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705A -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705A
KR20200097705A KR1020207016034A KR20207016034A KR20200097705A KR 20200097705 A KR20200097705 A KR 20200097705A KR 1020207016034 A KR1020207016034 A KR 1020207016034A KR 20207016034 A KR20207016034 A KR 20207016034A KR 20200097705 A KR20200097705 A KR 2020009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device
component carrier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560B1 (ko
Inventor
히로미찌 도메바
료따 야마다
히데오 남바
아쯔시 시라까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적어도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2월 2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7-251430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2020년경의 상업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하여, 제5세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5G 시스템)에 관한 연구·개발 활동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최근, 국제 표준화 기관인 국제전기통신연합 무선 통신 부문(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s Sector: ITU-R)으로부터, 5G 시스템의 표준 방식(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2020 and beyond: IMT-2020)에 관한 비전 권고가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1 참조).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 트래픽의 급증에 대처해 감에 있어서, 주파수 자원의 확보는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5G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사용된 주파수 밴드(주파수 대역)보다도 고주파수대를 사용하여 초대용량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타깃의 하나로 되어 있다.
그러나, 고주파수대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에서는, 패스 로스가 문제로 된다. 패스 로스를 보상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에 의한 빔 포밍이 유망한 기술로 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독립적인 빔 포밍이 설정된 복수의 안테나(안테나 패널)를 구비하고, 해당 안테나를 적절하게 전환함으로써, 패스 로스를 보상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또한, 하향 링크(기지국 장치→단말 장치)와 상향 링크(단말 장치→기지국 장치)의 전반로 특성의 상대성을 활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하향 링크의 신호 수신에 사용한 빔 포밍을 사용하여, 상향 링크의 신호 송신을 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빔 포밍에 의한 패스 로스 보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속 전송을 실현함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폭의 확대도 또한 필수이다. LTE에서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묶어 통신을 행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광대역화를 실현하고,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고 있어, 5G에서도,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IMT Vision -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Recommendation ITU-R M. 2083-0, Sept. 2015. E. G. Larsson, O. Edfors, F. Tufvesson, and T. L. Marzetta, "Massive MIMO for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 IEEE Commun. Mag., vol.52, no.2, pp.186-195, Feb. 2014.
그러나, 5G에 있어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묶는 캐리어 컴포넌트는 다방면에 걸칠 것이 예상되고 있다.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제어하는 것이 기본으로 되지만, 빔 포밍을 비롯하여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에 설정해야 할 항목은 다방면에 걸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실현함에 있어서, 오버헤드의 증대도 또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묶은 광대역 전송을 실현함에 있어서, 오버헤드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고효율의 빔 포밍을 실현하여, 통신 품질을 안정시키고, 나아가서는, 주파수 이용 효율 또는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적어도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2)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상기 (1)에 기재되며,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동기 신호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또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3)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상기 (2)에 기재되며, 상기 상향 링크 신호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4)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상기 (2)에 기재되며, 상기 상향 링크 신호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상향 링크 제어 신호이다.
(5)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상기 (1)에 기재되며,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슬롯 설정을 나타내는 제1 슬롯 설정과,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슬롯 설정을 나타내는 제2 슬롯 설정에 관련지어져 있다.
(6)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상기 (5)에 기재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과, 상기 제2 슬롯 설정이 다른 설정인 경우,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포함한다.
(7)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신호에 관련지어진 공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공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할 때 설정한 공간 영역 수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하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에 설정하는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설정한다.
(8)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상향 링크 신호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오버헤드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고효율의 빔 포밍을 실현하여, 통신 품질을 안정시키고, 주파수 이용 효율 또는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송신 장치, 셀, 송신점, 송신 안테나군, 송신 안테나 포트군, 컴포넌트 캐리어, eNodeB, 송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패널,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장치(단말기, 이동 단말기, 수신점, 수신 단말기, 수신 장치, 수신 안테나군, 수신 안테나 포트군, UE, 수신 포인트, 수신 패널, 스테이션)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와 접속하고 있는(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를 서빙 셀이라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는, 면허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라이선스 밴드) 및/또는 면허 불요의 주파수 대역(언라이선스 밴드)에서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1A), 단말 장치(2A)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리지(1-1)는, 기지국 장치(1A)가 단말 장치와 접속 가능한 범위(통신 에어리어)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1A)를 간단히 기지국 장치라고도 칭한다. 또한 단말 장치(2A)를 간단히 단말 장치라고도 칭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2A)로부터 기지국 장치(1A)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C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Downlink-Shared Channel: DL-SCH)에 대한 ACK(a positive acknowledgement) 또는 NACK(a negative acknowledgement)(ACK/NACK)를 포함한다.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를, HARQ-ACK, HARQ 피드백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 링크 공용 채널(Uplink-Shared Channel: UL-SCH)의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 SR)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적합한 공간 다중수를 지정하는 랭크 지표 RI(Rank Indicator), 적합한 프리코더를 지정하는 프리코딩 행렬 지표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적합한 전송 레이트를 지정하는 채널 품질 지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적합한 CSI-RS 리소스를 나타내는 CSI-RS(Reference Signal, 참조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리소스 지표 CRI(CSI-RS Resource Indicator) 등이 해당한다.
상기 채널 품질 지표 CQI(이하, CQI값)는, 소정의 대역(상세는 후술)에 있어서의 적합한 변조 방식(예를 들어, QPSK, 16QAM, 64QAM, 256QAM 등), 부호화율(coding rate)로 할 수 있다. CQI값은, 상기 변경 방식이나 부호화율에 의해 정해진 인덱스(CQI Index)로 할 수 있다. 상기 CQI값은, 미리 당해 시스템에서 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RI는, 복수의 CSI-RS 리소스로부터 수신 전력/수신 품질이 적합한 CSI-RS 리소스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랭크 지표, 상기 프리코딩 품질 지표는, 미리 시스템에서 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랭크 지표나 상기 프리코딩 행렬 지표는, 공간 다중수나 프리코딩 행렬 정보에 의해 정해진 인덱스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QI값, PMI값, RI값 및 CRI값의 일부 또는 전부를 CSI값이라고 총칭한다.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U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ACK/NACK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만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RRC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RRC 메시지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에 있어서 처리되는 정보/신호이다. 또한, PUSCH는, MAC CE(Control Element)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MAC CE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처리(송신)되는 정보/신호이다.
예를 들어, 파워 헤드룸은, MAC CE에 포함되어, PUSCH를 경유하여 보고되어도 된다. 즉, MAC CE의 필드가, 파워 헤드룸의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상향 링크 물리 신호로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Uplink Reference Signal: UL RS)가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에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PT-RS(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이 포함된다.
DMRS는, PUSCH 또는 PUCCH의 송신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A)는, PUSCH 또는 PUCCH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DMRS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A)는, 상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SRS를 사용한다. 또한 SRS는 상향 링크의 관측(사운딩)에 사용된다. 또한 PT-RS는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DMRS를 상향 링크 DMRS라고도 칭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A)로부터 단말 장치(2A)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알림 채널)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제어 포맷 지시 채널)
·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HARQ 지시 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하향 링크 제어 채널)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확장 하향 링크 제어 채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하향 링크 공유 채널)
PBCH는, 단말 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마스터 인포메이션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Broadcast Channel: BCH)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PCFICH는, 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영역(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의 수)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MIB는 최소 시스템 인포메이션이라고도 칭한다.
PHICH는, 기지국 장치(1A)가 수신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코드워드)에 대한 ACK/NACK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PHI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HARQ 피드백)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ACK/NACK는, HARQ-ACK라고도 호칭한다. 단말 장치(2A)는, 수신한 ACK/NACK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한다. ACK/NACK는, 정확하게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ACK,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NACK, 대응하는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내는 DTX이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PHI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2A)는 ACK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한다.
PDCCH 및 EPDCCH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대하여, 복수의 DCI 포맷이 정의된다. 즉,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필드가 DCI 포맷에 정의되고, 정보 비트에 맵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으로서, 하나의 셀에 있어서의 하나의 PDSCH(하나의 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 포맷1A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에는, PDSCH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 PDSCH에 대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관한 정보, PUCCH에 대한 TPC 커맨드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을, 하향 링크 그랜트(또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라고도 칭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으로서, 하나의 셀에 있어서의 하나의 PUSCH(하나의 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 포맷0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에는, PUSCH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 PUSCH에 대한 MCS에 관한 정보, PUSCH에 대한 TPC 커맨드 등 상향 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을, 상향 링크 그랜트(또는, 상향 링크 어사인먼트)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수신 품질 정보라고도 칭함)를 요구(CSI request)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피드백하는 채널 상태 정보 보고(CSI feedback report)를 맵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Periodic CSI)를 보고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모드 설정(CSI report mode)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부정기한 채널 상태 정보(Aperiodic CSI)를 보고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부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모드 설정(CSI report mode)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반영속적인 채널 상태 정보(semi-persistent CSI)를 보고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반영속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모드 설정(CSI report mode)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피드백하는 채널 상태 정보 보고의 종류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의 종류는, 광대역 CSI(예를 들어 Wideband CQI)와 협대역 CSI(예를 들어, Subband CQI) 등이 있다.
단말 장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를 사용하여 PD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 스케줄된 PDSCH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사용하여 PU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 스케줄된 PUSCH로 상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PDSCH는,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D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PDSCH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타입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타입1 메시지는, 셀 스페시픽(셀 고유)한 정보이다.
또한, PDSCH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타입1 이외의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X를 포함한다.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는, 셀 스페시픽(셀 고유)한 정보이다.
또한, PDSCH는, RRC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RRC 메시지는,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공통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1A)로부터 송신되는 RRC 메시지는, 어떤 단말 장치(2A)에 대하여 전용의 메시지(dedicated signaling이라고도 칭함)여도 된다. 즉, 유저 장치 스페시픽(유저 장치 고유)한 정보는, 어떤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용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PDSCH는, MAC CE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RRC 메시지 및/또는 MAC CE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또한, PDSCH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DSCH는,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피드백하는 채널 상태 정보 보고(CSI feedback report)를 맵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Periodic CSI)를 보고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는, 정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모드 설정(CSI report mode)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 보고의 종류는 광대역 CSI(예를 들어 Wideband CSI)와 협대역 CSI(예를 들어, Subband CSI)가 있다. 광대역 CSI는, 셀의 시스템 대역에 대하여 하나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협대역 CSI는, 시스템 대역을 소정의 단위로 구분하고, 그 구분에 대하여 하나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하향 링크 물리 신호로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가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동기 신호에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와 세컨더리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가 있다.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동기 신호는 수신 전력, 수신 품질 또는 신호 대 간섭 잡음 전력비(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power Ratio: SINR)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동기 신호로 측정한 수신 전력을 SS-RSRP(Synchronization Signal -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동기 신호로 측정한 수신 품질을 SS-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동기 신호로 측정한 SINR을 SS-SINR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SS-RSRQ는 SS-RSRP와 RSSI의 비이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어떤 관측 기간에 있어서의 토탈의 평균 수신 전력이다. 또한, 동기 신호/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에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셀 고유 참조 신호),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복조 참조 신호), NZP CSI-RS(Non-Zero Power 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ZP CSI-RS(Zero Power 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PT-RS, TRS(Tracking Reference Signal)가 포함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DMRS를 하향 링크 DMRS라고도 칭한다. 또한, 이후의 실시 형태에서, 간단히 CSI-RS라 하는 경우, NZP CSI-RS 및/또는 ZP CSI-RS를 포함한다.
CRS는, 서브 프레임의 전대역에서 송신되며, PBCH/PDCCH/PHICH/PCFICH/PDS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DMRS는, DMRS가 관련되는 PDSCH/PBCH/PDCCH/E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 및 대역에서 송신되고, DMRS가 관련되는 PDSCH/PBCH/PDCCH/EPDC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NZP CSI-RS의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1A)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A)는, NZP CSI-RS를 사용하여 신호의 측정(채널의 측정)을 행한다. 또한 NZP CSI-RS는, 적합한 빔 방향을 탐색하는 빔 주사나 빔 방향의 수신 전력/수신 품질이 열화되었을 때 리커버리하는 빔 리커버리 등에 사용된다. ZP CSI-RS의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1A)에 의해 설정된다. 기지국 장치(1A)는, ZP CSI-RS를 제로 출력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A)는, ZP CSI-RS가 대응하는 리소스에 있어서 간섭의 측정을 행한다.
또한 CSI-RS는, 수신 전력, 수신 품질, 또는 SINR의 측정에 사용된다. CSI-RS로 측정한 수신 전력을 CSI-RSRP, CSI-RS로 측정한 수신 품질을 CSI-RSRQ, CSI-RS로 측정한 SINR을 CSI-SINR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CSI-RSRQ는, CSI-RSRP와 RSSI의 비이다.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RS는, PM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전대역에서 송신된다. MBSFN RS는, PMCH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PMCH는, MBSFN 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하향 링크 물리 신호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물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BCH, UL-SCH 및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 칭한다. 또한,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 TB), 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에 전달하는(deliver하는)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워드에 맵되고, 코드워드마다 부호화 처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을 서포트하고 있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는, 보다 광대역 전송을 위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를 통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이 서빙 셀의 집합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듀얼 커넥티비티(DC; Dual Connectivity)에서는, 서빙 셀의 그룹으로서, 마스터 셀 그룹(MCG; Master Cell Group)과 세컨더리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이 설정된다. MCG는 PCell과 옵션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SCell로 구성된다. 또한 SCG는 프라이머리 SCell(PSCell)과 옵션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SCell로 구성된다.
기지국 장치는 무선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프레임(서브 구간)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길이를 시간으로 표현하는 경우,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 길이는 10밀리초(㎳), 서브 프레임 길이는 1㎳로 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OFDM 심볼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슬롯 길이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미니 슬롯은, 슬롯보다도 적은 OFDM 심볼로 구성된다. 슬롯/미니 슬롯은, 스케줄링 단위로 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슬롯 베이스 스케줄링/미니슬롯 베이스 스케줄링은, 최초의 하향 링크 DMRS의 위치(배치)에 의해 알 수 있다. 슬롯 베이스 스케줄링에서는, 슬롯의 3번째 또는 4번째의 심볼에 최초의 하향 링크 DMRS가 배치된다. 또한 미니슬롯 베이스 스케줄링에서는, 스케줄링된 데이터(리소스, PDSCH)의 최초의 심볼에 최초의 하향 링크 DMRS가 배치된다.
또한 리소스 블록은, 12개의 연속하는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또한 리소스 엘리먼트는, 주파수 영역의 인덱스(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인덱스)와 시간 영역의 인덱스(예를 들어 OFDM 심볼 인덱스)로 정의된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상향 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하향 링크 엘리먼트, 플렉시블 리소스 엘리먼트, 예약된 리소스 엘리먼트로서 분류된다. 예약된 리소스 엘리먼트에서는, 단말 장치는,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이 서포트된다. 예를 들어 SCS는, 15/30/60/120/240/480kHz이다.
기지국 장치/단말 장치는 라이선스 밴드 또는 언라이선스 밴드에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단말 장치는, 라이선스 밴드가 PCell로 되고, 언라이선스 밴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SCell과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단말 장치는, 마스터 셀 그룹이 라이선스 밴드에서 통신하고, 세컨더리 셀 그룹이 언라이선스 밴드에서 통신하는, 듀얼 커넥티비티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단말 장치는, 언라이선스 밴드에 있어서, PCell만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단말 장치는, 언라이선스 밴드에서만 CA 또는 DC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라이선스 밴드가 PCell로 되고, 언라이선스 밴드의 셀(SCell, PSCell)을 예를 들어 CA, DC 등으로 어시스트하여 통신하는 것을, LAA(Licensed-Assisted Access)라고도 칭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단말 장치가 언라이선스 밴드에서만 통신하는 것을, 언라이선스 스탠드얼론 액세스(ULSA; Unlicensed-standalone access)라고도 칭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단말 장치가 라이선스 밴드에서만 통신하는 것을, 라이선스 액세스(LA; Licensed Access)라고도 칭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는, 상위층 처리부(상위층 처리 스텝)(101), 제어부(제어 스텝)(102), 송신부(송신 스텝)(103), 수신부(수신 스텝)(104)와 송수신 안테나(105), 측정부(측정 스텝)(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무선 리소스 제어 스텝)(1011), 스케줄링부(스케줄링 스텝)(10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103)는, 부호화부(부호화 스텝)(1031), 변조부(변조 스텝)(1032),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 스텝)(1033), 다중부(다중 스텝)(1034), 무선 송신부(무선 송신 스텝)(10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104)는, 무선 수신부(무선 수신 스텝)(1041), 다중 분리부(다중 분리 스텝)(1042), 복조부(복조 스텝)(1043), 복호부(복호 스텝)(10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송신부(103) 및 수신부(104)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단말 장치의 기능(UE capability) 등,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 장치는, 자신의 기능을 기지국 장치에 상위층의 신호로 송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는, 그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그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에 대한 도입 및 테스트의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는, 소정의 기능에 대한 도입 및 테스트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통지된다. 또한,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는, 1 또는 0의 1비트를 사용하여 통지해도 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하향 링크의 PDSCH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 MAC CE 등을 생성,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부(103)에 출력하고, 다른 정보를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단말 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물리 채널(PDSCH 및 PUSCH)을 할당하는 주파수 및 서브 프레임, 물리 채널(PDSCH 및 PUSCH)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혹은 MCS) 및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결정한 정보를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생성한다. 스케줄링부(1012)는, 생성한 정보를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제어부(102)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부(103) 및 수신부(104)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2)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부(103)에 출력한다.
송신부(103)는, 제어부(1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HICH, PDCCH, EPDCCH, PD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고, 송수신 안테나(105)를 통해 단말 장치(2A)에 신호를 송신한다.
부호화부(1031)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저밀도 패리티 체크: 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 Polar 부호화 등의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하거나,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가 결정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변조부(1032)는, 부호화부(103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등의 미리 정해진,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가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33)는, 기지국 장치(1A)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CI, 셀 ID)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구해지는, 단말 장치(2A)가 기지인 계열을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서 생성한다.
다중부(1034)는, 변조된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생성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와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다중한다. 즉, 다중부(1034)는, 변조된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생성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와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1035)는, 다중된 변조 심볼 등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OFDM 심볼을 생성하고, OFDM 심볼에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를 부가하여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에 의해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반송 주파수로 업컨버트하고, 전력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105)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수신부(104)는, 제어부(1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105)를 통해 단말 장치(2A)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1041)는, 송수신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된 상향 링크의 신호를, 다운 컨버트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1041)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무선 수신부(1041)는,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하고 다중 분리부(1042)에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1042)는, 무선 수신부(104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PUCCH, PUSCH, 상향 링크 참조 신호 등의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이 분리는, 미리 기지국 장치(1A)가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에서 결정하고, 각 단말 장치(2A)에 통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다중 분리부(1042)는, PUCCH와 PUSCH의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42)는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복조부(1043)는, PUSCH를 역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하여, 변조 심볼을 취득하고, PUCCH와 PUSCH의 변조 심볼 각각에 대하여,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미리 정해진,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2A)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호부(1044)는, 복조된 PUCCH와 PUSCH의 부호화 비트를,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의, 미리 정해진,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2A)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부호화율로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상향 링크 데이터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PUSCH가 재송신인 경우에는, 복호부(1044)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되는 HARQ 버퍼에 유지하고 있는 부호화 비트와, 복조된 부호화 비트를 사용하여 복호를 행한다.
측정부(106)는, 수신 신호를 관측하여, RSRP/RSRQ/RSSI 등의 다양한 측정값을 구한다. 또한 측정부(106)는,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SRS로부터 수신 전력, 수신 품질, 적합한 SRS 리소스 인덱스를 구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상위층 처리부(상위층 처리 스텝)(201), 제어부(제어 스텝)(202), 송신부(송신 스텝)(203), 수신부(수신 스텝)(204), 측정부(측정 스텝)(205)와 송수신 안테나(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2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무선 리소스 제어 스텝)(2011),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스케줄링 정보 해석 스텝)(20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203)는, 부호화부(부호화 스텝)(2031), 변조부(변조 스텝)(2032),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 스텝)(2033), 다중부(다중 스텝)(2034), 무선 송신부(무선 송신 스텝)(20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204)는, 무선 수신부(무선 수신 스텝)(2041), 다중 분리부(다중 분리 스텝)(2042), 신호 검출부(신호 검출 스텝)(20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201)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송신부(203)에 출력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2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201)는, 자단말 장치가 서포트하고 있는 단말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부(203)에 출력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011)는, 자단말 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2011)는, 상향 링크의 각 채널에 배치되는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부(203)에 출력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011)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202)에 출력한다.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2012)는, 수신부(204)를 통해 수신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판정한다. 또한,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2012)는,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204) 및 송신부(203)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202)에 출력한다.
제어부(202)는,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204), 측정부(205) 및 송신부(203)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02)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수신부(204), 측정부(205) 및 송신부(203)에 출력하여 수신부(204) 및 송신부(203)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02)는, 측정부(205)가 생성한 CSI/RSRP/RSRQ/RSSI를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도록 송신부(203)를 제어한다.
수신부(204)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206)를 통해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2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2041)는, 송수신 안테나(206)를 통해 수신한 하향 링크의 신호를, 다운 컨버트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수신부(2041)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다중 분리부(2042)는, 추출한 신호를 PHICH, PDCCH, EPDCCH, PD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 각각 분리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2042)는, 채널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원하는 신호의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PHICH, PDCCH 및 EPDCCH의 채널의 보상을 행하고,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202)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PDSCH 및 원하는 신호의 채널 추정값을 신호 검출부(2043)에 출력한다.
신호 검출부(2043)는, PDSCH, 채널 추정값을 사용하여, 신호 검출하고, 상위층 처리부(201)에 출력한다.
측정부(205)는, CSI 측정,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RLM(Radio Link Monitoring) 측정 등의 각종 측정을 행하여, CSI/RSRP/RSRQ/RSSI 등을 구한다.
송신부(203)는, 제어부(2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UCCH, PUSCH 및 생성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여, 송수신 안테나(206)를 통해 기지국 장치에 송신한다.
부호화부(2031)는, 상위층 처리부(2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컨볼루션 부호화, 블록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 부호화, Polar 부호화 등의 부호화를 행한다.
변조부(2032)는, 부호화부(203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로 통지된 변조 방식, 또는, 채널마다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2033)는, 기지국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PCI, Cell ID 등이라 칭해짐),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대역폭, 상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된 사이클릭 시프트, DMRS 시퀀스의 생성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식)에 의해 구해지는 계열을 생성한다.
다중부(2034)는, PUCCH와 PUSCH의 신호와 생성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다중한다. 즉, 다중부(2034)는, PUCCH와 PUSCH의 신호와 생성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2035)는, 다중된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고, OFDM 방식의 변조를 행하여, OFDMA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된 OFDMA 심볼에 CP를 부가하여,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업컨버트에 의해 반송 주파수로 변환하고, 전력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206)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OFDMA 방식에 한하지 않고, SC-FDMA 방식의 변조를 행할 수 있다.
초고정밀 영상 전송 등, 초대용량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 고주파수대를 활용한 초광대역 전송이 요망된다.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전송은, 패스 로스를 보상하는 것이 필요하여, 빔 포밍이 중요해진다. 또한, 어떤 한정된 에어리어에 복수의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각 단말 장치에 대하여 초대용량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 기지국 장치를 고밀도로 배치한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가 유효하다. 그러나, 기지국 장치를 고밀도로 배치한 경우, SNR(신호 대 잡음 전력비: Signal to noise power ratio)은 크게 개선되지만, 빔 포밍에 의한 강한 간섭이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한정 에어리어 내의 모든 단말 장치에 대하여, 초대용량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빔 포밍을 고려한 간섭 제어(회피, 억압, 제거), 및/또는, 복수의 기지국의 협조 통신이 필요해진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향 링크의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3A), 기지국 장치(5A), 단말 장치(4A)를 구비한다. 단말 장치(4A)는, 기지국 장치(3A) 및/또는 기지국 장치(5A)를 서빙 셀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3A) 또는 기지국 장치(5A)가 다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다수의 안테나를 복수의 서브 어레이(패널, 서브 패널)로 나눌 수 있고, 서브 어레이마다 송신/수신 빔 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브 어레이는 통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통신 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2에서 도시한 기지국 장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단말 장치(4A)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4A)는 빔 포밍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4A)가 다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다수의 안테나를 복수의 서브 어레이(패널, 서브 패널)로 나눌 수 있고, 서브 어레이마다 다른 송신/수신 빔 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각 서브 어레이는 통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통신 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3에서 도시한 단말 장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3A), 기지국 장치(5A)를 간단히 기지국 장치라고도 칭한다. 또한, 단말 장치(4A)를 간단히 단말 장치라고도 칭한다.
기지국 장치의 적합한 송신 빔, 단말 장치의 적합한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동기 신호가 사용된다. 기지국 장치는, PSS, PBCH, SSS로 구성되는 동기 신호 블록을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설정하는 동기 신호 블록 버스트 세트 주기 내에서, 동기 신호 블록은, 시간 영역에 하나 또는 복수개 송신되고, 각각의 동기 신호 블록에는, 시간 인덱스가 설정된다. 단말 장치는, 동기 신호 블록 버스트 세트 주기 내에서 동일한 시간 인덱스의 동기 신호 블록은,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공간적인 수신 파라미터, 및/또는 공간적인 송신 파라미터가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어느 정도 동일한 위치(quasi co-located: QCL)로부터 송신되었다고 간주해도 된다. 또한, 공간적인 수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채널의 공간 상관, 도래각(Angle of Arrival) 등이다. 또한 공간적인 송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채널의 공간 상관, 송신각(Angle of Departure) 등이다. 즉 단말 장치는, 동기 신호 블록 버스트 세트 주기 내에서 동일한 시간 인덱스의 동기 신호 블록은 동일한 송신 빔으로 송신되고, 다른 시간 인덱스의 동기 신호 블록은 다른 빔으로 송신된다고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동기 신호 블록 버스트 세트 주기 내의 적합한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하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적합한 송신 빔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다른 동기 신호 블록 버스트 세트 주기에서 동일한 시간 인덱스의 동기 신호 블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에 적합한 수신 빔을 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와 수신 빔 방향 및/또는 서브 어레이를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다른 셀과 접속할 때는, 다른 서브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적합한 기지국 장치의 송신 빔과 적합한 단말 장치의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CSI-RS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상위층의 신호로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리소스 설정, 보고 설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리소스 설정은, 리소스 설정 ID, 리소스 설정 타입,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CSI-RS 리소스 세트 설정을 포함한다. 리소스 설정 ID는, 리소스 설정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소스 설정 타입은, 리소스 설정의 시간 영역의 동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 설정이 비주기적(aperiodic)으로 CSI-RS를 송신하는 설정, 주기적(periodic)으로 CSI-RS를 송신하는 설정, 또는 반영속적(semi-persistent)으로 CSI-RS를 송신하는 설정인지를 나타낸다. CSI-RS 리소스 세트 설정은, CSI-RS 리소스 세트 설정 ID,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CSI-RS 리소스 설정을 포함한다. CSI-RS 리소스 세트 설정 ID는, CSI-RS 리소스 세트 설정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CSI-RS 리소스 설정은, CSI-RS 리소스 설정 ID, 리소스 설정 타입, 안테나 포트수, CSI-RS 리소스 매핑, CSI-RS와 PDSCH의 전력 오프셋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CSI-RS 리소스 설정 ID는, CSI-RS 리소스 설정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CSI-RS 리소스 설정 ID로 CSI-RS 리소스가 관련지어진다. CSI-RS 리소스 매핑은, 슬롯 내의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 엘리먼트(OFDM 심볼, 서브캐리어)를 나타낸다.
리소스 설정은, CSI 측정 또는 RRM 측정에 사용된다. 단말 장치는, 설정된 리소스에서 CSI-RS를 수신하고, CSI-RS로부터 CSI를 산출하고,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또한, CSI-RS 리소스 세트 설정이 복수의 CSI-RS 리소스 설정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각각의 CSI-RS 리소스에서 동일한 수신 빔으로 CSI-RS를 수신하여, CRI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CSI-RS 리소스 세트 설정이 K(K는 2 이상의 정수)개의 CSI-RS 리소스 설정을 포함하는 경우, CRI는 K개의 CSI-RS 리소스로부터 적합한 N개의 CSI-RS 리소스를 나타낸다. 단, N은 K 미만의 양의 정수이다. 또한 CRI가 복수의 CSI-RS 리소스를 나타내는 경우, 어느 CSI-RS 리소스의 품질이 좋은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각 CSI-RS 리소스에서 측정한 CSI-RSRP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복수 설정한 CSI-RS 리소스에서 각각 다른 빔 방향으로 CSI-RS를 빔 포밍(프리코딩)하여 송신하면, 단말 장치로부터 보고된 CRI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적합한 기지국 장치의 송신 빔 방향을 알 수 있다. 한편, 적합한 단말 장치의 수신 빔 방향은, 기지국 장치의 송신 빔이 고정된 CSI-RS 리소스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어떤 CSI-RS 리소스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의 송신 빔이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송신 빔이 고정되어 있는 기간을 송신한다. 단말 장치는, 송신 빔이 고정되어 있는 CSI-RS 리소스에 있어서, 각각 다른 수신 빔 방향으로 수신한 CSI-RS로부터 적합한 수신 빔 방향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적합한 수신 빔 방향을 결정한 후, CSI-RSRP를 보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가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적합한 수신 빔 방향을 구할 때, 적합한 서브 어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의 적합한 수신 빔 방향은, CRI와 관련지어져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가 복수의 CRI를 보고한 경우, 기지국 장치는, 각 CRI와 관련지어진 CSI-RS 리소스로 송신 빔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는, CRI마다, 적합한 수신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하향 링크 신호/채널과 CRI를 관련지어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는, CRI와 관련지어진 수신 빔으로 수신해야만 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CSI-RS 리소스에 있어서, 다른 기지국 장치가 CSI-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CRI에 의해 어느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통신 품질이 좋은지를 네트워크측이 알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타이밍에 복수의 서브 어레이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장치가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등에서 복수 레이어(코드워드, 트랜스포트 블록)의 각각에 CRI를 관련지어 송신하면, 단말 장치는, 각 CRI에 대응하는 서브 어레이, 수신 빔을 사용하여, 복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단, 아날로그 빔을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서브 어레이에서 동일한 타이밍에 사용되는 수신 빔 방향이 하나일 때, 단말 장치의 하나의 서브 어레이에 대응하는 2개의 CRI가 동시에 설정된 경우에, 단말 장치는 복수의 수신 빔으로 수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설정한 복수의 CSI-RS 리소스를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 내는, 동일한 서브 어레이를 사용하여 CRI를 구한다. 또한 그룹간에서 다른 서브 어레이를 사용하면, 기지국 장치는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CRI를 알 수 있다. 또한, CSI-RS 리소스의 그룹은, CSI-RS 리소스 세트여도 된다. 또한,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할 수 있는 CRI를 QCL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때, 단말 장치는, QCL 정보와 관련지어 CRI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QCL인 CRI와 QCL이 아닌 CRI를 구별하여 보고하면, 기지국 장치는 QCL인 CRI는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하지 않고, QCL이 아닌 CRI는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의 서브 어레이마다 CSI를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서브 어레이마다 CSI를 보고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복수의 CRI를 기지국 장치에 보고하는 경우, QCL이 아닌 CRI만을 보고해도 된다.
보고 설정은, CSI 보고에 관한 설정이며, 보고 설정 ID, 보고 설정 타입, 및/또는 보고값(양)을 포함한다. 보고 설정 ID는, 보고 설정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고값(양)은 보고하는 CSI값(양)이다. 보고 설정 타입은, 보고 설정이, 비주기적(aperiodic)으로 CSI값(양)을 보고하는 설정, 주기적(periodic)으로 CSI값(양)을 보고하는 설정, 또는 반영속적(semi-persistent)으로 CSI값(양)을 보고하는 설정이다.
또한, 적합한 기지국 장치의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소정의 프리코딩(빔 포밍) 행렬(벡터)의 후보가 규정된 코드북이 사용된다. 기지국 장치는 CSI-RS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는 코드북 중에서 적합한 프리코딩(빔 포밍) 행렬을 구하고, PMI로서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합한 송신 빔 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코드북에는 안테나 포트를 합성하는 프리코딩(빔 포밍) 행렬과,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는 프리코딩(빔 포밍) 행렬이 있다.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는 코드북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안테나 포트마다 다른 송신 빔 방향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PMI로서 적합한 안테나 포트를 보고하면, 기지국 장치는 적합한 송신 빔 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의 적합한 수신 빔은, CRI에 관련지어진 수신 빔 방향이어도 되고, 다시 적합한 수신 빔 방향을 결정해도 된다.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는 코드북을 사용하는 경우에, 단말 장치의 적합한 수신 빔 방향이 CRI에 관련지어진 수신 빔 방향으로 되는 경우, CSI-RS를 수신하는 수신 빔 방향은 CRI에 관련지어진 수신 빔 방향에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 장치는, CRI에 관련지어진 수신 빔 방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PMI와 수신 빔 방향을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는 코드북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안테나 포트는 다른 기지국 장치(셀)로부터 송신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가 PMI를 보고하면, 기지국 장치는 어느 기지국 장치(셀)와의 통신 품질이 적합한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다른 기지국 장치(셀)의 안테나 포트는 QCL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단말 장치(4A)는, 서빙 셀에 더하여,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신호(인접 셀 간섭)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간섭 신호는, 인접 셀의 PDSCH, PDCCH, 또는 참조 신호이다. 이 경우,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간섭 신호의 제거 또는 억압이 유효하다. 간섭 신호를 제거 또는 억압하는 방식으로서, 간섭 신호의 채널을 추정하여 선형 웨이트에 의해 억압하는 E-MMSE(Enhanced - Minimum Mean Square Error), 간섭 신호의 레플리카를 생성하여 제거하는 간섭 캔슬러, 원하는 신호와 간섭 신호의 송신 신호 후보를 모두 탐색하여 원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MLD(Maximum Likelihood Detection), 송신 신호 후보를 삭감하여 MLD보다도 저연산량으로 한 R-MLD(Reduced complexity - MLD)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간섭 신호의 채널 추정, 간섭 신호의 복조, 또는 간섭 신호의 복호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효율적으로 간섭 신호를 제거 또는 억압하기 위해, 단말 장치는 간섭 신호(인접 셀)의 파라미터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한 간섭 신호의 제거 또는 억압을 지원하기 위해, 간섭 신호(인접 셀)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어시스트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설정)할 수 있다. 어시스트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 설정된다. 어시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물리 셀 ID, 가상 셀 ID, 참조 신호와 PDSCH의 전력비(전력 오프셋), 참조 신호의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 QCL 정보(quasi co-location information), CSI-RS 리소스 설정, CSI-RS 안테나 포트수, 서브캐리어 간격, 리소스 할당 입도, 리소스 할당 정보, DMRS 설정, DMRS 안테나 포트 번호, 레이어수, TDD DL/UL 구성, PMI, RI, 변조 방식,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가상 셀 ID는 셀에 가상적으로 할당된 ID이며, 물리 셀 ID는 동일하고 가상 셀 ID는 다른 셀이 있을 수 있다. QCL 정보는, 소정의 안테나 포트, 소정의 신호, 또는 소정의 채널에 대한 QCL에 관한 정보이다. 2개의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 한쪽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반송되는 채널의 긴 구간 특성이, 다른 한쪽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반송되는 채널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경우, 그들 안테나 포트는 QCL이라고 호칭된다. 긴 구간 특성은,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공간적인 수신 파라미터, 및/또는 공간적인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즉, 2개의 안테나 포트가 QCL인 경우, 단말 장치는 그들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긴 구간 특성이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은, 간섭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그 밴드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를 나타낸다. 또한, 어시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 간격과 서빙 셀과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에는, 단말 장치는 간섭 신호를 제거 또는 억압하지 않아도 된다. 그 밴드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는, 통상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상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는, 고신뢰·저지연 통신(긴급 통신)에 사용되는 저빈도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리소스 할당 입도는, 프리코딩(빔 포밍)이 변하지 않는 리소스 블록수를 나타낸다. DMRS 설정은, PDSCH 매핑 타입, DMRS의 추가 배치를 나타낸다. PDSCH 매핑 타입에 따라 DMRS 리소스 할당은 변한다. 예를 들어, PDSCH 매핑 타입 A는, 슬롯의 제3 심볼에 DMRS는 매핑된다. 또한, 예를 들어 PDSCH 매핑 타입 B는 할당된 PDSCH 리소스의 최초의 OFDM 심볼에 매핑된다. DMRS의 추가 배치는, 추가의 DMRS 배치가 있는지 여부, 또는 추가되는 배치를 나타낸다. 또한, 어시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파라미터는 상위층의 신호로 송신(설정)된다. 또한, 어시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파라미터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로 송신된다. 또한, 어시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파라미터가 복수의 후보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 장치는 후보 중에서 적합한 것을 블라인드 검출한다. 또한, 어시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가 블라인드 검출한다.
단말 장치는 복수의 수신 빔 방향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수신 빔 방향에 따라, 주위의 간섭 상황은 크게 변화된다. 예를 들어, 어떤 수신 빔 방향에서는 강한 간섭 신호가 다른 수신 빔 방향에서는 약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강한 간섭으로 될 가능성이 낮은 셀의 어시스트 정보는,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강한 간섭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불필요한 계산을 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어시스트 정보는 수신 빔 방향마다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의 수신 방향을 반드시 모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신 빔 방향에 관련되는 정보와 어시스트 정보를 관련지으면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CRI와 수신 빔 방향을 관련지을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CRI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어시스트 정보를 송신(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와 수신 빔 방향을 관련지을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어시스트 정보를 송신(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PMI(안테나 포트 번호)와 수신 빔 방향을 관련지을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PMI(안테나 포트 번호)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어시스트 정보를 송신(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구비하는 경우, 서브 어레이마다 수신 빔 방향이 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의 서브 어레이와 관련되는 인덱스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어시스트 정보를 송신(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와 단말 장치가 통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각각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와 다른 수신 빔 방향에서 통신할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어시스트 정보를 송신(설정)한다.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물리 셀 ID 또는 가상 셀 ID로 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에서 다른 DMRS 안테나 포트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DMRS 안테나 포트 번호나 DMRS 안테나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CRI마다 설정하는 어시스트 정보의 수는, 공통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어시스트 정보의 수는, 어시스트 정보의 종류나, 각 어시스트 정보의 요소수(예를 들어, 셀 ID의 후보 수) 등을 가리킨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CRI마다 설정하는 어시스트 정보의 수는, 최댓값이 설정되고, 기지국 장치는 해당 최댓값의 범위 내에서 해당 어시스트 정보를 각 CRI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의 수신 빔 방향이 변하는 경우, 송신 안테나는 QCL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어시스트 정보는 QCL 정보와 관련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가 복수 셀의 어시스트 정보를 송신(설정)한 경우, QCL인 셀(또는 QCL이 아닌 셀)을 단말 장치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서빙 셀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CRI와 관련지어져 있는 어시스트 정보를 사용하여, 간섭 신호를 제거 또는 억압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수신 빔 방향(CRI/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PMI/안테나 포트 번호/서브 어레이)에 관련지어진 어시스트 정보와, 수신 빔 방향(CRI/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PMI/안테나 포트 번호/서브 어레이)에 관련지어지지 않는 어시스트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수신 빔 방향에 관련지어진 어시스트 정보와, 수신 빔 방향에 관련지어지지 않는 어시스트 정보는, 단말 장치의 케이퍼빌리티나 카테고리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의 케이퍼빌리티나 카테고리는, 단말 장치가 수신 빔 포밍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수신 빔 방향에 관련지어진 어시스트 정보와, 수신 빔 방향에 관련지어지지 않는 어시스트 정보는, 주파수 밴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6GHz보다도 낮은 주파수에서는, 수신 빔 방향에 관련지어진 어시스트 정보를 설정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6GHz보다도 높은 주파수에서만 수신 빔 방향에 관련지어진 어시스트 정보를 설정한다.
또한, CRI는 CSI 리소스 세트 설정 ID와 관련지어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는, CRI를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경우, CSI 리소스 세트 설정 ID와 함께 CRI를 지시해도 된다. 또한, CSI 리소스 세트 설정 ID가 하나의 CRI 또는 하나의 수신 빔 방향과 관련지어지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CSI 리소스 세트 설정 ID마다 어시스트 정보를 설정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의 수신 빔 방향에 관련되는 인접 셀을 알기 위해, 단말 장치에 인접 셀 측정을 요구한다. 인접 셀 측정 요구는, 단말 장치의 수신 빔 방향에 관련되는 정보와 셀 ID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인접 셀 측정 요구를 수신한 경우, 인접 셀의 RSRP/RSRQ/RSSI를 측정하고, 단말 장치의 수신 빔 방향에 관련되는 정보와 함께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또한, 단말 장치의 수신 빔 방향에 관련되는 정보는, CRI,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 단말 장치의 서브 어레이, 또는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주위의 환경은 시시각각 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소정의 타이밍에 주위의 채널 상황, 간섭 상황 등을 관측하고, 기지국 장치에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고 결과는, 정기적인 보고나 이벤트에 의한 보고로 보고된다. 정기적인 보고의 경우, 단말 장치는, 정기적으로 동기 신호 또는 CSI-RS에 의한 RSRP/RSRQ를 측정하여 보고한다. 이벤트에 의한 보고의 경우, 이벤트 ID와 보고에 관한 조건이 관련지어진다. 이벤트 ID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 있고, 조건의 계산에 필요한 역치(필요한 경우에는, 역치1, 역치2)나 오프셋값도 설정된다. 이벤트 A1: 서빙 셀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좋아진 경우. 이벤트 A2: 서빙 셀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나빠진 경우. 이벤트 A3: 인접 셀의 측정 결과가 PCell/PSCell의 측정 결과보다도 설정된 오프셋값 이상으로 좋아진 경우. 이벤트 A4: 인접 셀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좋아진 경우. 이벤트 A5: PCell/PSCell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1보다도 나빠지고, 인접 셀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2보다도 좋아진 경우. 이벤트 A6: 인접 셀의 측정 결과가 SCell의 측정 결과보다도 설정된 오프셋값 이상으로 좋아진 경우. 이벤트 C1: CSI-RS 리소스에서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좋아진 경우. 이벤트 C2: CSI-RS 리소스에서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참조 CSI-RS 리소스에서의 측정 결과보다도 오프셋양 이상으로 좋아진 경우. 이벤트 D1: CRI와는 다른 CSI-RS 리소스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좋아진 경우. 이벤트 D2: CRI와 관련되는 CSI-RS 리소스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나빠진 경우. 이벤트 D3: CRI와 관련되지 않은 수신 빔 방향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좋아진 경우. 이벤트 D4: 동기에 사용하고 있는 SS 블록 인덱스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나빠진 경우. 이벤트 D5: 동기에 사용하지 않은 SS 블록 인덱스의 측정 결과가 설정된 역치보다도 나빠진 경우. 이벤트 E1: 기지국 장치가 빔을 결정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이, 역치를 초과한 경우. 이벤트 E2: 단말 장치가 빔을 결정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이, 역치를 초과한 경우.
단말 장치는, 보고 설정에 기초하여 보고하는 경우, 측정 결과로서, SS-RSRP/SS-RSRQ/CSI-RSRP/CSI-RSRQ/RSSI를 보고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상향 링크의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7A), 기지국 장치(9A), 단말 장치(6A)를 구비한다. 단말 장치(6A)는, 기지국 장치(7A) 및/또는 기지국 장치(9A)를 서빙 셀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7A) 또는 기지국 장치(9A)가 다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다수의 안테나를 복수의 서브 어레이(패널, 서브 패널)로 나눌 수 있고, 서브 어레이마다 송신/수신 빔 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브 어레이는 통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통신 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2에서 도시한 기지국 장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단말 장치(6A)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6A)는 빔 포밍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6A)가 다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다수의 안테나를 복수의 서브 어레이(패널, 서브 패널)로 나눌 수 있고, 서브 어레이마다 다른 송신/수신 빔 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각 서브 어레이는 통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통신 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3에서 도시한 단말 장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7A), 기지국 장치(9A)를 간단히 기지국 장치라고도 칭한다. 또한, 단말 장치(6A)를 간단히 단말 장치라고도 칭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적합한 송신 빔과 기지국 장치의 적합한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SRS가 사용된다. 기지국 장치는 상위층의 신호로 SRS에 관한 설정 정보를 송신(설정)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SRS 리소스 세트 설정을 포함한다. SRS 리소스 세트 설정은, SRS 리소스 세트 설정 ID,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SRS 리소스 설정을 포함한다. SRS 리소스 세트 설정 ID는, SRS 리소스 세트 설정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SRS 리소스 설정은, SRS 리소스 설정 ID, SRS 안테나 포트수, SRS 송신 콤(Comb), SRS 리소스 매핑, SRS 주파수 호핑, SRS 리소스 설정 타입을 포함한다. SRS 리소스 설정 ID는, SRS 리소스 설정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SRS 송신 콤은, 빗살형 스펙트럼의 주파수 간격 및 주파수 간격 내의 위치(오프셋)를 나타낸다. SRS 리소스 매핑은, 슬롯 내에서 SRS가 배치되는 OFDM 심볼 위치 및 OFDM 심볼수를 나타낸다. SRS 주파수 호핑은, SRS의 주파수 호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SRS 리소스 설정 타입은, SRS 리소스 설정의 시간 영역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SRS 리소스 설정이 비주기적(aperiodic)으로 SRS를 송신하는 설정, 주기적(periodic)으로 SRS를 송신하는 설정, 또는 반영속적(semi-persistent)으로 SRS를 송신하는 설정인지를 나타낸다.
단말 장치는, 복수의 SRS 리소스가 설정된 경우, 각각의 SRS 리소스에서 다른 송신 빔 방향으로 송신하면, 기지국 장치는 적합한 SRS 리소스를 판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그 SRS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인 SRS 리소스 지표(SRS Resource Indicator: SRI)를 단말 장치에 송신(지시)하면, 단말 장치는 그 SRS 리소스에서 송신한 송신 빔 방향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의 적합한 수신 빔을 구하기 위해, 소정 기간 동일한 송신 빔으로 송신할 것을 단말 장치에 요구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지시된 기간, 지시된 SRS 리소스에서, 지시된 SRI로 송신한 것과 동일한 송신 빔 방향으로 송신한다.
단말 장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복수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단말 장치(6A)는, 기지국 장치(7A) 및 기지국 장치(9A)를 서빙 셀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6A)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7A)와의 통신에 적합한 송신 빔 방향과 기지국 장치(9A)와의 통신에 적합한 송신 빔 방향은 다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말 장치(6A)는 다른 서브 어레이로 각각 다른 송신 빔 방향으로 송신하면, 동일한 타이밍에 기지국 장치(7A)와 기지국 장치(9A)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어떤 SRS 리소스에 있어서, 복수 안테나 포트에서 SRS를 송신하는 경우, 각각의 안테나 포트에서 다른 송신 빔 방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는 적합한 안테나 포트 번호에서의 송신을 단말 장치에 지시하면, 단말 장치는 적합한 송신 빔 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는 코드북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에 송신 PMI(TPMI)를 지시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는, 어느 코드북을 참조할지를 단말 장치에 지시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지시된 코드북을 참조하여, TPMI로 나타내어진 안테나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를 구비하는 경우에서, 복수의 서브 어레이로 동일한 타이밍에 송신할 수 있는 경우, 서브 어레이간에서 다른 안테나 포트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가 서브 어레이의 다른 안테나 포트로부터 송신 빔을 사용하여 SRS를 송신하고, 기지국 장치로부터 TPMI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는 적합한 서브 어레이 및 송신 빔 방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TPMI와 서브 어레이 및 송신 빔 방향을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와 통신하는 경우, 각각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에 대하여 동일한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동일한 신호(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와 통신하는 경우, 복수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에서 수신한 신호는, 합성함으로써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기지국 장치(송수신 포인트)에서 협조하여 수신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 장치는 PU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DCI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각 기지국 장치가 PUSCH의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송신할 수 있다. DCI는, SRI 및/또는 TPMI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는 그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적합한 송신 빔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하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DCI로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PUSCH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는 복수 레이어(코드워드, 트랜스포트 블록)에 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각 레이어에 대하여 SRI 및/또는 TPMI가 지시(설정)되어 있는 경우, 각 레이어는 각 기지국 장치에 적합한 송신 빔으로 송신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는, 하나의 DCI를 수신한 경우에,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DCI는 1레이어의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1레이어에 대하여 복수의 SRI 및/또는 TPMI가 지시(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다른 송신 빔을 사용하여 1레이어(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는, 하나의 DCI를 수신한 경우에,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타이밍에 송신하는 경우, 각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 품질을 동일한 타이밍에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하나의 DCI로 복수의 SRI 및 각각의 SRI에 대응하는 SRS 리소스를 지시(트리거)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는, 동일한 타이밍에 각각의 SRI에 대응하는 송신 빔 방향으로 SRS를 송신하면, 각 기지국 장치는 동일한 타이밍에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 품질을 알 수 있다.
단말 장치가 구비하는 서브 어레이가, 동일한 타이밍에 하나의 송신 빔 방향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다른 서브 어레이로 동일한 타이밍에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 장치로부터 하나의 DCI로 2개의 SRI가 지시(설정)되었을 때, 2개의 SRI가 동일한 서브 어레이에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동일한 타이밍에 2개의 SRI에 대응하는 송신을 실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SRS 리소스를 그룹 분류하여 설정하고, 그룹 내는, 동일한 서브 어레이를 사용하여 SRS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에 요구할 수 있다. 또한 그룹간에서 다른 서브 어레이를 사용하면, 기지국 장치는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SRI를 알 수 있다. 또한, SRS 리소스의 그룹은, SRS 리소스 세트여도 된다. 또한,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할 수 있는 SRS(SRS 리소스)는 QCL이 아닌 것으로 해도 된다. 이때, 단말 장치는, QCL 정보와 관련지어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QCL인 SRS와 QCL이 아닌 SRS를 구별하여 송신하면, 기지국 장치는 QCL인 SRI는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하지 않고, QCL이 아닌 SRI는 동일한 타이밍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의 서브 어레이마다 SRS를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서브 어레이마다 SRS를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동일한 타이밍에 송신할 수 없는 2개의 SRI가 지시된 경우,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다시 송신 빔 선택을 행하는 빔 리커버리의 수속을 요구할 수 있다. 해당 빔 리커버리 수속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송수신 빔의 트래킹이 어긋나 버려, 통신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에 행해지는 수속이며, 단말 장치는, 미리 새로운 접속처(기지국 장치의 송신 빔)를 취득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송신 빔 자체는 확보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동일한 타이밍에 송신할 수 없는 2개의 SRI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빔 리커버리의 수속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독립적인 빔 포밍이 설정된 복수의 안테나(안테나 패널)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당연히, 단말 장치는, 해당 복수의 안테나 패널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안테나 패널의 선택을 적절하게 행하지 않는 경우, 특히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는, 전송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해당 안테나에 설정되는 빔 포밍을 선택하기 위해,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빔 주사(탐사)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해당 빔 주사를 행하기 위해, SRS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의 전반(채널) 특성에 관한 상대성(관계성, 상반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전반 특성에 관한 정보로서, 기지국 장치는 빔 대응(Beam Correspondence, 공간 관련(Spatial relation), 공간 관련 정보(Spatial relation information), 수신 파라미터)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빔 대응은,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할 때 사용하는 수신 빔 포밍(공간 영역 수신 필터, 수신 가중치, 수신 파라미터, 수신 공간 파라미터)과,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하는 송신 빔 포밍(공간 영역 송신 필터, 송신 가중치, 송신 파라미터, 송신 공간 파라미터)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 장치는 빔 대응을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마다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SRS에 대한 빔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SRS 공간 관련 정보(SRS-SpatialRelationInfo)를 통지할 수 있다. 해당 SRS 공간 관련 정보가 소정의 신호(값,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 장치는 해당 소정의 신호에 관련지어진 빔 포밍을 사용하여, SRS의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공간 관련 정보가 동기 신호(SSB 및 PBCH)를 지정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해당 동기 신호를 수신할 때 사용한 수신 빔 포밍을 사용하여 SRS를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다른 신호(예를 들어, PUCCH/PUSCH/RS/RACH 등)나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다른 신호(예를 들어, PDCCH/PDSCH/RS)에 관한 공간 관련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즉, 기지국 장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공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공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공간 관련 정보가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공간 관련이 보증되어 있음을 인식한 경우, 제1 신호를 수신한 수신 파라미터(혹은 제1 신호를 송신한 송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2 신호를 송신하는(혹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공간 관련 정보를, 주파수간에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에 대하여, Pcell(제1 컴포넌트 캐리어)과 Scell(제2 컴포넌트 캐리어)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Pcell의 신호와, Scell의 신호 사이의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가 Scell에서 송신하는 SRS에 대하여, Pcell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공간 관련이 보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Scell의 SRS 공간 관련 정보로서 "Pcell SSB/PBCH"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Pcell에서 동기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사용한 빔 포밍을, Scell에서 송신하는 SRS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Scell의 PUCCH/PUSCH 공간 관련 정보로서, "Pcell CSI-RS"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Pcell에서 CSI-RS를 수신하였을 때 사용한 빔 포밍(혹은, Pcell에서 피드백한 CRI를 산출할 때 설정한 빔 포밍)을, Scell의 PUCCH/PUSCH의 송신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Scell의 공간 관련 정보를 지정하는 방법은, 상기 표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는, Scell에 대하여 설정하는 공간 관련 정보에서 지정하는 신호(예를 들어, 동기 신호(SSB/PBCH), CSI-RS, SRS)가 송신된 컴포넌트 캐리어(혹은 Bandwidth part(BWP))를 단말 장치가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Scell의 공간 관련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Scell의 공간 관련 정보를 지정할 때, 신호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해당 신호에 관련지어진 정보(예를 들어, BWP configuration, CC_Info 등)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PUSCH/PUCCH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SRS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은, 단말 장치는 상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말 장치가 SRS의 송신을 상정하고 있지 않은 Scell에 대해서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Scell에 있어서의 빔 대응에 관련지어진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이 지시에 의해, 단말 장치는, PUSCH/PUCCH가 지시되어 있지 않은 Scell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Pcell의 신호를 지정한 빔 대응에 관련지어진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Scell의 수신 빔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지국 장치는, Pcell과 Scell 사이의 공간 관련을 단말 장치에 설정하는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각각에 대하여 개별로 설정할 수 있는 한편, 포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Pcell과 Scell 사이의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Scell에 관한 공간 관련 정보로서, Pcell에 대하여 공간 관련이 보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Scell 공간 관련 정보를 정의하고, Scell 공간 관련 정보로서 "Pcell" 또는 Pcell의 셀 ID로 설정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Scell의 신호에 대한 공간 관련으로서, Pcell에서 설정되어 있는 공간 관련과 동일한 상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Scell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은, Pcell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Pcell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대하여, SRS 공간 관련이 CSI-RS에 대하여 보증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Scell에 있어서도, 단말 장치의 SRS 공간 관련이 CSI-RS에 대하여 보증되어 있음을 통지하기 위해, 단말 장치에 대하여, Scell의 공간 관련의 설정은 Pcell의 공간 관련과 동일하다고 상정해도 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Scell(Scell(s))을 단말 장치에 설정하는 경우, 복수의 Scell에 대한 빔 대응을, 단말 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Scell의 각각에 대하여, 빔 대응을 설정하는 대신에, 단말 장치가 각 Scell에 있어서 상정하는 빔 대응은, 모두 Pcell에 있어서 상정하는 빔 대응과 동일하다는 것을,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당연히, 기지국 장치는, Pcell에 있어서 상정하는 빔 대응과 동일한 상정을 행해도 되는 Scell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Pcell과 Scell의 빔 대응의 관련지음에 있어서, 디폴트 설정(Default configuration) 또는 디폴트 상태를 단말 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디폴트 설정으로서, Scell의 빔 대응은, Pcell과 동일한 것을 단말 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떠한 다른 설정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Scell의 빔 대응은, Pcell에 설정된 빔 대응과 동일하다고 상정하여 Scell에 있어서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공간 관련 정보를 Bandwidth part(BWP)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 하나 내지 복수의 BWP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제1 BWP에 있어서의 소정의 신호와, 제2 BWP에 있어서의 소정의 신호 사이의 공간 관련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 있어서의 BWP간에는 동일한 공간 관련이 상정 가능함을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통신을 행하는 BWP가 변경되거나, 또한 BWP의 대역폭이 변경된 경우라도, 해당 BWP가 속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설정된 공간 관련을 상정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지국 장치가 Pcell과 Scell을 설정하고 있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복신 방식이 TDD(시간 분할 복신)인 경우, 기지국 장치가 Pcell과 Scell의 각 슬롯에 대한 "하향 링크(D)"와 "상향 링크(U)"와 "Flexible(X)"의 설정은, Pcell과 Scell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는, 각 슬롯에 있어서의 설정과, 공간 관련 정보를 관련지을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Pcell과 Scell 사이의 슬롯의 설정과 공간 관련 정보를 관련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Pcell과 Scell의 슬롯이 소정의 관계인 경우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는 Pcell의 슬롯 설정(제1 슬롯 설정)이 'D'이고, Scell의 슬롯 설정(제2 슬롯 설정)이 'S'인 경우에, Scell과 Pcell의 공간 관련이 동일하다는 것을 단말 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동일한 빔 포밍을 사용하여, Pcell의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과, Scell의 상향 링크 신호의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는, Pcell과 Scell 사이에서 동일한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 Pcell과 Scell에서 다른 슬롯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시사하고 있다. 단말 장치는, Pcell과 Scell에서 다른 슬롯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Pcell과 Scell에서, 동일한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음을 상정하여 송신 및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Pcell과 Scell의 슬롯의 설정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단말 장치에 대하여, Pcell과 Scell에서 동일한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Pcell과 Scell에서 슬롯의 설정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음을 상정하여 송신 및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당연히, Pcell과 Scell에서 모든 신호에 대한 공간 관련이 동일하다고 상정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 장치는, 개별의 신호에 대하여, 각각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해 온 공간 관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방법은 어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준정적으로 단말 장치에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고, DCI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단말 장치에 공간 관련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 혹은 그 밖의 기억 장치 시스템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매체, 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그 밖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에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여도 되고, 종래 형 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전술한 전기 회로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복수의 양태는 당해 기술에 의한 새로운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그 밖의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혹은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A, 3A, 5A, 7A, 9A : 기지국 장치
2A, 4A, 6A : 단말 장치
101 : 상위층 처리부
102 : 제어부
103 : 송신부
104 : 수신부
105 : 송수신 안테나
106 : 측정부
1011 : 무선 리소스 제어부
1012 : 스케줄링부
1031 : 부호화부
1032 : 변조부
1033 :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1034 : 다중부
1035 : 무선 송신부
1041 : 무선 수신부
1042 : 다중 분리부
1043 : 복조부
1044 : 복호부
201 : 상위층 처리부
202 : 제어부
203 : 송신부
204 : 수신부
205 : 측정부
206 : 송수신 안테나
2011 : 무선 리소스 제어부
2012 :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
2031 : 부호화부
2032 : 변조부
2033 :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2034 : 다중부
2035 : 무선 송신부
2041 : 무선 수신부
2042 : 다중 분리부
2043 : 신호 검출부

Claims (8)

  1.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적어도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동기 신호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또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신호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인 기지국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신호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상향 링크 제어 신호인 기지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슬롯 설정을 나타내는 제1 슬롯 설정과,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슬롯 설정을 나타내는 제2 슬롯 설정에 관련지어져 있는 기지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설정과, 상기 제2 슬롯 설정이 다른 설정인 경우,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7.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신호에 관련지어진 공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공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할 때 설정한 공간 영역 수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송신하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에 설정하는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설정하는 단말 장치.
  8.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와 제2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상향 링크 신호에 있어서의 공간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영역 송신 필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20207016034A 2017-12-27 2018-11-12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562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1430 2017-12-27
JP2017251430A JP7085347B2 (ja) 2017-12-27 2017-12-27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PCT/JP2018/041817 WO2019130858A1 (ja) 2017-12-27 2018-11-12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705A true KR20200097705A (ko) 2020-08-19
KR102562560B1 KR102562560B1 (ko) 2023-08-03

Family

ID=6706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034A KR102562560B1 (ko) 2017-12-27 2018-11-12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90997B2 (ko)
EP (1) EP3735016A4 (ko)
JP (1) JP7085347B2 (ko)
KR (1) KR102562560B1 (ko)
CN (1) CN111557107B (ko)
CA (1) CA3086821A1 (ko)
SG (1) SG11202006020PA (ko)
WO (1) WO2019130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9278B2 (ja) * 2017-12-29 2023-08-01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および端末機器
US20200314829A1 (en) * 2019-03-29 2020-10-0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overhead reduction with resource grouping
US11356881B2 (en) 2019-06-20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eriodic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10798894A (zh) * 2019-09-30 2020-02-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确定、获取和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4066429A4 (en) * 2020-05-08 2023-06-14 ZTE Corporation CARRIER AGGREGATION USING COMPONENT CARRIER GROUPS
CN116235565A (zh) * 2020-07-23 2023-06-06 联想(北京)有限公司 配置上行链路传输配置指示状态
US11991532B2 (en) 2020-07-27 2024-05-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odifying values transmitted in a measurement report for beam management
JP7346474B2 (ja) * 2021-03-02 2023-09-19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678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134446A (ko) * 2015-04-03 201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한 다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15B1 (ko) * 2010-02-10 2017-12-01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8923196B2 (en) * 2012-03-16 2014-12-30 Blackberry Limi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collision resolu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JP5781103B2 (ja) * 2013-02-12 2015-09-1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セル選択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204180A (ja) * 2013-04-02 2014-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6021580A1 (ja) * 2014-08-05 2016-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集積回路、および、通信方法
US10306597B2 (en) * 2015-07-21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level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mobility in cellular network
WO2017022870A1 (en) * 2015-08-03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9054305A (ja) * 2016-01-26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432373B2 (en) * 2016-04-11 2019-10-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US11129070B2 (en) * 2017-05-04 2021-09-2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based neighbor relation information
US10602506B2 (en) * 2017-09-28 2020-03-24 Apple Inc. Activation of secondary cell containing bandwidth parts
JP7039258B2 (ja) * 2017-11-15 2022-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446A (ko) * 2015-04-03 201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한 다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64678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MT Vision -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Recommendation ITU-R M. 2083-0, Sept. 2015.
E. G. Larsson, O. Edfors, F. Tufvesson, and T. L. Marzetta, "Massive MIMO for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 IEEE Commun. Mag., vol.52, no.2, pp.186-195, Feb.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22957A1 (en) 2020-10-08
CN111557107B (zh) 2024-04-09
EP3735016A4 (en) 2021-09-29
SG11202006020PA (en) 2020-07-29
WO2019130858A1 (ja) 2019-07-04
RU2020120940A (ru) 2022-01-27
KR102562560B1 (ko) 2023-08-03
EP3735016A1 (en) 2020-11-04
CA3086821A1 (en) 2019-07-04
JP7085347B2 (ja) 2022-06-16
US11290997B2 (en) 2022-03-29
CN111557107A (zh) 2020-08-18
RU2020120940A3 (ko) 2022-01-27
JP2019118035A (ja)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0990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10045076A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9130938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562560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JP6843110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9130810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065189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3084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0090622A1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56082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210298079A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005460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933785B2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06519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0054606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11589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11590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0090623A1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20107951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RU27732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