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189A -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 Google Patents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189A
KR20200097189A KR1020190015622A KR20190015622A KR20200097189A KR 20200097189 A KR20200097189 A KR 20200097189A KR 1020190015622 A KR1020190015622 A KR 1020190015622A KR 20190015622 A KR20190015622 A KR 20190015622A KR 20200097189 A KR20200097189 A KR 2020009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ving plate
handle
container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19001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189A/ko
Publication of KR2020009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84Bottom construction having a dis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discrete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원터치 캡의 측면 몸체의 외부면에 사용 흔적 벨트 및 분리용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고, 측면 몸체에 단지 개봉용 손잡이 또는 개봉용 얇은 손잡이와 이를 보조하는 이동판만을 설치하여 덮개를 개봉하는 측면 몸체의 새로운 원터치 캡의 구조와, 용기의 내부 공간의 구조를 변경하여 알약을 한 두알 씩 꺼내도록 유출관 및 조절판을 설치하는 새로운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One-touch cap having a structure that is opened using only the opening handle}
본 발명은, 용기 입구(06)와 결합하는 기존의 원터치 캡(01)의 측면 몸체(07)에 구비한 개봉용 손잡이(16)와 그 보조 구조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새로운 구조 및 개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기 입구(06)와 결합하는 기존의 원터치 캡(01)의 측면 몸체(07)에 구비한 사용 흔적 벨트(09)는 원터치-캡(01)을 개봉하기 위하여 측면 몸체(07)로부터 뜯어내어 분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개봉용 손잡이(16)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해결하려는 과제로서, 기존 방법은 사용 흔적 벨트(09)를 이용하여 측면 몸체(07)를 상부부위(덮개)와 하부 부위로 완전히 분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분리하지 않고, 이동판(23)을 위로 밀어 올리고 개봉용 손잡이(16)에 결합시켜서 개봉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해결 방법의 구조이다 .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기존의 원터치 캡(01)의 측면 몸체(07)에서 사용하던 사용 흔적 벨트(09) 및 분리용 손잡이(14)를 제거한다. 그 대신, 개봉용 손잡이(16)의 아래 부위에 다양한 형상의 돌출형 이동판(23)을 설치한다. 이동판(23)과 개봉용 손잡이(16) 사이인 상변은 접혀지는 부위(28), 양쪽 수직변은 수직 분리 예정선(41) 및 수직 분리선(42), 하변은 수평 분리선(20)을 구비한다. 이동판(23)에는 개봉용 손잡이(16)의 몸체와 서로 결합할 수 있거나 결합 기능을 갖는 결합턱1(26)을 하나 이상 일정한 위치에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결합턱1(26)들을 이동판(23)의 좌변 및 우변 끝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치한다. 개봉용 손잡이(16)에도 이동판(23)과 서로 결합할 수 있거나 걸림 기능을 갖는 결합턱1(26)을 하나 이상 일체형으로 필요에 따라 구비한다. 구체적인 설명들은 아래에서 도시하는 여러 도면들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원터치-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환경 공해 예방(사용 흔적 벨트가 병마개 측면 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환경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2. 개봉의 편의성(개봉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편리하다.)
3. 사용상의 편리성 및 위생(내용물을 한두 알 씩 꺼낼 수 있다.)
도면 1은, 기존 원터치 캡(병마개+용기, 일명 : 듀마캡)과 용기가 결합한 전면 입체도이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 만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 본 사용하기 전의 입체도이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 만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 본 사용한 후의 입체도이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 만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 본 사용하기 전의 부분 확대 전면도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 만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 본 사용한 후의 부분 확대 전면도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얇은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용하기 전의 전면도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얇은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용한 후의 전면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얇은 개봉용 손잡이를 위 방향으로 젖혀서 덮개의 개봉을 시도하였을 때에 개봉은 실패하고 얇은 개봉용 손잡이만 상부 방향으로 젖혀진 측면도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유출 조절판을 용기에 설치하고 사용하기 전에 저장 공간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의 용기 단면도이다.
도면10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유출의 조절판을 용기에 설치하고 사용하는 순간에 조절판이 저장 공간을 차단하는 순간의 용기 단면도이다.
도면1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내부면에 설치한 조절판에 대한 상부도(용기 입구에서 바라 본) 이다.
도면12는, 용기의 바닥 부위의 구조에 관한 상부도이다(12-1 ~ 12-3).
도면13은, 용기의 바닥 부위의 구조에 관한 부분 단면도이다(13-1 ~ 13-3).
도면1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를 대신한 결합턱2를 원터치 캡의 측면 몸체에 설치한 전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 병마개(원터치 캡) 02 : 덮개
03 : 용기 04 : 하단 부위(덮개와 분리 후)
05 : 차단판(병마개, 덮개) 06 : 용기 입구
07 : 측면 몸체(병마개) 08 : 내부 공간(용기 입구)
09 : 사용 흔적 벨트 10 : 외부면(병마개 측면 몸체)
11 : 허리 부위 12 : 용기 몸체
13 : 개봉용 얇은 손잡이 14 : 분리용 손잡이
15 : 외부면(용기 입구) 16 : 개봉용 손잡이(덮개)
17 : 몸체(사용 흔적 벨트) 18 : 외부면(병마개 측면 몸체)
19 : 접혀진 개봉용 얇은 손잡이 20 : 수평 분리선(
Figure pat00001
)
21 : 수평 분리 예정선(
Figure pat00002
) 22 : 공간 부위(측면 몸체)
23 : 이동판 24 : 조절판(연결고리+수평판+걸림부위)
26 : 결합턱1(이동판에 설치) 27 : 결합턱2(개봉용 손잡이 위치에 설치)
28 : 접혀지는 부위(
Figure pat00003
) 29 : 연결 고리(조절판)
30 : 수평판(조절판의 몸체) 31 : 걸림 부위(조절판)
32 : 걸림턱(용기 입구 내부면 위치)33 : 유출관(용기)
24 : 나사선 35 : 허리 부위
36 : 모서리 부위(용기 하부 부위) 37 : 바닥 부위(용기)
39 : 경사면(바닥 부위) 40 : 요철 홈 부위
41 : 수직 분리 예정선(
Figure pat00004
) 42 : 수직 분리선(
Figure pat00005
)
43 : 내부 공간(용기) 44 : 수직 요철홈
50 : 정점 부위(바닥 부위) 51 : 상부면(바닥 부위)
52 : 하부면(바닥 부위) 53 : 바닥 수평면(바닥부위)
54 : 알약(내용물) 55 : 구분턱 56 : 지지대
* 분리선(
Figure pat00006
) : 측면 몸체가 완전히 잘려진 상태의 선
* 분리 예정선(
Figure pat00007
) : 측면 몸체가 요철 형상으로 붙어 있으나,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쉽게 찢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선
* 바닥 부위 : 정점 부위+상부면+바닥 수평면+하부면+구분턱+모서리부위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우선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 실시 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1은, 기존 원터치 캡(병마개+용기, 일명 : 듀마캡)과 용기가 결합한 전면 입체도이다. 본 도면은 이미 잘 알려진 기존 원터치 캡(01) 및 이와 결합하는 용기(03)에 대한 설명이다. 기존 제품(일명 : 원터치 캡 및 용기 또는 듀마 캡)은 병마개(01)의 측면 몸체(07)의 내부면과 용기입구의 외부면이 결합하여 완제품을 형성한다. 상기한 병마개는 차단판(05), 측면 몸체(07), 덮개(02)를 주요 부위로 한다. 측면 몸체(07)는 개봉용 손잡이(16), 사용 흔적 벨트(09), 수평 분리 예정선(22), 힌지, 수평 분리선(20) 및 분리용 손잡이(14)로 구성한다. 용기(03)는 용기 입구(06), 허리 부위(11), 용기 몸체(12), 용기의 바닥 부위(37)로 구성한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 만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 본 사용하기 전의 입체도이다. 측면 몸체(07)에 분리용 손잡이(14)를 생략하고 이동판(23)을 개봉용 손잡이(16)의 아래 위치에 설치한 그림이다. 개봉용 손잡이(16)와 분리판(23)의 사이의 상부변은 수평형의 접혀지는 부위(28)를 설치한다. 수직의 양변은 수직 분리 예정선(41)을 설치한다. 하변은 수평 분리선(20)을 설치한다. 이동판(23)은 돌출형이며, 수평 폭은 개봉용 손잡이(16)의 수평 폭보다 더 넓다. 좌우 끝에는 개봉용 손잡이(16) 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턱1(26)을 각각 갖는다. 이 결합턱1(26)들 간의 폭은 항상 개봉용 손잡이(16)의 몸체를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폭을 갖는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용한 후의 입체도이다. 이동판(23)을 개봉용 손잡이(16) 방향으로 밀어 올린 그림이다. 이동판(23)을 밀어 올리면, 이동판(23)의 좌우 변인 수직 분리 예정선(41)들이 분리된다. 이동판(23)을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수평형의 접혀 지는 부위(28)가 접혀 지면서 이동판(23)의 결합턱1(26)들이 개봉용 손잡이(16)의 좌 우변과 강하게 결합한다.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개봉용 손잡이(16)가 위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개봉용 손잡이(16)의 상부면과 측면 몸체(07)의 외부면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지지대(56)를 설치한다. 이동판(23)이 위치하던 자리의 하부 부위의 용기의 측면 몸체(07)의 외부면(10)은 노출되는 구조로도 설치할 수 있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 본 사용하기 전의 부분 확대 전면도이다. 개봉용 손잡이(16)와 이동판(23)은 수평으로 접혀 지는 부위(28)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한다. 개봉용 손잡이(16)와 이동판(23)은 수직 폭보다 수평 폭이 더 넓다. 개봉용 손잡이(16)의 수평 폭과 이동판(23)의 좌우 끝에 설치하는 두 개의 결합턱1(26) 내부면 간의 폭은 동일하다. 결합턱1(26)은 이동판(23)과 일체형으로서 개봉용 손잡이(16)의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의 돌출형으로 설치한다(그림 참조). 결합턱1(26)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와 이동판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 본 사용한 후의 부분 확대 전면도이다. 이동판(23)을 개봉용 손잡이(16) 방향으로 밀어 올려서 서로 결합시킨 그림이다. 이동판(23)을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수직 분리 예정선(41)이 분리하여 수직 분리선(42)이 된다. 접혀 지는 부위(28)가 접혀 지면서 이동판(23)이 상승하여 이동판(23)의 결합턱1(26)이 개봉용 손잡이(16)의 좌우변과 결합한 그림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얇은 손잡이와 이동판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용하기 전의 전면도이다. 개봉용 얇은 손잡이(13)의 상하 두께는 너무 얇아서 덮개(02)를 스스로 개봉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다. 상하로 쉽게 휘어지거나 접혀지는 두께를 갖는 구조이다. 개봉용 얇은 손잡이(13)는 독자적으로 덮개를 개봉할 개봉 기능을 갖지 못한다. 개봉용 얇은 손잡이(13)의 두께는 덮개(02)를 개봉하려는 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버팀력(지지력)을 가지지 못하는 두께를 갖는다. 즉,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개봉용 얇은 손잡이(13)가 상하로 젖혀지도록 하는 힘의 크기가 이 개봉용 얇은 손잡이(13)를 잡고 위로 젖혀서 덮개가 열리도록 하는 힘의 크기보다 항상 약하도록 그 두께를 얇게 처리한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얇은 손잡이와 분리판을 설치한 원터치 캡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용한 후의 전면도이다. 이동판(23)을 개봉용 얇은 손잡이(13) 방향인 위로 젖혀서 서로 결합시킨 그림이다. 결합 시에, 이동판(23)을 둘러싸고 있는 네 변들(상부 변, 좌우 변, 하부 변)은 다음과 같이 변한다. 상부변은 수평형의 접혀 지는 부위(28)로서 접혀지면서 이동판(23)을 개봉용 얇은 손잡이(13) 위치까지 이동 시킨다. 좌우변의 수직 분리 예정선(41)과 수직 분리선(42)은 혼합하여 설치하고, 상하폭은 이동판(23)의 하부부위부터 개봉용 얇은 손잡이(13)의 좌측 및 우측 상단 부위 위치까지 이다. 이동판(23)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젖힐 경우에는 수직 분리 예정선(41)은 수직 분리선(42)으로 변한다. 하부 변은 수평 분리선(20)으로서 이동판(23)의 수평 폭 보다 작지 않게 설치한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얇은 개봉 손잡이를 위 방향으로 젖혀서 덮개의 개봉을 시도하였을 때에 개봉은 실패하고 얇은 개봉 손잡이만 상부 방향으로 젖혀진 측면도이다. 본 도면의 핵심은, 개봉용 얇은 손잡이(13)만을 이용하여 덮개(02)를 절대 열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개봉용 손잡이(16)만을 이용하여 개봉을 시도하면, 위로 젖히는 힘을 지탱하지 못하고(덮개는 열리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 개봉용 얇은 손잡이(13)만 위 방향으로 젖혀져 버린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의 내부면에 설치한 조절판이 용기 입구와 내부 공간 사이를 차단하기 전의 용기 단면도이다. 조절판(24)은 조절판의 몸체인 수평판(30), 걸림 부위(31), 연결 고리(29)로 구성한다. 수평판(30)과 걸림 부위(31)는 연결 고리(29)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걸림 부위(31)는 용기 입구 내부면에 설치한 걸림턱(32)과 결합한다. 수평판(30)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상하 두께가 얇은 원판이 기본형이며, 다양한 형태를 필요에 따라 갖는다. 용기 입구의 내부면과 조절판(24)이 결합한 후의 수평판(30)의 위치는, 용기를 세워 둘 때에는 용기의 내부 공간 방향(수직 방향)으로 유지한다. 용기를 90°이상으로 눕힐 경우에는, 연결 고리(29)의 회전 작동 기능에 의하여 몸체의 수평판(30)은 용기 입구의 내부 공간(43)을 차단하도록 설치한다. 연결 고리(29)의 기능은 수평판(30)을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까지 약 90°에서 135°가량 회전 하는 기능을 갖는다. 조절판의 수평판(30)은 유출관(33)은 차단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10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의 내부면에 설치한 조절판이 용기 입구와 내부 공간 사이를 차단한 후의 용기 단면도이다. 용기 입구를 옆으로 약 90°에서 135°가량 옆으로 눕히면, 연결고리(29)에 의하여 걸림부위(31)와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수평판(30)은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연결고리(29)를 중심점으로 하고 회전하면서 용기 입구(06)의 내부 공간(08)과 용기의 내부 공간(43) 사이를 항상 차단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조절판의 수평판(30)은 항상 유출관(33)을 차단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1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내부면에 설치한 조절판이 용기 입구와 내부 공간 사이를 차단한 후 용기 입구에서 본 상부도이다. 용기(03)를 옆으로 약 90°~135°가량 눕힐 경우에는, 용기의 내부 공간(43)과 용기 입구(06)의 내부 공간(08) 사이를 조절판의 수평판(30)이 차단하지만 유출관(33)은 절대 차단하지 않은 그림이다. 용기 입구의 내부면은 원형이 기본형이다. 용기 입구의 내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형의 걸림턱(32)을 설치한다. 수평판(30)과 걸림부위(31)는 연결 고리(29)에 의하여 일체형이다. 용기의 몸통에 두 개의 수직 요철홈(44)들을 설치하고 그 사이(간격)는 유출관(33)이 설치된다. 수평판(30)은 항상 유출관(33)의 어느 위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12는, 용기의 바닥 부위의 구조에 관한 상부도이다(12-1, 12-2, 12-3). 도면 12-1, 정점 부위(50)가 용기 몸체의 중심부에 있는 그림이다.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39)은 정점 부위(50)의 직경의 크기와 경사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용기 몸통의 직경이 바닥 수평면(53)으로부터 정점 부위(50)까지의 높이의 1/4 보다 높아야 한다. 도면 12-2, 정점 부위(50)가 중심부에 위치하며 정점 부위의 외주선부터 모서리 부위(36)까지 하나 이상의 구분턱(55)을 갖는 그림이다. 구분턱(55)은 하나 이상 돌출형 및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용기의 몸통이 원형일 경우에는 경사면은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정점 부위의 직경의 크기와 구분턱(55)의 돌출한 높이에 따라 각도가 다르게 설치할 수 있다. 상부면(51)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면 12-3, 정점 부위(50)의 위치와 상부면(51)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타원형의 상부면(51)을 표현한다. 세 개의 구분턱(55)을 갖는 그림이다. 상부면(51)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경사면(39)을 동시에 갖는다. 도면13은, 용기의 바닥 부위의 구조에 관한 부분 단면도이다(13-1, 13-2, 13-3). 도면 13-1, 기본형으로서, 정점 부위(50)가 정 중앙에 위치한다. 정점 부위(50)의 직경은 다양하게 설치한다. 바닥 수평면(53)에서 정점 부위(50)까지의 높이는 측면 몸체(07) 높이의 1/4 이상으로 설치한다. 바닥부위(37)의 상부면(51)에서 모서리 부위(36)까지의 경사면(39)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다. 도면13-2, 기본형과의 차이점은 경사면(39)에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의 구분턱(55)을 갖는다. 구분턱(55)을 설치하는 위치는 바닥 부위(37)의 상부면(51)에 원주를 따라 설치한다. 정점부위(50)로부터 모서리 부위(36)까지 돌출형,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구분턱(55)의 구조(길이, 폭, 높이)는 다양하게 구현한다. 도면13-3, 도면 13-2과의 차이점은, 정점 부위(50)가 원주의 중심 부위를 벗어난 편심에 위치하며 그 위치와 직경의 크기와 구조는 다양(원형, 타원형, 사각형, 기타)하게 구현한다. 본 도면에서는 원형을 표현한다. 도면1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봉용 손잡이를 대신한 결합턱2를 원터치 캡의 측면 몸체에 설치한 전면도이다. 기본형은 이동판(23)이 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봉용 손잡이(16)와 결합한다. 그러나, 본 도면에서는 개봉용 손잡이(16)를 대신하여 결합턱2(27)를 설치한다. 이동판(23)과 일체형인 결합턱1(26)과 결합하는 결합턱2(27)를 서로 결합이 가능한 위치 즉 기존의 개봉용 손잡이(16) 또는 개봉용 얇은 손잡이(13)를 설치한 위치에 설치한다. 결합턱2(27)는 돌출형이며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두 종류 도면들을 구분하여 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첫째는, 이동판(23)과 개봉용 손잡이(16)만을 이용하여 덮개(02)를 개봉하는 방법이다. 이동판(23)을 위 방향으로 밀어 올려서 개봉용 손잡이(16)와 결합시키면서 덮개를 개봉한다(하나의 일연 동작으로 가능함). 둘째는, 용기 내부 공간에 보관 중인 알약(54)을 용기 밖으로 토출하는 방법이다. 1) 병마개를 개봉한다. 2) 내용물이 담긴 용기 몸체(12)를 손으로 쥐고 옆으로 약 90°~135°가량 눕힌다. 3) 용기의 내부 공간에 보관 중인 알약이 유출관(33)을 통하여 용기 입구(06)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한두 알씩 연이어서 빠져 나오며, 동시에 조절판의 몸체(30)는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전하면서 용기의 내부 공간(43)과 용기 입구의 내부 공간(08)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알약이 유출관(33)으로만 통과한다. 4) 알약을 꺼낸 후에, 용기를 다시 똑바로 세우면, 유출관에 위치하는 알약들은 내부 공간(43)으로 다시 내려가고, 조절판의 몸체의 수평판(30)도 다시 수직 방향으로 환원하여 용기 입구 내부 공간과 용기의 내부 공간 사이를 열어 놓는다. 5) 병마개를 결합하여 일정한 장소에 보관한다. 본 발명품의 구조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본 발명품에만 적용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기구들 및 시설물들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이용 및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차단판과 측면 몸체를 주요 부위로 하는 원터치 캡에 있어서,
    힌지, 수평 분리선(
    Figure pat00008
    ), 수평 분리 예정선(
    Figure pat00009
    ), 수직 분리선(
    Figure pat00010
    ), 수직 분리 예정선(
    Figure pat00011
    ), 개봉용 손잡이, 이동판을 구비하는 측면 몸체와;
    이동판의 위와 개봉용 손잡이의 사이에 설치한 수평형의 접혀 지는 부위(또는 공간부위-22)를 설치하는 것과;
    좌우 변의 옆에는 각각 수직 분리 예정선(
    Figure pat00012
    ) 및 수직 분리선(
    Figure pat00013
    )을 일정한 폭으로 수직 방향으로 조합하여 가지며, 하부 변 아래에는 수평 분리선(
    Figure pat00014
    )의 일정한 길이(수평폭)로 둘러싸여 있는 이동판(23)과;
    이동판(23)을 위로 밀어 올렸을 때에 이동판과 개봉용 손잡이(개봉용 얇은 손잡이 포함)가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동판의 일정한 위치와 개봉용 손잡이의 일정한 위치에 각각 결합턱-1을 설치한 이동판과;
    개봉용 손잡이의 상부면과 측면 몸체 외부면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한 여러 부위들을 이용하여 수월하게 개봉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구조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판(23)과 개봉용 손잡이의 결합을 위하여 좌변 끝과 우변 끝에 다양한 구조의 결합턱을 갖는 이동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판(23)을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밀어 올릴 경우에 이동판(23)이 측면 몸체와 일체형으로 또는 좌우변과 하변이 측면 몸체와 분리되어 위로 이동하여 개봉용 손잡이와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이동판(23)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판(23)과 함께 개봉용 얇은 손잡이를 측면 몸체에 갖는 것과, 개봉용 얇은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일체형인 덮개를 개봉할 수 없도록 수직 두께의 폭을 얇게 처리 하는 것과, 이동판(23)과 개봉용 얇은 손잡이가 결합한 후에는 덮개를 개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구조에 관한 모든 것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판과 결합하는 개봉용 손잡이(개봉용 얇은 손잡이 포함)를 대신하여 같은 위치(이동판이 위 방향으로 이동 시에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다양한 구조의 돌출형의 결합턱2(27)를 하나이상 다양한 위치에 구비하는 원터치 캡의 측면 몸체
  6. 이동판(23)을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밀어 올릴 경우에 이동판(23)이 측면 몸체와 일체형으로 또는 좌우변과 하변이 측면 몸체와 분리되어 위로 이동하여 개봉용 손잡이와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이동판(23)
  7. 이동판(23)과 함께 개봉용 얇은 손잡이를 측면 몸체에 갖는 것과, 개봉용 얇은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일체형인 덮개를 개봉할 수 없도록 수직 두께의 폭을 얇게 처리 하는 것과, 이동판(23)과 개봉용 얇은 손잡이가 결합한 후에는 덮개를 개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구조에 관한 모든 것
  8. 개봉하기 위한 모든 병마개
    개봉용 얇은 손잡이를 아래 방향에서 위 방향으로 밀어 올릴 경우에 개봉용 얇은 손잡이가 위 방향으로 밀리면서 접혀짐으로써 개봉용 얇은 손잡이 만에 의하여 덮개를 열수 없도록 얇은 수직 폭(두께)를 갖는 개봉용 얇은 손잡이의 구조와, 상기한 개봉용 얇은 손잡이와 이동판이 서로 결합시킨 후 개봉을 시도하였을 경우에는 덮개를 개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개봉용 얇은 손잡이와 이동판의 다양한 구조
  9. 원터치 캡의 구조
    이동판, 개봉용 얇은 손잡이, 수평 분리선, 수평 분리 예정선, 수직 분리 예정선, 수직 분리선 및 힌지를 측면 몸체의 일정한 위치에 갖는 것과, 개봉용 얇은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일체형인 덮개를 개봉할 수 없도록 개봉용 얇은 손잡이의 수직 두께를 얇게 처리 하는 것과, 이동판(23)과 개봉용 얇은 손잡이가 결합하여 개봉을 시도하는 경우에만 덮개를 개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구조와 기능을 갖는 원터치 캡
  10. 이동판과 결합하는 개봉용 얇은 손잡이를 대신하여 같은 위치(이동판이 위 방향으로 이동 시에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다양한 구조의 돌출형의 결합턱2(27)를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구비하는 원터치 캡의 측면 몸체
  11. 저장 공간과 유출관을 몸통에 갖는 용기에 있어서,
    수평판, 연결고리 및 걸림 부위로 구성되고, 용기 입구 내부 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하여 용기를 좌우로 흔들거나 옆으로 일정 각도 이상 눕혈을 경우레 용기의 외부 공간과 용기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는 기능과 구조를 갖는 조절판의 모든 것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걸림부위와 몸체의 수평판은 연결 고리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용기 입구 내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돌출형 및 일체형으로 설치한 걸림턱과 걸림 부위가 결합하며, 용기를 옆으로 90 ~ 135도 가량 눕히는 동작에 따라 연결 고리의 기능에 의하여 몸체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용기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의 개폐하는 기능의 수평판을 갖는 조절판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조절판 몸체의 수평판이 용기의 내부 공간과 용기 입구의 내부 공간을 차단할 때에, 그 차단 기능이 유출관은 항상 제외하는 구조를 갖는 수평판
  14. 용기의 돔형 바닥 부위에 있어서,
    돔형의 정점 부위의 높이가 바닥 수평면(53)으로부터 용기 직경의 1/3 이상을 유지하는 구조와, 정점 부위의 위치와 그 직경의 크기에 따라 정점 부위와 모서리 부위 간은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며, 그 경사면에는 돌출형이며 일체형으로 일정한 폭과 높이를 유지하는 구분턱을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 갖는 바닥 부위.
  15. 청구항14에 있어서,
    용기 몸체의 원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하고, 그 정점 부위가 편향(중심 점에서 벗어난 위치)하여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정점 부위의 직경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바닥 부위
KR1020190015622A 2019-02-07 2019-02-07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KR20200097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22A KR20200097189A (ko) 2019-02-07 2019-02-07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22A KR20200097189A (ko) 2019-02-07 2019-02-07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89A true KR20200097189A (ko) 2020-08-18

Family

ID=7226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22A KR20200097189A (ko) 2019-02-07 2019-02-07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1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857B2 (en) Container caps and systems
US20210163215A1 (en) Pill dispenser
US8360262B2 (en) Integrated food packaging system having a cup, a container, and a cover
US11059667B2 (en) Cassette and apparatus for use in disposing waste materials into an elongated flexible tube
CN102917961A (zh) 用于容器的盖子
US5484089A (en) Pill bottle and dispensing cap combination
CN108726248A (zh) 滑动切割器盒体
US20180029778A1 (en) Pill-dispensing package
US5022566A (en) Press-open side dispensing closure
JP5873650B2 (ja) カートリッジ
KR20200097189A (ko)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KR102089120B1 (ko)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KR20220013713A (ko)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KR20210131959A (ko)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우치
US3302835A (en) Combined shaker dispenser and closure
WO2013008508A1 (ja) 容器蓋および容器蓋スタック
US20190374432A1 (en) Pill container with cap
JPH0710175A (ja) 改良分配装置
JPH11189280A (ja) 粒状物を収納した容器の蓋体
KR20230172094A (ko)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JP2007161298A (ja) 容器ユニット
KR20190136147A (ko) 붙박이 화장용구를 탑재한 파우치형 액상 색조 화장품 용기
JP6910716B2 (ja) 錠剤容器
JP6725681B2 (ja) 錠剤用ディスペンサ
JP5113577B2 (ja) 注出用中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