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531A - 적어도 3차의 네트워크를 갖는 보상기를 갖는 증폭기 - Google Patents
적어도 3차의 네트워크를 갖는 보상기를 갖는 증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5531A KR20200095531A KR1020207019302A KR20207019302A KR20200095531A KR 20200095531 A KR20200095531 A KR 20200095531A KR 1020207019302 A KR1020207019302 A KR 1020207019302A KR 20207019302 A KR20207019302 A KR 20207019302A KR 20200095531 A KR20200095531 A KR 202000955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plifier
- compensator
- input
- primary amplifier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01 comb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6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in audio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1—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with field-effect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47—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using feedback acting on predistortion circui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26—A diode being coupled in a feedback path of an amplifier stage, e.g. active or passive diod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feedback circuit of the amplifier stage comprising a resistor and a capacitor in seri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active on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71—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output of an amplifi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78—A comparator being used in a controlling circui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증폭기로서, 2개의 포트들을 포함하는 피드백 네트워크를 갖는 이득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2개의 포트들 사이에는 적어도 3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고, 캐패시터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서 저항기가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되는, 증폭기가 제공된다. 이득 스테이지는 1차 증폭기를 통해 피드백 루프에서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어도 3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는 네트워크를 갖는 보상기를 갖는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증폭기들 및 관련 기술은 US4041411, US7142050, US8049557, US8736367, US2015/214902, WO2013/164229 및 US2016/0352293에서 볼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증폭기로서,
ㆍ 보상기(compensator)―보상기는,
· 2개의 포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2개의 포트들 사이에는 적어도 3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고, 커패시터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서 저항기가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됨―, 및
· 이득 스테이지(gain stage)―이득 스테이지는,
· 하나의 포트에 접속된 이득 스테이지 입력, 및
· 다른 포트에 접속된 이득 스테이지 출력을 가짐―를 가짐―; 및
ㆍ 1차 증폭기(primary amplifier)―1차 증폭기는,
· 이득 스테이지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1차 증폭기 출력, 및
· 이득 스테이지 출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1차 증폭기 입력을 가짐―
를 포함하는,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맥락에서, 증폭기는 오디오 신호와 같은 신호를 수신하고,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신호 진폭을 갖는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요소이다. 종종, 오디오 증폭기는 낮은 신호 강도(전압)의 전기적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더 높은 신호 강도를 갖는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2개의 신호들은 그들이 적어도 주파수 간격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스펙트럼 콘텐츠를 갖는 경우에 대응한다.
증폭기는 오디오 신호들과는 다른 타입들의 신호들을 증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증폭기는 제어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동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선형 액추에이터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 또는 제어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폭기는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도록 요망되는 것에 대응하는 더 낮은 진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증폭기는 액추에이터의 요건들에 적응된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할 것이다.
증폭기는 네트워크 및 이득 스테이지를 갖는 보상기를 가지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이득 스테이지 주위의 피드백 루프로서 제공되고, 이득 스테이지는 1차 증폭기 주위의 피드백 루프에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입력은, 예를 들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회로의 일부이다. 많은 상황들에서, 입력은 전기 요소의 도체, 칩/ASIC 등과 같은 도체이다. 입력은, 입력이 (증폭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및/또는 전치증폭기로부터와 같은) 적절한 증폭기에 대한 입력인 것과 같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신호 소스는 입력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입력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입력은 분리성(detachability)이 요구되지 않는 증폭기의 일부 내로의 입력일 수 있어서, 입력이 영구적인 접속일 수 있다. 영구적인 접속들은, 신호를 입력에 전달하기 위해, 납땜(soldering)에 의한 것과 같이, 다른 요소가 영구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도체, 솔더 패드(solder pad)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물론, 입력은 칩 등의, 칩의 부분들 사이의, 도체와 같은 내부 부분일 수 있다.
출력은, 입력과 같이, 증폭기의 주변들에 대한 출력일 수 있고, 따라서, 출력은, 예를 들어, 부하(load), 케이블 등에 대한 분리가능한 부착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출력은 증폭기의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다른 컴포넌트로의 출력일 수 있다. 그러한 컴포넌트들이 분리가능한 것으로 요망되지 않는 경우, 출력은 그것에 영구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영구적으로 접속된 상황들에서, 출력은 도체, 레그(leg) 등일 수 있고, 여기서 도체의 한 단부는 입력일 수 있고 다른 단부는 출력일 수 있다.
종종, 1차 증폭기 출력은 또한, 출력들이 동일한 도체들을 공유하는 경우와 같이 적절한 증폭기의 출력이다. 그러나, 필터들과 같은 추가 회로들을, 이들 출력들 사이에서, 증폭기 출력 후에, 또는 단순히 출력들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LC 필터가 출력에 접속되어, 1차 증폭기의 동작으로부터 기인하는 고주파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이 잡음은 출력에 접속된 부하로 전달되지 않는다. 출력들은 필터의 하나의 포트가 접속되는 커넥터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1차 증폭기는 그것 자체가 증폭기이다. 따라서, 그것은 전술한 증폭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1차 증폭기는 전체 증폭기의 그것/그것들과는 상이한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동작을 갖도록 요망되거나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자체가 자체 발진(self-oscillation)이라는 것이 전체 증폭기에 대한 요건은 아닐 수 있지만, 1차 증폭기는 보상기가 발진으로부터 벗어나서 1차 증폭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이 발진이 바람직하도록 하는 방식과 같이, 자체 발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1차 증폭기는 바람직하게는 클래스 D 증폭기이다. 그러나, 1차 증폭기는 대안적으로, 클래스 A, 클래스 B 또는 클래스 AB에서 동작하도록 통상적으로 바이어싱될 수 있는 트랜지스터들 등과 같은 레거시 컴포넌트들(legacy components)에 기초한 선형 증폭기일 수 있다.
1차 증폭기는 전술한 입력 및 출력과 같은 것일 수 있는, 1차 증폭기 입력 및 1차 증폭기 출력을 갖는다. 주목할 점은, 1차 증폭기 입력/출력이 회로 내부, 회로들 사이 등에서의, 예를 들어, PCB 상의 도체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언급된 경로들로부터 1차 증폭기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요망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1차 증폭기 출력은 이득 스테이지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1차 증폭기 입력은 이득 스테이지 출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다.
본 맥락에서, 입력은 출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거나, 그 반대라는 것은, 신호가 입력으로부터 출력으로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는 상기의 입력과 상기의 출력 사이의 경로를 따라 필터링되거나, 증폭되거나, 감쇠되거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경로는 이득 스테이지 입력과 같은 입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출력과 같은 출력으로(그리고, 그 반대로) 정의될 수 있고, 그 경로는 단순한 도체일 수 있거나, 저항기들, 인덕터들, 커패시터들, 증폭기들, 합산 노드들 등과 같은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는, 단순히 도체일 수 있지만, 종종, 능동(active) 및/또는 수동(passive)인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회로이다. 네트워크는 2개 이상의 포트들 또는 도체들/커넥터들을 갖고, 그것들에 대해/그것들로부터 신호들이 네트워크에 공급되고/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본 보상기의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3개의 커패시터들이 2개의 포트들 사이에 직렬로 제공된다. 물론, 추가적인 커패시터들, 저항기들, 인덕터들, 증폭기들, 능동 또는 수동 컴포넌트들과 같은 추가적인 전자 컴포넌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주 경로가 제1 포트로부터 제2 포트까지 존재할 때 포트들 사이에 3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며, 주 경로는 3개의 커패시터들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경로들은 주 경로를 분기(branch off)시킬 수 있고, 또한 주 경로에 재합류할 수 있다. 또한, 주 경로는 저항기들과 같은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 저항기가 (커패시터들에)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된다. 이 미리 결정된 전압은 바람직하게는 접지와 같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3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될 때, 2개의 그러한 저항기들이 제공된다. 저항기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되지만, 이것이 요건은 아니다.
스위치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요소가 1개, 2개, 또는 전부와 같은 보다 많은 커패시터(들)를 단락(short-circuiting)시키거나, 또는 커패시터(들) 양단의 전압을 정의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종종 요망되는 리셋 기능일 수 있다. 리셋 기능은 영구적이거나 간헐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상기의 주파수 응답(주파수의 함수로서의 보상기 이득)은 네트워크의 주파수 응답에 실질적으로 반비례한다. 네트워크에서 직렬로 3개 이상의 커패시터들을 갖는 것의 전체적인 이점은,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동작이 적어도 3차의 고역 통과 필터의 동작이고, 따라서 보상기가 저주파수들에서 상당히 증가된 이득을 가질 것이라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의 커패시터들 중 하나 이상과 병렬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갖는 제2 네트워크가 제공된다. 그러한 저항기들을 추가하는 것은, 중간 주파수들에서의 보상기 이득이 DC에서의 보상기 이득을 위해 트레이드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2 네트워크가 없는 3-커패시터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보상기는, 저주파수들에서, 3차 기울기(third order slope) 및 DC에서 엄격하게 요구되는 것보다 가능하게는 더 많은 보상기 이득을 가질 것이다. 제2 네트워크는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 보상기 이득이 증가되는 동안 그 이득의 일부가 희생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득 스테이지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이다. 그러나, 이득 스테이지는 원하는 경우 트랜지스터 또는 FET일 수 있다.
본 맥락에서, 보상기는, 동작적 접속들에 의해, 1차 증폭기의 출력과 입력 사이의 피드백 루프에서 접속되는 회로이다. 보상기는 네트워크로 인해 적어도 3차의 필터로서 동작할 것이다. 보상기의 전체 기능은 1차 증폭기의 출력을 원하는 값에 더 가깝게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증폭기의 입력으로부터의 신호가 또한 비교기에 공급된다. 그 후, 보상기는 바람직하게는 증폭기 입력으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1차 증폭기 출력으로부터 도출된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발견된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1 주파수 범위에서는 에러 신호가 증폭되고, 제2 주파수 범위에서는 에러 신호가 증폭되지 않을 수 있거나, 심지어 감쇠되도록 한다. 제1 주파수 범위는 원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다. 오디오 증폭기에서, 이 대역폭은, 예를 들어, 0Hz 내지 40kHz, 0Hz 내지 20kHz, 또는 20Hz 내지 20kHz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범위는 제1 대역 위의 대역, 예를 들어, 60kHz 이상, 100kHz 이상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무한정으로(indefinitely) 또는 심지어 1MHz와 같은 매우 높은 주파수로 될 필요가 없다. 클래스 D 증폭기의 경우에, 제2 주파수 범위는 전형적으로 스위칭 주파수를 포함한다. 레거시 선형 증폭기들에서, 제2 주파수 범위는 1MHz에서 끝날 수 있다.
보상기는 통상적으로 1차 증폭기 출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입력으로의 피드백 루프에서 뿐만 아니라, 적절한 증폭기의 입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입력으로의 순방향 경로에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상기는 적어도 2개의 동작 모드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보상기의 특정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상이한 이유들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동작 모드는 심지어 원한다면 보상기를 완전히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상이한 동작 모드들은 네트워크의 상이한 부분들을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의 필터링 특성들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에 대해 선택된 동작 모드는 증폭기, 전형적으로 1차 증폭기의 다른 부분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그 후, 1차 증폭기는 적어도 제1 및 제2 증폭기 동작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증폭기 동작 모드는, 1차 증폭기가 특정 범위에서의 스위칭 주파수, 특정한 주파수 응답, 특정 이득 등을 갖는 모드일 수 있다. 종종, 제1 증폭기 모드는 원하는 동작 모드이고, 제2 증폭기 모드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1차 증폭기에서 완전히 피할 수 없는 모드이다. 전형적인 제2 증폭기 모드는, 1차 증폭기가 전력 공급기 전압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한되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거나, 스위칭을 중단하거나, 제1 모드의 범위 밖의 주파수에서 스위칭하는 클립핑 모드(clipping mode)이다. 클립핑 모드에서 동작할 때, 1차 증폭기는 1차 증폭기 입력 신호에서의 변화들에 대한 무시할만한 응답만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증폭기 모드는, 1차 증폭기 입력 신호에서의 추가적인 작은 변화에 응답한 1차 증폭기 출력 신호에서의 추가적인 변화가, 1차 증폭기 입력 신호에서의 그러한 추가적인 변화만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에 대한 1차 증폭기 출력 신호의 응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드로서 특성화될 수 있다. 즉, 큰 신호의 존재는 1차 증폭기가 추가적인 작은 신호에 응답하는 능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3 모드는, 잠재적으로 손상하는 부하 조건에 대해 1차 증폭기가 자신을 보호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일시적으로 턴 오프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
제4 모드는 1차 증폭기가 턴 오프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것은 파워 업/다운 시퀀스의 일부로서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커맨드의 결과일 수 있다.
보상기 및/또는 이득 스테이지는,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1차 증폭기가 적어도 제2 증폭기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와 같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에이블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다수의 방식으로 이득 스테이지 또는 보상기를 동작하지 않도록 렌더링할 수 있다. 하나의 상황에서, 보상기는, 디스에이블될 때, 보상기가 제공되는 경로를 따른 것과 같이, 그것을 통한 신호들의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기는 1차 증폭기를 통한 피드백 루프에서의 신호 전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상기가 적절한 증폭기의 입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입력으로의 순방향 경로에 또한 제공되는 경우, 이 경로도 또한 차단될 수 있다.
다른 상황에서, 디스에이블링은, 예를 들어, (0Hz - 100kHz와 같은) 관심 주파수 간격에 걸쳐, 단위 이득(unity gain)과 같은 미리 결정된 이득을 가질 때와 같이, 예를 들어, 보상기에게 어떠한 주파수 필터링 능력들도 제공하지 않는 것에 의해, 보상기를 "비가시적(invisible)"으로 렌더링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어서, 디스에이블된 보상기는 그것을 통한 신호들의 전송을 허용할 것이다.
보상기의 원하는 특성들을 얻기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방식들이 존재하지만,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가 단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모드에서, 모든 커패시터들은 단락된다. 이 모드에서, 이득 스테이지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모든 커패시터들이 단락될 때, 이것은 주파수 독립적 동작을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으며, 그것은 주파수 독립적 동작을 보상기에 부과하거나, 또는 저주파수들에서 보상기의 이득 및 위상 시프트를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락은 다수의 방식들로 획득될 수 있다. 하나의 상황에서, 네트워크는 다이오드(들)에 걸친 전압이 다이오드(들)의 순방향 전압을 초과할 때, 자동으로 도전성이 되고 따라서 그에 병렬로 접속된 컴포넌트들을 단락시키는 다이오드 또는 2개의 역평행(anti-parallel)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이 전압은 1차 증폭기로부터 도출될 수 있어서, 1차 증폭기가 클립핑(clip)되고, 그에 의해 과도한 전압을 출력하거나 예상 전압으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나면, 보상기는 자동으로 디스에이블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이오드의 2개의 포트들 또는 커넥터들이 커패시터(들)의 2개의 포트들 또는 커넥터들에 접속될 때, 다이오드는 커패시터에 걸쳐 접속된다. 다이오드가 다수의 직렬 접속된 커패시터들에 걸쳐 접속되는 경우, 다이오드는 직렬 접속된 커패시터들의 대향하는 외부 커넥터들에 접속된다. 물론, 다수의 다이오드들이 다수의 커패시터들을 단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이오드에 걸친 전압이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을 초과할 때, 다이오드는 도전성이 되고 따라서 그것이 가로지르는 임의의 커패시터(들)를 단락시킬 것이다. 다수의 다이오드들이 직렬로 제공되는 경우, 그들은 그들을 가로지르는 전압이 결합된 순방향 전압들을 초과하는 경우에 도전하게 될 것이다.
대안적인 방법은, 1차 증폭기가 제1 증폭기 동작 모드를 벗어났거나, 제2, 제3 또는 제4 증폭기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 다음, 보상기가 그 자신을 디스에이블하는 것과 같이 반응하도록 구성된 미리 결정된 신호를 보상기에 전송하는 다른 회로를 갖는 것이다. 이 신호는, 예를 들어, 보상기에 대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상황들에서, 검출 회로는 1차 증폭기가 제1 증폭기 동작 모드를 벗어났거나, 제2, 제3 또는 제4 증폭기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 다음, 보상기가 그 자신을 디스에이블하게 반응하도록 구성된 미리 결정된 신호를 보상기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턴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의 신호가, 예를 들어, 이득 스테이지에 대한 전력을 차단하는 것, 이득 스테이지로부터 바이어스 전류를 제거하는 것, 또는 이득 스테이지의 부분들을 단락 또는 접속해제하는 것을 위해 이용될 때 획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의 단락은 스위치들, 예를 들어, 스위치들로서 동작되고 검출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들 또는 FET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한 스위치는 보상기의 입력과 직렬로 삽입될 수 있고, 정상적으로 온(즉, 폐쇄)되지만, 1차 증폭기가, 예를 들어, 제2 증폭기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검출 회로가 결정할 때 턴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transconductance amplifier)가 커패시터들 중 하나 이상에 걸쳐 접속되고, 이는 1차 증폭기가 적어도 제2 증폭기 동작 모드에 있을 때 동작한다. 이것은 커패시터 전압이 더 발달될 수 없다는 점에서, 단락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는 그것의 입력 및 출력이 동일한 전위에 있을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 이득 스테이지 입력과 1차 증폭기 출력 사이의 접속은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접속해제된다. 그 후, 1차 증폭기에 대한 피드백 루프는 접속해제되고 1차 증폭기에 의해 생성된 에러는 커패시터들을 더 충전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1차 증폭기가 제1 증폭기 동작 모드에 재진입할 때, 1차 증폭기가 제1 증폭기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았던 기간 동안에 커패시터들에 저장된 전하에 의해 동작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보상기는,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그리고 다른 동작 모드에서, 정상 또는 원하는 동작 동안과 같이,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되지 않을 때,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는 보상기가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동작가능 요소를 갖는다. 이 사용자 동작가능 요소는 스위치, 터치 패드, 키보드, 회전 노브(rotating knob)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동작가능 요소는 미리 결정된 위치 등을 가질 수 있어서, 그 동작은 보상기가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동작가능 요소는, 예를 들어, 초과되는 경우, 보상기가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게 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보상기가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로 될 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보상기의 디스에이블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차 증폭기는 클래스 D 증폭기이다. 클래스 D 증폭기들은 비교기, 및 비교기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1차 증폭기 입력은 비교기에 대한 입력에 접속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된다. 클래스 D 증폭기는 자체 발진일 수 있거나, 그것에 부과되는 발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래스 D 1차 증폭기는 유휴 스위칭 주파수(idle switching frequency)를 갖는다. 유휴 스위칭 주파수는 모든 입력 신호를 제거하고, 전력 스테이지에서 발견된 온/오프 사이클의 평균 기간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휴 스위칭 주파수는 200kHz - 2MHz의 범위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력 스테이지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 공급기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는 모든 전력 디바이스들이 실질적으로 전체 시간 동안 완전히 온 또는 완전히 오프로 동작되는 전력 스테이지이다. 전력 디바이스들은 트랜지스터들, FET들, IGBT들 등일 수 있다.
또한, 비교기는 통상적으로, 클래스 D 증폭기에서, 2개의 입력 신호들 사이, 또는 입력 신호와 미리 결정된 전압 사이의 차이의 부호에 대응하는 이진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교기의 출력 신호는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에 대한 제어 신호로서 작용한다.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 출력은 1차 증폭기 출력을 형성하거나 그것에 접속될 수 있다. 종종, 때로는 출력 필터라고 지칭되는 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필터가 스위칭 스테이지로부터의 고주파수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1차 증폭기 출력에 접속되지만, 이 필터가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1차 증폭기 출력과 전력 스테이지 출력 사이와 같이, 1차 증폭기의 외부에 또는 1차 증폭기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1차 증폭기가 클래스 D 증폭기일 때,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1차 증폭기 출력과 비교기의 입력 및/또는 1차 증폭기에 대한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1 피드백 필터를 더 포함한다. 제1 피드백 필터는 고역 통과 필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Hz와 20kHz 사이의 범위의 (적어도 30%와 같은) 상당한 부분에서, 제1 주파수의 2배인 제2 주파수에서의 이득보다 낮은 제1 주파수에서의 이득을 갖는 고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주파수에서의 이득은 제1 주파수에서의 이득의 적어도 1.5배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역 통과 필터는 그 이득이 적어도 원하는 주파수 간격에 걸쳐 상향 추세(upward trend)를 나타내는 필터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련 주파수 간격은 유휴 스위칭 주파수의 1/4과 1/2 사이이고, 여기서 이득은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 더 높고(더 낮은 감쇠), 더 낮은 주파수들에서 더 낮다(더 높은 감쇠).
제1 피드백 필터를 통한 피드백 루프는 1차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을 프로그래밍하는데 이용된다. 1차 증폭기가 선형 증폭기인 경우, 1차 증폭기로서 이용되는 회로가 그 주위에 본 발명의 교시들을 적용하는 것을 유용하게 만드는 주파수 응답을 이미 갖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1 피드백 필터에 대응하는 회로 요소가 존재할 수 있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존재하지 않는다면, 원하는 주파수 응답을 획득하기 위해 선형 증폭기 주위의 피드백 루프에 제1 피드백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제1 피드백 필터는 임의의 차수를 가질 수 있다. 레거시 클래스 D 증폭기들에서, 이 필터는 1차 필터이지만, 그 대신에, 보다 높은 차수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것은 1차 증폭기의 폐쇄 루프 이득을 증가시키고, 그에 의해 제1 합산 노드를 통해 폐쇄된 루프에 이용가능한 루프 이득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순방향 경로라고 지칭되는 경로가 적절한 증폭기의 입력과 1차 증폭기 입력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상기가 순방향 경로에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순방향 경로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저역 통과 필터는 입력으로부터 도출된 신호와 출력으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결합하는 합산 노드로부터 저역 통과 필터에 공급함으로써 피드백 루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순방향 경로에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하는 것의 이점은, 입력 신호에서의 고주파수 성분들을 감쇠시키는 것 이외에, 루프 이득을 추가한다는 것이다.
1차 증폭기가 클래스 D 증폭기일 때, 저역 통과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보다 낮은 주파수들에 대해 이 스위칭 주파수를 감쇠시키기 위해 스위칭 주파수에 적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역 통과 필터는 유휴 스위칭 주파수에서의 제1 이득, 및 유휴 스위칭 주파수의 절반에서의 제2 이득을 가지며, 여기서 제2 이득은 제1 이득의 적어도 1½배이다. 바람직하게, 제2 이득은 제1 이득의 적어도 2배, 또는 심지어 제1 이득의 적어도 3, 4, 5, 6, 7, 8, 9, 10배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는 보상기의 출력으로부터 입력으로의 제3 경로를 더 포함한다. 이 경로는, 증폭기 입력으로부터의 경로와 함께, 보상기가 출력 및 입력으로부터 보상기의 입력으로의 경로들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1차 증폭기에 대한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에러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함으로써, 보상기는 적어도 원하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1차 증폭기에 의해 생성된 왜곡에 대항하는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1차 증폭기는 실질적으로 적분기(integrator)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1차 증폭기가 클래스 D 증폭기인 경우, 이것은 DC에서 무시할만한 이득을 갖는 고역 통과 필터와 같은 고역 통과 필터가 되도록 제1 피드백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본 맥락에서, 적분 증폭기는 실질적으로 적분기처럼 작용하는 증폭기이다. 즉, 20Hz와 20kHz 사이의 범위의 (적어도 30%와 같은) 상당한 부분에 걸쳐서, 제1 주파수에서의 이득은 제1 주파수의 2배인 제2 주파수에서의 이득보다 높다. 바람직하게, 제1 주파수에서의 이득은 제2 주파수에서의 이득의 적어도 1.5배이다.
유리하게, 하나 이상의 추가 피드백 경로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하나만이 실질적인 DC 이득을 갖는다. 이것이 본 발명의 제2 양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피드백 또는 루프가, 적절한 증폭기의 출력일 수 있는 1차 증폭기 출력과 이득 스테이지 입력 사이에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물론, 이러한 루프는 필터들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증폭기의 이득 곡선을 더 형상화(shape)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함께 작용할 수 있다. 하나의 상황에서, 루프는 10-100kHz의 주파수 간격에서 국소화된 반공진 또는 딥(localized anti-resonance or dip)을 갖는 응답 곡선 또는 이득 곡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그러한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피드백 또는 루프가, 적절한 증폭기의 출력일 수 있는 1차 증폭기 출력과 이득 스테이지 출력 사이에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물론, 이러한 제2 루프는 필터들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증폭기의 이득 곡선을 더 형상화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함께 작용할 수 있다. 하나의 상황에서, 루프는 10-100kHz의 주파수 간격에서 국소화된 반공진 또는 딥을 갖는 응답 곡선 또는 이득 곡선을 갖는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1차 증폭기로서,
ㆍ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제1 포트와 제2 포트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고, 커패시터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서 저항기가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됨―,
ㆍ 1차 증폭기 입력,
ㆍ 1차 증폭기 출력,
ㆍ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스위칭 전력 스테이지는,
o 전력 스테이지 입력, 및
o 제1 포트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전력 스테이지 출력을 가짐―, 및
ㆍ 비교기―비교기는,
o 제2 포트에 접속된 비교기 입력, 및
o 전력 스테이지 입력에 접속된 비교기 출력을 가짐―
를 포함하는, 1차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이 양태는 특정한 타입의 1차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1차 증폭기는 본 발명의 상기의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증폭기에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양태들과 관련된 모든 실시예들, 상황들 및 고려사항들은 이 양태에 대해 동일하게 관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증폭기는 그것 자체가 증폭기이지만, 통상적인 오디오 증폭기들과는 다른 원하는 동작 모드를 갖도록 허용될 수 있다.
1차 증폭기는 2개의 포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2개의 포트들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고, 커패시터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서 저항기가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된다.
본 1차 증폭기의 네트워크에서, 2개의 포트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제공된다. 물론, 추가적인 커패시터들, 저항기들, 인덕터들, 증폭기들, 합산 노드들, 능동 또는 수동 컴포넌트들과 같은 추가적인 전자 컴포넌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주 경로가 제1 포트로부터 제2 포트까지 존재할 때 포트들 사이에 2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고, 주 경로는 2개의 커패시터들을 차례로 통과한다.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경로들은 주 경로를 분기시킬 수 있고, 또한 주 경로에 재합류할 수 있다. 또한, 주 경로는 저항기들과 같은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 저항기가 (커패시터들에)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된다. 이 미리 결정된 전압은 바람직하게는 접지와 같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3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는 경우, 2개의 그러한 저항기들이 제공된다. 하나보다 많은 그러한 저항기가 제공되는 경우, 저항기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되지만, 이것이 요건은 아니다.
포트들 사이에 직렬로 2개 이상의 커패시터들을 갖는 것의 전체적인 이점은,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동작이 적어도 2차의 고역 통과 필터의 동작이라는 것이다.
1차 증폭기는 입력 및 출력 뿐만 아니라,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 및 비교기를 갖는다. 클래스 D 증폭기들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비교기는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에 접속된다. 그 후, 1차 증폭기 입력이 비교기 입력에 접속되거나 실제로 비교기 입력을 형성하도록, 비교기 입력은 1차 증폭기에 대한 입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는, 예를 들어, 원하는 경우 1차 증폭기 입력과 비교기 입력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 출력은 1차 증폭기 출력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것에 접속될 수 있다. 종종, 때로는 출력 필터라고 지칭되는 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필터가, 스위칭 스테이지로부터의 고주파수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1차 증폭기 출력에 접속되지만, 이 필터가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1차 증폭기 출력과 전력 스테이지 출력 사이와 같이, 1차 증폭기의 외부에 또는 1차 증폭기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력 스테이지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 공급기로부터 부하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는 모든 전력 디바이스들이 실질적으로 전체 시간 동안 완전히 온 또는 완전히 오프로 동작되는 전력 스테이지이다. 전력 디바이스들은 트랜지스터들, FET들, IGBT들 등일 수 있다.
또한, 비교기는 통상적으로, 클래스 D 증폭기들에서, 2개의 입력 신호들 사이, 또는 입력 신호와 미리 결정된 전압 사이의 차이의 부호에 대응하는 이진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교기의 출력 신호는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에 대한 제어 신호로서 작용한다.
이 네트워크는 비교기 입력과 전력 스테이지 출력 사이에 제공되고, 따라서 전력 스테이지 및 비교기에 걸쳐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피드백 루프는 1차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을 프로그래밍하는데 이용된다.
저항기의 도체들이 커패시터들의 "외부" 도체들에 접속될 때, 저항기는, 예를 들어, 2개의 직렬 접속된 커패시터들에 걸쳐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증폭기로서,
ㆍ 증폭기 입력,
ㆍ 제3 양태에 따른 1차 증폭기, 및
ㆍ 저역 통과 필터―저역 통과 필터는,
o 1차 증폭기 출력 및 증폭기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필터 입력, 및
o 1차 증폭기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필터 출력을 가짐―
를 포함하는,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양태들과 관련된 모든 실시예들, 상황들 및 고려사항들은 이 양태에 대해 동일하게 관련된다.
물론, 증폭기는 1차 증폭기 출력에 접속될 수 있거나 1차 증폭기 출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출력을 갖는다. 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증폭기 출력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는 1차 증폭기 입력과 증폭기 입력 및 1차 증폭기 출력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증폭기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는 1차 증폭기 입력에 도달하기 전에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추가적으로, 1차 증폭기 출력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1차 증폭기 입력에 도달하기 전에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순방향 경로가 증폭기 입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로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 다른 필터들 및 컴포넌트들이 순방향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1차 증폭기 출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입력으로 피드백 경로가 정의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는 또한 이 경로에 존재한다. 물론, 상이한 저역 통과 필터들이 피드백 경로 및 순방향 경로에 제공될 수 있지만, 피드백 경로 및 순방향 경로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공통 경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역 통과 필터의 원하는 파라미터들 및 동작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최종 양태는 증폭기로서,
ㆍ 증폭기 입력,
ㆍ 제5 양태에 따른 1차 증폭기, 및
ㆍ 디스에이블되도록 구성된 보상기―보상기는,
o 1차 증폭기 출력 및 증폭기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보상기 입력, 및
o 1차 증폭기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보상기 출력을 가짐―
를 포함하는,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양태들과 관련된 모든 실시예들, 상황들 및 고려사항들은 이 양태에 대해 동일하게 관련된다.
물론, 증폭기는 1차 증폭기 출력에 접속될 수 있거나 1차 증폭기 출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출력을 갖는다. 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증폭기 출력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보상기는 1차 증폭기 입력과 증폭기 입력 및 1차 증폭기 출력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증폭기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는 1차 증폭기 입력에 도달하기 전에 보상기에 의해 필터링된다. 추가적으로, 1차 증폭기 출력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1차 증폭기 입력에 도달하기 전에 보상기에 의해 필터링된다.
순방향 경로가 증폭기 입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로는 보상기를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 필터들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이 순방향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피드백 경로가 1차 증폭기 출력으로부터 1차 증폭기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상기는 또한 이 경로에 존재한다. 물론, 상이한 보상기들이 피드백 경로 및 순방향 경로에 제공될 수 있지만, 피드백 경로 및 순방향 경로는 보상기를 포함하는 공통 경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상기의 원하는 동작 및 구현은 위에서 더 설명된다.
실시예에서, 1차 증폭기는 실질적으로 적분기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1차 증폭기가 클래스 D 증폭기인 경우, 이것은 DC에서 무시할만한 이득을 갖는 고역 통과 필터가 되도록 제1 피드백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유리하게, 하나 이상의 추가 피드백 경로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하나만이 실질적인 DC 이득을 갖는다. 이것이 본 발명의 추가 양태이다.
다수의 추가적인 기술들 및 솔루션들은, "AMPLIFIER CIRCUIT" 및 "AN AMPLIFIER WITH AN AT LEAST SECOND ORDER FILTER IN THE CONTROL LOOP"라는 명칭의, 출원인의 공동 계류중인 출원들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동일 날짜에 출원되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도시된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5는 합산 노드(1), 제3 피드백 필터(12) 및 제1 순방향 필터(2)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순방향 필터(2)는 1차 저역 통과 필터이다.
- 도 6은 합산 노드(1), 제3 피드백 필터(12) 및 제1 순방향 필터(2)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순방향 필터(2)는 적분기이다.
- 도 7은 합산 노드(1), 제3 피드백 필터(12) 및 제1 순방향 필터(2)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순방향 필터(2)는 2차 저역 통과 필터이다.
- 도 8은 합산 노드(4), 순방향 필터(3), 제2 피드백 필터(11) 및 보상기(5)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보상기(5)는 출력과 반전 입력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네트워크(52)와 병렬로 보상 네트워크(51)로서 이용되는 커패시터를 갖는 op 앰프이고, 따라서 보상기(5)를 포화 적분기로 만들고, 순방향 필터(3)는 저항기이고, 제2 피드백 필터(11)는 고역 통과 필터이다.
- 도 9는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2개의 DC 극들 및 하나의 실수 0(real zero)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0은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하나의 실수 0, 및 크기만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complex pole)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1은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하나의 실수 0, 및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2는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2개의 실수 0들, 하나의 DC 극, 및 크기만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3은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2개의 실수 0들, 하나의 DC 극, 및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4는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3개의 실수 0들, 및 크기만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복소수 극들의 2개의 쌍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5는 도 8(파선(dashed), 흑색), 도 9(쇄선(dashdot), 회색), 도 10(점선(dotted), 회색), 도 11(실선(solid), 회색), 도 12(점선, 흑색), 및 도 13(실선, 흑색)의 보상 네트워크(51)를 갖는 도 8에서와 같은 회로에 의해 획득된 이득의 전형적인 곡선들을 도시한다.
- 도 16은 보상기의 포화를 달성하기 위해 피드백 네트워크(52)로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 도 17은 연산 증폭기 클립(operational amplifier clip)을 그의 공급 레일들(supply rails)에 대항하여 배치함으로써 포화가 암시적으로 적용되는 보상기(5)의 회로 구현을 도시한다.
- 도 18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이용하기 위한 보상기(5a)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포화의 수단이 제공되지 않지만, 보상기를 재설정하기 위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보상 네트워크(51)에 걸쳐 접속된다.
- 도 19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이용하기 위한 보상기(5a)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스위치는 적분기와 직렬로 배치되어 적분을 유지하지만 적분기를 리셋하지 않는다.
- 도 20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이용하기 위한 보상기(5a)의 완전 차동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3개의 극(그 2개는 공진 쌍임) 및 2개의 0들을 갖고, 3개의 op 앰프들을 이용하여 실행되고, 매 커패시터마다 리셋 스위치들을 갖는다.
- 도 21은 순방향 필터(3) 및 제2 피드백 필터(11)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순방향 필터(3)는 1차 저역 통과 필터이다.
- 도 22는 합산 노드들(6 및 7) 및 제1 피드백 필터(10)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제1 피드백 필터(10)는 고역 통과 필터이다.
- 도 23은 합산 노드들(6 및 7) 및 제1 피드백 필터(10)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제1 피드백 필터(10)는 하이 쉘프 필터(high-shelf filter)이다.
- 도 24는 보상 네트워크(51)의 개선된 버전들이 대체될 수 있는 곳을 나타내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서 구성된 선형 증폭기의 단순화된 회로를 도시한다.
-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증폭기(101), 순방향 필터(2), 제3 피드백 필터(12), 케이블 및 부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3 피드백 필터(12)에 대한 입력 신호가, 부하가 부착되는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된다.
-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적분 증폭기, 차동 증폭기(13), 부하 및 전류 센서(14)로서 구성되는 2차 증폭기(101)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여기서 적분 증폭기는 전류 센서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의 차이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 도 27은 마킹된 대략적인 등가 함수들, 즉, 제1 피드백 필터(10)로서의 1차 고역 통과 필터 및 제1 순방향 필터(2)로서의 1차 저역 통과 필터를 갖는 종래 기술의 증폭기를 도시한다.
- 도 28은 1차 피드백 필터에서의 2차 또는 더 높은 차수의 고역 통과 필터의 이용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증폭기를 도시한다.
- 도 29는 3차 네트워크를 갖는 보상기에 대한 이득 곡선, 및 그러한 보상기 및 추가적인 피드백 루프의 결합된 효과에 의해 얻어진 이득 곡선을 도시한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D 전력 증폭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 5는 합산 노드(1), 제3 피드백 필터(12) 및 제1 순방향 필터(2)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순방향 필터(2)는 1차 저역 통과 필터이다.
- 도 6은 합산 노드(1), 제3 피드백 필터(12) 및 제1 순방향 필터(2)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순방향 필터(2)는 적분기이다.
- 도 7은 합산 노드(1), 제3 피드백 필터(12) 및 제1 순방향 필터(2)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순방향 필터(2)는 2차 저역 통과 필터이다.
- 도 8은 합산 노드(4), 순방향 필터(3), 제2 피드백 필터(11) 및 보상기(5)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보상기(5)는 출력과 반전 입력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네트워크(52)와 병렬로 보상 네트워크(51)로서 이용되는 커패시터를 갖는 op 앰프이고, 따라서 보상기(5)를 포화 적분기로 만들고, 순방향 필터(3)는 저항기이고, 제2 피드백 필터(11)는 고역 통과 필터이다.
- 도 9는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2개의 DC 극들 및 하나의 실수 0(real zero)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0은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하나의 실수 0, 및 크기만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complex pole)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1은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하나의 실수 0, 및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2는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2개의 실수 0들, 하나의 DC 극, 및 크기만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3은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2개의 실수 0들, 하나의 DC 극, 및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2개의 복소수 극들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4는 보상 네트워크(51)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보상기를 3개의 실수 0들, 및 크기만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복소수 극들의 2개의 쌍을 갖는 함수로 만든다.
- 도 15는 도 8(파선(dashed), 흑색), 도 9(쇄선(dashdot), 회색), 도 10(점선(dotted), 회색), 도 11(실선(solid), 회색), 도 12(점선, 흑색), 및 도 13(실선, 흑색)의 보상 네트워크(51)를 갖는 도 8에서와 같은 회로에 의해 획득된 이득의 전형적인 곡선들을 도시한다.
- 도 16은 보상기의 포화를 달성하기 위해 피드백 네트워크(52)로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 도 17은 연산 증폭기 클립(operational amplifier clip)을 그의 공급 레일들(supply rails)에 대항하여 배치함으로써 포화가 암시적으로 적용되는 보상기(5)의 회로 구현을 도시한다.
- 도 18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이용하기 위한 보상기(5a)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포화의 수단이 제공되지 않지만, 보상기를 재설정하기 위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보상 네트워크(51)에 걸쳐 접속된다.
- 도 19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이용하기 위한 보상기(5a)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스위치는 적분기와 직렬로 배치되어 적분을 유지하지만 적분기를 리셋하지 않는다.
- 도 20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이용하기 위한 보상기(5a)의 완전 차동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3개의 극(그 2개는 공진 쌍임) 및 2개의 0들을 갖고, 3개의 op 앰프들을 이용하여 실행되고, 매 커패시터마다 리셋 스위치들을 갖는다.
- 도 21은 순방향 필터(3) 및 제2 피드백 필터(11)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순방향 필터(3)는 1차 저역 통과 필터이다.
- 도 22는 합산 노드들(6 및 7) 및 제1 피드백 필터(10)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제1 피드백 필터(10)는 고역 통과 필터이다.
- 도 23은 합산 노드들(6 및 7) 및 제1 피드백 필터(10)의 회로 구현을 도시하며, 제1 피드백 필터(10)는 하이 쉘프 필터(high-shelf filter)이다.
- 도 24는 보상 네트워크(51)의 개선된 버전들이 대체될 수 있는 곳을 나타내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서 구성된 선형 증폭기의 단순화된 회로를 도시한다.
-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증폭기(101), 순방향 필터(2), 제3 피드백 필터(12), 케이블 및 부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3 피드백 필터(12)에 대한 입력 신호가, 부하가 부착되는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된다.
-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적분 증폭기, 차동 증폭기(13), 부하 및 전류 센서(14)로서 구성되는 2차 증폭기(101)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여기서 적분 증폭기는 전류 센서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의 차이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 도 27은 마킹된 대략적인 등가 함수들, 즉, 제1 피드백 필터(10)로서의 1차 고역 통과 필터 및 제1 순방향 필터(2)로서의 1차 저역 통과 필터를 갖는 종래 기술의 증폭기를 도시한다.
- 도 28은 1차 피드백 필터에서의 2차 또는 더 높은 차수의 고역 통과 필터의 이용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증폭기를 도시한다.
- 도 29는 3차 네트워크를 갖는 보상기에 대한 이득 곡선, 및 그러한 보상기 및 추가적인 피드백 루프의 결합된 효과에 의해 얻어진 이득 곡선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입력(20), 출력(21), 이득 스테이지(박스들 8 및 9), 4개의 합산 노드들(1, 4, 6, 7), 제1 피드백 필터(10), 제2 피드백 필터(11), 제3 피드백 필터(12), 제1 순방향 필터(2), 제2 순방향 필터(3) 및 보상기(5)를 갖는 증폭기(100)가 도시된다.
1차 증폭기는 박스(102)로서, 2차 증폭기는 박스(101)로서 표시된다.
입력(20)과 1차 증폭기(101)로의 입력 사이에는 순방향 경로가 정의되고, 출력(21)과 합산 노드 사이 전체에는 다수의 피드백 경로들이 도시되어 있다.
내부 피드백 경로는 출력(21)과 합산 노드(7) 사이에 정의되고, 내부 피드백 루프는 출력(21)으로부터 필터(10), 합산 노드(7), 증폭기 이득 스테이지(8) 및 필터(9)를 통해 정의된다.
입력(20)을 통해 오디오 신호가 합산 노드(1)에 공급된다. 출력(21)은 피드백 필터(12)를 통해 합산 노드(1)에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드백 필터(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항기이지만, 증폭기(100)의 주파수 응답의 추가적인 형상화를 허용하기 위한 필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합산 노드(1)의 출력은 순방향 필터(2)에 공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순방향 필터(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대역 위의 코너 주파수(corner frequency)를 갖는 1차 저역 통과 필터이다. 순방향 필터(2)의 출력은 순방향 필터(3)를 통해 합산 노드(6) 및 합산 노드(4) 둘다에 접속된다. 합산 노드(4)는 또한 피드백 필터(11)를 통해 출력(21)의 신호를 수신한다. 합산 노드(4)는 보상기(5)에 공급한다. 보상기(5)는 합산 노드(6)에 공급한다. 보상기는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디스에이블되도록 배열된다. 순방향 경로는 병렬 부분들을 가지며, 하나의 부분은 필터(3), 합산 노드(4) 및 필터(5)를 포함하고, 다른 부분은 필터(3)의 입력으로부터 합산 노드(6)로의 직접 접속이다.
피드백 경로가 출력(21)으로부터 필터(11)를 통해 합산 노드(4)로 정의된다. 이 피드백 경로는 또한 보상기(5), 합산 노드(6) 및 1차 증폭기(102)를 포함하는 피드백 루프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피드백 루프는 필터(11) 및 보상기(5)에 의해 형성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보상기는 보상기 이득 스테이지인 연산 증폭기(50)를 포함하며, 용량성 보상 네트워크(51)는 연산 증폭기의 출력과 반전 입력 사이에 접속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다. op 앰프들 주위에 피드백 네트워크들을 채용하는 필터 회로들을 설계할 때, 차동 입력을 갖는 회로를 획득하기 위해 이들 피드백 네트워크의 중복(duplicate)을 op 앰프의 비반전 입력과 접지 사이에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다른 이점들 중에서도 이것은 반전 또는 비반전 동작의 자유로운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명료성을 위해, 그러한 중복 피드백 네트워크들은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고, 정확한 극성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반전들이 암시된다.
가장 간단한 그러한 용량성 피드백 네트워크는 단순히 도 8에서와 같은 커패시터이다. 결과적인 회로는 적분기, 즉, 이득이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회로이다. 이것은 또한 1차 필터 또는 1극 필터(one-pole filter)라고도 지칭되고, "극(pole)"은 이득이 무한인 (실수 또는 복소수) 주파수이고, "차수(order)"는 극들의 수이다. 간단한 적분기에서, 극은 0Hz에 있다(또는 실제로 그것에 매우 가깝다). Ifb와 Vcomp의 비율은 원하는 동작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것이 바람직한 보상기 이득에 반비례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들을 위해, 용량성 네트워크는 적어도 증폭기의 동작 대역폭과 스위칭 주파수의 절반 사이의 범위에서, op 앰프 출력 전압 Vcomp에 대한 크기가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는 피드백 전류 Ifb를 생성하는 회로인 것으로 이해된다. 예로서, Ifb와 Vcomp 사이의 비율은 20kHz와 200kHz 사이에서 10배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Ifb와 Vout 사이의 비율은 80kHz와 800kHz 사이에서 10배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높은 보상기 이득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된 증폭기 동작 범위에서는 Ifb/Vcomp 비율이 낮다.
도 9에서, 2차 응답이 도시되어 있다. 예로서, 획득된 응답의 타입은 도 15의 그래프의 회색 쇄선으로 도시된다. 저주파수들에서, 이득은 (40dB/decade)의 하향 기울기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주파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높은 주파수들에서, 응답은 1차 (20dB/decade) 기울기로 천이한다. 이러한 타입의 동작은 보상기들에 대해 매우 바람직하다. 필터는 1차 기울기로의 천이가 루프 이득이 1이 되는 지점 전에 발생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안정된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히 낮은 값으로 위상 시프트를 감소시킨다. 동시에, 저주파수들에서의 더 빠른 기울기는 간단한 1차 회로보다, 낮은 주파수들에서의 더 높은 루프 이득을 허용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의 개선들은 DC(도 15에서 점선 회색 및 실선 회색)의 루프 이득을 희생하여 이득이 가장 높은 주파수를 더 높은 주파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인 증폭 스테이지들을 이용하지 않고 저주파수 루프 이득이 더 증가(즉, 차수가 증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당 하나의 증폭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차수 3 이상의 보상기들만이 구현되었다.
도 8에서, op 앰프(50)의 반전 입력 단자는 가상 단락(virtual short)으로서 동작되고, 보상 네트워크(51)는 미분기(differentiator)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이고, 그 출력 전류 Ifb는 Vcomp의 도함수(derivative)이다. 그렇지 않으면, Vcomp는 전류 Ifb의 적분이다. 도 9의 네트워크는 1차 고역 통과 필터와 캐스케이딩된 미분기로서 작용한다. 이 네트워크는 추가적인 고역 통과 섹션들을 추가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고역 통과 섹션을 하나 더 추가하는 것은 도 15에서 흑색 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응답을 초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커패시터들 중 2개를 브리징하는 저항기는 도 15에서 흑색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극들의 주파수를 위로 다시 이동시킬 것이다. 도 13은 도 11의 2-극 경우에서 동일한 효과를 생성하는데 필요했던 바와 같은 3-컴포넌트 병렬 T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2개의 극들의 Q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4는 방법이 추가의 고역 통과 섹션들을 (선택적으로는 극들의 주파수를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병렬 네트워크들과) 캐스케이딩함으로써 임의의 수의 극들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통찰은 클래스 D 증폭기들을 위한 제어 회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24는 표준 연산 증폭기의 기본 회로를 도시한다(실제 op 앰프들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j-FET들, MOSFET들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들, 또는 혼합을 이용할 수 있고, 추가적인 바이어스, 캐스코드 또는 보호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네트워크(51), 즉, 여기서 커패시터는 "보상 커패시터"의 위치를 취한다. 여기서도, 그러한 네트워크는 오디오 충실도를 개선시킨다.
보상 네트워크(51)가 다수의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더라도, 수동 컴포넌트들의 이용은 그 한계들을 갖는다. 분명히, 증폭기 스테이지의 어셈블리의 출력과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의 특성이 반대이다.
보상기(이득 스테이지 및 보상 네트워크(51)를 포함함)를, 병렬로 동작하는 다른 피드백 루프와 결합하는 것은, 회로 또는 증폭기의 전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방식들을 제공한다.
도 29에서, 3차의 피드백 네트워크를 갖는 증폭기 스테이지의 이득을 설명하는 흑색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3차 기울기로부터 1차 기울기로의 천이는 다소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색 곡선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피드백을 이용하여 획득된다. 이러한 피드백은 이득 곡선에서 반공진(anti-resonance) 또는 딥(dip)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회색 곡선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체 이득 곡선에서 딥을 제공할 것이다. 이제, 3차 기울기로부터 1차 기울기로의 천이는 훨씬 더 국소화되고, 이는 가청 주파수 간격에서 더 높은 이득의 형태로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피드백 경로들이 설명되며, 하나는 필터(10)를 통한 것이고, 하나는 필터(12)를 통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차 증폭기(102)의 맥락에서, 제1 피드백 필터(10)는 보상기(5)의 맥락에서 보상 네트워크(51)에 의해 충족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충족시킨다는 점에 유의한다. 즉, 보상기의 이득은 보상 네트워크(51)의 이득에 대략 반비례한다. 보상 네트워크(51)가 커패시터인 경우, 보상기(5)는 적분기처럼 동작할 것이다. 보상 네트워크(51)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차 미분 네트워크이고, 도 14까지 이어지는 경우, 보상기는 고차 적분기들처럼 작용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1차 증폭기(102)의 이득은 피드백 필터(10)의 이득에 대략 반비례한다. 따라서, 제1 피드백 필터(10)에서의 커패시터에 대해 고차 미분 네트워크를 대체하는 것은 1차 증폭기(102)의 이득을 증가시킬 것이다. 제2 피드백 필터(11)에서 알려진 단일 커패시터에 대해 유사한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신호 소거(signal cancellation)가 다시 획득된다.
도 27은 많은 오디오 응용들에서 그 성능을 수용가능한 알려진 간단한 회로를 도시한다. 본 설명에서 명명된 요소들의 관점에서, 그것은 순방향 필터(2), 제1 피드백 네트워크(10), 이득 스테이지(8) 및 출력 필터(9)로서 분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합산 노드들(1 및 7)은 회로 접합들(circuit junctions)로서 구현된다. 커패시터에 대한 고차 미분 네트워크를 대체함으로써 제1 피드백 필터(10)를 수정하는 것은 그러한 회로에서의 루프 이득을 저렴한 방식으로 개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피드백 네트워크(52)는 포화를 제공하기 위해, 즉, 용량성 피드백 네트워크(51)에 걸친 전압이 미리 설정된 한계보다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된다. 이 제2 피드백 네트워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역평행 다이오드들만큼 간단할 수 있거나, 도 16으로부터의 것과 같이 더 정교한 회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op 앰프(50)는 op 앰프(50)의 출력 Vcomp가 정상 동작 범위 바로 밖에서 자연스럽게 포화되도록 선택된 공급 전압들로부터 단순히 전력 공급을 공급받는다(도 17).
이것은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보상기가 그 동작을 디스에이블하도록 배열된다는 취지로 신호 소거 및 포화가 함께 이용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다. 먼저, 오디오 신호가 1차 증폭기(102)의 심각한 클립핑을 야기하기에 충분한 진폭으로 입력(20)에 인가된다. 입력 신호로서, 20Hz와 20kHz 사이에서 계속 스위핑하는 사인파가 이용된다. 출력 신호(21)의 피크-대-피크 값 Vclip이 기록된다. 이 테스트 동안, 보상기(50)의 포화가 관찰되어야 한다(관찰 1). 다음으로, 출력 신호(21)의 피크-대-피크 값이 Vclip의 70%일 때까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감소된다. 이제, 보상기(50)의 포화가 관찰되지 않아야 한다(관찰 2). 다음, 제1 피드백 필터(10)의 이득은 적어도 DC 내지 20kHz 범위에서 10% 만큼 변경된다. 1차 증폭기(102)가 클립핑으로부터 멀리 있더라도 보상기(50)의 포화는 다시 관찰되어야 한다(관찰 3). 관측들 1, 2 및 3이 모두 참(true)이면, 보상기는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그 동작을 디스에이블하도록 배열된다.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보상기가 그 동작을 디스에이블하도록 배열된다는 취지로 신호 소거 및 포화가 함께 이용되는지를 확립하기 위한 대안적인 절차는, 제1 피드백 필터(10)의 이득이 변경될 때 왜곡 성능의 급격한 변화를 찾는 것이다. 먼저, 정현파 오디오 신호(sinusoidal audio signal)를 입력(20)에 인가하고, 총 고조파 왜곡(harmonic distortion)이 10%를 측정할 때까지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증폭기의 클립핑 레벨을 설정한다. 그 후, 신호 레벨을 40% 만큼 감소시키고 왜곡을 측정한다. 다음, 제1 피드백 필터의 이득을 10% 만큼 변경하고, 왜곡을 다시 측정한다. 제2 왜곡 수치가 제1 왜곡 수치의 적어도 2배인 경우, 보상기는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그 동작을 디스에이블하도록 배열된다. 테스트는 1kHz 및 6kHz에서 행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도 2)에서, 1차 증폭기의 클립핑을 검출하는 회로가 추가된다. 클립핑을 검출하는 많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방법은 합산 노드(7)의 출력을 윈도우 비교기로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정상 동작 동안, 합산 노드(7)의 출력은 출력 스테이지 변화 상태를 만들기 위해 제로 크로싱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정 한계들 내에 유지될 것이다.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합산 노드(7)의 출력은 훨씬 더 커질 것이다. 이것은 정상 동작 또는 클립핑의 용이한 판별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방법은 비교기 출력을 시간화하는 것이다. 미리 결정된 최대값보다 더 오랫동안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유지되는 경우, 1차 증폭기는 클립핑인 것으로 간주된다. 추가 방법들은 입력 또는 출력 신호를 미리 설정된 한계들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러한 한계들을 넘어서 1차 증폭기는 클립핑이라고 간주된다.
그 다음, 클립핑 검출기의 출력은 용량성 피드백 네트워크(51)를 단락(즉, 리셋)하는 스위치들(53)(도 18에 도시됨)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그러한 스위치들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드백 네트워크로서의 단일 커패시터 및 리셋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변형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스위치는 추가의 적분을 디스에이블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9는 1차 증폭기의 클립핑이 검출될 때 보상기의 입력을 접속해제하고, 1차 증폭기가 정상 동작으로 복귀할 때 보상기의 입력을 재접속하도록 스위치가 배열되는 보상기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보상기는 하나의 op 앰프를 이용하여 구성될 필요가 없고, 하나의 피드백 네트워크만을 가질 필요가 없다. 기능적으로 등가인 회로들은, 예를 들어, 차동 피드백 네트워크들, 차동 op 앰프들 또는 다중 op 앰프들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0에는, 개별 적분 스테이지들을 리셋하기 위해 3개의 차동 op 앰프들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을 이용하여 구성된 3차 보상기의 구현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현은 다수의 변형들을 한번에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많은 유용한 조합들이 발견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합산 노드(6)의 출력은 1차 증폭기(102)에 공급한다. 이 증폭기는 클래스 A, AB, B 또는 D 증폭기일 수 있다. 그것이 클래스 D 증폭기인 경우, 그것은 자체 발진 또는 발진기 구동될 수 있다. 자체 발진 구현은 클래스 D 이득 스테이지(8), 출력 필터(9) 및 피드백 필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득 스테이지(8)는 비교기(또는 제로 크로싱 검출기(zero-crossing detector))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이득 스테이지(8)는 비교기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의 부호에 따라 그것의 출력을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전력 공급기 레일에 접속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1차 증폭기(102)는 자체 발진 증폭기로서 동작한다. 삼각파와 같은 주기적 기준 신호가 이득 스테이지(8)의 비반전 단자에 접속되는 경우, 증폭기는 더 이상 자체 발진하지 않는다. 그의 동작 주파수 및 이득은, 대신에 기준 파형의 주파수, 형상 및 진폭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종래 기술의 증폭기들에서, 피드백 필터(10)는 1차 증폭기(102)의 주파수 응답이 오디오 이용을 위해 충분히 편평하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피드백 필터(10)가 DC에서 무시할만한 이득을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에서의 경우일 필요는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드백 필터(10)는 오직 저항기 및 커패시터로 직렬로 구성된다(도 22). 결과적으로, 1차 증폭기(102)의 주파수 응답은 큰 DC 이득 및 낮은 코너 주파수를 갖는 저역 통과 필터에 근사화된다. 이용가능한 대역폭 대부분에 걸쳐서 20dB/decade 하향 기울기를 갖는다. 실제의 목적들을 위해, 1차 증폭기(102)는 적분기처럼 동작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순방향 필터(3)는 일정한 이득을 갖고(예를 들어, 저항기이고), 피드백 필터(11)는 1차 증폭기의 DC 이득이 무한하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저항기를 병렬로 갖는 피드백 필터(10)의 정확한 복제(copy)이고, 그에 의해 신호 소거를 개선한다. 이것은 피드백 필터들(10 및 11)을 위해 별개의 회로들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배열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2차 증폭기(101)의 주파수 응답은 1차 증폭기(102) 단독의 주파수 응답과 가깝게 매칭된다. 포화된 보상기(5)의 출력에서 오디오 입력 신호의 더 개선된 소거를 얻기 위해 순방향 필터(3) 및 피드백 필터(11)를 함께 수치적으로 최적화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21은 순방향 필터(3)가 1차 저역 통과 필터인 예를 도시한다.
베셀(Bessel), 버터워스(Butterworth) 또는 체비셰프(Chebyshev) 응답 또는 그 사이의 어떤 것을 달성할 가능성과 함께 2차 또는 더 높은 차수의 저역 통과 필터에 근사하는 폐쇄 루프 주파수 응답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를 넘는 Q 계수를 갖는) 공진 코너를 갖는 2차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방식은 공통 피드백 루프 내부에 2개의 1차 저역 통과 필터들을 배치하는 것이다. 증폭기(100)로부터 2차 저역 통과 주파수 응답을 얻기 위해, 2차 증폭기(101) 및 순방향 필터(2)가 그러한 저역 통과 필터의 구성 부분들로서 이용된다. 피드백 루프는 피드백 필터(12) 및 합산 노드(1)를 통해 폐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차 증폭기(101)는 큰 DC 이득을 갖지만 매우 낮은 코너 주파수를 갖는다. 도 22는 그러한 응답을 발생시키는 제1 피드백 필터(10)의 구현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2차 증폭기(101)에 대한 그러한 특성을 얻기 위해, 제1 피드백 필터(10)는 DC에서의 매우 낮은 이득 및 높은 주파수들(예를 들어, 스위칭 주파수, 200kHz, 100kHz)에서의 높은 이득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제1 피드백 필터(10)가 DC에서 0이 아닌 이득을 갖는다면, 그 이득이 그의 DC 이득보다 3dB 만큼 증가한 주파수는 낮아야 한다(예를 들어, 20kHz 미만, 예를 들어, 2kHz 미만). 제1 피드백 필터(10)가 1차 고역 통과 필터이면, 순방향 필터(2)가 1차 저역 통과 필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순방향 필터(2)를 갖는 피드백 루프에 2차 증폭기(101)를 포함시킴으로써 증폭기(100)에 대해 대략 2차 주파수 응답이 획득될 수 있다. 도 5는 그러한 순방향 필터(2)의 구현을 도시한다. 증폭기(100)의 주파수 응답에 대한 임의의 원하는 코너 주파수 및 Q 계수는 순방향 필터(2)의 이득 및 코너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증폭기(100)에 대한 동일한 주파수 응답이 피드백 필터(10) 및 순방향 필터(2)의 상이한 선택들로 이용가능하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3은 2차 증폭기가 낮은 DC 이득을 갖지만 반대로 높은 코너 주파수를 갖는 것을 허용하는 피드백 필터(10)의 구현을 도시한다. 이어서, 순방향 필터(2)를 적분기로서 구성하는 것은 증폭기(100)의 주파수 응답의 Q 계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게 한다. 순방향 필터(2)를 적분기로서 구성하는 구현이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신호 처리(여기서는 순방향 필터(2))가 적분 와인드업(integrating windup)을 겪지 않는 것이다. 통상적인 증폭기 설계 전략에 따라 순방향 필터(2)를 적분기로서 구성하는 것이 더 많지만, 1차 증폭기의 클립핑은 클립핑이 지속되는 한 순방향 필터(2)의 출력이 계속 성장하게 하여, 적분 와인드업을 유발할 것이다. 따라서, 순방향 필터(2)를 저역 통과 필터로서 구성하고, 높은 DC 이득 및 낮은 코너 주파수(예를 들어, 20kHz 미만, 예를 들어, 1kHz)를 갖도록 1차 증폭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신호 처리가 증폭기 입력과 비교기 사이의 저역 통과 필터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방향 필터(2)는 저역 통과 필터 또는 적분기이므로, 이것이 획득된다.
고차 저역 통과 동작은 순방향 필터(2)의 차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 이것은 비교기에 도달하는 입력 신호에서의 고주파수 성분들의 감쇠를 더 개선한다.
증폭기가 원격 감지에 더 잘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피드백 필터(12)의 입력은 제2 피드백 필터(11) 및 제1 피드백 필터(10)의 입력과는 독립적으로 부하에 접속된다. 이것은 제3 피드백 필터(12)의 입력이, 증폭기 및 라우드스피커 부하를 접속하는 케이블의 원단(far end)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피드백 필터들(11 및 10)은 근단(near end)에 접속될 수 있다. 이 배열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순방향 필터(2)가 저역 통과 필터 또는 적분기이기 때문에 가능하며, 케이블의 원단에 존재하거나 누락될 수 있는 고주파수 성분들에 민감하지 않게 한다. 또한, 순방향 필터(2)는 적분기 와인드업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 소거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저항에 의해 도입된 이득 에러는 중요하지 않다. 대조적으로, 원단에 제2 피드백 필터(11)를 접속하는 것은 보상기의 출력 신호가 매우 커지게 할 것이다.
도 25의 원격 감지 피드백 배열을 살펴보면, 분명히, 2차 증폭기(101)가 적분기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면, 그것은 실제로 전력 op 앰프로서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2차 증폭기(101)는 적분기로서 구성되므로, 전력 op 앰프의 이용을 요구하는 많은 응용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8은 제어된 전류원으로서 작용하는 전류 센서와 함께 전력 op 앰프로서 이용되는 2차 증폭기(101)의 배열을 도시한다. 전류 센서는 저항기, 전류 감지 변압기 또는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그 출력은 전형적으로 부하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이다. 이 전압은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되고 1차 증폭기(102)의 입력에 인가된다. 감산은 간단한 고정 이득 차이 증폭기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지만, 추가적인 필터링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간단한 블록도 조작에 의해 도 1로부터 얻어진다. 필터(3')는 이제 필터들(2 및 3)의 전달 함수들을 결합하는 반면, 필터(2')는 필터(2)와 동일하지만 이제 오직 합산 노드들(1 및 6) 사이의 병렬 접속에만 삽입된다. 이것은 회로의 동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도 1의 정확한 구조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이 방법은 H4(이전에 필터(2))의 2개의 버전들에 별도의 조정들(tweaks)을 허용함으로써 유리할 수 있고, 신호 소거의 정확도를 더 개선시킨다.
도 4는 합산 노드(1)가 그의 입력 및 피드백 필터(12)와 함께 중복되는 구현을 도시하며, 이는 이제 12a 및 12b로서 두 번 나타난다. 여기서도, 잠재적인 이점은 신호 소거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2' 및 3'에서 이용되는 증폭 스테이지들에 대한 상이한 선택들을 허용하는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의 그러한 재배열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교시들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추가의 실시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제1 경로가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디스에이블되는 보상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경우, 그 보상기를 포함하지 않지만 적어도 1차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제2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보상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로는, 1) 1차 증폭기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 2) 보상기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 3) 입력(20)에 정현파 자극을 인가하는 단계, 및 4) 1차 증폭기(102)의 입력에서 발견되는 신호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먼저 증폭기(100)의 코너 주파수의 2배인 제1 주파수에서 행해지고, 제1 신호 레벨을 산출하고, 제1 주파수의 4배인 제2 주파수에서 반복되어 제2 신호 레벨을 산출한다. 제2 레벨이 제1 레벨의 1/3보다 작은 경우, 제2 경로는 적어도 1차 저역 통과 필터처럼 동작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차 증폭기의 입력을 격리하는 것은 비현실적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합산 노드들이 종종 회로 접합들로서 구현되기 때문이다. 그 경우, 증폭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대안적인 테스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순방향 필터(2)로서의 1차 필터의 이용은 2차 저역 통과 필터로서 동작하는 증폭기(100)를 초래할 것이므로, 이 특성은 직접 테스트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현파 자극이 입력(20)에 접속되고, 레벨이 출력(21)에서 측정된다. 이 테스트는 다시 2개의 주파수들에서 행해진다. 첫째로, 증폭기(100)의 코너 주파수의 2배인 제1 주파수에서 제1 신호 레벨을 산출하고, 둘째로, 제1 주파수의 2배인 제2 주파수에서 제2 신호 레벨을 산출한다. 제2 레벨이 제1 레벨의 1/3보다 작은 경우, 제2 경로는 적어도 1차 저역 통과 필터처럼 동작한다.
Claims (13)
- 증폭기로서,
ㆍ 보상기―상기 보상기는,
· 2개의 포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상기 2개의 포트들 사이에는 적어도 3개의 커패시터들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커패시터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서 저항기가 미리 결정된 전압에 접속됨―, 및
· 이득 스테이지―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 하나의 포트에 접속된 이득 스테이지 입력, 및
· 다른 포트에 접속된 이득 스테이지 출력을 가짐―를 가짐―; 및
ㆍ 1차 증폭기―상기 1차 증폭기는,
· 상기 이득 스테이지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1차 증폭기 출력, 및
· 상기 이득 스테이지 출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1차 증폭기 입력을 가짐―
를 포함하는,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는 적어도 2개의 동작 모드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증폭기. -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커패시터들 중 하나 이상은 단락되는, 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들 중 하나 이상에 걸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증폭기. -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턴 오프되는, 증폭기. -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이득 스테이지 입력과 상기 1차 증폭기 출력 사이의 접속이 접속해제되는, 증폭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는,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될 때, 그리고 다른 동작 모드에서, 상기 1차 증폭기가 클립핑되지 않을 때,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가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동작가능 요소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들 중 하나 이상과 병렬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갖는 제2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폭기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 전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클래스 D 증폭기이고, 상기 1차 증폭기는 유휴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증폭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폭기는 상기 1차 증폭기 출력과 상기 비교기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고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폭기 출력을 상기 이득 스테이지 입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하는 제1 루프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폭기 출력을 상기 이득 스테이지 출력에 동작가능하게 접속하는 제2 루프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7205945.3 | 2017-12-07 | ||
EP17205945 | 2017-12-07 | ||
PCT/EP2018/069763 WO2019110154A1 (en) | 2017-12-07 | 2018-07-20 | An amplifier with a compensator with a network of at least third or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5531A true KR20200095531A (ko) | 2020-08-10 |
Family
ID=6062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9302A KR20200095531A (ko) | 2017-12-07 | 2018-07-20 | 적어도 3차의 네트워크를 갖는 보상기를 갖는 증폭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082017B2 (ko) |
EP (1) | EP3721553B1 (ko) |
JP (1) | JP7438125B2 (ko) |
KR (1) | KR20200095531A (ko) |
CN (1) | CN111448755A (ko) |
DK (1) | DK3721553T3 (ko) |
ES (1) | ES2963490T3 (ko) |
WO (1) | WO201911015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8928A (ko) * | 2021-08-23 | 2023-03-03 | 주식회사 웰랑 | 낮은 노이즈 및 고조파 왜곡을 갖는 증폭기 및 이를 위한 노이즈 쉐이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28270B1 (en) * | 2020-05-21 | 2021-09-21 | Qsc, Llc | Class-D amplifier with nested feedback loops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38210A (en) * | 1970-06-26 | 1972-01-25 | Systron Donner Corp | Intrusion alarm system with turbulence compensation |
NL7511161A (nl) | 1974-09-24 | 1976-03-26 | Clayton L Sturgeon |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sterken van een elektrisch signaal. |
US5459438A (en) * | 1992-12-16 | 1995-10-17 | Mirow; Fred | Negative feedback frequency stabilized pulse oscillator |
KR100394846B1 (ko) | 1996-10-31 | 2003-08-19 | 방앤드오루프센아/에스 | 강화된 캐스케이드 제어 방법을 갖는 펄스 변조 전력증폭기 |
TW427053B (en) * | 1999-03-10 | 2001-03-21 | Nat Science Council | Low voltage switched capacitor integrator having offset voltage compensation and the filter using the same |
US6909321B2 (en) | 2000-01-03 | 2005-06-21 |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 Active isolated-integrator low-pass filter with attenuation poles |
DE60022397T2 (de) | 2000-01-03 | 2006-03-09 |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Northridge | Leistungswandler mit konstant-summen-filter höherer ordnung zur verknüfpung eines äusseren und inneren rückkopplungssignals |
US6441685B1 (en) | 2000-03-17 | 2002-08-27 | Jl Audio, Inc. |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negative feedback thereto |
SE0003342D0 (sv) | 2000-09-19 | 2000-09-19 | Bang & Olufsen Powerhouse As | Controlled self-oscillation modulator and power conversion system using such a modulator |
US7113038B2 (en) | 2002-04-19 | 2006-09-26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Power amplifier |
JP4197248B2 (ja) | 2002-10-10 | 2008-12-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赤外線受信回路および赤外線受信機器 |
SE0203403D0 (sv) | 2002-11-15 | 2002-11-15 | Bang & Olufsen Icepower As | Pulse modulated power converter |
JP2006517367A (ja) | 2003-02-11 | 2006-07-20 | ビーエイチシー コンサルティング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 キャリア基準信号対称性変調を用いるひずみの低いd級増幅器 |
JP4127085B2 (ja) * | 2003-03-18 | 2008-07-30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Dクラス電力増幅回路 |
US7002406B2 (en) | 2003-05-16 | 2006-02-2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Loop filter for class D amplifiers |
AU2003236814A1 (en) | 2003-06-27 | 2005-01-13 | Tc Electronic A/S | Self-oscillating power circuit |
KR20060113925A (ko) * | 2003-10-14 | 2006-11-03 | 아우디오아시스 에이/에스 | 마이크로폰 전치 증폭기 |
US7142050B2 (en) | 2003-10-15 | 2006-11-28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Recovery from clipping events in a class D amplifier |
US7002409B1 (en) * | 2004-02-11 | 2006-02-21 | Marvell International Ltd. | Compensation circuit for amplifiers having multiple stages |
US20070096812A1 (en) | 2004-03-26 | 2007-05-03 | Lee Wai L | Switching amplifier with output filter feedback |
WO2005103821A1 (en) | 2004-04-22 | 2005-11-03 | Asahi Glass Company, Limited | Low-expansion glass substrate for a reflective mask and reflective mask |
US7315202B2 (en) | 2004-07-02 | 2008-01-01 | Yamaha Corporation | Pulse-width modulation amplifier and suppression of clipping therefor |
US20070057721A1 (en) | 2005-08-31 | 2007-03-15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System for amplifiers with low distortion and low output impedance |
EP1962419B1 (en) * | 2005-09-28 | 2013-01-16 | Yamaha Corporation | Class D amplifier |
ES2370530T3 (es) | 2006-03-03 | 2011-12-19 | Bang & Olufsen Icepower A/S | Modulador híbrido de oscilación controlado por retroalimentación y sistema amplificador de potencia conmutada. |
US8279180B2 (en) * | 2006-05-02 | 2012-10-02 | Apple Inc. | Multipoint touch surface controller |
GB2439983A (en) * | 2006-07-13 | 2008-01-16 | Paul Martin Whatley | Frequency compensation for an audio power amplifier |
US8265769B2 (en) * | 2007-01-31 | 2012-09-11 | Medtronic, Inc. | Chopper-stabilized instrumentation amplifier for wireless telemetry |
US7652531B2 (en) * | 2007-11-03 | 2010-01-26 | Zhenwu Wang | Low cost high performance power amplifier utilizing two-stage-included local negative feedback with feedback-shifting technology |
US7852150B1 (en) | 2007-12-20 | 2010-12-14 | The Tc Group A/S | Switching amplifier driven by a controlled power supply |
US8344761B2 (en) | 2008-09-19 | 2013-01-01 | Ikanos Communications, Inc. | 3-level line driver |
EP2221964B1 (en) | 2009-02-18 | 2015-06-24 | Hypex Electronics B.V. | Self oscillating class D amplification device |
US8004355B2 (en) * | 2009-02-25 | 2011-08-23 | Thx Ltd. | Low dissipation amplifier |
IT1394627B1 (it) * | 2009-06-05 | 2012-07-05 | St Microelectronics Rousset | Filtro passabanda a condensatori commutati di tipo tempo-discreto, in particolare per la cancellazione dell'offset e di rumore a bassa frequenza di stadi a condensatori commutati |
SE534502C2 (sv) | 2009-09-14 | 2011-09-13 | Abletec As | Effektförstärkare |
CN102984630B (zh) | 2011-09-06 | 2015-12-02 |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 用于音频放大系统中减少失真的系统和方法 |
CN104272589B (zh) | 2012-04-30 | 2017-10-24 | 梅鲁斯音频有限公司 | 具有可调环路滤波器特性的d类音频放大器 |
CN104811151B (zh) | 2014-01-28 | 2018-04-10 | 意法半导体研发(深圳)有限公司 | 用于减少放大器中的削波的设备和方法 |
US10778165B2 (en) * | 2014-09-30 | 2020-09-15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High dynamic range sensing front-end for neural signal recording systems |
US10164581B2 (en) | 2014-12-08 | 2018-12-25 | Icepower A/S | Self-oscillating amplifier with high order loop filter |
SE538866C2 (sv) | 2015-05-26 | 2017-01-10 | Bolecano Holding Ab | Power amplifier |
-
2018
- 2018-07-20 KR KR1020207019302A patent/KR202000955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07-20 EP EP18740252.4A patent/EP3721553B1/en active Active
- 2018-07-20 JP JP2020549869A patent/JP7438125B2/ja active Active
- 2018-07-20 ES ES18740252T patent/ES2963490T3/es active Active
- 2018-07-20 DK DK18740252.4T patent/DK3721553T3/da active
- 2018-07-20 WO PCT/EP2018/069763 patent/WO2019110154A1/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8-07-20 CN CN201880078748.XA patent/CN111448755A/zh active Pending
- 2018-07-20 US US16/770,279 patent/US11082017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8928A (ko) * | 2021-08-23 | 2023-03-03 | 주식회사 웰랑 | 낮은 노이즈 및 고조파 왜곡을 갖는 증폭기 및 이를 위한 노이즈 쉐이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K3721553T3 (da) | 2023-11-20 |
WO2019110154A1 (en) | 2019-06-13 |
EP3721553B1 (en) | 2023-09-06 |
JP7438125B2 (ja) | 2024-02-26 |
CN111448755A (zh) | 2020-07-24 |
US11082017B2 (en) | 2021-08-03 |
ES2963490T3 (es) | 2024-03-27 |
JP2021506199A (ja) | 2021-02-18 |
US20200313633A1 (en) | 2020-10-01 |
EP3721553A1 (en) | 2020-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4138059A1 (en) | Resonant impedance sensing based on controlled negative impedance | |
WO2001071905A2 (en) |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negative feedback thereto | |
US20170179931A1 (en) | Active Filter Device and 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an Active Filter Device | |
KR20200095531A (ko) | 적어도 3차의 네트워크를 갖는 보상기를 갖는 증폭기 | |
EP3721555B1 (en) | An amplifier with an at least second order filter in the control loop | |
JP7438124B2 (ja) | 増幅器回路 | |
KR20200062331A (ko) | 이중-경로 펄스 폭 변조 시스템의 교정 | |
US8264275B2 (en) | Amplifi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signal amplification | |
EP1256166B1 (en) | Active isolated-integrator low-pass filter with attenuation poles | |
JP2007006012A (ja) | 増幅器及び増幅方法 | |
US20040155702A1 (en) | Active filter circuit arrangement | |
JP2021506198A5 (ko) | ||
CN102355220B (zh) | 陷波器及低通滤波器 | |
EP3531555A1 (en) | Method for suppressing high frequency noise in output by a class d amplifier and class d amplifier | |
WO2013011903A1 (ja) | 増幅回路及び増幅方法 | |
KR19980080023A (ko) | 전류귀환회로 | |
JP2004194239A (ja) | 電圧電流変換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