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891A -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891A
KR20120097891A KR1020110017428A KR20110017428A KR20120097891A KR 20120097891 A KR20120097891 A KR 20120097891A KR 1020110017428 A KR1020110017428 A KR 1020110017428A KR 20110017428 A KR20110017428 A KR 20110017428A KR 20120097891 A KR20120097891 A KR 2012009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layer
reflective film
layer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0097B1 (ko
Inventor
최승규
안철흥
임종윤
변상혁
Original Assignee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안철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안철흥 filed Critical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층은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전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Reflective sheet,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film}
본 발명은 반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각 화소에 액정 분자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Tube; CRT),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는 달리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기 때문에 빛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어두운 곳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정보 표시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원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 어셈블리는 크게 2종류로 구분된다. 첫 째는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에서 빛을 제공하는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이고 둘 째는 액정 표시 장치의 후면에서 빛을 직접 제공하는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이다.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의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도광판으로 입사하여 도광판 내부에서 전반사되고, 도광판의 상측으로 빛을 조사시키기 위하여, 도광판의 아랫면에는 산란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을 통과한 빛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도광판 위 쪽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도광판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빛을 도광판 내부로 반사시키기 위해 도광판 아래쪽에 반사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대면적, 고휘도 디스플레이가 요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광원이 발생하는 광에 비례하여,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도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반사 필름은 열 변형에 의한 열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열에 취약한 LED광원을 적용시 광특성 저하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내열성과 광특성이 향상된 반사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반사 필름의 일 표면 상에 패턴을 형성하여 정전기 및 스크래치 발생이 감소되고, 반사 필름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은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층은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전도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열전도체는 싱글월 탄소나노뉴브, 멀티월 탄소나노뉴브, 탄소나노입자 및 그라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방열층은 금속 나노 입자, 무기 나노 입자, 폴리머 첨가제 및 계면 활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은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 및 상기 반사층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라인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층은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전도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각 라인 패턴은 상기 반사층의 타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타면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각 라인 패턴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되,
이웃하는 상기 라인 패턴들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상기 이웃하는 라인 패턴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 및
상기 반사층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층은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전도체를 포함하낟.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반사 필름의 전 면의 열 균일도가 향상되고,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열 전도성이 증가되며, 내열성이 우수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사 필름의 일 표면 상에 라인 패턴을 형성하여 정전기 및 스크래치 발생이 감소된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사 필름의 일 표면 상에 라인 패턴을 형성하여 반사 필름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사 필름의 일 표면 상에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형성하여, 확산 기능이 강화된 광원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방열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따른 반사 필름의 열전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 필름의 열전도 및 열분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방열층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을 도시한 상면도다.
도 24는 반사 필름으로 입사되는 빛이 반사되는 경우 마이크로 렌즈 패턴에 의해 확산되는 광 경로를 모식적으로 도식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반사 필름으로 입사되는 빛이 반사되는 경우 마이크로 렌즈 패턴에 의해 확산되는 광 경로를 모식적으로 도식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필름"은 "~시트","~판"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방열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따른 반사 필름의 열도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반사층(100) 및 반사층(100)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3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접착층(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비롯한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접착층(200)은 생략될 수 있다. 즉, 반사 필름은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층(100)과, 반사층(100)과 접착된 방열층(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층(100)과 방열층(300)은 접착층(200)을 매개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반사층(100)은 광을 반사한다. 반사층(100)은 알루미늄 또는 은이 코팅된 막일 수 있다. 또, 반사층(100)은 예를 들어 산화 티탄 또는 황산 바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성되는 미세한 공동에 의해 광 반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기재위에 상기 재질을 형성한 필름 혹은 판일 수도 있다. 다만, 반사층(100)에 포함된 물질이 상술한 산화 티탄 및 황산 바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방열층(300)은 반사층(100)을 지지하며, 반사층(100) 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열전도체(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층(100)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며, 광원에 의해 가열된 반사층(100)을 열을 외부로 빠르게 전달함으로써, 반사층(100)을 식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열층(300)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방열층(300)의 열도전체는 탄소나노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탄소나노물질은 싱글월 탄소나노튜브, 멀티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입자, 또는 그라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접착층(200)은 반사층(100)과 방열층(300)을 접착하여 고정한다. 접착층(200)으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층(200)은 생략될 수 있으며, 방열층(300)은 반사층(100)의 표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반사층(100)의 표면처리에 의해 노출된 작용기와 결합되어 부착되거나, 접착층(200)외의 다른 매개층을 개재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면으로 직접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사 필름으로 광이 입사하는 경우, 광은 반사 필름의 반사층(100) 방향으로 입사할 수 있다. 즉, 광이 입사하는 쪽에 대하여, 반사 필름의 반사층(100), 접착층(200), 및 방열층(300)이 순차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층(300)은 반사 필름의 일면 전 영역에 걸쳐 배치된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방열층(300)이 포함하는 열전도체(305)의 밀도는 방열층(300)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할 수 있고, 방열층(300)의 영역별로 열전도체(305)의 밀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이 유입되는 방열층(300)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의 열전도체(305)의 밀도가 방열층(300)의 일면상의 내부의 열전도체(305)의 밀도에 비해 클 수 있다. 또한, 방열층(300)의 열전도체(305)의 밀도는 방열층(300)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에서 방열층(300)의 일면상의 내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점진적 또는 단계적 밀도구배를 갖을 수 있다. 방열층(300)이 포함하는 열전도체(305)의 영역별 밀도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 및 반사 필름의 요구 내열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사 필름의 내열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의 열전도체(305)가 사용된 방열층(300)이 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방열층(300)의 두께가 반사 필름의 전 영역에 걸쳐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층(300)의 두께는 1㎛ 내지 1000㎛가 될 수 있으며, 방열층(300)의 영역별로 방열층(300)의 두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이 유입되는 방열층(300)의 적어도 일측부의 방열층(300)의 두께가 방열층(300)의 내부의 두께에 비해 두꺼울 수 있다. 또한, 방열층(300)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의 방열층(300)의 두께는 방열층(300)의 일면상의 내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점진적 또는 단계적인 두께구배를 갖을 수 있다.
방열층(3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은 도 26에 도시된 제2 수납용기(750)와 상대적으로 더 밀착되어 국부적으로 밀착면적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방열층(300)의 제2 수납용기간의 외부로 더 신속하게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층(300)의 내부에 비하여 광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이 유입되는 방열층(300)의 외곽부의 방열층(300)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고, 열전도체(305)의 밀도를 더 크게하는 경우 상기 효과는 더 극대화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전도체(305)들은 3:1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종횡비란 열전도체(305)의 길이(l)와 직경(d)의 비를 의미한다. 종횡비가 클수록 열전도체(305)간 교차확율이 높아 열전도율에 유리하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종회비는 10:1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종횡비는 100: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전도체(30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꼬여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종횡비는 열전도체(305)의 꼬임을 풀어 라인 형상으로 하였을 때의 길이(l)와 열전도체(305)의 직경(d)의 비로 해석될 수 있다.
방열층(300)은 상기 위에서 열거된 물질 들 외에, 열전도체(305)의 전도율을 개선하거나, 열전도체(305)의 분산성을 개선하거나, 열전도체(305)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속 나노 입자, 무기 나노 입자, 폴리머 첨가제 및 계면 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 나노 입자의 예로는 은(Ag), 알루미늄(Al), 금(Au), 베릴륨(Be), 카드뮴(Cd), 코발트(Co), 크롬(Cr), 구리(Cu), 철(Fe), 수은(Hg), 마그네슘(Mg), 망간(Mn), 니켈(Ni), 납(Pb), 팔라듐(Pd), 백금(Pt), 안티몬(Sb), 탄탈륨(Ta), 티타늄(Ti), 텅스텐(W), 아연(Zn), 루비듐(Ru), 오스뮴(Os), 이리듐(Ir), 로듐(Rh), 주석(Sn),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스칸듐(Sc), 바나듐(V), 카본 블랙, 플러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예로는 실리카,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irconia), 타이타니아(Titania), 안티몬 주석 산화물(Antimony Tin Oxide, ATO),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첨가제의 예로는 고무 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니트로셀룰로오스, 니트릴고무,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부티랄, 부틸고무, 불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세라믹 하이브리드 폴리머, 세라믹 혼성 폴리머, 셀룰로오스, 수첨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첨폴리이소프렌 및 수첨폴리부타디엔, 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아로마틱폴리아미드, 아세트산 비닐,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아크릴 고무, 아크릴 변형 실리케이트,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S) 수지, 아크릴산 멜라민, 아크릴산 우레탄, 알키드 수지,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부텐-디엔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염화 비닐계 수지, 염화 폴리에틸렌, 염화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 및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우레아 수지, 우레탄 수지, 이오노머 수지, 인산화물, 젤라틴,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s), 케톤 수지, 크실렌 수지,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키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퍼플루오르카본술폰산, 페놀 수지, 포스핀 옥사이드, 폴라사카라이드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메타크릴아마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부타디엔, 폴리부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사카라이드, 폴리술폰 수지, 폴리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 폴리실록산, 폴리아네톨술폰산나트륨염(Polyanetholesulfonic acid sodium salt), 폴리아닐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아믹산,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세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아크릴산(PAA), 폴리에 테르설폰,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니트릴,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라이드,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이소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디이미드, 폴리케톤 수지,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티올,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펜텐, 폴리펩타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프탈아마이드, 폴리피롤, 푸란 수지, 플루오로비닐리딘,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PS-b-P4VP(poly(styrene-block-4-vinyl pyridine)), 아크릴산 2-카복시에틸, 아크릴산 3-카복시프로필, 아크릴산 2-카복시프로필, 아크릴산 4-카복시뷰틸, 아크릴산 3-카복시뷰틸, 아크릴산 2-카복시뷰틸, 아크릴산 6-카복시n-헥실, 아크릴산 5-카복시n-헥실, 아크릴산 4-카복시n-헥실, 아크릴산 3-카복시n-헥실, 아크릴산 2-카복시n-헥실, 아크릴산 4-카복시사이클로헥실, 아크릴산 4-카복시페닐, 아크릴산 ω-카복시-폴리카프로락톤,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메타크릴산 2-카복시에틸, 메타크릴산 3-카복시프로필, 메타크릴산2-카복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카복시뷰틸, 메타크릴산 3-카복시뷰틸, 메타크릴산 2-카복시뷰틸, 메타크릴산 6-카복시n-헥실, 메타크릴산 5-카복시n-헥실, 메타크릴산 4-카복시n-헥실, 메타크릴산 3-카복시n-헥실, 메타크릴산 2-카복시n-헥실, 메타크릴산 4-카복시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산 4-카복시페닐, 메타크릴산 ω-카복시-폴리카프로락톤,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N-(카복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N-(카복시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 N-(3-카복시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2-카복시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1,1-다이메틸-3-카복시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4-카복시뷰틸)아크릴아마이드, N-(3-카복시뷰틸)아크릴아마이드, N-(2-카복시뷰틸)아크릴아마이드, N-(6-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5-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4-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N-(3-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2-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카복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카복시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카복시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카복시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1,1-다이메틸-3-카복시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4-카복시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카복시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카복시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6-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5-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4-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카복시헥실)아크릴아마이드, N-(카복시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N-(카복시하이드록시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카복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2-카복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1,1-다이메틸-3-카복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4-카복시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카복시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2-카복시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6-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5-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4-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3-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2-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카복시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카복시하이드록시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카복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카복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1,1-다이메틸-3-카복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4-카복시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카복시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카복시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6-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5-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4-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N-메틸-N-(2-카복시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3-메틸-4-설포뷰티르산, 아크릴산 2-설포에틸, 아크릴산 3-설포프로필, 아크릴산 2-설포프로필, 아크릴산4-설포뷰틸, 아크릴산 3-설포뷰틸, 아크릴산 2-설포뷰틸, 아크릴산 6-설포n-헥실, 아크릴산 5-설포n-헥실, 아크릴산4-설포n-헥실, 아크릴산 3-설포n-헥실, 아크릴산 2-설포n-헥실, 아크릴산 4-설포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산 2-설포에틸, 메타크릴산 3-설포프로필, 메타크릴산 2-설포프로필, 메타크릴산 4-설포뷰틸, 메타크릴산 3-설포뷰틸, 메타크릴산2-설포뷰틸, 메타크릴산 6-설포n-헥실, 메타크릴산 5-설포n-헥실, 메타크릴산 4-설포n-헥실, 메타크릴산 3-설포n-헥실, 메타크릴산 2-설포n-헥실, 메타크릴산 4-설포사이클로헥실, N-(설포에틸)아크릴아마이드, N-(설포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 N-(3-설포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2-설포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1,1-다이메틸-3-설포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4-설포뷰틸)아크릴아마이드, N-(3-설포뷰틸)아크릴아마이드, N-(2-설포뷰틸)아크릴아마이드,N-(6-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5-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4-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3-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2-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아마이드 2-메틸프로페인설폰산, N-메틸-N-(설포에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설포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설포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설포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1,1-다이메틸-3-설포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4-설포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설포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설포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6-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5-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4-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설포헥실)아크릴아마이드, N-(설포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설포하이드록시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설포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2-설포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1,1-다이메틸-3-설포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4-설포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설포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2-설포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6-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5-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4-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3-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2-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2-메틸프로페인설폰산, N-메틸-N-(설포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설포하이드록시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설포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설포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1,1-다이메틸-3-설포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4-설포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설포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설포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6-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5-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4-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설포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2-페닐-1-프로페인설폰산, 2-아크릴로일아미노-2-(4-클로로페닐)-1-프로페인설폰산, 2-메타크릴로일아미노-2-페닐-1-프로페인설폰산, 2-메타크릴로일아미노-2-(4-클로로페닐)-1-프로페인설폰산, 아크릴산 2-포스포노에틸, 아크릴산 3-포스포노프로필, 아크릴산 2-포스포노프로필, 아크릴산 4-포스포노뷰틸, 아크릴산 3-포스포노뷰틸, 아크릴산 2-포스포노뷰틸, 아크릴산 6-포스포노n-헥실, 아크릴산 5-포스포노n-헥실, 아크릴산 4-포스포노n-헥실, 아크릴산 3-포스포노n-헥실, 아크릴산 2-포스포노n-헥실, 아크릴산 4-포스포노사이클로헥실, 아크릴산 4-포스포노페닐, 메타크릴산 2-포스포노에틸, 메타크릴산 3-포스포노프로필,메타크릴산 2-포스포노프로필, 메타크릴산 4-포스포노뷰틸, 메타크릴산 3-포스포노뷰틸, 메타크릴산 2-포스포노뷰틸,메타크릴산 6-포스포노n-헥실, 메타크릴산 5-포스포노n-헥실, 메타크릴산 4-포스포노n-헥실, 메타크릴산 3-포스포노n-헥실, 메타크릴산 2-포스포노n-헥실, 메타크릴산 4-포스포노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산 4-포스포노페닐, N-(포스포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N-(3-포스포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2-포스포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1,1-다이메틸-3-포스포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4-포스포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3-포스포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2-포스포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6-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5-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4-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3-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2-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포스포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포스포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포스포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1,1-다이메틸-3-포스포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4-포스포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N-메틸-N-(3-포스포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포스포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6-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5-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4-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3-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메틸-N-(2-포스포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포스포노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포스포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2-포스포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1,1-다이메틸-3-포스포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4-포스포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포스포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2-포스포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6-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5-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4-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3-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2-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포스포노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포스포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포스포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1,1-다이메틸-3-포스포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4-포스포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포스포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포스포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6-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5-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4-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3-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N-(2-포스포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 2-에틸설폰산, 메타크릴산 2-에틸설폰산, 아크릴산 2-설포에틸나트륨, 아크릴산 2-설포에틸칼륨, 아크릴산 2-설포에틸암모늄, 아크릴산 2-설포에틸테트라메틸암모늄, 메타크릴산 2-설포에틸나트륨, 메타크릴산 2-설포에틸칼륨, 메타크릴산 2-설포에틸암모늄, 메타크릴산 2-설포에틸테트라메틸암모늄, 메타크릴산 2-설포프로필나트륨, 메타크릴산 2-설포프로필칼륨, 메타크릴산 2-설포프로필암모늄, 메타크릴산 2-설포프로필테트라메틸암모늄, 아크릴아마이드 2-메틸프로페인설폰산, 아크릴아마이드 2-메틸프로페인설폰산나트륨, 아크릴아마이드 2-메틸프로페인설폰산칼륨, 아크릴아마이드 2-메틸프로페인설폰산암모늄, 아크릴아마이드 2-메틸프로페인설폰산테트라메틸암모늄, 아크릴산 나트륨, 아크릴산 칼륨, 메타크릴산 나트륨, 메타크릴산 칼륨,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n-뷰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n-뷰틸, (메트)아크릴산 i-뷰틸, (메트)아크릴산 t-뷰틸, (메트)아크릴산 n-헥실, (메트)아크릴산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라우릴, (메트)아크릴산 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페닐, (메트)아크릴산 벤질,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산 글라이시딜, (메트)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트)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틸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1,4-뷰테인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의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4-뷰테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네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에테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글라이세린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쓰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쓰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쓰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말론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말론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말론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말론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석신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석신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석신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석신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아디프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아디프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아디프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아디프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글루타르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글루타르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글루타르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글루타르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세바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세바스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세바스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세바스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푸마르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푸마르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푸마르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푸마르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무수말레산/트라이메틸올에테인/(메트)아크릴산, 무수말레산/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트)아크릴산, 무수말레산/글라이세린/(메트)아크릴산, 무수말레산/펜타에리쓰리톨/(메트)아크릴산,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메틸렌 비스(사이클로헥실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벤질아민, 트라이-n-옥틸아민, 다이-n-옥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3-(2-에틸헥실옥시)프로필아민, 아닐린, 다이메틸아닐린, 다이에틸아닐린, 다이-n-프로필아닐린, 다이-iso-프로필아닐린,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메틸,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뷰틸,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헥실,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메틸,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뷰틸,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헥실, 아크릴산다이에틸아미노메틸,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뷰틸,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헥실,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메틸,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뷰틸,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헥실, N-(2-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2-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2-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2-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염화 벤잘코늄, 염화 트라이메틸벤질암모늄, 염화 알킬 다이에틸벤질암모늄, 브롬화 트라이에틸벤질암모늄, 염화 트라이옥틸메틸암모늄, 하이드록실화 트라이메틸벤질암모늄,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메틸,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뷰틸, 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헥실, 아크릴산 다이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 다이프로필아미노에틸, 아크릴산 다이뷰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메틸,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뷰틸, 메타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헥실,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메틸,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뷰틸, 아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헥실,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메틸,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뷰틸, 메타크릴산 다이에틸아미노헥실, 메타크릴산 다이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다이프로필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다이뷰틸아미노에틸, N-(2-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N-(2-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아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아크릴아마이드, N-(2-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N-(2-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4-다이메틸아미노뷰틸)메타크릴아마이드, N-(6-다이메틸아미노헥실)메타크릴아마이드,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뷰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뷰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뷰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메틸에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뷰틸에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모노스테아릴에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모노페닐에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벤질에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모노올레일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2-알킬-1-알킬-1-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2-alkyl-1-alkyl-1-hydroxyethyl imidazolium), 2-알킬-1-카르복시메틸-1-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4급 암모늄, 나프탈렌 술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다가 알코올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도데실벤젠술폰산의 나트륨염(Na-DDBS), 도데실트리메틸암모니움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DTAB), 도데실페닐에테르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 리튬 도데실 설페이트(Lithium dodecyl sulfate, LDS), 석유 술폰산,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CTAB, 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Sodium Dodecyl Sulfate),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SDBS), 소듐도데실설포네이트(Sodium dodecylsulfonate, SDSA),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황산, 알킬나프탈렌 술폰산, 알킬벤젠 술폰산, 알킬술폰산, 알킬인산, 알킬카르복실산, 제1 지방아민, 제2 지방아민, 제3 지방아민,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테트라알킬암모늄,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알킬피리디늄, 트리알킬아민 옥시드, 트리에탄올아민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트리톤(Triton) X-100, 퍼플루오로알킬 벤젠 술폰산, 퍼플루오로알킬 카르복실산, 퍼플루오로알킬 폴리옥시에틸렌 에탄올,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에틸렌 폴리아민 지방산 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3블럭 공중합체, 폴리옥시알킬디부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비스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쿠밀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수지 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렌화 페닐에테르 황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디에틸,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스티릴 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화 피마자유, 플루오로알킬 카르복실산, 황산화 유지, Brij-series, N,N,N-트리알킬-N-술포알킬렌 암모늄 베타인, N,N-디메틸-N-알킬-N-카르복시 메틸암모늄 베타인, N,N-디알킬모르폴리늄, N,N-디알킬아미노 알킬렌 카르복실산염, N,N-디알킬-N,N-비스폴리옥시에틸렌 암모늄 황산 에스테르 베타인, N-메틸-N-올레일 타우린, Triton X-series, Tween-series (Polyoxyethyelene Sorbitan Monooleate), α-술폰화 지방산, α-올레핀 술폰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 폴리비닐알코올, 가넥스(Ganax), 전분, 단당류(monosaccharide), 다당류(polysaccharide), 검아라빅(Gum Arabic, GA) , 나피온(Nafion, 퍼플루오르카본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 필름의 열전도 및 열분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방열층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 필름은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반사 필름의 양측에 광원이 배치된 광원 어셈블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측, 양측, 상측, 하측 등에 배치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된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반사 필름은 가열되고, 광원과의 상대적인 거리에 의해, 반사 필름의 영역별 온도 분포는 달라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광원과 가까운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은 광원과 상대적으로 먼 제2 영역에 비하여, 더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영역간 온도 차이는 반사 필름의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더욱 증가한다.
또한, 가열된 반사 필름은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광원 어셈블리에서는 반사 필름에 인접한 제2 수납용기(750)로 열을 방출한다. 이 때, 반사 필름의 열전도율이 낮다면, 광원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인접한 제2 수납용기(750) 영역으로 대부분의 열이 방출될 것이고, 제2 영역에 인접한 제2 수납용기(750)의 영역으로는 열이 거의 방출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반사 필름이 실질적으로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면적은 감소하게 되며, 반사 필름과 외부간의 열전도성 역시 감소되게 된다. 이는, 광원의 소모 전력을 증가시켜 더 많은 광 및 열을 방출시킬 때, 반사 필름으로 들어오는 열과 반사 필름에서 방출되는 열이 평형을 이루는 평형점에서의 반사 필름의 온도를 더 증가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대면적화하거나 고휘도화하기 위하여 광원의 소모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반사 필름이 열적 내구성을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는 반사 필름의 열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LED광원을 이용할 경우 열에 대단히 취약할 수 밖에 없는데, 광원어셈블리 내부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원효율이 저하되어 상대적으로 보다 더 많은 전력소모를 요구받게 된다. 만약 광원어셈블리 내부의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상승되기 전에 열전도층으로 인하여 빠르고 광범위하게 열방출을 이루게 된다면, 동일한 광효율 달성을 위한 저전력 구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방열층(300)을 포함하며, 방열층(300)에 의해 반사 필름의 전체 온도 분포는 균일하게 되고,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실질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반사 필름의 내열성을 증가시키고, 반사 필름의 영역별 온도 불균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열 변형 및 열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반사 필름의 온도 증가에 따른 열팽창 및 이에 수반되어 발생할 수 있는 반사 필름의 욺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광원에도 안정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방열층의 다양한 열전도 패턴이 구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층(310)은 반사층(100)의 일면상에서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각 스트라이프 패턴의 폭은 10㎛ 내지 100mm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를 때, 각 스트라이프 패턴의 폭 및 간격은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트라이프 패턴의 폭 및 간격은 광원과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폭이 좁아지거나,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부로 갈수록 방열층(310)의 패턴의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층(320)은 반사층(100)의 일면상에서 반사층(100)의 중심을 동심으로 갖는 복수의 동심 직사각 패턴을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각 동심 직사각 패턴의 폭은 10㎛ 내지 100mm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를 때, 각 동심 직사각 패턴의 폭 및 간격은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심 직사각 패턴의 폭 및 간격은 광원과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동심 직사각 패턴의 폭이 좁아지거나,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동심 직사각 패턴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부로 갈수록 방열층(320)의 패턴의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동심 직사각 형상의 패턴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직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심원, 동심 삼각형, 동심 오각형 등의 동심을 갖는 다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층(330)은 반사층(100)의 일면상에서 일 라인으로 이어져 있으며, 수직으로 복수회 꺽여 반사층(100)의 중심을 감는 미로형 패턴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이 때, 미로형 패턴의 폭은 10㎛ 내지 100mm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를 때, 미로형 패턴의 폭 및 미로형 패턴이 이웃하는 간격은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로형 패턴의 폭 및 간격은 광원과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미로형 패턴의 폭이 좁아지거나,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미로형 패턴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부로 갈수록 방열층(330)의 패턴의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층(340)은 반사층(100)의 일면상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스트라이프 패턴이 교차된 매쉬형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매쉬형 패턴의 폭은 10㎛ 내지 100mm 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를 때, 매쉬형 패턴의 폭 및 간격은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쉬형 패턴의 폭 및 간격은 광원과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매쉬형 패턴의 폭이 좁아지거나,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으로 갈수록 매쉬형 패턴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 필름의 외측부에 비하여 반사 필름의 내측부로 갈수록 방열층(340)의 패턴의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반사층(100)의 타면에 형성된 다양한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라인 패턴, 반사층(100) 및 방열층을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몇몇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전술한 몇몇 실실예들에 비해 일면에 방열층이 배치된 반사층(100)의 타면에 형성된 라인 패턴(130)을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있다.
라인 패턴(130)은 도광판(미도시)를 거쳐 반사 필름으로 광이 입사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반사층(100) 상에 방열층이 배치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라인 패턴(130)은 복수의 프리즘산이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향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라인 패턴(130)은 복수의 기둥이 반사층(100)의 일면에 누운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프리즘산이 반사층(100)의 일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대 폭의 비율이 큰 복수의 삼각기둥이 반사층(100)의 일면 상에 나란하게 누워있는 형상일 수 있다. 라인 패턴(13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 패턴(130)은 투명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반사층(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하여 라인 패턴(130)은 반사층(100)에 접착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등의 고투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층(100)의 일면에 형성된 라인 패턴(130)은 반사층(100)의 구부림을 제한하여 반사층(100)의 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라인 패턴(1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반사층(100)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 어셈블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사층(100)의 표면 주름 및 광원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반사 필름의 열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인 패턴(130)은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과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도광판(미도시)과 반사 필름을 이격시킴으로써, 스크래치에 의한 도광판 하부의 산란 패턴(미도시)의 손상 및 정전기 발생에 의한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라인 패턴(132)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되, 이웃하는 라인 패턴(132)들은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인 패턴(132)은 복수의 프리즘산이 소정의 이격 거리(s)를 가지고,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향된 패턴일 수 있다. 소정의 이격 거리(s)는 반사층(100) 표면의 전영역에 걸쳐 일정할 수 있고, 라인 패턴(132)의 폭과 이웃하는 라인패턴의 소정의 이격 거리(s)의 비는 1 : 10 내지 1 내 5 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이격 거리(s)는 반사층(100) 표면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소정의 이격 거리(s)가 짧아질수록 반사층(100)의 단위면적당 라인 패턴(132)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반사층(100) 표면의 외곽부보다 반사층(100) 표면의 내부의 소정의 이격 거리가 짧을 수 있고, 반사층(100)의 단위면적당 라인 패턴(132)의 밀도가 클 수 있다.
소정의 이격 거리(s) 또는 라인 패턴(132)의 밀도는 목적하는 반사층(100)의 연성강화정도 및 도광판(미도시)와의 내스크래치성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의 라인 패턴(132)간의 간격은 s1, s2로 서로 다를 수 있으며, s2는 s1보다 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라인 패턴(132)의 밀도는 반사층(100) 표면의 내부가 반사층(100) 표면의 외곽부보다 클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패턴(134)은 반사층(100)의 일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몇몇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라인 패턴(134)들이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격 거리는 반사층(100) 표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라인 패턴(134)의 반사층(100)의 일면과 접한 부분의 폭(d2)은 라인 패턴(134)의 정부의 폭(d1)보다 크며, 라인 패턴(134)의 높이는 h이다.
라인 패턴(134)의 반사층(100)의 일면과 접한 부분의 폭(d2)는 1um 내지 50um일 수 있고, 라인 패턴(134)의 정부의 폭(d1)은 1um 내지 50um일 수 있으며, d1과 d2의 비율은 4:5 내지 1:2 일 수 있다. 라인 패턴(134)의 높이(h)는 1um 내지 100um 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패턴(138)은 반사층(100)의 일면에 누운 형상인 프리즘 리브가 반사층(100)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하좌우로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몇몇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라인 패턴(138)들이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격 거리는 반사층(100) 표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반사층(100)의 일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단면의 첨단부가 모서리를 갖지 않고 매끄럽게 이루어진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도 16에는 프리즘 리브형의 라인 패턴이 반사층(100)의 일면상에서 반사층(100)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하좌우로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사층(100)의 일명상에서 반사층(100)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하좌우로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라인 패턴(138)의 형상은 단면이 사다리꼴, 반원형, 반타원형, 사각형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 패턴(136)은 프리즘 리브의 첨단부(136a)의 단면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둥근 형상일 수 있다. 즉, 프리즘 리브의 첨단부(136a)가 모서리를 갖지 않고 매끄럽게 이루어진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몇몇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라인 패턴(136)들이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격 거리는 반사층(100) 표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라인패턴의 첨단부의 단면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둥근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인패턴의 단면의 형상은 첨단부의 단면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둥근 형상인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은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을 스크래치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이나 액정 패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경도를 갖는다 함은 예컨대, 모오스 경도의 차가 1 이내의 범위인 경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사 경도의 범위 내에서,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의 첨단이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과 접촉하더라도, 스크래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은 인접하는 부재, 예를 들어,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 필름이 도광판과 인접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반사 필름의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이 인접하는 도광판보다 경도가 낮을 경우, 두 부재간 상호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의 접촉면이 그라인딩(grinding)될지언정, 인접하는 도광판(미도시)의 표면은 스크래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관점에서,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은 인접하는 도광판보다 모오스 경도가 1 이상 낮은 물질, 바람직하게는 1.5이상 낮은 물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은 마찰 계수가 0.35 이하인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의 마찰 계수가 0.35 이하이면,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의 첨단이 인접하는 다른 부재, 예를 들어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과 접촉하더라도, 외부로부터 압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접촉면에서 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스크래치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마찰 계수의 조건을 만족하는 일 예로, 라인 패턴(130, 132, 134, 136, 138)은 UV 경화성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용가능한 UV 경화성 물질의 예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실리콘계, 에스테르계 등의 반응성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다관능성 (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예컨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트리에틸렌디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이소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t-옥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몰포린, 디싸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타디엔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열거된 물질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의 상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반사층(100), 반사층(100)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 반사층(100)의 타면에 형성된 라인 패턴(132) 및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을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몇몇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전술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반사층(10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을 더 포함하되,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이웃하는 라인 패턴(1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라인 패턴(132)은 반사 필름의 일 표면 상에 복수의 프리즘산이 이격면을 사이에 두고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즘 리브 형상, 즉, 높이 대 폭의 비율이 큰 복수의 삼각기둥이 반사 필름의 표면 상에 나란하게 누워있는 형상일 수 있다. 라인 패턴(132)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리즘산은 소정의 간격(s)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소정의 간격은 프리즘산의 폭보다 더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간격은 프리즘산의 폭(d1)의 4 내지 5배 일 수 있다. 라인 패턴(132)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 패턴(132)은 투명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라인 패턴(132)의 복수의 프리즘산 사이의 이격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밀집 정렬된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형상일 수 있고,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투명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복수의 반구형 또는 구형의 마이크로 렌즈가 밀집하여 정렬된 형상일 수 있다. 반사 필름의 일 표면의 라인 패턴(132)의 이웃하는 복수의 프리즘산 사이의 이격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복수의 비즈가 밀집 정렬된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비즈는 약 0.1㎛ 내지 약 100㎛의 직경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라인 패턴(132)의 산마루의 높이(h1)는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의 첨단부의 높이(h2)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인 패턴(132)의 산마루의 높이(h1)은 1㎛ 내지 100㎛ 일 수 있고,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의 첨단부의 높이(h2)는 약 0.05㎛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라인 패턴(132)의 크기 및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의 크기는 목적하는 반사 필름의 광학 특성 및 적용 재질, 비즈의 종류, 제조 공법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사 필름의 일 표면상에 형성된 라인 패턴(132)은 반사 필름의 구부림을 제한하여 반사 필름의 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라인 패턴(13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반사 필름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 어셈블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사 필름의 표면 주름 및 광원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반사 필름의 열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인 패턴(132)은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과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을 이격시킴으로써, 스크래치에 의한 도광판 하부의 산란 패턴(미도시)의 손상 및 정전기 발생에 의한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도광판(미도시)에서 반사 필름 방향으로 입사되어 반사층(100)에 반사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에 의하여 확산된 빛은 결과적으로 적어도 한 번의 확산 과정을 더 거치는 것이 될 것이므로, 광원 어셈블리의 전체 확산 정도는 증가될 수 있다.
반사 필름의 일 표면 상에 형성된 라인 패턴(132) 및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이 점유하는 면적 비율은 반사 필름이 요구하는 연성, 확산 정도, 내 스크래치성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라인 패턴(132) 대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의 점유비율이 약 1 대 5일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을 도시한 상면도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은 반사층(100), 반사층(100)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 반사층(100)의 타면에 형성된 라인 패턴(132) 및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을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몇몇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라인 패턴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되, 이웃하는 라인 패턴들은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140)은 반사층(100)의 일면에서 이웃하는 라인 패턴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라인 패턴은 복수의 프리즘산이 소정의 이격 거리(s)를 가지고,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향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이격 거리(s)는 반사층(100) 표면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소정의 이격 거리(s)가 짧아질수록 반사층(100)의 단위면적당 라인 패턴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을 기준으로 반사층(100) 표면의 외곽부보다 반사층(100) 표면의 내부의 소정의 이격 거리가 짧을 수 있고, 반사층(100)의 단위면적당 라인 패턴의 밀도가 클 수 있다.
소정의 이격 거리(s) 또는 라인 패턴의 밀도는 목적하는 반사층(100)의 연성강화정도 및 도광판(미도시)와의 내스크래치성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2를 참조하면, 각각의 라인 패턴간의 간격은 s1, s2로 서로 다를 수 있으며, s2는 s1보다 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라인 패턴의 밀도는 반사층(100) 표면의 내부가 반사층(100) 표면의 외곽부보다 클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반사 필름으로 입사되는 빛이 반사되는 경우 마이크로 렌즈 패턴에 의해 확산되는 광 경로를 모식적으로 도식한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스넬의 법칙에 따를 때, 최초 마이크로 렌즈 패턴으로 입사하는 P1 지점의 입사각(θ1)과, 반사층(100)에 반사되어 외부로 반사될 때, P3 지점의 입사각(θ3)이 동일하지 않는 한, 입사광의 입사각과 반사광의 굴절각은 달라지게 된다. P2 지점이 원점(O)이 되지 않는 한, 최종 반사된 빛의 각도는 최초 입사된 빛의 각도와 다르고, P2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어 확산될 것이다
따라서, 마이크로 렌즈 패턴으로 입사되는 빛의 광 경로는 P1 지점과 P3 지점에서의 굴절율이 달라지는 정도 및 P1지점과 P3지점에서의 법선의 각도가 다른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반사필름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입사되는 빛은 마이크로 렌즈 패턴(150)의 서로 다른 지점으로 입사되고,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반사필름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반사 필름은 광원 어셈블리나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채용되어, 표시 품질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액정 패널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백라이트(back light) 어셈블리나 액정 패널의 위쪽에 배치되는 프론트 라이트(front light) 어셈블리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적용예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필름이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400) 및 상기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0),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를 수납하는 제1 수납 용기(500) 및 탑 샤시(6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400)는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410),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420, 425),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430, 43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4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411), 상기 TFT 기판(411)과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는 컬러필터 기판(412) 및 상기 TFT 기판(411)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412)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411)은 스위칭 소자인 TFT(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TFT 기판(411)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412)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색화소인 RGB 색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TFT 기판(411)의 소오스측에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TCP(420)가 부착된다. 상기 TFT 기판(411)의 게이트측에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측 TCP(425)가 부착된다.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420, 425)는 상기 액정표시패널(4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 및 구동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410)로 인가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420, 425)는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430, 435)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430, 435)은 상기 구동 신호 및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420, 425)로 각각 인가한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400)의 아래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410)로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가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상기 광을 발생하는 광원(711),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도광판(720), 상기 도광판(7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광학 시트들(730), 상기 도광판(73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 필름(740) 및 제2 수납 용기(7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711)은 상기 도광판(720)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상기 광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나, 상기 광원의 개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크기 및 램프의 종류에 따라 증가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711)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상기 광을 발생하는 램프(712) 및 상기 램프(712b)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도광판(720)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램프 리플렉터(720)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 리플렉터(712b)는 상기 램프(712)의 일부분을 감싸고, 상기 램프(7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램프 리플렉터(712b)는 상기 도광판(720)측이 개구된다. 상기 램프 리플렉터(712b)는 상기 램프(712)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도광판(720)측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도광판(72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410)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711)측에 위치한다. 상기 도광판(720)은 상기 광원(711)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410)로 출사한다.
상기 도광판(72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410)과의 사이에는 상기 광학 시트들(730)이 개재된다. 상기 광학 시트들(730)은 상기 도광판(720)으로부터 입사된 상기 광의 특성, 예컨대, 휘도 증가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410)로 제공한다. 상기 광학 시트들(730)로는 광을 확산하는 확산시트 및 휘도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시트 등이 있다.
상기 도광판(720)의 아래에는 상기 반사 필름(740)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 필름(740)은 상기 도광판(72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다시 상기 도광판(720)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 필름(74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 필름(740)의 아래에는 상기 제2 수납 용기(7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750)는 상기 반사 필름(740), 상기 도광판(720), 상기 광원(711) 및 광학 시트들(730)을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750)는 단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711)으로부터 방생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41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수납 용기(500)가 위치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5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일부분이 개구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500)는 상기 제2 수납 용기(750)와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여 상기 광원(711), 상기 도광판(720), 상기 광학 시트들(730) 및 상기 반사 필름(740)을 상기 제2 수납 용기(750)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패널(410)의 상부에는 상기 탑 샤시(600)가 구비된다. 상기 탑 샤시(6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410)을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이 개구되도록 덮으면서 상기 제1 및 제2 수납 용기(500, 750)와 결합한다. 상기 탑 샤시(6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4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410)을 상기 제1 수납 용기(500)에 고정한다.
반사 필름(740)의 타면에 배치된 방열층은 광원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반사 필름(740) 전면으로 전달시키고, 반사 필름(740)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또한, 제2 수납용기의 바닥면(750)을 통해 제공된 열을 방출하는데, 반사 필름(740)의 전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에서 제2 수납용기의 바닥면(750)으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더 많은 열을 방출 시킬 수 있고, 열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사 필름(740)의 타면에 형성된 라인 패턴은 인접하는 도광판(720)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도광판(720)과 반사 필름을 이격시킴으로써, 스크래치에 의한 도광판 하부(720)의 산란 패턴의 손상 및 정전기 발생에 의한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 할 수 있고, 반사광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사 필름(740)의 타면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은 도광판(720)에서 반사 필름(740) 방향으로 입사되어 반사층(100)에 반사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에 의하여 확산된 빛은 결과적으로 적어도 한 번의 확산 과정을 더 거치는 것이 될 것이므로, 광원 어셈블리의 전체 확산 정도는 증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반사층 200 : 접착층
300, 310, 320, 330, 340 : 방열층
305 : 열전도체
130, 132, 134, 138 : 라인 패턴
140 : 마이크로 렌즈 패턴 400 : 표시패널 어셈블리
410 : 액정표시패널
420 : 데이터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425 : 게이트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430 : 데이터측 테이프 인쇄회로기판
435 : 게이트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500: 제 1 수납 용기 600 : 탑 샤시
700 : 백 라이트 어셈블리 711 : 광원
720 : 도광판 730 : 광학 시트
740 : 반사 필름 750 : 제 2 수납 용기

Claims (24)

  1.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층은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전도체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체는 싱글월 탄소나노뉴브, 멀티월 탄소나노뉴브, 탄소나노입자 및 그라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체는 종횡비가 3:1 이상인 반사 필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금속 나노 입자, 무기 나노 입자, 폴리머 첨가제 및 계면 활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과 상기 방열층의 부착을 매개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반사 필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방열층의 외측의 열전도체의 밀도가 방열층의 내측의 열전도체의 밀도보다 높은 반사 필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형상인 반사 필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각 스트라이프 패턴의 폭이 반사층의 일면의 외측부에서 내측부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상인 반사 필름.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각 스트라이프 패턴간의 간격이 반사층의 일면의 외측부에서 내측부로 갈 수록 넓어지는 형상인 반사 필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반사층의 일면상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이 교차된 매쉬형 패턴의 형상인 반사 필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매쉬형 패턴의 각 스트라이프 패턴의 폭이 반사층의 일면의 외측부에서 내측부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상인 반사 필름.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매쉬형 패턴의 각 스트라이프 패턴간의 간격이 반사층의 일면의 외측부에서 내측부로 갈 수록 넓어지는 형상인 반사 필름.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의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보다 더 밀도가 큰 반사 필름.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의 열전도체는 방열층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에서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밀도가 감소하는 밀도구배를 갖는 반사 필름.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의 열전도체는 방열층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에서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밀도가 감소하는 밀도구배를 갖는 반사 필름.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보다 더 두꺼운 반사 필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에서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두께구배를 갖는 반사 필름.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외곽부에서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반사 필름.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보다 더 두껍고,
    상기 방열층의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방열층의 일면상의 내부보다 더 밀도가 큰 반사 필름.
  20.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층; 및
    상기 반사층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층은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전도체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반구형 또는 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반사 필름.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과 상기 라인 패턴의 부착을 매개하는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반사 필름.
  23. 제1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24. 제1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10017428A 2011-02-25 2011-02-25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540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428A KR101540097B1 (ko) 2011-02-25 2011-02-25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428A KR101540097B1 (ko) 2011-02-25 2011-02-25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91A true KR20120097891A (ko) 2012-09-05
KR101540097B1 KR101540097B1 (ko) 2015-07-28

Family

ID=4710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428A KR101540097B1 (ko) 2011-02-25 2011-02-25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6270A (zh) * 2013-09-12 2014-03-26 张素玲 可抗光害的液晶薄膜及其制造方法
KR101714977B1 (ko) * 2016-06-22 2017-03-09 (주)비젼사이언스 알지네이트 콘텍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3750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엘엠에스 방열 반사시트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20200100320A (ko) * 2019-02-18 2020-08-26 솔랩 주식회사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KR20230175058A (ko) * 2022-06-22 2023-12-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탄소 발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3874A (ja) * 1993-03-29 1994-10-07 Sony Corp 放熱部材及び放熱補助ピン
JP2005272164A (ja) * 2004-03-23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熱伝導性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放熱システム
JP2009210731A (ja) * 2008-03-03 2009-09-17 Kaneka Corp 高い放熱能力を有した複合反射フィルム
JP2009282279A (ja) * 2008-05-22 2009-12-03 Oji Paper Co Ltd 反射シート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6270A (zh) * 2013-09-12 2014-03-26 张素玲 可抗光害的液晶薄膜及其制造方法
KR101714977B1 (ko) * 2016-06-22 2017-03-09 (주)비젼사이언스 알지네이트 콘텍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3750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엘엠에스 방열 반사시트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20200100320A (ko) * 2019-02-18 2020-08-26 솔랩 주식회사 도포형 태양광 반사시스템
KR20230175058A (ko) * 2022-06-22 2023-12-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탄소 발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097B1 (ko) 201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0207B2 (en) Optical diffusing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sing the same
US893387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81626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995160B2 (en)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7967489B2 (en) Optical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234617B2 (en) Glass light guide plate and back light unit having the same
KR2010007829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10008550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216039B2 (en) Backlight unit an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20097891A (ko) 반사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1737669A (zh) 背光单元
US1099650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0013238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1910875A (zh) 光学组件
KR2008005417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3728681B (zh) 棱镜片、包括该棱镜片的背光单元及其制造方法
TW201024811A (en) Light-diffusing film for back light unit of LC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13091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937833B1 (ko) 광학 시트 및 상기 광학 시트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843054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
CN109581579B (zh) 一种导光板及其制作方法,以及背光模组和显示面板
CN102313242B (zh) 减少云纹干扰的光学片、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件
KR20110035645A (ko)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36595A (ko)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 시트
KR20100128259A (ko) 반사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