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365A -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365A
KR20200100365A KR1020190018545A KR20190018545A KR20200100365A KR 20200100365 A KR20200100365 A KR 20200100365A KR 1020190018545 A KR1020190018545 A KR 1020190018545A KR 20190018545 A KR20190018545 A KR 20190018545A KR 20200100365 A KR20200100365 A KR 20200100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raw material
interlocking means
lower mold
mold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538B1 (ko
Inventor
맹근호
Original Assignee
맹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근호 filed Critical 맹근호
Priority to KR102019001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5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33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dispensing heads, e.g. extruders, placed over or apart from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rubber), 우레탄고무, 실리콘 등의 원료소재를 성형하는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난 방지와 신속하고 대량 생산성 및 자동화에 따른 작업효과를 증대하도록 X-Y축 연동수단(100)에 의해 원료소재 주입노즐(53)을 성형공(61)을 따라 이송하면서 원료소재를 주입하는 자동화를 이루기 위한 발명으로 X-Y축 연동수단(100)에 의해 원료소재 주입노즐(53)을 성형공(61)을 따라 이송하면서 원료소재를 주입하는 자동화로 신속하고 대량 생산성 및 작업인부를 최소화하는 인건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Raw material supply device for molding press}
본 발명은 하금형의 성형공에 고무(rubber), 우레탄고무, 실리콘 등의 원료(이하 원료소재라 함)를 안정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X-Y 플로터(X-Y plotter, NC(Numerical Control) 또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와 같은 X-Y축 연동수단을 이용하여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레스에서의 성형작업은 상하금형에 형성된 성형공에 작업자가 고무(rubber), 우레탄고무, 실리콘 등의 원료소재를 충진하게 됨으로써 대량생산성의 결여와 많은 인력난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선출원 제 10-2019-11897호에서는 복수개의 하금형에 하나 또는 복수의 원료소재 공급노즐을 구성한 핸들링로봇(handling robot, 또는 서보(servo)기구)의 아암을 이용해 각각의 하금형에 성형원료인 고무를 충진할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원료소재를 공급함과, 원료소재를 충진한 하금형을 이송시켜 복수개의 프레스에서 상하금형에 의한 성형작업을 실시하도록 한 핸들링로봇을 이용한 프레스장치를 제공한 바 있고,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5-0060327호는 금속소재 등을 가공하는 프레스(Press)장치로 수치 제어에 의하여 자동으로 펀칭(Punching)하는 NC 자동 펀칭 프레스장치를 제안하여 펀치부가 자동으로 위치를 선정하고 펀칭으로 홀을 가공하는 기술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자동제어 콘트롤러에 의해 연동하는 X,Y축 전동이송수단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과 펀칭작업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본출원인의 선행출원 제 호에서 적용되는 핸들링로봇에 대응하여 보다 간편하고 작용이 용이한 X-Y축 연동수단을 이용하는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 제 10-2019-11897호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5-0060327호
본 발명은 고무(rubber), 우레탄고무, 실리콘 등의 원료소재를 성형하는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난 방지와 신속하고 대량 생산성 및 자동화에 따른 작업효과를 증대하도록 X-Y축 연동수단(100)에 의해 원료소재 주입노즐(53)을 성형공(61)을 따라 이송하면서 원료소재를 주입하는 자동화를 이루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고무(rubber), 우레탄고무, 실리콘 등의 원료소재를 성형하는 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X-Y축 연동수단(100)이 구성되는 프레임(10)과 성형공(61)을 형성한 하금형(60)이 얻처지는 작업대(20)와, 작업대(20)와 연결되는 성형프레스(200)로 구성되되,
X-Y축 연동수단(100)은 작업대(20)와 프레임(10)으로 구성되되, 수직방향의 양측 Y축 프레임(30) 상면에 Y축 랙(31)과 Y축 이송블럭(32)을 구성하는 Y축 가이드레일(33)에서 이동하는 X축을 이루는 X축 이송체(40)와,
상기 X축 이송체(40)는 서보모터(M1)로 구동하는 구동축(41) 양단에 Y축 랙(31)과 교합되는 Y축 피니언(42)과, 고정부재(43)로 X축 이송체(40)를 고정시켜 서보모터(M1)의 정역구동으로 X축 이송체(40)가 연동하는 Y축 연동수단(110),
상기 X축 이송체(40)에 X축 랙(45)과 X축 이송블럭(46)을 구성하는 한쌍의 X축 가이드레일(47)에 따라 이동하는 설치판(51)에 구성된 서보모터(M2)의 X축 피니언(52)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X축 연동수단(1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X-Y축 연동수단(100)에 의해 원료소재 주입노즐(53)을 성형공(61)을 따라 이송하면서 원료소재를 주입하는 자동화로 신속하고 대량 생산성 및 작업인부를 최소화하는 인건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전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정면도.
본 발명은 하금형의 성형공에 고무(rubber), 우레탄고무, 실리콘 등의 원료(이하 원료소재라 함)를 안정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X-Y 플로터(X-Y plotter, NC(Numerical Control) 또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와 같은 X-Y축 연동수단을 이용하여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NC(Numerical Control)는 수치 제어로 연동되고,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는 컴퓨터 수치 제어로 이루어지며, X-Y 플로터(X-Y plotter)는 X축(수평)방향, Y축(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연동수단으로 공지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지정되는 X-Y좌표계의 값을 바탕으로 직선이나 곡선으로 이동하는 X-Y축 연동수단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연동수단에서 특히 X-Y 플로터의 연동수단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기술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전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전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X-Y축 연동수단(100)이 구성되는 프레임(10)과 성형공(61)을 형성한 하금형(60)이 얻처지는 작업대(20)와, 작업대(20)와 연결되는 성형프레스(200)로 구성되되,
상기 성형프레스(200)는 가동반(64)에 성형공(61)을 구성한 하금형(60)이 적재되는 하금형적재판(62)을 이송시키는 실린더로드로 연동하는 하금형이송장치(63)와,
가동반(64)이 승하강 안내되는 가이드봉(65) 상부로 상금형(66)이 고정되는 고정반(67)으로 구성되는 성형프레스(200)로 구성되고,
X-Y축 연동수단(100)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20)에서 일정한 거리 상부에 구성되는 직사각형태의 프레임(10)으로 구성되는 수직방향의 양측 Y축 프레임(30) 상면에 Y축 랙(31)과 Y축 이송블럭(32)을 구성하는 Y축 가이드레일(33)을 구성하고,
상기 Y축 이송블럭(32)에 직사각체의 X축을 이루는 X축 이송체(40)를 구성시켜 전후 이동되도록함과,
X축 이송체(40)는 서보모터(M1)로 구동하는 구동축(41) 양단에 Y축 랙(31)과 교합되는 Y축 피니언(42), 그리고 구동축(41)에 복수의 고정부재(43)로 X축 이송체(40)를 고정시켜 서보모터(M1)의 정역구동에 따라 X축 이송체(40)가 Y축 랙(31)과 Y축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전후로 연동하는 Y축 연동수단(110),
상기 X축 이송체(40)의 어느 한면에 X축 랙(45)과 X축 이송블럭(46)을 구성하는 한쌍의 X축 가이드레일(47)에 따라 이동하는 프레싱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설치판(51)과,
상기 설치판(51)에 서보모터(M2)의 X축 피니언(52)을 X축 랙(45)에 교합시켜 서보모터(M2)이 구동에 따라 프레싱유닛(50)을 구성한 설치판(51)이 X축방향으로 좌우 왕복되는 X축 연동수단(120),
그리고 상기 설치판(51)에는 중앙으로 원료소재를 압인하기 위한 프레싱유닛(50)과 미도시한 원료소재가 언와이더 형태로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구성되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소재는 프레싱유닛(50)에 구성된 원료공급공(53)을 통해 공급된다.
또한 프레싱유닛(50)에 열매체공급을 위한 열매체공급장치(70)와 본 발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1)가 각기 구성되고 이들과 연결하는 라인(72) 및 라인(7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73)가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실시되며, 프레싱유닛(50)은 스크류의 연동으로 공급된 원료소재를 밀어내어 주입노즐(53)을 통해 성형공(61)으로 원료소재를 압출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바 있어 상세 구성은 생략한다.
도면표기중 미설명 부호 53은 원료소재 압출 주입노즐이고 54는 열매체순환관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X-Y축 연동수단(100)이 구성되는 프레임(10)과 성형공(61)을 형성한 하금형(60)이 얻처지는 작업대(20)와, 작업대(20)와 연결되는 성형프레스(2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매체공급장치(7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열매체가 프레싱유닛(50)로 순환 공급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작업을 위한 수치, 온도 등을 제어장치(71)로 설정하고 가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성형프레스(200)의 가동반(64)에 얻처진 성형공(61)을 구성한 하금형(60)이 실린더로드의 하금형이송장치(63)에 의해 X-Y축 연동수단(100)이 구성되는 프레임(10)의 작업대(20)로 이송되고, 이를 감지하고 제어 신호에 의해 서보모터(M1,M2)의 가동으로 X-Y축 연동수단(100)의 어느하나 또는 동시에 작동되는 Y축 연동수단(110)과 X축 연동수단(120)이 연동된다.
먼저, Y축 연동수단(110)은 프레임(10)으로 구성되는 수직방향의 양측 Y축 프레임(30) 상면 Y축 랙(31)과 Y축 이송블럭(32)을 구성하는 Y축 가이드레일(33)에 장착되어 이송되는 X축을 이루는 X축 이송체(40)의 서보모터(M1)가 구동하면서 구동축(41) 양단에 Y축 랙(31)과 교합되는 Y축 피니언(42)의 연동으로 상기 X축 이송체(40)가 전후진방향 즉, Y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상기 X축 이송체(40)의 X축 랙(45)과 X축 이송블럭(46)을 구성하는 한쌍의 X축 가이드레일(47)에 따라 이동하는 프레싱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설치판(51)이 서보모터(M2)의 X축 피니언(52)을 연동함으로써 X축 랙(45)에 교합된 설치판(51)이 X축방향으로 좌우 왕복 즉,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Y축방향 이동과 함께 이동하고 제어에 의해 작업대(20)로 이송된 하금형(61)의 성형공(60)상부로 위치된다.
그리고 미도시한 원료소재가 언와이더 형태로 저장되는 저장탱크로부터 프레싱유닛(50)의 원료공급공(53)을 통해 단부의 주입노즐(53)로 압출시키면서 성형공(61) 내로 공급됨과 함께 상기 Y축 연동수단(110)과 X축 연동수단(120)이 계속된 연동으로 주입노즐(53)은 성형공(61)를 따라 이동과 함께 원료소재를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공(61)에 원료소재를 공급완료하면, 상기 Y축 연동수단(110)과 X축 연동수단(120)은 프레싱유닛(50)과 설치판(51)을 지정된 위치로 복귀함과 함께 작업대(20)의 하금형(60)은 실린더로드로 연동하는 하금형이송장치(63)의 연동으로 성형프레스(200)의 하금형적재판(62)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로 가동반(64)이 상승하여 상부의 고정반(67)에 체결된 상금형(66)과 교합 압축 및 가온 등으로 상하금형(66,60)의 성형공(61) 내의 성형소재를 성형하고 성형 후 하강되어 하금형(60)의 성형공(61)에서 성형물을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완료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금형(60)이 하금형이송장치(63)의 작업대(20)로 이송되고 다시 전술한 X-Y축 연동수단(100)이 연동하여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X-Y축 연동수단(100)에 의해 원료소재 주입노즐(53)을 성형공(61)을 따라 이송하면서 원료소재를 주입하는 자동화로 신속하고 대량 생산성 및 작업인부를 최소화하는 인건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프레임 20 : 작업대 30 : Y축 프레임
31 : Y축 랙 32 : Y축 이송블럭 33 : Y축 가이드레일
40 : X축 이송체 41 : 구동축 42 : Y축 피니언
43 : 고정부재 45 : X축 랙 46 : X축 이송블럭
47 : X축 가이드레일 50 : 프레싱유닛 51 : 설치판
52 : X축 피니언 60 : 하금형 61 : 성형공
62 : 하금형적재판 63 : 하금형이송장치 64 : 가동반
65 : 가이드봉 66 : 상금형 67 : 고정반
100 : X-Y축 연동수단 110 : Y축 연동수단 120 : X축 연동수단
200 : 성형프레스 M2, M2 : 서보모터

Claims (3)

  1. X-Y축 연동수단(100)이 구성되는 프레임(10)과 성형공(61)을 형성한 하금형(60)이 얻처지는 작업대(20)와, 작업대(20)와 연결되는 성형프레스(200)로 구성되되,

    X-Y축 연동수단(100)은 작업대(20)와 프레임(10)으로 구성되되, 수직방향의 양측 Y축 프레임(30) 상면에 Y축 랙(31)과 Y축 이송블럭(32)을 구성하는 Y축 가이드레일(33)에서 이동하는 X축을 이루는 X축 이송체(40)와,
    상기 X축 이송체(40)는 서보모터(M1)로 구동하는 구동축(41) 양단에 Y축 랙(31)과 교합되는 Y축 피니언(42)과, 고정부재(43)로 X축 이송체(40)를 고정시켜 서보모터(M1)의 정역구동으로 X축 이송체(40)가 연동하는 Y축 연동수단(110),

    상기 X축 이송체(40)에 X축 랙(45)과 X축 이송블럭(46)을 구성하는 한쌍의 X축 가이드레일(47)에 따라 이동하는 설치판(51)에 구성된 서보모터(M2)의 X축 피니언(52)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X축 연동수단(1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0)와 성형프레스(200)로 이송되는 하금형적재판(62)을 실린더로드로 연동하는 하금형이송장치(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송체(40)에 구성된 설치판(51)에 원료소재를 압인하기 위한 프레싱유닛(50)과 언와이더 형태로 저장되는 원료소재 저장탱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KR1020190018545A 2019-02-18 2019-02-18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KR10219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45A KR102194538B1 (ko) 2019-02-18 2019-02-18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45A KR102194538B1 (ko) 2019-02-18 2019-02-18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65A true KR20200100365A (ko) 2020-08-26
KR102194538B1 KR102194538B1 (ko) 2020-12-23

Family

ID=7224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545A KR102194538B1 (ko) 2019-02-18 2019-02-18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53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33Y1 (ko) * 2003-02-26 2003-08-30 맹경재 프레스의 고무소재주입장치
KR20050060327A (ko) 2003-12-16 2005-06-22 박진형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CN1792604A (zh) * 2005-12-30 2006-06-28 王福玲 全自动大型塑料模压设备及工艺
KR101719646B1 (ko) * 2016-02-29 2017-03-24 오영한 평면 포터블 가공장치
KR20170138376A (ko) * 2017-11-27 2017-12-15 이정봉 합성수지재 대형 용기의 성형장치
KR20180052842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고무 또는 실리콘 제품의 프레스 성형 시스템
KR20190011897A (ko) 2017-07-26 2019-02-08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웨이퍼 세정장비의 온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33Y1 (ko) * 2003-02-26 2003-08-30 맹경재 프레스의 고무소재주입장치
KR20050060327A (ko) 2003-12-16 2005-06-22 박진형 Nc 자동 펀칭 프레스 장치
CN1792604A (zh) * 2005-12-30 2006-06-28 王福玲 全自动大型塑料模压设备及工艺
KR101719646B1 (ko) * 2016-02-29 2017-03-24 오영한 평면 포터블 가공장치
KR20180052842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고무 또는 실리콘 제품의 프레스 성형 시스템
KR20190011897A (ko) 2017-07-26 2019-02-08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웨이퍼 세정장비의 온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도제어방법
KR20170138376A (ko) * 2017-11-27 2017-12-15 이정봉 합성수지재 대형 용기의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538B1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50146B (zh) 高速侧取式模内贴标系统及控制方法
US7798798B2 (en) Rotary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CA2644229C (en) Integrated system for producing composites
CN105127423B (zh) 选择性激光熔化三维打印设备
CN103480728A (zh) 内胆底板自动成型生产线
CN104608206A (zh) 一种板材自动加工辅助工装及其加工方法
CN104494150A (zh) 一种3d打印机
CN103495637A (zh) 板料双侧施压无模渐进成形装置
CN203185616U (zh) 带伺服电机的全自动注塑拉链射出成型机
EP0428792A2 (en) Single strip molding apparatus
CN109846122A (zh) 一种假发涂胶机
KR20120095515A (ko) 열간 및 냉각 시스템 일체형 핫 프레스 성형기
KR102194538B1 (ko) 성형프레스의 원료소재 공급장치
CN207310442U (zh) 一种大型注塑机
CN204898074U (zh) Slm三维打印设备
CN104338896A (zh) 一种注蜡机
KR102170600B1 (ko) 핸들링로봇을 이용한 프레스장치
CN104742372B (zh) 基于fdm的3d打印设备
CN210047127U (zh) 一种重型压片机
CN109719893A (zh) 一种注塑自动化上下料机器人集成系统
CN206242357U (zh) 一种注塑模具的自动上下料机构
CN102688953B (zh) 一种汽车生产线的板料对中调整装置及其对中调整方法
CN206317165U (zh) 一种热熔‑冲切一体化数控工装
CN210453539U (zh) 一种可双层加工的注塑模具
CN204585414U (zh) 一种板材自动加工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