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153A -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 Google Patents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153A
KR20200095153A KR1020190012895A KR20190012895A KR20200095153A KR 20200095153 A KR20200095153 A KR 20200095153A KR 1020190012895 A KR1020190012895 A KR 1020190012895A KR 20190012895 A KR20190012895 A KR 20190012895A KR 20200095153 A KR20200095153 A KR 2020009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combustion
hole
heat
opti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833B1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전환기술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환기술 사회적협동조합 filed Critical 전환기술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01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8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2Ranges in which the baking oven is arranged above the fire-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너미 화덕의 상단부에 오븐을 설치하고, 상기 오븐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부너미 화덕의 연소부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와 불길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오븐 내부로 유입되고, 또한 상기 오븐의 외측 바닥면과 부너미 화덕의 격판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좁은 틈을 열기와 불길이 통과하면서 높은 마찰력을 발생시켜 열전도율을 크게 상승시킴으로써, 오븐을 이용한 음식조리시 단시간 내에 고온의 열을 이용한 가열이 가능하여, 열량소비를 최소화하면서 가열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오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OVEN OPTIMIZED FOR FIRE POT WITH A RAISED KITCHEN FIRE ENTRANCE}
본 발명은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하부원판, 조리부, 케이스부 및 도어부의 결합 구성을 이루는 오븐의 하부원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열기순환구를 통해, 부너미 화덕으로부터 열기 및 불길이 유입되어 상기 하부원판과 조리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좁은 틈을 지나 제2열기순환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열기 및 불길이 상기 하부원판의 상부면과 상기 조리부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면서 높은 열마찰을 일으키고 이로 인한 높은 열전도를 통해 단시간 내에 고온의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부 내의 음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열량소비를 최소화하면서 가열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불을 발견하고 사용하게 됨에 따라 주거공간을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되었다.
현대에는 다양하게 개발된 난방기구, 조리기구들이 실생활을 윤택하게 하고 있기는 하나 인간의 정서를 위한 기능적인 면에서는 전통 난방, 취사, 조리를 위한 가열기구에 비해 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화덕의 개발은 인간의 복고적인 향수성을 되살리면서 생활을 더욱 윤택하게 해주고 인간의 정서적인 면에 있어서도 풍요로움을 가져다 주어 질적인 면에서의 식생활 문화를 높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부너미' 용어와 관련하여, 네이버 국어사전에는 '부넘기' 또는 '부너미'에 대한 용어를 '방고래가 시작되는 어귀에 조금 높게 쌓아 불길이 아궁이로부터 골고루 방고래로 넘어가게 만든 언덕. 온돌을 빨리 데우고 재를 가라앉히는 턱이 된다.'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화덕은 연소부에서 솟아오르는 열기 및 불길이 화덕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격판을 넘어, 오븐의 하부원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열기순환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하부원판과 조리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좁은 틈 사이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빠른 속도로 지나 제2열기순환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유도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높은 열마찰에 의해 오븐이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부너미 개념을 포함하는 부너미 화덕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6269(공개일자 2013.10.30) '화덕식 가스 피자오븐'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1720(공개일자 2016.04.18) '화덕 오븐'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개시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열마찰을 통한 높은 열전도를 통해 집중 가열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부너미 화덕과는 기술 구성이 전혀 상이한 것이며, 상기 제시된 부너미 화덕과 최적화를 이루는 오븐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열량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열효율 및 가열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부너미 화덕 및 이에 최적화된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6269(공개일자 2013.10.3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1720(공개일자 2016.04.18)
본 발명은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하부원판, 조리부, 케이스부 및 도어부의 결합 구성을 이루는 오븐의 하부원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열기순환구를 통해, 부너미 화덕으로부터 열기 및 불길이 유입되어 상기 하부원판과 조리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좁은 틈을 지나 제2열기순환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열기 및 불길이 상기 하부원판의 상부면과 상기 조리부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면서 높은 열마찰을 일으키고 이로 인한 높은 열전도를 통해 단시간 내에 고온의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부 내의 음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열량소비를 최소화하면서 가열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 오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너미 화덕의 상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너미 화덕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되고, 상부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바디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덕 본체와,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으로써, 상기 화덕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에 사선 방향으로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 내부로 공기 및 목재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소재료투입관과,
상기 연소재료투입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탑재되는 평판으로써, 상기 연소재료투입관의 내부공간을 상부와 하부의 2중 구조로 분리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목재 및 연소공기가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공간으로 추가 연소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분리판과,
상기 제2관통홀에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 내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과,
평판과, 상기 평판 위로 반원형의 곡면판이 지붕구조를 이루면서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반원통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개방된 양측면이 상하방향에 놓이도록 상기 화덕 본체 내부에 탑재되되, 상기 평판의 중앙부에 제3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의 제1관통홀을 관통한 연소재료투입관이 더 나아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3관통홀에 관통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 상부에 형성되되, 두 개의 평판이 서로 교차하여 크로스되고, 각 평판의 양측단 상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의 결합홈에 체결되어 화덕 본체의 상부 공간을 4 등분하도록 구성되는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븐은
상기 화덕 본체와 동일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2개의 열기순환구가 형성되며, 제1열기순환구를 통해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불길이 오븐 내부로 유입되어 제2열기순환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하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상부에 닫힌구조의 공간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익히는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조리부의 일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조리부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와, 상기 조리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확인창을 포함하는 도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부너미 화덕을 통해 공급되는 열기 및 불길이, 오븐의 하부원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열기순환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하부원판과 조리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좁은 틈을 빠른 속도로 지나 제2열기순환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유도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높은 열마찰에 의해 오븐이 집중적으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열량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가열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부너미 화덕에서 발생된 불길이 회오리치듯 치솟은 후 오븐의 하부원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열기순환구로 유입되어 제2열기순환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불길이 억눌리지 않고 상승 및 확산 효과가 뛰어나 열마찰을 통한 집중적 가열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 및 오븐은 종래 개시된 화덕 및 오븐과 비교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쉽고, 가열장치로서의 기능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이 부너미 화덕 상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정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 도면 대용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정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을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이 장착되는 부너미 화덕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이 장착되는 부너미 화덕을 나타낸 도면 대용 제1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이 장착되는 부너미 화덕을 나타낸 도면 대용 제2사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부너미 화덕에 장착되는 격판을 나타낸 도면 대용 제1사진.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부너미 화덕에 장착되는 격판을 나타낸 도면 대용 제2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1)에 최적화된 오븐(2)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너미 화덕(1)의 상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오븐(2)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너미 화덕(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바디부(101)와, 상기 바디부(10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2)과, 상기 제1관통홀(102)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되고, 상부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103)과,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10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덕 본체(10)와,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으로써, 상기 화덕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1)에 사선 방향으로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10) 내부로 공기 및 목재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소재료투입관(20)과,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탑재되는 평판으로써,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의 내부공간을 상부와 하부의 2중 구조로 분리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목재 및 연소공기가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공간으로 추가 연소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분리판(30)과,
상기 제2관통홀(103)에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10) 내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40)과,
평판(51)과, 상기 평판(51) 위로 반원형의 곡면판(52)이 지붕구조를 이루면서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반원통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개방된 양측면이 상하방향에 놓이도록 상기 화덕 본체(10) 내부에 탑재되되, 상기 평판(51)의 중앙부에 제3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제1관통홀(101)을 관통한 연소재료투입관(20)이 더 나아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3관통홀(511)에 관통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소부(50)와,
상기 연소부(50) 상부에 형성되되, 두 개의 평판(61, 62)이 서로 교차하여 크로스되고, 각 평판의 양측단 상부에는 결합돌기(601)가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결합홈(104)에 체결되어 화덕 본체(10)의 상부 공간을 4 등분하도록 구성되는 격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븐(2)은
상기 화덕 본체(10)와 동일 직경을 갖는 원판(2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판(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2개의 열기순환구(212, 213)가 형성되며, 제1열기순환구(212)를 통해 상기 연소부(50)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불길이 오븐 내부로 유입되어 제2열기순환구(213)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하부원판(21)과,
상기 하부원판(21) 상부에 닫힌구조의 공간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익히는 조리부(22)와,
상기 조리부(22)의 상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부(23)와,
상기 조리부(22)의 일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조리부(22)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241)와, 상기 조리부(22)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확인창(242)을 포함하는 도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2)은 부너미 화덕에서 치솟는 열기 및 불길이, 오븐(2)의 하부원판(21)과 조리부(22)의 외측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높은 열마찰에 의해 열전도를 높여 상기 조리부(22)를 집중적으로 가열하도록 하여 음식 조리에 필요한 가열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1) 및 오븐(2)의 기술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 부너미 화덕 ]
상기 부너미 화덕(1)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바디부(101)와, 상기 바디부(10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2)과, 상기 제1관통홀(102)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되고, 상부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103)과,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10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덕 본체(10)와,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으로써, 상기 화덕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1)에 사선 방향으로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10) 내부로 공기 및 목재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소재료투입관(20)과,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탑재되는 평판으로써,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의 내부공간을 상부와 하부의 2중 구조로 분리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목재 및 연소공기가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공간으로 추가 연소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분리판(30)과,
상기 제2관통홀(103)에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10) 내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40)과,
평판(51)과, 상기 평판(51) 위로 반원형의 곡면판(52)이 지붕구조를 이루면서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반원통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개방된 양측면이 상하방향에 놓이도록 상기 화덕 본체(10) 내부에 탑재되되, 상기 평판(51)의 중앙부에 제3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제1관통홀(101)을 관통한 연소재료투입관(20)이 더 나아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3관통홀(511)에 관통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소부(50)와,
상기 연소부(50) 상부에 형성되되, 두 개의 평판(61, 62)이 서로 교차하여 크로스되고, 각 평판의 양측단 상부에는 결합돌기(601)가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결합홈(104)에 체결되어 화덕 본체(10)의 상부 공간을 4 등분하도록 구성되는 격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덕 본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바디부(101)와,
상기 바디부(10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2)과,
상기 제1관통홀(102)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되고, 상부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103)과,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덕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서, 개방된 면 위로 오븐(2)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화덕 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소부(5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소부(50)로부터 치솟는 열기 및 불길이 상기 오븐(2)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좁은 틈을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열마찰을 통해 오븐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01)는 화덕 본체(1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기는 하나, 연소부(50)의 일측면이 반원형 곡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공간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원통형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소부의 일측면이 반원형 곡면을 이루는 이유는 연소부 내의 불길이 회오리 형태로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불길이 자연스럽게 상부 방향으로 상승 및 확산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관통홀(102)은 연소재료투입관(20)이 삽입되는 곳이고, 상기 제2관통홀(103)은 연통(40)과 체결되어 화덕 본체(10)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이다.
상기 제2관통홀(103)은 상기 제1관통홀(102)과 인접한 곳에 형성됨으로써, 연소재료투입관(20)을 통해 투입된 목재 등의 연소재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연기가 상기 제2관통홀(103)과 연결되어 있는 연통(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관통홀(102) 및 제2관통홀(103)은 필요에 따라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과 연통(40) 또한 상기 제1관통홀(102) 및 제2관통홀(103)의 형상에 맞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104)은 격판(60)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601)와 결합을 이루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관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화덕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2)을 사선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을 통해 화덕 본체(10) 내부로 공기 및 목재투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은 상기 제1관통홀(102)을 관통하여 화덕 본체(10)의 연소부(50)에 다다른 지점까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을 통해 투입되는 목재는 사선방향으로 놓인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을 통해 미끄러지듯 자연스럽게 상기 연소부(50)로 공급된다.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은 내부가 완전히 비어 있는 통 상태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분리판(30)을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30)은 도 6 내지 도 8,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탑재되는 평판으로써,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의 내부공간을 상부와 하부의 2중 구조로 분리한다. 상부 공간으로는 목재 및 연소공기가 투입되고, 하부공간으로는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소공기가 투입된다.
즉, 상기 분리판(30)이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의 위쪽에 형성되는 상부관과, 아랫쪽에 형성되는 하부관으로 구분된다.
상기 분리판(30)의 설치 위치는 목재의 원활한 투입과 공기 주입을 통한 연소효율을 높이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연소재료투입관(20)의 세로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1/3 ~ 1/4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30)의 일측단은 다수의 통공(311)이 형성되어 있는 재받이(31)가 형성되어 있어, 연소부(50) 내의 뜨거운 공기가 상기 통공(311)을 통해 유입되어 연소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통(4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통홀(103)에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10) 내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연소부(50) 내의 연소 과정에서 불길과 연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열과 불길은 오븐(2)을 집중가열하는데 사용되며, 연기는 상기 연소부(50)를 빠져나와 상기 연통(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부(5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51)과 반원형의 곡면판(52)이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중공의 반원통 구조를 이루어 상기 화덕 본체(10) 내부에 탑재되되, 상기 평판(51)의 중앙부에 제3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제1관통홀(102)을 관통한 연소재료투입관(20)이 더 나아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3관통홀(511)에 관통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부(50)에 반원형의 곡면판(52)을 형성하는 이유는 불길은 회오리 형태로 상승하기 때문에, 불길이 억눌리지 않고 상승 및 확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너미 화덕(1)의 연소부(50) 바닥면으로부터 오븐(2)의 하부원판(21)의 외측바닥면 까지의 높이를 연소재료투입관(20)의 횡단면 직경의 2.0 ~ 3.0 배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불길이 억눌리지 않고 상승 및 확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연소부(50)는 불길이 회오리 형태로 자연스럽게 치솟도록 유도하여, 그 열기와 불길이 상기 하부원판(21)의 상부면과 상기 조리부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을 빠르게 지나가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높은 열마찰을 통해 열전도 효과를 높여 단 시간 내에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조리부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판(60)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61)과 제2판(62)이 서로 크로스 교차하여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판(61)과 제2판(62)의 양측단 상부에는 결합돌기(6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판(61)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판(62)은 상기 제1판(62)과 크로스 교차를 이루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면이 비행기날개형상을 이루고, 타측면이 계단형상의 굴곡부를 갖는 판 형상을 이루어,
상기 제2판의 일측면의 하단부가 연소재료투입관(20)의 상단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측면이 연소부(50)의 공단을 2등분하여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격판(60)은 두 개의 평판이 서로 교차하여 크로스되고, 각 평판의 양측단 상부에는 결합돌기(601)가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결합홈(104)에 체결되어 화덕 본체(10)의 상부 공간을 4 등분하도록 구성된다.
[ 오븐 ]
본 발명에 따른 오븐(2)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덕 본체(10)와 동일 직경을 갖는 원판(2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판(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2개의 열기순환구(212, 213)가 형성되며, 제1열기순환구(212)를 통해 상기 연소부(5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오븐 내부로 유입되고, 제2열기순환구(213)를 통해 오븐 내부의 연기가 유출되어, 상기 연통(4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는 하부원판(21)과,
상기 하부원판(21) 상부로 닫힌구조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열기순환구(212)를 통해 유입되는 열기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부(22)와,
상기 조리부(22)의 상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부(23)와,
상기 조리부(22)의 일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조리부(22)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241)와, 상기 조리부(22)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확인창(242)을 포함하는 도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븐(2)은 부너미 화덕(1)에 최적화된 것으로서, 오븐(2)은 하부원판(21)의 상부면과 조리부(22)의 외측 하부면 상호간 이격되어 틈을 형성함으로써, 부너미 화덕(1)에서 공급되는 열기와 불길이 상기 틈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마찰을 일으켜 열전도를 통해 상기 조리부(22) 내의 음식이 조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2)을 부너미 화덕(1)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실제 제품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븐(2)은 부너미 화덕(1)에 최적화된 것으로서, 상기 부너미 화덕(1)으로부터 치솟는 열기 및 불길이 원판(211)과 상기 조리부(22)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새로 빠른 속도로 지나감에 따라 높은 열마찰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한 높은 열전도를 통해 조리부(22)의 바닥면을 집중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원판(21)의 상부면과 조리부(22)의 외측 하부면 상호간 이격되는 틈은 1.0 ~ 2.0 cm의 상하 폭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틈의 폭이 너무 넓은 경우에는 높은 열마찰을 기대하기 어렵고, 너무 좁은 경우에는 열기 및 불길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틈은 1.0 ~ 2.0 cm의 상하 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너미 화덕(1)에서 발생된 연기는 상기 오븐(2)의 외측 바닥면과 격판 사이에 형성된 좁은 틈새로 열기와 함께 빠져나와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오븐(2)은 부너미 화덕(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때 고정은 나사, 볼트 또는 용접결합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결합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오븐(2)을 구성하는 하부원판(21), 조리부(22), 케이스부(23) 간의 결합 또한 나사, 볼트 또는 용접결합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결합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1)과 오븐(2)은 경량성, 내열성, 내부식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이는 Mg-Al 합금에 Ca 또는 Zn을 첨가하여 내열성을 강화시킨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합금은 높은 비강도, 내충격성, 경량성 등의 많은 장점을 갖는 반면, 낮은 내열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슘의 합금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Mg-Al 합금(마그네슘-알루미늄 합금)에 일정량의 Ca 또는 Zn을 첨가하여 내열성을 강화시킨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Ca를 Mg-Al 마그네슘 합금 중량 대비 0.5 ~ 3.0 wt%를 첨가하거나 또는 Zn을 Mg-Al 마그네슘 합금 중량 대비 0.5 ~ 2.0 wt%를 첨가하여 주조성 및 내열특성 내식특성을 향상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은 Mg-Al-Ca 합금 또는 Mg-Al-Z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g 93.0 ~ 96.0 wt%, Al 2.0 ~ 5.0 wt%, Ca 0.5 ~ 3.0 wt%로 조성되는 Mg-Al-Ca 합금 또는 Mg 93.0 ~ 96.0 wt%, Al 2.0 ~ 5.0 wt%, Zn 0.5 ~ 2.0 wt%로 조성되는 Mg-Al-Zn합금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은 높은 온도의 열기 및 불길을 이용하여 오븐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량소비를 최소화하면서 가열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부너미 화덕에서 발생된 불길이 회오리치듯 치솟은 후 오븐의 하부원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열기순환구로 유입되어 제2열기순환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불길이 억눌리지 않고 상승 및 확산 효과가 뛰어나 높은 가열 기능을 가지며, 종래 개시된 화덕 및 오븐과 비교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가열장치로서의 기능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 부너미 화덕 2 : 오븐
10 : 화덕 본체 20 : 연소재료투입관
21 : 하부원판 22: 조리부
23: 케이스부 24: 도어부
30 : 분리판 40 : 연통
50 : 연소부 51 : 평판
52 : 곡면판 60 : 격판
101: 바디부 102: 제1관통홀
103: 제2관통홀 104: 결합홈
511: 제3관통홀 211: 원판
212: 제1열기순환구 213: 제2열기순환구
241: 온도계 242: 확인창

Claims (7)

  1. 부너미 화덕(1)의 상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오븐(2)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너미 화덕(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바디부(101)와, 상기 바디부(10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2)과, 상기 제1관통홀(102)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되고, 상부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103)과,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10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덕 본체(10)와,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으로써, 상기 화덕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01)에 사선 방향으로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10) 내부로 공기 및 목재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소재료투입관(20)과,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탑재되는 평판으로써, 상기 연소재료투입관(20)의 내부공간을 상부와 하부의 2중 구조로 분리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목재 및 연소공기가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공간으로 추가 연소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분리판(30)과,
    상기 제2관통홀(103)에 관통결합되어, 화덕 본체(10) 내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40)과,
    평판(51)과, 상기 평판(51) 위로 반원형의 곡면판(52)이 지붕구조를 이루면서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반원통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개방된 양측면이 상하방향에 놓이도록 상기 화덕 본체(10) 내부에 탑재되되, 상기 평판(51)의 중앙부에 제3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제1관통홀(101)을 관통한 연소재료투입관(20)이 더 나아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3관통홀(511)에 관통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소부(50)와,
    상기 연소부(50) 상부에 형성되되, 두 개의 평판(61, 62)이 서로 교차하여 크로스되고, 각 평판의 양측단 상부에는 결합돌기(601)가 형성되어 상기 화덕 본체(10)의 결합홈(104)에 체결되어 화덕 본체(10)의 상부 공간을 4 등분하도록 구성되는 격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븐(2)은
    상기 화덕 본체(10)와 동일 직경을 갖는 원판(2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판(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2개의 열기순환구(212, 213)가 형성되며, 제1열기순환구(212)를 통해 상기 연소부(50)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불길이 오븐 내부로 유입되어 제2열기순환구(213)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하부원판(21)과,
    상기 하부원판(21) 상부에 닫힌구조의 공간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익히는 조리부(22)와,
    상기 조리부(22)의 상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부(23)와,
    상기 조리부(22)의 일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조리부(22)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241)와, 상기 조리부(22)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확인창(242)을 포함하는 도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븐(2)은 하부원판(21)의 상부면과 조리부(22)의 외측 하부면 간 상호 이격되어 틈을 형성함으로써, 부너미 화덕(1)에서 공급되는 열기와 불길이 상기 틈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마찰을 일으켜 열전도를 통해 상기 조리부(22) 내의 음식이 조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너미 화덕(1)과 오븐(2) 간의 결합은 나사, 볼트 또는 용접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븐(2)을 구성하는 하부원판(21), 조리부(22), 케이스부(23) 간의 결합은 나사, 볼트 또는 용접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오븐(2)의 하부원판(21)과 조리부(22) 상호간 이격되는 틈은 1.0 ~ 2.0 cm의 상하 폭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6.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너미 화덕(1)의 연소부(50) 바닥면으로부터 오븐(2)의 하부원판(21)의 외측바닥면 까지의 높이를 연소재료투입관(20)의 횡단면 직경의 2.0 ~ 3.0 배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7.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너미 화덕(1)과 오븐(2)은 Mg 93.0 ~ 96.0 wt%, Al 2.0 ~ 5.0 wt%, Ca 0.5 ~ 3.0 wt%로 조성되는 Mg-Al-Ca 합금 또는
    Mg 93.0 ~ 96.0 wt%, Al 2.0 ~ 5.0 wt%, Zn 0.5 ~ 2.0 wt%로 조성되는 Mg-Al-Zn합금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KR1020190012895A 2019-01-31 2019-01-31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KR10214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95A KR102149833B1 (ko) 2019-01-31 2019-01-31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95A KR102149833B1 (ko) 2019-01-31 2019-01-31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53A true KR20200095153A (ko) 2020-08-10
KR102149833B1 KR102149833B1 (ko) 2020-08-31

Family

ID=7204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95A KR102149833B1 (ko) 2019-01-31 2019-01-31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8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422A (ko) * 2008-04-18 2009-10-22 윤청 목재 연소장치
KR20090011754U (ko) * 2008-05-15 2009-11-19 김흥중 집열실이 형성된 연소기
JP2011169509A (ja) * 2010-02-18 2011-09-01 Ishiya:Kk オーブン付ストーブ
KR101186499B1 (ko) * 2012-04-30 2012-09-27 (주)닉스틸 조립식 화로
KR20130006269U (ko) 2012-04-22 2013-10-30 손길홍 화덕식 가스 피자오븐
KR101524436B1 (ko) * 2014-05-04 2015-06-09 임재욱 화목겸용 펠렛난로
KR20160041720A (ko) 2014-10-08 2016-04-18 조민호 화덕 오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422A (ko) * 2008-04-18 2009-10-22 윤청 목재 연소장치
KR20090011754U (ko) * 2008-05-15 2009-11-19 김흥중 집열실이 형성된 연소기
JP2011169509A (ja) * 2010-02-18 2011-09-01 Ishiya:Kk オーブン付ストーブ
KR20130006269U (ko) 2012-04-22 2013-10-30 손길홍 화덕식 가스 피자오븐
KR101186499B1 (ko) * 2012-04-30 2012-09-27 (주)닉스틸 조립식 화로
KR101524436B1 (ko) * 2014-05-04 2015-06-09 임재욱 화목겸용 펠렛난로
KR20160041720A (ko) 2014-10-08 2016-04-18 조민호 화덕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833B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3129B2 (en) Infrared emitting apparatus
US3812840A (en) Portable grill
KR20170131815A (ko) 온열 캐비닛이 달린 굽는 장치
US2712308A (en) Deep fryer
GB2081885A (en) Simulated solid fuel gas firée
KR102149833B1 (ko) 부너미 화덕에 최적화된 오븐
KR101377217B1 (ko) 대류형 화목 난로
EP0047287A1 (en) Woodburning stove, fireplace or the like
US20070272232A1 (en) Cartridge fireplace firebox
KR102149836B1 (ko) 가열효과가 뛰어난 부너미 화덕
US5671727A (en) Configurable low profile gas fireplace burner
CN207640233U (zh) 具有反射热循环的烤炉
JP6514860B2 (ja) 調理機能を備えたストーブ
WO2017217687A1 (ko) 직화 구이팬
US1670212A (en) Fireplace
KR102502330B1 (ko) 화목난로
CA3006731A1 (en) Emberbed assembly for use in electric fireplace
KR20190043287A (ko) 난방 겸용 화로
US4276870A (en) Fireplace device
US1887408A (en) Combined fumeless and ventilated oven and broiler
GB2074719A (en) Radiants for gas fires
US661357A (en) Heating-stove.
US1979139A (en) Furnace
KR20100028336A (ko) 아궁이가 회전되는 벽난로
GB2080938A (en) Gas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