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208A -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208A
KR20200094208A KR1020207020065A KR20207020065A KR20200094208A KR 20200094208 A KR20200094208 A KR 20200094208A KR 1020207020065 A KR1020207020065 A KR 1020207020065A KR 20207020065 A KR20207020065 A KR 20207020065A KR 20200094208 A KR20200094208 A KR 20200094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nose
attachment
adjustable
adjust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스니르 요시메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더블유티아 - 와타나베 테르놀로지아 아플리카다 에이렐리 - 에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티아 - 와타나베 테르놀로지아 아플리카다 에이렐리 - 에피피 filed Critical 더블유티아 - 와타나베 테르놀로지아 아플리카다 에이렐리 - 에피피
Publication of KR2020009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03Nose-rings; Fastening tools therefor; Catching or driv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9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 또는 비의약 물질의 투여 및/또는 온보드 센서를 통해 동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기 위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20, 3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20, 30)는 가요성 지지체(2, 2') 및 모든 방향으로 부재들의 이음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블 조인트(3, 3')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조절식 부재(1, 1)로 구성된다. 스위블 조인트 시스템(3, 3')은 조절식 부재(l, l')가 각 동물의 비강 중격 벽에 자동으로 맞춰 지도록 하여 보다 편안하고 장치(20, 30)의 조절식 부재(1, 1')의 면와 동물의 코 점막 간에 더 큰 접촉 면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본 발명은 의약 또는 비의약 물질의 투여 및/또는 전자 센서에 의해 동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약 또는 비의약 물질의 적용 및 동물의 신체 상태 또는 행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물의 코 고정용 장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장기간 가축 동물에 물질을 투여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필요할 수 있는데, 그 이유 중, 예방적 치료, 치료적 치료, 또는 심지어 동물의 발정주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커니즘 중 하나는 BRPI0802661-0 및 WO2016056926에 기술된 대로 동물의 생식기계에 주입된 장치이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내구력이 있고 유연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코어로 구성되어 있어, 조작 후에 원래 형태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장치들은 동물에게 투여 될 물질이 들어있는 폴리머(예를 들어, 실리콘)로 덮여있다. 장치들은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장치의 적절한 구속을 허용하여 생식기계의 점막에 대한 침입 또는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질내 장치는 동물이 못 움직이게 해야 하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경구 장치들로 인해 관찰자가 현장에서 판단되는 거리에 따라, 장치가 동물에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 또는 여전히 동물 내에 남아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비강 장치를 통한 물질 투여가 적용 및 제어에 더 좋은데, 이는 동물에 주입하는 것이 더 간단하고 시각적 제어를 허용하여, 장치가 동물의 콧구멍에 계속 있는 경우, 동물이 장치를 수용했는지에 대한 식별이 더 좋다.
DE2125464는 농장 동물이든 가축이든 상관없이 동물의 코 점막에 의약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클램프를 기술하고 있다. 설명된 기술에 따르면, 장치는 클램프 형상을 하며, 물질을 지닌 부재가 코 점막 벽에 가압된다. 따라서, 부재는 동물의 콧구멍에 장치를 고정시키면서 원하는 물질을 투여한다.
또한, 상술한 장치는 또한 코 중격 천공을 통해 콧구멍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귀걸이 모양을 나타낸다. 이 기술의 범위에서 생각되는 이점은 동물 안에 장치를 시각화하는 시설과 색상으로 구별될 가능성 이외에 동물에게 물질을 장기간 투여하기 위한 지출 시간 및 노력의 용이성 및 감소에 있다.
DE2910629는 부재가 코 점막과 접초할 때 투여되는 의약 물질을 보유하는 한 쌍의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말단에 삽입물을 갖는 탄성 U 자형(아크) 바디로 구성된 동물의 코 점막에 의약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U 자형 바디의 말단에 특정 각도가 있어 동물의 코 중격에 보다 나은 해부학적 수용을 제공하고 콧구멍으로의 의약 물질의 주입을 촉진하므로, 바디에 장착될 수 있는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 이외에, 장기 사용으로 인해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줄인다.
한편, DE3045527은 물질을 보유한 부재가 코 점막 벽에 가압되고 점막과 접촉하는 면에 특정 각도로 비강 점막과 장치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삼각형 모양을 갖는 의약 물질을 투여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동물의 신체적, 심리적 상태를 평가하고 심지어 동물의 발정주기를 결정할 수 있는 온도, 습도, 위치, 움직임, 심장 박동, 호흡 및 광학과 같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트랜스폰더 또는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동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장치가 있다. 이러한 장치가 US2015282457 및 WO2014201039에 기재되어 있다.
NL1011884는 동물 모니터링 및 물질 투여 둘 다를 위해 동물, 바람직하게는 소의 코 중격에 부착되거나 그 내부에 부착될 수 있는 장치를 기술한다. 상기 장치는 동물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측정 수단 및 동물에 대한 활성 성분의 투여 수단을 갖는다. 측정 수단 및 감지 수단 모두가 동물의 코 점막에 직접 접촉한다. 또한, 측정 수단은 무엇 보다도, 온도 센서, 심박수 또는 호흡속도의 기록 센서와 같은 여러 유형의 센서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기술된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는 비록 신체 형태 또는 접촉 부재에서 구조적인 변화를 나타내지만, 비슷한 품종과 크기라 하더라도 동물마다 해부학적으로 다른 코 중격이 있기 때문에, 특히 모든 동물의 코 중격에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원하는 기능을 완전히 수행하지 못한다.
동물의 코 중격에 완벽하게 맞지 않으면, 이러한 장치가 약간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코 중격의 상처와 같이 동물에게 신체적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동물에 정확하게 적응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와 코 점막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원하는 물질을 제대로 투여하지 않거나 원하는 정보(가령, 온도 및 펄스)를 정확하게 수집하지 못함으로써 장치의 효과에 제한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의약 물질을 투여 및/또는 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목적으로, 비스듬히 또는 고정된 형태로 배열된 코 점막과 접촉 면적을 가져야 하는 동물에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의 사용은 만족스럽고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상술한 목적에 부분적인 방안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동물에 편안히 사용될 수 있고 동물의 생체 신호를 수집 및 획득할 수 있는 더 큰 능력을 가지며 획득된 정보의 신뢰성을 더 높이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 조절식 장치는 동물의 코 점막에 더 잘 적응함에 따라, 동물에게 투여되는 의약 또는 비의약 물질을 포함하는 전달 수단과 코 점막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평면 및 결합면을 갖는 한 쌍의 조절식 부재; 및
관절식 결합 수단이 달린 말단부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포함한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로서,
각각의 조절식 부재의 결합면은 지지체의 말단부 중 하나의 관절식 결합 수단에 결합되어 스위블 조인트 시스템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식 부재의 평평면은 스페이싱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지지체는 타원, 원 및 직사각형 세그먼트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고, 가요성이며 특히 변형가능한 재료, 가령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폴리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절식 부재는 내부에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 물질을 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폴리머 재료일 수 있다. 조절식 부재의 결합면은 오목형 커플링이고, 상기 말단부의 관절식 결합 수단은 볼록형 커플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식 부재의 결합면은 구형 오목부이고, 말단부의 관절 결합 수단은 구(球) 형상이다.
각각의 조절식 부재의 결합면은 조절식 부재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제 2 대향 단부를 갖는 제 1 접촉 부재에 볼록 커플링으로서 연결되어 있고, 말단부의 관절식 결합 수단은 오목 커플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 커플링의 접촉 요소 단부는 구 형상이고, 말단부의 관절식 결합 수단은 구형 오목부이다. 온도 센서 및 펄스 센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조절식 부재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에 따르면, 조절식 부재는 높은 열전도율 재료로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동물의 코 중격 점막을 향하는 조절식 부재의 면 상에 위치된 폐쇄 단부를 가지며, 온도 센서는 하우징에 배치된다.
지지체에는 전자 송신기, 모션 센서, 광학 전자 센서, 위치 센서, 호흡 센서 및 수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이제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부재의 스위블 조인트 표현이다.
도 9는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동물의 코(20)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20)는 한 쌍의 조절식 부재(1) 및 상기 조절식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콧구멍의 너비에 관계없이 동물의 콧구멍에 장치(20)의 편안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폴리머와 같은 가요성이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지지체(2)를 포함한다. 가요성 재료의 변형가능한 탄성 내구성으로 인해 지지체(2)가 조절식 부재(1)의 전면에 약간의 압력을 가한다.
지지체(2)는 또한 타원 세그먼트 형상을 갖는다. 가능한 구성적 변형으로, 지지체(2)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세그먼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조절식 부재(1)는 지지체(2)의 일단에 부착된다. 이들 조절식 부재(1)는 각각 지지체(2)의 말단부(5)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지지체(2)의 말단부(5)와 관절식 결합을 위한 접촉면(1a) 및 결합면(1b)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면(1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를 갖는 오목 커플링, 바람직하게는 구형인 오목부(4)를 갖는다.
각각의 조절식 부재(1)의 오목부(4)는 지지체(2)의 관절식 결합 수단이 제공된 말단부(5)에 부착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말단부(5)는 볼록 결합 수단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구형이고 오목부(4)의 크기와 호환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므로, 각각의 오목부(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평평면(1a)은 서로 마주 보며 스페이싱(11)에 의해 분리될 것이다.
조절식 부재(1)의 오목부(4)와 지지체(2)의 말단부(5) 사이의 연결은 스위블 조인트(3)의 시스템을 형성할 것이며, 이는 모든 방향으로 조절식 부재(1)의 관절식 연결(articulation)을 허용할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의 관절식 연결로 양측에 동물의 코 중격에 장치가 더 잘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조절식 부재(1)는 동물에 투여될 적어도 하나의 의약 물질(동물 치료 물질)을 담는 폴리머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물질을 담은 이 재료로 전체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지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 1 실시예에서, 스위블 조인트(3) 시스템은 조절식 부재(1)의 전체 접촉면(1a)이 해부학적 형태에 관계없이 동물의 코 점막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하여 동물의 비강 점막 전체와 장치(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20)에 대한 이러한 형상은 치료 물질의 투여에 이상적인데, 이는 부재(1)와 점막의 접촉이 일정하고 더 커서, 버리지 않고도, 적절한 양의 피투여 치료 물질이 방출되게 하기 때문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코(30)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동물의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을 때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체(2')는 오목 커플링, 바람직하게는 구형 오목부로서 구성된 커플링 수단을 갖는 말단부(6)를 갖는다. 한 쌍의 조절식 부재(1')는 상기 조절식 부재(1')에 부착된 단부 및 지지체(2)의 말단부(6)의 오목 커플링과 호환되는 형상을 갖는 볼록 커플링, 바람직하게는 구 형상(10)으로 구성된 대향 말단부를 갖는 접촉 요소(12)를 갖는다.
따라서, 접촉 요소(12)의 말단부(10)는 지지체(2')의 하나의 말단부(6)에 연결되고, 또한 스위블 조인트(3')의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 볼록 커플링을 형성하는 돌출 후면(10)을 갖는 조절식 부재(1')의 형상은 상기 조절식 부재(1') 내부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을 증가시켜, 예를 들어, 온도 및 펄스 센서와 같은 전자 센서(7)의 배정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센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식 수단(1)과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센서(7)의 전자 송신기 및 배터리(미도시)가 지지체(2)의 하부 영역(8)에 설치될 수 있어서, 채널(9)을 통해 센서(7)와 송신기 사이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영역(8) 지지체(2)에는 동물과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는 이동, 광학, 위치 및 수분 센서와 같은)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절식 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 또는 온도 센서(7)를 수용하는 다른 높은 열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폐쇄 단부는 조절식 부재(1')의 전면에 위치하여 동물의 코 중격 점막과 직접 접촉하여 온도 판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동물의 호흡이나 바람으로 인한 공기 흐름에 의해 야기되는 기류에 의해 유발된 간섭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말단부재(1')의 볼록 커플링과 관련된 스위블 조인트(3')의 시스템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센서가 제공된 조절식 부재(1')가 동물의 비강 중격 점막과 항상 접촉하게 하여, 데이터 품질과 측정된 정확성을 향상시켜 동물의 건강 상태를 더 잘 분석하는 데 기여한다.
가요성 및 내구성 재료로 제조된 지지체(2, 2')와 조절식 부재(1, 1')와 지지체(2, 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스위블 조인트 시스템 사이의 연결로 지지체에 의해 조절식 부재(1, 1')에 압력이 가해져 동물의 코 점막에 전달되므로, 동물의 코 중격의 해부학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조절식 부재(1, 1')를 조절하며, 또한 동물의 콧구멍에 장치(20, 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두 실시예에서 고려되는 바와 같이 코(20, 30)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는 이전에 알려진 대응물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전자 센서를 통해 장치(20, 30)와 동물의 코 점막 사이의 더 큰 접촉 면적으로, 치료 물질의 투여 및/또는 동물에 관한 정보 수집의 정확도가 더 낫다;
-동물에 편안함이 더 크고, 각 동물의 해부학에 맞게 장치를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스위블 조인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장기 사용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의 발생률이 덜하다;
-센서가 장치에 물리적으로 장치에 통합될 수 있는 공간 용량이 더 크고, 이러한 센서들이 수행한 판독 정확도를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가능한 등가물을 포함하여 청구 범위의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다른 가능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평평면(1a) 및 결합면(1b)을 갖는 한 쌍의 조절식 부재(1); 및
    관절식 결합 수단이 달린 말단부(5)를 포함하는 지지체(2)를 포함한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로서,
    각각의 조절식 부재(1)의 결합면(1b)은 지지체(2)의 말단부(5) 중 하나의 관절식 결합 수단에 결합되어 스위블 조인트 시스템(3)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식 부재(1)의 평평면(1a)은 스페이싱(11)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2)는 타원, 원 및 직사각형 세그먼트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체(2)는 가요성이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체(2)는 탄성 변형 가능한 폴리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식 부재(1)는 내부에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 물질을 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폴리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식 부재의 결합면(1b)은 오목형 커플링이고, 상기 말단부의 관절식 결합 수단은 볼록형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조절식 부재의 결합면(1b)은 구형 오목부(4)이고, 말단부(5)의 관절식 결합 수단은 구(球)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절식 부재(1')의 결합면(1b)은 조절식 부재(1')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제 2 대향 단부를 갖는 제 1 접촉 부재(12)에 볼록 커플링으로서 연결되어 있고, 말단부(5)의 관절식 결합 수단은 오목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볼록 커플링으로서의 접촉 요소(12)의 단부는 구 형상이고, 말단부(5)의 관절식 커플링 수단은 구형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식 부재(1, 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 및 펄스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서(7)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식 부재(1')는 높은 열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하우징(13)을 포함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우징(13)은 동물의 비강 중격 점막을 향하는 조절식 부재(1')의 면에 위치한 폐쇄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가 하우징(13)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송신기, 모션 센서, 광학 전자 센서, 위치 센서, 호흡 센서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가 지지체(2, 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KR1020207020065A 2017-12-14 2018-11-29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KR202000942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02017026941-8A BR102017026941B1 (pt) 2017-12-14 2017-12-14 Dispositivo autoadaptável de fixação nasal para animais
BRBR1020170269418 2017-12-14
PCT/BR2018/050444 WO2019113661A1 (pt) 2017-12-14 2018-11-29 Dispositivo autoadaptável de fixação nasal para anima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208A true KR20200094208A (ko) 2020-08-06

Family

ID=6681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65A KR20200094208A (ko) 2017-12-14 2018-11-29 동물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자동 조절식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937572B2 (ko)
EP (1) EP3725265A4 (ko)
JP (2) JP2021508575A (ko)
KR (1) KR20200094208A (ko)
CN (1) CN111629690A (ko)
AU (3) AU2018382231A1 (ko)
BR (1) BR102017026941B1 (ko)
CA (1) CA3085608C (ko)
IL (1) IL275341A (ko)
MX (1) MX2020006179A (ko)
RU (1) RU2741656C1 (ko)
UA (1) UA125602C2 (ko)
WO (1) WO2019113661A1 (ko)
ZA (1) ZA2020035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8913A1 (fr) * 2020-06-01 2021-12-08 Ceva Santé Animale Procede et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 prise d'alimentation et d'eau d'un animal
EP4066631A1 (fr) * 2021-04-01 2022-10-05 Ceva Santé Animale Boucle nasale pour ruminant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0491A (en) * 1938-10-24 1940-04-25 Otto Travers Tauss Improvements in medicament inhalers
GB678986A (en) * 1949-11-03 1952-09-10 Ernest Frederic Muhlethal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ose clip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DD95648A5 (ko) * 1971-05-22 1973-02-12
DE2910629A1 (de) 1979-03-17 1980-09-25 Hoechst Ag Vorrichtung zur prophylaktischen oder therapeutischen behandlung von rindern
HU178841B (en) * 1979-03-17 1982-07-28 Hoechst Ag Cattle-leader for th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treatment of cattle
SU880419A1 (ru) * 1980-05-07 1981-11-15 Пермски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Носовой зажим дл фиксации крупных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DE3045490A1 (de) 1980-12-03 1982-07-08 Hoechst Ag, 6000 Frankfurt Applikator in besonderer form
DE3045527A1 (de) 1980-12-03 1982-07-01 Hoechst Ag, 6000 Frankfurt Depotkoerper fuer nasenspangen in besonderer form
CA1142828A (en) * 1981-05-04 1983-03-15 Norman M. Lake Nasal protective method and device
US5533470A (en) * 1991-07-05 1996-07-09 Rose; Andrew F. Electronic nose-clip with solar cell
IL114714A (en) * 1995-07-24 1998-12-27 Hadasit Med Res Service Orthopedic fixator
NL1011884C2 (nl) * 1999-04-23 2000-10-24 Maasland Nv Neusring.
CN2593813Y (zh) * 2002-05-10 2003-12-24 吴厚聪 磁性鼻夹
US6701924B1 (en) * 2002-10-07 2004-03-09 Richard D. Land, Jr. Nasal filter
WO2005058192A2 (en) 2003-12-11 2005-06-30 University Of Florida Animal monitoring device
CN2699847Y (zh) * 2004-04-19 2005-05-18 黄会岳 脊椎固定器结构
US7323008B2 (en) * 2004-08-09 2008-01-29 Medtronic Vascular, Inc. Flexible stent
US7055523B1 (en) * 2005-02-24 2006-06-06 Brown Thomas W Internal nasal dilator and delivery mechanism
US20060206120A1 (en) * 2005-03-08 2006-09-14 Enternet Medical, Inc. Nose clip
CN101019787B (zh) * 2006-12-31 2012-09-05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颈椎生理性重建系统
AU2008201567A1 (en) * 2007-05-31 2008-12-18 Queenan, Paschal Mr Anti snoring aid
US20090112115A1 (en) * 2007-10-29 2009-04-30 Jung-Tang Huang Apparatus for detecting human's breathing
BRPI0802661A2 (pt) 2008-05-08 2010-01-19 Grascon Do Brasil Ltda Lab dispositivo vaginal para liberaÇço lenta de progesterona (hormânio) utilizado em fÊmeas bovinas
US9381332B2 (en) * 2009-10-30 2016-07-05 Brian Judd Nasal dilator
JP5790328B2 (ja) * 2011-08-31 2015-10-07 富士通株式会社 鼻輪
WO2014201039A2 (en) 2013-06-11 2014-12-18 Horse Sense Shoes, Llc Bovine rumination and estrus prediction system (bres) and method
US9538729B2 (en) 2014-04-08 2017-01-10 Medisim, Ltd. Cattle monitoring for illness
WO2016056926A1 (en) 2014-10-09 2016-04-14 Ulti Pharmaceuticals Limited A substance delivery device
BR112017008637A2 (pt) * 2014-10-29 2018-01-30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oxímetro de pulso
AR103481A1 (es) * 2015-01-21 2017-05-10 Bovicor Pharmatech Inc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intranasal para animales, sistemas y métodos asociados
EP3205311A1 (en) * 2016-02-10 2017-08-16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An implant for a bone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85608A1 (en) 2019-06-20
UA125602C2 (uk) 2022-04-27
AU2020101800A4 (en) 2020-09-17
CA3085608C (en) 2021-10-19
US11937572B2 (en) 2024-03-26
EP3725265A4 (en) 2021-08-11
CN111629690A (zh) 2020-09-04
AU2022211793B2 (en) 2024-03-14
EP3725265A1 (en) 2020-10-21
IL275341A (en) 2020-07-30
JP2021508575A (ja) 2021-03-11
RU2741656C1 (ru) 2021-01-28
US20210076639A1 (en) 2021-03-18
JP2023062200A (ja) 2023-05-02
MX2020006179A (es) 2020-10-28
AU2018382231A1 (en) 2020-07-02
JP7490926B2 (ja) 2024-05-28
WO2019113661A1 (pt) 2019-06-20
BR102017026941B1 (pt) 2023-10-17
BR102017026941A2 (pt) 2019-06-25
ZA202003567B (en) 2022-02-23
AU2022211793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90926B2 (ja) 動物の鼻に装着するための自動調節可能装置
US107558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compliance with dental appliance therapy
US11564572B2 (en) Round-the-clock monitoring of an animal's health status
EP0654971B1 (en) Attachment arrangement
US20040015092A1 (en) Apparatus and method
US20140350354A1 (en) Oral Appliance Moni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945484B1 (ko) 심전도계 모듈 기구
US5203345A (en) Method of using a support anchor for the vagina of a mammalian female
US202300732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patient health management during veterinary procedures
EP1089617B1 (en) A nose ring
EP1966575A1 (de) Vorrichtung zur messung von parametern des körperinneren sowie zur telemetrischen weiterleitung von daten
KR200309657Y1 (ko) 발정감지기 및 이의 부착수단
US20240172725A1 (en) Nose ring for ruminants
Soresini An intra-oral device for continuous ventilatory monitoring
KR20210103644A (ko)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KR20150021248A (ko) 동물용 산소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한 동물용 인공 호흡기
CA2054858A1 (en) Support anchor for the vagina of a mammalian female
BR102016002227A2 (pt) Non intrusive equipment, method and system for the monitoring of physiological signs of animals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