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774A -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 Google Patents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774A
KR20200097774A KR1020207020081A KR20207020081A KR20200097774A KR 20200097774 A KR20200097774 A KR 20200097774A KR 1020207020081 A KR1020207020081 A KR 1020207020081A KR 20207020081 A KR20207020081 A KR 20207020081A KR 20200097774 A KR20200097774 A KR 20200097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wder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nductive
powd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9847B1 (en
Inventor
유이치로 사고
주지 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8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도전성 분말과 감광성 유기 성분을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근거하는 체적 기준의 D50 입경이 1~5μm이며, 이하의 2 종류: (1) 열중량분석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0.1 질량% 이하인, 제1 도전성 분말; (2) 표면에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부착하고 있고, 열중량분석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적어도 0.5 질량%인, 제2 도전성 분말;의 성분의 합계가, 상기 도전성 분말의 전체를 100 질량%로 했을 때에, 90 질량% 이상을 차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owder and a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is provided. The conductive powder has a volume-based D 50 particle diameter of 1 to 5 μm based on a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and the following two types: (1) The first conductivity in which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based 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is 0.1 mass% or less. powder; (2) The sum of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wherein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is adhered to the surface and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based 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is at least 0.5% by mass; the total of the conductive powder is 100% by mass. When it does, it occupies 90 mass% or more.

Description

감광성 조성물과 그의 이용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본 발명은, 감광성 조성물과 그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덧붙여, 본 출원은, 2017년 12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7-23946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그 출원의 전(全)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 하여서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239464 for which it applied on December 14, 2017,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

인덕터 등의 전자 부품의 제조에서는, 도전성 분말과 감광성 유기 성분을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소위, 포토리소그래픽법으로 도전층을 형성하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5 참조). 관련된 방법에서는, 우선, 인쇄법 등으로 감광성 조성물을 기재 상에 부여하고, 건조시켜, 막상체를 성형한다. 다음에, 상기 성형한 막상체에,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지는 포토마스크를 씌우고, 포토마스크를 통해서 막상체를 노광한다. 이것에 의해서, 노광된 막상체 부분이 광경화된다. 다음에, 포토마스크로 차광되어 있던 미경화의 막상체 부분을, 에칭액으로 부식 세정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이것을 소성하는 것에 의해서, 원하는 형상으로 패터닝된 도전층을 형성(인화)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각종 인쇄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미세한 패턴의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inductors, a method of forming a conductive layer by a so-called photolithographic method us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onductive powder and a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is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5). ). In the related method, first,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is applied on a substrate by a printing method or the like, and dried to form a film-like body. Next, the formed film-like body is covered with a photomask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the film-like body is exposed through the photomask. Thereby, the exposed film-like body part is photocured. Next, the portion of the uncured film-like body that has been shielded from light with the photomask is removed by corrosion cleaning with an etching solution. Then, by firing this, a conductive layer patterned into a desired shape is formed (printed). According to this method, a conductive layer having a fine pattern can be formed as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various conventional printing methods.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 5163687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5163687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2015/122345호 팜플렛Patent Document 2: Pamphlet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5/122345 특허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16-138310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6-138310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제 5352768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No. 5352768 특허문헌 5: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06-193795호 공보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193795

그런데 근래, 각종 전자기기의 소형화나 고성능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자기기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에 있어서도 한층 더 소형화나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것에 동반하여, 전자 부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도전층의 저-저항화와 함께 세선화(협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전층을 구성하는 배선의 폭(라인폭)이 30μm 이하, 추가로는 20μm 이하의 파인 라인의 도전층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miniaturiz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rapidly progressing, and further miniaturization and higher density are required for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in electronic devices. Along with this, in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reduction in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inning (narrowing) are required. For example, it is required to form a fine line conductive layer having a width (line width) of 30 µm or less and further 20 µm or less of the wiring constituting the conductive layer.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하면, 도전층을 고해상도로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일례로서, 라인폭에 굵어짐이 생기는 등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세선상(狀)의 배선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배선 패턴을 형성할 때, 도 2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배선끼리의 간극 부분(스페이스)에 에칭으로 다 제거할 수 없었던 잔사물(이하, 「선간 잔사」라고 한다.)이 여기저기에 잔존하는 일이 있었다. 이것에 의해, 터널 효과에 의해서 누설 전류가 생기거나, 배선 사이가 연결되어 쇼트 불량을 일으키거나 하는 일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study of the present inventors, it was difficult to form a conductive layer with high resolution whe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describ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was used. As an example, it was difficult to stably form a thin wire by making the line width thicker or the like.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when forming a wiring pattern, 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of FIG. 2, residues that could not be completely removed by etching in the gaps (spaces) between adjacent wir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line residues'' There was a thing that remained here and there. As a result, a leakage current may occur due to the tunnel effect, or a short circuit failure may occur due to a connection between wirings.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선간 잔사가 적은 파인 라인의 도전층을 고해상도로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관련하는 다른 목적은, 이러한 감광성 조성물의 건조체로 이루어지는 도전막을 구비하는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관련하는 다른 목적은, 이러한 감광성 조성물의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 fine line conductive layer with few interline residues with high resolution. Further, another object related is to provide a composite including a conductive film made of a dried product of such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In addition, another object related is to provide an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a conductive layer made of a fired body of such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에 의해, 도전성 분말과 감광성 유기 성분을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근거하는 체적 기준의 D50 입경이 1μm 이상 5μm 이하이며, 또한, 이하의 2 종류: (1) 열중량분석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0.1 질량% 이하인, 제1 도전성 분말; (2) 표면에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부착하고 있고, 열중량분석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적어도 0.5 질량%인, 제2 도전성 분말;의 성분의 합계가, 상기 도전성 분말의 전체를 100 질량%로 했을 때에, 90 질량% 이상을 차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owder and a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is provided. The conductive powder has a volume-based D 50 particle diameter of 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based on a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and the following two types: (1)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based 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is 0.1 mass% or less, First conductive powder; (2) The sum of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wherein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is adhered to the surface and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based 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is at least 0.5% by mass; the total of the conductive powder is 100% by mass. When it does, it occupies 90 mass% or more.

상기 감광성 조성물에서는, 유기 성분량이 다른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이 도전성 분말 중에 혼재하고,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의 합계가 도전성 분말 전체의 90 질량%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을 병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이것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파인 라인의 도전층을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성 분말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선간 잔사가 잔존하기 어려워져, 배선 사이에 안정하게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누설 전류를 저감함과 동시에 쇼트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효과와 함께, 해상도 높은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having different amounts of organic components are mixed in the conductive powder, and the total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accounts for 90% by mass or more of the total conductive powder. By using the first electro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electroconductive powder together in this way, for example,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se individually, it is possible to form a fine line conductive layer stabl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contains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it is difficult for the interline residue to remain, and a space can be stably secured between the wiring lin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akage current and suppress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failure. In addition to the above effects, a high-resolution conductive layer can be formed.

여기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상기 도전성 분말이, 은계 입자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코스트와 저-저항과의 밸런스가 뛰어난 도전층을 실현할 수 있다.In a preferred aspect disclosed herein, the conductive powder contains silver particles. Thereby, a conductive layer excellent in balance between cost and low resistance can be realized.

여기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상기 제 1 도전성 분말과 상기 제 2 도전성 분말의 질량 비율이, 제1 도전성 분말:제2 도전성 분말=85:15~20:80이다. 이것에 의해,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한층 높은 레벨로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인 라인화가 한층 진보한 도전층으로서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disclosed herein, the mass ratio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the first conductive powder: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 85:15 to 20:80. Thereby, the effect of the technique disclosed here can be exhibited at a higher level. For example, even as a conductive layer with a further advanced fine line formation, it can be formed with high precision.

여기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상기 제 1 도전성 분말이, 코어가 되는 금속 재료와 상기 코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 코어 쉘 입자이다. 이것에 의해, 감광성 조성물 중에서의 도전성 분말의 안정성을 보다 좋게 향상함과 동시에, 고내구성인 도전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기재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세라믹 전자 부품을 제조하는 용도에서는, 세라믹 기재와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disclosed herein, the first conductive powder is a core shell particle comprising a metal material serving as a core and a ceramic material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re. Thereby, the stability of the electroconductive powder 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n be improved better and a highly durable conductive layer can be realized. In addition, for example, in an application in which a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is manufactured by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a ceramic substrate, the integrity with the ceramic substrate can be improved.

여기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JIS Z 8781: 2013년에 근거하는 L*a*b*표 색계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의 명도 L*가, 50 이상이다. 이것에 의해, 노광시에 미경화의 도전막의 심부까지 안정하게 광이 도달하게 되어, 후막상의 도전층도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 the L * a * b * color system based on JIS Z 8781:2013, the brightness L * of the conductive powder is 50 or more. As a result, light stably reaches the deep portion of the uncured conductive film during exposure, and the thick conductive layer can be stably realized.

여기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비점이 150℃ 이상 250℃ 이하의 유기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감광성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나 도전막 형성시의 취급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인쇄 후의 건조 온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disclosed here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C or more and 250°C or less is further included. Thereby,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the handling property at the time of forming a conductive film can be improved, and the drying temperature after printing can be suppressed low.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그린 시트와, 상기 그린 시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감광성 조성물의 건조체로 이루어지는 도전막을 구비하는, 복합체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e comprising a green sheet and a conductive film disposed on the green sheet and formed of a dried bod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감광성 조성물의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이 제공된다. 상기 감광성 조성물에 의하면, 선간 잔사가 적은 파인 라인의 도전층을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형 및/또는 고밀도인 도전층을 구비한 전자 부품을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component provided with a conductive layer made of a fired bod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realize a fine line conductive layer with few interline residues.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itably realize an electronic component provided with a small and/or high-density conductive layer.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감광성 조성물을 기재 상에 부여하고, 광경화 및 에칭 처리를 수행한 후, 소성하고, 상기 감광성 조성물의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형 및/또는 고밀도인 도전층을 구비한 전자 부품을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a step of apply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on a substrate, performing photocuring and etching treatment, and then firing, and forming a conductive layer made of a fired bod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 manufacturing method is provided. According to such a manufactu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suitably manufacture an electronic component provided with a small and/or high-density conductive layer.

[도 1] 도 1은,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적층칩 인덕터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선간 잔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multilayer chip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interline residue.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예를 들면 감광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도전성 분말)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예를 들면 감광성 조성물의 조제 방법, 도전막이나 도전층의 형성 방법,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등)은, 본 명세서에 의해 교시되어 있는 기술 내용과, 해당 분야에 있어서 당업자의 일반적인 기술 상식에 근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해당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근거하여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matters other than matter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example, conductive powder contained 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tter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the conductive film or the conductive layer The formation metho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component, etc.) can be understood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 taught by this specification and the general technical common sense of those skilled in the relevant fiel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전성 조성물을,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비점 이하의 온도(대략 200℃ 이하, 예를 들면 100℃ 이하)에서 건조한 막상체(건조물)를 「도전막」이라고 한다. 도전막은, 미소성(소성 전)의 막상체 전반을 포함한다. 도전막은, 광경화전의 미경화물이어도 되고, 광경화 후의 경화물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전성 조성물을, 도전성 분말의 소결 온도 이상에서 소성한 소결물(소성물)를 「도전층」이라고 한다. 도전층은, 배선(선상체)과, 배선 패턴과, 베타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A~B」의 표기는, A 이상 B 이하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film-like body (dried product) dried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lower than the boiling point of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pproximately 200°C or lower, for example 100°C or lower) is referred to as a "conductive film". The conductive film includes the entire unbaked (before firing) film-like body. The conductive film may be an uncured product before photocuring or a cured product after photocur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intered product (fired product) obtained by firing the conductive composition at a sintering temperature of the conductive powder or higher is referred to as a "conductive layer".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wiring (line body), a wiring pattern, and a solid patter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notation of "A to B" showing a range means A or more and B or less.

≪감광성 조성물≫≪Photosensitive composition≫

여기에 개시되는 감광성 조성물은, 필수의 성분으로서, 도전성 분말과 감광성 유기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 성분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contains a conductive powder and a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as essential components.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order.

<도전성 분말><Conductive powder>

도전성 분말은, 감광성 조성물을 소성하여 얻을 수 있는 도전층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도전성 분말은, 적어도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이다. 그리고,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과의 합계가, 도전성 분말의 전체를 100 질량%로 했을 때에, 90 질량%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파인 라인의 도전층을 고해상도로 형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owder is a component that imparts electrical conductivity to a conductive layer obtained by fir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n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the conductive powder is a mixed powder containing at least a first conductive powder and a second conductive powder. And, when the total of the 1st electroconductive powder and the 2nd electroconductive powder is 100 mass %, it occupies 90 mass% or more. Thereby, a fine line conductive layer can be formed with high resolution.

도전성 분말은,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것들 이외의 도전성 분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더욱 높은 레벨로 발휘하는 관점에서는,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의 합계가, 도전성 분말 전체의 9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powder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or may contain conductive powders other than those. From the viewpoint of exerting the effec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t a higher level, the total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preferably 95%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8% by mass or more of the total conductive powder. .

제1 도전성 분말은, 유기 성분량이 낮게 억제되어 있는 도전성 분말이다. 도전성 분말에 포함되는 유기 성분은, 주로, 도전성 분말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유기 표면 피복제나, 도전성 분말의 제조에 사용된 잔류 유기 성분, 예를 들면 유기용제에 유래한다. 덧붙여, 유기 표면 피복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2 도전성 분말의 란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first conductive powder is a conductive powder in which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is kept low. The organic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nductive powder is mainly derived from an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powder, or a residual organic compon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conductive powder,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In addition, about the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it demonstrates in detail in the column of 2nd electroconductive powder mentioned later.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분말은, 유기 성분량이 0.1 질량% 이하다. 제1 도전성 분말은, 유기 성분량이 0.1 질량% 이하인 것 이외,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유기 성분량이 억제된 제1 도전성 분말을 도전성 분말에 포함하는 것으로써, 도전막의 내에칭성을 향상할 수 있고, 경화시킨 도전막 부분을 에칭 처리 후에 있어서도 적절히 기재 상에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전막이 박리하거나, 배선이 너무 가늘어 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는, 제1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량이, 예를 들면 0.08 질량% 이하이어도 된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here,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in the first conductive powder is 0.1% by mass or less. The first conductive pow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cept that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is 0.1% by mass or less. By including in the conductive powder the first conductive powder whose organic component amount is suppressed in this way, the etching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film can be improved, and the cured conductive film portion can be appropriately fixed on the substrate even after the etching treatment. Therefore, it can suppress that the conductive film peels or the wiring becomes too thin. From the above viewpoint,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may be, for example, 0.08% by mass or less.

제1 도전성 분말은, 의도적으로 또는 불가피적으로 유기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포함하지 않아도(검출 하한치 이하이어도) 된다. 제1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량은, 대략 0.01 질량% 이상, 예를 들면 0.03 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도전성 분말은, 표면에 유기 표면 피복제가 부착하고 있어도 되고, 잔류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1 도전성 분말이 유기 표면 피복제를 포함하는 경우는, 제2 도전성 분말의 유기 표면 피복제와 동종의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1st electroconductive powder may or may not contain an organic component intentionally or inevitably (it may be less than a detection lower limit).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may be approximately 0.01% by mass or more, for example, 0.03% by mass or more. In other words, the first conductive powder may have an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adhered to the surface or may contain a residual solvent. When the first conductive powder contains an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the same kind as the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기 성분량」이란, 하기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질량 감쇠율을 말한다. 즉, 우선, 측정용 시료로서, 소정량의 도전성 분말을 칭량하고, 열중량 측정 장치(TG)를 이용하여, 이 측정용 시료를, 대기 분위기에 있어서, 승온 속도 10℃/분으로, 실온(25℃)으로부터 600℃까지 가열한다. 그리고, 다음의 식: 유기 성분량(%)=[(가열 전의 질량)-(600℃까지 가열 후의 질량)]/(가열 전의 질량)Х100;으로 가열 전후의 질량 변화(질량 감쇠율)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구해진 질량 감쇠율을, 유기 성분량이라고 한다. 단위는 질량%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means the mass decay rat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That is, first, as a sample for measurement,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ductive powder is weighed, and the sample for measurement is subjected to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0°C/min in an air atmosphere at room temperature ( 25°C) to 600°C. Then, the mass change (mass decay rate) before and after heating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 = [(mass before heating)-(mass after heating to 600°C)]/(mass before heating) Х100; The mass decay rate thus obtained is referred to as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The unit is mass%.

제2 도전성 분말은, 제1 도전성 분말에 비하여 유기 성분량이 많은 도전성 분말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제2 도전성 분말의 표면에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부착하고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은, 유기 표면 피복제이다. 제2 도전성 분말은, 유기 성분량이 적어도 0.5 질량%이다. 제2 도전성 분말은, 표면에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부착하고 있고, 또한, 유기 성분량이 적어도 0.5 질량%인 것 이외,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도전성 분말을 도전성 분말 중에 포함하는 것으로써, 에칭 처리 시에 미경화 부분의 박리성을 향상하고, 배선이 너무 굵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선 간의 스페이스 부분에 선간 잔사가 잔존하기 어려워져, 배선 사이에 안정하게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누설 전류를 저감하면서 쇼트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a conductive powder having a larger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than the first conductive powd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is an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In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is at least 0.5% by mass.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cept that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has adhered to the surface and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is at least 0.5% by mass. By including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n the conductive powder, the peelability of the uncured portion can be improved during the etching treatment, and the wiring can be suppressed from becoming too thick.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interline residue to remain in the space between the interconnections, and a space can be stably secured between the interconnec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failure while reducing the leakage current.

상기 관점에서는, 제2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량이, 0.7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8 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량의 상한은, 시판의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량의 범위를 감안하면, 대략 2 질량% 이하이다. 제2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량의 상한은, 도전층의 치밀화나 저-저항화의 관점으로부터, 1.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rom the above viewpoint,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preferably 0.7% by mass or more, preferably 0.75% by mass or more, and may be, for example, 0.8% by mass or more. Further,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approximately 2% by mass or less in view of the range of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onductive powder.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in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preferably 1.5%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 by mas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densification and low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ayer.

제2 도전성 분말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은, 도전성 분말의 안정성이나 보존성을 향상하는 유기 표면 피복제이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면 된다. 일 적합예로서 하기 (1)로 나타내는 1H-벤조트리아졸의 구조 부분, 또는, 그 호변 이성체인 2H-벤조트리아졸의 구조 부분을, 1개 또는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an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that improves the sta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the conductive powder.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may be a compound having a benzotriazole skeleton. As a suitable example, a compound having one or two or more structural moieties of 1H-benzotriazol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1) or a structural moiety of 2H-benzotriazole, which is its tautomer, is mentione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1H-벤조트리아졸, 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n-옥톡시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 벤조트리아졸, 2-히드록시-4-(2-히드록시-3-메트아크릴옥시) 프로폭시벤조페논,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할로겐 원소(예를 들면 불소나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pecific examples of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1H-benzotriazole, 2H-benzotriazole, 2-(2'-hydroxy-5'-methylphenyl) benzotriazole, 2-(2'-hydroxy-3' ,5'-di-t-butylphenyl) benzotriazole, 2-(2'-hydroxy-4'-n-octoxyphenyl) benzotriazole, 2-(2'-hydroxy-5'-t -Octylphenyl) benzotriazole, 2-(2'-hydroxy-3',5'-di-t-amylphenyl) benzotriazole, 2-hydroxy-4-(2-hydroxy-3-meth) Acryloxy) propoxybenzophenone, 2-(2'-hydroxy-3'-t-butyl-5'-meth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hydroxy-3'-t -Butyl-5'-meth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hydroxy-3', 5'-di-t-butylphenyl)-5-chlorobenzotriazole, etc. are mentioned. . Among them, it is preferable not to contain a halogen element (for example, fluorine or chlorine).

제2 도전성 분말에 포함되는 유기 성분은, 전형적으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주체(몰비로 50 몰%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로 한다. 제2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80 몰% 이상을 차지하면 좋고, 추가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제2 도전성 분말은,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또는 불가피적으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에 더하여, 유기 표면 피복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다른 유기 표면 피복제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도전성 분말의 유기 성분량의 전체를 100 몰%로 했을 때에,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에 더하여, 다른 유기 표면 피복제를, 대략 50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의 비율로 포함해도 된다. 제2 도전성 분말은, 유기 표면 피복제로서 카르복시산 등의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한층 높은 레벨로 발휘할 수 있다. 덧붙여, 유기 표면 피복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은, 예를 들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GC-MS) 법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The organic component contained in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typically mainly made of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 component occupying 50 mol% or more in a molar ratio). As for the organic component of the 2nd conductive powder, the benzotriazole-type compound should just occupy 80 mol% or more, and should just be comprised by the benzotriazole-type compound further.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another organic surface known to be usable as an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in addition to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intentionally or inevitably,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not significantly impaired. You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agent. For example,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organic component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100 mol%, in addition to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other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s are approximately 50 mol% or less, preferably 10 mol% or less, more Preferably, you may contain it in a ratio of 5 mol%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does not contain fatty acids such as carboxylic acid as an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Thereby, the effect of the technique disclosed here can be exhibited at a higher level. In addition, that the organic surface coating agent contains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can be confirmed by, for example,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thod.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의 질량 비율은, 대략 95:5~5:95, 전형적으로는 90:10~10:90, 바람직하게는 85:15~2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20:80, 그 중에서도 60:40~40:60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한층 높은 레벨로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인 라인화가 한층 진행된 도전층으로서도, 고해상도로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성 분말을 소정치 이상의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소성시에 불타 없어지는 성분의 비율을 저감하고, 치밀성이 높고 저-저항인 도전층을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mass ratio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approximately 95:5 to 5:95, typically 90:10 to 10:90, preferably 85:15 to 20:80. , More preferably, it is 60:40 to 20:80, especially, it is good to be 60:40 to 40:60. Thereby, the effect of the technique disclosed here can be exhibited at a higher level. For example, even as a conductive layer in which fine lines have been further advanced, it can be formed with high resolution and with high precision. Further, by including the first conductive powder in a ratio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proportion of components that are burnt out during firing can be reduced, and a conductive layer having high density and low resistance can be suitably realized.

제1 도전성 분말 및 제2 도전성 분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도전성 분말 및 제2 도전성 분말로서는, 각각, 종래 공지의 것 중에서, 용도 등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적합예로서, 금(Au), 은(Ag), 구리(Cu), 백금(Pt),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루테늄(Ru), 로듐(Rh), 텅스텐(W), 이리듐(Ir), 오스뮴(Os) 등의 금속의 단체(單體), 및 이들의 혼합물이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면, 은-팔라듐(Ag-Pd), 은-백금(Ag-Pt), 은-구리(Ag-Cu) 등의 은 합금을 들 수 있다.The types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among conventionally known ones, respectively. As a suitable example, gold (Au), silver (Ag), copper (Cu), platinum (Pt), palladium (Pd), aluminum (Al), nickel (Ni), ruthenium (Ru), rhodium (Rh), Simple metals such as tungsten (W), iridium (Ir), and osmium (Os), and mixtures and alloys thereof. As an alloy, silver alloys, such as silver-palladium (Ag-Pd), silver-platinum (Ag-Pt), and silver-copper (Ag-Cu), are mentioned, for example.

적합한 일 태양에서는, 제1 도전성 분말 및/또는 제2 도전성 분말이, 은계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은은, 비교적 코스트가 싸고, 전기 전도도가 높다. 이 때문에, 은계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코스트와 저-저항의 밸런스가 뛰어난 도전층을 실현할 수 있다. 은계 입자는, 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좋다. 일례로서 은의 단체, 상기한 은 합금, 은계 입자를 코어로 하는 코어 쉘 입자 등을 들 수 있다.In one suitable aspect,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or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contain silver-based particles. Silver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For this reason, by containing silver-based particles, a conductive layer excellent in balance between cost and low-resistance can be realized. The silver-based particles may be those containing a silver component. As an example, a single substance of silver, the above-described silver alloy, and core shell particles containing silver-based particles as a core may be mentioned.

다른 적합한 일 태양에서는, 제1 도전성 분말 및/또는 제2 도전성 분말이,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코어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고, 세라믹 재료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가진다. 세라믹 재료는, 화학적 안정성이나 내열성, 내구성이 뛰어나다. 이 때문에,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의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감광성 조성물 중에서의 도전성 분말의 안정성을 보다 좋게 향상함과 동시에, 고내구성인 도전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기재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세라믹 전자 부품을 제조하는 용도에서는,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세라믹 기재와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어, 소성 후의 도전층의 박리나 단선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another suitable aspect,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or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contain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The metal-ceramic core-shell particles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and a core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ve a coating portion made of a ceramic material. Ceramic materials are excellent in chemical stability,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For this reason, by adopting the shape of the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the stability of the conductive powder 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n be better improved, and a highly durable conductive layer can be realized. In addition, for example, in applications in which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a ceramic substrate and a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is manufactured, by including the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the integrity with the ceramic substrate can be improved, and after firing Peeling and disconn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can be suitably suppressed.

그 중에서도, 유기 성분량이 적은 제1 도전성 분말이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도전성 분말이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성분량이 적은 제1 도전성 분말은, 유기 성분량이 많은 제2 도전성 분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전성 조성물 중에서의 안정성이나 보존성이 낮아지기 쉽다. 제1 도전성 분말이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유기 성분량의 낮음을 보충하고, 도전성 조성물 전체의 안정성이나 보존성을 보다 좋게 향상할 수 있다.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ductive powder with a small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contains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ductive powder is composed of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The first conductive powder having a small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tends to have relatively low sta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in the conductive composition compared to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having a larg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When the first conductive powder contains the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low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and improve the sta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the entire conductive composition.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에 있어서, 코어부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금속의 단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나 합금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술의 이유로부터 은계 입자가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도전성 분말 및/또는 제2 도전성 분말이, 은-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examples of the metal material constituting the core portion include the above-described metal alone, and mixtures and alloys thereof. Among them, silver-based particles are preferred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or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contain silver-ceramic core shell particles.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세라믹의 피복부를 구성하는 세라믹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지르코늄(지르코니아), 산화 마그네슘(마그네시아), 산화 알류미늄(알루미나), 산화 규소(실리카), 산화 티탄(티타니아), 산화 세륨(세리아), 산화 이트륨(이트리아), 티탄산바륨 등의 산화물계 재료; 코디에라이트, 멀라이트, 포르스테라이트, 스테아타이트, 시알론, 지르콘, 페라이트 등의 복합 산화물계 재료; 질화 규소(실리콘 나이트라이트), 질화 알루미늄(알루미늄 나이트라이트) 등의 질화물계 재료; 탄화 규소(실리콘 카바이드) 등의 탄화물계 재료;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등의 수산화물계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기재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세라믹 전자 부품을 제조하는 용도에서는, 세라믹 기재와 같은 혹은 친화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료가 바람직하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the ceramic material constituting the metal-ceramic covering portion include zirconium oxide (zirconia), magnesium oxide (magnesia), aluminum oxide (alumina), silicon oxide (silica), and titanium oxide (titania ), oxide-based materials such as cerium oxide (ceria), yttrium oxide (yttria), and barium titanate; Composite oxide-based materials such as cordierite, mullite, forsterite, steatite, sialon, zircon, and ferrite; Nitride-based materials such as silicon nitride (silicon nitrite) and aluminum nitride (aluminum nitrite); Carbide-based materials such as silicon carbide (silicon carbide); Hydroxide-based materials such as hydroxyapatite; And the like. For example, in the use of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a ceramic substrate and manufacturing a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 ceramic material such as a ceramic substrate or excellent in affinity is preferable.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라믹 재료의 함유 비율은, 예를 들면 코어부의 금속 재료 100 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1~5.0 질량부이어도 된다. 덧붙여,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는, 종래 공지의 수법에 따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의 선원인 일본 특허 제 5075222호의 단락 0025~00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금속 재료와, 목적의 금속 원소 가지는 유기계 금속 화합물(예를 들면 금속 알콕시드 또는 킬레이트 화합물) 혹은 산화물 졸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작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ontent ratio of the ceramic material may be, for example, 0.01 to 5.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metal material in the core part. In addition,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For example, as described in paragraphs 0025 to 0028 of Japanese Patent No. 5075222, which is the source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metal material and an organic metal compound (for example, a metal alkoxide or chelate compound) or an oxide sol having a target metal element It can be produced by making it react.

도전성 분말은, 노광 성능과의 균형에서, D50 입경이 1~5μm이다. D50 입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미경화의 도전막의 노광 성능을 향상하여, 파인 라인의 도전층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분말 및 제2 도전성 분말은, 각각, D50 입경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된다. 도전성 분말의 응집을 억제하여 도전성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관점에서는, 도전성 분말의 D50 입경이, 예를 들면, 1.5μm 이상, 2.0μm 이상이어도 된다. 도전층의 파인 라인화나 치밀화, 저-저항화를 진보시키는 관점에서는, 도전성 분말의 D50 입경이, 예를 들면, 4.5μm 이하, 4.0μm 이하이어도 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D50 입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근거하는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의 작은 쪽으로부터 적산치 50%에 상당하는 입경을 말한다.The conductive powder has a D 50 particle diameter of 1 to 5 μm in balance with exposure performance. By setting the particle diameter of D 50 in the above range, the exposure performance of the uncured conductive film can be improved, and a fine line conductive layer can be stably formed.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should have a D50 particle size within the above rang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aggregation of the conductive powder and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conductive composition, the D 50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owder may be, for example, 1.5 μm or more and 2.0 μ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fine lines, densification, and low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ayer, the particle diameter of D 50 of the conductive powder may be, for example, 4.5 μm or less and 4.0 μm or les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D 50 particle diameter" means a particl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value 50% from the smaller of the particle diameter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based on volume based on the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의 D50 입경은, 적어도 0.5μm, 전형적으로는 0.5~3.0μm, 예를 들면 1.0~2.0μm 정도 떨어져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전성 분말 전체의 입도 분포가 다봉성(多峰性)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일구체예로는, 유기 성분량이 적은 제1 도전성 분말의 D50 입경이, 대략 3~5μm, 예를 들면 3.5~4.5μm의 범위에 있고, 유기 성분량이 많은 제2 도전성 분말의 D50 입경이, 대략 1~3.5μm, 예를 들면 1.5~3μm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도전성 분말과 제2 도전성 분말의 D50 입경의 차이가 작은 경우에 비해, 도전층의 치밀성이나 충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전층의 저-저항화를 적합하게 높일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D 50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may be at least 0.5 μm, typically 0.5 to 3.0 μm, for example, about 1.0 to 2.0 μm. In other words, it is sufficient tha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entire conductive powder has multimodality. In one specific example, the particle diameter of D 50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with a small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is in the range of about 3 to 5 μm, for example, 3.5 to 4.5 μm, and the particle diameter of D 50 of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with a larg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is , About 1 to 3.5 μm, for example 1.5 to 3 μm. Thereb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le diameter of D 50 of the 1st electroconductive powder and the 2nd electroconductive powder is small, the compactness and packing property of a conductive layer can be improv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itably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ayer.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전성 분말을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의 형상은, 전형적으로는, 평균 어스펙트비(장경/단경비)가 대략 1~2인 대략 구상, 바람직하게는 1~1.5, 예를 들면 1~1.2인 구상이다. 이것에 의해, 노광 성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분말 및 제2 도전성 분말은, 각각, 평균 어스펙트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어스펙트비」란, 전자현미경으로 복수의 도전성 입자를 관찰하여, 얻어진 관찰 화상으로부터 산출되는 어스펙트비의 산술 평균치를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상」이란, 전체적으로 대략 구체(볼)로 볼 수 있는 형태인 것을 나타내고, 타원상, 다각체상, 원반 구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용어이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hap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owder is typically a roughly spherical shape having an average aspect ratio (long/short axis ratio) of about 1 to 2, preferably 1 to 1.5, for example It is a concept of 1~1.2 people. Thereby, exposure performance can be realized more stably.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may each have an average aspect ratio within the above rang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average aspect ratio" refers to the arithmetic average value of the aspect ratio calculated from the observation image obtained by observing a plurality of electroconductive particles with an electron microscope.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pherical shape" refers to a form that can be viewed as a generally spherical (ball) as a whole, and is a term that can include an elliptical shape, a polygonal shape, a disk spherical shape, and the like.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전성 분말의 전체는, JIS Z 8781: 2013년에 근거하는 L*a*b*표 색계에 있어서, 명도 L*가, 50 이상이라면 좋다. 이것에 의해, 노광시에 미경화의 도전막의 심부까지 안정하게 조사 광이 도달하게 되고, 예를 들면, 막 두께가 5μm 이상, 추가로는 10μm 이상과 같이 두꺼운 도전층도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는, 도전성 분말의 명도 L*가, 대략 55 이상, 예를 들면 60 이상이어도 된다. 명도 L*는, 예를 들면 상기한 도전성 분말의 종류나 D50 입경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덧붙여, 명도 L*의 측정은, 예를 들면 JIS Z 8722: 2009년에 준거하는 분광 측색계로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entire conductive powder may have a lightness L * of 50 or more in the L * a * b * color system based on JIS Z 8781:2013. As a result, irradiation light stably reaches the deep part of the uncured conductive film during exposure, and a thick conductive layer such as, for example, 5 μm or more, and further 10 μm or more can be stably realized. From the above viewpoint, the brightness L * of the conductive powder may be approximately 55 or higher, for example, 60 or higher. The brightness L * can be adjusted by, for example, the type of the conductive powder described above and the particle size of D 50 .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brightness L *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ith a spectrophotometer conforming to JIS Z 8722:2009.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감광성 조성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도전성 분말의 비율은, 대략 50 질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60~95 질량%, 예를 들면 70~90 질량%이라면 된다.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으로써, 치밀성이나 전기 전도성 높은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도전막을 성형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roportion of the conductive powder occupied in the entir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y be approximately 50% by mass or more, typically 60 to 95% by mass, for example 70 to 90% by mass. By satisfying the above range, a conductive layer having high density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andling properties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workability when forming the conductive film.

<감광성 유기 성분><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감광성 유기 성분은, 도전막에 광경화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감광성 유기 성분은, 자외선 등의 광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성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감광성 유기 성분」이란, 광중합성 또는 광 변성의 유기 화합물 전반을 말한다. 일 적합예로서,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감광성 수지와,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소위, 디아조 수지(예를 들면, 방향족 비스아지드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체); 에폭시 화합물 등의 부가 중합성 화합물과, 디알릴 요오도늄 염 등의 광 산 발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나프토퀴논 디아지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감광성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The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is a component that imparts photocurability to the conductive film. The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is a component having a property of curing by irradiation of light energy such as ultraviolet ray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refers to the overall photopolymerizable or photomodified organic compound. As a suitable example, a mixture comprising a photosensitive resin having an unsaturated bond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generating active species; So-called diazo resins (for example, condensation products of aromatic bisazide and formaldehyde); A mixture containing an addition polymerizable compound such as an epoxy compound and a photo acid generator such as a diallyl iodonium salt; Naphthoquinone diazide compounds; And the like. Among them, a mixture containing a photosensitive resin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and the like.

감광성 수지는, 광중합 개시제의 분해에 의해서 생긴 활성종에 의해서 중합하여, 경화하는 성분이다. 중합 반응은, 부가 중합이어도 되고 개환 중합이어도 된다. 감광성 수지는, 불포화 결합 및/또는 환상 구조를 1개 이상 가지는 모노머, 폴리머,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감광성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중에서, 용도나 기재의 종류 등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적합예로서, (메타)아크릴로일기나 비닐기와 같은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1개 이상 가지는 라디칼 중합성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도전층의 유연성이나 기재에의 추종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 결과, 박리나 단선 등의 결함의 발생을 한층 높은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로일」이란, 「메타크릴로일」 및 「아크릴로일」을 포함하고, 「(메타)아크릴레이트」란,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용어이다.The photosensitive resin is a component that is polymerized and cured by active species generated by decomposition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an addition polymerization or a ring-opening polymerization. The photosensitive resin contains a monomer, polymer, and oligomer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bonds and/or cyclic structures. As the photosensitive resin, one or two or more typ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among those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use or the type of the substrate. As a suitable example, a radical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t least one radical polymerizable reactive group such as a (meth)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may be mentioned. Among them, a (meth)acrylate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s preferable. By including the (meth)acrylate monomer, the flexibility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followability to the substrate can be improve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peeling or disconnection can be suppressed to a higher level.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oyl" includes "methacryloyl" and "acryloyl", and "(meth)acrylate" refers to "methacrylate" and "acrylic It is a term including "rate".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1 분자 당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1 분자 당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그것들의 변성물을 포함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예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나, 우레탄 결합(-NH-C(=O)-O-)를 가지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노광 부분의 내에칭성을 보다 좋게 향상함과 동시에, 도전막의 신축성이나 유연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와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광경화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1 분자 당 5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감광성 수지 전체에서 차지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체적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0체적% 이상, 예를 들면 50체적% 이상이라면 된다.The (meth)acrylate monomer includes a monofunctional (meth)acrylate having one functional group per molecule, a polyfunctional (meth)acrylate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per molecule, and modified products thereof. . As specific examples of the (meth)acrylate monomer, triethylene glycol monoacrylate, triethylene glycol mono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mono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mono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ntaeryth Polyfunctional (meth)acrylates such as ryitol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and urethane having a urethane bond (-NH-C(=O)-O-)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h)acrylate monomer contains a urethane (meth)acrylate. As a result, the etch resistance of the exposed portion can be better improved, and the stretch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conductive film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grity with the substrate.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photocurability, a monomer having 5 or more (meth)acryloyl groups per molecule of the (meth)acrylate monomer is preferable. The ratio of the urethane (meth)acrylate occupied in the entire photosensitive resin is, on a volume basis, preferably 30% by volume or more, such as 50% by volume or more.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등의 광 조사에 의해서 분해하여, 라디칼이나 양이온 등의 활성종을 발생시켜, 감광성 수지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성분이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중에서, 감광성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적합예로서, 2-메틸-1-[4-(메틸티오) 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시드, 2,4-디에틸티옥산톤, 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 component that decomposes by irradiation with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to generate active species such as radicals and cations, thereby star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hotosensitive resin. As a photoinitiator,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among those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type of photosensitive resin and the like. As a suitable example, 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e, 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ophenyl )-Butan-1-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2,4,6-trimethyl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2,4-diethylthioxanthone, Benzophenone etc. are mentioned.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감광성 조성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감광성 유기 화합물의 비율은, 대략 0.1~25 질량%, 전형적으로는 0.5~20 질량%, 예를 들면 1~15 질량%이어도 된다. 또한, 감광성 수지의 함유 비율은,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1~30 질량부이어도 된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 비율은, 감광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서, 대략 0.001~100 질량부, 예를 들면 0.01~10 질량부이어도 된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ro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organic compound occupied in the whol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y be approximately 0.1 to 25% by mass, typically 0.5 to 20% by mass, for example 1 to 15% by mass. In addition, the content ratio of the photosensitive resin may be, for example, 0.1 to 3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conductive powder. In addition, the content ratio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pproximately 0.001 to 100 parts by mass, for example, 0.01 to 1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hotosensitive resin.

<유기계 분산매><Organic dispersion medium>

감광성 조성물은, 상기한 필수의 성분에 더하여, 이것들을 분산시키는 유기계 분산매를 함유해도 된다. 유기계 분산매는, 감광성 조성물에 적당한 점성이나 유동성을 부여하고, 감광성 조성물의 취급성을 향상하거나, 도전막을 성형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하거나 하는 성분이다. 유기계 분산매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중에서, 감광성 유기 화합물의 종류 등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적합예로서, 테르피네올, 디히드로테르피네올(멘타놀), 텍사놀, 3-메틸-3-메톡시부탄올, 벤질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용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틸 셀로솔브(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셀로솔브(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부틸 갈비톨(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부틸 글리콜 아세테이트, 부틸 디글리콜 아세테이트, 부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부틸 갈비톨 아세테이트(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소보닐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나프타, 석유계 탄화수소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미네랄 스피릿; 등의 유기용제를 들 수 있다.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y contain an organic dispersion medium for dispersing these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component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dispersion medium is a component that imparts appropriate viscosity and fluidity to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mproves the handling propert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or improves the workability when forming a conductive film. As the organic dispersion medium, one or two or more typ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among those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hotosensitive organic compound, and the like. As a suitable example, alcohol-based solvents such as terpineol, dihydroterpineol (mentanol), texanol, 3-methyl-3-methoxybutanol, and benzyl alcohol; Glycol solvents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Ether solvents such as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yl cellosolve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cellosolve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nd butyl galbitol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Ester systems such as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butyl glycol acetate, butyl diglycol acetate, butyl cellosolve acetate, butyl galbitol acetate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and isobornyl acetate solvent;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xylene, naphtha, and petroleum hydrocarbons; Mineral spirit; And organic solvents such as.

그 중에서도, 감광성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나 도전막 형성시의 취급성을 향상하는 관점에서는, 비점이 150℃ 이상의 유기용제, 추가로는 170℃ 이상의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일 적합예로서, 도전막을 인쇄한 후의 건조 온도를 낮게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비점이 250℃ 이하인 유기용제, 추가로는 비점이 220℃ 이하인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생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the handling properties at the time of forming the conductive film, an organic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C or higher, and further, an organic solvent of 170°C or higher is preferable. Further, as another suitable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lowering the drying temperature after printing the conductive film, an organic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250° C. or less, and further, an organic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220° C. or less are preferable. Thereby,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또한,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기재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세라믹 전자 부품을 제조하는 용도에서는, 세라믹 그린 시트로의 침투성이 낮은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세라믹 그린 시트로의 침투성이 낮은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기나 tert-부틸기 등과 같이 입체적으로 부피 큰 구조를 가지는 유기용제나, 분자량이 비교적 큰 유기용제를 들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세라믹 그린 시트로의 침투성이 낮은 유기용제와, 감광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예를 들면 감광성 유기 성분)을 적합하게 용해할 수 있는 유기용제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기계 분산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Further, for example, in the use of manufacturing ceramic electronic components by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a ceramic substrate, an organic solvent having low permeability to the ceramic green sheet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having low permeability to the ceramic green sheet include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terically bulky structure such as a cyclohexyl group or a tert-butyl group, and an organic solvent having a relatively large molecular weight. In addition,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having low permeability to the ceramic green sheet as described above, and an organic solvent capable of appropriately dissolvi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for example,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s), in an arbitrary ratio It is also preferable to mix with and use as an organic type dispersion medium.

상기한 바와 같은 성상(비점 및 세라믹 그린 시트로의 침투성)를 가지는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우아놀 DPM(상표)(비점: 190℃, 다우·케미컬·컴퍼니 제), 다우아놀 DPMA(상표)(비점: 209℃, 다우·케미컬·컴퍼니 제), 멘타놀(비점: 207℃), 멘타놀 P(비점: 216℃), 아이소파 H(비점: 176℃, 칸토 연료 주식회사 제), SW-1800(비점: 198℃, 마루젠 석유 주식회사 제) 등을 들 수 있다.As an organic solv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perties (boiling point and permeability to ceramic green sheet), for example, Doanol DPM (trademark) (boiling point: 190°C,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Company), Dowanol DPMA (Trademark) (Boiling point: 209°C,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Company), Mentanol (Boiling Point: 207°C), Mentanol P (Boiling Point: 216°C), Isopa H (Boiling Point: 176°C, manufactured by Kanto Fuel Co., Ltd.) , SW-1800 (boiling point: 198°C, manufactured by Maruzen Petroleum Corporation), and the like.

감광성 조성물에 유기계 분산매를 포함하는 경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감광성 조성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유기계 분산매의 비율은, 대략 1~50 질량%, 전형적으로는 3~30 질량%, 예를 들면 5~20 질량%이어도 된다.Whe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ntains an organic dispersion medium,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roportion of the organic dispersion medium occupied in the whol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s approximately 1 to 50 mass%, typically 3 to 30 mass%, for example 5 to 20 mass It may be %.

<유기 바인더><Organic Binder>

감광성 조성물은, 상기한 필수의 성분에 더하여, 유기 바인더를 함유해도 된다. 유기 바인더는, 미경화의 도전막과 기재와의 접착성을 높이는 성분이다. 유기 바인더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중에서, 감광성 유기 화합물이나 기재의 종류 등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적합예로서,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칭에 알칼리성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히드록실기(-OH), 카르복실기(-C(=O)OH), 에스테르 결합(-C(=O)O-), 술포기(-SO3H) 등의, 산성을 나타내는 구조 부분을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칭으로 제거하기 쉬운 관점에서,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나 아크릴 수지 등의 친수성의 유기 바인더가 바람직하다.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y contain an organic binder in addition to the above essential components. The organic binder is a component that enhances adhesion between the uncured conductive film and the substrate. As the organic binder, 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among those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hotosensitive organic compound or the substrate. As a suitable example, cellulose polymers such as methyl cellulose, 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and hydroxy methyl cellulose, acrylic resins, phenol resins, alkyd resins, polyvinyl alcohol, polyvinyl butyral, and the like may be mentioned. In particular, when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is used for etching, a hydroxyl group (-OH), a carboxyl group (-C(=O)OH), an ester bond (-C(=O)O-), a sulfo group (- A compound having an acidic structural moiety such as SO 3 H) is preferred.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being easily removed by etching, a hydrophilic organic binder such as a cellulose polymer or an acrylic resin is preferable.

<그 외의 성분><Other ingredients>

감광성 조성물은,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의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첨가 성분을 더할 수 있다. 첨가 성분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첨가 성분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필러, 광 증감제, 중합 금지제, 라디칼 포착제, 산화 방지제, 광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증점제, 분산제, 소포제, 겔화 방지제, 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착색제,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감광성 조성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첨가 성분의 비율은, 대략 5 질량% 이하, 예를 들면 3 질량% 이하로 하면 된다.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n add various additive components a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components described above,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is not significantly impaired. As an additive component,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those known in the art. Examples of the additive component include, for example, inorganic fillers, photosensitizers, polymerization inhibitors, radical scavengers, antioxidants, light absorbers, ultraviolet absorbers, plasticizers, surfactants, leveling agents, thickeners, dispersants, defoaming agents, and anti-gelling agents. , Stabilizers, antioxidants, preservatives, colorants, pigments, and the like.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roportion of the additive component occupied in the entir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y be approximately 5% by mass or less, for example 3% by mass or less.

<감광성 조성물의 용도><Use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여기에 개시되는 감광성 조성물에 의하면, 선간 잔사가 적고, 또한, 예를 들면 라인폭이 30μm 보다도 미세한, 추가로는 라인폭이 20μm 보다도 미세한, 파인 라인의 도전층을, 고해상도로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의 박리나 단선 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누설 전류를 저감함과 동시에 쇼트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기에 개시되는 감광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인덕턴스 부품이나 콘덴서 부품, 다층 회로 기판 등의 여러가지 전자 부품에 있어서의 도전층의 형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it is possible to stably form a fine-line conductive layer having less interline residue and, for example, a line width finer than 30 μm and further fine line width than 20 μm, with high resolution. have. Further, peeling or disconn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akage current and suppress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failure. Therefore,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can be suitably used for formation of a conductive layer in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inductance components, capacitor components, and multilayer circuit boards, for example.

전자 부품은, 표면 실장 타입이나 스루홀 실장 타입 등, 각종의 실장 형태의 것으로 된다. 전자 부품은, 적층형이어도 되고, 권선형이어도 되고, 박막형이어도 된다. 인덕턴스 부품의 전형예로서는, 고주파 필터, 코먼 모드 필터, 고주파 회로용 인덕터(코일), 일반 회로용 인덕터(코일), 고주파 필터, 초크 코일, 트랜스 등을 들 수 있다.Electronic components are of various types of mounting, such as a surface mounting type and a through-hole mounting type.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a laminated type, a winding type, or a thin film type. Typical examples of the inductance component include a high frequency filter, a common mode filter, an inductor (coil) for a high frequency circuit, an inductor (coil) for a general circuit, a high frequency filter, a choke coil, and a transformer.

또한, 도전성 분말이 금속-세라믹의 코어 쉘 입자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은, 세라믹 전자 부품의 도전층의 형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라믹 전자 부품」이란, 비정질의 세라믹 기재(유리 세라믹 기재) 혹은 결정질(즉 비유리)의 세라믹 기재를 가지는 전자 부품 전반을 포함한다. 전형예로서, 세라믹제의 기재를 가지는 고주파 필터, 세라믹 인덕터(코일), 세라믹 콘덴서, 저온 소성 적층 세라믹 기재(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Substrate: LTCC기재), 고온 소성 적층 세라믹 기재(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Substrate: HTCC기재)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n which the conductive powder contains metal-ceramic core shell particles can be suitably used for formation of a conductive layer of a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includes the whole electronic component which has an amorphous ceramic base material (glass ceramic base material) or a crystalline (that is, non-glass) ceramic base material. Typical examples include a high frequency filter having a ceramic substrate, a ceramic inductor (coil), a ceramic capacitor, a low temperature fired ceramics substrate (LTCC substrate), and a high temperature fired multilayer ceramic substrate (High Temperature Co- fired Ceramics Substrate: HTCC substrate).

도 1은, 적층칩 인덕터(1)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의 치수 관계(길이, 폭, 두께 등)는 반드시 실제의 치수 관계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X, Y는, 각각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을 표현한다. 다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의 방향에 지나지 않는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ayer chip inductor 1. In addition, the dimensional relationship (length, width, thickness, etc.) in FIG. 1 does not necessarily reflect the actual dimensional relationship. In addition, symbols X and Y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However, this is only a dire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적층칩 인덕터(1)은,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좌우 방향(X)의 양측면 부분에 설치된 외부 전극(20)을 갖추고 있다. 적층칩 인덕터(1)의 형상은, 예를 들면, 1608 형상(1.6mmХ0.8 mm), 2520 형상(2.5mmХ2.0 mm) 등의 사이즈이다.The multilayer chip inductor 1 includes a body portion 10 and external electrodes 20 provid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The shape of the multilayer chip inductor 1 is, for example, a size such as a 1608 shape (1.6 mm x 0.8 mm) and a 2520 shape (2.5 mm x 2.0 mm).

본체부(10)는, 세라믹층(유전체층)(12)과 내부 전극층(14)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진다. 세라믹층(12)은, 예를 들면, 도전성 분말의 피복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Y)에 있어서, 세라믹층(12)의 사이에는, 내부 전극층(14)이 배치되어 있다. 내부 전극층(14)은, 상술의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세라믹층(12)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Y)으로 이웃하는 내부 전극층(14)은, 세라믹층(12)에 설치된 비아(16)를 통하여 도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층(14)은, 3 차원적인 소용돌이 형상(나선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층(14)의 양단은 각각 외부 전극(20)과 접속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eramic layer (dielectric layer) 12 and an internal electrode layer 14 are integrated. The ceramic layer 12 can constitute, for example, a covering portion of conductive powder, and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 internal electrode layer 14 is disposed between the ceramic layers 12. The internal electrode layer 14 is formed us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electrode layers 14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Y) with the ceramic layer 12 interposed therebetween are conducted through the vias 16 provided in the ceramic layer 12. Thereby, the internal electrode layer 14 is comprised in a three-dimensional spiral shape (helix shape). Both ends of the internal electrode layer 14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20, respectively.

이러한 적층칩 인덕터(1)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절차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원료가 되는 세라믹 재료와 바인더 수지와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조제하고, 이것을 캐리어 시트 상에 공급하여, 세라믹 그린 시트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이 세라믹 그린 시트를 압연 후, 원하는 사이즈로 컷하여, 복수의 세라믹층 형성용 그린 시트를 얻는다. 그 다음에, 복수의 세라믹층 형성용 그린 시트의 소정의 위치에, 천공기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비아홀을 형성한다.This multilayer chip inductor 1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the following procedure. That is, first, a paste containing a ceramic material as a raw material, a binder resin, and an organic solvent is prepared, and this is supplied onto a carrier sheet to form a ceramic green sheet. Then, the ceramic green sheet is rolled and then cut to a desired size to obtain a plurality of ceramic layer forming green sheets. Then, via holes are appropriately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eramic layer forming green sheets using a perforator or the like.

그 다음에, 상술의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수의 세라믹층 형성용 그린 시트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코일 패턴의 도전막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이하의 공정: (스텝 S1) 감광성 조성물을 세라믹층 형성용 그린 시트 상에 부여하고 건조함으로써, 감광성 조성물의 건조체로 이루어지는 막상체를 성형하는 공정; (스텝 S2) 막상체에 소정의 개구 패턴의 포토마스크를 씌우고, 포토마스크를 통해서 노광하여, 막상체를 부분적으로 광경화시키는 공정: (스텝 S3) 광경화 후의 막상체를 에칭하여 미경화의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미소성의 상태의 도전막을 형성할 수 있다.Then, a conductive film having a predetermined coil pattern is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plurality of ceramic layer forming green sheets us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following steps: (Step S1) a step of forming a film-like body made of a dried body of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by applying and dry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on a green sheet for forming a ceramic layer; (Step S2) Step of covering the film body with a photomask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exposing through the photomask to partially photocure the film body: (Step S3) The film body after photocuring is etched to remove the uncured portion. The unbaked conductive film can be formed by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removing step.

덧붙여, 상기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전막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종래 공지의 수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텝 S1)에 있어서, 감광성 조성물의 부여는, 스크린 인쇄 등의 각종 인쇄법이나, 바코터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감광성 조성물의 건조는, 전형적으로는 50~100℃에서 수행하면 된다. (스텝 S2)에 있어서, 노광에서는, 예를 들면 10~400 nm의 파장 범위의 광선을 발하는 노광기, 예를 들면 고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의 자외선 조사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텝 S3)에 있어서, 에칭에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이나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orming a conductive film us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example, in (Step S1), application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printing methods such as screen printing, a bar coater, or the like. Drying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y be performed typically at 50 to 100°C. In the exposure in (Step S2), for example, an exposure machine that emits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10 to 400 nm, for example, UV irradiation such as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or a xenon lamp can be used. In (Step S3), in etch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alkali component such as sodium hydroxide or sodium carbonate can be used.

그 다음에, 미소성의 상태의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는 세라믹층 형성용 그린 시트를 복수매 적층하고, 압착한다. 이것에 의해서, 미소성의 세라믹 그린 시트의 적층체를 제작한다. 그 다음에, 세라믹 그린 시트의 적층체를, 예를 들면 600~1000℃에서 소성한다. 이것에 의해서, 세라믹 그린 시트가 일체적으로 소결되어, 세라믹층(12)과, 감광성 조성물의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내부 전극층(14)를 구비한 본체부(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양단부에 적당한 외부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부여하고, 소성하는 것에 의해서, 외부 전극(20)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적층칩 인덕터(1)를 제조할 수 있다.Then, a plurality of green sheets for forming a ceramic layer on which an unfired conductive film is formed are stacked and pressed. Thereby, a laminate of an unfired ceramic green sheet is produced. Then, the laminated body of the ceramic green sheet is fired at, for example, 600 to 1000°C. As a result, the ceramic green sheet is integrally sintered to form the body portion 10 including the ceramic layer 12 and the internal electrode layer 14 made of a fired body of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Then, the external electrode 20 is formed by applying an appropriate external electrode forming paste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 and firing.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 multilayer chip inductor 1 can be manufactured.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 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several examples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hown in these examples.

(은 분말의 준비) (Preparation of silver powder)

우선, 시판의 7 종류의 은 분말(은 분말 a~g)을 준비했다. 덧붙여, 이들 은 분말은, 모두 JIS Z 8781: 2013년에 근거하는 L*a*b*표 색계에 있어서, 명도 L*가 50~80이다.First, seven types of commercially available silver powders (silver powders a to g) were prepared. In addition, all of these silver powders have a brightness L * of 50 to 80 in the L * a * b * color system based on JIS Z 8781:2013.

또한, 은 분말 a를 이용하여, 은 분말 h를 준비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메탄올에 지르코늄 부톡시드를 첨가하여, 코팅액을 조제했다. 다음에, 이 코팅액에 은 분말 a를 첨가하고 1시간 교반했다. 다음에, 코팅액으로부터 고형분을 회수하고, 100℃에서 건조했다. 이것에 의해, 은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해서, 산화 지르코늄(ZrO2) 환산으로 0.5 질량부가 되는 양의 지르코늄 부톡시드로 표면 코트된 은 분말(은-지르코니아의 코어 쉘 입자)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은 분말 h를 준비했다.Moreover, silver powder h was prepared using silver powder a. Specifically, first, zirconium butoxide was added to methanol to prepare a coating liquid. Next, silver powder a was added to this coating liquid and stirred for 1 hour. Next, the solid content was recovered from the coating liquid and dried at 100°C. This obtained silver powder (silver-zirconia core shell particles) surface-coated with zirconium butoxide in an amount of 0.5 parts by mass in terms of zirconium oxide (ZrO 2 )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silver powder. In this way, silver powder h was prepared.

다음에, 열중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한 가열 조건으로 은 분말 a~h의 유기 성분량을 각각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2의 「유기 성분량」의 란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2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C-MS)에 따라 검출되는 표면 처리제의 종류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근거하는 체적 기준의 D50 입경을 아울러 나타낸다. 덧붙여, 표면 처리제의 란의 「BTA계」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나타내고 있다.Next, using a thermogravimetric measuring device, the amounts of organic components in the silver powder a to h were measured under the above-described heating condi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column of "th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in Tables 1 and 2. In Tables 1 and 2, the types of surface treatment agents detect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the volume-based D 50 particle size based on laser diffraction and scattering are also shown. In addition, "BTA system" in the column of a surface treatment agent represents a benzotriazole system compound.

(감광성 조성물의 조제) (Preparation of photosensitive composition)

우선, 표 1, 2에 나타내는 은 분말과, 비히클을 준비했다. 비히클은, 감광성 수지로서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이르가큐아 369(등록상표)(치바 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와, 유기 바인더와, 중합 금지제와, 증감제와, 겔화 방지제와, 자외선 흡수제를, 유기용매로서의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디히드로 터피네올에 용해시켜 조제했다. 그리고, 은 분말과 비히클을 77: 23의 질량비로 혼합함으로써, 감광성 조성물(예 1~8, 비교예 1~7)을 조제했다.First, silver powders and vehicles shown in Tables 1 and 2 were prepared. The vehicle includes a urethane acrylate monomer as a photosensitive resin, Irgacure 369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 organic bind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a sensitizer, a gelation inhibitor, and , An ultraviolet absorber was prepared by dissolving in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and dihydro terpineol as organic solvents. And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Examples 1-8, Comparative Examples 1-7) was prepared by mixing silver powder and a vehicle at a mass ratio of 77:23.

(배선 패턴의 제작) (Production of wiring pattern)

우선, 스테인레스제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상기 조제한 감광성 조성물을, 시판의 세라믹 그린 시트 상에 각각 도포했다. 다음에, 이것을 60℃에서 15분간 건조시켜, 그린 시트 상에 막상체를 성형했다. 다음에, 막상체의 위로부터 포토마스크를 씌웠다. 이때, 포토마스크로서는, 배선 패턴의 라인폭이 20μm이며, 이웃한 라인의 간격 부분(스페이스) 20μm인 것(L/S=20μm/20μm의 것)를 사용했다. 이 포토마스크를 씌운 상태로, 노광기에 의해 2500 mJ/cm2의 강도로 광을 조사하여, 막상체를 부분적으로 경화시켰다. 노광 후, 세라믹 그린 그린 시트에 0.1 질량%의 Na2CO3 수용액을 분사하고, 미경화의 막상체 부분을 에칭 제거한 후, 순수로 세정하고, 실온으로 건조시켰다. 이것에 의해, 배선이 소용돌이 상태로 배치된 배선 패턴(스파이럴 패턴)을 제작했다.First, using a stainless steel screen, the prepa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applied onto a commercially available ceramic green sheet, respectively. Next, this was dried at 60° C. for 15 minutes to form a film-like body on a green sheet. Next, a photomask was applied from the top of the membranous body. At this time, as the photomask, a line width of the wiring pattern was 20 μm, and a spaced portion (space) of adjacent lines was 20 μm (L/S = 20 μm/20 μm). With this photomask covered, light was irradiated with an intensity of 2500 mJ/cm 2 by an exposure machine to partially cure the film-like body. After exposure, 0.1% by mass of Na 2 CO 3 aqueous solution was sprayed onto the ceramic green sheet to remove the uncured film-like body by etching, washed with pure water,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Thereby, a wiring pattern (spiral pattern) in which the wiring was arranged in a swirling state was produced.

(배선 패턴의 평가) (Evaluation of wiring pattern)

상기 제작한 배선 패턴에 대해서, 잔사, 박리, 선폭을 평가하고, 이들 평가에 근거하여 종합 평가를 수행했다.Regarding the produced wiring pattern, residue, peeling, and line width were evaluated,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se evaluations.

·잔사의 평가: ·Evaluation of residue:

배선 패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얻어진 관찰 화상으로부터, 잔사의 평가를 수행했다. 관찰 화상은, 배율 200배로 촬영했다. 그리고, 관찰 화상에서 배선 간의 스페이스 부분에 잔존하고 있는 선간 잔사의 수를 카운트 했다. 덧붙여, 선간 잔사의 카운트는 복수 시야에 관하여 수행하고, 복수 시야에 있어서의 선간 잔사의 산술 평균치를 「선간 잔사의 수」라고 했다. 결과를, 표 1, 2의 「잔사의 평가」의 란에 나타낸다. 해당 란의 표기는, 하기 대로이다.The wiring pattern was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and the residue was evaluated from the obtained observation image. The observation image was taken at 200 times magnification. Then, the number of interline residues remaining in the space between the wirings in the observation image was counted. In addition, the count of the interline residue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fields of view, and the arithmetic mean value of the interline residue in the plurality of fields was set as "the number of interline residues". The result is shown in the column of "evaluation of the residue" in Tables 1 and 2. The notation of the corresponding column is as follows.

「○」: 선간 잔사의 수가, 0개/시야(선간 잔사가 확인되지 않았다)「○」: Number of residuals between lines, 0 pieces/field of view (no residuals between lines were confirmed)

「△」: 선간 잔사의 수가, 1~3개/시야「△」: Number of residues between lines, 1~3 pieces/field of view

「Х」: 선간 잔사의 수가, 4개 이상/시야「Х」: Number of residues between lines, 4 or more/field of view

·박리의 평가: ·Evaluation of peeling:

상기 관찰 화상으로부터, 박리와 단선의 유무를 확인했다. 결과를, 표 1, 2의 「박리의 평가」의 란에 나타낸다. 해당 란의 표기는, 하기 대로이다.From the observation ima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eling and disconnection was confirmed. The result is shown in the column of "evaluation of peeling" in Tables 1 and 2. The notation of the corresponding column is as follows.

「○」: 박리 없음"○": no peeling

「Х」: 박리 있음"Х": there is peeling

·선폭의 평가: ・Evaluation of line width:

상기 관찰 화상으로부터, 배선 패턴의 선폭을 계측했다. 덧붙여, 선폭의 계측은 복수 시야에 관하여 수행하고, 그 산술 평균치를, 선폭으로 했다. 결과를, 표 1, 2의 「선폭」의 란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의 란의 표기는, 하기 대로이다.From the observation image, the line width of the wiring pattern was measured. In addition, measurement of the line width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fields of view, and the arithmetic mean value was taken as the line width.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column of "line width" in Tables 1 and 2. In addition, notation of the column of evaluation is as follows.

「○」: 20~25μm(목표치)「○」: 20~25μm (target value)

「△」: 25~28μm「△」: 25~28μm

「Х」: 28μm 이상「Х」: 28μm or more

·종합 평가: · Comprehensive evaluation:

「○」: 상기한 잔사, 박리, 선폭의 각 평가에서, Х가 1개도 없다"○": In each evalu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sidue, peeling, and line width, there is no Х

「Х」: 상기한 잔사, 박리, 선폭의 각 평가에서, Х가 1개 이상 있다"Х": In each evalu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sidue, peeling, and line width, there is at least one Х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표 1에 나타냄과 같게, 비교예 1은, 유기 성분량이 적은 은 분말 a만을 사용한 시험예이다. 비교예 1에서는, 배선 패턴에 선폭의 편차가 크고, 곳곳에 선폭의 굵어짐이 확인되었다. 그 결과, 평균의 선폭이 목표치 보다도 너무 커져서, 안정한 파인 라인의 형성이 곤란했다. 이 이유로서는, 도전막의 광경화성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포토마스크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산란된 광으로 차광 부분의 도전막의 일부가 경화되어 버린 것이나, 도전막의 내에칭성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에칭 시에 미경화 부분의 제거가 불완전했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는, 유기 성분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은 분말 b만을 사용한 시험예이다. 비교예 2에서는, 배선 패턴에 박리나 단선이 많이 확인되어, 배선 패턴의 형성이 곤란했다. 이 이유로서는, 에칭 시에 미경화 부분과 함께 경화부가 흘러가 버렸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표면에 지방산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부착하고 있는 은 분말 e만을 사용한 시험예이다. 비교예 3에서는, 배선 패턴에 박리나 단선이 많이 확인되어, 파인 라인의 형성이 곤란했다. 추가로, 배선 간의 스페이스 부분에는 선간 잔사가 많이 남아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Comparative Example 1 is a test example using only silver powder a with a small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variation in line width was large in the wiring patter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ine width was thickened in various places. As a result, the average line width became too large than the target value, and it was difficult to form a stable fine lin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hotocurability of the conductive film was too high, and a part of the conductive film in the light-shielding portion was cured with light scattered from the opening portion of the photomask, or the etching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film was too high. It is conceivable that the removal of the uncured part was incomplete.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 2 is a test example using only silver powder b wit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organic components. In Comparative Example 2, many peeling and disconnection were observed in the wiring pattern, and formation of the wiring pattern was difficult. As this reason, it is conceivable that the hardened part flowed out together with the uncured part at the time of etching.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 3 is a test example using only silver powder e to which fatty acids and benzotriazole-based compounds adhere to the surface. In Comparative Example 3, many peeling and disconnection were observed in the wiring pattern, and formation of fine lines was difficult. In addition, a lot of interline residue rema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lines.

예 1~4는, 은 분말 a와 은 분말 b를 병용한 시험예이다. 예 1~4에서는, 이것들 비교예 1~3에 비해, 선간 잔사가 없고, 또한, 라인폭이 28μm 이하, 추가로는 25μm 이하로 억제된 파인 라인의 배선 패턴을, 고해상도로 형성할 수 있었다. 즉, 배선의 박리나 단선, 쇼트 불량이 없고, 또한 배선 간에 안정적으로 스페이스가 확보된 파인 라인의 배선 패턴을 형성할 수 있었다.Examples 1 to 4 are test examples in which silver powder a and silver powder b are used in combination. In Examples 1 to 4,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re was no interline residue, and a fine line wiring pattern having a line width of 28 μm or less, and further suppressed to 25 μm or less could be formed with high resolution.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form a fine line wiring pattern in which there was no peeling, disconnection, or short-circuit failure of the wiring, and a space was stably secured between the wirings.

표 2에서는, 2 종류 이상의 은 분말의 혼합계에 대해서, 추가로 검토를 수행하고 있다. 예 5, 6은, 은 분말 b를 바꾸어 은 분말 c 혹은 은 분말 d를 사용한 시험예이다. 예 7은, 은 분말 a와 은 분말 b에 더하여 은 분말 g를 사용한 시험예이다. 예 8은, 은 분말 a를 바꾸어 은 분말 h를 사용한 시험예이다. 표 2에 나타냄과 같게, 예 5, 6이나 예 7, 예 8에서도, 예 1~4와 같게, 파인 라인의 배선 패턴을 고해상도로 형성할 수 있었다.In Table 2, an investigation is further conducted on a mixture system of two or more types of silver powder. Examples 5 and 6 are test examples using silver powder c or silver powder d by replacing silver powder b. Example 7 is a test example using silver powder g in addition to silver powder a and silver powder b. Example 8 is a test example using silver powder h by replacing silver powder a. As shown in Table 2, in Examples 5 and 6, 7 and 8, as in Examples 1 to 4, a fine line wiring pattern could be formed with high resolution.

한편으로, 비교예 4~6은, 은 분말 b를 바꾸어 은 분말 e~g를 각각 사용한 시험예이다. 비교예 7은, 은 분말 a와 은 분말 b의 합계를 은 분말 전체의 80%로 저감한 시험예이다. 비교예 4~6 및 비교예 7에서는, 배선 간의 스페이스 부분에 선간 잔사가 많이 남아 있었다. 또한, 비교예 5, 6에서는, 배선 패턴에 선폭의 편차가 크고, 선폭이 약간 목표치 보다도 컸다.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s 4 to 6 are test examples using silver powders e to g, respectively, by changing the silver powder b. Comparative Example 7 is a test example in which the total of the silver powder a and the silver powder b is reduced to 80% of the total silver powder. In Comparative Examples 4 to 6 and Comparative Example 7, a lot of interline residues rema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rings. 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the variation in line width was large in the wiring pattern, and the line width was slightly larger than the target value.

이상의 결과로부터, 열중량분석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0.1 질량% 이하인 제1 도전성 분말과, 표면에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부착하고 있고, 열중량분석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적어도 0.5%인 제2 도전성 분말을 병용 하고, 또한 이들 합계를 도전성 분말전체의 90 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으로써, 선간 잔사가 적은 파인 라인의 배선 패턴을 고해상도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는,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의의를 나타내는 것이다.From the above results, the first conductive powder having an organic component amount of 0.1% by mass or less based 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a second conductive powder having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dhering to the surface and an organic component amount of at least 0.5% based 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It was found that by using the powder together and making the total ratio of 90% by mass or more of the entire conductive powder, a wiring pattern of fine lines with few interline residues can be formed with high resolution. These results show the significanc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ese are only examples, and various changes can be added to this invention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bject matter.

1   적층칩 인덕터
10  본체부
12  세라믹층
14  내부 전극층
20  외부 전극
1 multilayer chip inductor
10 Body
12 ceramic layer
14 Internal electrode layer
20 external electrodes

Claims (9)

도전성 분말과, 감광성 유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분말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근거하는 체적 기준의 D50 입경이 1μm 이상 5μm 이하이며, 또한, 이하의 2 종류:
(1) 열중량 측정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0.1 질량% 이하인, 제1 도전성 분말;
(2) 표면에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부착하고 있고, 열중량 측정에 근거하는 유기 성분량이 적어도 0.5 질량%인, 제2 도전성 분말;
의 성분의 합계가, 상기 도전성 분말의 전체를 100 질량%로 했을 때에, 9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감광성 조성물.
Containing conductive powder and a photosensitive organic component,
The conductive powder has a volume-based D 50 particle diameter of 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based on a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and the following two types:
(1) a first conductive powder having an organic component amount of 0.1% by mass or less based on thermogravimetric measurement;
(2) a second conductive powder having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dhering to the surface and having an organic component amount of at least 0.5% by mass based on thermogravimetric measurement;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wherein the sum of the components of occupies 90 mass% or more when the total of the conductive powder is 100 ma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이, 은계 입자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n which the said electroconductive powder contains silver particl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분말과 상기 제2 도전성 분말의 질량 비율이, 제1 도전성 분말:제2 도전성 분말=85:15~20: 80인, 감광성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wherein the mass ratio of the first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is the first conductive powder: the second conductive powder = 85:15 to 20:8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분말이, 코어가 되는 금속 재료와 상기 코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 코어 쉘 입자인, 감광성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powder is a core shell particle comprising a metal material serving as a core and a ceramic material covering at least a part of a surface of the cor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Z 8781: 2013년에 근거하는 L*a*b*표 색계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의 명도 L*가, 50 이상인, 감광성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JIS Z 8781: In the L * a * b * color system based on 2013, the lightness L * of the said electroconductive powder is 50 or more,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점이 150℃ 이상 250℃ 이하의 유기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organic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C or more and 250°C or less.
그린 시트와, 상기 그린 시트 상에 배치되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감광성 조성물의 건조체로 이루어지는 도전막을 구비하는, 복합체.A composite comprising a green sheet and a conductive film disposed on the green sheet and comprising a dried bod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감광성 조성물의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An 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a conductive layer made of a fired bod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감광성 조성물을 기재 상에 부여하고, 광경화 및 에칭 처리를 수행한 후, 소성하여, 상기 감광성 조성물의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An electronic component comprising a step of apply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6 on a substrate, performing photocuring and etching treatment, and then firing to form a conductive layer made of a fired body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KR1020207020081A 2017-12-14 2018-11-26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KR1025798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9464A JP6646643B2 (en) 2017-12-14 2017-12-14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JPJP-P-2017-239464 2017-12-14
PCT/JP2018/043421 WO2019116874A1 (en) 2017-12-14 2018-11-26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use of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774A true KR20200097774A (en) 2020-08-19
KR102579847B1 KR102579847B1 (en) 2023-09-18

Family

ID=6681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81A KR102579847B1 (en) 2017-12-14 2018-11-26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46643B2 (en)
KR (1) KR102579847B1 (en)
CN (1) CN111465899B (en)
TW (1) TWI780277B (en)
WO (1) WO201911687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3866B (en) * 2021-01-13 2022-03-08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Photocuring 3D printing metal-ceramic composite material par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3687U (en) 1974-11-14 1976-05-19
KR20040011904A (en) * 2002-07-31 2004-02-1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High viscous and alkali developable negative photoresist composition for dispersion of conductive fine powder
KR20040072809A (en) * 2003-02-11 2004-08-1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An Ag 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micro-electrode and the micro-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2012214873A (en) * 2011-03-28 2012-11-08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Silver pow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nductive paste
JP2014170051A (en) * 2013-03-01 2014-09-18 Noritake Co Ltd Photosensitive paste
KR20150122345A (en) 2014-04-23 2015-11-02 (주)라누베 Skin Moisturizer and penetration enhancer with the distilled mineral water from thermal seawater
KR20160138310A (en) 2014-04-30 2016-12-0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fluid distributing structure
JP2017130147A (en) * 2016-01-22 2017-07-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ulate powder, conductive particles, and touch panel with tactile feedback function
WO2017135138A1 (en) * 2016-02-03 2017-08-10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Silver-coated copper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508A (en) * 1998-03-31 1999-10-15 Toray Ind Inc Substrate for plasma display and its manufacture
WO2012102852A1 (en) * 2011-01-26 2012-08-02 Dow Corning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stabl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KR101306778B1 (en) * 2013-04-02 2013-09-17 남수용 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fine electrode patterns in touch panels, method of fabrication th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5133317A (en) * 2013-12-10 2015-07-23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Conductive paste and production method of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EP3096330B1 (en) * 2014-01-14 2019-04-10 Toyo Aluminium Kabushiki Kaisha Composite conductive particle,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conductive coated article
JP2015184648A (en) * 2014-03-26 2015-10-22 東洋紡株式会社 Photosensitive conductive paste, conductive thin film, electric circuit and touch panel
WO2016063941A1 (en) * 2014-10-22 2016-04-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3687U (en) 1974-11-14 1976-05-19
KR20040011904A (en) * 2002-07-31 2004-02-1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High viscous and alkali developable negative photoresist composition for dispersion of conductive fine powder
KR20040072809A (en) * 2003-02-11 2004-08-1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An Ag 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micro-electrode and the micro-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2012214873A (en) * 2011-03-28 2012-11-08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Silver pow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nductive paste
JP2014170051A (en) * 2013-03-01 2014-09-18 Noritake Co Ltd Photosensitive paste
KR20150122345A (en) 2014-04-23 2015-11-02 (주)라누베 Skin Moisturizer and penetration enhancer with the distilled mineral water from thermal seawater
KR20160138310A (en) 2014-04-30 2016-12-0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fluid distributing structure
JP2017130147A (en) * 2016-01-22 2017-07-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ulate powder, conductive particles, and touch panel with tactile feedback function
WO2017135138A1 (en) * 2016-02-03 2017-08-10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Silver-coated copper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65899A (en) 2020-07-28
KR102579847B1 (en) 2023-09-18
CN111465899B (en) 2023-05-16
JP2019105792A (en) 2019-06-27
TWI780277B (en) 2022-10-11
WO2019116874A1 (en) 2019-06-20
JP6646643B2 (en) 2020-02-14
TW201932980A (en)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134B1 (en) Photosensitive paste
KR102658648B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KR102643291B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TWI812688B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lex, electronic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 part
KR102579847B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JP7446355B2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JP7113779B2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KR102667680B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34178A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 paste-lik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d an electronic component,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ixing ratio of organic components 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uter program
WO2022191054A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7108778B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