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644A -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644A
KR20210103644A KR1020200018031A KR20200018031A KR20210103644A KR 20210103644 A KR20210103644 A KR 20210103644A KR 1020200018031 A KR1020200018031 A KR 1020200018031A KR 20200018031 A KR20200018031 A KR 20200018031A KR 20210103644 A KR20210103644 A KR 2021010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main body
monitoring device
delivery tim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선
문준
Original Assignee
모스탑주식회사
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스탑주식회사, 문준 filed Critical 모스탑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3644A/ko
Publication of KR2021010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8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birth of animals, e.g. parturitio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5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4Hygienic packaging for medical sensors; Maintaining apparatus for sensor hygiene
    • A61B2562/247Hygienic covers, i.e. for covering the sensor or apparatus during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축의 자궁 내에서 확장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유닛,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수용되며, 가축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용 기판 조립체 및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용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VITAL SIGNS MONITORING APPARATUS FOR DELIVERY TIME OF LIVESTOCK HAVING DUCTILE COVER UNIT}
본 발명은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질을 가지는 커버유닛이 구비되어 가축에게 최소의 압박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 등과 같은 대형 가축의 분만 시에 있어서, 출산 생존율을 높이고 난산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축주가 입회하여 관리하고 수의사가 출산을 돕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대형 가축의 분만 과정은 분만징후, 개구기, 산출기, 후산기로 나눌 수 있다.
분만징후 단계에서는, 유방의 종착, 골반인대 이완 등의 미세한 신체 변화와 더불어 통상적으로 꼬리를 들고 있는 행동적 특징이 나타나며, 실질적인 출산은 개구기부터 이루어진다.
개구기는 의학적으로 자궁경관확장으로 자궁과 질의 경계가 없어지는 시기로서, 이 시기에 진통이 시작되며 태아가 출산을 위해 하태향에서 상태향으로 회전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개구기에는 사료의 섭취가 중단되며 분변과 오줌 배출이 잦아지며 꼬리를 들고 배회하는 등의 행동적인 증세를 수반하게 된다.
산출기는 자궁외구가 완전히 열리기 시작하여 태아의 만출시까지를 지칭하며 제 1파수와 제 2파수로 나누어 진다. 제 1파수는 태포가 파열되는 현상으로, 이 시기에는 암적색의 요수막이 배출되는데, 통상적으로 질내 압력에 의해 돌출된 태포에서 관찰되지만 질내에서 파열이 발생될 수도 있다. 제 2파수는 족포 파열과 함께 양수와 태아가 만출되는 시기이다.
후산기는 태아 만출기와 후산 만출기로 나누어 지는데 태아 만출기에는 태아의 양막 및 양수제거 그리고 후산물을 어미 가축이 먹지 못하도록 하는 등 축주의 역할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가축의 분만 시에 축주가 경험을 바탕으로 직접 가축을 관찰하거나 CCTV로 가축을 관찰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주관적인 직접적 관찰이나 CCTV를 통한 감시는 정확하게 분만을 판단하거나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시 감시하지 않으면 분만 시에 축주가 입회하지 못하게 되어 태아나 모체가 위험에 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장시간 감시나 심지어 철야로 감시해야 하는 등 축주에게 정신적 및 육체적으로 매우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축의 체내에 소정의 기구를 삽입하여 생체신호를 편리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가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는 일반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가축이 고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이에 따라 가축의 출산에 지장을 주거나 일정이 가변되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모니터링장치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및 IC등의 전기장치가 통합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밀봉된 패키지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링장치의 배터리 소진 시에는 그 기능이 정지되며, 재사용을 위해서는 배터리 교체나 재충전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삽입형 모니터링장치는 협소한 공간에 삽입될 수밖에 없는 제약과 2차 전지 내부의 화학 물질의 누출 위험성 때문에 재충전 형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모니터링장치에는 1차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외부에서 충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로만 기능의 복구가 가능하지만 이 과정에서는 패키지를 해체하고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사유로 인해 종래의 모니터링장치는 1회 사용 후 폐기되는 경우가 많아 비용적인 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축의 체내에 삽입하여 체온, 심박, 움직임 등과 같은 복수의 생체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가축의 상태와 분만시기 및 분만예정 징후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알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축에 체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가축이 느끼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배터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축의 자궁 내에서 확장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유닛,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수용되며, 가축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용 기판 조립체 및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용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를 밀폐시키는 실링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플러그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바디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커버부, 상기 메인커버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후단부를 감싸는 후방커버부 및 상기 메인커버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커버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커버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커버부 및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재와의 연결 영역이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는 가축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센서, 가축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신호, 상기 움직임센서로부터 센싱된 움직임신호 및 상기 심박센서로부터 센싱된 심박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데이터를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 측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상기 메인바디의 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가 수용되는 보조바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보조바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연결바디 내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 및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는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고유 주소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기 배터리가 교체될 경우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를 통해 재사용에 대한 권한을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유닛이 연질로 형성되므로, 가축의 체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가축이 느끼는 고통 및 이물감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유닛이 연질로 형성됨에 따라 메인바디에 구비되는 배터리 삽입부를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어, 배터리를 교체하여 복수 회 재사용이 가능한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축의 생체신호를 직접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가축의 분만시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측정된 생체신호데이터로부터 가축의 건강 상태와 분만시기 별 상태를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커버유닛을 메인바디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가축의 체내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는 가축의 체내, 구체적으로 질과 자궁 내에 걸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가축의 체온, 움직임 및 심박수 등과 같은 복수의 생체신호데이터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통합되어 구비된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생체신호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가축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분만시기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는 바디유닛(200)과 커버유닛(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유닛(200)은 세부적으로 메인바디(300), 보조바디(500) 및 연결바디(4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유닛(200)의 메인바디(300)는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메인바디(300)의 형상은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300)의 내부에는 가축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용 기판 조립체(330)와,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32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바디(300)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320)가 삽입 수용되도록 전방이 개구된 형태의 제1수용공간(302)과,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330)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수용공간(302)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302) 내부를 밀폐시키는 실링플러그(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플러그(31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302)에 억지끼움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배터리(320) 측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플러그(310)는 상기 제1수용공간(30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돌기(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실링플러그(310)의 그립돌기(312)를 잡아 상기 제1수용공간(302)으로부터 상기 실링플러그(31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유닛(200)의 보조바디(500)는 상기 메인바디(300)의 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가 수용되는 보조수용공간(5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디(4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300)와 상기 보조바디(500)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디(400) 내에는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330) 및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330)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생체신호데이터는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 측으로 전송되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바디유닛(200)은 메인바디(300), 연결바디(400) 및 보조바디(500)가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바디(300)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체내로 삽입된 상태로 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100)은 세부적으로 커버부재(120) 및 고정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메인바디(30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10)는 복수 개가 상기 커버부재(120)의 전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재(120)의 전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상기 커버부재(120)의 전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나, 이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110)를 탄성 변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커버유닛(100)을 메인바디(300)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커버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바디(3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커버부재와의 연결 영역이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메인바디(300)와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가 상기 메인바디(300)와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변형시킨 상태에서 가축의 질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300)의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가축의 자궁 내에서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확장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300)를 가축의 질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가축의 체내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가 가축의 자궁 내에서 확장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100)의 커버부재(120)는 세부적으로 메인커버부(124)와, 후방커버부(128)와, 연결부(122)와, 고정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커버부(124)는 상기 메인바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바디(300)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커버부(124)는 상기 메인바디(300)의 양측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300)는 상기 메인커버부(124)의 개구된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커버부(128)는 상기 메인커버부(124)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후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메인커버부(124)의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110)를 연결시키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메인커버부(124) 및 상기 연결부(122) 사이에는 개구부(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메인커버부(124)가 상기 메인바디(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22) 부분만을 독립적으로 변형시켜 상기 메인바디(300)의 전단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메인바디(300)의 제1수용공간(302)의 개구된 전방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전술한 실링플러그(310)를 상기 제1수용공간(302)으로부터 분리하여 배터리(3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6)는 상기 메인커버부(124)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바디(300)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커버부재(120)가 상기 메인바디(300)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메인바디(30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유닛(100)이 연질로 형성되므로, 가축의 체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가축이 느끼는 고통 및 이물감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메인바디(300)의 제1수용공간(302)을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어 배터리(320)를 교체하여 복수 회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도 7과 함께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330)는, 가축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340)와, 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센서(350)와, 가축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센서(360)와, 상기 온도센서(340)로부터 센싱된 온도신호, 상기 움직임센서(350)로부터 센싱된 움직임신호 및 상기 심박센서(360)로부터 센싱된 심박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데이터를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 측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70, MCU)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축의 출산에 있어서, 분만징후 단계에서 체온은 통상의 체온보다 낮아지며 산출기까지 체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산출기에서 제1파수시 가축의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가 질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340)는 대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70)이 온도센서(340)로부터의 온도신호를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70)은 가축의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가 질 내에 있을 때의 온도신호뿐만 아니라, 가축의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가 질의 외부로 배출된 후의 온도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신호 등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는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에 의해 외부로 송신되어 관리서버(600) 등이 수신할 수 있고, 관리서버(600)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생체신호는 정밀 분석되어 분만시기나 분만예정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센서(350)로는,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센서(350)는 자궁의 움직임과 가축의 걸음걸이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70)은 움직임센서(350)로 감지된 움직임신호를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는 분만징후 단계에서부터 산출기까지 발생되는 진통의 주기뿐만 아니라 가축의 움직임을 측정함으로써 분만시기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진통 주기의 분석으로 난산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만단계 별로 나타나는 자궁의 특수한 움직임과 가축의 걸음걸이 회수 및 패턴의 변화를 감지하여 현재 분만단계와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70)은 심박센서(360)로부터 감지된 심박신호를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로 전송할 수 있다.
심박수는 분만의 전반적 과정과 돌발 상황(난산)에 대한 지표로써 어미 가축의 건강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심박수에 의해 난산 시 발생되는 호흡수 상승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만기간 동안의 심박수를 측정 및 기록함으로써 분만에 대한 순산과 난산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340), 상기 심박센서(360) 및 상기 움직임센서(350)에 의해 생성되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370)에 의해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 측으로 전송된 생체신호데이터는 관리서버(600) 측으로 송신되어 분석 및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관리서버(600)는 이와 같은 생체신호데이터 및 분석데이터 등을 사용자단말기(700)에 전송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분만단계 별로 심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분만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징후 및 정확한 분만시기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는,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고유 주소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의 고유 주소를 관리하도록 하여, 허용된 상황 외에서 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바디(300)에 구비되는 배터리(320)가 교체될 경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510)를 통해 재사용에 대한 권한을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치의 재사용 회수를 카운트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관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임의적인 배터리 교체를 방지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00: 커버유닛
110: 고정부재
120: 커버부재
122: 연결부
124: 메인커버부
126: 고정부
128: 후방커버부
200: 바디유닛
300: 메인바디
302: 제1수용공간
304: 제2수용공간
310: 실링플러그
320: 배터리
330: 센싱용 기판 조립체
340: 온도센서
350: 움직임센서
360: 심박센서
370: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400: 연결바디
500: 보조바디
502: 보조수용공간
510: 통신용 기판 조립체
600: 관리서버
700: 사용자단말기

Claims (12)

  1.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가축의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축의 자궁 내에서 확장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유닛;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수용되며, 가축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용 기판 조립체; 및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용 기판 조립체;
    를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
    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를 밀폐시키는 실링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플러그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돌기를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바디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커버부;
    상기 메인커버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후단부를 감싸는 후방커버부; 및
    상기 메인커버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버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커버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버부 및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재와의 연결 영역이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는,
    가축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센서;
    가축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신호, 상기 움직임센서로부터 센싱된 움직임신호 및 상기 심박센서로부터 센싱된 심박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데이터를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 측으로 전송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상기 메인바디의 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가 수용되는 보조바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보조바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연결바디 내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용 기판 조립체 및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을 더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는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고유 주소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기 배터리가 교체될 경우 상기 통신용 기판 조립체를 통해 재사용에 대한 권한을 재설정하도록 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018031A 2020-02-14 2020-02-14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KR20210103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31A KR20210103644A (ko) 2020-02-14 2020-02-14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31A KR20210103644A (ko) 2020-02-14 2020-02-14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644A true KR20210103644A (ko) 2021-08-24

Family

ID=7750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031A KR20210103644A (ko) 2020-02-14 2020-02-14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36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9013B2 (en) Intravaginal monitoring device
US7444177B2 (en) EKG recording accessory system (EKG RAS)
US20050113661A1 (en) EKG recording accessory system (EKG RAS)
CN102781323B (zh) 身体参数传感器和监控器接口
US20070255184A1 (en) Disposable labor detection patch
US20070191728A1 (en) Intrapartum monitor patch
US11969249B2 (en) Self-contained EEG recording system
EP3261530B1 (en) Wearable physiological data acquirer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220133213A1 (en) Multi-Sensor Patch
WO2017164807A1 (en) Tail-mounted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animal vital signs
KR102314266B1 (ko) 말의 가속도 및 심박수 측정 장치
KR20210103644A (ko) 연질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US20170035347A1 (en) Method for monitoring pregnancy in mammals
Zakaria et al. Fetal movements recording system using accelerometer sensor
JP2021508575A (ja) 動物の鼻に装着するための自動調節可能装置
US20200229697A1 (en) Physiologic monitoring kits
CN108937917A (zh) 一种基于单导联的可穿戴式心电采集装置及其采集方法
KR102259742B1 (ko)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이의 삽입 장치 및 가축 분만시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US20190192064A1 (en) Micro-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physiological condition of cervical tissue
Brzozowska et al. Telemetry recording of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female reproduction tract
CN217793038U (zh) 一种颅内生理参数监测装置及远程监测系统
US20230025180A1 (en) Bio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imal limbs
Palanisamy et al. Machine Learning-Based Monitoring Devices for Pregnant Women
CN113116324A (zh) 一种动物血压监测智能穿戴装置及血压异常ai医疗系统
WO2022090795A1 (en) Holter with the potential to diagnose cardiac afib (arterial fibrillation) and prevent cerebrovascular accident and myocardial infar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