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55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555A
KR20200101555A KR1020190019062A KR20190019062A KR20200101555A KR 20200101555 A KR20200101555 A KR 20200101555A KR 1020190019062 A KR1020190019062 A KR 1020190019062A KR 20190019062 A KR20190019062 A KR 20190019062A KR 20200101555 A KR20200101555 A KR 2020010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rack
voltage
sens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세
곽원규
엄기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555A/ko
Priority to US16/793,404 priority patent/US11276351B2/en
Priority to EP20157843.2A priority patent/EP3699897A1/en
Priority to CN202010102506.9A priority patent/CN111579215A/zh
Publication of KR2020010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555A/ko
Priority to US17/592,253 priority patent/US1171045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7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78Detecting defects of the object to be tested, e.g. scratches or dus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H01L51/003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관통홀 주변에 위치하는 크랙 감지선; 및 상기 복수의 화소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크랙 감지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하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하나의 화소열을 통하여 상기 관통홀 주변의 크랙을 감지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홀을 가지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휴대형 전자 기기가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면서 별도로 카메라를 들고 다니는 경우보다 카메라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전자 기기 하나만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카메라가 전자 기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여 전자 기기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관통홀을 가지는 표시 장치에서 관통홀 주변에 발생하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관통홀 주변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발생하는 크랙도 감지하는 경우 다른 크랙의 경우와 용이하게 구분하여 어디서 발생한 크랙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관통홀 주변에 위치하는 크랙 감지선; 및 상기 복수의 화소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크랙 감지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하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하나의 화소열을 통하여 상기 관통홀 주변의 크랙을 감지한다.
상기 크랙 감지선의 일단은 전압 인가 신호선을 통하여 감지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크랙 감지선의 타단은 감지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신호선은 제1 데이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벤딩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하부 표시부; 및 상기 하부 표시부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표시부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가 위치하며,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 영역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표시 영역의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류를 공급하는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인가 신호선은 상기 상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전압 인가선과 상기 하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주변 전압 인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전압 인가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인가선과 상기 주변 전압 인가선은 전압 인가선용 패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신호선은 상기 상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감지선과 상기 하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주변 감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감지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선과 상기 주변 감지선은 감지선용 패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표시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크랙을 감지하는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의 일단은 상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으며, 타단은 데이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의 크랙을 감지하는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의 일단은 상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으며, 타단은 데이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통홀 주변에 위치하는 감지선을 통하여 관통홀의 주변에 크랙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가 관통홀 주변외에 다른 부분에서 발생하는 크랙도 감지하는 경우 다른 크랙과 구분하여 어디에서 크랙이 발생하는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크랙을 감지하는 방식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주변 영역을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데이터선과 감지선이 연결되는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단선이 감지된 경우의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구동부 주변을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기초로 하면,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관통홀(151, 152)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 200)을 가지며, 표시 패널(100, 200)에 크랙 감지선(215)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크랙 감지선(215)은 표시 패널(100, 200) 중 상부 표시부(200)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크랙 감지선(215)은 관통홀(151, 152)의 주변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크랙 감지선(215)도 단선되어 크랙이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크랙 감지선(215)의 단선 여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인가되는 감지 전압이 단선으로 인하여 인가되지 않으면서 그로 인하여 화소열이 휘도를 표시하도록 하여 확인한다. (도 6 참고)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의 구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하부 표시부(100), 상부 표시부(200), 및 이를 덮는 윈도우(400)를 포함하며, 하부 표시부(100) 및 상부 표시부(200)에는 두 개의 관통홀(151, 1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표시부(100) 및 상부 표시부(200)는 이를 합하여 표시 패널이라고도 한다. 관통홀의 개수는 도 1과 달리 한 개만 형성되거나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표시부(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주변 영역은 표시 영역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표시 벤딩부(101)와 구동부(102)를 포함한다.
한편, 표시 영역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하나의 화소는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류를 인가하는 하나의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 표시부(100)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는 인캡층에 의하여 덮여 있으며, 인캡층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층으로 수분이나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의 경계는 도 1에서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표시 영역은 상부 표시부(200)의 크기에 준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관통홀(151, 152)은 표시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지만, 관통홀(151, 152)이 위치하는 영역 및 그 주변에는 화소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화상을 표시하지 못한다.
하부 표시부(100)의 주변 영역은 도 1에서 벤딩부(101) 및 구동부(102)외에 표시 영역의 상하좌우 어느 영역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벤딩부(101)와 표시 영역의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은 그 폭이 매우 좁을 수 있으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주변 영역의 폭은 감소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하부 표시부(100)는 플라스틱이나 유기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한 기판에 화소(다이오드 구동부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한 것으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하부 표시부(100)의 주변 영역 중 벤딩부(101)는 플렉서블한 기판의 특성을 이용하여 벤딩되어 하부 표시부(100)의 배면을 향하여 꺾이는 부분이며, 표시 영역과 구동부(102)를 연결하는 신호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 중 도 1에서는 일부의 신호 배선만을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다. 특히, 도 1에서는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111-d)만이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데이터선을 따라서 복수의 화소열이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전압은 하나의 화소열 전체에 영향을 준다.
한편, 상부 표시부(200)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표시부(200)의 외곽 및 관통홀(151, 152)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전압 인가선(210), 감지선(211) 및 크랙 감지선(215)을 포함한다.
상부 표시부(200)는 외곽 일부 영역 및 관통홀(151, 152)의 주변을 제외하고는 하부 표시부(100)의 화소에 대응하여 화상이 표시된다. 도 1에서 전압 인가선(210), 감지선(211), 및 크랙 감지선(215)이 형성된 영역은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아닐 수 있다.
상부 표시부(200)는 하부 표시부(100)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기판에 화소(다이오드 구동부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후 이를 밀봉재로 밀봉한 후에 그 위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터치 센서를 지칭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터치 센서가 형성되는 별도의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관통홀(151, 152)을 형성할 때 하부 표시부(100) 및 상부 표시부(200) 중 해당 영역을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하는데, 이 때, 하부 표시부(100) 및/또는 상부 표시부(200)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크랙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크랙 감지선(215)을 제1 관통홀(151) 및 제2 관통홀(152)의 주변에 형성한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크랙 감지선(215)이 상부 표시부(200)에 형성되어 있다.
크랙 감지선(215)은 전압 인가 신호선(10)과 연결되어 감지 전압을 인가 받는다.
크랙 감지선(215)은 전압 인가 신호선(10)으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전압을 제1 감지 신호선(11)으로 전달한다. 제1 감지 신호선(11)은 제1 데이터선(111-d)와 연결되어 제1 데이터선(111-d)으로 감지 전압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인가 신호선(10)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압 인가선(210)과 주변 전압 인가선(110)을 포함한다. 전압 인가선(210)은 크랙 감지선(215)과 같이 상부 표시부(200)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하부 표시부(100)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표시부(100) 중 주변 영역(벤딩부(101) 및 구동부(102))에 형성되어 있다. 전압 인가선(210)과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전압 인가선용 패드(110-c)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감지 신호선(11)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변 감지선(111) 및 감지선(211)을 포함한다. 감지선(211)은 전압 인가선(210), 크랙 감지선(215)과 같이 상부 표시부(200)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변 감지선(111)은 하부 표시부(100)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표시부(100) 중 주변 영역(벤딩부(101) 및 구동부(102))에 형성되어 있다. 주변 감지선(111)과 감지선(211)은 감지선용 패드(111-c)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압 인가선용 패드(110-c) 및 감지선용 패드(111-c)는 하부 표시부(10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압 인가 신호선(10) 및 감지 신호선(11)에 인가되는 신호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전압 인가 신호선(10)은 외부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아 크랙 감지선(215)으로 전달한다. 이 때, 도 1에서와 같이, 전압 인가 신호선(10)은 양측 대칭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양측에서 동일한 감지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칩(300)의 일 단자와 연결되어 구동칩(300)으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받을 수도 있다.
크랙 감지선(215)의 일단은 전압 인가 신호선(10)과 연결되며, 타단은 감지 신호선(11)과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전압 인가 신호선(10)에서 크랙 감지선(215)으로 전달된 감지 전압이 감지 신호선(11)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진다.
감지 신호선(11)도 양측이 대칭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양측으로 연장된 배선이 주변 영역(101, 102)에서 만나는 구조를 가지며, 제1 데이터선(111-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감지 전압이 제1 데이터선(111-d)에 까지 전달된다.
만약, 관통홀(151, 152)의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여 크랙 감지선(215)이 단선되는 경우에는 감지 전압이 감지 신호선(11) 및 제1 데이터선(111-d)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크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데이터선(111-d)으로 감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선(111-d)과 연결된 화소열이 별도로 빛을 방출하지 않고, 제1 데이터선(111-d)으로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선(111-d)과 연결된 화소열이 빛을 방출하여 휘도를 표시(도 6 참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고 전압인 구동 전압(ELVDD)을 감지 전압으로 인가하며, 구동 전압(ELVDD)이 데이터선으로 인가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류를 출력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측과 게이트 측간의 전압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구동 전류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며, 만약 단선이 되어 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측과 게이트 측 간에 전압차이가 발생하여 구동 전류를 출력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빛을 방출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크랙을 검출하기 위하여 화소열이 빛을 방출하도록 하는 대신에, 구동칩(300)에서 감지 신호선(11)을 통하여 돌아오는 전압값을 읽어 크랙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의하면, 관통홀(151, 152)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면, 크랙 감지선(215)이 단선되어 제1 데이터선(111-d)과 연결된 화소열이 휘도를 방출하여 밝은 선 형태로 표시된다. 그 결과 관통홀(151, 152) 주변에 크랙 불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관통홀(151, 15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결과를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400)를 포함하며, 윈도우(400)에는 관통홀(151, 152)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윈도우(400)를 통하여 전면으로부터 이물질이 표시 장치의 관통홀(151, 15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윈도우(400)로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윈도우(400)의 일측면에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편광판은 외부에서 윈도우(400)로 입사되는 빛이 터치 센서용 배선 및 전극에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관통홀(151, 152)의 배면이나 그 속에는 카메라, 플래쉬와 같은 광학 소자나 적외선이나 자외선 센서 등 다양한 전자 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통하여 관통홀(151, 152) 부분의 배선 연결 관계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인가선(210)은 상부 표시부(200)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전압 인가선(210)은 하부 표시부(100)의 벤딩부(101)에서 전압 인가선용 패드(110-c)를 통하여 하부 표시부(100)의 주변 전압 인가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감지 전압이 상부 표시부(200)의 전압 인가선(210)으로도 전달된다.
또한, 감지선(211)도 상부 표시부(200)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감지선(211)의 양단은 감지선용 패드(111-c)를 통하여 하부 표시부(100)의 주변 감지선(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크랙 감지선(215)은 관통홀(151, 152)의 주변을 따라서 형성되며, 관통홀(151, 152)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 표시부(200) 및 하부 표시부(100)을 물리적으로 구멍을 형성하면서 그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크랙 감지선(215)도 단선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관통홀(151, 152)과 크랙 감지선(215)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크랙 감지선(215)은 관통홀(151, 152)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크랙 감지선(215)의 양단은 감지선(211)과 전압 인가선(210)에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전압 인가선(210)으로부터 감지 전압을 전달받아 감지선(211)으로 보내며, 크랙 감지선(215)이 단선되면, 감지선(211)으로 감지 전압이 전달되지 않으며, 이를 통하여, 관통홀(151, 152)주변에서 크랙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통홀 주변 및 그 외의 부분에서 크랙을 감지하는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크랙을 감지하는 방식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크랙 감지선(215)이 감지선(211)과 전압 인가선(210)에 연결된 구조와 배선의 끝에 형성되어 있는 전압 인가선용 패드(110-c) 및 감지선용 패드(111-c)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번개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며, 다양한 위치에 번개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그 중 크랙 감지선(215), 감지선(211) 및 전압 인가선(210)과 무관한 위치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감지는 가능하지 않다. 하지만, 해당 위치는 표시 패널(100, 200)의 중간 부분에 발생하는 경우로 실제로는 이러한 위치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크랙이 발생하여 단선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는 크랙 감지선(215) 및 감지선(211) 상이며, 감지선(211)은 좌측 및 우측에서 모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크랙 감지선(215)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는 전압 인가선(210)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전압이 감지선(211)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 결과 감지선용 패드(111-c)로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제1 데이터선(111-d)으로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데이터선(111-d)과 연결된 화소열이 빛을 방출하여 휘도를 표시(도 6 참고)한다.
한편, 감지선(211)의 좌측 또는 우측에 크랙이 발생하여 해당 부분이 단선되는 경우에는 크랙 감지선(215)이 단선되는 경우와 달리 반대측의 감지선용 패드(111-c)로 감지 전압이 전달된다. 즉, 감지선(211)의 좌측에 크랙이 발생하면, 크랙 감지선(215)을 지난 감지 전압이 좌측의 감지선용 패드(111-c)로는 전달되지 않지만, 우측의 감지선용 패드(111-c)로는 전달된다. 그 결과 우측의 감지선용 패드(111-c)를 통하여 제1 데이터선(111-d)으로 감지 전압이 전달되고, 제1 데이터선(111-d)과 연결된 화소열이 빛을 방출하지 않아 관통홀(151, 152) 주변에는 크랙이 없는 것으로 감지된다.
즉, 도 3 및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선(211)에서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제1 데이터선(111-d)에 연결된 화소열이 빛을 방출하지 않아 크랙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고, 크랙 감지선(215)에 단선이 생긴 경우에만 화소열이 빛을 방출하여 크랙이 있는 것으로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주변 영역(101, 102) 부분을 도 4를 통하여 살펴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주변 영역을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 표시부(100)의 주변 영역은 구동칩(300)이 위치하는 구동부(102)와 구동부(102)와 표시 영역을 연결하는 벤딩부(101)를 포함한다.
구동부(102)는 구동칩(300),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입력 패드 및 구동 신호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도 이러한 입력 패드 및 구동 신호 배선 중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구동칩(300)에서는 데이터 전압을 각각의 데이터선으로 전송하여 화상을 표시하는데, 도 4에서는 이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하부 표시부(100)의 주변 영역인 벤딩부(101) 및 구동부(102)에는 주변 전압 인가선(110) 및 주변 감지선(111)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외부 또는 구동칩(300)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전압을 전달하는 배선이다.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구동부(10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며, 이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102)에서 벤딩부(101)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벤딩부(101)를 지나 전압 인가선용 패드(110-c)를 통하여 상부 표시부(200)의 전압 인가선(21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주변 전압 인가선용 패드(110-p)를 향하여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며, 주변 전압 인가선용 패드(110-p)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 받는다. 또한,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구동칩(30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주변 전압 인가선용 구동칩 연결선(110-f)을 포함하여, 구동칩(300)으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구동칩 연결선(110-f)이 두 개 형성되어 있는데, 한 개만 형성되거나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주변 전압 인가선(110)은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주변 감지선(111)은 전압 인가 신호선(10)을 통하여 전달된 감지 전압이 크랙 감지선(215)을 지나서도 전달되는지 아니면 단선으로 전달되지 않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주변 감지선(111) 각각은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주변 감지선(111)은 구동부(10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며, 이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102)에서 벤딩부(101)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주변 감지선(111)은 벤딩부(101)를 지나 감지선용 패드(111-c)를 통하여 상부 표시부(200)의 감지선(211)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변 감지선(111)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선(111-d)과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관통홀(151, 152)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여 크랙 감지선(215)이 단선되면 감지 전압이 제1 데이터선(111-d)으로 인가되지 않고, 관통홀(151, 152) 주변에 크랙이 없으면, 제1 데이터선(111-d)으로 감지 전압이 인가된다.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제1 데이터선(111-d)에 연결된 화소열은 동작하며, 감지 전압이 인가될 때 휘도를 표시하지 않고,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휘도를 표시(도 6 참고)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이 때, 각 화소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될 수준의 전압이 게이트선(도시하지 않음)으로 인가되어 데이터 전압이 각 화소로 진입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 감지선(111)은 구동칩(30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주변 감지선용 구동칩 연결선(111-f)을 포함하고 있어,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칩(300)에서 감지 전압의 인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하부 표시부(100)에는 주변 전압 인가선(110) 및 주변 감지선(111)에 연결되어 있는 패드(110-c, 11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패드(110-c, 111-c)는 상부 표시부(200)의 전압 인가선(210) 및 감지선(211)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관통홀은 2 이상만 형성되면 되고,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관통홀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감지 신호선의 개수도 동일한 개수로 늘어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제1 관통홀(151, 152)을 형성하면서 발생하는 크랙을 감지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100, 200)에 크랙 감지선(215)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홀(151, 152)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면, 크랙 감지선(215)이 단선되어 전압 인가 신호선(10)을 통하여 전달된 감지 전압이 감지 신호선(11)으로 전달되지 않아, 감지 신호선(11)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데이터선(111-d)로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제1 데이터선(111-d)에 연결된 화소열이 특정 휘도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감지 전압은 화소(다이오드 구동부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고 전압인 구동 전압(ELVDD)일 수 있으며,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낮은 전압이 감지 신호선(11)을 통하여 제1 데이터선(111-d)으로 전달된다.
제1 데이터선(111-d)은 일반적인 데이터 전압도 인가되어 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도 해야 하므로, 감지 신호선(11)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선(111-d)에는 화상을 표시할 경우 구동칩(30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크랙을 감지할 경우에는 감지 전압이 인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하여 살펴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데이터선과 감지선이 연결되는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데이터선(111-d)이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주변 감지선(111)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데이터선(111-d)과 주변 감지선(111)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그 사이에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Tr)는 입력 신호(111-I)를 통하여 턴 온되면, 주변 감지선(111)이 데이터선(111-d)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크랙을 감지할 때에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으므로 구동칩(300)에서 데이터선(111-d)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없다. 즉, 입력 신호(111-I)가 인가되면 크랙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1 데이터선(111-d) 및 제1 주변 감지선(1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전압이 제1 데이터선(111-d)로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연결된 화소열이 휘도를 표시하도록 한다.
제1 데이터선(111-d)에 감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화소열이 휘도를 표시하는 것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단선이 감지된 경우의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 HCD는 hole crack detection의 약자로, 감지 신호선(11)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데이터선(111-d)에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화소열이 휘도를 표시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감지 전압은 화소(다이오드 구동부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고 전압인 구동 전압(ELVDD)일 수 있으며, 감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제1 데이터선(111-d)으로 전달된다. 이 때, 각 화소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될 수준의 전압이 게이트선(도시하지 않음)으로 인가되어 제1 데이터선(111-d)에 인가되는 낮은 전압이 각 화소로 진입된다. 화소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측과 게이트 측에는 각각 고 전압의 구동 전압(ELVDD)과 제1 데이터선(111-d)으로부터 입력된 낮은 전압이 인가되게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가 출력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출력한다. 그 결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빛을 방출하여 도 6에서와 같이 화소열을 따라서 휘도를 표시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감지 전압이 제1 데이터선(111-d)으로 인가되면, 화소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측과 게이트 측에는 동일한 고 전압의 구동 전압(ELVDD)이 인가되어 구동 트랜지스터가 출력 전류를 생성하지 않아,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출력 전류가 전달되지 않아 별도로 휘도를 표시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관통홀(151, 156)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는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 자체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거나 벤딩부(101)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추가적인 크랙을 검출하는 구성은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구동부 주변을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서 주변 영역(101, 102)에서 굵게 도시된 선과 얇게 도시된 선이 있는데, 굵게 도시된 선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배선으로 크랙을 검출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도 1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배선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얇게 도시하여, 명확하게 구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 중 도 1에서 언급하지 않은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관통홀 주변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 외에 추가적으로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과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을 더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이라고도 함)과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이라고도 함)은 기본적으로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는 하나의 긴 배선의 구조를 가지며, 입력단으로는 감지 전압을 전달받으며, 출력단으로는 데이터선(120-d, 130-d)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은 하부 표시부(100)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부(102)에 위치하며, 감지 전압을 인가받아 이를 표시 패널의 하부 표시부(100)의 표시 영역의 외곽을 따라 흐르도록 한 후, 다시 구동부(102)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하부 표시부(100)에 크랙이 없어 배선(120)이 단선되지 않으면, 감지 전압이 구동부(102)로 돌아온다.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의 입력단은 감지 전압을 인가 받으며, 출력단은 데이터선(120-d)과 연결되어 있다.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이 단선되지 않으면, 감지 전압이 데이터선(120-d)으로 전달되지만, 단선되면, 감지 전압이 데이터선(120-d)으로 전달되지 않아 데이터선(120-d)과 연결된 화소열이 일정한 휘도를 나타낸다.
한편,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은 하부 표시부(100)의 구동부(102) 및 벤딩부(101)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부(102)에 위치하며, 감지 전압을 인가받아 이를 벤딩부(101)의 내부를 따라 흐르도록 한 후, 다시 구동부(102)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벤딩부(101)에 크랙이 없어 배선(130)이 단선되지 않으면, 감지 전압이 구동부(102)로 돌아온다.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의 입력단은 감지 전압을 인가 받으며, 출력단은 데이터선(130-d)과 연결되어 있다.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이 단선되지 않으면, 감지 전압이 데이터선(130-d)으로 전달되지만, 단선되면, 감지 전압이 데이터선(130-d)으로 전달되지 않아 데이터선(130-d)과 연결된 화소열이 일정한 휘도를 나타낸다.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 및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의 입력단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칩(300)으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 및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의 출력단이 데이터선(120-d, 130-d)이 아니라 구동칩(300)과 연결되어 구동칩(300)에서 감지 전압이 전달되고 있는지를 체크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 및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8을 통하여 살펴본다.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은 구동부(10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두 배선 부분(120-s, 120-s2)을 포함하며, 제1 배선 부분(120-s)은 입력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배선 부분(120-s2)은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배선 부분(120-s)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표시 패널 크랙 감지용 패드(120-p)를 향하여 연장된 부분을 더 포함하며, 표시 패널 크랙 감지용 패드(120-p)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 받는다. 또한, 제1 배선 부분(120-s)은 구동칩(30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표시 패널 크랙 감지용 구동칩 연결선(120-f)을 더 포함하여, 구동칩(300)으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제1 배선 부분(120-s)은 이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102)에서 벤딩부(101)를 지나 하부 표시부(100)로 연장된 감지 부분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감지 부분은 하부 표시부(100)의 표시 영역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었다가 다시 동일한 외곽을 따라서 돌아와서 제2 배선 부분(120-s2)과 연결되는 배선 구조를 가진다.
제2 배선 부분(120-s2)은 데이터선(120-d)와 연결되어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칩(3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배선 부분(120-s2)과 데이터선(120-d)의 연결은 도 5의 구조에 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표시 패널(100, 200)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은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은 구동부(10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두 배선 부분(130-s, 130-s2)을 포함하며, 제1 배선 부분(130-s)은 입력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배선 부분(130-s2)은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배선 부분(130-s)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벤딩부 크랙 감지용 패드(130-p)를 향하여 연장된 부분을 더 포함하며, 벤딩부 크랙 감지용 패드(130-p)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 받는다. 또한, 제1 배선 부분(130-s)은 구동칩(30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벤딩부 크랙 감지용 구동칩 연결선(130-f)을 더 포함하여, 구동칩(300)으로부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제1 배선 부분(130-s)은 이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102)에서 벤딩부(101)로 연장된 감지 부분을 포함한다. 감지 부분은 벤딩부(101)에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벤딩부(101)와 구동부(102)를 수차례 왕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후, 제2 배선 부분(130-s2)과 연결되는 배선 구조를 가진다.
제2 배선 부분(130-s2)은 데이터선(130-d)와 연결되어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칩(3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배선 부분(130-s2)과 데이터선(130-d)의 연결은 도 5의 구조에 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벤딩부(101)의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30)도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51, 152) 주변의 크랙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도 7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표시부(100))의 크랙이나, 접히는 부분인 벤딩부(101)의 크랙도 감지한다. 표시 패널(100, 200)이나 벤딩부(101)에 크랙이 발생하면, 크랙을 감지하는 배선(120, 130)이 단선되어 데이터선(120-d, 130-d)으로 감지 전압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하부 표시부 200: 상부 표시부
300: 구동칩 400: 윈도우
101: 벤딩부 102: 구동부
151, 152: 관통홀 215: 크랙 감지선
10: 전압 인가 신호선 110: 주변 전압 인가선
210: 전압 인가선 110-c: 전압 인가선용 패드
110-f: 주변 전압 인가선용 구동칩 연결선
110-p: 주변 전압 인가선용 패드
11: 감지 신호선 111: 주변 감지선
211: 감지선 111-c: 감지선용 패드
111-f: 주변 감지선용 구동칩 연결선
111-I: 입력 신호 111-d, 120-d, 130-d: 데이터선
120: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
120-f: 표시 패널 크랙 감지용 구동칩 연결선
120-p: 크랙 감지용 패드 130: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
130-f: 벤딩부 크랙 감지용 구동칩 연결선
130-p: 크랙 감지용 패드

Claims (20)

  1. 관통홀을 포함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관통홀 주변에 위치하는 크랙 감지선; 및
    상기 복수의 화소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며,
    상기 크랙 감지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하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하나의 화소열을 통하여 상기 관통홀 주변의 크랙을 감지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크랙 감지선의 일단은 전압 인가 신호선을 통하여 감지 전압을 인가받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크랙 감지선의 타단은 감지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신호선은 제1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벤딩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하부 표시부; 및
    상기 하부 표시부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하부 표시부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영역에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가 위치하며,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 영역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표시 영역의 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류를 공급하는 다이오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전압 인가 신호선은 상기 상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전압 인가선과 상기 하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주변 전압 인가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주변 전압 인가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전압 인가선과 상기 주변 전압 인가선은 전압 인가선용 패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서,
    상기 감지 신호선은 상기 상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감지선과 상기 하부 표시부에 위치하는 주변 감지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주변 감지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감지선과 상기 주변 감지선은 감지선용 패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제4항에서,
    상기 상부 표시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5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크랙을 감지하는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의 일단은 상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으며, 타단은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 크랙 감지 배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8. 제4항에서,
    상기 벤딩부의 크랙을 감지하는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의 일단은 상기 감지 전압을 인가 받으며, 타단은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벤딩부 크랙 감지 배선은 상기 하부 표시부의 상기 벤딩부 및 상기 구동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190019062A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KR20200101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062A KR20200101555A (ko)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US16/793,404 US11276351B2 (en) 2019-02-19 2020-02-18 Display device
EP20157843.2A EP3699897A1 (en) 2019-02-19 2020-02-18 Display device
CN202010102506.9A CN111579215A (zh) 2019-02-19 2020-02-19 显示装置
US17/592,253 US11710458B2 (en) 2019-02-19 2022-02-0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062A KR20200101555A (ko)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55A true KR20200101555A (ko) 2020-08-28

Family

ID=6969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062A KR20200101555A (ko) 2019-02-19 2019-02-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276351B2 (ko)
EP (1) EP3699897A1 (ko)
KR (1) KR20200101555A (ko)
CN (1) CN1115792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989B2 (en) 2019-08-19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650B1 (ko) * 2016-07-26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7734B1 (ko) * 2018-12-17 2023-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패키지 모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101555A (ko) * 2019-02-19 2020-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872634A (zh) * 2019-03-28 2019-06-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EP4030413A4 (en) * 2020-05-18 2022-10-2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1232230A1 (zh) * 2020-05-19 2021-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测试方法和裂纹检测方法
CN112256150A (zh) 2020-10-22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和显示装置
WO2022120627A1 (zh) * 2020-12-09 2022-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641269A (zh) * 2021-07-30 2021-11-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14725182A (zh) * 2022-04-28 2022-07-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862B1 (ko) * 2009-12-10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JP6138480B2 (ja) * 2012-12-20 2017-05-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000865B2 (ja) * 2013-01-28 2016-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検査方法、及び電気機器
KR102356028B1 (ko) * 2015-02-06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1277B1 (ko) * 2016-08-01 2023-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947255B2 (en) * 2016-08-19 2018-04-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monitoring circuitry
KR102590316B1 (ko) 2016-12-05 2023-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65061A (ko) * 2016-12-06 2018-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93191A (ko) 2017-02-10 2018-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351323B1 (ko) 2017-03-28 2022-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91459B1 (ko) * 2017-06-01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2386B1 (ko) * 2017-07-12 2022-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417561B (zh) * 2018-03-06 2020-05-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538000B1 (ko) 2018-03-29 2023-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01085B (zh) * 2018-09-30 2020-11-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583232B1 (ko) * 2018-11-02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20200094873A (ko) * 2019-01-30 2020-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01555A (ko) * 2019-02-19 2020-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989B2 (en) 2019-08-19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5783A1 (en) 2020-08-20
US11276351B2 (en) 2022-03-15
CN111579215A (zh) 2020-08-25
US11710458B2 (en) 2023-07-25
US20220157254A1 (en) 2022-05-19
EP3699897A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1555A (ko) 표시 장치
KR20200094873A (ko) 표시 장치
US11250745B2 (en) Display devic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JP7313172B2 (ja) 表示装置
KR102523051B1 (ko) 표시 장치
EP364808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on thereof
KR102477989B1 (ko) 표시 장치 및 본딩 저항 검사 방법
KR20170081105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285109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20066542A (ko) 터치방식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0779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2503B1 (ko) 표시장치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US2023023051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specting the same
US20230368709A1 (en) Display device
KR2020006372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070090522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