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553A - Electrical insulator in overhead conductor rail - Google Patents

Electrical insulator in overhead conductor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553A
KR20200095553A KR1020207020062A KR20207020062A KR20200095553A KR 20200095553 A KR20200095553 A KR 20200095553A KR 1020207020062 A KR1020207020062 A KR 1020207020062A KR 20207020062 A KR20207020062 A KR 20207020062A KR 20200095553 A KR20200095553 A KR 20200095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rack
rail
rail body
conducto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러스 윌리
Original Assignee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filed Critical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9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5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8Section insulators; Sectio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5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애자 섹션(19,31)으로 진입하여 이동 방향(1)을 따라 이동하는 철도 차량의 집전 장치(30)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전도체 레일(4)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 방향(1) 내에서 연장하고 상기 전류를 전도하는 접속 트랙(14)을 구비하는 레일 몸체(10,12,13)로서, 상기 접속 트랙(14)은 상기 집전 장치(30)가 접속 방향(9)에서 접속 트랙(14)에 접촉될 수 있는 방식으로 레일 몸체(10,12,13) 상에 배열되는, 레일 몸체(10,12,13); 및 상기 접속 방향(9)에 대해 그리고 상기 이동 방향(1)에 대해 경사져서 있는 횡 방향(11)에서 보여질 때 상기 접속 트랙(14)으로부터 횡 방향 간격(11)으로 상기 레일 몸체(10,12,13) 상에 유지되는 보조 전선(7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선(70)은 상기 접속 방향(9)에서 보여질 때 상기 접속 트랙(14)으로부터 접속 방향 간격(75)으로 배열되고, 상기 접속 방향 간격(75)은 상기 이동 방향(1)을 따라 감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rail (4) for providing current to a current collector (30) of a railroad vehicle entering the insulator section (19,31) and moving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1), the movement direction (1) ), the rail body (10,12,13) having a connection track (14) that extends within and conducts the current, wherein the connection track (14) is connected in a connection direction (9) by the current collector (30) A rail body (10,12,13) arranged on the rail body (10,12,13)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rack (14); And the rail body 10 at a transverse distance 11 from the connecting track 14 when viewed in a transverse direction 11 whic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direction 9 an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1. 12,13), and the auxiliary wire 70 is arranged in a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75 from the connection track 14 when viewed in the connection direction 9 , The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75 includes decreas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1.

Figure P1020207020062
Figure P1020207020062

Description

오버헤드 전도체 레일에서의 전기 절연체Electrical insulator in overhead conductor rail

본 발명은 애자 섹션(section insulator)으로 진입하여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철도 차량의 집전 장치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전도체 레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rail for providing current to a current collector of a railroad vehicle that enters a section insulator and moves along a moving direction.

애자 섹션은 독일 특허문헌 DE 1 163 894 B로부터 알려져 있다. 애자 섹션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도전 러너들(conductive runners)을 가지는데, 그들은 절연 러너들(insulating runners)에 의해 이동 방향에서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전기적 차단은 상기 도전 러너들이 궤도의 한 구획 상에서 이동 방향 내에서 오버랩되게 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독일 특허문헌 DE 1 163 894 B에 따르면, 애자 섹션은 기차가 시속 120 킬로미터보다 상당하게 낮은 속도로 통과되어야만 한다는 단점을 가지는데, 이는 결코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상기 절연 및 도전 러너들 때문에 기차의 집전 장치(current collector)가 상기 애자 섹션에 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중심으로 한 토크를 가하고, 그것이 집전(current collection)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The insulator section is known from German patent document DE 1 163 894 B. The insulator section has two conductive runner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which are electrically isolat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insulating runners. The electrical cutoff is designed to cause the conductive runners to overlap in the direction of travel on a section of the track. However, according to the German patent document DE 1 163 894 B, the insulator section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train has to pass at a speed considerably lower than 120 km/h, which is because of the insulated and conductive runners, which can never be accurately controlled. This is because a current collector applies a torque to the insulator section about a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기차가 적어도 시속 100 킬로미터로 애자 섹션을 통과할 때 집전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토크가 최소화되게 하는 방식으로 애자 섹션 내로의 진입을 개선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entry into the insulator section in such a way that the aforementioned torque is minimized in order to minimize negatively affecting the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when the train passes through the insulator section at at least 100 kilometers per hour.

상기 과제는 전도체 레일에 의한 청구항 1의 특징들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This task is solv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claim 1 by means of a conductor r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the subject of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애자 섹션으로 진입하여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철도 차량의 집전 장치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전도체 레일은 상기 이동 방향 내에서 연장하고 상기 전류를 전도하는 접속 트랙을 구비하는 레일 몸체로서, 상기 접속 트랙은 상기 집전 장치가 접속 방향에서 접속 트랙에 접촉될 수 있는 방식으로 레일 몸체 상에 배열되는, 레일 몸체; 및 상기 접속 방향에 대해 그리고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있는 횡 방향에서 보여질 때 상기 접속 트랙으로부터 횡 방향 간격으로 상기 레일 몸체 상에 유지되는 보조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선은 상기 접속 방향에서 보여질 때 상기 접속 트랙으로부터 접속 방향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접속 방향 간격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감소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or rail for providing current to a current collector of a railroad vehicle moving along a moving direction by entering the insulator section includes a connection track extending within the moving direction and conducting the current. A rail body, wherein the connection track is arranged on the rail body in such a way that the current collector can contact the connection track in a connection direction; And an auxiliary wire held on the rail body at a transverse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track when view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wherein the auxiliary wire is in the connection direction It is arranged at a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from the connection track when viewed, and the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decreas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이러한 전도체 레일은 접속 방향에서 보여질 때 접속 트랙의 높이에 대응하여 보조 전선을 천천히 낮춤에 의해 시작 부분에서 언급한 토크를 예방하려는 생각에 기반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집전 장치는 이동 방향에서 보여질 때 일종의 리드 구획(lead section) 내에 애자 섹션의 전방에서 전도 러너 및 절연 러너의 평행한 이중 접속에 대해 천천히 적응될 수 있고, 인가되는 어떠한 토크의 효과도 상당하게 저감될 수 있다. 이는, 다음으로, 철도 차량이 적어도 시속 100 킬로미터로 특정 전도체 레일에 연결된 애자 섹션을 통과할 때 집전의 질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저감한다. These conductor rails are based on the idea of preventing the torque mentioned at the beginning by slowly lowering the auxiliary wire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track when viewed from the connecting direction. In this way,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slowly adapted to the parallel double connection of conductive runners and insulated runners in front of the insulator section within a kind of lead section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effect of any applied torque Also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is, in turn, reduces the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when a railroad vehicle passes through an insulator section connected to a specific conductor rail at at least 100 kilometers per hour.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트랙 및 상기 보조 전선은 상기 접속 트랙 및 상기 보조 전선 간의 상기 접속 방향 간격이 계속적으로 감소되게 하는 접근각으로 상기 접속 방향 내에서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조립에 관하여, 이러한 접근각은 높은 정밀도를 갖고서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connection track and the auxiliary wire are arranged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nnection direction at an approach angle such that the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between the connection track and the auxiliary wire is continuously reduced. With regard to assembly, this approach angle can be implemented in a simple manner with high precision.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접근각은 0.1° 내지 5°이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이다. 상기 특정 접근각에 대한 구간들 내에서, 집전 장치에 대한 토크는 보조 전선을 과도한 기계적 응력에 종속시키지 않고도 감쇠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approach angle is between 0.1° and 5°, preferably between 0.2° and 1° and particularly preferably between 0.5°. Within the sections for this particular approach angle, the torque to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damped without subjecting the auxiliary wire to excessive mechanical stress.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전선은 이동 방향에서 보여질 때 적어도 4 미터의 길이를 가진다. 앞서 언급된 속도에서, 이 트랙은 상기 집전 장치에 대한 토크를 감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허용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auxiliary wire has a length of at least 4 meters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At the aforementioned speed, this track allows sufficient time to dampen the torque to the current collector.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전선은 상기 접속 방향 내에서 작동하는 형상 조립(form fit)으로서 상기 레일 몸체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보조 전선은 단순하게 그를 걸어 놓음에 의해 상기 레일 몸체 상에 장착될 수 있어서, 설치를 특히 쉽게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auxiliary wire is mounted to the rail body as a form fit operating within the connection direction. In this way, the auxiliary electric wire can be mounted on the rail body by simply hanging it, making installation particularly easy.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 조립은 상기 접속 방향에서 상기 레일 몸체로부터 상기 보조 전선의 높이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 In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shape assembly comprises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spacing of the auxiliary wire from the rail body in the connection direction.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레일 몸체 상에 배치되어 나사산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상기 보조 전선이 유지될 수 있는 너트를 포함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adjusting means comprises a nut disposed on the rail body and capable of being threaded and screwed onto, to which the auxiliary wire can be retained.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전선은 상기 형상 조립에 대항하여 리셋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 방향 내에서 상기 레일 몸체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앞선 언급된 인가된 코트의 감쇠는 증가될 수 있다. In a further embodiment of a specific conductor rail, the auxiliary wire is supported on the rail body in the connection direction to reset against the shape assembly. In this way, the attenuation of the previously mentioned applied coat can be increased.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방향은 중력 방향과 정렬되어서, 리셋은 중력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적인 리셋 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은 아껴질 수 있다. In a suitable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connection direction is aligned with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reset is implemented by gravity. In this way, additional reset means, for example springs, can be saved.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특정한 전도체 레일은 상기 레일 몸체 상에 유지되는 추가 보조 전선을 포함하고, 두 개의 보조 전선은 상기 접속 방향 및 상기 이동 방향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접속 트랙을 침투하는 대칭 평면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된다. 시작 부분에서 언급된 토크의 감쇠는 대칭적으로 연장하는 보전 전선에 의해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In a further embodiment, a particular conductor rail comprises an additional auxiliary wire held on the rail body, the two auxiliary wires being defined by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each other relative to a plane of symmetry penetrating the connection track.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attenuation of the torque mentioned at the beginning can be further increased by means of a symmetrically extending maintenance wire.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특정한 전도체 레일은 보조 전선을 가진 애자 섹션용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보조 전선은, 이동 방향에서 보여질 때, 접속 방향에 반하여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반대되는 측면으로 휘어진 것이다. 앞서 언급된 접근각을 넘어선 상기 보조 전선의 추가적인 휘어짐은 상기 보조 전선에 진입할 때 상기 집전 장치가 충돌할 수 있는 엣지를 줄인다. In a further embodiment, a particular conductor rail comprises a connection interface for an insulator section with an auxiliary wire, the auxiliary wire being bent in a side opposite to the connection interface, as seen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additional bending of the auxiliary wire beyond the aforementioned approach angle reduces the edge at which the current collector may collide when entering the auxiliary wire.

특정한 전도체 레일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전선은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레일 몸체 상에 유지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횡 방향 및 상기 접속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 내에 유지된다. 한편으로는, 상기 플레이트는 무게가 낮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접속 방향 내에서 및 그에 대항하여 힘의 효과적인 흡수 및 그에 따른 시작 부분에서 언급된 토크의 효과적인 감쇠를 허용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a particular conductor rail, the auxiliary wire is held on the rail body by a plate, and the plate is held in a plane defined by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direction. On the one hand, the plate has a low weight, but nevertheless allows an effective absorption of forces in and against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thus an effective damping of the torques mentioned at the beginning.

본 발명에 따른 전도체 레일은 접속 방향에서 보여질 때 접속 트랙의 높이에 대응하여 보조 전선을 천천히 낮춤에 의해 시작 부분에서 언급한 토크를 예방하여, 철도 차량이 적어도 시속 100 킬로미터로 특정 전도체 레일에 연결된 애자 섹션을 통과할 때 집전의 질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게 한다.The conductor rail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vents the torque mentioned at the beginning by slowly lowering the auxiliary wir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track when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so that the railroad vehicle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conductor rail at at least 100 kilometers per hour. It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the collec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insulator section.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들 및 이들을 실현하기 위한 방식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기차용 궤도 구획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궤도 구획용 애자 섹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궤도 구획용 절연 섹션(neutral secton)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애자 섹션 또는 도 3의 절연 섹션용 연결 부재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의 연결 부재용 유지 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6a는 도 3의 연결 부재를 진입하는 전도체 레일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며,
도 6b는 도 3의 연결 부재를 진입하는 전도체 레일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7a는 도 3의 연결 부재를 진입하는 전도체 레일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3의 연결 부재를 진입하는 전도체 레일의 개략적인 확대 측면도이고,
도 8a는 제1 지점에서 도 3의 연결 부재를 진입하는 전도체 레일의 단면도이며,
도 8b는 제2 지점에서 도 3의 연결 부재를 진입하는 전도체 레일의 단면도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for realizing them,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rack section for a trai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insulator section for the track section of Figure 1,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nsulating section (neutral secton) for the track section of FIG. 1,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connecting member for the insulator section of Fig. 2 or the insulating section of Fig. 3,
5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holding element for the connection member of FIG. 4,
Figure 6a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conductor rail enter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ure 3,
Figure 6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conductor rail enter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ure 3,
7A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a conductor rail enter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3,
7B is a schematic enlarged side view of the conductor rail enter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3,
8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ctor rail enter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3 at a first point,
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uctor rail enter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3 at a second point.

도면에서 동일한 기술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표기하였고, 한 번씩만 설명되었다. 도면들은 단순히 개념적인 것이며, 특히, 실제적인 형상 비율을 반영한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the same technical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numbers, and are described only once. The drawings are merely conceptual and, in particular, do not reflect actual shape ratios.

궤도(3)를 가지고 이동 방향(1) 내에서 연장하는 궤도 구획(2)을 보여주는 도 1이 참조되는데, 그에서 미도시된 기차는 궤도(3) 상에서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기차의 전력 공급을 위하여, 전도체 레일(4)은 궤도(3) 상에서 추가로 참조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높이에 배열되고, 이동 방향(1) 내에서 또한 연장되어서, 더 이상 참조되어 설명되지 않는 집전 장치를 가진 기차는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전도체 레일(4)로부터 전기를 획득해낼 수 있다. Reference is made to FIG. 1, which shows a track section 2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with the track 3, in which a train not shown can be driven electrically on the track 3 to move. For the power supply of the train, the conductor rails 4 are arranged at a height not additionally referenced on the track 3, and also exten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so that the current collecting, which is no longer referenced and described. The train with the device can obtain electricity from the conductor rail 4 in a manner known per se.

전도체 레일(4)은 도 1에서 천장(5)의 형태로 보여지는 캐리어에 매달리게 된다. 천장(5)은, 예를 들어, 터널이나 교량의 일부일 수 있다. 전도체 레일(4)은 도 2에서 더 이상 구체적으로 보여지지 않는 현수 수단에 의해 천장(5)으로부터 매우 짧은 현수 간격(6)에 유지될 수 있다.The conductor rail 4 is suspended from the carrier shown in the form of the ceiling 5 in FIG. 1. The ceiling 5 may be, for example, a tunnel or part of a bridge. The conductor rail 4 can be held in a very short suspension distance 6 from the ceiling 5 by means of suspension which are no longer specifically shown in FIG. 2.

도 1은 전도체 레일(4)의 프로파일(7)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1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rofile 7 of a conductor rail 4.

프로파일(7)에 관해 보면, 전도체 레일(4)은 프로파일 축(8)에 대해 선대칭적이다. 프로파일 축(8)은 궤도 구획(2)의 높이 방향(9)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높이 방향(9)에서 보게 되면, 전도체 레일(4)의 상부 측에 횡단 암(10)이 존재하고, 그로부터 두 개의 텐션 암(12)이 이동 방향(1)에 직각으로, 그리고 높이 방향(9)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횡 방향(11) 내에서, 높이 방향(9)에 반하여, 서로에게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한 채로 연장한다. 클램핑 암(13)은 횡단 암(10)에 반대되는 각 텐션 암(12)의 단부에 연결되고, 그들 사이에 접속 전선(14)의 형태인 접속 트랙이 텐션 암들(12)에 의해 클램핑되어 유지된다. With respect to the profile 7, the conductor rail 4 is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profile axis 8. The profile axis 8 extends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9 of the track section 2. Viewed from the height direction (9), there is a transverse arm (10) on the upper side of the conductor rail (4), from which the two tension arms (12) ar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1), and the height direction (9).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1 extending at a right angle to ), it extends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s opposed to the height direction 9. The clamping arm 13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tension arm 12 opposite to the transverse arm 10, and a connection track in the form of a connection wire 14 between them is clamped and held by the tension arms 12. do.

도 1에 도시된 전도체 레일(4)은 통상적으로 많은 수의 전도체 레일 구획들로서 구성되는데, 그들은, 도 1의 프로파일(7)에서 보여지듯이, 전방 단부에서 서로에 대응하여 놓여지고 이음 철판들(15)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된다. 그 상호적인 정렬은 이음 철판들(15)과 전도체 레일 구획들 간에 높이 방향(9) 내에 계합을 통해 발생하는데, 이는 도 1에서 은촉붙임 연결(16)로서 설계되어 있다. 개별적인 전도체 레일 구획득을 서로에 대항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스크류들(17)이 이음 철판들(15) 내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conductor rail 4 shown in FIG. 1 is typically configured as a large number of conductor rail sections, which are lai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the front end, as shown in the profile 7 of FIG. ) Are precisely alig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reciprocal alignment takes place through engag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9 between the joint plates 15 and the conductor rail sections, which is designed as a tack connection 16 in FIG. 1. Screws 17 can be screwed into the joint plates 15 to secure the individual conductor rail divisions against each other.

클램핑 암들(13) 간에 접속 전선(14)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클램핑 암들(13)과 텐션 암들(12) 간에 연결 지점에 연장하는 궤도 구획들(18)은 횡 방향(11) 내에서 또는 그에 반하여 연결되고, 그 위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보여지지는 않는 관통 캐리지(threading carriage)가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하여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소개는 피한다. In order to clamp the connecting wire 14 between the clamping arms 13, the track sections 18 extending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lamping arms 13 and the tension arms 12 are in or vice versa. It is connected, and the through carriage (threading carriage), which is not shown in more detail thereon, can move. Since this is no longer necessary to understand this embodiment, a more detailed introduction thereof is avoided.

애자 섹션(19)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보이는 도 2를 참조한다.Reference is made to FIG. 2 which show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insulator section 19.

도 1로부터의 오버헤드 접속 라인(14)을 이동 방향(1)에서 다른 구획득로 전기적으로 분리함에 의해, 앞서 언급된 기차는 이러한 전기적 절연 지점들을 통과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에 보여진 애자 섹션(19)은 제1 라인 구획(20)의 전도체 레일(4)과 제2 라인 구획(21)의 전도체 레일(4)을 연결한다. It is known that by electrically separating the overhead connection line 14 from Fig. 1 with different division gains in the direction of travel 1, the aforementioned train must be able to pass through these electrical isolation points. The insulator section 19 shown in FIG. 2 connects the conductor rail 4 of the first line segment 20 and the conductor rail 4 of the second line segment 21.

이동 방향(1)에서 보여질 때, 애자 섹션(19)은 제1 연결 디바이스(22)를 포함하는데, 그는 진입 엣지(23)와 이동 방향(1)에서 볼 때 진입 엣지(23)에 반대되는 진출 엣지(24)를 가진다. 진입 엣지(23)와 진출 엣지(24)는 측방 엣지(25)에 의해 연결된다. 평면도에서, 높이 방향(9)에 반하여 보여질 때, 제1 연결 디바이스(22)는 본질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the insulator section 19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device 22, which is opposite to the entry edge 23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and the entry edge 23. It has an exit edge 24. The entry edge 23 and the exit edge 24 are connected by a lateral edge 25. In plan view, when viewed against the height direction 9,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has an essentially triangular or trapezoidal shape.

제1 라인 구획(20)의 전도체 레일(4)은 제1 연결 디바이스(22)의 진입 엣지(23)에 연결된다. 제1 라인 구획(20)의 전도체 레일(4)을 통해 연장되는 접속 전선(14)은, 제1 연결 디바이스(22)의 영역 내로 이어진다. 진출 엣지(24)는 횡 방향(11) 내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간격으로 배열되는 특별 전도체 레일들에 의해 이어지고, 이들은 참조번호 4'로 지정된다. 특별 전도체 레일들(4')의 특별한 특징들은 나중에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각 특별 전도체 레일(4')은 이동 방향(1)에서 대응하는 절연 러너(26)에 연결되는데, 그는 이동 방향(1) 내에서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오프셋(27)을 갖고 위치한다. 각 절연 러너(26)는 다음으로 특별 전도체 레일(4')에 연결됨에 의해, 제2 연결 디바이스(28)의 진출 엣지(24)는 다음으로 이러한 특별 전도체 레일들(4')에 연결된다. 제2 연결 디바이스(28)는 이동 방향(1)에서 보았을 때 제1 연결 디바이스(22)에 거울-대칭적(mirror-symmetrical)이다. 제2 라인 구획(21)의 전도체 레일(4)은 제2 연결 디바이스(28)의 진입 엣지(23)에 연결된다. The conductor rail 4 of the first line segment 20 is connected to the entry edge 23 of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The connection electric wire 14 extending through the conductor rail 4 of the first line segment 20 leads into the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The exit edge 24 is connected by special conductor rails arranged at spaced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1, which are designated by reference number 4'. The special features of the special conductor rails 4'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later. Each special conductor rail 4 ′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insulating runner 26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which is located with an offset 27 in relation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Each insulating runner 26 is then connected to a special conductor rail 4 ′, so that the leading edge 24 of the second connecting device 28 is then connected to these special conductor rails 4 ′. The second connection device 28 is mirror-symmetrical to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The conductor rail 4 of the second line segment 21 is connected to the entry edge 23 of the second connection device 28.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각 측방 엣지(25)의 영역 내에서, 연결 디바이스들(22,28) 아래에는 접속 전선이 놓여지고, 이는 전도체 레일(4) 내에 유지되는 접속 전선(14)와 구별하여 연결 전선(28)으로서 참조된다. 개벽적인 연결 전선들(29)은 도 2에서 점선들에 의해 표시된다. 유사하게,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접속 전선들은 특별 전도체 레일들(4') 아래에서 유지되는데, 그들은 전도체 레일들(4)의 아래에 있는 접속 아이어들(14)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되게 하기 위하여 라인 구획들(20,21) 내에서 참조번호 14'로서 표시된다. 특별 전도체 레일들(4')의 접속 전선들(14')은 또한 도 2에서 점선들로서 보여진다.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9, in the region of each lateral edge 25, under the connecting devices 22, 28, a connecting wire is laid, which is held in the conductor rail 4. ) And is referred to as a connecting wire 28. Individual connection wires 29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2. Similarly,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9), the connecting wires are held under special conductor rails (4'), which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onnecting irons (14) underneath the conductor rails (4). To b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4' in the line segments 20,21. The connecting wires 14 ′ of the special conductor rails 4 ′ are also shown as dotted lines in FIG. 2.

연결 전선들(29)는 특별 전도체 레일들(4')의 접속 전선들(14')과 함께 도전 러너들(14',29)을 형성하고, 그들은 두 개의 라인 구획득(20,21)의 접속 전선들(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connecting wires 29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wires 14 ′ of the special conductor rails 4 ′ form conductive runners 14 ′ and 29, and they form two line division gains 20 and 21.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wires 4.

절연 러너들(26)은 도전 러너들(14',29)을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집전 장치(29)가 이동 방향(1)에서 애자 섹션(19)을 진입하게 되면, 집전 장치(30)는 이동 방향(1)에서 볼때 제1 절연 러너(26)가 도달할 때까지 라인(20)의 제1 구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남는다. 제1 절연 러너(26)를 지나칠 때, 집전 장치(40)는 제1 라인 구획(2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채로 유지되고, 제1 절연 러너(26)를 떠난 후에는, 오프셋(27) 내에서 제2 라인 구획(21)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러나, 집전 장치(30)는 또한 이동 방향(1)에서 볼때 제2 절연 러너(26)를 지나치자 마자, 제1 라인 구획(20)과의 전기적은 접속을 잃게 되고 제2 라인 구획(21)과의 전기적 접속만을 가진다. The insulating runners 26 electrically block the conductive runners 14 ′ and 29. When the current collector 29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2 enters the insulator section 19 in the moving direction 1,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30 is the first insulating runner 26 when viewed from the moving direction 1 I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of line 20 until it is reached. When passing the first insulating runner 26, the current collector 40 remains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line segment 20, and after leaving the first insulating runner 26, within the offset 27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e section 21 at. However, the current collector 30 also loses its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line segment 20 as soon as it passes the second insulating runner 26 when viewed in the moving direction 1 and the second line segment 21 It has only electrical connection with

도 2의 애자 섹션(19)은, 오프셋(27) 영역에서 집전 장치(30)가 라인 구획득(20,21) 둘 다와 동시에 접속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만약 두 개의 라인 구획들(20,21)이, 예를 들어 두 개의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들 간의 전이(transition)에서와 같이, 다른 전압 전위(voltage potential)를 가지게 되면, 오프셋(27) 영역 내에서 두 개의 구획들(20,21) 간에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The insulator section 19 of FIG. 2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current collector 30 is connected with both the line division gains 20 and 21 at the same time in the region of the offset 27. If the two line segments 20 and 21 have different voltage potentials, such as in a transition between two different power supply systems, then within the region of the offset 27 An arc may occur between the two compartments 20 and 21.

오프셋(27) 영역 내에서 다른 전압 전위가 발생하는 경우에 두 개의 라인 시스템들(20,31) 간에 아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애자 섹션(19)은 도 3에서 보여지는 절연 섹션(31)으로 쉽게 재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arcing between the two line systems 20 and 31 when different voltage potentials occur within the region of the offset 27, the insulator section 19 is replaced by the insulating section 31 shown in FIG. Can be easily reconfigured.

제1 라인 구획(20)에서 시작하여 두 개의 절연 러너들(26)까지, 절연 섹션(31)은 애자 섹션(19)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두 개의 절연 러너들(26)은 접지 연결들(32)을 가진 두 개의 전도체 레일들에 연결되고, 그들은 전도체 레일 하에서 유지되는 접속 전선(14')을 접지한다. 이러한 전도체 레일들은 그에 의해 접지 레일들(33)로서 참조된다. 그에 의해, 두 개의 절연 러너들(26)의 오프셋(27) 영역 내로 들어가는 접지 레일(33)은 이동 방향(1)에서 보여질 때 다른 절연 러너(26) 보다 길다. Starting from the first line segment 20 and up to the two insulating runners 26, the insulating section 3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sulator section 19. However, the two insulated runners 26 are connected to two conductor rails with ground connections 32, which ground the connecting wire 14' which is held under the conductor rail. These conductor rails are thereby referred to as ground rails 33. Thereby, the ground rail 33 entering into the region of the offset 27 of the two insulating runners 26 is longer than the other insulating runner 26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접지 레일들(33)은 다음으로 대칭 축(34)에 이르기까지 이동 방향(1) 내에서 연속되고, 그에 대하여 절연 섹션(31)은 축 대칭으로 배열된다. The ground rails 33 are then continu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up to the axis of symmetry 34, to which the insulating section 31 is arranged axially symmetrically.

이동 방향(1) 내에서 절연 섹션(31)으로 진입하는 집전 장치(30)는 이동 방향(1)에서 보았을 때 제1 오프셋(27)의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애자 섹션(19)에서와 동일한 요소들을 통과한다. 그러나, 오프셋(27)의 영역에서, 라인 시스템들(20,21)은 오버랩되지 않고, 각 라인 시스템(20,21)은 접지 레일들 중 하나와 오버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앞서 언급된 아크가 두 개의 라인 시스템들(20,21)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The current collector 30 entering the insulating section 31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is the same as in the insulator section 19 until it reaches the area of the first offset 27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Go through the elements However, in the region of the offset 27, the line systems 20, 21 do not overlap, and each line system 20, 21 overlaps with one of the ground rail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void passing the aforementioned arc between the two line systems 20,21.

연결 디바이스들(22,28)의 영역 내에서의 애자 섹션(19) 및 절연 섹션(31)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이를 위하여, 도 4를 참조하게 되는데, 이는 이동 방향(1)에서 볼 때 연결 디바이스(22)의 영역 내에서 애자 섹션(19)과 절연 섹션(31)을 보이는 것이다. The insulator section 19 and the insulating section 31 in the region of the connection devices 22 and 28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this, reference is made to FIG. 4, which shows the insulator section 19 and the insulating section 31 in the region of the connection device 22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연결 디바이스(22)는 플레이트(35)를 가지는데, 이는 진입 엣지(23), 진출 엣지(24) 그리고 두 개의 측방 엣지(25)에 의해 제한된다. 진입 엣지(23)와 진출 엣지(24)에서, 플러그-인 부재들(36)은 스크류들(41)에 의해 부착되는데, 그들은 연결 디바이스(22)에 대해 전도체 레일들(4,4')을 고정하기 위하여 전도체 레일들(4,4') 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진입 엣지(23)에서 플러그-인 부재(36)는 도 4에서의 사시도에서 보여지지 않는다.The connection device 22 has a plate 35, which is limited by an entry edge 23, an exit edge 24 and two lateral edges 25. At the entry edge 23 and exit edge 24, the plug-in members 36 are attached by means of screws 41, which connect conductor rails 4,4' to the connecting device 22. It is inserted into the conductor rails 4 and 4'to fix it. The plug-in member 36 at the entry edge 23 is not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in FIG. 4.

플레이트(35)는 중앙에 홈(42)을 갖는데, 그를 통해서는 세 개의 스트럿들(43)이 측방 엣지(25)로 연장하여 연결된다. 나아가, 플레이트(35)는 측방 엣지들(25) 간에 연장하는 횡방향 리브(44)에 의해 진출 엣지(24)에서 강화된다. 이 횡방향 리브(44)는 어떠한 방법든, 예를 들어 용접으로 플레이트(35)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 횡방향 리브(44)는 길이 방향(1)에 대해 경사지게,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수직하게 연장한다. 나아가, 두 개의 길이방향 리브들은 횡방향 리브(44)에 반대되는 측면에서 플레이트(35)에 부착되는데, 그들은 도 4에서 보여지지 않고 있다. 스트럿들(43), 횡방향 리브(44) 및 상기 길이방향 리브들은 한편으로는 연결 디바이스(22)를 저중량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기계적인 안정성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The plate 35 has a groove 42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ree struts 43 extend and connect to the lateral edge 25. Further, the plate 35 is reinforced at the exit edge 24 by transverse ribs 44 extending between the lateral edges 25. This transverse rib 44 can be attached to the plate 35 in any way, for example by welding. The transverse rib 44 extends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1, in this embodiment perpendicular thereto. Furthermore, the two longitudinal ribs are attached to the plate 35 on the side opposite the transverse rib 44, which are not shown in FIG. 4. The struts 43, the transverse ribs 44 and the longitudinal ribs make it possible to implement the connection device 22 on the one hand with low weight and on the other hand with high mechanical stability.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지면, 연결 전선들(29) 및 접속 전선(14)은 유지 부재들(48)에 의해 플레이트(37)의 아래에 유지된다. 유지 부재들(48)은 플레이트(37) 내의 개구부들을 통과하여 안내되고, 유지 너트들(50)에 의해 플레이트(37)의 최상부에 유지된다. 특별히, 연결 전선들(29)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들(48) 그리고 그들에 대응하며 플레이트(35)를 관통하는 개구부들은 측방 엣지들(25)을 따라 배열되는 반면에, 제1 라인 구획(20)으로부터 유래하는 접속 전선(14)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들(48) 그리고 그들의 대응하는 개구부들은 두 개의 측방 엣지들(25) 간에 중앙에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방향(1) 내에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지렛대 힘(leverage forces)은 감소된다. 지렛대 힘에 의한 효과들을 보다 감소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35)는 주행 방향(1) 내에 정렬되는 플레이트 대칭 축(51)에 대해 축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설계된다. When viewed from the height direction 9, the connecting wires 29 and the connecting wire 14 are held under the plate 37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48. The retaining members 48 are guided through openings in the plate 37 and are held on top of the plate 37 by retaining nuts 50. In particular, the retaining members 48 holding the connecting wires 29 and the openings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the plate 35 are arranged along the lateral edges 25, while the first line segment 20 Retaining members 48 holding the connecting wire 14 derived from) and their corresponding openings are arranged centrally between the two lateral edges 25. In this way, the leverage forces about the axis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are reduced.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effects of the lever force, the plate 35 is designed ax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te symmetry axis 51 which is aligned in the travel direction 1.

유지 부재들(48)의 일 예는 도 6에서 분해도로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An example of the retaining members 48 is shown in more detail as an exploded view in FIG. 6.

유지 부재(48)는 제1 클램핑 조우(52) 및 제2 클램핑 조우(53) 사이에서 접속 전선(14,29)을 클램핑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양 클램핑 조우들(52,53) 각각은 높이 방향(9)에서 보았을 때 그들의 하측에서, 접속 전선(14,29)의 방향에서 연장하는 계합 이(engaging tooth, 54)를 가지는데, 이는 높이 방향(9)에 대항하여 형상 조립(form fit) 방식으로 접속 전선(14,29)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자체로 알려진 접속 전선(14,29)의 접속 전선 그루브들(55)과 계합할 수 있다. 이 형상 조립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클램핑 조우들(52,53)은 두 개의 잠금 스크류들(57) 및 두 개의 잠금 너트들(57')에 의해 나사 결합되고, 이들은 클램핑 조우들(52,53) 내에서 대응하는 덕트 개구부들(56)을 관통하여 지날 수 있다. 덕트 개구부들(56)은 접속 전선(14,29)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여서, 그루브들(55) 내에서 계합 이(54)의 계합이 상기 형상 조립에 대해 직각으로 대응되게 한다. The holding member 48 clamps the connecting wires 14 and 29 between the first clamping jaws 52 and the second clamping jaws 53. For this purpose, each of the two clamping jaws 52 and 53 has an engaging tooth 54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wires 14 and 29 on their lower side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9 , It engages with the connection wire grooves 55 of the connection wires 14 and 29 known per se to hold the connection wires 14 and 29 in a form fit manner against the height direction 9 can do. To achieve this shape assembly, two clamping jaws 52, 53 are screwed by means of two locking screws 57 and two locking nuts 57', which are clamping jaws 52, 53) can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duct openings 56. The duct openings 56 extend at right angles to the connecting wires 14 and 29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teeth 54 in the grooves 55 correspond at right angles to the shape assembly.

플레이트(35)에 대해 유지 부재(48)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 로드(58)가 유지 부재(48)에 제공된다. 연결 로드(58)는 제1 클램핑 조우(52)에서의 오목부(59) 내에 배치된다.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오목부(59)의 좌측 및 우측에서, 계합 슬롯들(60)은 제1 클램핑 조우(52)를 관통하게 되고, 그 내에서 대응부(61)에 형성된 계합 발(engagement feet, 62)이 계합할 수 있다. 계합 발(62)이 계합 슬롯들(60)과 계합하게 되면, 대응부(61)는 제1 클램핑 조우(52) 내에서 오목부(59)를 폐쇄하여 환형 채널을 형성한다. 대응부(61)가 제1 클램핑 조우(52)에 충분히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서, 홈(63)이 제2 클램핑 조우(53)에 형성는데, 그 안에는 대응부(61)가 수용될 수 있다. In order to fix the holding member 48 relative to the plate 35, a connecting rod 58 is provided on the holding member 48. The connecting rod 58 is disposed in the recess 59 in the first clamping jaw 52.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9,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59, the engaging slots 60 penetrate the first clamping jaw 52, and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61 therein. Engagement feet (62) can engage. When the engaging foot 62 engages the engaging slots 60, the mating portion 61 closes the recess 59 within the first clamping jaw 52 to form an annular channel. In order for the mating part 61 to come close enough to the first clamping jaw 52, a groove 63 is formed in the second clamping jaw 53, in which the mating part 61 can be accommodated.

연결 로드(58)는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그의 아래쪽에서 원주방향 노치(64)를 가진다. 나아가, 대응부(61)는 접속 전선(14,29)의 방향에서 연장하는 관통 슬롯(65)을 가진다. 노치(64)와 관통 슬롯(65)은, 연결 로드(58)가 제1 클램핑 조우(52)에서 오목부(59)의 바닥에 위치하고 대응부(61)가 제1 클램핑 조우(52)에서 계합 슬롯들(60) 내로 그의 계합 발(62)과 함께 삽입될 때, 관통 슬롯(65)이 원주방향 노치(64) 상에 평평하게 놓여지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속 스프링(66)이 관통 슬롯(65) 및 노치(64)를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데, 이는 높이 방향(9)에서 연결 로드(58) 상에 형상 조립 방식으로 클램핑 조우들(52,53)을 유지한다. 구속 스프링(66)은 스프링 스트럿들(67)을 가지는데, 이는 유지 부재(48)가 장착될 때 제1 클램핑 조우(52)를 향해 지향될 수 있고 연결 로드(58)로부터 멀어지도록 지향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스트럿들(67)을 제1 클램핑 조우(52)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장착 그루브들(68)이 계합 슬롯들(60)에 형성된다. 유지 부재(48)가 장착될 때, 구속 스프링(66)의 스프링 스트럿들(67)은 그에 따라 연결 로드(58)로부터 보았을 때 그로부터 멀어지게 계합 발(62)을 밀어서, 그에 의해 대응부(61)가 제1 클램핑 조우(52)에 대해 유지되게 한다. The connecting rod 58 has a circumferential notch 64 at its bottom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9. Further, the counterpart 61 has a through slot 65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wires 14 and 29. In the notch 64 and the through slot 65, the connecting rod 58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59 in the first clamping jaw 52, and the counterpart 61 is engaged in the first clamping jaw 52. When inserted into the slots 60 with its engaging feet 62, the through slot 65 is arranged in such a way that it lies flat on the circumferential notch 64. In this way, the restraining spring 66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slot 65 and the notch 64, which is in the height direction 9 on the connecting rod 58 in a shape assembly manner and clamping jaws ( 52,53). The restraining spring 66 has spring struts 67, which can be oriented towards the first clamping jaw 52 when the retaining member 48 is mounted and away from the connecting rod 58. have. In order to guide these spring struts 67 through the first clamping jaws 52, corresponding mounting grooves 68 are formed in the engaging slots 60. When the retaining member 48 is mounted, the spring struts 67 of the restraining spring 66 accordingly push the engaging foot 62 away from it when viewed from the connecting rod 58, thereby causing the counterpart 61 ) Is held against the first clamping jaws 52.

애자 섹션(19) 또는 절연 섹션(31)을 설치하기 위하여, 유지 부재들(48)은 앞서 기술되고 조립된 방식으로 오보헤드 접속 라인(14,29)에 대항하여 먼저 위치한다. 두 개의 클램핑 조우들(52,53)는 헐거운 채로 남아서, 비록 접속 전선(14,29)이 높이 방향(9) 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항하여 두 개의 계합 이(54)로부터 더 이상 떨어질 수 없더라도, 그는 여전히 접속 전선(14,29)의 방향 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유지 부재들(14,29)의 연결 로드들(58)은 플레이트(35)의 하측에서 최상부까지 개구부들(49)을 관통하여 안내되고, 최상부에서 그들은 구속 너트들(50)과 함께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 부재들(48)은 밀리미터급의 정밀도로서 위치할 수 있고 플레이트(35)의 접속 전선(14,29)의 간격은 밀리미터급 정밀도로 조정될 수 있으며 유지 너트들(50) 및 잠금 너트들(57')과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로드들(58)은 형상 조립의 결여 때문에 유지 부재들(48)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툴 형상 잠금 부재(69)가 노치(64)에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각 연결 로드(58)의 반대 단부에 형성된다. 스크류 드라이버나 렌치와 같은 툴은 이 툴 형상 잠금 부재(69)와 계합할 수 있다. In order to install the insulator section 19 or the insulating section 31, the retaining members 48 are first placed against the overhead connection line 14, 29 in the manner described and assembled above. The two clamping jaws 52, 53 remain loose, so that although the connecting wire 14, 29 can no longer be separated from the two engaging teeth 54 in the height direction 9 and against it, he It can still be moved in and against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wires 14,29. Then, the connecting rods 58 of the holding members 14 and 29 are guided through the openings 49 from the lower side of the plate 35 to the top, and at the top they are screwed together with the restraining nuts 50 Are combined. In this state, the retaining members 48 can be positioned with millimeter-level precision, and the spacing of the connection wires 14 and 29 of the plate 35 can be adjusted with millimeter-level precision, and retaining nuts 50 and locking It may be fixed with the nuts 57'. However, since the connecting rods 58 can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retaining members 48 due to the lack of shape assembly, the tool-shaped locking member 69 is screwed into the notch 64 for each connecting rod. It is formed on the opposite end of 58.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or wrench can engage this tool-shaped locking member 69.

제1 연결 디바이스(22)의 연결 전선들(29)로 돌아와서, 도 2 및 도 3으로부터 그들이, 이동 방향(1)에서 보여질 때, 애자 섹션(19) 및 절연 섹션(31) 각각에서 접속 전선(14)을 두 개의 접속 전선들(14')로 나누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결 전선들(29)은 연결 디바이스(22)에서 횡 방향(11) 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항하여 분기된다. 연결 전선들(29)이 이동 방향(1) 및 횡 방향(11)에 걸친 평면과 절대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하는 한, 이러한 분기는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조 공차 및 다른 기계적인 부정확성 때문에, 높이 방향(9)에서 연결 전선들(29)의 평탄하지 못함은 회피될 수 없다. 집전 장치(30)가 연결 전선들(29)을 매우 높은 속도로 통과한다면, 평탄하지 못하고 횡방향으로 분기되는 연결 전선들(29)은 집전 장치(30)에 부분적으로는 매우 높은 토크로 작용하여, 그가 진동하게 하며 집전의 질을 상당하게 저감시킨다.Returning to the connecting wires 29 of the first connecting device 22, from FIGS. 2 and 3 they,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in the insulator section 19 and in the insulating section 31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14) is divided into two connecting wires (14'). The connecting wires 29 branch in and against the transverse direction 11 in the connecting device 22. As long as the connecting wires 29 extend in absolutely the same plane as the plane over the direction of movement 1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11, this branching does not cause a problem. However,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and other mechanical inaccuracies, the unevenness of the connecting wires 29 in the height direction 9 cannot be avoided. If the current collector 3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wires 29 at a very high speed, the connection wires 29 that are not flat and branc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artially act on the current collector 30 with a very high torque. , Makes him vibrate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본 실시예의 컨셉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보조 전선들(70)을 가져서 효과적인데, 그는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제1 연결 디바이스(22)의 전방에서 연장하고, 횡 방향(11)에서 보여질 때 접속 전선(14)의 전방과 후방에서 연장한다. 보조 전선들(70)의 과제는, 이동 방향(1)에서 보여질 때, 심지어 제1 연결 디바이스(22) 전에, 연결 전선들(29)이 횡 방향(11) 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항하여 분기될 때 천천히 집전 장치(30) 상에 눕는 것이고 그리고 나서 그를 지지하는 것이다. 연결 전선들(29)의 앞서 언급한 평탄하지 못한 코스 때문에 집전 장치(30)에 토크가 가해지면, 보조 전선들(70)은 그 토크를 흡수하고 앞서 언급된 진동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집전의 질은 상당하게 개선된다. The concept of this embodiment is effective by having the auxiliary wires 70 shown in Figs. 6A and 6B, which extend in front of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9,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It extends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necting wire 14 as seen in 11). The task of the auxiliary wires 70 is that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even before the first connecting device 22, the connecting wires 29 will branch in and against the transverse direction 11. When you are slowly lying down on the current collector 30 and then supporting him. When torque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30 due to the aforementioned uneven course of the connection wires 29, the auxiliary wires 70 can absorb the torque and prevent the aforementioned vibration. In this way, the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is significantly improved.

집전 장치(30) 상에 보조 전선들(70)이 천천히 놓이게 하기 위하여, 보조 전선들(70)은 300 cm/s 보다 상당히 낮으면서 높이 방향(9)에 반대되는 이동 방향(1)에서 시속 100 킬로미터의 집전 장치(30)의 속도로 서로에 대해 접근해야 한다. 보조 전선들(70)이 앞서 언급된 조건들 하에서 30 cm/s 보다 낮게 집전 장치(30)에 접근할 때, 집전의 질에 관한 충분히 우수한 결과가 달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에서, 보조 전선들(70)과 전도체 레일(4)의 접속 전선(14) 간에는 5°보다 충분히 낮은 접근각(71)이 선택되어야 한다. 1° 아래의 접근각(71)은 우수한 집전의 질을 보장한다. In order to allow the auxiliary electric wires 70 to be slowly placed on the current collector 30, the auxiliary electric wires 70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300 cm/s, while at a speed of 100 per hour in the moving direction (1) opposite the height direction (9). They must approach each other at the speed of the current collector 30 in kilometers. When the auxiliary wires 70 approach the current collector 30 below 30 cm/s under the aforementioned conditions, sufficiently good results regarding the quality of the current collector have been achieved. For this purpose, an approach angle 71 that is sufficiently lower than 5° between the auxiliary wires 70 and the connecting wire 14 of the conductor rail 4 should be selected. The approach angle 71 below 1° ensures an excellent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그러나, 보조 전선들(70)은 임의적으로 길지 않고 이동 방향(1)에서 진입-측 단부(72)와 진입-측 단부(72)에 반대되는 진출-측 단부(73)를 가진다. 이동 방향(1)에서, 집전 장치(30)는 진입-측 단부(72)로부터 진출-측 단부(73)로 보조 전선들(70)을 통과한다.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진입-측 단부(72)가 접속 전선(14) 상에서더 낮을수록, 보조 전선들(70) 중 하나에 대한 집전 장치(30)의 정면 충격의 확률은 높아지는데, 이는 집전 장치(30)가 대체적으로 접속 전선(14)을 중심으로 꼬여진 보조 전선들(70) 아래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보조 전선들(70)의 진입-측 단부(72)는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접속 전선(14) 상에서 충분히 높게 위치해야만 하나, 이는 보조 전선들(70)이 이동 방향(1)에서 보여질 때 대응하여 큰 보조 전선 구획(74) 상에서 연장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보조 전선 구획(74)을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접근각(71)은 임의적으로 작게 선택되지 않아야 한다.However, the auxiliary wires 70 are not arbitrarily long and have an entry-side end 72 and an exit-side end 73 opposite the entry-side end 72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the current collector 30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wires 70 from the entry-side end 72 to the exit-side end 73. The lower the entry-side end 72 on the connection wire 14 when viewed from the height direction 9,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a frontal impact of the current collector 30 on one of the auxiliary wires 70 , This is because the current collector 30 can generally enter under the auxiliary wires 70 twisted around the connection wire 14. For this reason, the entry-side end 72 of the auxiliary wires 70 must be positioned high enough on the connection wire 14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9, which means that the auxiliary wires 70 move in the direction ( As shown in 1) it means that it must extend over the correspondingly large auxiliary wire section 74. In order to keep this auxiliary wire section 74 at an economically reasonable level, the approach angle 71 should not be chosen arbitrarily small.

접근각(71)이 0.1°보다 낮으면, 보조 전선(74)은 확실히 매우 길어진다. 그러한 접근각은 매우 예외적이고 합리화할 수 있는 경우들에만 사용되어야만 한다. 접근각(71)이 0.2°보다 높으면,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관계가 필요한 보조 전선 구획(74)과 달성 가능한 집전의 질 간에 성립된다. 0.5°의 접근각(71)은 경제적인 건설의 실현과 집전 장치(30)에 의한 집전의 높은 질 간의 최적 관계를 보여준다. If the approach angle 71 is lower than 0.1°, the auxiliary wire 74 is certainly very long. Such an angle of approach should be used only in very exceptional and reasonable cases. If the approach angle 71 is higher than 0.2°, an economically reasonabl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auxiliary wire section 74 and the achievable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The approach angle 71 of 0.5° shows the optimum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zation of economical construction and the high quality of current collection by the current collector 30.

접근각(71)은 이동 방향(1)에서 보여질 때 이동 구획 상에서 기본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방향(1)에서 상기 이동 구획 상에서 보여지는 불변의 접근각(71)과 대비하여, 여기서 확실한 장점이 얻어지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 구획에서는 보조 전선들(70)과 접속 전선(14) 간의 접속 방향 간격(75)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The approach angle 71 can be changed fundamentally on the moving section when viewed in the moving direction 1. However, in contrast to the invariable approach angle 71 seen on the moving section in the moving direction (1), a certain advantage is not obtained here, and in the moving section, between the auxiliary wires 70 and the connection wire 14 The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75 changes continuously.

이미 설명된 바대로, 보조 전선들(70)은 제1 연결 디바이스(22) 전에서 이동 방향(1)을 따라 보조 전선 구획(74)을 그들의 진입-측 단부(72)로서 시작시킨다. 횡 방향(11)에서 보여질 때, 보조 전선들(70)은 접속 전선(14)으로부터 보조 전선 횡방향 간격(76){또한 횡방향 간격(76)으로도 지칭됨}에 배열된다. 앞서 설명된 보조 전선들(70)에 의한 토크 흡수의 아이디어를 최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보조 전선 횡방향 간격(76)은, 이동 방향(1) 내에서 제1 연결 디바이스(22)의 진입 엣지(23) 로 진입하는 접속 전선(14)으로부터 보여질 때 제1 연결 디바이스(22)의 진출 엣지(24)에 접해있는 접속 전선들(14') 내에서 접속 전선들(14')의 접속 전선 횡방향 간격(77) 보다 커야만 한다. 그러나, 그렇게 큰 보조 전선 횡방향 간격(76)을 구현하기 위하여, 충분히 긴 암이나 그와 유사한 것이 제1 연결 디바이스(22)의 영역 내에 배열되어야만 할 것이고, 이는 전체 구조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언급된 집전의 높은 질을 위해 필요한, 집전 장치(30)에 대한 진동의 충분한 감쇠는, 보조 전선 횡방향 간격(76)이 접속 전선 횡방향 간격(77) 보다 약간 작게 선택될 때 또한 가능하다. 보조 전선 간격(76)의 하한은 접속 전선 횡방향 간격(77)의 75% 보다 작지는 않아야 한다. As already explained, the auxiliary wires 70 start the auxiliary wire section 74 as their entry-side end 72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1 before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When viewed from the transverse direction 11, the auxiliary electric wires 70 are arranged from the connecting electric wire 14 in the auxiliary electric wire transverse spacing 76 (also referred to as the transverse spacing 76 ). In order to best realize the idea of torque absorption by the auxiliary wires 70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wire transverse spacing 76 is defined as the entry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 23) Transverse of the connection wires 14' within the connection wires 14' in contact with the exit edge 24 of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when viewed from the connection wire 14 entering into It must be greater than the directional spacing 77.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large auxiliary wire transverse spacing 76, a sufficiently long arm or the like will have to be arranged within the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device 22, which may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overall structure. will be. Sufficient attenuation of the vibrations for the current collector 30, which is necessary for the stated high quality of current collectors, is also possible when the auxiliary wire transverse spacing 76 is selected slightly smaller than the connecting wire transverse spacing 77. The lower limit of the auxiliary wire spacing 76 should not be less than 75% of the connecting wire transverse spacing 77.

보조 전선들(70)을 부착하기 위하여, 버팀되지 않은(unstrutted) 브릿지(78)와, 몇 개의 버팀된(strutted) 브릿지들(79) 및 두 개의 이중 클램프들(80)은 전도체 레일(4)에 부착된다. 버팀되지 않은 브릿지(78)는 이동 방향(1)에서 보여질 때 보조 전선들(70) 각각의 초기 단부를 유지한다. 버팀되지 않은 브릿지(78)는 보조 전선들(70)의 진입-측 단부들(72)을 유지한다. 보조 전선 구획(74)에 대해 떨어진 곳에서, 이중 클램프들(80)은 유지되고, 그들로 인해 보조 전선들(70)은 기계적으로 장착되고 필요하다면 또한 연결 전선들(29)에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팀되지 않은 브릿지(78)에 대한 진입 간격(81) 및 이중 클램프들(80)에 대한 진출 간격(82)의 간격 내에서, 버팀된 브릿지들(79)은 서로에 대해 균등하게 이격된 간격들(83)로 전도체 레일(4)에 유지된다. In order to attach the auxiliary wires 70, an unstrutted bridge 78, several strutted bridges 79 and two double clamps 80 are connected to the conductor rail 4 Is attached to The unsupported bridge 78 holds the initial end of each of the auxiliary wires 70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The unsupported bridge 78 retains the entry-side ends 72 of the auxiliary wires 70. At a distance relative to the auxiliary wire section 74, the double clamps 80 are maintained, whereby the auxiliary wires 70 are mechanically mounted and if necessary also directly electrically to the connecting wires 29. Connected. Within the spacing of the entry gap 81 for the unsupported bridge 78 and the exit gap 82 for the double clamps 80, the supported bridges 79 are equ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held on the conductor rail 4 with 83.

버팀되지 않은 브릿지(78) 및 두 개의 이중 클램프들(80)은 접속 전선(14)에 대해 조정 불가인 보조 전선 간격(76)으로 보조 전선들(70)을 유지하는 동안에, 도 5로부터의 유지 부재들(48)은 버팀된 브릿지들(79) 상에 배열되고, 이로써 연결 전선들(29)은 그들의 연결 디바이스들(22,28)에 대해 높이 방향(9)을 따라 그들의 간격 내에서 이미 높이 조절된 것일 수 있다. 동일한 원리가 개별 버팀된 브릿지들(79)에서 전도체 레일(4)의 횡방향 암(10)으로부터 보조 전선들(70)의 높이 간격(76')을 설정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도 7a 및 도 7b에 표시된다. The unsupported bridge 78 and two double clamps 80 hold from FIG. 5 while maintaining the auxiliary wires 70 at an auxiliary wire spacing 76 that is not adjustable for the connecting wire 14. The members 48 are arranged on the supported bridges 79, whereby the connecting wires 29 are already high within their spac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9 with respect to their connecting devices 22,28. May be adjusted. The same principle can also be used to set the height spacing 76' of the auxiliary wires 70 from the transverse arm 10 of the conductor rail 4 in the individual supported bridges 79. This is shown in Figs. 7A and 7B.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팀된 브릿지들(79)은 베이스 플레이트(84)를 포함하는데, 이는 전도체 레일(4)의 횡방향 암(10)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이동 방향(1) 및 횡 방향(11)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연장한다. 높이 방향(9)에서 보여질 때, 클램핑 앵글들(85)은 베이스 플레이트(84) 아래에 배열되고, 그에 의해 전도체 레일(4)의 횡방향 암(10)은 클램핑 앵글들(85)과 베이스 플레이트(8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84)에 대항하여 클램핑 앵글들(85)을 당기기 위해서 스크류 연결(86)이 사용되어서, 횡방향 암(10)은 클램핑 앵글들(85) 및 베이스 플레이트(84) 사이에서 형상 조립 방식으로 유지된다. As shown in Fig. 8A, each of the supported bridges 79 comprises a base plate 84, which can be located on the transverse arm 10 of the conductor rail 4 and i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1 )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11). When viewed from the height direction 9, the clamping angles 85 are arranged under the base plate 84, whereby the transverse arm 10 of the conductor rail 4 is connected to the clamping angles 85 and the base. It is located between the plates 84. A screw connection 86 is used to pull the clamping angles 85 against the base plate 84, so that the transverse arm 10 is a shape assembly between the clamping angles 85 and the base plate 84. Is maintained.

스트럿(87)은 베이스 플레이트(84) 상에서 직각으로 배열되는데, 이는 높이 방향(9) 및 횡 방향(11)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 내에서 연장한다. 보조 전선 횡방향 간격(76) 내에서, 지지 플레이트(88)는, 횡 방향(11)에서 보여질 때, 스트럿(85)의 각 단부에 유지되고, 그에는 유지 부재(48)가 연결 디바이스들(22,28)의 플레이트들(35) 상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지지 플레이트들(88) 상에 유지 부재들(48)을 설치하는 것은 이와 다른 것은 아니며, 이는 간결함을 위해 추가적인 설명을 더하지는 않는 이유이다. The struts 87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on the base plate 84, which extends in a plane defined by the height direction 9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11. Within the auxiliary wire transverse gap 76, a support plate 88,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1, is held at each end of the strut 85, to which a retaining member 48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devices. It is held in the same way as on the plates 35 of (22,28). The installation of the retaining members 48 on the support plates 88 is not different from this, which is why no further explanation is added for the sake of brevity.

버팀된 브릿지(79)와 반대로, 버팀되지 않은 브릿지(78)는 보조 전선들(70)까지 연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84')를 가진다. 이들은 U자형 클램프들(89)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84')에 부착된다. 전도체 레일(4)에 대한 버팀된 브릿지들(79)의 베이스 플레이트(84')의 부착은 전도체 레일(4)에 대한 버팀된 브릿지(79)의 베이스 플레이트(84)의 부착과 동일한 방식을 실행된다. In contrast to the supported bridge 79, the unsupported bridge 78 has a base plate 84' that extends to the auxiliary wires 70. These are attached to the base plate 84' by U-shaped clamps 89. Attachment of the base plate 84' of the brace bridges 79 to the conductor rail 4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ttachment of the base plate 84 of the brace bridge 79 to the conductor rail 4 do.

Claims (10)

애자 섹션(19,31)으로 진입하여 이동 방향(1)을 따라 이동하는 철도 차량의 집전 장치(30)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전도체 레일(4)로서,
상기 이동 방향(1) 내에서 연장하고 상기 전류를 전도하는 접속 트랙(14)을 구비하는 레일 몸체(10,12,13)로서, 상기 접속 트랙(14)은 상기 집전 장치(30)가 접속 방향(9)에서 접속 트랙(14)에 접촉될 수 있는 방식으로 레일 몸체(10,12,13) 상에 배열되는, 레일 몸체(10,12,13); 및
상기 접속 방향(9)에 대해 그리고 상기 이동 방향(1)에 대해 경사져서 있는 횡 방향(11)에서 보여질 때 상기 접속 트랙(14)으로부터 횡 방향 간격(11)으로 상기 레일 몸체(10,12,13) 상에 유지되는 보조 전선(7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선(70)은 상기 접속 방향(9)에서 보여질 때 상기 접속 트랙(14)으로부터 접속 방향 간격(75)으로 배열되고, 상기 접속 방향 간격(75)은 상기 이동 방향(1)을 따라 감소하는, 전도체 레일(4).
As a conductor rail 4 for providing current to the current collector 30 of a railroad vehicle entering the insulator section 19 and 31 and mov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1,
A rail body (10,12,13) having a connection track (14)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1) and conducting the current, wherein the connection track (14) is a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collector (30) is connected A rail body (10,12,13), arranged on the rail body (10,12,13) in such a way that it can contact the connecting track (14) at (9); And
The rail body (10,12) at a transverse distance (11) from the connection track (14)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1)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direction (9) and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1) , Comprising an auxiliary wire (70) held on the 13,
The auxiliary wires 70 are arranged in a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75 from the connection track 14 when viewed in the connection direction 9, and the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75 is along the moving direction 1 Decreasing, conductor rails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트랙(14) 및 상기 보조 전선(70)은 상기 접속 트랙(14) 및 상기 보조 전선(70) 간의 상기 접속 방향 간격(75)이 계속적으로 감소되게 하는 접근각(71)으로 상기 접속 방향(9) 내에서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전도체 레일(4).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track 14 and the auxiliary wire 70 are connected in the connection direction at an approach angle 71 that continuously decreases the connection direction spacing 75 between the connection track 14 and the auxiliary wire 70. Conductor rails (4), arranged relative to each other within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각(71)은 0.1° 내지 5°이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인, 전도체 레일(4).
According to claim 2,
The approach angle 71 is 0.1 ° to 5 °, preferably 0.2 ° to 1 °, particularly preferably 0.5 °, the conductor rail (4).
위 청구항들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선(70)은 상기 접속 방향(9) 내에서 작동하는 형상 파스너(50)로서 상기 레일 몸체(10,12,13)에 장착되는, 전도체 레일(4).
The method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The auxiliary wire (70) is mounted to the rail body (10, 12, 13) as a shaped fastener (50) operating in the connection direction (9), the conductor rail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파스너(50)는 상기 접속 방향(9)에서 상기 레일 몸체(10,12,13)로부터 상기 보조 전선(70)의 높이 간격(76')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50)을 포함하는, 전도체 레일(4).
According to claim 4,
The shape fastener (50) comprises an adjustment means (50) for adjusting the height spacing (76') of the auxiliary wire (70) from the rail body (10,12,13) in the connection direction (9). , Conductor rail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50)은 상기 레일 몸체(10,12,13) 상에 배치되어 나사산(58)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상기 보조 전선(70)이 유지될 수 있는 너트(50)를 포함하는, 전도체 레일(4).
The method of claim 5,
The adjusting means 50 is disposed on the rail body 10, 12, 13 and can be screwed by inserting a screw thread 58, and a nut 50 capable of holding the auxiliary wire 70 therein Containing a conductor rail (4).
제4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선(70)은 상기 형상 파스너에 대항하여 리셋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 방향(9) 내에서 상기 레일 몸체(10,12,13) 상에 장착되는, 전도체 레일(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The auxiliary wire (70) is mounted on the rail body (10,12,13) in the connecting direction (9) to reset against the shaped fasten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향(9)은 중력 방향과 정렬되어서, 리셋은 중력에 의해 구현되는, 전도체 레일(4).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ductor rail (4), in which the connection direction (9) is aligned with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reset is implemented by gravity.
선행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몸체(10,12,13) 상에 유지되는 추가 보조 전선(70)을 포함하고,
두 개의 보조 전선(70)은 상기 접속 방향(9) 및 상기 이동 방향(1)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접속 트랙(14)을 침투하는 대칭 평면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되는, 전도체 레일(4).
The method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Including an additional auxiliary wire (70) held on the rail body (10, 12, 13),
The two auxiliary wires 70 are defined by the connection direction 9 and the movement direction 1 and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plane of symmetry penetrating the connection track 14. ).
앞선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선(70)은 플레이트-형 스트럿(87)에 의해 상기 레일 몸체(10,12,13) 상에 유지되고, 상기 플레이트-형 스트럿(87)은 상기 횡 방향(11) 및 상기 접속 방향(9)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레일(4).
The method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The auxiliary wire 70 is held on the rail body 10, 12, 13 by a plate-type strut 87, and the plate-type strut 87 i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1 and the connection direction. Conductor rail (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eld in a plane defined by (9).
KR1020207020062A 2017-12-15 2018-12-13 Electrical insulator in overhead conductor rail KR2020009555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30205.0A DE102017130205B3 (en) 2017-12-15 2017-12-15 Electrical disconnections in ceiling busbars
DE102017130205.0 2017-12-15
PCT/IB2018/060022 WO2019116305A1 (en) 2017-12-15 2018-12-13 Electrical insulators in overhead conductor ra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553A true KR20200095553A (en) 2020-08-10

Family

ID=6501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62A KR20200095553A (en) 2017-12-15 2018-12-13 Electrical insulator in overhead conductor rail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724025A1 (en)
KR (1) KR20200095553A (en)
CN (1) CN111465527A (en)
AU (1) AU2018385667A1 (en)
DE (1) DE102017130205B3 (en)
WO (1) WO2019116305A1 (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3894B (en) 1961-04-01 1964-02-27 Wilhelm Buchberger Section separator for contact lines
DE1465065A1 (en) * 1965-01-08 1969-01-16 Licentia Gmbh Section separator for overhead lines of 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DE1515326B2 (en) * 1966-12-17 1971-07-22 Brown, Boven & Cie AG, 6800 Mann heim CIRCUIT BREAKERS FOR ELECTRIC RAILWAY LINES
GB1315839A (en) * 1970-11-04 1973-05-02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Section insulator for use in overhead conductors of electric traction systems
FR2292987A1 (en) * 1974-11-29 1976-06-25 Siemens Ag DEVICE FOR BYPASSING IN INFORMATION TRANSMISSION CHANNELS CONTAINING OPTICAL GLASS FIBERS
DE3027406C2 (en) * 1980-04-15 1983-04-28 Karl Pfisterer Elektrotechnische Spezialartikel Gmbh & Co Kg, 7000 Stuttgart Device for tensile, electrically insulating connection of two sections of the contact wire of an overhead line
CN202152015U (en) * 2011-07-12 2012-02-29 浙江旺隆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Rigid section insulator
CN102343834B (en) 2011-07-12 2013-04-24 浙江旺隆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Rigid section insulator
US9845025B2 (en) 2012-11-30 2017-12-19 Afl Telecommunications Llc Rigid T-rail conductor system
ES2549662T3 (en) * 2013-05-22 2015-10-30 Furrer + Frey Ag Device with two rigid conductive bars and an isolator isolator
CN204488532U (en) * 2015-02-13 2015-07-22 宝鸡保德利电气设备有限责任公司 DC750V ~ 3kV flexible suspension section ins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30205B3 (en) 2019-05-02
EP3724025A1 (en) 2020-10-21
CN111465527A (en) 2020-07-28
AU2018385667A1 (en) 2020-07-02
WO2019116305A1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005B1 (en) Cantilever for supporting live cables of railway, trolley and subway lines
US8887883B2 (en) Device for the coupling of elastic and rigid contact line systems
DK2805847T3 (en) A device with two rigid bus bars and a stretch separates
KR100956009B1 (en) Guide rail temporary clamping apparatus for installing track structure for magnetically levitated railway
US10232738B2 (en) Fastening device for a conductor rail and contact line system
KR101902361B1 (en) Section insulator for rigid trolley line
KR20200095553A (en) Electrical insulator in overhead conductor rail
KR20200106886A (en) Insulators installed at an angle
EP2435272A2 (en) Overhead line system
US2504360A (en) Clamp means
US4187934A (en) Section insulator for catenary systems
WO2015092413A1 (en) Overhead electrification line cantilever assembly
US20190393658A1 (en) Fastening device for a conductor line and conductor line system
KR20200086694A (en) Electrical insulation of overhead conductor rails
CN104228611A (en) Contact line clamp, dropper and contact suspension
CN213501931U (en) System for bearing contact wires and contact line intersection
JP4067458B2 (en) Rigid train line device for tunnel
KR100934367B1 (en) Insulating device for monorail
US5952609A (en) Support point for an overhead conductor
US4457063A (en) Method of making a high tensile connection for overhead power lines
RU2706129C1 (en) Sectional insulator with connecting terminals on ends thereof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on contact network
DE102010040494A1 (en) Track separation device for a conductor rail overhead line system
US803216A (en) Suspension device for trolley-conductors.
DE632504C (en) Chain contact line without side holder tube
RU2019448C1 (en) Electric railway current l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