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917A -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917A
KR20200099917A KR1020190018164A KR20190018164A KR20200099917A KR 20200099917 A KR20200099917 A KR 20200099917A KR 1020190018164 A KR1020190018164 A KR 1020190018164A KR 20190018164 A KR20190018164 A KR 20190018164A KR 20200099917 A KR20200099917 A KR 20200099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ssembly
fan
air purifier
portable ai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099B1 (ko
Inventor
노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0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공기 정화와 관련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팬 어셈블리와 제2팬 어셈블리가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1팬 어셈블리와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된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 모두를 효과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기를 키우거나 전원공급부의 정격전류를 높이거나 크고 용량이 높은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정화기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하며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는 현대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 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를 걸러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정화기는, 도시화, 산업화, 및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필수 불가결한 기기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증가, 알레르기 환자의 증가, 및 생활 수준의 향상 등의 영향으로 그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다.
공기정화기가 일반 가정과 같이 100㎡ 이상을 넘어서는 환경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기기의 크기가 크게 되어도 된다. 이러한 기기에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에 대응하는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에 대응하는 필터,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대응하는 필터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필터를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룸, 차량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이나 공공 도서관 등과 같이 매우 넓은 공간 또는 실외에서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 활용성, 이동성, 에너지 소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보다는 크기가 작으면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더 적합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정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집과 같은 한 장소에서 오래 머물기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이다.
그러나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량은, 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량에 비해 적을 수밖에 없다. 또한 휴대용 공기정화기를 통해 토출되는 정화 공기의 전방 토출 범위 또한 상대적으로 좁을 수 밖에 없다. 이는 공기정화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문제이며, 휴대용 공기정화기가 소형화될수록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증가시키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이처럼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가 줄어들게 되면, 휴대용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 특히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이처럼 휴대용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면, 휴대용 공기정화기가 제대로 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송풍팬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송풍팬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송풍팬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그만큼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크기가 커져야만 하므로, 휴대용 공기정화기를 소형화시키기 어렵게 된다.
또한 송풍팬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송풍팬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송풍팬에 높은 출력의 모터가 구비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터의 출력이 높아질 경우, 그만큼 휴대용 공기정화기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원이 충분하여야 한다.
그러나 휴대성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처럼 내장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원의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
즉 내장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높은 출력을 갖는 모터를 감당할 정도의 전원을 제공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의 용량을 늘린다면, 그만큼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테이블이나 선반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차량 내부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기기이다. 이에 따라 최근의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컴퓨터나 노트북 또는 차량에 구비된 USB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USB 단자를 통해 공급 가능한 최대 전류는 약 1.8A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USB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조건에서는, 높은 출력을 갖는 모터를 감당할 정도의 전원이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의해 제공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높은 출력을 모터를 구비함 없이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면서도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공기 정화와 관련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팬 어셈블리와 제2팬 어셈블리가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1팬 어셈블리와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된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 모두를 효과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기를 키우거나 전원공급부의 정격전류를 높이거나 크고 용량이 높은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제1팬 어셈블리, 및 제2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1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2팬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가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격전류보다 각각의 상기 모터의 기동전류가 낮고, 복수개의 상기 팬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모터의 기동전류의 합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형태로 전원공급부와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을 위한 제1기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제1피드백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제1피드백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간격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기동을 위한 제2기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1피드백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는 팬락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기동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잇다.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나 알림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락 신호를 발생시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 에러코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드백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간격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기동을 위한 제2기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제2피드백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2피드백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는 팬락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기동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며,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내장되는 배터리, 및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측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필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2팬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의 토출측과 상기 필터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측 및 상기 토출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인 제1방향의 가상선과 교차하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상기 필터모듈이 차지하는 영역과 상기 제1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2팬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영역이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높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및 폭보다 높이가 긴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3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시간간격은, 0.8 내지 1.2초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공기 정화와 관련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팬 어셈블리와 제2팬 어셈블리가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1팬 어셈블리와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된다.
상기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제1팬 어셈블리에 제1기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시간간격 경과 후에 복수개의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제2기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제1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이 확인된 후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제2기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1기동신호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제2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기동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2기동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작동을 중단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따르면, 크기를 키우거나 전원공급부의 정격전류를 높이거나 크고 용량이 높은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높으면서도 더욱 향상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4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양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모터의 동시 기동시 발생되는 PWM 신호와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류 상태를 파형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모터의 순차 기동시 발생되는 PWM 신호와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류 상태를 파형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양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전면패널(510)과 케이스(520)와 팬커버(530)와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과 배터리(560)와 후면패널(570) 및 후면커버(580)를 포함한다.
케이스(52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520)에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된다.
전면패널(510)은, 케이스(5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패널(510)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570)은, 케이스(520)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후면패널(570)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세워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또는 눕혀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와 같이 흔들림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눕혀진 상태로 사용되더라도,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구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전방"이라 함은 상기 케이스(520)로부터 상기 전면패널(5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상기 케이스(520)로부터 상기 후면패널(520)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전면패널(510)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전면패널(51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위해, 전면패널(510)에는 복수개의 토출구(510a)가 마련된다.
케이스(52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상면, 측면, 저면 외관이 케이스(520)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5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팬커버(530), 팬 어셈블리(540,545), 필터모듈(550), 배터리(560) 등과 같이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케이스(520)는, 이와 같이 수용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팬커버(53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팬커버(530)는, 케이스(520) 내부에서 전면패널(510)과 팬 어셈블리(540,545)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커버(530)는, 팬 어셈블리(540,545)를 케이스(52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또한 팬커버(530)는, 팬 어셈블리(540,545)에 의해 불어나가는 공기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전방을 향해 직진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팬 어셈블리(540,545)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커버(530)와 필터모듈(5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팬 어셈블리(540,545)는, 팬커버(530)의 후방 및 필터모듈(5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540,545)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540,545)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제1영역(S1)에 배치된다. 따라서 팬 어셈블리(540,545)는, 팬커버(530)의 상부커버부(531)와 하부커버부(535) 중 상부커버부(531)의 후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두 개의 팬 어셈블리(540,545)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는,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가 마련된다.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동일 수직선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팬 어셈블리(530)와 하부팬 어셈블리(535)는, 팬커버(530)에 형성된 공기토출부(532,533)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패널(570)을 통해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로 흡입된 공기는, 상부 공기토출부(532)와 하부 공기토출부(533)를 각각 통과한 후, 전면패널(510)을 통해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상기 하부팬 어셈블리(545)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팬 어셈블리(540) 및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송풍팬(541,546) 및 모터(미도시)를 각각 포함한다.
송풍팬(541,546)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일례로서, 송풍팬(541,546)은, 축류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패널(570)을 통해 케이스(5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541,546)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후 송풍팬(541,546)의 축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모터는, 송풍팬(541,546)과 연결되어 송풍팬(541,546)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모터는,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한 BLDC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모듈(550)은,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와 후면패널(57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필터모듈(550)은, 팬 어셈블리(540,545)의 후방 및 후면패널(57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모듈(550)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후방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모듈(550)을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는, 팬 어셈블리(540,545), 팬커버(530), 전면패널(510)을 통과하여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배터리(56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터리(56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 서브 피씨비(590), 상기 메인 피씨비(595) 및 필터모듈(5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56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제1영역(S2)에 배치된다. 제1영역(S2)은,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이 배치된 제1영역(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1영역(S2)의 상부 경계면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제1영역(S2)의 하부 및 측부 경계면은 케이스(520)의 저면부(527)와 측면부(52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영역(S2)에 위치한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배터리(560)는, 팬커버(530)와 후면커버(58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배터리(560)의 상부에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이 배치되고, 배터리(560)의 전방에는 팬커버(530)의 하부커버부(535)가 배치되며, 배터리(56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580)가 배치된다.
후면패널(570)은, 후면커버(580)와 함께 케이스(5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패널(570)은, 필터모듈(550)의 후방에 배치된다. 외부의 공기는, 후면패널(570)을 통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를 위해, 후면패널(570)에는 복수개의 제1흡입구(570a)가 마련된다.
그리고 후면커버(580)는, 후면패널(570)과 함께 케이스(5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커버(580)는, 배터리(560)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모듈(550)의 배후 영역은 후면패널(570)에 의해 커버된다. 그리고 배터리(560)의 배후 영역은 후면커버(580)에 의해 커버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520)의 상부, 즉 케이스(520)의 상면부(523)에는, 전원버튼(592)이 제공될 수 있다. 전원버튼(592)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또한 케이스(520)의 상부에는, 풍량조절버튼(593)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풍량조절버튼(593)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풍량조절버튼(593)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전원버튼(59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은, 제1영역(S1)과 제1영역(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용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했을 때, 상부의 영역이 제1영역(S1)이 되고, 그 하부의 영역이 제1영역(S2)이 된다. 제1영역(S1)과 제1영역(S2)은 물리적으로 구획된 영역은 아니며, 단지 개념적으로만 구분된 영역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에 수용된 구성 중,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은 제1영역(S1)에 배치되고, 배터리(560)는 제1영역(S2)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서브 피씨비(590) 및 메인 피씨비(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피씨비(590)에는, 서브 기판(591)과, 서브 기판(591)에 설치되는 전원버튼(592) 및 풍량조절버튼(593)이 포함된다. 이러한 서브 피씨비(590)는, 메인 피씨비(5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피씨비(590)는, 케이스(520) 내부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피씨비(590)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피씨비(590)에 설치되는 전원버튼(592) 및 풍량조절버튼(593)은, 케이스(520)의 상면부(523)를 관통하여 케이스(5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노출된 버튼들을 조작하여,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온/오프하거나,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피씨비(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피씨비(595)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메인 피씨비(595)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팬 어셈블리(540,545)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메인 피씨비(595)는, 케이스(520) 내부의 제1영역(S2)에 수용되며, 팬커버(530)의 하부커버부(535)와 배터리(5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메인 피씨비(595)는 하부커버부(535)와 나란하게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피씨비(595)는, 하부커버부(535)와 배터리(560) 사이에서 하부커버부(535)와 배터리(560)에 의해 전후방향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메인 피씨비(595)는, 메인 기판(596)과, 메인 기판(591)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자(59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기판(591)은, 팬 어셈블리(540,545), 배터리(560)와 서브 피씨비(590) 및 센서모듈(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피씨비(595)는, 전원버튼(592) 및 풍량조절버튼(593)을 통해 입력된 명령 또는 센서모듈(600)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부팬 어셈블리(530) 및 상기 하부팬 어셈블리(53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피씨비(595)는, 필터모듈(5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필터(559)가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피씨비(595)는 이오나이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오나이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터(529)는 배터리(5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560)로부터 직접 전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센서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600)은,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제1영역(S2)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모듈(600)은, 배터리(560)와 후면커버(58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센서모듈(600)의 전방에는 배터리(560)가 배치되며, 센서모듈(6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580)가 배치된다.
센서모듈(600)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주변 또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공기 질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600)은, 공기 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피씨비(595)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부품 배치 구조]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은, 상부의 제1영역(S1)과 제2영역(S2)으로 구분된다.
제1영역(S1)에는,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1영역(S1)에는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이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영역(S1)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면패널(570)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통로로서 복수개의 제1흡입구(570a)가 마련된다. 팬커버(530) 및 전면패널(510)에는, 제1영역(S1)에서 정화된 공기 토출을 위한 통로로서 공기토출부(532,533) 및 토출구(510a)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영역(S1)에는, 제1흡입구(570a)와 공기토출부(532,533) 및 토출구(510a)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즉 제1영역(S1)에는 제1흡입구(570a)와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와 공기토출부(532,533) 및 토출구(510a)가 마련되고, 휴대용 공기정화기(5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정화기(50)의 내부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유로는 제1영역(S1)에 형성된다.
제2영역(S2)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2영역(S2)에는, 메인 피씨비(595)와 배터리(560) 및 센서모듈(600)이 배치된다. 후면커버(580)는, 이러한 구성들이 배치된 공간의 개방된 후방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520)는 측방향 길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배치된 제1영역(S1)이 하부에 배치된 제2영역(S2)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상부의 제1영역(S1)이 하부의 제2영역(S2)보다 케이스(520) 내에서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제2영역(S2)의 최전방에는 팬커버(530)의 하부커버부(535)가 배치된다. 배터리(560)는, 제2영역(S2)에 배치되되, 하부커버부(535)의 후방에 배치된다. 배터리(560)의 상부에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이 배치되며, 배터리(56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580)가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560)와 후면커버(580) 사이에는, 센서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배터리(560)는, 상부 경계면이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에 의해 규정되고 측부 및 하부 경계면이 케이스(520)의 측면부(521) 및 저면부(527)에 의해 규정되며 후방 경계면이 후면커버(58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를 합한 무게보다 더 무거운 무게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560)의 단위 부피당 무게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단위 부피당 무게보다 훨씬 무겁기 때문에, 배터리(560)의 무게나 크기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배터리(560)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즉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통상적인 사용에 필요한 용량의 배터리(56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적용되더라도, 자연스럽게 배터리(560)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되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무게중심은 상하방향 중심에서 하부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즉 배터리(560)가 배치된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 측으로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560)가 배치된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 측으로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되면,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전도될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즉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560)로 인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무게 중심이 하부 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둘째,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되면,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 예를 들어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은 배터리(560)보다 상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즉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원활한 사용에 필요한 배터리(560)의 충전 용량 확보를 위해서는, 배터리(560)의 크기가 일정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휴대용 공기정화기(50) 내부에도 배터리(560) 설치를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설치 공간이 요구된다. 그리고 배터리(560)가 설치된 공간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은 불합리한 일이기 때문에,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은 배터리(560)를 피한 위치, 즉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한 유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인 제1영역(S1)에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용 공기정화기(50)로의 공기의 흡입,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정화된 공기의 토출도 배터리(560)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상부에서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기가 좀 더 용이해지게 된다.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의 바닥면에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놓고 사용할 때,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사용하는 것보다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상부에서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더욱 증가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56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 인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한 유로가 배터리(560)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정화된 공기의 토출도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더욱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즉 배터리(56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전도 위험성이 낮아지도록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유로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셋째,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설치 범위 확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차량 내의 컵 홀더에 꽂힌 상태로 사용될 때,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 및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컵 홀더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면서도 높은 수준의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560)가 배치되는 제2영역(S2)의 상하방향 길이가 컵 홀더의 깊이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집게 방식의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 영역을 고정시킨다면, 이 역시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 및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막지 않으면서도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배터리(560)와 같이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구성들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하부를 통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거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높은 수준의 공기 정화 성능 제공과 안정적인 고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필터모듈 및 팬 어셈블리의 배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모듈(550)은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는, 필터모듈(550)과 함께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케이스(520)의 토출측과 필터모듈(550) 사이, 즉 전면패널(510)와 필터모듈(550) 사이에 배치된다.
용어를 정의한다. "제1방향"이라 함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흡입측인 제1흡입구(570a) 및 토출측인 토출구(510a)를 통과하는 흐름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방향"은, 전방과 후방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향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제1방향의 가상선"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방향의 가상선과 교차하는 가상의 평면"은, 제1방향의 가상선이 관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가상의 평면은 제1방향의 가상선과 직교하는 형태로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방향"이라 함은,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두 측면부(521)가 서로 이격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3방향"이라 함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교치되는 방향으로서, 상면부(523)와 저면부(527)가 서로 이격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3방향"은 상부와 하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하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필터모듈(550)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과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높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모듈(550)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과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높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필터모듈(550)의 일측면(이하, "필터모듈의 전면"이라 한다)은 팬 어셈블리(540,545)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필터모듈(550)의 타측면(이하, "필터모듈의 후면"이라 한다)은 후면패널(57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모듈(550)은, 길이 및 폭보다 높이가 긴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에 용이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둘레는 사용자가 휴대용 공기정화기(50)를 손으로 잡기에 용이한 치수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제1방향 길이 및 제2방향 길이, 즉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길이와 폭은, 파지(把指)가 가능한 범위 내로 제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길이와 폭은, 사용자의 손바닥의 길이 정도로 결정될 수 있고, 이로써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에 용이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휴대성을 고려하여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길이와 폭을 짧게 설계하면, 그만큼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가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휴대성을 확보하면서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 길이 및 제2방향 길이보다 제3방향 길이가 긴, 즉 폭방향 및 길이방향 길이보다 높이방향 길이가 긴 형상을 갖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휴대성 확보를 위해 길이 증가가 제한된 부분 대신, 휴대성 확보와 관련이 적은 높이방향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기의 흡입, 정화, 배출에 이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형상에 대응되어, 필터모듈(550) 또한 폭방향 및 길이방향 길이보다 높이방향 길이가 긴 형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필터모듈(550)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 길이보다 높이방향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의 가상선과 교차하는 가상의 평면과 나란한 평면 상에서, 필터모듈(550)이 차지하는 영역과 팬 어셈블리(540,545)가 차지하는 영역이 대응되도록,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필터모듈(550)의 전면과 후면은 제1방향의 가상선과 교차하는 가상의 평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모듈(550)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540,545)는, 필터모듈(550)의 전면을 대부분 또는 완전히 덮는 형태로 설치된다.
제1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팬 어셈블리(540,545)의 특성 상, 각각의 팬 어셈블리(540,545)의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을 갖는 육면체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 중 어느 하나만으로 높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인 필터모듈(550)의 전면을 대부분 또는 완전히 덮기는 어렵다.
각각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팬 어셈블리(540,545)를 이용하여 높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필터모듈(550)의 전면을 덮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540,545)가 이용된다.
즉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540,545)가 제3방향, 즉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필터모듈(550)의 전면이 대부분 또는 완전히 덮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모듈(550)의 전방에 상부팬 어셈블리(540)와 하부팬 어셈블리(545), 즉 2개의 팬 어셈블리(540,545)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형태로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의 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필터모듈(550)의 높이가 증가된 만큼 필터모듈(550)의 부피가 커져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공기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팬 어셈블리(540,545)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어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높은 수준의 휴대성 및 공기 정화 성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의 기동 제어 관련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540,54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2개의 팬 어셈블리(540,545)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팬 어셈블리의 크기,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크기에 따라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3개 이상의 팬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례가 있을 수 있다.
이하,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구비된 팬 어셈블리(540,545)의 기동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팬 어셈블리(540)가 제1팬 어셈블리인 것으로, 하부팬 어셈블리(545)가 제2팬 어셈블리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다르게, 하부팬 어셈블리(545)가 제1팬 어셈블리가 되고, 상부팬 어셈블리(540)가 제2팬 어셈블리가 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상부팬 어셈블리(540)가 제1팬 어셈블리이고 하부팬 어셈블리(545)가 제2팬 어셈블리인 경우를 예로 들어 팬 어셈블리(540,545)의 기동 제어에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는,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각각의 팬 어셈블리(540,545)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팬(F) 및 송풍팬(F)을 회전시키는 모터(M)를 포함하며, 각 모터(M)의 구동이 개별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가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전원공급부(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P)는, 팬 어셈블리(540,545)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P)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내장되는 배터리(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P)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포트(59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P)는, 배터리(560)와 전원포트(599)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원포트(599)는, 외부 기기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전원포트(599)는 휴대용 외장 배터리나 컴퓨터 또는 노트북의 USB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USB 전원포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포트(599)는 무선 충전기를 이용한 무선 충전 형태로 직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수신코일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680)는,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제1팬 어셈블리(540) 및 제2팬 어셈블리(545)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어부(680)는 제1팬 어셈블리(540) 및 제2팬 어셈블리(545)에 기동신호를 전송하여 1팬 어셈블리(540,545) 및 제2팬 어셈블리(545)의 기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680)로부터 전송된 기동신호에 의해 기동이 이루어진 팬 어셈블리(540,545)는, 제어부(680)에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540,545)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680)는, 해당 팬 어셈블리(540,545)의 기동이 제대로 이루어졌음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680)의 기동신호는 제어부(680)에 포함된 컨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PWM신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팬 어셈블리(540,545)의 피드백 신호는, 기동이 이루어진 팬 어셈블리(540,545)의 모터(M)에서 출력되어 제어부(680)로 전송되는 전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출력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60)는, 휴대용 기기(5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나 알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660)는 정보나 알림을 시각적 형태로 출력하는 광원이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거나, 정보나 알림을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팬 어셈블리(540,545)를 기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은 전원공급부(P)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휴대성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부(P)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내장된 배터리(560) 또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마련되는 전원포트(599)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원포트(599)의 경우, 직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마련된다. 전원포트(599)가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마련된다면, 전원 공급을 위해 부피가 큰 별도의 전원선을 지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비해 전원포트(599)가 직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마련되면, 부피가 작고 사무실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간편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포트(599)가 무선 충전 형태로 직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기를 이용하여 더욱 쉽고 편리하게 휴대용 공기정화기(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전원포트(599)는 무선 충전기를 이용한 무선 충전 형태로 직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수신코일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부(P)에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마련되는 전원포트(599)가 적용된다.
이처럼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는, 일반적으로 교류 전원을 이용하는 전원공급부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5V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는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는, 약 1.8A 수준에 머문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각각의 팬 어셈블리(540,545)는 그 기동에 필요한 기동전류가 1.8A보다는 낮은 규격의 모터(M)를 각각 포함한다.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를 고려하면,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를 동시에 기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팬 어셈블리(540,545)에 구비되는 모터(M)들의 기동전류의 합이 1.8A를 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기동전류는 모터(M)의 기동시에만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것이고, 모터(M)의 기동이 이루어진 후 모터(M)의 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기동전류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의 전류만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단순히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와 모터(M)들의 기동전류의 합만을 비교하여 모터(M)의 용량을 결정하게 될 경우, 팬 어셈블리(540,545)의 출력을 불합리하게 낮추는 결과를 낳게 된다.
팬 어셈블리(540,545)의 출력은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공기 정화 성능과 밀접하게 관련되므로, 상기와 같은 이유로 팬 어셈블리(540,545)의 출력을 저하시킬 경우, 그만큼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공기 정화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팬 어셈블리(540,545)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터(M)의 개별적인 기동전류는 전원공급부(P)보다 낮지만,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540,545)에 구비되는 모터(M)들의 기동전류의 합은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수준으로 각각의 모터(M)의 용량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가 1.8A인 경우, 각각의 모터(M)는 그 기동전류가 1.3A 수준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형태의 전원공급부(P)와 모터(M)를 구비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기동 제어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팬 어셈블리의 기동 제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모터의 동시 기동시 발생되는 PWM 신호와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류 상태를 파형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모터의 순차 기동시 발생되는 PWM 신호와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류 상태를 파형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구비되는 팬 어셈블리의 기동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가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원공급부(P)가 전원포트(599)를 구비하고, 전원포트(599)를 통해 5V 전압의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다르게, 전원공급부(P)가 배터리(560)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아래의 기동 제어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팬 어셈블리(540,545)를 기동시키기 위해 전원버튼(592)을 누르면(S10), 전원버튼(592)의 조작을 통해 발생되는 신호를 받은 제어부(680)는 제1기동신호를 전송한다(S20). 제1기동신호는, 제어부(680)가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신호로서, 제1팬 어셈블리(540)의 모터(M)로 전송된다.
다른 예로서, 휴대용 공기정화기(50)는 팬 어셈블리(540,54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이처럼 별도로 구비된 조작버튼의 조작을 통해 팬 어셈블리(540,545)의 기동을 위한 신호가 제어부(68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1팬 어셈블리(540)에 제1기동신호를 전송한 제어부(680)는, 제1팬 어셈블리(540)로부터 제1피드백 신호가 오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30). 제1피드백 신호는, 기동이 이루어진 제1팬 어셈블리(540)의 모터(M)에서 출력되어 제어부(680)로 전송되는 전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피드백 신호가 제어부(680)에 수신되면, 제어부(680)는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시간간격 경과 후 제2기동신호를 전송한다(S40). 제2기동신호는, 제어부(680)가 제2팬 어셈블리(545)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신호로서, 제2팬 어셈블리(545)의 모터(M)로 전송된다.
즉 제어부(680)는,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의 순차적인 기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기동신호와 제2기동신호를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전송하는 형태로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의 기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시간간격은, 제1기동신호의 전송 시점과 제2기동신호의 전송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시간간격은 0.8 내지 1.2초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작동전압이 약 5V이고 기동전류가 약 1.3A인 특성을 갖는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따라 서 상기 설정시간간격은 모터(M)의 용량, 규격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만약 제1피드백 신호가 설정시간 내에 제어부(680)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680)는 제1팬 어셈블리(540)가 제대로 기동되지 못한 팬락(Fan-lock)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팬락 신호를 발생시킨다(S35).
상기 설정시간은, 제어부(680)가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도록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설정시간은, 상기 설정시간간격과 동일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고려하여 설정시간간격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락 신호를 발생시킨 제어부(680)는, 팬 어셈블리(540,545)의 작동을 중단시킨다(S36). 이때 이루어지는 팬 어셈블리(540,545)의 작동 중단은,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을 위한 제어부(680)의 제어 동작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680)는, 제1기동신호의 전송을 중단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680)는, 출력부(660)에 에러코드가 출력되도록 출력부(660)의 동작을 제어한다(S37). 에러코드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시각적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고 제2기동신호를 전송한 제어부(680)는, 제2팬 어셈블리(545)로부터 제2피드백 신호가 오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50). 제2피드백 신호는, 기동이 이루어진 제2팬 어셈블리(545)의 모터(M)에서 출력되어 제어부(680)로 전송되는 전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제2피드백 신호가 설정시간 내에 제어부(680)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680)는 제2팬 어셈블리(545)가 제대로 기동되지 못한 팬락(Fan-lock)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팬락 신호를 발생시킨다(S35).
이와 같이 팬락 신호를 발생시킨 제어부(680)는, 팬 어셈블리(540,545)의 작동을 중단시킨다(S36). 이때 이루어지는 팬 어셈블리(540,545)의 작동 중단은, 제1팬 어셈블리(540)의 작동과 제2팬 어셈블리(545)의 작동이 함께 중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680)는, 제2기동신호의 전송을 중단함과 함께 이미 기동이 이루어진 제1팬 어셈블리(540)의 작동도 함께 중단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부(680)는, 출력부(660)에 에러코드가 출력되도록 출력부(660)의 동작을 제어한다(S37).
한편 제2피드백 신호가 제어부(680)에 수신되면, 제어부(680)는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운전이 시작되도록 제1팬 어셈블리(540) 및 제2팬 어셈블리(545)의 동작을 제어한다(S60).
여기서 정상운전은, 제1팬 어셈블리(540) 및 제2팬 어셈블리(545) 모두가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 및 제2팬 어셈블리(545)의 기동이 모두 제대로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68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팬 어셈블리(540,545)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팬 어셈블리(540,545)에 대한 동작 제어를 지속하게 된다.
한편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의 순차 기동을 위해 설정되는 설정시간간격은, 적어도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시간보다는 긴 시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물론 상기 설정시간간격은,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과하게 길어서는 안되고, 되도록이면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시간에 가까운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540,545)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터(M)의 개별적인 기동전류는 전원공급부(P)보다 낮지만,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540,545)에 구비되는 모터(M)들의 기동전류의 합은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수준으로 각각의 모터(M)의 용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 시점과 제2팬 어셈블리(545)의 기동 시점이 겹칠 경우,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기동전류의 합이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를 초과할 우려가 있게 된다.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기동전류의 합이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를 초과하게 되면, 모터(M)의 기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도 7 참조), 이에 따라 팬 어셈블리(540,545)의 작동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공기 정화 기능 제공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과 제2팬 어셈블리(545)의 기동이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팬 어셈블리(540,545)의 기동이 제어된다.
이때 제1팬 어셈블리(540)와 제2팬 어셈블리(545)의 순차 기동을 위해 설정되는 설정시간간격이 적어도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되므로, 제1팬 어셈블리(540)의 기동 시점과 제2팬 어셈블리(545)의 기동 시점이 겹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가 각 팬 어셈블리(540,545)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터(M)의 기동에 소요되는 기동전류보다 높기만 하면, 이러한 전원공급부(P)만으로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540,545)의 기동이 모두 가능해지게 된다(도 8 참조).
즉 휴대용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이용되기에 편리하지만 그 대신 정격전류로 인한 제한이 있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540,545)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크기를 키우거나 전원공급부(P)의 정격전류를 높이거나 크고 용량이 높은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용 공기정화기(50)의 정화 공기 토출량 및 전방 토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높으면서도 더욱 향상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5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0 : 이동 단말기
50 : 휴대용 공기정화기
510 : 전면패널
520 : 케이스
530 : 팬커버
540 : 상부팬 어셈블리
545 : 하부팬 어셈블리
550 : 필터모듈
560 : 배터리
570 : 후면패널
580 : 후면커버
590 : 서브 피씨비
592 : 전원버튼
593 : 풍향조절버튼
595 : 메인 피씨비
596 : 메인 기판
597 : 소자
600 : 센서모듈
P : 전원공급부

Claims (18)

  1.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제1팬 어셈블리, 및 제2팬 어셈블리;
    상기 제1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2팬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가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격전류보다 각각의 상기 모터의 기동전류가 낮고,
    복수개의 상기 팬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모터의 기동전류의 합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격전류보다 높은 휴대용 공기정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을 위한 제1기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제1피드백 신호를 전송받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백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간격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기동을 위한 제2기동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1피드백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는 팬락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기동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나 알림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락 신호를 발생시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 에러코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백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간격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기동을 위한 제2기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제2피드백 신호를 전송받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2피드백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는 팬락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기동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며,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내장되는 배터리, 및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측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필터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2팬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의 토출측과 상기 필터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 및 상기 토출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인 제1방향의 가상선과 교차하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상기 필터모듈이 차지하는 영역과 상기 제1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2팬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영역이 대응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높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및 폭보다 높이가 긴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3방향으로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간격은, 0.8 내지 1.2초인 휴대용 공기정화기.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제1팬 어셈블리와 제2팬 어셈블리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되,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가 설정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상기 제1팬 어셈블리와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에 제1기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시간간격 경과 후에 복수개의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제2기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이 확인된 후 상기 제2팬 어셈블리에 제2기동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1기동신호 전송을 중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기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팬 어셈블리의 기동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2기동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제1팬 어셈블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020190018164A 2019-02-15 2019-02-15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20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164A KR102206099B1 (ko) 2019-02-15 2019-02-15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164A KR102206099B1 (ko) 2019-02-15 2019-02-15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917A true KR20200099917A (ko) 2020-08-25
KR102206099B1 KR102206099B1 (ko) 2021-01-21

Family

ID=7229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164A KR102206099B1 (ko) 2019-02-15 2019-02-15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09A (ko) * 2020-10-05 202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공기정화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08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75800Y1 (ko) * 2004-11-15 2005-03-11 주식회사 인벤트 열/습기 교환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JP2007212027A (ja) * 2006-02-08 2007-08-23 Daikin Ind Ltd ファン駆動装置及び空調機
KR20080011484A (ko) * 2006-07-31 2008-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장치
KR20140122456A (ko) * 2013-04-10 201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연 냉매 순환식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9695A (ko) * 2015-08-12 2017-02-22 손승호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아로마테라피형 가습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08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75800Y1 (ko) * 2004-11-15 2005-03-11 주식회사 인벤트 열/습기 교환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JP2007212027A (ja) * 2006-02-08 2007-08-23 Daikin Ind Ltd ファン駆動装置及び空調機
KR20080011484A (ko) * 2006-07-31 2008-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장치
KR20140122456A (ko) * 2013-04-10 201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연 냉매 순환식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9695A (ko) * 2015-08-12 2017-02-22 손승호 천연방향수를 이용한 아로마테라피형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09A (ko) * 2020-10-05 202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099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664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6640253B2 (ja) 電子機器
KR101995960B1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EP1433516A2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867084B1 (ko)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KR102206099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80063031A (ko)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EP3795053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CN111720911A (zh) 空气净化系统
KR101837760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가지는 소음 저감형 스피커 장치
EP3916315A1 (en) Portable air purifier
KR102013835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EP3712525A1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JP6004518B2 (ja) 電子機器および送風装置
KR102313375B1 (ko) 모듈형 공기청정기
KR102507739B1 (ko)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KR102184630B1 (ko) 휴대용 기기
KR102462680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207529573U (zh) 一种空气净化器演示机
KR102507738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102613479B1 (ko) 휴대용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102172414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KR20200056083A (ko)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20180074502A (ko)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풍 시스템
KR102154901B1 (ko) 스마트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