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221A -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221A
KR20200098221A KR1020190016070A KR20190016070A KR20200098221A KR 20200098221 A KR20200098221 A KR 20200098221A KR 1020190016070 A KR1020190016070 A KR 1020190016070A KR 20190016070 A KR20190016070 A KR 20190016070A KR 20200098221 A KR20200098221 A KR 2020009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constant temperature
temperature
equipment
humidity pre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균
Original Assignee
홍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균 filed Critical 홍석균
Priority to KR102019001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221A/ko
Publication of KR2020009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 장비;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사용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 상기 사용 장비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기 사용 장비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습도 센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 물 공급이 어려운 환경인 경우, 필요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공급 물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A Precision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장 라인에 배치되어 스크린 프린터 또는 테스트 기계 등의 바로 옆에 간편하게 설치를 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며, 가동하지 않은 장비에서 가동하는 장비로 손쉽게 이동을 하여 필요한 장비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를 포함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밀하고 정밀한 장비일수록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어 이들 장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여 공장을 크린룸화하는 경우가 많다.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은 대부분의 장비들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까지에도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비용 부분에서 꼭 필요한 장소나 기계장비 내부에 온도와 습도를 제공하고자 장비의 바로 옆에 배치가 가능하고, 실험 장비와 같은 경우, 사용하지 않은 장비에서 필요한 실험 장비로 바로 이동이 가능하게 바퀴와 같은 이동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었으며, 또한 장비의 운영을 위한 전원 공급은 일반 콘센트(단상, 220V)에서 지원이 가능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의 필요성이 있어 본 발명은 발명하게 되었다.
한편,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항온항습기의 현열냉각 및 제습냉각 제어방법이 개발되어 한국등록특허 10-1075863호로 등록된 바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자면, 키 입력부, 온도검출센서, 습도검출센서, 제어부, 가습기, 재열용 히터, 풍량 가변형 송풍팬, 열교환기 및 바이패스 댐퍼를 구비한 항온항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에서는 실내기 내의 풍량 가변형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이어 항온항습기의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의 환기온도가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환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난방모드 관련 구성품은 "오프"시키고 냉방모드 관련 구성품은 "온"시키는 단계와; 이어서 항온항습기의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습도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환기습도와 사용자의 설정습도를 상호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상호 비교 판단한 결과 현재 환기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높으면 냉방 및 제습을 위해 가습기는 "오프"시키고, 실내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도록 열교환기의 상부와 실내기 케이스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 댐퍼를 열고 풍량 가변형 송풍팬은 저풍량으로 구동시키며, 현재 환기습가가 설정습도와 같으면 현열 냉방을 위해 가습기는 "오프"시키고, 실내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바이패스 댐퍼는 닫아주며, 풍량 가변형 송풍팬은 대풍량으로 구동시키며, 현재 환기습가가 설정습도보다 낮으면 현열 냉방과 가습을 병행하기 위해 가습기는 "온"시키고, 실내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바이패스 댐퍼는 닫아주며, 풍량 가변형 송풍팬은 대풍량으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온도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의 환기온도와 사용자 설정온도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현재 환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난방모드 관련 구성품은 "온"시키는 단계와; 이어서 항온항습기의 공기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습도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환기습도가 사용자의 설정습도를 상호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환기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높으면 난방 및 제습을 위해 냉동모드 관련 구성품을 "온"시키고 가습기는 "오프"시키며, 실내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댐퍼를 열고 풍량 가변형 송풍팬은 저풍량으로 구동시키고, 현재 환기습도가 설정습도와 같으면 난방을 위해 냉동모드 관련 구성품은 "오프"시키며 가습기도 "오프"시키고, 실내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바이패스 댐퍼는 닫아주며, 풍량 가변형 송풍팬은 저풍량으로 구동시키고, 현재 환기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낮으면 난방과 가습을 병행하기 위해 냉동모드 관련 구성품은 "오프"시키며, 가습기는 "온"시키고, 실내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바이패스 댐퍼는 닫아주며, 풍량 가변형 송풍팬은 저풍량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실시하되, 상기 풍량 가변형 송풍팬의 대풍량은 현열냉방을 위한 최대풍량을 100%로 볼 때, 저풍량은 최대풍량 대비 60-70%로 하며, 각 대풍량 및 저풍량에 해당하는 회전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이 개발되어 한국등록특허 10-0939281호로 등록된 바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자면, 상면 또는 전면 상방부와 저면에 각각 실내공기 흡입구와 냉기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의 내,외부에 키입력부, 실내온도검출센서, 외기온도검출센서, 환기온도검출센서, 공급설정온도검출센서, 습도검출센서, 제어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가습기, 송풍팬 및 히터를 구비한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에 1개 또는 수개의 배기팬과 외기 댐퍼, 배기 댐퍼 및 환기 댐퍼를 구비하고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그 구동이 제어되는 외기도입 유니트를 부가 설치하고, 사용자에 의해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제어부에서 외기온도와 공급설정온도 및 환기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 외기온도가 공급설정온도 또는 환기온도보다 높으면 배기 및 외기 댐퍼를 닫고 환기 댐퍼만 열어 실내공기만 본체의 내부로 흡입시켜 실내로 순환시켜 주는 항온항습을 실시하고, 외기온도가 공급설정온도보다는 높으나 환기온도보다는 낮으면 모든 댐퍼를 열어 실내공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나머지 일부는 흡입되는 외기에 혼합하여 본체의 내부로 흡입시켜 실내로 순환시켜 주는 항온항습을 실시하되, 외기온도가 공급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더워진 실내공기는 외부로 모두 배출시키고 외부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흡입시켜 실내로 순환시켜 주는 항온항습을 실시하도록 하되, 상기 외기도입 유니트는, 일측면에 실외로 연결되는 배기덕트가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하부 함체와 연통되는 수개의 공기 유통공이 천공된 상부 함체와; 상기 상부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구동 개수가 달리 작동되거나 회전수가 제어되는 형태로 작동되며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1개 또는 수개의 배기팬과; 양측면에 각각 실내,외로 연결된 외기 흡입 덕트와 내기 흡입 덕트가 설치되고 상,하면은 각각 상부 함체 및 본체와 연통되며, 4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는 제 1 내지 제 4 격벽이 "X" 자 형상으로 설치된 하부 함체와; 상기 하부 함체 내의 제 1 및 제 2 격벽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댐퍼 모터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되며 실내공기의 배출 및 외부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는 배기 및 외기 댐퍼와; 상기 하부 함체 내의 제 4 격벽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댐퍼 모터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되며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량을 제어하는 환기 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출원들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으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이 없었다.
KR 10-1075863 B1 KR 10-0939281 B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고정식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필요한 장비로 이동하여 효율적인 사용을 지원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비의 이동시에도 별도의 배선 또는 배관 작업 없이도 기존의 배선(일반 콘센트)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용하는 장비에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무거운 덕트 작업이 아닌 손쉽게 연결을 할 수 있는 설치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고정식에서 적용하기 힘든 장비 내부별 국소의 부분에 대한 온도·습도의 측정을 하여 장비별로 최적의 온도·습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비의 소형화를 위한 풍량 및 가습 시스템의 변경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턴 공기를 이용한 온도 습도 제어를 하는 것이 아닌 장비 내부의 어느 한곳의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온도 습도 센서에 의한 새로운 제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사용 장비;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사용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 상기 사용 장비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기 사용 장비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습도 센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 물 공급이 어려운 환경인 경우, 필요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공급 물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는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맨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가 생성한 온도와 습도를 배출하는 급기 연결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를 하는 장비 제어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발생한 공기를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전달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 장비에 공기를 전달하는 공급 팬;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공기압에 의하여 물을 분사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수분무 공급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열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코일;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외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냉매 시스템 중 기체를 액체로 응축하고 조절하는 콘덴서 코일;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냉매 시스템의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과 열 교환 기능을 하는 콘덴서 팬;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저온 저압의 냉매 가스를 흡입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배출하는 장비로, 더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하는 콤프레샤;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와 수분무 가습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결로수를 포집하여 배수하는 배수 펌프;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와 수분무 가습에서 생기는 결로수를 모아두는 기능을 하는 배수 물통;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맨 밑쪽에 구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 시에는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위치의 수평을 맞추고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미동을 방지하는 이동·고정 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장비의 내부에는 온도습도 요구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 장비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사용 장비가 요구하는 온도와 습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연결 배관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습도 센서가 상기 온도습도 요구공간에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상기 장비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습도 센서 연결선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급 물통을 받쳐 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공급 물통의 크기에 따라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사용 장비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공급물통 거치대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급 물통을 상기 사용 장비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위치에 따라 자리 배치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물통 연결 호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비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설정 값에 의하여 자동으로 장비를 작동하는 컨트롤러 기능을 갖고 있으며, 페이퍼레스(paperless) 레코더 기능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이동·고정 틀을 이용하여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를 손쉽게 이동시켜 상기 사용 장비가 있는 공간에 간단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이동시, 별도의 배관 작업 없이도 상기 사용 장비의 흡입 연결부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급기 연결부에 연결 배관을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습도에 대한 물의 공급 방식을 증기 방식이 아닌 수분무 분사 방식을 이용하여 물의 습도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장비의 조건은 상기 장비 제어부에 설치된 화면을 이용하여 손쉽게 설정되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장비 제어부를 통하여 자동제어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필요한 물을 손쉽게 보충하기 위하여 낮게 이동이 가능한 상기 공급 물통을 이용하여 물을 보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수분무 분사 방식으로 상기 사용 장비에 습도와 온도를 자동 제어 방식으로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용자가 꼭 필요한 장비에 정온·정습을 제공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장에 꼭 크린룸을 만드는 불필요한 지출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의 요구조건에 맞게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제공하고 장비의 미작동 시에는 다른 장비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이용 장비가 더욱 더 세밀하고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장비별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 일반적인 콘센트 전원을 이용하여 운전이 가능하고 온도와 습도 제공이 가능하며, 실외기가 필요 없는 일체형 장비이며 적은 풍량이 필요한 곳에 적합한 장비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작동 흐름(자동 물 보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작동 흐름(수동 물 보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 장비(200)가 작동 시에 장비의 최적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장비가 요구하는 정온·정습을 공급하는 발명이다. 또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 (100)가 사용 장비(2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며,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도 기존의 220V의 콘센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항온·항습 장비의 설치 시에 별도의 배선 배관의 작업 없이도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와 사용 장비(200)를 손쉽게 연결시키는 연결 배관(210)을 통해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와 사용 장비(200)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이용된다.
도 2에서처럼,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급기 연결부(102)와 사용 장비(200)의 흡입 연결부(202)를 연결 배관(210)으로 연결 후, 사용 장비(200)의 온도습도 요구공간(201)에 온도 습도 센서(220)를 설치한다. 사용 장비(200)의 온도습도 요구공간(201)이 요구하는 온도와 습도의 조건을 장비 제어부(101)에 입력한다. 이후, 사용 장비(200)의 작동과 동시에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가 온(ON)되어 작동을 시작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사용 장비(200);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사용 장비(200)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 상기 사용 장비(200)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210); 상기 사용 장비(200)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습도 센서( 220);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 물 공급이 어려운 환경인 경우, 필요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공급 물통(230)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는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맨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가 생성한 온도와 습도를 배출하는 급기 연결부(1 02);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를 하는 장비 제어부(101);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발생한 공기를 연결 배관(210)을 통하여 전달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 장비(200)에 공기를 전달하는 공급 팬(1 03);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공기압에 의하여 물을 분사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수분무 공급기(104);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열기(105);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코일(106);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 (100)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외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냉매 시스템 중 기체를 액체로 응축하고 조절하는 콘덴서 코일(107);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냉매 시스템의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과 열 교환 기능을 하는 콘덴서 팬(108);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저온 저압의 냉매 가스를 흡입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배출하는 장비로, 더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하는 콤프레샤(109);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와 수분무 가습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결로수를 포집하여 배수하는 배수 펌프(110);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와 수분무 가습에서 생기는 결로수를 모아두는 기능을 하는 배수 물통(110-1);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맨 밑쪽에 구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 시에는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위치의 수평을 맞추고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미동을 방지하는 이동·고정 틀(111)을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구성은 크게 5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맨 위쪽에는 급기 연결부(102)가 구성되어 있으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가 생성한 온도와 습도를 배출한다.
②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상부에는 장비 제어부(101)와 공급 팬(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비 제어부(101)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를 하고 있으며, 이때 발생한 공기를 연결 배관(210)을 통하여 전달이 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팬(103)이 작동하여 상기 사용 장비(200)에 공기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장비 제어부(101)는 사전에 설정된 설정 값에 의하여 자동으로 장비를 작동하는 컨트롤러 기능을 갖고 있으며, 페이퍼레스(paperless) 레코더 기능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내장하고 있다.
③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중간에는 수분무 공급기(104)와 전열기(105) 그리고 냉각 코일(10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분무 공급기(104)는 공기압에 의하여 물을 분사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상기 전열기( 105)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냉각 코일(106)은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한다.
④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하부에는 콘덴서 코일(107), 콘덴서 팬(108), 콤프레샤(109), 배수 펌프(1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 코일(1 07)은 실외기 기능을 하는 것으로, 냉매 시스템 중 기체를 액체로 응축하고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상기 콘덴서 팬(108)은 냉매 시스템의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과 열 교환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콤프레샤(109)는 저온 저압의 냉매 가스를 흡입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배출하는 장비로, 더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배수 펌프(110)는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와 수분무 가습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결로수를 포집하여 배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구간에서는 본체의 중단에서 습도와 온도의 조절을 할 수 있게 장비의 보안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상기 배수 펌프(110)에 의한 응축수 배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장비 내부에 물통을 설치하여 응축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통의 상위 레벨 경고를 통하여 인지하고 수동적인 방법으로 배출한다.
⑤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본체의 맨 밑쪽에는 이동·고정 틀(1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고정 틀(111)은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 시에는 고정 틀을 이용하여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위치의 수평을 맞추고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미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장비(200)의 내부에는 온도습도 요구공간(20 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은 정온·정습의 유지를 필요로 하는 사용 장비(20 0)의 주요 작업 공간이다.
또한, 상기 사용 장비(200)의 상부에는 흡입 연결부(202)가 구성되며, 상기 흡입 연결부(202)는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이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서 공급된 공기는 사용 장비(2 00)가 요구하는 온도와 습도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온도 습도 센서(220)는 온도습도 요구공간(201)에서의 공기의 흐름이나 기류가 적정한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 장비(200)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온도습도 센서 연결선(221)을 통하여 장비 제어부(101)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온도습도 센서 연결선(221)은 상기 연결 배관(210)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습도 센서(220)가 상기 온도습도 요구공간(201)에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장비 제어부(101)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물통(230)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 물 공급이 어려운 환경인 경우, 필요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통을 공급물통 거치대(231)에 놓고 물통 연결 호스(232)를 통하여 제공하는 물 보관 통이다.
또한, 공급물통 거치대(231)는 상기 공급 물통(230)을 받쳐 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공급 물통(230)의 크기에 따라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사용 장비 (200)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물통 연결 호스(232)는 상기 공급 물통(230)을 상기 사용 장비(200)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위치에 따라 자리 배치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고정 틀(111)을 이용하여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를 손쉽게 이동시켜 상기 사용 장비(200)가 있는 공간에 간단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이동시, 별도의 배관 작업 없이도 상기 사용 장비(200)의 흡입 연결부(202)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의 급기 연결부(102)에 연결 배관(210)을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습도에 대한 물의 공급 방식을 증기 방식이 아닌 수분무 분사 방식을 이용하여 물의 습도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장비 제어부 (101)에 설치된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장비(200)의 조건을 손쉽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장비 제어부(101)를 통하여 자동제어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서 필요한 물을 손쉽게 보충하기 위하여 낮게 이동이 가능한 상기 공급 물통(230)을 이용하여 물을 보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서 수분무 분사 방식으로 상기 사용 장비(200)에 습도와 온도를 자동 제어 방식으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작동 흐름(자동 물 보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장비 제어부(101)가 작동을 시작한다. 그런 다음, 공급 팬(103)과 콤프레샤(109)는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후, 상기 사용 장비(200)에 설치된 상기 온도 습도 센서(220)를 통하여 측정한 데이터 값을 상기 장비 제어부(101)에서 실내온도 및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전열기(105)에 대한 작동 여부를 지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사용 장비(200)에 설치된 상기 온도 습도 센서(220)를 통하여 측정한 데이터 값을 상기 장비 제어부(101)에서 실내습도 및 설정습도와 비교하여 수분무 공급기(104)에 대한 작동 여부를 지시한다.
그런 다음, 압축기가 필요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콤프레샤(109)의 작동 여부를 상기 장비 제어부(101)에서 지시한다.
그런 다음, 냉각 코일(106), 콘덴서 팬(108), 콤프레샤(109)등을 작동 시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발생하여 결로수로 포집되면 배수 펌프(110)를 작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작동 흐름(수동 물 보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장비 제어부(101)가 작동을 시작한다.
그 다음으로, 공급 팬(103)과 콤프레샤(109)가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사용 장비(200)에 설치한 온도 습도 센서(220)를 통하여 측정한 데이터 값을 상기 장비 제어부(101)에서 실내온도 및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전열기 (105)에 대한 작동 여부를 지시한다.
그런 다음, 사용 장비(200)에 설치한 온도 습도 센서(220)를 통하여 측정한 데이터 값을 상기 장비 제어부(101)에서 실내습도 및 설정 습도와 비교하여 수분무 공급기(104)에 대한 작동 여부를 지시한다.
그런 다음, 압축기가 필요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콤프레샤(109)의 작동 여부를 상기 장비 제어부(101)에서 지시한다.
그런 다음, 냉각 코일(106), 콘덴서 팬(108), 콤프레샤(109)등을 작동 시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발생하여 결로수를 포집되면 배수 펌프(110)를 작동시킨다.
그런 다음, 공급 물통(230)이 충만한 상태에서 일정 수준의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물 보충이 필요한 것을 알려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 101 : 장비 제어부
102 : 급기연결부 103 : 공급 팬
104 : 수분무 공급기 105 : 전열기
106 : 냉각 코일 107 : 콘덴서 코일
108 : 콘덴서 팬 109 : 콤프레샤
110 : 배수 펌프 110-1 : 배수 물통
111 : 이동·고정틀
200 : 사용 장비 201 : 온도습도 요구공간
202 : 흡입 연결부 210 : 연결 배관
220 : 온도습도 센서 221 : 온도습도 센서 연결선
230 : 공급 물통 231 : 공급물통 거치대
232 : 물통 연결 호스

Claims (16)

  1. 사용 장비;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사용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
    상기 사용 장비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기 사용 장비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습도 센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 물 공급이 어려운 환경인 경우, 필요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공급 물통;
    을 포함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는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맨 위쪽에 형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가 생성한 온도와 습도를 배출하는 급기 연결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를 하는 장비 제어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발생한 공기를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전달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 장비에 공기를 전달하는 공급 팬;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공기압에 의하여 물을 분사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수분무 공급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열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코일;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외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냉매 시스템 중 기체를 액체로 응축하고 조절하는 콘덴서 코일;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냉매 시스템의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과 열 교환 기능을 하는 콘덴서 팬;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저온 저압의 냉매 가스를 흡입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배출하는 장비로, 더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하는 콤프레샤;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와 수분무 가습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결로수를 포집하여 배수하는 배수 펌프;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와 수분무 가습에서 생기는 결로수를 모아두는 기능을 하는 배수 물통;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본체의 맨 밑쪽에 구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 시에는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위치의 수평을 맞추고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미동을 방지하는 이동·고정 틀;
    을 포함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장비의 내부에는 온도습도 요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장비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사용 장비가 요구하는 온도와 습도를 갖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습도 센서가 상기 온도습도 요구공간에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상기 장비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습도 센서 연결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물통을 받쳐 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공급 물통의 크기에 따라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사용 장비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공급물통 거치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물통을 상기 사용 장비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위치에 따라 자리 배치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물통 연결 호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설정 값에 의하여 자동으로 장비를 작동하는 컨트롤러 기능을 갖고 있으며, 페이퍼레스(paperless) 레코더 기능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내장하고 있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 틀을 이용하여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를 손쉽게 이동 시켜 상기 사용 장비가 있는 공간에 간단하게 설치가 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11.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이동시, 별도의 배관 작업 없이도 상기 사용 장비의 상기 흡입 연결부와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의 상기 급기 연결부에 상기 연결 배관을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습도에 대한 물의 공급 방식을 증기 방식이 아닌 수분무 분사 방식을 이용하여 물의 습도를 조절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장비의 조건은 상기 장비 제어부에 설치된 화면을 이용하여 손쉽게 설정되어 사용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제어부를 통하여 자동제어 방식으로 운영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필요한 물을 손쉽게 보충하기 위하여 낮게 이동이 가능한 상기 공급 물통을 이용하여 물을 보충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정습 정밀 제어기에서 수분무 분사 방식으로 상기 사용 장비에 습도와 온도를 자동 제어 방식으로 제공하는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KR1020190016070A 2019-02-12 2019-02-12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KR20200098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70A KR20200098221A (ko) 2019-02-12 2019-02-12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70A KR20200098221A (ko) 2019-02-12 2019-02-12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21A true KR20200098221A (ko) 2020-08-20

Family

ID=7229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070A KR20200098221A (ko) 2019-02-12 2019-02-12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2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706B1 (ko) 2021-01-20 2022-05-06 주식회사 굿스굿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81B1 (ko) 2009-06-19 2010-01-28 주식회사 에이알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75863B1 (ko) 2011-06-03 2011-10-25 주식회사 에이알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항온항습기의 현열냉각 및 제습냉각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81B1 (ko) 2009-06-19 2010-01-28 주식회사 에이알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75863B1 (ko) 2011-06-03 2011-10-25 주식회사 에이알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항온항습기의 현열냉각 및 제습냉각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706B1 (ko) 2021-01-20 2022-05-06 주식회사 굿스굿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9137B (zh) 一种机房的制冷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8539788B2 (en)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6369718A (zh) 用于数据中心的模块化节能制冷装置
CN207123040U (zh) 一种动物房双风机式空调智能控制系统
CN208170612U (zh) 一种加湿装置
JP7285410B2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KR101549691B1 (ko) 응축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 항습기
CN109539440A (zh) 新风再热型热泵热回收空调机组
US2004019448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method
CN102444949A (zh) 冷却水干式空调箱、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211041265U (zh) 一种节能的恒温恒湿系统
JP2008145094A (ja) 換気空調装置
CN111811037A (zh) 通风加湿系统、空调系统及空调系统控制方法
CN101153731B (zh) 传热交换器及其控制方法
KR20200098221A (ko) 정온·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
KR20170089049A (ko) 에어컨장치
CN107289563A (zh) 再热型热泵热回收空调机组
CN209588310U (zh) 一种变风量全屋健康舒适空气管理系统
JP3008941B1 (ja) 調湿換気装置
US2002008823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211146774U (zh) 一种能同时调节温度和湿度的恒温恒湿系统
CN208952240U (zh) 一种超薄风管式精密恒温恒湿节能空调装置
CN206973767U (zh) 加湿系统和包括该加湿系统的屋顶机
KR200407844Y1 (ko) 천정형 항온항습장치
CN207299324U (zh) 再热型热泵热回收空调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