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320A -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 Google Patents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320A
KR20200100320A KR1020190018436A KR20190018436A KR20200100320A KR 20200100320 A KR20200100320 A KR 20200100320A KR 1020190018436 A KR1020190018436 A KR 1020190018436A KR 20190018436 A KR20190018436 A KR 20190018436A KR 20200100320 A KR20200100320 A KR 2020010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solar cell
sided light
cell module
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423B1 (ko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솔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23B1/ko
Priority to CN201910613935.XA priority patent/CN111147005A/zh
Publication of KR2020010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딱딱한 면의 상측에 배열시키는 프레임; 및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딱딱한 면 위에 도포되어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피해 상기 딱딱한 면으로 직접 들어오거나,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통과해서 상기 딱딱한 면으로 들어오는 태양광 중, 380~1100nm 파장대의 태양광 80% 이상을,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후측으로 난반사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COATING TYPE SOLAR LIGHT REFLECTING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반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모듈은 전면으로만 수광하여 발전하므로, 발전량 증가에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전후면 모두에서 수광하여 발전할 수 있는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10-2018-0002015)에는,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의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가 아무리 우수한 성질을 가진다 하더라도, 태양광이 반사되는 바닥면 상태에 따라,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의 발전량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바닥면이 흙인 경우, 바닥면에 콘크리트가 깔린 경우, 바닥면에 백색 페인트가 칠해진 경우, 바닥면에 눈이 쌓인 경우, 바닥면이 젖은 경우, 바닥면이 건조한 경우 등에 따라 발전량은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또한, 태양광 모듈 백시트를 사용하려면, 이미 설치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를 한국공개특허(10-2018-0002015)에 기재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로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후측 바닥면 위에 고반사 필름을 깔아서, 발전량을 30% 이상 증가시킨 태양광 반사시스템을 개발하여 출원하였다.(출원번호:10-2018-0016957)
더 나아가, 이러한 태양광 반사시스템을, 딱딱한 면이 있는 어떤 곳이든 설치할 수 있는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10-2018-0002015)
본 발명의 목적은, 딱딱한 면만 있으면 어디라도 설치할 수 있는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딱딱한 면의 상측에 배열시키는 프레임; 및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딱딱한 면 위에 도포되어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피해 상기 딱딱한 면으로 직접 들어오거나,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통과해서 상기 딱딱한 면으로 들어오는 태양광 중, 380~1100nm 파장대의 태양광 80% 이상을,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후측으로 난반사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사층은 딱딱한 면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딱딱한 면만 있으면 태양광 반사시스템을 어디라도 설치할 수 있어, 반사필름을 사용할 때 보다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설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층은 표면에 뿌려진 유리구슬들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반사층의 표면 강도가 높아져 반사층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유리구슬들로 인해 태양광의 난반사율이 증가되어,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발전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반사층은 상측 반사층과 하측 반사층 2겹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산화티타늄(TiO2)이 포함된 수성페인트를 딱딱한 면에 발랐을 때, 표면이 먼저 경화되고 내부가 늦게 경화되어, 크랙(crack)이 발생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측 반사층의 산화티타늄(TiO2)의 양을 하측 반사층의 산화티타늄(TiO2)의 양 보다 늘려,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높이와 상면길이의 관계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 간의 거리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들이 수직으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b)는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딱딱한 면 위에 형성된 반사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변형예에 따라, 표면에 유리구슬들이 포함된 반사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변형예에 따라, 2겹으로 구성된 반사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반사층이 수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반사층이 경사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1)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 프레임(F), 반사층(10)으로 구성된다.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은 공지된 기술로 구성이 가능하고,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 구성 자체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프레임(F)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을 딱딱한 면(R)의 상측에 경사지게 배열시킨다. 여기서, 딱딱한 면(R)은, 콘크리트 도로면, 아스팔트 도로면, 수조 바닥면, 산악지역의 바위 등과 같이 고체 상태의 단단한 면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프레임(F)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테두리를 떠받치는 제1프레임(F1), 프레임(F)을 딱딱한 면(R)에 고정하는 제2프레임(F2), 제2프레임(F2)을 보강하는 제3프레임(F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딱딱한 면(R)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F2)을 최소 개(4~6개)로 두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을 피해 프레임(F)의 하측 딱딱한 면(R)으로 직접 들어오는 태양광(L2)이 제2프레임(F2)에 걸리지 않게 만든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제2프레임(F2)을 보강하기 위해, 제3프레임(F3)으로 제2프레임(F2)들의 측면을 연결한다.
제1프레임(F1)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을 태양광을 잘 받도록, 20°~45° 로 상향 경사지게 떠받친다.
제1프레임(F1)에 상방향으로 떠받쳐진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개수는 최대 4개이다. 그 이유는, 상방향 개수가 4개보다 많아도, 맨 위 5번째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후면에 도달하는 태양광(L3)이 적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후면 발전량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방향 개수는 최대 4개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1프레임(F1)에 떠받쳐진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폭방향 개수는 제한이 없다.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상방향 개수에 따라, 딱딱한 면(R)과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최하단 높이(H)는 0.5 내지 3m 로 조절된다.
그 이유는,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을 피해 프레임(F)의 하측 딱딱한 면(R)으로 태양광(L2)이 직접 들어오기 위해서, 최소한의 높이(H)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상방향 개수가 1개이면, 딱딱한 면(R)과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최하단 높이는 0.5m 면 충분하다.
그러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상방향 개수가 4개이면, 딱딱한 면(R)과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최하단 높이가 3m는 되야, 상방향 맨 위에 있는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후면까지 태양광(L2)이 반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 사이 간격(D)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세로길이(HL)의 1/3 이상이다.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 사이 간격(D)이, 이 정도는 되어야, 태양광(L2)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 사이를 통해, 딱딱한 면(R)으로 직접 들어올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은 앞뒤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동쪽에서 남쪽을 거쳐 서쪽으로 이동하는 태양의 광을 낮 시간 동안 최대한 받는다.
도 1에 도시된 반사층(10)은, 딱딱한 면(R)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설치 영역이, 버려진 콘크리트 도로 위, 버려진 아스팔트 도로 위, 재개발 지역의 버려진 건물, 바위가 있는 산악지역 등 딱딱한 면이 있는 어떤 곳이든 확장될 수 있다.
반사층(10)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을 피해 프레임(F)의 하측 딱딱한 면(R)으로 직접 들어오거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을 통과해서 딱딱한 면(R)으로 들어오는 태양광(L1,L2) 중, 380~1100nm 파장대의 태양광(L3) 80% 이상을,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후측으로 반사시켜, 반사층(10)이 없는 경우보다 발전량을 30% 이상 증가시킨다. 여기서, 도면부호 L은 태양광 전체를 나타내고, L1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을 통과해서 딱딱한 면(R)으로 들어오는 태양광을 나타내고, L2는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들을 피해 프레임(F)의 하측 딱딱한 면(R)으로 직접 들어오는 태양광을 나타내고, L3은 반사층(10)에 의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의 후면으로 반사되는 태양광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0)은 수성용 페인트(P)와 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된다. 산화티타늄(TiO2)은 수성용 페인트(P)에 혼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반사층(10)은 산화티타늄(TiO2)이 혼합된 수성용 페인트(P)가 딱딱한 면(R) 위에 발라져 형성된다. 산화티타늄(TiO2)은 반사층(10)에 10~35% 포함된다.
제1변형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0')의 표면에는 유리구슬(G)들이 뿌려질 수 있다. 유리구슬(G)들로 인해, 반사층(10')의 표면 강도가 높아져 반사층(10')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유리구슬(G)들로 인해 태양광의 난반사율이 증가되어,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발전효율이 향상된다.
제2변형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0")은 하측 반사층(A1), 상측 반사층(A2) 2겹으로 구성된다. 반사층(10")이 2겹으로 구성됨으로써, 산화티타늄(TiO2)이 포함된 수성페인트를 딱딱한 면에 발랐을 때, 표면이 먼저 경화되고 내부가 늦게 경화되어, 크랙(crack)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측 반사층(A1)은 수성용 페인트(P)와 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된다. 산화티타늄(TiO2)은 수성용 페인트(P)에 혼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산화티타늄(TiO2)은 하측 반사층(A1) 안에 10% 미만으로 포함된다.
상측 반사층(A2)은 수성용 페인트(P)와 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된다. 산화티타늄(TiO2)은 수성용 페인트(P)에 혼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산화티타늄(TiO2)은 상측 반사층(A2) 안에 10~35% 포함된다.
상측에 위치된 상측 반사층(A2)의 산화티타늄(TiO2)의 양을 하측에 위치된 하측 반사층(A1)의 산화티타늄(TiO2)의 양 보다 크게함으로써,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반사층이 수조 바닥면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반사층(10)은, 수조(W)의 바닥면(B)에 산화티타늄(TiO2)이 포함된 수성페인트가 발라져 형성된다. 도면부호 L은 태양광 전체를 나타낸다.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은 수조(W) 위에 설치된 프레임(F)에 의해 배열된다. 수조(W)에는 물이 채워지고 물고기가 넣어진다. 물론, 물이 없는 빈 수조(W)라도 상관없다. 또한, 수조(W)는 철거된 어시장에 버려져 방치된 수조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의 반사층이 경사면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반사층(10)은, 딱딱한 경사면(C)에 산화티타늄(TiO2)이 포함된 수성페인트가 발라져 형성된다. 도면부호 L은 태양광 전체를 나타낸다.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M)은 경사면 위에 설치된 프레임(F)에 의해 배열된다. 여기서, 딱딱한 경사면(C)은 시멘트 구조물의 경사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사면, 아스팔트 구조물의 경사면, 산악지역 바위의 경사면 등 무엇이든 상관없다.
1: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10: 반사층
M: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
F: 프레임 R: 딱딱한 면
G: 유리구슬 W: 수조
A1: 하측 반사층 A2: 상측 반사층

Claims (5)

  1.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딱딱한 면의 상측에 배열시키는 프레임; 및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딱딱한 면 위에 도포되어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피해 상기 딱딱한 면으로 직접 들어오거나,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을 통과해서 상기 딱딱한 면으로 들어오는 태양광 중, 380~1100nm 파장대의 태양광 80% 이상을,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후측으로 난반사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표면에는 유리구슬들이 뿌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측 반사층과 하측 반사층 2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딱딱한 수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딱딱한 경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KR1020190018436A 2018-11-05 2019-02-18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KR10229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36A KR102290423B1 (ko) 2019-02-18 2019-02-18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CN201910613935.XA CN111147005A (zh) 2018-11-05 2019-07-09 太阳光反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36A KR102290423B1 (ko) 2019-02-18 2019-02-18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20A true KR20200100320A (ko) 2020-08-26
KR102290423B1 KR102290423B1 (ko) 2021-08-18

Family

ID=7224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36A KR102290423B1 (ko) 2018-11-05 2019-02-18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231B1 (ko) 2020-12-04 2021-03-24 이창무 태양광 패널용 반사판.
KR20230012163A (ko) * 2021-07-15 2023-01-26 솔랩 주식회사 염전형 양면수광 태양광 발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78B1 (ko) 2023-08-04 2024-05-10 최은석 양면 발전형 태양광 모듈용 반사 필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891A (ko) * 2011-02-25 2012-09-05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4110278A (ja) * 2012-11-30 2014-06-12 Kyocera Corp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5121806A (ja) * 2015-02-03 2015-07-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光集光用フィルムミラー
JP2016157043A (ja) * 2015-02-26 2016-09-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太陽光集光フィルム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02015A (ko) 2016-06-28 2018-01-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3544B1 (ko) * 2018-10-05 2018-11-30 주식회사 와텍 산사태 방지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891A (ko) * 2011-02-25 2012-09-05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4110278A (ja) * 2012-11-30 2014-06-12 Kyocera Corp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5121806A (ja) * 2015-02-03 2015-07-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光集光用フィルムミラー
JP2016157043A (ja) * 2015-02-26 2016-09-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太陽光集光フィルム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02015A (ko) 2016-06-28 2018-01-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3544B1 (ko) * 2018-10-05 2018-11-30 주식회사 와텍 산사태 방지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231B1 (ko) 2020-12-04 2021-03-24 이창무 태양광 패널용 반사판.
KR20230012163A (ko) * 2021-07-15 2023-01-26 솔랩 주식회사 염전형 양면수광 태양광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23B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423B1 (ko)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CN1877865A (zh) 用于太阳能系统的光电聚能器
US20210359637A1 (en) Device for attaching to a noise barrier
EP2645013A1 (en) System comprising panels for solar energy conversion applicable to vertical surfaces
KR20200051234A (ko) 옥상 태양광 반사시스템
CN206114933U (zh) 一种光伏组件聚光装置、光伏阵列及光伏系统
CN207458952U (zh) 防尘、易安装的屋面太阳能电池组件
CN105577093B (zh) 新洁净光伏板
JP5938235B2 (ja) 両面受光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
CN102704738A (zh) 高层采光建筑
US11955575B2 (en) Solar power harvesting building envelope
WO201106508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光発電装置
KR20200133306A (ko) 옥상 태양광 반사시스템
US20220376647A1 (en) Noise control device
CN110258872A (zh) 一种发电玻璃幕墙
CN111147005A (zh) 太阳光反射系统
JP5928951B2 (ja) 採光装置
JP5721929B2 (ja) 太陽熱集熱器の設置構造
KR102232564B1 (ko) 농지형 양면수광 태양광 발전시스템
JP6998166B2 (ja) 建物
KR102267113B1 (ko) 철도시설물의 광해 저감 시스템
RU2819015C2 (ru) Стеновой элемент
CN109838017A (zh) 一种环保型幕墙玻璃
JP4305455B2 (ja) 導光装置
CN103573012A (zh) 增透型高层采光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