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233A -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 Google Patents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233A
KR20200100233A KR1020190017897A KR20190017897A KR20200100233A KR 20200100233 A KR20200100233 A KR 20200100233A KR 1020190017897 A KR1020190017897 A KR 1020190017897A KR 20190017897 A KR20190017897 A KR 20190017897A KR 20200100233 A KR20200100233 A KR 2020010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railing
space
evacua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4218B1 (ko
Inventor
이웅균
조우현
김용희
김민재
남윤철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21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난간과 같이 추락방지의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피난시설로서 이용이 가능하여 화재와 같은 긴급 대피상황 발생 시 현관으로 대치하지 못한 인원이 베란다의 난간을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히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피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으로부터 인명을 신속히 대피시키는 것을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D-TYPE HANDRAIL FOR EMERGENCY EVACUATION}
본 발명은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의 역할을 하며 화재와 같은 긴급대피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가 가능하며 종래의 구조물과의 미관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한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축물은 화재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할 시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기 위하여 피난용 사다리나 피난용 계단과 같은 대피시설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대피시설은 위험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층에서 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여, 건축물의 외부로 빠져나게 하거나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게 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위험상황으로부터 인명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대피시설인 피난용 사다리나 계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야하기 때문에 공간이 한정된 구조물의 특성상 공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난용 사다리는 대피자가 직접 매달려서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급박한 위험상황에서 무리하게 대피하려다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대피시설은 건축물의 전체적인 미관을 고려하지 않고 안전성만을 고려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무변 환경과의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건축물과의 미관에 어울리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다 안전하게 위험상황으로부터 대피하는 것이 가능한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8162호 (2010.06.29.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5284호 (2015.10.27. 등록)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8162호 (2010.06.2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 그 자체가 피난시설로 사용되어짐으로써 기존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난간을 미끄럼틀처럼 이용함으로써 대피과정에서 발생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면이 D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난간부(400)를 구성하는 단일 난간부(100)와, 상기 단일 난간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00)와,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상단부에 구성된 상단 난간몸체부(110a)와 하단부에 구성된 하단 난간몸체부(11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 2 공간부(111)를 포함하는 난간 몸체부(11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 사이에 구성되는 정면 난간부(12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의 사이에 구성되는 후면 난간부(13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H형상의 연결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면 난간부(120)는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21)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제1 공간부(111)와 정면 난간부(120)의 공간부(121)에는 H형상의 연결재(140)가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난간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가 상하"?항으?*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31)와, 상기 난간몸체부(110)의 제2 공간부(111)와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 양측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H형상의 연결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이 D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난간부(400)를 구성하는 단일 난간부(100)와, 상기 단일 난간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00)와,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상단부에 구성된 상단 난간몸체부(110a)와 하단부에 구성된 하단 난간몸체부(11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 2 공간부(111)를 포함하는 난간 몸체부(11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 사이에 구성되는 정면 난간부(12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의 사이에 구성되는 후면 난간부(13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유압 연결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압 연결부(150)는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정면 난간부(120b)의 상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21)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제1, 2 공간부(111)에는 유체가 충진되어지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일측단부는 난간 몸체부(110)와 정면 난간부(120)의 일단면에 결합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되는 구성되는 유압 로드부(151)와, 상기 유압 로드부(151)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제1, 2 공간부(111) 및 정면 난간부(120)의 공간부(121)에 구성되는 유압 조절판(152) 및 상기 유압 조절판(152)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유압 조절공(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난간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가 상하"?항으?*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31)와, 상기 난간몸체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 삽입되는 유압 연결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이 D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난간부(400)를 구성하는 단일 난간부(100)와, 상기 단일 난간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00)와,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상단부에 구성된 상단 난간몸체부(110a)와 하단부에 구성된 하단 난간몸체부(11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 2 공간부(111)를 포함하는 난간 몸체부(11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 사이에 구성되는 정면 난간부(12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의 사이에 구성되는 후면 난간부(13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조절부(160)는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정면 난간부(120b)의 상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21)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제1, 2 공간부(111)가 구성되고, 난간 몸체부(110)와 정면 난간부(12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어 외부신호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동작부(161)와, 상기 동작부(161)로부터 하측단부로 연장형성되어 동작부(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회전부(162) 및 상기 나사 회전부(162)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상기 제1, 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에 삽입되는 회전 제한부(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난간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가 상하"?항으?*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31)와, 상기 난간몸체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 삽입되는 길이 조절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간부(400)는 상기 가이드 레일(300)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되, 건축물(10)의 층간(11) 위치만큼 이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간부(400)는 평소에는 건축물(10)의 벽면에 난간부(400)를 고정하며,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일측 하단부에 구성된 힌지(h)를 중심으로 상기 난간부(400)가 회전되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난간 작동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간 작동부(500)는 난간부(400)의 양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공간부(4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건축물(10)의 벽면에 구성되며, 건축물(10)의 위험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신호를 유무선으로 수신받는 위험감지부(510)와, 상기 위험감지부(51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으면 동작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520)와, 상기 제어부(52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난간부(400)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411)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난간 고정부(531)를 90도 회전시켜 난간부(400)가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작동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간부(400)는 복수개의 단일 난간부(410)와 강봉(420)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난간부(410)의 상측단부에는 상기 강봉(42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411)가 구성되며, 상기 강봉(420)은 제1 단일 난간부(410)와 제2 단일 난간부(410) 사이에 구성되는 중공의 가이드 강봉(421)과, 상기 가이드 강봉(421)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상측단부는 제1 단일 난간부(410)에 결합되고 하측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강봉(422)과, 상기 슬라이드 강봉(422)의 하측단부에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411)의 걸림턱에 대응되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걸림부(423)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411)의 걸림턱과 슬라이딩 걸림부(423) 사이에 구성되되, 슬라이드 강봉(422)의 외경에 삽입되어 탄성 재질이 탄성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난간과 같이 추락방지의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피난시설로서 이용이 가능하여 화재와 같은 긴급 대피상황 발생 시 현관으로 대치하지 못한 인원이 베란다의 난간을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히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피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으로부터 인명을 신속히 대피시키는 것을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의 단일난간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의 단일난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을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의 적용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부의 제2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부의 제3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을 도시한 도면으로, 단일 난간부(100), 가이드부(200) 및 가이드 레일(300)이 결합되어 건축물(10)의 벽면에 설치되어진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일 난간부(100)의 일측면에는 평단면이 T형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20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는 가이드 레일(300)와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300)의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되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300)은 건축물(10)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짐으로써,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가이드부(200) 및 가이드 레일(300)에 의해 건축물(10)의 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측면이 D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난간부(400)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일 난간부(1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 후 난간부(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난간 몸체부(110)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 2 공간부(111)를 구성한다.
즉, 상기 난간 몸체부(110)는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제1, 2 공간부(111)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정면 난간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 공간부(111)가 구성되며, 상기 후면 난간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 공간부(111)가 구성된다.
상기 정면 난간부(120)와 후면 난간부(130)는 서로 마주보는 난간 몸체부(110)의 사이에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정면 난간부(120)와 후면 난간부(130)가 각각 2개씩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2개 이상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면 난간부(120)는 난간 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후면 난간부(130)는 난간 몸체부(110)의 타측단부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는 H형상의 연결재(14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진다.
즉 상기 연결재(140)에 의해 서로 연결된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되어짐으로써,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면 난간부(120)는 상부에 구성된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하부에 구성된 제2 정면 난간부(120b)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적층되며, 상기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21)가 구성된다.
상기 공간부(121)는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부분이 완전히 개방된 형상이 아닌, 걸림턱이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난간 몸체부(110)의 제1 공간부(111)에는 연결재(14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고, 정면 난간부(120)의 공간부(121)에는 연결재(140)의 타측단부가 삽입되어진다.
또한 후면 난간부(130)의 상부에 구성된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하부에 구성된 제2 후면 난간부(130b)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적층되면, 상기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31)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난간 몸체부(110)의 제2 공간부(111)에는 연결재(14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고,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는 연결재의 타측단부가 삽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는 연결재(1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H형상으로 형성된 연결재(140)의 상하단부에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턱과, 공간부(111, 121, 131)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만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출턱과 걸림턱에 의해 단일 난간부(100)가 상하로 슬라이딩될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는 유압 연결부(15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유압 연결부(150)는 유압 로드부(151), 유압 조절판(152) 및 유압 조절공(1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 로드부(15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일측단부는 상부에 위치한 난간 몸체부(110)와 정면 난간부(120)의 일단면에 결합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된 유압 조절판(152)이 구성되어 하부에 위치한 난간 몸체부(110)의 제1 공간부(111) 및 정면 난간부(120)의 공간부(121)에 삽입된다.
상기 유압 조절판(152)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유압 조절공(15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압 로드부(15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일측단부는 상부에 위치한 난간 몸체부(110)와 후면 난간부(130)의 일단면에 결합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된 유압 조절판(152)이 구성되어 하부에 위치한 난간 몸체부(110)의 제2 공간부(111) 및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정면 난간부(120)의 공간부(121)와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는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의 상측면에만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1, 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 131)에는 비압축성의 유체가 충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 연결부(150)에 의해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는 일체로 결합되어 단일 난간부(100)를 구성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난간부(1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유압 조절판(152)은 상기 제1, 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 131)에 충진된 비압축성 유체와의 저항력에 의해 슬라이딩 속도가 조절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유압 조절판(152)에 구성된 유압 조절공(153)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단일 난간부(100)의 슬라이딩 속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 유압 조절공(153)이 크게 형성되며 개수가 증가할수록 유체와의 저항이 감소하여 슬라이딩 속도가 빨라지게 되며, 유압 조절공(153)이 작게 형성되고 개수가 감소할수록 유체와의 저항이 증가하여 슬라이딩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 조절판(152)은 상기 제1,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 131)에 구성된 걸림턱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시 유압 연결부(150)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일정 길이 이상으로 상기 단일 난간부(100)가 슬라이딩 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는 길이 조절부(1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길이 조절부(160)는 동작부(161), 나사 회전부(162) 및 회전 제한부(163)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부(161)는 상부에 위치한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며, 외부신호를 감지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외부신호는 대피자의 조작신호 또는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위험감지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부(161)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동작부(161)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어 회전되는 나사 회전부(162)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 회전부(162)의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 회전부(162)와 결합된 제1,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 131)의 걸림턱에도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도록 걸림턱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 회전부(162)의 일측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된 회전 제한부(163)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 제한부(163)는 상기 제1,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 131)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상기 회전 제한부(163)는 제1,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의 걸림턱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신호에 의해 동작부(161)가 회전되어지면, 이와 연동하여 나사 회전부(162)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나사 회전부(162)의 나사산에 의해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제한부(163)에 의해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길이 조절부(160)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일정 길이 이상으로 상기 단일 난간부(100)가 슬라이딩 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일 난간부(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결합된 난간부(400)를 구성하게 되며, 난간부(400)의 일측면에 결합된 가이드부(200)가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 설치된 가이드 레일(300)에 삽입되어짐으로써, 상기 난간부(400)가 건축물(10)의 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난간부(400)는 가이드 레일(300)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상하방향을 이동되어지는데, 상기 건축물(10)의 층간(11)이 형성된 위치만큼만 이동되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난간부(40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발코니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난간역할을 하다가, 화재와 같은 긴급 대피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층에 위치한 대피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난간부(400)가 기설정된 이동거리만큼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난간부(40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10)의 층간(11)이 형성된 위치만큼만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난간부(40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난간부(400)를 구성하는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140) 또는 유압 연결부(150) 또는 길이 조절부(160)에 의해 각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난간부(400)의 전체 높이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난간부(400)의 전체 높이길이가 증가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자는 난간부(400)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며, 난간부(400)의 내부공간, 즉 내면을 따라 대피하기 때문에 대피과정에서 발생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범 및 도난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해당 층에 위치한 인원만이 상기 난간부(400)의 작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부의 제2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평소에는 상기 난간부(400)를 건축물(10)의 벽면에 고정하며,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일측 하단부에 구성된 힌지(h)를 중심으로 상기 난간부(400)가 회전되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난간 작동부(500)를 구성한다.
상기 난간 작동부(500)는 위험감지부(510), 제어부(520) 및 작동부(530)로 구성되며, 상기 난간부(400)의 양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공간부(4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건축물(10)의 벽면에 구성된다.
상기 위험감지부(510)는 화재감지기, 지진감지기와 같은 위험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신호를 유무선으로 수신받게된다.
상기 위험감지기(51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520)는 상기 작동부(530)로 동작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530)는 일반적으로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520)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2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작동부(530)는 상기 난간부(500)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411)의 내부에 삽입된 ㅡ자 형상의 난간 고정부(531)를 90도 회전된다.
상기 난간 고정부(531)가 9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공간부(411)의 걸림턱과 분리되어지며, 상기 난간부(4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된 힌지(h)를 중심으로 상기 난간부(400)가 90도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난간 작동부(500)는 위험감지기(510)가 위험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이를 제어부(52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520)가 작동부(530)를 제어하여, 상기 난간부(400)가 힌지(h)를 중심으로 90도 회전되어짐으로써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대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사다리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부의 제3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난간부(400)는 복수개의 단일 난간부(410)와 복수개의 강봉(420)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일 난간부(410)의 상측단부에는 상기 강봉(420)이 결합되어진 위치, 즉 강봉(420)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411)가 구성된다.
상기 강봉(420)은 상부에 위치한 제1 단일 난간부(410)와 하부에 위치한 제2 단일 난간부(420) 사이에 속이 빈 중공의 가이드 강봉(421)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강봉(421)의 내경에는 슬라이딩 강봉(422)이 삽입되어 가이드 강봉(42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강봉(422)은 상측단부가 상부에 위치한 제1 단일 난간부(410)에 결합고정되고, 하측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411)의 내부에 삽입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딩 강봉(422)의 하측단부에는 상기 공간부(411)의 걸림턱에 대응되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기 위한 슬라이딩 걸림부(423)가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걸림부(423)는 슬라이딩 강봉(42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41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강봉(422)의 외경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430)가 추가로 구성되며, 공간부(411)의 걸림턱과 슬라이딩 걸림부(423)의 사이에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봉(420)에 의하여 상부에 위치한 제1 단일 난간부(410)로부터 하부에 위치한 제2 단일 난간부(41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짐으로써, 피난용 사다리로 사용되는 난간부(400)를 건축물(10)의 층간 높이에 대응되도록 높이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2 단일 단간부(410)의 위치가 회복되어짐으로써 피난시설로써 사다리로 이용이 완료된 난간부(400)를 다시 난간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건축물(10)의 상층에 위치한 인명이 해당 층에 발생한 긴급 대피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가 가능하도록 아래층 또는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또한 대피과정에서 발생되는 추락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난간을 사다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건축물(10)의 층간 높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난간부(4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인명의 안전한 대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단일 난간부 200 : 가이드부
300 : 가이드 레일 400 : 난간부
500 : 난간 작동부

Claims (10)

  1. 측면이 D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난간부(400)를 구성하는 단일 난간부(100)와,
    상기 단일 난간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00)와,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상단부에 구성된 상단 난간몸체부(110a)와 하단부에 구성된 하단 난간몸체부(11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 2 공간부(111)를 포함하는 난간 몸체부(11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 사이에 구성되는 정면 난간부(12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의 사이에 구성되는 후면 난간부(13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H형상의 연결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난간부(120)는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21)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제1 공간부(111)와 정면 난간부(120)의 공간부(121)에는 H형상의 연결재(140)가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난간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가 상하"?항으?*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31)와,
    상기 난간몸체부(110)의 제2 공간부(111)와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 양측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H형상의 연결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4. 측면이 D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난간부(400)를 구성하는 단일 난간부(100)와,
    상기 단일 난간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00)와,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상단부에 구성된 상단 난간몸체부(110a)와 하단부에 구성된 하단 난간몸체부(11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 2 공간부(111)를 포함하는 난간 몸체부(11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 사이에 구성되는 정면 난간부(12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의 사이에 구성되는 후면 난간부(13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유압 연결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연결부(150)는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정면 난간부(120b)의 상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21)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제1, 2 공간부(111)에는 유체가 충진되어지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일측단부는 난간 몸체부(110)와 정면 난간부(120)의 일단면에 결합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되는 구성되는 유압 로드부(151)와,
    상기 유압 로드부(151)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제1, 2 공간부(111) 및 정면 난간부(120)의 공간부(121)에 구성되는 유압 조절판(152) 및
    상기 유압 조절판(152)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유압 조절공(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난간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가 상하"?항으?*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31)와,
    상기 난간몸체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 삽입되는 유압 연결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7. 측면이 D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난간부(400)를 구성하는 단일 난간부(100)와,
    상기 단일 난간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00)와,
    건축물(10)의 벽면에 매입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300)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난간부(100)는
    상단부에 구성된 상단 난간몸체부(110a)와 하단부에 구성된 하단 난간몸체부(11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 2 공간부(111)를 포함하는 난간 몸체부(11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 사이에 구성되는 정면 난간부(12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난간몸체부(110)와 하단 난간몸체부(110)의 사이에 구성되는 후면 난간부(130)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 정면 난간부(120) 및 후면 난간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단일 난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160)는
    제1 정면 난간부(120a)와 제2 정면 난간부(120b)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정면 난간부(120b)의 상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21)와 상기 난간 몸체부(110)의 제1, 2 공간부(111)가 구성되고,
    난간 몸체부(110)와 정면 난간부(12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어 외부신호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동작부(161)와,
    상기 동작부(161)로부터 하측단부로 연장형성되어 동작부(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회전부(162) 및
    상기 나사 회전부(162)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되, 상기 제1, 2 공간부(111) 및 공간부(121)에 삽입되는 회전 제한부(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난간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가 상하"?항으?*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후면 난간부(130a)와 제2 후면 난간부(130b)의 상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공간부(131)와,
    상기 난간몸체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면 난간부(130)의 공간부(131)에 삽입되는 길이 조절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400)는
    상기 가이드 레일(300)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되, 건축물(10)의 층간(11)위치만큼 이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KR1020190017897A 2019-02-15 2019-02-15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KR10225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97A KR102254218B1 (ko) 2019-02-15 2019-02-15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97A KR102254218B1 (ko) 2019-02-15 2019-02-15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33A true KR20200100233A (ko) 2020-08-26
KR102254218B1 KR102254218B1 (ko) 2021-05-24

Family

ID=7224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97A KR102254218B1 (ko) 2019-02-15 2019-02-15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2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79B1 (ko) * 2003-07-26 2006-08-18 박용문 난간 대피장치
KR100725381B1 (ko) *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0909447B1 (ko) *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923639B1 (ko) *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68162B1 (ko) 2010-03-12 2010-07-06 박기한 건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보안장치가 구비된 화재 대피용 계단
KR101565284B1 (ko) 2015-07-03 2015-11-13 (주)수정테크 레벨조절부가 구비된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1754103B1 (ko) * 2017-01-18 2017-07-06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완강 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79B1 (ko) * 2003-07-26 2006-08-18 박용문 난간 대피장치
KR100725381B1 (ko) *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0909447B1 (ko) *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923639B1 (ko) *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68162B1 (ko) 2010-03-12 2010-07-06 박기한 건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보안장치가 구비된 화재 대피용 계단
KR101565284B1 (ko) 2015-07-03 2015-11-13 (주)수정테크 레벨조절부가 구비된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1754103B1 (ko) * 2017-01-18 2017-07-06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완강 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218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0488A2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EP1666100B1 (en) Rescue cage
KR100738812B1 (ko)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101874040B1 (ko)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US20100025156A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s
CN208017947U (zh) 滑道式救援疏散安全梯
KR102254218B1 (ko) 긴급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d형 난간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913091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US85344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1710468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1725864B1 (ko)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90411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