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962A -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 Google Patents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962A
KR20200095962A KR1020190013992A KR20190013992A KR20200095962A KR 20200095962 A KR20200095962 A KR 20200095962A KR 1020190013992 A KR1020190013992 A KR 1020190013992A KR 20190013992 A KR20190013992 A KR 20190013992A KR 20200095962 A KR20200095962 A KR 2020009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ensor module
battery
support part
smal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637B1 (ko
Inventor
양대연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6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5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01M2/104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44Cells or batteri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ell condition indicating means
    • H01M6/505Cell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intens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은,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제1 회로기판;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제2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고,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이격된 공간에 배터리를 장착하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홀더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 할 수 있고, 부품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견고한 구조의 소형 센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Small Sensor Module Having Stacked Structure}
본 발명은 소형 센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홀더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는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단층 센서모듈의 경우, PWB 상면에 센서와 통신모듈이 탑재되며 하면에 배터리, 배터리홀더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단수의 센서만 실장되며, ON/OFF 스위치 및 동작인식용 LED를 탑재하기가 어려운 레이아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휴대용 전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휴대용 전기장치의 경우, 소형화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소형 배터리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소형 배터리의 일측면에는 회로기판이 탑재되고, 소형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기적 결속을 위해 다수의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홀더(14)는 케이스(12)내의 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16)은 미끄럼 가능하게 제거되는 리드(18)에 의해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이때, 리드(18)의 하부면에는 돌출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소형 배터리(20)를 하방으로 눌러 안정적인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전기장치의 경우, 소형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탑재하기 위해 다수의 부재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소형 배터리의 일측방향에만 회로기판을 탑재해야 하며, 여러 가지 전자소자 등을 탑재함에 있어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효과적으로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구조로 인해 소형화 구조를 달성함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76886호 (1999년 10월 25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홀더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 할 수 있고, 부품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견고한 구조의 소형 센서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은,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제1 회로기판;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제2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고,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이격된 공간에 배터리를 장착하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은 평면상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은, 프레임 내측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평면상 외경 대비 130 내지 140 %의 외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회로기판의 타측면과 면접촉하는 링 구조이고, 배터리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측구조가 형성된 제1 배터리지지부; 상기 제2 회로기판의 타측면과 면접촉하는 링 구조이고, 배터리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측구조가 형성된 제2 배터리지지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지지부와 제2 배터리지지부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며 고정하도록 제1 배터리지지부와 제2 배터리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둘 이상 장착된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지지부의 양단부는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에는 연결지지부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통전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지지부와 제2 배터리지지부는 연결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변경 및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지지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터리지지부와 제2 배터리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연결지지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지지부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된 구조의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형 센서모듈은, 상기 제2 회로기판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제2 회로기판의 타측면을 감싸는 구조이며,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는, 제2 회로기판의 타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내측에 제2 회로기판에 탑재된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감싸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형 센서모듈은, 내부에 상기 제1 회로기판, 제2 회로기판 및 프레임을 감싸는 구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 소형 센서모듈이 적용되는 환경과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회로기판에 탑재된 센서로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로는, 제1 회로기판 또는 제2 회로기판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 회로기판, 제2 회로기판 및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홀더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 할 수 있고, 부품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견고한 구조의 소형 센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고,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이격된 공간에 배터리를 장착하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내장함과 동시에 두 개의 회로기판을 탑재할 수 있고, 배터리와 회로기판이 차지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소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 배터리지지부, 제2 배터리지지부 및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내측에 제2 회로기판에 탑재된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감싸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의 커버부재를 제2 회로기판의 타측면에 장착함으로써, 회로기판에 탑재된 전자 소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제1 회로기판, 제2 회로기판 및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소형 센서모듈을 적용할 환경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용 전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기장치의 소형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형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형 센서모듈에는 하우징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에서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소형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소형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소형 센서모듈에는 하우징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100)은, 특정 구조의 제1 회로기판(110), 제2 회로기판(120) 및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기판(110)은,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센서(101)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구조이다. 제2 회로기판(120)은,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프레임(130)은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의 이격된 공간에 배터리(102)를 장착하며,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 회로기판(110), 제2 회로기판(120) 및 프레임(130)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홀더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 할 수 있고, 부품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견고한 구조의 소형 센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에서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소형 센서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3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센서모듈(100)은 특정 구조의 커버부재(140) 및 하우징(15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40)는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을 감싸는 구조이며, 프레임(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40)는,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내측에 제2 회로기판(120)에 탑재된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감싸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50)은, 내부에 상기 제1 회로기판(110), 제2 회로기판(120) 및 프레임(130)을 감싸는 구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 소형 센서모듈이 적용되는 환경과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의 일측에는, 제1 회로기판(110)에 탑재된 센서(101)로 연통되는 연통로(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50)의 내부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52)를 장착하여 연통로(15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152)는, 제1 회로기판(110) 또는 제2 회로기판(1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50) 내부에는 완충구조(153)가 형성되어 있어, 하중(150) 내부에 조립되는 구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50) 내부에 형성되는 완충구조(1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의 외부면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은 평면상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은, 프레임(130) 내측에 장착되는 배터리(102)의 평면상 외경 대비 130 내지 140 %의 외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의 외경을 배터리(102)의 외경 대비 130 % 미만의 길이로 설정하거나, 140% 초과의 길이로 설정할 경우, 소형 센서모듈(100)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30)은, 특정 구조의 제1 배터리지지부(131), 제2 배터리지지부(132) 및 연결지지부(13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터리지지부(131)는, 제1 회로기판(110)의 타측면과 면접촉하는 링 구조이고, 배터리(102)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측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배터리지지부(132)는,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과 면접촉하는 링 구조이고, 배터리(102)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측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지지부(133)는,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며 고정하도록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외주면을 따라 둘 이상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연결지지부(133)의 양단부는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에는 연결지지부(133)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홈(111, 121)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의 편의성 및 조립된 후의 안정적인 구조를 보장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9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는 연결지지부(133)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변경 및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지지부(133)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장착 갯수에 따른 높이에 따란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이격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이격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지지부(133) 외주면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둘 이상의 홈(137)이 형성되고,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에는 홈(137)과 대응되는 구조의 돌기(138)가 형성되어,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외주면에는 연결지지부(133)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35)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돌기(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지지부(133)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된 구조의 레일(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수직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지지부(133)는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통전회로(134)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지지부(133)의 상부에는 제1 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단자(134-1)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지지부(133)의 하부에는 제2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단자(13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134-1)와 제2 접속단자(134-2)는 연결지지부(133)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통전회로(13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102)의 상부와 하부에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을 배치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까지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 회로기판, 제2 회로기판 및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홀더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 할 수 있고, 부품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견고한 구조의 소형 센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고,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이격된 공간에 배터리를 장착하며,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내장함과 동시에 두 개의 회로기판을 탑재할 수 있고, 배터리와 회로기판이 차지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소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 배터리지지부, 제2 배터리지지부 및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내측에 제2 회로기판에 탑재된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감싸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의 커버부재를 제2 회로기판의 타측면에 장착함으로써, 회로기판에 탑재된 전자 소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센서모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제1 회로기판, 제2 회로기판 및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소형 센서모듈을 적용할 환경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소형 센서모듈
101: 센서
102: 배터리
110: 제1 회로기판
111: 홈
120: 제2 회로기판
121: 홈
130: 프레임
131: 제1 배터리지지부
132: 제2 배터리지지부
133: 연결지지부
134: 통전회로
134-1: 제1 접속단자
134-2: 제2 접속단자
135: 레일
136: 돌기
137: 홈
138: 돌기
139-1: 홈
139-2: 돌기
140: 커버부재
150: 하우징
151: 연통로
152: 개폐장치
153: 완충구조

Claims (13)

  1.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센서(101)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제1 회로기판(110);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탑재하고, 타측면에 배터리 접속단자가 형성된 제2 회로기판(120); 및
    상기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고,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의 이격된 공간에 배터리(102)를 장착하며,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프레임(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은 평면상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은, 프레임(130) 내측에 장착되는 배터리(102)의 평면상 외경 대비 130 내지 140 %의 외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제1 회로기판(110)의 타측면과 면접촉하는 링 구조이고, 배터리(102)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측구조가 형성된 제1 배터리지지부(131);
    상기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과 면접촉하는 링 구조이고, 배터리(102)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측구조가 형성된 제2 배터리지지부(132); 및
    상기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며 고정하도록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외주면을 따라 둘 이상 장착된 연결지지부(1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133)의 양단부는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에는 연결지지부(133)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홈(111, 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133)는 제1 회로기판(110)과 제2 회로기판(1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통전회로(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는 연결지지부(133)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변경 및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지지부(13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지지부(131)와 제2 배터리지지부(132)의 외주면에는 연결지지부(133)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35)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돌기(1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지지부(133)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된 구조의 레일(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센서모듈은,
    상기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을 감싸는 구조이며, 프레임(130)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부재(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40)는, 제2 회로기판(120)의 타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내측에 제2 회로기판(120)에 탑재된 발광소자 또는 스위치를 감싸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센서모듈은,
    내부에 상기 제1 회로기판(110), 제2 회로기판(120) 및 프레임(130)을 감싸는 구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 소형 센서모듈이 적용되는 환경과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50)의 일측에는, 제1 회로기판(110)에 탑재된 센서(101)로 연통되는 연통로(1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151)는, 제1 회로기판(110) 또는 제2 회로기판(1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센서모듈.
KR1020190013992A 2019-02-01 2019-02-01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KR102155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92A KR102155637B1 (ko) 2019-02-01 2019-02-01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92A KR102155637B1 (ko) 2019-02-01 2019-02-01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62A true KR20200095962A (ko) 2020-08-11
KR102155637B1 KR102155637B1 (ko) 2020-09-14

Family

ID=7204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992A KR102155637B1 (ko) 2019-02-01 2019-02-01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6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886A (ko) 1996-10-30 1999-10-25 요트.게.아. 롤페즈 휴대용 전기장치
KR20110045795A (ko) *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센트로 발광수단
KR20170128089A (ko) * 2016-05-12 2017-11-22 원명희 발광장치가 수납된 놀이 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886A (ko) 1996-10-30 1999-10-25 요트.게.아. 롤페즈 휴대용 전기장치
KR20110045795A (ko) *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센트로 발광수단
KR20170128089A (ko) * 2016-05-12 2017-11-22 원명희 발광장치가 수납된 놀이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637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2855A (en) Adapter for mounting on a circuit board
US8404988B2 (en) Control assembly
EP4266119A3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AU2010236822B2 (en) A portable assembly having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KR102155637B1 (ko)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JP2014123531A (ja) 点滅器
US6758690B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hield device
JP6880459B2 (ja) 通信装置
US20210072493A1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980000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lug
US10863623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ith two circuit carriers and a plastic molded body and arrangement having said configuration
JP2016537813A (ja) Pcbの穴を通り、ケーブルリードを整列させるコンジット
US6439895B1 (en) Pin-free socket compatible with optical/electrical interconnects
US8294037B2 (en) Method for arranging a component on a circuit board
US10335828B2 (en) Vibration motor
JP2005174628A (ja) 電池収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EP3407580B1 (en) Bracket for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KR20180028763A (ko)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JP7122874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電子装置
KR100997719B1 (ko)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JP4177074B2 (ja) 配線体の接続構造
KR102409789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KR101912319B1 (ko) 등명기 통합제어시스템용 케이스
JPH08110823A (ja) 情報機器の置き台
KR20140086444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