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304A - 용기 계수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304A
KR20200094304A KR1020190011604A KR20190011604A KR20200094304A KR 20200094304 A KR20200094304 A KR 20200094304A KR 1020190011604 A KR1020190011604 A KR 1020190011604A KR 20190011604 A KR20190011604 A KR 20190011604A KR 20200094304 A KR20200094304 A KR 2020009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nd
counting device
presen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혜
Original Assignee
박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혜 filed Critical 박지혜
Priority to KR102019001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4304A/ko
Publication of KR2020009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10Devices for counting or marking the number of consumptions
    • A47G23/12Consumption counters combined with table-ware or table-service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사용회수를 알 수 있도록 용기 몸체 외측면 소정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거나, 용기 몸체가 놓여지는 패드형으로 이루어진 용기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계수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용기 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채운 내용물을 몇 번 비웠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용기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의 대부분은 반드시 물을 필요로 한다. 산소와 수소의 화합물로서 순수한 상태에서는 냄새나 색깔, 맛이 없는 투명한 액체인 물은 동식물체의 70-90%를 차지하고 있듯이, 생물체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생존 필수품이다.
한편, 현대인들은 식생활습관이 변하고 과다한 스트레스로 인해 각종 질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든 병의 원인이기도 한 비만은 당뇨병과 고지혈증을 유발할 수 있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어, 헬스장을 이용한 다이어트로 체중을 줄이기도 한다.
평균적으로 하루에 2L 정도의 물을 마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실제 하루에 얼마나 마시는지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대략 100~200mL에 해당되는 컵으로 물을 마시는 경우 10~20회 마셔야 하지만 별도로 메모나 표시를 하지 않으면 마신 물의 양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2361호에는 라면을 포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봉투; 및 상기 봉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좌우 양측 표면의 설정된 위치에 코팅되며 라면의 일회 조리시 필요한 물의 양을 계량하기 위해, 상기 봉투 내로 채워지는 냉수 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색상이 변환되도록 마련되는 계량표시부를 포함하는 물 계량 기능을 갖는 포장봉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에는 포장 봉투의 물 계량 기능만 구비되어 있을 뿐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23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루에 마신 물의 양을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용기 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는, 용기의 사용회수를 알 수 있도록 용기 몸체(100) 외측면 소정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는, 내측면이 상기 용기 몸체(100) 외측면과 밀착하는 제1 밴드(210); 상기 제1 밴드(210) 외측면과 구비되며 숫자가 새겨져 있는 제2 밴드(220); 및 상기 제2 밴드(2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가운데가 개구되어 있는 몸체(231)를 갖는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에서, 상기 제1 밴드(210) 및/또는 제2 밴드(220)는 용기 몸체(100)의 외경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에서, 상기 제1 밴드(210) 내측면에는 용기 몸체(10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에서, 상기 제1 밴드(210)와 제2 밴드(220)는 벨크로테이프 및/또는 단추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는 용기의 사용회수를 알 수 있도록 용기 몸체(100)가 놓이는 패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는,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갖는 평면상의 받침부(240); 상기 받침부(240) 상부에 위치하며 숫자가 새겨져 있는 제2 밴드(220); 및 상기 제2 밴드(2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가운데가 개구되어 있는 몸체(231)를 갖는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에서, 상기 받침부(240) 저면에는 바닥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에서, 상기 받침부(240)와 제2 밴드(220)는 벨크로테이프 및/또는 단추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에 의하면, 용기 몸체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면서 숫자가 구비된 밴드와 이동부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내용물을 몇 번 비웠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에 의하면, 용기 몸체가 놓이는 패드형이면서 숫자가 구비된 밴드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내용물을 몇 번 비웠는지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가 용기에 장착된 모양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에 용기가 올려져 있는 모양을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는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을 몇 번 비웠는지,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기간 동안 내용물을 얼마나 마시거나 먹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용기란 컵 및 텀블러를 비롯하여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컵 또는 텀블러이다.
또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물을 비롯하여, 술, 요거트, 스넥류 등 내용물의 섭취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가 용기에 장착된 모양을 표현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200)는 용기의 사용회수를 알 수 있도록 용기 몸체(100) 외측면 소정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제1 밴드(210), 제2 밴드(220) 및 이동부(230)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제1 밴드(210)는 손으로 잡을 때 용기가 빠지지 않도록 내측면은 용기 몸체(100)와 밀착하며, 외측면은 제2 밴드(220)와 접촉한다. 그리고 용기 종류에 따라 외경이 상이하더라도 하나의 용기 계수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1 밴드(21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 몸체(100) 외경에 맞도록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밸크로테이프(212)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신축 가능한 재질이면서 밸크로테이프(212)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기 몸체(100)의 폭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열수가 들어 있는 용기를 손으로 잡으면 화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제1 밴드(210)의 폭은 손과 용기 본체(100)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밴드(220)와 접촉하는 외측면에는 제1 밴드(210)와 제2 밴드(2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암단추(211)가 구비된다.
한편, 제1 밴드(210) 내측면에는 용기 몸체(100)와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일예로서 얇은 고무층(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면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제2 밴드(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밴드(210) 외측면에 위치하며, 외측 표면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새겨져 있고, 내측면에는 제1 밴드(210)의 암단추(211)에 고정될 수단추(22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밴드(220)는 제1 밴드(210)와 마찬가지로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밴드(210)와 제2 밴드(220)가 단추에 의해 서로 고정 및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밸크로테이프와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2 밴드(220)의 길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이동부(230)는 숫자가 보일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개구되어 있는 몸체(231), 이동부(230)를 쉽게 잡기 위한 손잡이(232)가 몸체(231)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부(230)는 숫자가 새겨져 있는 제2 밴드(2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을 몇 번 먹었는지, 또는 마셨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에 용기가 올려져 있는 모양을 표현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계수 장치(200)는 용기의 사용회수를 알 수 있도록 용기 몸체(100)가 놓여지는 패드형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240)는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갖는 평면상으로 용기 몸체(100)가 놓이며, 상부에는 숫자가 새겨져 있는 제2 밴드(220)가 위치한다.
받침부(240)는 용기 몸체(100)와 제2 밴드(220)가 충분히 놓일 수 있는 정도의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이블이나 바닥에 놓을 시 받침부(2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일예로서 얇은 고무층(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면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받침부(240)와 제2 밴드(220)에는 암단추(241)와 수단추(221), 또는 밸크로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 이들 받침부(240)와 제2 밴드(220)가 고정 또는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밴드(220), 제2 밴드(2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23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을 조합하여 용기 계수 장치가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제1 밴드(210)와 이동부(230)에 구비된 한 쌍의 암단추(211, 241)와 제2 밴드(220)에 구비된 한 쌍의 수단추(221)가 서로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다면, 제1 실시예와 같은 홀더방식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와 같은 거치방식 중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용기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내용물 중 물을 마시는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용기 계수 장치를 장착시키고 이동부(230)에 숫자가 1이 보이도록 위치시킨 후 용기에 물을 채워 마신다. 다 마시고 나면 제2 밴드(220)의 이동부(230)를 손으로 잡아 숫자 2로 이동시킨 후 물을 마시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별도로 메모하거나 기억하지 않아도 일정 시간 동안 몇 잔의 물을 마셨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받침부(240)의 장착되어 있는 제2 밴드(220)의 이동부(230)에 숫자가 1이 보이도록 위치시킨 후 받침부(240)에 놓여 있는 용기에 물을 채워 마신다. 다 마시고 나면 제2 밴드(220)의 이동부(230)를 손으로 잡아 숫자 2로 이동시킨 후 물을 마시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별도로 메모하거나 기억하지 않아도 일정 시간 동안 몇 잔의 물을 마셨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용기 몸체
200 : 계수 장치
210 : 제1 밴드
211 : 암단추 212 : 밸크로테이프
220 : 제2 밴드
221 : 수단추
230 : 이동부
231 : 몸체 232 : 손잡이
240 : 받침부

Claims (9)

  1. 용기의 사용회수를 알 수 있도록 용기 몸체(100) 외측면 소정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용기 계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계수 장치는, 내측면이 상기 용기 몸체(100) 외측면과 밀착하는 제1 밴드(210);
    상기 제1 밴드(210) 외측면과 구비되며 숫자가 새겨져 있는 제2 밴드(220); 및
    상기 제2 밴드(2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가운데가 개구되어 있는 몸체(231)를 갖는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계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210) 및/또는 제2 밴드(220)는 용기 몸체(100)의 외경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계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210) 내측면에는 용기 몸체(10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계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210)와 제2 밴드(220)는 벨크로테이프 및/또는 단추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계수 장치.
  6. 용기의 사용회수를 알 수 있도록 용기 몸체(100)가 놓이는 패드형 용기 계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계수 장치는,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갖는 평면상의 받침부(240);
    상기 받침부(240) 상부에 위치하며 숫자가 새겨져 있는 제2 밴드(220); 및
    상기 제2 밴드(2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가운데가 개구되어 있는 몸체(231)를 갖는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계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40) 저면에는 바닥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계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40)와 제2 밴드(220)는 벨크로테이프 및/또는 단추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계수 장치.
KR1020190011604A 2019-01-30 2019-01-30 용기 계수 장치 KR20200094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04A KR20200094304A (ko) 2019-01-30 2019-01-30 용기 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04A KR20200094304A (ko) 2019-01-30 2019-01-30 용기 계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304A true KR20200094304A (ko) 2020-08-07

Family

ID=7204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604A KR20200094304A (ko) 2019-01-30 2019-01-30 용기 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43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61A (ko) 2013-07-03 2017-01-06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61A (ko) 2013-07-03 2017-01-06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2277A1 (en) Fluid intake tracker
US20050011367A1 (en) Portion control serving utensils
EP3044107A1 (en) Self-massage roller and bottle
WO20100706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ating habits
WO2014147379A1 (en) Weight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determination and/or monitoring of alcohol consumption
US20060278156A1 (en) Fluid intake tracker device also know as "FIT"
KR20200094304A (ko) 용기 계수 장치
US20090045192A1 (en) Container assembly
CN201085405Y (zh) 餐勺
KR20130025043A (ko) 센스띠컵
KR20140004932U (ko) 밥물 지시기
KR101823638B1 (ko) 저울
CN202477458U (zh) 简易粉末调料配料器
US20070062045A1 (en) Portioning spoons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KR20140000791U (ko) 밥물 지시기
JP3218230U (ja) 飲料水容器
CN2855410Y (zh) 一种带量杯的饮药勺
CN220158000U (zh) 一种硅胶餐盘
CN216754141U (zh) 一种便于老年患者使用的进食勺
CN209506494U (zh) 一种带量杯功能的包装袋
TWM441411U (en) Fitness drink CUP
CN2635548Y (zh) 计量酒杯
JP3087626U (ja) 物差し付き箸
CN201030060Y (zh) 一种计量饮糖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