인식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모듈과, 상기 사용자인증모듈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임이 인증된 경우 상기 개폐장치를 개방하는 개방지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연결부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는 연결감지모듈과, 상기 연결감지모듈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비상용콘센트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전반에 현재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부하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부하정보요청모듈과, 상기 부하정보요청모듈에 의해 요청되어 분전반으로부터 수신된 부하의 정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속도를 결정하는 충전속도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은 분전반으로부터 수신되는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량에 따라 충전속도를 결정하며,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량이 많을수록 충전속도를 늦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를 요청하는 충전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요청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를 입력하는 충전속도입력모듈과,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충전속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의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속도정보전송모듈과, 상기 속도정보전송모듈에 의해 전송된 충전속도에 관해 충전기 관리자가 전송한 전력사용의 단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가정보표시모듈과, 상기 단가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된 단가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충전여부선택모듈과, 상기 충전여부선택모듈에 의해 충전의 개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속도로 충전속도를 변경하여 충전을 개시하는 충전속도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기의 고장시 비상용으로 전기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를 포함하고, 비상용콘센트장치는 개폐장치에 의해 차단되어 인증된 사용자만이 개폐장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의 고장시 전기자동차를 견인하거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항상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사용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의 무단 사용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충전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개폐장치가 열리거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충전기의 고장시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폐장치가 개방되어 비상용콘센트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될 경우, 비상용콘센트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전반에 현재 부하의 양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부하의 양에 따른 충전속도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전반을 통해 다른 계통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비상용콘센트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작동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3의 개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3의 충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3의 충전요청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1의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고장인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전기자동차(1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3)와, 상기 충전기(3)의 고장시 전기자동차(100)와 연결하여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1)를 포함한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충전기 숫자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외부에 설치될 수밖에 없으므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아 잦은 고장을 일으킨다. 또한, 1회 충전시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는 화석 연료 자동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상황이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운행자는 충전기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멀리 떨어진 다른 충전소까지 운행할 수 없어 견인에 의해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기(3)의 고장시 비상용으로 전기자동차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비상용콘센트장치(1)를 마련함으로써 충전기(3)가 고장난 경우에도 전기자동차를 견인하는 일 없이 항상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개폐장치(12)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무단 사용을 막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충전기(3)가 고장난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개폐장치(12) 등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된 사용자라 하더라도 그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전력의 무단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다.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상기 충전기(3)의 고장시 비상용으로 전기자동차를 연결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력계통의 분전반(200) 등에 연결되어 항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충전기(3)의 고장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전반(200)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외부로 개방되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라 하더라도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100)와 연결되는 플러그를 삽입하는 연결부(11)와, 상기 연결부(11)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12)와,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13)와,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작동에 관한 내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1)는 전기자동차(100)와 연결되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분전반(200)과 연결되는 전력선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여, 전기자동차(10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1)는 외부와 차단되는 일정 공간, 예를 들어 벽 내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장치(12)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차단되어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개폐장치(12)는 상기 연결부(11)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장치(12)는 상기 연결부(11)의 전면에 형성되어 개폐가 가능한 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락과 같은 별도의 잠금수단(121)이 형성되어 잠금과 해제가 반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12)는 상기 제어부(13)의 후술할 개폐부(132)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이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12)는 상기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이 개시되며, 이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라 하더라도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개폐장치(12)의 개방이 이루어져 비상용콘센트장치(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무분별한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충전기(3)가 고장 난 비상시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며, 전력 계통에 미치는 영향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작동개시부(131), 상기 개폐장치(12)를 개폐하는 개폐부(132), 상기 연결부(11)에 연결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부(133),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의 충전을 요청하는 충전요청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개시부(131)는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개폐부(132) 및 충전부(133), 개폐장치(12)에 전원이 공급되어 개폐장치(12)의 개방 및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개시부(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3)로부터 고장의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비상정보수신모듈(131a)과, 상기 비상정보수신모듈(131a)에 의해 고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132) 및 충전부(133), 개폐장치(1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모듈(131b)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정보수신모듈(131a)은 상기 충전기(3)로부터 충전기의 고장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비상개시모듈(334)에 의해 전송되는 고장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충전기(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전원이 공급되어 개폐장치(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으로 충전기(3)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상정보수신모듈(131a)은 충전기(3)와의 통신에 의해 고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131b)은 상기 비상정보수신모듈(131a)에 의해 충전기(3)의 고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개폐부(132), 개폐장치(12), 충전부(13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개폐부(132)에 의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없으며, 개폐부(132)의 개방이 지시되도록 할 수 없고, 개폐장치(12)는 개방되지 않으며, 충전부(133)에 의한 전기자동차(10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충전기(3)가 고장 난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무단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고 전력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132)는 상기 개폐장치(12)의 개방과 폐쇄를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를 인증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개폐장치(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개폐장치(12)의 개방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자동으로 개폐장치(12)를 폐쇄하여, 연결부(11)의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13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기(3)가 고장 난 경우에만 상기 전원공급모듈(131b)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으며, 개폐장치(12)의 개방 및 폐쇄 지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미도시)를 인지하여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무선통신모듈(132a),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모듈(132b),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2b)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임이 인증되는 경우 개폐장치(12)의 개방을 지시하는 개방지시모듈(132c), 충전부(133)에 의한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개폐장치(12)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자동폐쇄모듈(132d)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32a)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와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RFID, 비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인식되어 사용자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실시하고,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인증모듈(132b)에 의한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32a)은 상기 전원공급모듈(131b)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2b)은 상기 무선통신모듈(132a)에 의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정보를 인증하는 구성으로, 스마트폰 등으로 형성되는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32a)을 인식하여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충전기(3)를 사용하기 위해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송하도록 하며, 사용자단말기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는 별도의 무선통신장치로 형성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2b)은 별도의 서버와 통신을 실시하여 전송받은 사용자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등록된 사용자만이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인증모듈(132b)은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충전기(3)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전달받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충전기(3)에 사용자인증을 실시하여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만을 사용자로 인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2b)은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에게 사용자정보를 전송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개폐장치(12)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2b)은 상기 무선통신모듈(132a)과 같이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며,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개방지시모듈(132c)에 의해 개폐장치(12)의 개방에 대한 지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개방지시모듈(132c)은 상기 사용자인증모듈(132b)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개폐장치(12)의 개방을 지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개방 지시는 상기 개폐장치(12)의 잠금수단(121)으로 전달되어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개폐장치(12)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개방지시모듈(132c)에 의해 개폐장치(12)가 개방되면, 전기자동차 사용자는 상기 연결부(11)에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폐쇄모듈(132d)은 상기 개방지시모듈(132c)에 의해 개폐장치(12)가 개방되고, 연결부(11)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충전이 완료됨을 인지하여 개폐장치(12)의 자동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개폐장치(12)가 닫혀지고 잠금수단(121)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자동폐쇄모듈(132d)은 상기 충전부(133)의 후술할 연결감지모듈(133a)에 의해 연결부(11)로부터 플러그가 인출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개폐장치(12)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33)는 상기 충전기(3)에 고장이 발생하여 개폐부(132) 및 개폐장치(12)에 전원이 공급되고, 사용자가 인증되어 개방지시모듈(132c)에 의해 개폐장치(12)가 개방된 후, 상기 연결부(11)에 전기자동차와 연결되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전기자동차(100)로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분전반(2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한다. 상기 충전부(133) 역시 충전기(3)가 고장 난 경우에만 상기 전원공급모듈(131b)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133)가 연결되는 분전반(200)은 충전기(3)뿐만 아니라, 건물, 가정 등 다양한 시설과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분전반(200)으로부터 다른 시설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량, 즉 부하의 전력량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충전속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전반(200)으로부터 다른 계통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부(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에 대한 전기자동차(100)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모듈(133a), 상기 연결감지모듈(133a)에 의해 전기자동차(100)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분전반(200)에 현재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부하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부하정보요청모듈(133b)과, 상기 부하정보요청모듈(133b)에 의해 요청되어 분전반(200)으로부터 수신된 부하의 정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속도를 결정하는 충전속도결정모듈(133c)과,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에 의해 결정된 충전속도를 상기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하는 속도정보표시모듈(133d)과, 상기 속도정보표시모듈(133d)에 의해 표시된 충전속도에 의한 충전의 승인여부를 입력하는 승인여부입력모듈(133e)과,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에 의해 충전속도의 승인이 입력되는 경우 연결부(11)를 통한 전기자동차(100)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전개시모듈(133f)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감지모듈(133a)은 상기 연결부(11)에 연결되는 전기자동차(100)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연결부(11)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100)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부하정보요청모듈(133b)에 의해 분전반(200)으로 부하정보의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부하정보요청모듈(133b)은 분전반(200)에 부하정보를 요청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부(11)에 의해 전기자동차(100)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기 전에, 현재 분전반(200)에서 다른 시설의 부하들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충전속도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전반(200)으로부터 다른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하정보요청모듈(133b)에 의해 부하에 관한 정보, 즉 분전반(200)에 연결된 다른 시설(부하)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은 분전반(200)은 이에 관한 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에 의해 이에 따른 적정 충전속도가 결정된다.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은 상기 부하정보요청모듈(133b)에 의해 요청되어 분전반(200)으로부터 수신된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량에 따라 충전속도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량의 기준에 따라 충전속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은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량의 범위에 따른 충전속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분전반(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량에 따라 충전속도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은 분전반(200)의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량이 많을수록 충전속도가 늦춰지도록 하여 분전반(200)의 전력 공급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의한 전력의 갑작스런 공급으로 분전반(200)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력 공급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에 의해 결정된 충전속도는 상기 속도정보표시모듈(133d)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결정된 충전속도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속도정보표시모듈(133d)은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에 의해 결정된 적정 충전속도가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충전속도와 함께 충전속도에 따른 예상 충전시간이 계산되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속도정보표시모듈(133d)에 의해 표시된 충전속도와 충전 예상시간을 보고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에 의해 충전속도를 승인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충전요청부(134)에 의해 원하는 충전속도를 입력하여 충전속도의 변경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은 상기 속도정보표시모듈(133d)에 의해 표시되는 결정된 충전속도와 예상시간을 보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승인 여부를 입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4)를 통해 표시되는 터치패드 등을 통해 승인 여부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에 의해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충전개시모듈(133f)에 의해 결정된 충전속도로 충전이 개시되며,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에 의해 승인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요청부(134)에 의한 충전속도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다.
상기 충전개시모듈(133f)은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에 의해 결정된 충전속도를 승인한다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 전기자동차(100)에 대한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부(11)를 통해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하며,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에 의해 결정된 충전속도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요청부(134)는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에 의해 결정된 충전속도를 승인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새로운 충전속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로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속도정보표시모듈(133d)에 의해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는 충전속도와 충전예상시간을 보고, 승인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빠른 충전을 원하는 경우 더욱 빠른 충전속도를 충전기(3)의 관리자 또는 소유자에게 요청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충전속도로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충전기(3)의 관리자 또는 소유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의 승인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단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속도의 증가에 따른 비용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요청부(1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를 입력하는 충전속도입력모듈(134a),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134a)에 의해 입력된 충전속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3)의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속도정보전송모듈(134b)과, 상기 속도정보전송모듈(134b)에 의해 전송된 충전속도에 관해 충전기 관리자가 전송한 전력사용의 단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가정보표시모듈(134c)과, 상기 단가정보표시모듈(134c)에 의해 표시된 단가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충전여부선택모듈(134d)과, 상기 충전여부선택모듈(134d)에 의해 충전의 개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134a)에 의해 입력된 속도로 충전속도를 변경하여 충전을 개시하는 충전속도변경모듈(134e)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134a)은 상기 승인여부입력모듈(133e)에 의해 사용자가 결정된 충전속도를 승인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14)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결정된 충전속도보다 빠른 충전속도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는 상기 속도정보전송모듈(134b)에 의해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에게 전송된다.
상기 속도정보전송모듈(134b)은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134a)에 의해 입력된 충전속도를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에게 전송하는 구성으로, 등록된 관리자 또는 소유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 충전속도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며,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는 입력된 충전속도에 관한 단가정보를 결정하여 단말기를 통해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단가정보표시모듈(134c)은 상기 속도정보전송모듈(134b)에 의해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로 전송된 충전속도에 대해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가 입력한 단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14)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이를 보고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빠른 충전속도를 원하는 경우 충전기(3) 관리자 또는 소유자가 더욱 높은 단가를 입력하여 분전반(200)의 전력 부담에 대한 대가를 요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단가를 통해서도 빠른 충전속도를 통해 충전할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여부선택모듈(134d)은 상기 단가정보표시모듈(134c)에 의해 표시된 단가정보를 본 사용자가 이에 대한 승인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단가정보를 승인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속도변경모듈(134e)에 의해 충전속도가 변경되어 충전이 개시되고, 단가정보를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개시모듈(133f)을 통해 종래 결정된 충전속도로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전기자동차의 연결을 해제하여 충전을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여부선택모듈(134d)은 상기 디스플레이(14)를 통해 선택 화면을 제공하여 선택여부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충전속도가 결정된다.
상기 충전속도변경모듈(134e)은 상기 충전여부선택모듈(134d)에 의해 단가정보의 승인이 선택된 경우,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133c)에 의해 결정된 충전속도가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134a)에 의해 입력된 충전속도로 변경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충전속도가 변경되어 충전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기(3)는 전기자동차(1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자동차(100)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소, 아파트, 단독주택 등의 건물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충전기(3)는 종래 일반적인 충전기와 동일하게 접속부(31), 전력공급부(32) 등의 구성을 가지나, 고장인식부(33)를 포함하여 충전기(3)의 고장을 인지하도록 하고, 고장의 발생에 관한 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전송하여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1)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기(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100)와 연결되는 접속부(31), 상기 접속부(31)에 연결된 전기자동차(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32), 상기 충전기(3)의 고장을 인지하여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송하는 고장인식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31)는 전기자동차(100)와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기자동차(100)와 연결되는 전력선의 플러그 등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전력공급부(32) 상기 접속부(31)를 통해 연결된 전기자동차(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분전반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한다.
상기 고장인식부(33)는 상기 충전기(3)의 고장을 인식하여 고장의 발생에 관한 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1)를 통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무단 사용을 막고, 비상용콘센트장치(1) 사용 및 전력계통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고장인식부(33)는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송하도록 하고,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고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인증, 개폐장치(12)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충전기(3)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장인식부(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100)의 연결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모듈(331)과, 접속된 전기자동차(100)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는 충전전류측정모듈(332)과, 상기 충전전류측정모듈(332)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값이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충전기(3)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모듈(333)과, 상기 고장판단모듈(333)에 의해 충전기(3)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장 발생 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달하는 비상개시모듈(334)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감지모듈(331)은 상기 접속부(31)에 연결되는 전기자동차(100), 더욱 정확하게는 전기자동차(100)에 연결되는 전력선의 플러그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고 난 후, 상기 충전전류측정모듈(332)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전류측정모듈(332)은 상기 접속감지모듈(331)에 의해 전기자동차(100)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전력공급부(32)를 통해 전기자동차(100)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측정된 전류의 양은 상기 고장판단모듈(333)로 전달되어 충전기(3)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장판단모듈(333)은 상기 충전전류측정모듈(332)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충전기(3)의 고장을 판단하는 구성으로, 측정되는 전류의 양이 설정된 전류값보다 낮은 경우 충전기(3)의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력공급부(32)에 의해 전기자동차(100)로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력공급부(32)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값이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장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고장판단모듈(333)에 의해 충전기(3)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고장 발생 정보는 상기 비상개시모듈(334)에 의해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송된다.
상기 비상개시모듈(334)은 상기 고장판단모듈(333)에 의해 충전기(3)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장 발생에 관한 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1)로 전송하여 비상 상황이 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고장 발생정보는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의 비상정보수신모듈(131a)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비상정보수신모듈(131a)에 의해 고장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1)는 전원공급모듈(131b)에 의해 개폐부(132), 개폐장치(12), 충전부(133)에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충전기(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비상용콘센트장치(1)에 의한 사용자의 인증, 개폐장치(12)의 개폐가 이루어져 비상용콘센트장치(1)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비상용콘센트장치
11: 연결부 12: 개폐장치 121: 잠금수단
13: 제어부
131: 작동개시부 131a: 비상정보수신모듈 131b: 전원공급모듈
132: 개폐부 132a: 무선통신모듈 132b: 사용자인증모듈
132c: 개방지시모듈 132d: 자동폐쇄모듈
133: 충전부 133a: 연결감지모듈 133b: 부하정보요청모듈
133c: 충전속도결정모듈 133d: 속도정보표시모듈
133e: 승인여부입력모듈 133f: 충전개시모듈
134: 충전요청부 134a: 충전속도입력모듈 134b: 속도정보전송모듈
134c: 단가정보표시모듈 134d: 충전여부선택모듈
134e: 충전속도변경모듈
3: 충전기
31: 접속부 32: 전력공급부 33: 고장인식부
331: 접속감지모듈 332: 충전전류측정모듈 333: 고장판단모듈
334: 비상개시모듈

Claims (8)

  1.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의 고장시 전기자동차와 연결하여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용콘센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는 전기자동차와 연결되는 플러그를 삽입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와,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는
    상기 충전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충전기의 고장을 인식하여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로 고장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고장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용콘센트장치는 상기 고장인식부에 의해 전달된 고장 발생 정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인식부는
    전기자동차의 연결을 감지하는 접속감지모듈과, 접속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는 충전전류측정모듈과, 상기 충전전류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값이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충전기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모듈과, 상기 고장판단모듈에 의해 충전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장 발생 정보를 비상용콘센트장치로 전달하는 비상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장치의 개방과 폐쇄를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를 인식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모듈과, 상기 사용자인증모듈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임이 인증된 경우 상기 개폐장치를 개방하는 개방지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연결부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는 연결감지모듈과, 상기 연결감지모듈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비상용콘센트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전반에 현재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부하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부하정보요청모듈과, 상기 부하정보요청모듈에 의해 요청되어 분전반으로부터 수신된 부하의 정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속도를 결정하는 충전속도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속도결정모듈은
    분전반으로부터 수신되는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량에 따라 충전속도를 결정하며,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량이 많을수록 충전속도를 늦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를 요청하는 충전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요청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속도를 입력하는 충전속도입력모듈과,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충전속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충전기의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속도정보전송모듈과, 상기 속도정보전송모듈에 의해 전송된 충전속도에 관해 충전기 관리자가 전송한 전력사용의 단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가정보표시모듈과, 상기 단가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된 단가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충전여부선택모듈과, 상기 충전여부선택모듈에 의해 충전의 개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충전속도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속도로 충전속도를 변경하여 충전을 개시하는 충전속도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20160171820A 2016-12-15 2016-12-15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1974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20A KR101974986B1 (ko) 2016-12-15 2016-12-15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20A KR101974986B1 (ko) 2016-12-15 2016-12-15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40A true KR20180069540A (ko) 2018-06-25
KR101974986B1 KR101974986B1 (ko) 2019-05-03

Family

ID=6280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820A KR101974986B1 (ko) 2016-12-15 2016-12-15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9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96A (ko) * 2018-06-27 2020-01-06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02115A (ko) 2019-02-21 2020-08-31 (주)에스엔케이 충전용 콘센트 장치
CN112406605A (zh) * 2020-12-18 2021-02-26 胡斌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150A (ja) * 2008-01-25 2009-08-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電気駆動装置充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060752A (ja) * 2010-09-08 2012-03-22 Nitto Kogyo Co Ltd 分電盤
JP2012070479A (ja) * 2010-09-21 2012-04-05 Ntt Facilities Inc 充電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6144385A (ja) * 2015-02-05 2016-08-08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150A (ja) * 2008-01-25 2009-08-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電気駆動装置充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060752A (ja) * 2010-09-08 2012-03-22 Nitto Kogyo Co Ltd 分電盤
JP2012070479A (ja) * 2010-09-21 2012-04-05 Ntt Facilities Inc 充電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6144385A (ja) * 2015-02-05 2016-08-08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96A (ko) * 2018-06-27 2020-01-06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02115A (ko) 2019-02-21 2020-08-31 (주)에스엔케이 충전용 콘센트 장치
CN112406605A (zh) * 2020-12-18 2021-02-26 胡斌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
CN112406605B (zh) * 2020-12-18 2021-12-1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986B1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985B1 (ko)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기
KR101974986B1 (ko) 비상용콘센트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US9990785B2 (en) Access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a vehicle
CN105083041B (zh) 电气充电接口的锁止装置的控制
CN103328254B (zh) 车辆充电装置的访问控制系统及方法
CN203376792U (zh) 基于移动终端的门禁管理系统及门禁终端
CN107323278B (zh) 汽车充电枪锁止装置及其控制方法
JP6647509B1 (ja)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ないし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9342937B2 (en) Control system during fuel supply to vehicle, and portable device
US9802495B2 (en) Off-board charger for high-voltage battery charging
US2013011034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US20160257211A1 (en) Charging cable locking device and controller
CN107264313B (zh) 汽车充电枪锁止装置及其控制方法
CN101870277A (zh) 车辆充电授权
CN110758318B (zh) 车锁控制方法和装置
CN101764419A (zh) 用于电动车的充电指示器
JP4635390B2 (ja) 遠隔解錠方法
US9367048B2 (en) Vehicle controller
CN206841377U (zh) 一种汽车远程控制车门锁和启动的装置
CN111051159B (zh) 车辆用控制系统
KR201100963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CN103847709A (zh) 用于阻止车辆同时充电和加注燃料的装置和方法
CN105894635A (zh) 车辆远程开锁系统及方法
CN108528245A (zh) 一种智能控制的充电设备及通信数据传输方法
KR20190081757A (ko) 전기 차량 충전용 케이블 일체형 제어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