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170A -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 Google Patents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170A
KR20200094170A KR1020207017903A KR20207017903A KR20200094170A KR 20200094170 A KR20200094170 A KR 20200094170A KR 1020207017903 A KR1020207017903 A KR 1020207017903A KR 20207017903 A KR20207017903 A KR 20207017903A KR 20200094170 A KR20200094170 A KR 2020009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glazing
optics
film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452B1 (ko
Inventor
마띠유 베라
올리비에 델리유
파스칼 보엘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09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ndscreens or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창, 측면창 또는 앞유리로부터 선택된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고 각각 면 F1 및 면 F2로 지칭되는 제 1 및 제 2 주면 (11', 12')을 갖는 제 1 글레이징 (1') ; 다이오드; 각 다이오드에 대해, 1차 광학 시스템 또는 다이오드와 면 F2 사이의 시준 광학 시스템에 이은 방향 전환 광학 시스템이 있다.

Description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본 발명은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및 이러한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차량 및 이러한 글레이징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제 3의 정지등을 형성하기 위해 F2 면이라 불리는 내면에 조명 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합 및 제조 공정이 개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특허 출원의 첫 번째 목적은 후면창 및 측면창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디플렉터) 또는 차앞유리, 특히 차량 후면창, 측면창 또는 차앞유리로부터 또는 대중교통 차량의 후면창, 측면창 또는 차앞유리로부터 선택된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으로서, 다음을 포함한다.
- 미네랄 유리, 특히 (열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미네랄 유리 또는 올가닉 (organic) 유리로 만들어지며, 선택적으로는 투명하거나 극히 투명하고 바람직하게는 구부러지고, 외부 글레이징으로 의도된, 각각 F1 면 (차량 외부면) 및 F2이라고 불리는 제 1 및 제 2 주면 (main face)를 가지며, 자동차의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최대 2.5 mm, 심지어 최대 2.2 mm-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이고 바람직하게는 기준 방향이라 불리는 것을 갖는 미네랄 또는 올가닉 유리로 만들어지는 제 1 글레이징,
- F2면 광원으로서, 외부 신호 광을 방출할 수 있고, 무기 발광 다이오드 세트인 상기 광원은 F2면을 향하여 출구 표면을 가지며, 각각의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패키지에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며, 각각의 칩은 F2면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면을 가지며), 특히 각각의 다이오드는 에지면 및 전면 (패키지의 전면의 평면에서)을 가지며; 상기 다이오드는 최대 10 mm 및 최대 8 mm의 폭 W4 (광축에 수직인 최대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이오드 및 궁극적으로는 1차 광학계로 구성되는 폭은 최대 15 mm 및 최대 8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심지어 각각의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 e2, 예를 들어 0.2 mm보다 큰 두께, 특히 다이오드 및 선택적인 1 차 광학계로 구성된 어셈블리의 두께는 0.2 m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 이하의 크기이다.
제 1 구성 (통합 시준 (collimation)을 갖는)에서 각 다이오드는 1차 광학 (돔, 등)을 정점에서 최대 50°및 심지어 50°미만의 반각 출력 방출과 방출면 (및 면 F2)의 평면에 수직인 주 방출 방향과 통합한다.
제 2 구성 (추가된 시준을 갖는)에서, 각 다이오드는 정점에서 50°내지 70°의 반각 방출 및 방출면 (및 면 F2)의 평면에 수직인 주 방출 방향을 가지며 - 1 차 광학계 없이- 글레이징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열가소성 물질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에틸렌 P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 아크릴레이트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설포네, 폴리 에테르설포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제조된 시준 광학 세트를 더 포함한다.
다이오드들에 공통이거나 (공통 광학계를 형성하는 시준 광학계) 또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시준 광학계와 떨어져 있는) 시준 광학계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유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렇다. 시준 광학계는 밀리미터 이하 크기이고 더욱 좋게는 최대 0.6 mm 또는 0.3 mm 또는 0.15 mm 인 (전체) 두께 E1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고 및 광학필름이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수지, PET, PE, PC, PMMA, PDMS)이고, 상기 필름은 특히 그 두께가 부분적으로 텍스쳐링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그 두께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텍스쳐링된 투명한-유기 및/또는 미네랄-오버 레이어를 갖는 매끄럽고 투명한 (특히 상기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복합 필름 또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기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 플라스틱 광학 필름의 세트이다.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발광 다이오드와 관련되고,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F2 면을 향한 정면 및 이에 대향하는 뒷면을 갖는다. 투명 재료로 만든 시준 광학계는 정점 (S) 및 정점들 사이의 피치 (T)가 10 ㎛ 내지 5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개 또는 심지어 10 개의 패턴이 출구 표면을 향하는 패턴 배열을 포함한다. 시준 광학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a) 출구 표면에 대향하는 소위 시준 전면 (front face)에 이차원이고, 특히 최대 0.3mm 또는 0.2mm 또는 0.15mm의 두께로, 특히 상기 (제1) 배열로 텍스처된 (textured) 필름인 상기 패턴 배열의 제 1 광학 요소 (필름, 플레이트, 부품의 일부),
b) 프리즘 형, 바람직하게는 최대 2 개의 프리즘 형 광학 소자 인 2 개 이상의 광학 소자 세트 :이 순서로 출구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포함 함 :
b) 또는 적어도 2개의 프리즘형 광학요소, 바람직하게는 최대 2 개의 프리즘형 광학요소 세트로, 출구 표면에서 시작하여 다음 순서로 포함한다 :
- 출구면에 대향하는 (전면) 주면을 갖는 제 1 광학 요소 (필름, 플레이트, 연장부를 갖는 부품의 일부, 예를 들어 1 밀리미터 크기의 두께), 제 1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인 패턴 배열, 특히 상기 (제 1) 배열로 텍스쳐링된 제 1 필름, 특히 1 밀리미터 이하의 크기 및 심지어 최대 0.3 mm 또는 0.2 mm 또는 0.15 mm의 두께를 갖는 제 1 광학 필름,
- 그리고 제 1 광학 요소 (바람직하게는 1 mm만큼 이격되어 있거나 그 주변에 예를 들어 접착제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됨)에 대향하여, 예를 들어 1 밀리미터 이하 및 심지어 최대 0.3 mm 또는 0.2 mm 또는 0.15 mm의 두께를 가진 연장부를 가진 부품의 플레이트 부분 또는 상기 제 1 광학 필름 상에, 바람직하게는 광학 필름인, 제 2 광학 요소는 출구면에 대향하는 (전면) 주면 상에, 제 1 축에 대해 90±10°, 바람직하게는 90±5°, 90±2°및 심지어 90°의 각도를 이루는 제 2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인 제 2 패턴 배열을 갖고, 특히 상기 제 2 배열로 텍스처링된 필름에서, 제 1 또는 제 2 축은 기준 방향으로 최대 1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5°및 심지어 최대 2°의 각도를 이루며 심지어 평행 (0°의 각도) 하다.
c) 또는 출구 표면에 대향하는 소위 정면 시준면 상에 프리즘인 상기 상기 패턴 배열을 갖는 단일의 제 1 광학 요소 (필름, 플레이트, 예를 들어 1 밀리미터이하 두께의 부품 일부), 특히 상기 (제 1) 배열로 텍스쳐링된 필름으로서,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준 방향에 대해 최대 10°더 양호하게는 최대 5° 및 심지어 최대 2°및 심지어 평행하고, 특히 두께가 1 밀리미터 이하 및 심지어 최대 0.3 mm 또는 0.2 mm 또는 0.15 mm 이다.
d) 출구 표면에 대향하는 소위 전면 시준면 또는 후면에 있는 프레넬 (Fresnel) 프리즘 세트 및 심지어 프레넬 렌즈를 형성하는 단일의 제 1 광학 요소 (필름, 플레이트, 예를 들어 1 밀리미터 이하 두께의 부품 부분, 1 밀리미터 이하 두께의 부품의 부분).
제 1 및 제 2 구성에서, 글레이징은 또한 시준 광학계 또는 1차 광학계에 향하여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
- 시준 광학계 또는 1차 광학계 및 F2면 사이에서 그리고 시준 광학계 (예를 들어 접착제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그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최대 1 mm 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 프탈레이트 PEN, 폴리에틸렌 P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 (E'1) 인 (최종) (광학) 시준 필름 또는 (광학) 시준 필름으로 만들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 플라스틱 광학 필름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 플라스틱 광학 필름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은 정점과 정점 사이의 피치 (T')가 10 μm 내지 500 μm 이고, 출구 표면 (또는 발광 지역)에 향하는 적어도 4 또는 심지어 10개의 패턴을 갖는, 방향 전환 광학계로서, 따라서 상기 방향 전환 광학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i) 상기 제 1축과 최대 10°, 최대 5°또는 최대 2°의 각도를 형성하고 심지어 평행하고 및/또는 글레이징의 기준 방향과 최대 5°또는 최대 2°의 각도를 형성하고 심지어 평행한 제 3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호 연장되는 상기 비대칭 프리즘 어레이를 가지며, 특히 1 밀리미터 이하, 심지어 최대 0.3 mm 또는 0.2 mm 또는 0.15 mm의 두께를 갖는, 비대칭 프리즘인 제 1 광학 필름
j) 또는 출구 표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이 순서로 다음을 포함하는 프리즘형인 두 개의 비대칭 광학 필름 세트 :
- 출구면에 대향하는 주 면 (main face) (중간면이라고 함)을 갖고 제 3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특히 1 밀리미터 이하 및 최대 0.3 mm 또는 0.2 mm 또는 0.15 mm의 두께를 가지며, 기준 방향 및/또는 제 1 축에 대해 최대 10°각도를 이루는 제 1 비대칭 광학 필름
- 그리고 제 1 비대칭 광학 필름 (바람직하게는 그로부터 최대 1 mm 만큼 이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접착제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그 주변부에 고정됨) 을 향하여, 제 2 비대칭 광학 필름이 특히 최대 0.3 mm 또는 0.2 mm 또는 0.15 mm의 두께를 가지며, 출구면에 대향하는 주면 (main face)에 소위 최종 전면 (final front face)을 가지며, 프리즘 패턴의 제 2 어레이는 - 상기 어레이는 프리즘 패턴의 제 1 어레이와 교차됨 - 상기 제 3축에 대해 최대 10°, 바람직하게는 최대 5°, 최대 2°및 심지어 0°(평행)의 각도를 이루는 제 4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4 축은 기준 방향 (및 심지어 제 1 축)에 대해 최대 10°, 최대 5°또는 최대 2°(또는 0°)를 이룬다.
i) 및 j)의 경우, 각각의 비대칭 프리즘은 제 1 및 제 2 길이 방향 면들에 의해 정의되고, 프리즘은 바람직하게는 길이(L) 및 폭 (W)가 L>2W 이고 및 더 바람직하게는 L>5W 또는 L>10W 이다.
각각의 비대칭 프리즘은 정점 (a'0)에서 50 내지 60°, 더 바람직하게는 55°±5° 또는 55°±2°의 범위의 각도를 가지며, 제 1 길이 방향 면 (긴면이라고 함)은 비대칭 광학 필름의 평면에 대하여 31 내지 41°, 더 바람직하게는 35°±5° 또는 35°±2°의 범위에서 제 1각(a3)를 이룬다. 당연히, 제 2 길이 방향 면 (단면이라 칭함)은 비대칭 광학 필름의 평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9 내지 99° 또는 90°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0°, 또는 88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최대 90°의 각도 범위에서 제 2 각도 (a4)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차이(a4-a3)가 40°보다 크고 심지어 50°보다 크다. i) 및 j)의 경우에 :
- 비대칭 프리즘의 전부 또는 일부는 2개의 길이 방향 면들로 둥글게 되며 (각각은 구부러지거나 또는 선택적으로는 평면 부분이 정상을 향하여 구부러져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지고), 필름의 평면에 및 프리즘의 상기 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P)에서, 평면 (P)과 각각의 둥근 프리즘 사이의 교차점은 정점 (S1)에 인접한 2 개의 곡선 (C'1, C'2)을 포함하는 단면을 형성하고,
2 개의 곡선(C'1, C'2)의 변곡점 (I'1 및 I'2)을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직선 (D' 1 및 D' 2)이 정의되고,
- 제 1 직선 D'1은 필름의 평면에 대해 상기 각도 (a3)를 이루고,
- 제 2 직선 D'2은 필름 평면에 대해 상기 각도 (a4)를 이루며,
각각의 둥근 비대칭 프리즘은 T'/10과 T'/5 사이에 포함된 곡률 반경 (R1)을 갖는 정점 (S1)에 접하는 원에 의해 정의된다 (직선 (D'1, D'2)은 교차하고 정점에서 상기 각도(a'0)를 이룬다).
비대칭 프리즘이 인접한 경우, 밸리 (뾰족하거나 둥글거나)는 전술한 정점에서의 각도 및 밸리의 선택적 곡률 반경에서와 동일한 밸리 각도의 허용 오차 (tolerance) 로 정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성에서 :
- F2 면을 향한 긴 면 (long side) 의 법선은 후면창의 상단 또는 측면창의 앞쪽을 향한다.
또한 시준 및/또는 방향 전환 (redirection)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
- 공기는 출구면 (광 추출을 촉진하기 위해 매끄럽거나 이미 텍스쳐링된, 렌즈 모양의 배열 등과 같은)과 시준 광학계의 제 1 광학 요소의 후면 (코팅이 없고, 미크론 크기의 텍스쳐 등이 없는 매끄러운 면) 사이에 있는데, 특히 제 1 광학 요소 (필름)는 출구 표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1 mm 이격되거나 예를 들어 접착제 본딩 및 선택적인 스페이서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물리적 (비 광학) 접촉을 하고, 선택적으로 출구 표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및 예를 들어 그로부터 최대 1 mm만큼 이격되어 있다.
- b) 및 c) 의 경우, 공기가 시준 광학계의 전면 프리즘 사이에 있고, 특히 패턴의 정점이 이격되어 있거나 투명 요소 (선택적 제 2 필름 또는 비대칭 프리즘 필름)와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d)의 경우, 공기는 (프레넬 렌즈의) 프레넬 (Fresnel) 프리즘 사이에 있다.
- a) 의 경우, 2 차원 패턴이 음각 (recessed)으로 되어, 2 차원 패턴 어레이는 공동 (cavities)의 어레이 (측면, 특히 인접하여 교차하는 측면 또는 원뿔형 측면을 형성하는 각 공동의 벽) 이고, 정점 S는 F2 면의 반대쪽으로 향하고, 각 공동의 상부 표면 (특히 베이스의 윤곽을 정의하는)이 (제 1) 비대칭 프리즘 필름과 이격되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2 차원 패턴이 양각 (raised)으로 되어 F2 면을 향하여 배향되고, 각 전면 패턴의 정점은 (제 1) 비대칭 프리즘 필름과 이격되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2 차원 패턴 사이에 공기가 존재한다.
- 마지막 비대칭 프리즘 필름의 전면 (front face) (최종면)은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1 센티미터 이하의 크기이고 (보호 및/또는 기능성 필름, 글레이징이 적층되었다면 제 2 글레이징의 F4 면) 및 심지어 최대 0.3 mm, 0.15 mm 또는 제 1 글레이징 (제 1 글레이징의 F2 면)에 상응하는 두께의 뚜렷한 투명 요소와 이격되어 있거나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전술한 시준/방향 전환 광학계에 대한 제 3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글레이징은 출구 표면을 향하여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포함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인 투명재료로 만들고, 바람직하게는 출구 표면 상에 (예를 들어 접착제 본딩 또는 심지어 용접으로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최대 1 mm 이격되어 있는) 있다;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F2 면을 향한 전면 및 대향하는 후면을 포함한다;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전면에 홀로그래픽 패턴의 어레이 (1 차원 및 예를 들어 프리즘 패턴)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 이하, 심지어 최대 0.3 mm 또는 0.15 mm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거나, 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이다.
또한, 이 제 3 구성에서, 공기는 출구면과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의 입구면 사이에 있고, 공기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의 최종 전면 (front face)의 양각 홀로그래픽 패턴들 사이에 있거나, 또는 공기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의 전면의 음각 홀로그래픽 패턴들에 있다;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필름의 전면이 이격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서브센티미터 (subcentimeter) 크기의(보호 및/또는 기능성 필름, 글레이징이 적층된 경우 제 2 글레이징의 면 F4) 및 심지어 최대 0.3 mm 또는 0.15 mm 또는 제 1 글레이징에 상응한 두께를 갖는 별개의 투명한 요소와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성 및 심지어 제 3 구성에서 :
- 후면창 또는 차앞유리 (windshield)에 대한 기준 방향은 창의 평면에서 수평이다 (지면으로의 방향 전환을 위해)
- 그리고 측면창에 대한 기준 방향은 후면을 향한 방향 전환을 위해 (측면 가장자리들 사이에서) 창의 평면에서 수평에 수직이다.
- 면 F2 를 향한 긴 면 (long side)의 법선은 후면창 또는 차앞유리의 상단 또는 측면창의 앞쪽을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어떠한 투명한 재료 (접착제, 적층 중간층) 조차도 각 필름의 패턴들 사이에서 회피되고, 특히 에어 갭 (air gap) 제 1 광학 필름의 출구면과 후면 사이에 생성된다.
물리적 접촉 (출구 표면에 대한 필름)은 허용되지만 스페이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주변장치 체결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본딩에 의해)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기 충전 공동 (air-filled cavity)이 선호된다 (두께가 더 잘 제어되고 무지개 빛깔 영역의 위험이 적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주변장치 체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발광 영역의 밖에 (따라서 주변 장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음)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의 폭은 최대 5 mm 일 수 있다.
발광 소자, (플레이트 및/또는 필름) 주 (primary)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편평하고, 면 F2에 평행하고, 그 주변부에서 적층 글레이징의 면 F2 또는 면 F4에 대해 가압 또는 접착제 본딩될 수 있다. 발광 소자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편평하고, 면 F2와 평행하고, 그 주변부에서 적층 글레이징의 면 F2 또는 면 F4에 대해 가압 또는 접착제 본딩될 수 있다.
이 조립체는 컴팩트한데, 전체 두께는 최대 10 mm 또는 심지어 최대 5 mm 이다.
(시준 및 방향 전환) 필름은 주변에 출구 표면에 고정된 스택을 함께 형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광학 필름은 효과적이고, 구현하기 간단하며, 전체 두께가 최대 1 mm 또는 심지어 0.5 mm 또는 0.3 mm 로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자 비대칭 및 비대칭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후면창의 경우, 광원 및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 조립체는 (제 3) 정지등 또는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 side repeater)등, 위치등 또는 측면등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창 또는 윈드쉴드 (windshield, 차앞유리)의 경우, 광원 (바람직하게는 1차 광학계 없는)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 조립체는 (제 3의) 정지등 또는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 등, 위치등, 측면등 또는 광원으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기호 (symbolism), 예를 들면 특히 수평 그림문자 (기호, 문자, 모노그램 기호 등)를 창 (후면창 또는 차앞유리)의 하측 또는 측면 경계에 또는 심지어 창 (후면창 또는 차앞유리) 중앙에 형성하며, 이 상징은 예를 들면 특히 위험 경고등, 교통 경고 등과 같은 경고 그림이고/이거나 이 상징은 특히 안전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그림이다.
광원은 예를 들어 곡선 가장자리 (의 길이) 를 따라 또는 창의 마스킹 아웃 라인 (예를 들어, 에나멜 등으로 만들어진 불투명 마스킹 층)을 따라 직선 또는 곡선인 스트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창 또는 차앞유리의 경우)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MV) 적색으로 방출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및 주변부이고 심지어 수평인 발광 스트립이다.
예를 들어 (후면창 또는 차앞유리의 경우)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MV) 황색으로 방출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및 주변부이고 심지어 수평, 특히 창의 하부 또는 측면 경계에서 수평인 발광 스트립이다
특히, 광원은 직사각형 및 주변부, 특히 후면창의 하부 또는 측면 경계에서 수평, 발광 스트립이고; 광원 (다이오드) 및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 조립체는 특히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 등, 위치등, 측면등을 형성하고 또는 광원 (바람직하게는 1차 광학계 없는 다이오드) 및 홀로그램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 조립체는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 등, 위치등 또는 측면등을 형성한다.
특히, 광원 (바람직하게 1차 광학계 갖거나 갖지 않는 복수의 다이오드)은 그림문자와 같은 상징을 형성하고, 특히 창의 하부 또는 측면 경계에서 또는 심지어 창의 중심에서 수평이다. 이 상징은 특히 위험 경고등, 교통 경고등과 같은 경고 그림문자이고, 또는 이 상징은 특히 안전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그림문자이다.
특히, 광원 (바람직하게 1차 광학계 없는 다이오드)은 (MV) 적색으로 방출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및 주변 발광 스트립으로서, 따라서 창의 비전 영역의 경계 및 특히 상부 경계 (면 F4 또는 F2) 및 중심에 있고, 그 조립체는 광원 (바람직하게는 1차 광학계 없는 다이오드) 및 제 3 정지등, 위치등 또는 측면등을 형성하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조립체는 광원 및 따라서 다이오드 (바람직하게 1차 광학계 없이) 및 제 3 정지등, 위치등 또는 측면등을 형성하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한 광학계로 구성된다.
특히, (후면창 또는 차앞유리 경우) 광원은 (MV) 황색으로 방출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및 주변 발광 스트립으로서, 따라서 창의 비전 영역 및 특히 하부 경계 (면 F4 또는 F2)에 있고, 그 조립체는 광원 및 예를 들어 지시기등을 형성하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조립체는 광원 및 예를 들어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 side repeater) 등을 형성하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다.
후면창에 (MV) 적색 또는 황색광을 생성하려면 백색광을 방출하는 소스를 사용한 다음 적색 또는 황색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최종 전면 (front face)과 면 F2 사이의 국부적 보호 필름은 상기 컬러 필터 (적색 및/또는 다른 필요한 컬러) 일 수 있다.
후면창은 트렁크 도어, 다용도 차량 도어 또는 후면창일 수 있다.
광원은 불투명하고 (다이오드 캐리어를 통해) 및/또는 마스킹 레이어 (적층 글레이징의 경우 F4 상에 및 F2와 F3 사이의 소스) 또는 보호 필름에 의해 내부에서 마스킹될 수 있다.
특히 측면창 및 차앞유리를 통해 광이 내부 (단일 방향)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광원은 투명하거나 (전체 투명도, 다이오드 캐리어는 투명함) 및/또는 마스킹 층 (적층 글레이징의 경우 F4상에 및 F2와 F3 사이의 소스) 또는 보호 필름에 의해 내부로부터 마스킹될 수 있다.
외부 마스킹 층 (면 F2 상에)에는 광원을 갖는 개구 연통이 제공될 수 있다.
청색, 주황색, 녹색 등 다른 색상의 조명이 하나 이상 필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발광 구역 ((별도의 또는 공통 다이오드 캐리어상의 복수의 일련의 다이오드), 그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상의 스트립)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함께 제어되고 (예를 들어 동시에 온 오프), 예를 들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최대 80 mm 또는 75 mm 만큼 이격되어 있다.
후면 (또는 측면) 창 (또는 차앞유리)은 각각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갖는 또는 1차 광학계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갖는 복수의 다이오드 셋트, 특히 후면창의 상부 경계에서 선택적으로 동일한 색상을 방출하는 상기 광원 (다이오드)을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쉴드의 경우 DRL (daytime running light, 주간 주행등) 또는 기호, 야광 그림문자 등과 같은 전방을 향하는 조명의 문제일 수 있다.
디프렉터 (deflector)로서, 특히 고정된 측면창의 경우, 광원 조립체는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등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광원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 조립체는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등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MV) 황색으로 방출되고,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주변 발광 스트립이고, 따라서 시야 영역, 특히 하부 또는 측면 및 심지어 후방 측면 경계에 있으며, 그 조립체는 광원 및 1차 광학계 또는 사이드 리피터 지시기등을 형성하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조립체는 광원 및 사이드 리피터 지시기등을 형성하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다.
측면창은 직사각형 또는 사변형 (더 작은 꼭대기 모서리)일 수 있다.
후면창에 (MV) 노란색 광을 생성하려면 백색광을 방출하는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이어서 노란색 컬러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최종 전면과 면 F2 사이의 국소 보호 필름이 상기 필터일 수 있다.
다이오드는 상징 또는 그림문자이기도 하고 그것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창에 대해, 복수의 다이오드 세트가 선택되며 각각은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갖거나 또는 1차 광학계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 조립체를 가지며, 상기 다이오드 세트는 특히 최대 85 mm 만큼 이격되어 있고 수평 또는 수직으로 (또는 적어도 측면으로) 배열되어 있다.
패턴들 (프리즘 또는 2 차원 패턴들)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서로 가깝고, 예를 들어 그들의 베이스는 1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으로 분리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리즘 또는 2 차원 패턴들과 비대칭 프리즘들은 연속적이거나 본질적으로 연속해있다.
패턴들 (프리즘 등)은 그들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접촉할 때 연속되어있다고 한다. 패턴들이 더 많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패턴들이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 프리즘 필름의 경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일차원적인 프리즘 패턴들의 하나의 세트가 있으며, 그 패턴들의 기저부들은 인접해있다.
특정 2 차원 패턴들은 그 패턴들간에 완전한 연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것은 특히 기저부들이 원형인 경우 비록 그들이 닿더라도 패턴들에 속하지 않는 원들 사이에 특정 영역이 남아 있다. 완전한 연속이 의미하는 것은 패턴 기저의 윤곽이 그 전체에서도 그 인접 패턴들의 윤곽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특정 패턴들은 완전히 연속적일 수 있어서, 광학 필름의 전체 영역 (적어도 다이오들를 향하는 기능적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것은 테셀레이션 (tessellation, 모자이크 세공) 의 문제이다. 특히,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육각형 베이스를 갖는 2 차원 패턴들은 베이스가 전자발광인 경우 베이스들이 동일하여 완전히 연속적일 수 있다.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베이스의 경우, 패턴들이 완전히 연속적이라면 상기 베이스도 정렬되어야 한다. 육각형 베이스의 경우, 상기 베이스는 벌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시준 광학계 및/또는 방향 전환 광학계는 제 1 글레이징의 가장자리 면을 넘어 연장되지 않는다.
글레이징은 복수의 다이오드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 세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당 하나의 시준 광학계 및 심지어 하나의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들에 대해서 하나의 공통 시준 광학계 및 심지어 하나의 공통 방향 전환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경우, 반복적인 패턴들, 즉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그리고 심지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기하학적 패턴들의 문제이다.
물론, 시준 또는 방향 전환 광학계에 의해 커버되는 구역의 형상은 패턴들의 형상과 무관하다.
따라서 2 차원 패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예를 들어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 표면, 특히 측면 융기부에 의해 분리된 교차되는 측면을 갖는 돋아오른 고형물; 또는
- 음푹 들어간 곳 (즉, 거꾸로 됨) - 필름은 공동의 어레이 (array of cavities), 피라미드 측면 또는 원추형 측면을 형성하는 각 공동의 하나 이상의 벽들로 텍스쳐링 되고, 정점은 면 F2의 반대쪽을 향하고 공동의 상부 표면은 베이스의 윤곽을 정의한다.
2 차원 패턴들은 예를 들어 원뿔 또는 피라미드의 경우와 같이 뾰족한 끝으로 끝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2 차원 패턴은 피라미드의 평면 및 교차 (측면)면을 갖는다. 2 차원 패턴이 규칙적인 피라미드라면, 베이스 (필름의 텍스쳐링된 면의 일반 평면에 포함된)는 정삼각형이다.
기존 콘의 측면에는 평평한 표면이 없다.
각각의 광학 요소의 입구는 임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낮은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거칠기와는 별도로 패턴의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패턴 (텍스처) 깊이 또는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패턴 (프리즘 또는 2 차원 패턴)은 바람직하게는 높이가 약 10 μm 내지 500 μm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μm 및 최대 200 μm 의 높이를 갖는다.
각각의 광학 필름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의 높이는 5 ㎛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2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및 최대 200 ㎛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투명 광학 필름은 이미 언급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 플라스틱 (유기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필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T,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C 또는 폴리메틸 메타 크릴레이트 PMMA로 만들어진다.
투명 광학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인데, 글레이징이 곡면인 경우 (모놀리식 또는 적층된) 글레이징의 하나 이상의 곡률에 일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광학 필름 (시준 광학계 또는 방향 전환 광학계)은 표면에 상기 패턴을 갖는 투명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층의 두께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텍스쳐링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광학 필름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은 두께가 부분적으로 텍스쳐링 된, 즉 매끄러운 입구면과 텍스쳐링 된 전면 (F2면)의 가장 가까운 지점 사이에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모놀리식) 플라스틱 필름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나머지 (일정한) 두께는 텍스쳐링 된 전면과 후면 사이의 최저 지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나머지 두께는 적어도 50 μm, 심지어 최대 200 μm이다.
텍스처는 롤링 (즉, 캐스트), 열 성형, 에칭 및 특히 중합체 재료에 대한 레이저 에칭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원하는 텍스쳐의 형태에 따라 생산이 둥근 계곡이나 정점 등과 같은 완벽한 기하학적 모양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a) 또는 b) 또는 d)에 따른 시준 광학계는 텍스처링된 제 1 투명 필름일 수 있다.
c)에 따른 시준 광학계는 텍스처링된 제 1 투명 필름 및 텍스처링된 제 2 교차 투명 필름일 수 있다.
i)에 따른 방향 전환 광학계는 텍스처링된 제 1 투명 필름일 수 있다.
j)에 따른 방향 전환 광학계는 텍스처링된 제 1 투명 필름 및 텍스처링된 제 2 교차 투명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준 광학계 및/또는 방향 전환 광학계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특징이 누적적인 것이 선호된다 :
- 상기 또는 각각의 광학 필름은 두께가 부분적으로 텍스쳐링된 플라스틱 필름이고, 패턴들의 높이 H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의 분산을 갖는다
- a) 의 경우 2 차원 패턴들은 뒤로 들어가 (recessed) 있고, 특히 플라스틱 필름은 두께로 부분적으로 텍스쳐링 되고; 2 차원 패턴들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원형 베이스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의 분산을 갖는 높이 H를 가지며; 패턴들은 특히 (거의) 동일한 높이이고 따라서 동일한 평면에 상단 표면들이 있다.
- a), b) 또는 c) 의 경우 정점에서의 각도 A1은 90°±5°이고, 심지어 각도 A2는 45°±5°이며, 심지어 최고점에서의 각도 A1은 90°±2°이며, 심지어 각도 A2는 45°±2°이다.
- i) 및 j)의 경우, 정점에서의 각도 A1은 55°±5°이고, 심지어 각도 A2는 35°±5°이며, 심지어 정점에서의 각도 A1은 55°±2°이며, 심지어 각도 A2는 35°±2°이다.
프레넬 프리즘 (Fresnel prism) 은 작은 크기와 일정한 각도의 프리즘의 연속이다. 이 프리즘은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넬 프리즘은 프리즘의 베이스 및 글레이징의 일반적인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표면과 경사면을 교대로 포함한다. 프레넬 초점 거리는 최대 3 mm이다.
다이오드는 서브 밀리미터 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mm 또는 그 미만인 두께 e'2의 다이오드 캐리어라고 불리는 가요성 캐리어 상에 있을 수 있으며, 그것은
- (기존 장착의 경우) 다이오드보다 면 F2에서 더 멀리 있고
- 다이오드와 면 F2 사이에서 역 장착을 위해, 상기 캐리어는 선택적으로는 다이오드와 개구 연통된다.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면 F2에 역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면에는 특히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2 개 이상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투명한)층이 제공되며, 이 구역은 특히 폭이 1 밀리미터 이하인 하나 이상의 절연 스트립을 통해 격리된다 ; 면 F2를 덮고 태양광 제어 및/또는 가열층 또는 심지어 전기 전도성 (로컬) 트랙의 기능을 더 갖는 전기 전도성층의 문제일 수 있다.
적층 글레이징의 경우, 다이오드는 면 F3 상에 있을 수 있으며, 이 면에는 특히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둘 이상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투명한)층이 제공되며, 이 구역은 특히 폭이 1 밀리미터 이하인 하나 이상의 절연 스트립을 통하여 격리되고; 면 F2를 덮고 태양광 제어 및/또는 가열층, 또는 심지어 전기 전도성 (로컬) 트랙의 기능을 더 갖는 전기 전도성 층의 문제일 수 있다.
다이오드는 칩-온-보드 (chip-on-board) 타입이거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주변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면실장소자 (SMD)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바람직하게는 전력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고 전자 부품의 가장자리 면을 캡슐화하는 (특히, 가장자리 면을 정의하는) 중합체 또는 세라믹 주변 패키지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패키지는 반도체 칩을 둘러싼다.
패키지는 다이오드의 최대 두께 (높이) (e2)에 해당할 수 있다. 패키지는 예를 들어 에폭시로 만들어진다. 중합체 패키지는 적층 동안 선택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적층 후 최종 두께는 초기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중합체) 패키지는 불투명할 수 있다. 패키지 (모놀리식 또는 두 부분으로 구성됨)는 칩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형성하며, 칩 위의 지지부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반사기를 형성하고, 보호 수지 및/또는 색 변환 기능을 갖는 재료을 함유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은 리세스된 칩을 덮는 이 재료의 표면 또는 반사기의 "전면" 레벨의 레벨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는 다이오드 캐리어의 전면에 표면 실장된 부품이고,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는 램버시안 (Lambertian) 또는 준-램버시안 방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 (PCB)일 수 있는 다이오드 캐리어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5 cm,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 cm, 심지어 최대 1 cm이다. 단일 반도체 칩,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다이오드를 갖는 다이오드의 폭 (또는 길이)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이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인 복수의 반도체 칩 (일반적으로 패키지에 의해 둘러싸인)을 갖는 다이오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mm이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국부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층 글레이징 면적의 최대 20 % 또는 최대 10 %를 커버함),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관통 개구를 포함한다.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적층 중간층의 중합체 물질의 연화 온도 미만, 특히 최대 130℃, 최대 120℃ 및 심지어 최대 100℃에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 내지 심지어 20 (따라서 세기/10 또는 심지어 세기/20)의 팩터로 전기 전류에서 작동하는 전력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이오드들은 과열없이 탁월한 효율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1A에서 전류가 공급되는 다이오드의 경우 50 ~ 100mA 사이가 선택된다.
무기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갈륨 인화물, 갈륨 질화물 또는 알루미늄 갈륨 질화물에 기초한다.
다이오드 캐리어 (PCB 보드)는 곡면 적층 글레이징의 곡률에 적응하기에 충분히 가단성 (가요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즉 PET 또는 폴리이미드로 제조되고, 특히 금속 (구리 등)이거나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로 만들어진 투명한 전도성 트랙이 제공되는 필름을 포함하고, 표면 실장된 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다. 전도성 트랙은 임의의 다른 증착 방법, 예를 들어 물리 기상 증착에 의해 인쇄되거나 증착된다. 전도성 트랙은 또한 와이어일 수 있다. 전도성 트랙 및 필름은 이들이 보일 때, 즉 마스킹 요소 (층) (에나멜, 실제로 페인트 등)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때, 특히 면 F4 또는 F3상에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트랙은 투명한 재료 또는 (가상적으로) 보이지 않게 충분히 얇은 폭으로 인해 투명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대체 PET 또는 심지어 PEN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보다 높은 온도 내성을 갖는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예를 들어 적층 글레이징 면적의 최대 20 % 또는 최대 10 %를 점유하여 국부적이거나 면 F2 및 F3을 본질적을 덮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저 방사율 또는 태양광 제어 및/또는 가열 기능성 코팅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는 단독으로 또는 평면 커넥터와 관련되어, 적어도 적층 글레이징의 가장자리 면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가장자리 면을 넘어 연장되며, 다이오드 캐리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글레이징을 넘어 연장되는 더 좁은 부분을 포함하며; 그리고 다이오드 캐리어의 후면과 면 F2 사이에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이고, 두께가 최대 0.1 mm 및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0.05 mm 이고, 특히 양면 접착제인 접착제가 수용된다. 이러한 접착제는 오버 몰딩 용액보다 바람직하다. 다이오드 캐리어를 (모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접착제의 문제일 수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갖는 (직사각형) 제 1 부분;
- 및 (직사각형) 전기-연결 제 2 부분 - 상기 부분은 적층 글레이징의 모서리면에 이르고 심지어 이를 넘어 연장됨-.
이 제 2 부분은 제 1 부분보다 길거나 및/또는 제 1 부분보다 좁을 수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더 눈에 띄지 않게하기 위해) 천공된, 다이오드를 갖는 제 1 부분을 포함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은 폭이 적어도 2 mm 이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도그레그 (doglegged)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특히 L 자형일 수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글레이징의 가장자리면까지 연장되고 심지어 상기 면을 넘어 연장되는 평평한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PEN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여, 글레이징의 곡률에 적응할 수 있는 가요성 커넥터가 바람직하다. 편평한 커넥터는 가장자리 면을 따르는 다이오드 캐리어 치수 이하의 폭 (가장자리 면을 따르는 치수) 일 수 있다. 글레이징은 동일한 기능 또는 별개의 기능을 갖는 복수의 다이오드 그룹 (및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 상의) 다이오드는 동일한 빛 또는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시에는 아니다.
더 큰 발광 면적 및/또는 상이한 색들을 얻기 위해, 주어진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복수의 다이오드 열 (row) 또는 실제로 2 개의 다이오드 캐리어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다이오드 캐리어의 제 1 부분, 즉, 다이오드와 함께 나란히 배치된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지붕의 비전 영역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검정, 어두운 등) 마스킹 에나멜의 스트립과 같은 불투명 주변 스트립 (불투명 프레임을 형성)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F2면에는 불투명한 층이 있고 F4, 심지어 F3면에 불투명한 층이 있다. 그들의 폭들은 동일하거나 다르다.
면 F2 및/또는 F3 및/또는 F4상의 불투명 주변 스트립의 폭 Li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mm 이상, 심지어 15 mm이다. 따라서, 다이오드 캐리어의 길이는 Li보다 클 수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들 갖는 적어도 제 1 부분 및/또는 다이오드가 없는 적어도 (제 2) 부분, 특히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 1 글레이징의 가장자리를 넘어서 연장됨), 글레이징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반적으로 면 F2 상에 있으며 및/또는 적층된 경우 면 F4 상에 심지어 면 F2 및/또는 면 F3상에 있는 불투명 층, 특히 (검은) 에나멜 영역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일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캐리어는 글레이징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영역에서 외부 유리는 F2상의 (검은) 에나멜 층 같은 불투명 층 (가장 외측의 불투명 층)의 존재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불투명하다. 이러한 불투명 층은, 글레이징 영역에서, 천공되지 않은 층 (연속적인 배경) 또는 하나 이상의 불연속을 갖는 층 일 수 있고, 상기 층은 예를 들면 선택적으로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크기 (가장자리 면에서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고 및/또는 가장자리 면에서의 거리에 따라 패턴들이 더욱 더 이격되는)를 갖는 기하학적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패턴들의 셋트의 모양을 띤다.
이 제 1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 또는 그 다이오드 캐리어는 내부로부터만 볼 수 있고 따라서 면 F2상의 불투명 층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마스킹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더해서, 다이오드 캐리어는 글레이징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이 영역에서 내부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F4 위에 또는 심지어, F3 위에 (검은) 에나멜층과 같은 불투명 층 (가장 안쪽 불투명 층)의 존재로 인하여 불투명하다. 이 불투명 층은 각각의 다이오드에 맞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착동안 마스크를 사용하여 또는 불투명 층을, 특히 레이저로 제거함으로써 생산되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이 불투명 층은 예를 들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 (가장자리 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고 및/또는 패턴들이 거욱 더 이격되는 크기)를 갖는 선택적으로 기하학적 (원,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불투명 패턴들의 셋트 모양을 갖는다. 불투명 패턴들 사이의 구역은 다이오들과 일치한다.
다이오드로서 오스람 (Osram)이 판매하는 Oslon Black Flat 제품 군을 언급할 수 있다. 적색 빛의 경우 오스람이 판매하는 다이오드로서 Oslon Black Flat Lx H9PP을 언급할 수 있다. 황색 빛의 경우에는, 오스람에 의해서 판매되는 LCY H9PP를 언급할 수 있다.
가요성 PCB의 경우 Krempel의 Akaflex® 계열의 제품 (특히 PCL FW)을 언급할 수 있다.
역 장착 다이오드의 경우, 다이오드 캐리어 면 (F3)의 표면은 시준 광학계를 형성하기 위해 텍스쳐링 (엠보싱 등) 될 수 있다.
차량의 일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와 심지어 특히 광도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적층 글레이징 안에 또는 그 위에 있을 수 있고,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또는 떨어져서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는 역 장착 다이오드이고, 다이오드 캐리어 면 (F2)의 표면은 시준 광학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텍스쳐링 되거나 또는 시준 광학계는 임의로 청공된 캐리어 상의 텍스쳐링 된 플레이트 또는 필름이고 또는 다이오드 캐리어는 천공되고 다이오드는 1차 광학계 (primary optic)를 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글레이징은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장착된 및/또는 다이오드 또는 하나의 다이오드 그룹 상에 장착된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은 다음을 포함한다:
- 시준 광학계, 특히 텍스쳐링된 플레이트 또는 비대칭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예를 들면 상기 시준 광학계는 필름의 주변위에 출구 표면에 접착 결합외는 하나 이상의 필름에 기초한다)
- 다이오드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F2 면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심지어 다이오드의 상기 가장자리 표면과 접촉하는 주변 연장부.
일 실시예에서, 주변 연장부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의 주변일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층 중간층의 관통 개구와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변 서라운드 (surround)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가지며, 서라운드의 벽은 특히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를 유지하기 위한 스터브 (stub)를 포함한다.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는 산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낮은 거칠기를 가져야 한다. 거칠기와 별도로, 패턴의 가장 높은 점과 가장 낮은 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텍스쳐의 깊이 즉 높이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패턴들은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10 μm 내지 500 μm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μ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μm의 치수를 갖는다.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는 그 두께가 부분적으로 텍스쳐링 된다. 즉 매끄러운 면과 텍스쳐링된 면의 가장 가까운 점 사이에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의 나머지 (일정한) 두께는 테스쳐링된 면 (프리즘 배열인 경우 후면)과 그 반대면 (프리즘 배열인 경우 후면) 사이의 가장 낮은 점 사이의 거리로써 정의된다. 나머지 두께는 적어도 50 μm 그리고 심지어 최대 200 μm 이다.
텍스쳐링된 플레이트 (그리고 심지어 그 부분)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PC)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 될 수 있다.
PMMA 또는 PC로 제작된 성형 부품의 문제일 수 있다. 텍스처는 롤링 (즉, 캐스트), 열 성형, 에칭 및 특히 중합체 재료에 대한 레이저 에칭에 의해 생성될 수있다. 원하는 텍스처의 모양에 따라서는, 이 프로세스가 반드시 완벽한 기하학적 모양 (솟아오른 또는 둥근 정점)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주변 연장부 및/또는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는 선택적으로 공통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 안에 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연장부 및/또는 테스쳐링된 플레이트는 중간층 면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주변 연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풋 (attaching foot) (L-형 단면의 일부)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부착 풋 (부품은 U-형 모양의 단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
- 시준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다이오드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고정 피트 (feet)는 다이오드의 가장자리 면의 어느 한 측에 있고 다이오드 캐리어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은 압입에 의해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을 넘어서서 (입구 에어갭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 결합에 의해 달성되고,
- 시준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다이오드 그룹의 각 다이오드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고정 피트 (feet)는 다이오드의 가장자리 면의 어느 한 측에 있고 다이오드 캐리어와 이격되어 있거나 접촉하며, 상기 고정은 압입에 의해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을 넘어서서 (입구 에어갭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 결합에 의해 달성되고,
- 시준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다이오드 캐리어에 고정한다.
주변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내의 다이오드 또는 공통의,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내의 다이오드 그룹의 주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부분은 U 자형 단면을 갖는다.
서라운드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을 포함하고 특히 서라운드의 벽은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을 유지하기 위한 스터브 (stub)를 포함하며, 스터브는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이다.
(서라운드)연장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FB 면에서 최대 0.3 mm의 거리에,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0.1 mm의 거리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기능성 부분의 전면 (front face)의 주변부에 대해 또는 그에 고정되는 필름을 포함한다.
(연장부를 갖는) 다이오드 위에 또는 다이오드 캐리어 위에 부품을 장착하는 것에 대한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시준 광학계는 면 F3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를 갖는 적층 중간층 사이의 텍스쳐링된 투명 필름일 수 있다. 시준 광학계는 모든 다이오드에 공통이다. 다이오드 셋트로 구역을 덮는 텍스쳐링된 투명 필름의 영역이 텍스쳐링될 수 있고, 따라서 텍스쳐링된 투명 필름은 하나의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그룹에 각각 대면하는 하나 이상의 텍스쳐링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접 영역들이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매끄럽다.
텍스쳐링된 투명 필름은 플라스틱 (유기 중합체)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필름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통공인 개구에 장착된 시준 광학 세트를 갖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픽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최종 전면의 주변의 투명 요소에 대해 또는 그에, 예를 들어 미네랄 또는 유기 유리로 제조된 제 2 투명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의 F2 면 또는 F4면에 고정되거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F3 및 F4로 지칭되는 주 면들 (main faces)이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준 광학계는 출구면 주변 위에 다이오드에 고정되고, 후면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 심지어 방출면 주변에서도 - 광학 필름을 포함하고,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제에 의해 시준 광학 필름의 최종 전면의 주변에 대해 또는 그에 고정되는 필름을 포함하고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전면의 주변에 대해 또는 그에 접속되는 필름을 포함한다.
글레이징 (차앞유리, 후면 또는 측면창)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내부 글레이징으로 의도된 제 2 (투명) 글레이징,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곡선형이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거나 극히 투명하고 또는 심지어 (제 1 글레이징 보다는 덜) 착색된 광물 유리로 만들어지고, 제 3 및 제 4 주요 면인 면 F3 및 면 F4를 각각 갖고, 자동차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1 글레이징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 심지어 최대 2 mm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1.1 mm 미만 또는 심지어 0.7 mm 미만, 특히 적어도 0.2 mm 이고, 제 1 및 제 2 글레이징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mm 보다, 심지어 3.7 mm 보다 작고, 제 2 글레이징은 가능하게는 화학적으로 강화된다.
-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 면인 면 F2와 F3 사이에, "투명", 선택적으로 맑고, 극히 맑고 또는 심지어 착색된, 특히 회색 또는 녹색의 적층 중간층 (개구부가 관통 개구인 경우 특히 착색됨),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 (PVB)로 만들어지고, 상기 적층 중간층 필름 (단일 시트 또는 복합 시트)은 주 면 (main face) FA - F3측 및 주 면 FB - F2측 을 가지며, 면 FA는 가능하게는 면 F3 (코팅되지 않거나 코팅으로 코팅됨)와 접착제 접촉하고 및 면 FB는 면 F2 (코팅되지 않거나 코팅으로 코팅됨)와 접착제 접촉하고, 면 FA와 FB 사이의 두께 EA의 적층 중간층은 - 자동차용의 경우 -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mm,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2 mm, 심지어는 최대 0.9 mm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 mm 및 심지어 적어도 0.6 mm) 이고, 상기 중간층, 특히 제 1 방음 및/또는 착색 시트이고, 특히 제 1 글레이징의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최대 2 mm 만큼 뒤로 들어가 있고 그리고 제 2 글레이징의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최대 2 mm 만큼 뒤로 들어가 있다.
상기 적층 중간층은 예를 들어 하나의 개구의 (관통 또는 블라인드) 또는 바람직하게는 관통하거나 또는 블라인드 홀을 형성하는 M> 1 개구 셋트의 면 FA와 면 FB 사이에 제공되며, 각각의 개구는 최대 20 mm 및 심지어 최대 15 mm의 폭 WA (다이오드와 시준 광학계 및 심지어 개구부에 있을 수 있는 방향 전환 광학계 전체 보다 같거나 큰) 를 갖는다.
각각의 다이오드는 하나의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다이오드 (의 가장자리 면을 둘러싸는) 하나의 블라인드 홀 하우징 및 심지어 시준 광학계의 (모두 또는 일부) 하우징과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다이오드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다이오드 그룹을 수용하고 그리고 심지어 특히 공통 시준 광학계의 (모두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소위 공통 관통 개구와 또는 소위 공통 블라인드 홀과 연관되어 있다.
특히:
- 개구가 관통 개구이고 면 FB가 면 F2아 접촉할 때, 다이오드의 전면은 바람직하게는 면 F2 로부터 뒤로 들어와 있다.
- 개구가 관통 개구일 때 그리고 다이오드가 역으로 장착되어 면 FA가 면 F2와 접촉할 때,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면 F3로 부터 (면 FA로 부터) 뒤로 들어와 있다.
- 홀이 브라인드일 때, 나머지 두께는, 바닥 두께 Hf 라고 불리는데, 최대0.3 mm 및/또는 겆어도 0.1 mm 또는 0.2 mm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이오드 전용의 적층 중간층의 국지적 컷 아웃 (cut-out)을 제공한다. 특히 품질이 좋지 않은 어셈블리 (거품, 박리, 심미적 결함)의 위험을 증가 시켰던 종래 기술에서 처럼 다이오드 캐리어 (PCB 보드)의 모든 주변을 도려내야 할 필요성을 피하게 되었다. 특히 선택적 다이오드 캐리어는 캐리어 후면에 PVB 시트를 추가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 매우 얇다. 공통 (블라인드 또는 관통) 홀 내의 다이오드 그룹은 최대 20mm의 폭 또는 길이의 영역 (S)에 새겨질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에 가능한 한 가깝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의 폭보다 더 넓게 (중간층이 가단성인 경우) 선택되는 컷 아웃을 생성하는 동안 다이오드의 위치에 허용 오차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중간층의 바람직한 통공은 그의 설치, 통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성능을 개선한다.
전혀 예기치 않게, 관통 개구의 경우에, 중강층은 시준 또는 방향 전환 광학계의 동작에 악영향을 줄 정도로 충분히 흐르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0.7 내지 0.9 mm (단일 시트 또는 제 1 및 제 2 시트) 범위인 면 FA와 면 FB 사이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PVB의 두께는 PVB로 이루어지고, 다이오드는 다이오드 캐리어의 전면 (front face)의 표면 실장 소자이고, 두께가 최대 0.2 m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0.15 mm 및 심지어 최대 0.05 mm이다.
특히 단일 시트인 - 관통 개구를 갖고 있는 - 특히 선택적으로 착색 또는 투명한 방음 PVB의 경우, (곡선 적층 글레이징의 형상에 적응하기에 충분히 가단성이 있는) 다이오드 캐리어는 역 장착 구성에서 면 F3 또는 면 F2에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그에 가압되고, e'2는 최대 0.15 mm 이고 심지어 최대 0.1 mm 이고 접착 결합은 특히 접착제 (풀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면 접착제)로 이루어진다.
캐리어의 전체 길이 또는 이산점 (discrete points)들은, 다이오드 구역 내에서 및/또는 다이오드 구역 밖에서, 접착제로 결합된다. 주변 접착제는 액체 수분에 밀봉 (seal)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국소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층 글레이징 면적의 최대 20% 또는 최대 10%를 덮음) 선택적으로는 눈에 잘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광통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글레이징은, 다이오드 캐리어의 후면과 면 F3 또는 역 장착 구성에서 면 F2 사이에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시트, 특히 적층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적층 중간층은 - 면 FA와 FB 및/또는 후면 상의 시트 및/또는 심지어 면 FA와 면 FB 사이의 시트 사이에 있는 - 폴리비닐 부티랄 (PVB), 폴리우레탄 (PU),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EVA)로 만들어지며, 예를 들면 0.2 mm 내지 1.1 mm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Solutia 또는 Eastman으로 부터의 RC41과 같은 기존의 PVB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층 중간층은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 (PVB) 및 가소제를 기초로 하는 진동-음향 감쇠 특성을 갖는 점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소위 중앙 층, 및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고, 표준 PVB로 제조된 2 개의 외부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층은 2 개의 외부층 사이에 있다. 방음 시트의 예로서, 특허 EP 0 844 075를 언급할 수 있다. 특허 출원 WO2012/025685, WO2013/175101, 특히 WO2015079159에서와 같이 착색된 방음 PVB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은 다음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
- 바람직하게는 (개별 또는 공통) 관통 개구는 PVB의 두께 (또는 하나 이상의 시트에서 계면이 특히 식별 가능함)이고,
- 바람직하게는 (개별 또는 공통) 관통 개구는 특히 3 층 또는 4 층 방음적층 중간층에 있고,
- 바람직하게는 (개별 또는 공통) 관통 개구는 착색된 적층 중간층에 있고 (특히 다이오드 캐리어를 약간 가리는)
-(개별 또는 공통) 개구는 복합 (다중 시트) 재료 : PVB /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PVB / 투명 플라스틱 필름 / PVB, 상기 플라스틱 필름 에 있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특히 서브필리미터 크기 및 시지어 최대 0.2 mm 또는 최대 0.1 mm 두께와 기능성 코팅을 갖는 - 낮은 방사율 또는 태양광 제어 기능 및/또는 심지어 가열 기능을 제공 - PET 필름이다 ;
-(개별) 분리된 관통 개구들의 다이오드들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0.1 mm ,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 mm 이상
- 공통 관통 개구 내의 다이오들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0.1 mm 이상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심지어 최대 1 mm 이다.
당연히, PVB는 (면 FA를 통해) 면 F3 (각각 면 FB를 통해 F2)와 또는 특히 가열 층, 안테나, 태양 제어 또는 로우-E 층 또는 일반적으로 흑색 에나멜과 같은 장식 또는 (불투명한) 마스킹 층과 같은 층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은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인 전통적인 기능층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유리, 바람직하게는 특히 얇고 1.1 mm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내부 유리는 화학적으로 템퍼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특허 출원 WO2015/031594 및 WO2015066201의 예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
- 시준 광학계를 갖는 다이오드들은 (바람직하게) PVB의 관통 또는 블라인드 구멍에 또는 PVB/선택적 기능 코팅을 갖는 기능성 필름/PVB의 관통 또는 블라인드 구멍에 있다
- 또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또는 블라인드 구멍은 다이오드 그룹의 다이오드들에 공통이고 시준 광학계 부분의 일부는 다이오드들 사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또는 다이오드들 사이의 스페이서는 시준 광학 부품과 분리되는 부품이다.
일 실시예에서, 글레이징은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 상기한 제 1 글레이징,
- 면 F3 및 F4로 불리는 주 면들 (main faces)를 갖는 미네랄 또는 유기 유리로 만들어진 제 2 투명 글레이징,
- 적층 글레이징의 내면들인 면 F2와 F3사이에, 바람직하게 PVB로 만들어지고 선택적으로 착색되고 및/또는 선택적으로 두께가 복합적이고, 중합체 재로로 만들어진 투명 적층 중간층, 이 적층 중간층은 주면 FA면-F3측 및 주면 FB면-F2측, FA면은 F3면과 접착 접촉을 하고 면 FB는 F2와 접착 접촉을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 시준 광학계는 다이오드 보다 크고 주변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주변부에 또는 그 주변에 접착w제로 접착되고 후면을 통해 상기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며 선택적으로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다이오드보다 코고 그 주변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후면을 통해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시준 광학계에 접착제로 접착된다.
- 또는 1차 광학계 또는 시준 광학계는 그 주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출구 표면에 접착제로 접착되고 비대칭 방향성 광학계는 다이오드보다 크고 그 주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 중간층에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제로 접착되고 또는 상기 적층 중간층과 후면을 통해 그 주변에 접착제 접촉한다
-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장치는 다이오드 보다 크고 그 주변에 고정되고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적층 중간층에 접착제로 접착되고 또는 그 주변에 상기 적층 중간층과 후면을 통해 접착제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글레이징은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
- 상기 제 1 투명 글레이징,
- F3 및 F4면이라고 하는 주 면들을 갖는 미네랄 또는 유기 유리로 만든 제 2 투명 글레이징,
-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 면인 면 F2와 F3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착색되고/되거나 선택적으로 그 두께로 복합성이고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는 투명 적층 중간층, 이 적층 중간층 필름은 주 면 FA면 - F3 측 및 주 면 FB - F2 측을 가지며 면 FA는면 F3과 접착제 접촉하고 면 FB는 면 F2와 접착제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면 F2는 자유롭고, 글레이징은 모놀리식이고, 비대칭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확계는 면 F2에 있고 또는 글레이징이 적층되고 (상기 설명과 같이) 그리고 다이오드가 자유면 F4 측에 있으면, 시준 광학계는 그 주변에, 바람직하게는 접착 본딩에 의해서, 후면을 통해 다이오드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제에 의해 출구면 주변에 고정되고 및/또는 다이오드/1 차 또는 시준 광학계/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된 조립체가, 바람직하게는 접착 본딩에 의해서, 자유면 (F4 또는 F2)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갖는 다이오드 캐리어 위의 후면 보호 필름을 통해서 자유면 (F4 또는 F2) 에 고정된다. 후면 보호 필름은 . 다이오드/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자유면 (F4 또는 F2)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갖는 다이오드 캐리어 위의 후면 보호 필름을 통해 자유면 (F4 또는 F2)에, 바람직하게는 접착 본딩에 의해서,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
-시준 광학계, 바람직하게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면 F2와 F3 사이에 있고, 다이오드는 면 F2와 F3 사이에 있으며, 다이오드가 있는 구역에서, 면 FB는면 F2와 접착제 접촉하고 면 FA는 다이오드 캐리어의 후면과 접착제 접촉하고, 투명 요소는 제 2 글레이징이다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면 F2와 F3 사이에 있고, 다이오드는 면 F2와 F3 사이에 있으며, 다이오드가 있는 구역에서, 면 FB가 면 F2와 접착제 접촉하고 면 FA가 다이오드 캐리어 후면과 접착제 접촉하고, 투명 요소는 제 2 글레이징이다.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1 차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바람직하게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면 F2와 F3 사이에 있고, 다이오드는 면 F2와 F3 사이에 있으며 다이오드가있는 구역에서 면 FA 는 면 F3 (특히, 소위 후면 PVB 시트) 또는 출구 표면의 측면 (특히 소위 전면 PVB 시트)과 접착 접촉하고, 면 FB가 면 F2와 접착 접촉하며 투명 요소는 최종 전면상의 플라스틱 보호 필름이고, (보호 필름의)면이 F2면을 향하고 적층 중간층 (특히 전면 PVB)과 접착 접촉하며, 상기 보호용 플라스틱 필름은 홀로그래픽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 장치의 최종 전면의 가장자리를 넘어서 최대 10 cm까지 연장되는 소위 연장 구역이 선택적으로 국부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적층 중간층은 복합체 (composite)이며 다이오드 영역 외부에 다음과 같은 스택을 포함한다 : 선택적 전기 전도성 기능성 코팅면-F2 또는 면 -F3 측면/PVB를 갖는 PVB/기능성 플라스틱 필름,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은 면 F2 위로 연장됨. 또한, 다이오드는면 F2와 면 F3 사이에 있고, 전면과 면 F3 사이에 상기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상기 PVB가 존재하고, 투명 요소는 비대칭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전면에 있는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이다.
적층 중간층은 방음 PVB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착색된다; 적층 중간층은 특히 그 두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색된 PVB이고, 착색된 부분은 적어도 다이오드와 면 F3 사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는 적층 중간층의 개구에 수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시준 또는 1 차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상기 개구에 수용되거나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상기 개구에 수용되고, 개구는 면 F3 방향으로 바닥으로 막히고 면 F2로 개방되거나, 또는 소위 내부 개구는 적층 중간층의 두께 내에 있고, 상기 투명 요소는 상기 내부 개구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개구보다 크고 내부 개구를 카바하는 보호 필름이다.
각각의 다이오드는 전자 부품의 에지면을 캡슐화하는 특히 중합체 또는 세라믹 주변 패키지를 구비한 전자 부품일 수 있으며, 상기 패키지는 특히 다이오드의 에지면을 정의하고 반도체 칩을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에 장착되는 표면 실장 소자이다.
글레이징은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할 수 있다 :
- 상기 제1 투명 글레이징,
- 면 F3 및 F4면이라고 하는 주 면 (main face)이 있는 미네랄 또는 유기 유리로 만든 제 2 투명 글레이징
-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 면들인 면 F2와 F3 사이에, 선택적으로 착색되고 및/또는 선택적으로 두께가 복합(composite)이고 중합체 재료로 만든 투명 적층 중간층, 이 적층 중간층 필름은 주 면 FA면 - F3 측 및 주 면 FB면 - F2 측을 가지며, 면 FA가 면 F3와 접착제 접촉하고 면 FB가 면 F2와 접착제 접촉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에는, 면 FA와 면 FB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이거나 또는 블라인드 홀을 형성하는 하나 또는 한 세트의 M 개구가 제공되고, 각각의 다이오드는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관통 개구 또는 블라인드 홀과 연관되거나, 상기 다이오드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그 그룹을 수용하는 소위 공통의 관통 개구 또는 소위 공통의 블라인드 홀과 관련되고, 다이오드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 안에 및/또는 면 F2와 면 FA 사이의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준 또는 1 차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갖는 다이오드는 PVB시트의 관통 개구 또는 블라인드 구멍 (blind aperture) 내에 있거나 또는 PVB/선택적인 기능성 코팅을 갖는 기능성 필름/PVB 의 관통 개구 또는 블라인드 구멍 내에 있다거나 또는 관통 개구 또는 블라인드 구멍은 다이오드 그룹의 다이오드들에게 공통이고 시준 광학 부품의 일부가 다이오드 사이에서 스페이서를 형성한다거나 또는 다이오드들 사이의 스페이서는 시준 광학계 부품과 분리된 부품이다.
객실의 가열을 제한하거나 에어컨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모놀리식 (monolithic) 또는 적층 글레이징이 착색되고, 적어도 글레이징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외부 유리)가 착색되고, 적층 (또는 모놀리식) 글레이징은 또한 태양 복사를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층을, 바람직하게는면 F4 또는 면 F2 또는 F3 (모놀리식 글레이징을 위한 면 F2) 위에서, 특히 투명한 전기 전도성 산화물 층, 즉 소위 TCO 층 (모놀리식 글레이징의 경우 면 F4 또는 F2 위에) 또는 심지어 적어도 하나의 TCO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은(silver)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들- 각 은 층은 유전체 층들 사이에 배치된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면 F2 및/또는 F3 상에 (은-함유) 층 및 면 F4 상에 TCO 층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투명 전기 전도성 산화물의) TCO 층은 바람직하게는 불소-도핑된 주석 산화물 층 (SnO2 : F) 또는 혼합 인듐 주석 산화물 (ITO) 층이다.
다른 층들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혼합 인듐 아연 산화물 ("IZO"라고 함)을 기반으로 하는, 갈륨 도핑되거나 알루미늄 도핑된 산화 아연을 기반으로 하는, 니오븀 도핑된 티타늄 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뮴 또는 아연 스타네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또는 안티몬-도핑된 산화 주석을 기반으로 한다. 알루미늄-도핑된 산화 아연의 경우, 도핑 레벨 (즉, 총 중량에 대한 산화 알루미늄의 중량)은 3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갈륨의 경우, 도핑 레벨은 전형적으로 5 내지 6 %의 범위 내이고 더 높을 수 있다.
ITO의 경우, Sn의 원자 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 특히 10 내지 60 %의 범위 내에 있다. 불소-도핑된 산화 주석에 기초한 층의 경우, 불소의 원자 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5 %, 일반적으로 1 내지 2 %이다.
ITO가 특히 SnO2 : F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높은 전기 전도성 때문에, 하나의 동일한 방사율 레벨을 얻기 위해 그 두께가 더 작을 수 있다. 캐소드 스퍼터링 공정, 특히 마그네트론 캐소드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증착되는 이들 층은 거칠기가 낮고 파울링 경향이 더 낮다.
한편, 불소-도핑된 산화 주석의 장점 중 하나는 화학기상증착 (CVD)에 의한 증착 용이성인데, 이는 캐소드 스퍼터링 공정과 달리 후속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플로트 평면 유리 생산 라인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방사율"이라는 용어는 표준 EN12898의 의미 내에서 283K에서 일반 방사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저 방사율 (TCO 등) 층의 두께는 층의 특성에 따라 조정되어, 요구되는 열 성능 품질에 의존하는 원하는 방사율을 얻도록한다. 저 방사율 층의 방사율은 예를 들어 0.3 이하, 특히 0.25 이하 또는 심지어 0.2 이하이다. ITO로 제조된 층의 경우, 두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40 nm, 실제로는 심지어 적어도 50 nm 및 심지어 적어도 70 nm 및 종종 최대 150 nm 또는 최대 200 nm 일 것이다. 불소-도핑된 산화 주석으로 제조된 층의 경우, 두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120 nm, 실제로는 심지어 적어도 200 nm 및 종종 최대 500 nm 일 것이다.
예를 들어, 저 방사율 층은 다음의 순서를 포함한다 : 높은 지수의 하부층/낮은 지수의 하부층/TCO 층/선택적인 유전체 상부층.
저 방사율 층 (템퍼링 동안 보호되는)의 바람직한 예로서, 높은 지수의 하부층 (<40 nm) / 낮은 지수의 하부층 (<30 nm) / ITO 층 / 높은 지수의 상부층 (5-15 nm) / 낮은 지수의 베리어 상부층 (<90 nm) / 최종 층(<10nm).
저 방사율 층으로 US2015/0146286 특허에 기재된 것들 중에서,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의 면 F4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
-제 1 및/또는 제 2 글레이징이 착색되고 및/또는 적층 중간층이 그 두께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착색된다 (특히, 빛에 가장 노출된 표면의 측면, 종종 열화가 발생하는 표면으로부터 멀어져서);
- 및/또는 글레이징의 면 F2 또는 F3 또는 F4 중의 하나 - 바람직하게는 면 F4 - 는 저 방사율 층, 특히 투명 전기 전도성 산화물 층 ( "TCO 층"), 특히 TCO 층을 갖는 얇은 층의 스택 또는 은(silver) 층을 가진 얇은 층의 스택으로 코팅된다;
-및/또는 글레이징의 면 F2 또는 면 F3 또는 면 F4 - 바람직하게는 면 F3 - 는 태양광 제어층, 특히 투명한 전기 전도성 산화물 층 (즉, 소위 TCO 층), 특히 TCO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의 스택 또는 하나 이상의 은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의 스택으로 코팅된다;
- 및/또는 추가 착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중합체) 필름이 면 F2와 F3 사이에 있거나 또는 F4 위에 (접합되어) 있거나, 심지어 면 F1위에 있다.
특히, 글레이징의 면 F4 는 투명한 기능층, 특히 저 방사율 층으로 코팅되며, 바람직하게는 터치 버튼 (제 1 발광면을 관리하가 위한)을 형성하는 영역 (전기를 공급하고 이에 따라 전극이 제공됨)을 포함하는 TCO 층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은 임의의 차량,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공정을 단순화하고 및/또는 생산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제 1 글레이징에 설치하기 전에 다음을 포함하는 제조 공정이다 (예를 들어, 모놀리식 글레이징의 F2면 또는 적층 글레이징의 F4 상에 있는 후면 보호 플라스틱 필름을 통한 접착제 본딩에 의해서, 또는 최종 광학 또는 보호 필름을 모놀리식 글레이징의 F2면 또는 적층 글레이징의 F4 에 주변부 본딩하는 것에 의해서 또는 적층 글레이징의 두 글레이징 사이에서) :
- 1 차 광학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필름 기반이고, 심지어 마지막 광학 필름, 특히 보호 필름인 경우, 필름 기반 시준 광학계 및 / 또는 필름 기반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를 주변부 고정 및 심지어 선택적으로 씰(seal)을 형성하는 주변부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각 다이오드에 사전 장착하는 단계
- 또는 각각의 다이오드 상에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다이오드 캐리어 상으로 연장부를 갖는 시준 광학계를 미리 장착하고, 바람직하게는 필름 기반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및 심지어 보호 필름을 마지막 방향 전환 또는 시준 광학 요소에 고정, 특히 주변부 체결에 의해 및 심지어 선택적으로 씰을 형성하는 주변부 접착제 본딩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 또는 1 차 광학계와 함께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다이오드 캐리어 상으로 연장부를 갖는 비 대칭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사전 장착하고 심지어 보호 필름을 비대칭 광학계에 주변부 고정, 특히 선택적으로 씰을 형성하는 주변부 접착제 본딩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 또는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다이오드 캐리어 상으로 연장부를 갖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각각의 다이오드에 사전 장착하고, 심지어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에 보호 필름을 고정, 특히 선택적으로 씰을 형성하는 주변부 접착제 본딩에 의해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필름은 선택적으로 씰을 형성하기 위해 주변에 고정되고 심지어 접착식으로 접착된다. 연장부 (extension)를 갖는 부분은 출구 표면과 이격되거나 그 위에 있는 (시준 또는 방향 전환) 제 1 광학 장치일 수 있고, 또는 시준 (또는 주) 광학 장치와 이격되거나 그것의 전면 표면 위에 있는 마지막 방향 전환 광학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외부 발광 신호를 갖는 차량의 적층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
- 다이오드, 다이오드 측면 또는 캐리어 측면을 갖는 다이오드 캐리어를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및 동시에 또는 별도로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천공되지 않았거나 또는 관통되거나 막힌 (blind) 구멍을 갖는 적층 중간층 위에 위치시키고 각 다이오드를 향하여 선택적 시준 광학계와 방향 전환 광학계를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연속적으로 :
- 제 1 및 제 2 글레이징 사이에 위치한 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
- 진공 하에서 및 가열해서 및 선택적으로 압력 하에서 적층하는 단계.
따라서 작업들은 산업적 적층 라인에서 벗어나서 수행된다. 각각의 시준 광학 부품 또는 각각의 방향 전환 부품은 특히 주변 연장부를 통해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전에, 관통되었거나 또는 막힌 홀의 두께(Et)는 0.3 내지 0.9 mm이고, 절대값 (E1-Et)이 최대 0.3 mm이거나 또는 LED 및 광학계 두께의 Ei-sum은 최대 0.3 mm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이 사용될 수있다 :
- 막힌 구멍이 있는 제1의 유일한 시트,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는 방음 PVB
- 관통 구멍 및 막힌 구멍이 있는 제 1 (PVB) 시트와 구멍이 없는 제 2 (PVB) 시트
- 구멍이 없는 제2 (PVB) 시트와 구멍이 없는 제 3 (PVB) 시트 사이에 관통 구멍 및 막힌 구멍이 있는 제 1 (PVB) 시트.
특히:
- 후면 시트 (F3측)은 선택적으로 0.3 ~ 0.9 mm 두께의 방음 및/또는 착색 PVB이고
- 및/또는 관통 홀 또는 막힌 홀을 갖는 중앙 시트는 선택적으로 두께가 0.3 내지 0.9 mm 이고, 절대값 (E1-E2)가 최대 0.3 mm 인 방음 및/또는 착색된 PVB Ej이고
- 및/또는 전면 시트 (F2측)은 0.3 내지 0.9 mm의 두께 (Ek)의 투명한 또는 매우 투명한 및 선택적으로는 방음 PVB이다.
다음을 계획할 수 있다:
- 각각의 다이오드가 관통 구멍 또는 막힌 구멍 입구 표면 측에서 상기 적층 중간층 상에 위치 (포지셔닝) 되도록,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일차 또는 시준 광학계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구멍 안에 수용되고, 및 출구 표면의 주변부에 바람직하게는 접착 본딩되어 고정되고, 또는 비대칭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개구를 덮어서 상기 적층 중간층 시트에 놓인다.
- 상기 공정이, 상기 포지셔닝 전에, 특히 주변부 접착제 본딩에 의해, 홀로그래픽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의 최종 전면 (front face)에 국부 보호 필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동안 상기 적층 중간층은 국부 보호 필름을 수용하는 막힌 구멍을 가지며 또는 상기 적층 중간층이 관통 구멍을 가지며 또 다른 적층 중간층이 구멍을 폐쇄하며,
- 각각의 다이오드 및 일차 또는 시준 광학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 장치를 수용하거나 또는 각 다이오드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 장치를 수용하는 상기 적층 중간층에 대해, 상기 공정은 상기 구멍을 폐쇄하는 보호필름 및 선택적으로 보호필름과 이미 접착제 접촉하여 보호 필름을 카바하는 또 다른 중간층 시트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공정은 특히 다이오드의 영역 외부 또는 다이오드의 캐리어 외부에서 가열 및 압력에 의해 점 접착성 접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 상기 층간층 시트와 또 다른 소위 후면 중간층 시트 입구면 측 사이에
- 및/또는 상기 중간층 시트와 또 다른 소위 전면 중간층 시트 출구면 측 사이에,
- 및/또는 시준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및 중간층 시트 또는 또 다른 중간층 시트 사이
각각의 다이오드 및 심지어 시준 광학계 또는 1차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각 다이오드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상기 중간층 시트 중 하나의 관통 구멍 또는 막힌 구멍 안에 있고 및/또는 각각의 다이오드 및 심지어 1 차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발광 소자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도, 상기 중간층 시트와 전면 또는 후면 다른 중간층 시트 사이에 끼워져 있다.
국소 접착제 접촉의 생성은 나머지 공정 동안 요소들이 서로 단단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조립체와 제 1 및 제 2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 사이에 국소 접착제 접촉을 생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각각의 접착제 접촉부는 예를 들어 최대 15mm의 폭이다.
특히 유리하게는, 국소 접착제 접촉은 적층 중간층의 국소 가열 (PVB의 경우 60°내지 80°C)에 의해 생성되고 압력을 가함으로써 더욱 양호하게 생성된다.
국소 가열은 특히 유도 (introduction), 열풍, 가열 요소, 방사선 (레이저 등)에 의한 것이다.
가열 공구 (및 압력을 가하는 더 나은 공구)의 방법으로, (실리콘, PTFE 탄성중합체 등) 붙지 않는 코팅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평평한 엔드 피팅 "납땜 인두", 가열 핑거 또는 뜨거운 공기총을 사용할 수 있다.
한번의 작업으로 다양한 점 접착 점이 생성될 수 있는 가열 도구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후면창의 F1 측의 정면도이다.
도 1a 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를 구비한 LED의 정면 상세도이다.
도 1b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를 구비한 LED의 다른 정면 상세도이다.
도 1i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j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k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l는 시준 광학계의 개략도이다.
도 1m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n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o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p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r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s는 방향 전환 광학계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면창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제 2 실시예의 대안에 따른 후면창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역 장착 다이오드를 갖는 제 2 실시예의 대안에 따른 후면창의 단면도이다. 도 2d는 이러한 형태의 다이오드를 보여준다.
도 2e는 제 2 실시예의 대안에 따른 후면창의 단면도이다.
도 2f는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대안에 따른 후면창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디플렉터 (deflector) (고정 측면 윈도우)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특히 도 3a를 참조하여 본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를 구비한 LED의 정면 상세도이다.
도 3d는 특히 도 3a를 참조하여 본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를 구비한 LED의 대안적인 정면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대안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단순화 하기 위해 글레이징은 평평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으로 구부러져 있다.
도면들은 축척이 아니며 개략적이다. 모든 도면은 기하학적 광학의 법칙을 따르는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를 설명한다.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대체될 수 있으며, 편차의 각도는 피치 및 광의 파장에 의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각각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방향 전환된, 시준된 광을 제공하는 2 개의 일련의 LED를 구비한 후면창 (1000)의 정면도이다.
무기 발광 다이오드 (4)는 다이오드 캐리어 상에 장착된 표면 실장 장치 (SMD)이고, 상기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후방 조명을위한 MV 적색 또는 지시등을 위한 MV 황색을 방출하며 따라서 외부 표면 F1의 방향 (11)으로 방출된다.
다음이 도시되어 있다:
- 제 3 정지등 (101) (구역 L3)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에지를 따라 광학계에 의해 시준되고 방향 전환되는 (시준 및 지상을 향해 방향 전환 (4)) MV 적색광을 제공하고 직사각형 스트립에서 중심에 놓이는 제 1 시리즈의 6 개의 LED (4).
- 사이드 리피터 (side repeater) 지시기 광 (103) (구역 L4)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에지를 따라 광학계에 의해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MV 황색광을 제공하고 직사각형 스트립 중앙에 놓이는 제 2 시리즈의 6 개의 LED (4)).
다이오드 캐리어는 최대 0.2 mm,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0.2 mm의 두께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PCB 보드)이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적층 또는 단일 글레이징인 후면창의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된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지지부 및 글레이징을 넘어 연장되고 특히 블랙 에나멜 (도시되지 않음)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내부 및/또는 외부 주변 마스킹 층들 (부분적으로) 사이에 연장되는 전기 연결부 (35)를 포함한다.
다이오드 캐리어의 전면이라고 불리는 면은 면 F2를 향하는 전도성 트랙을 가지며 그 후면은 예를 들어 후면창이 적층된 경우라면 면 F3에 대향한다. 각각의 다이오드는 외부 글레이징 (1)의 방향으로 방출되는 방출면을 가지며, 각각의 다이오드는 에지면을 갖는다.
다이오드 (4) (여기서는 단일 반도체 칩을 갖는)는 약 5mm 이하의 폭의 정사각형 형상이다.
도 1a는 전면에 다이오드 (4) (칩(41) 및 외곽선(40)을 갖는)를 갖는 다이오드 캐리어(3)의 정면 상세도이다. 각 다이오드는 수평(H)을 따라 연장되는 프리즘 배열로 구성된 개별 시준 광학계와 출구면(30')의 측면에 수평(H)을 따라 연장되는 비대칭 프리즘 배열로 구성되는 방향 전환 광학계(5)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얇고 투명한 광학 필름과 특히 2 개 또는 3 개 또는 그 이상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스택 (stack)이 바람직하다.
도 1b는 다이오드 (4)에 공통인 (시준 및 방향 전환) 광학계 (5)를 갖는 대안적인 정면 상세도이다. 따라서,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5)는 다이오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어도 다이오드 그룹당 카버리지) 카버 (cover)하기에 충분히 멀리 연장된다. 다이오드 (4) 사이에서 광학장치 (비 기능 부분 (55 '))은 폭이 작거나 폭이 0 일 수 있고 및/또는 텍스쳐 (텍스처는 오직 다이오드 (4)를 향함)가 없을 수 있다. 각각의 광학장치에 대해,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 사이의 일정하거나 작은 폭)의 얇고 투명한 광학 필름과 특히 2 개 또는 3 개 또는 그 이상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스택이 바람직하다.
도 1i는 본 발명에 따른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여기에서 시준 광학계 (5a)는 예를 들어 그 주변부 상에 양면 접착제 또는 접착제에 의해 다이오드의 출구 표면 (공기 충진된 공동 입구 면) 또는 심지어 다이오드 캐리어 (특히 복수의 다이오드에 공통인 프리즘형 필름) 에 고정되는 프리즘형 광학 필름이다. 그것은 예를 들어 두께가 부분적으로 텍스쳐링된 0.3 mm 미만의 플라스틱, 특히 PET 필름의 문제이다.
그것은 전면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인접하고 심지어 대칭인, 정점들 (S)과 정점사이의 피치 (T)가 0 μm 내지 500 μm 인 프리즘 (50)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기준 방향, 후면창 (또는 변형으로서 차앞유리)에 대한 수평, 에 대해 최대 10°의 각도를 이루는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심지어 기준 방향에 평행하다.
각 프리즘은 두 개의 세로면으로 정의된다. 각각의 프리즘은 정점에서 60 내지 110°, 더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를 가지며, 각각의 길이 방향면은 광학 필름 (5a)의 평면과 30 내지 55°, 더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만든다.
예를 들어, 피치는 160 μm이고 높이는 80 μm이며 나머지 두께는 정점과 계곡 쪽의 각도가 90°(±20 arc) 일 때 175 μm이다.
시준 광학계를 형성하는 이 단일 광학 필름 (5a)의 출구면과 입구면 사이에 공기가 있다.
이 시준 광학 필름 (5a)의 전면 프리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고; 각각의 전면의 패턴들의 정점은 예를 들어 방향 전환 광학 필름과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이 광학 필름 (5a)을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캐리어)의 출구 표면에 접착 본딩하는 것은 프레임 형일 수 있고 밀봉을 형성 할 수있다.
여기에 정점과 계곡이 표시된다 (패턴들이 인접해있다)
하나의 변형으로, 정점은 둥글고 측면이 구부러진 다. 프리즘을 나타내는 각도 (정점에서의 각도, 필름의 평면에 대한 각도)는 변곡점 I1, I2를 통과하는, A에서 분할하는 두개의 직선 b1, b2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곡률 반경도 제한된다.
도 1j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이 도면은 도 1i와 다른데, 시준 광학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제 2 프리즘형 필름 (5b)이 90 °로 교차하고 예를 들어 그 주변에서 제 1 프리즘 필름 (5a)에 접착 결합 (용접 등)되는 동일한 제 2 프리즘 필름 (5b)이 추가 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1k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도 1k는 도 1i와 다른데, 시준 광학계 (5a) (두께가 부분적으로 텍스쳐링된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0.6 mm 미만의 PET로 만들어진 필름)가 2 차원 패턴을 갖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1l은 본 발명에 따른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이 도면은 이전의 도면과 다른데, 여기서 필름 (5a)의 2 차원 패턴이 오목하고, 2 차원 패턴들의 배열이 공동 (cavity)의 배열이고, 정점 (S)이 (객실의 내부쪽으로 (적층 글레이징의 면 F3 쪽으로) ) 지향되고 각 공동의 상부 표면은 자유롭거나 투명 (방향 전환 광학계) 요소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공기는 공동에 있다는 것이 다르다.
도 1m 내지 1o 는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이다. 이 도면은 도 1l과 다른데, 보이는 것이 필름이 아니라 텍스처링된 2D 플레이트 및 주변 연장부 (55a)를 갖는 부품이라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이오드 (4)의 시준 광학계를 형성하는 부품 (5)은 매끄러운 입구면 (5) (출구면 (40)과 이격되어 있는)과 텍스쳐링된 출구면, 특히 텍스쳐링 기능 중심 구역, 여기서는 오목한 피라미드의 배열를 포함한다. 부품(5)은 주변 연장부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접착제로 다이오드캐리어(3) 및/또는 다이오드에 부착하기 위해 및/또는 적층 글레이징인 경우 (예방으로) PVB에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중공체 또는 서라운드 형태를 취한다. 부품 (5)은 예를 들어 정사각형 윤곽, 특히 다이오드의 윤곽과 유사한 윤곽을 갖는다. 부품 (5)은 예를 들어 PMMA로 만들어지고 몰딩에 의해 얻어진다. 적층 글레이징의 경우, 벽 (53)은 바람직하게 PVB와 접촉한다. 따라서, 부품 (5)은 PVB의 관통 개구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부품 (5)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4)를 수용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서라운드 벽 (53)은 가장자리 면을 통해 다이오드를 유지하기 위해 2 개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4 개의 내부 스터브 (55a)를 포함한다.
이 부품 (5)은 방향 전환 필름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p 내지 1r은 시준 광학계의 개요도를 보여준다.
다이오드 (4)의 시준 광학계를 형성하는 부품 (5)은 텍스쳐링된 면, 여기서는 중심 구역을 갖는 프레넬 렌즈, 및 주변 연장부 (55)를 포함하며, 주변 연장부는 예를 들면 접착제로 다이오드캐리어(3) 및/또는 다이오드에 부착하기 위해 및/또는 적층 글레이징인 경우 (예방으로) PVB에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중공체 또는 서라운드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부품 (5)는 정사각형 윤곽을 갖는다. 예를 들어 PMMA로 만들어지며 몰딩에 의해서 얻어진다.
벽 (55)는 바람직하게는 있을 수 있는 PVB (광통 개구를 형성하는 공동)와 접촉한다.
부품 (5)는 관통 개구 (20a)에 완전히 수용된다.
부품(5)는 다이오드(4)를 수용하는(유지하는)부분(55b)를 포함한다. 서라운드 벽(55b)은 가장자리 면을 총해 다이오드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 스터브(55a)를 2개 혹은 더 바람직하게는 4개를 포함한다. 시준 광학계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는 출구면(40')과 이격되어 있다.
텍스쳐링된 출구면의 기능성 구역 및 따라서 중앙 구역은 출구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주변 구역은 텍스쳐링 될 수도 또는 렇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심지어 에어 충진 캐비티 (air-filled cavity)를 생성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는 모자와 같이 다이오드(4)를 카바할 수 있다.
시준 광학계를 갖는 이 부품은 다이오드(40, 41)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 스터브(55a)를 갖는다.
광이 시준되면 (하나 이상의 필름, 플레이트 또는 몰딩된 부품으로) 그것을 후면창을 위해 또는 변형으로서 차앞유리 (또는 후면창, 등)를 위해 지면으로 향하여 방향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s는 시준 광학계 (예를 들어 접착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서 주변에 고정된 또는 그로부터 최대 1 mm만큼 이격된)의 전면에 있을 방향 전환 광학계의 정면도이다. 방향 전환 필름은 정점들과 정점들 사이의 피치(T')가 10 um 내지 500 um 이고 바람직하게는 출구 (빛을 방출하는)면을 향하는 적어도 4개 또는 심지어 10개의 패턴을 포함한다.
따라서 방향 전환 광학계는 최종 전면 (final front face)이라고 하는 출구면과 대향하는 주 면 (main face)에 비대칭 프리즘 형상의 어레이를 갖는 비대칭 프리즘 형상인 제 1 광학 필름(5)을 포함한다. 비대칭 프리즘은 제 3 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축에 대해 및/또는 글레이징의 기준 방향 (뒷쪽 창의 경우 수평)에 대해 최대 10°, 최대 5°또는 최대 2°의 각을 이루고 심지어 평행이고, 특히 1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비대칭 프리즘은 제 1 및 제 2의 길이 방향 들에 의해 정의되고 프리즘은 바람직하게는 길이(L)와 폭(W)을 갖고 L>2W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L>5W 또는 L>10W이다. 각 비대칭 프리즘은 정점에서 50 내지 60°더욱 바람직하게는 55°±5°또는 55°±2°의 각도(a'O)를 가지며 제 1 길이방향 면 (51) (긴 면이라고 함)은 필름의 평면과 31 내지 41°더욱 바람직하게는 35°±5°또는 35°±2°범위의 제 1각을 이루며, 제 2 길이방향 면 (짧은 면이라고 함)(52)은 자연스럽게 필름의 평면과 79 내지 99°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0°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90°범위의 제 2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차 a4-a3는 40°및 심지어 50°보다 크다.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부분적으로 텍스쳐링된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면 PET로 만들어진 그리고 두께가 0.6 mm 또는 0.3 mm인 플라스틱 필름이다.
변형으로서 비대칭 프리즘 형상인 두개의 평행한 광학 필름으로 구성된 조립체를 선택한다.
도 2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면창(200)의 단면도이다.
이 후면창(200)은 유기 또는 미네랄 유리로 만든 제 1 투명 글레이징을 포함하며 F1 및 F2라고 불리는 주 면 (11, 12)과 가장자리면 (10)과 (선택적으로 곡면인) 글레이징의 면에서 수평인 소위 기준 방향을 갖는다.
각 다이오드 (다이오드 캐리어(3)위의)는 정점에서 50°내지 70°의 반 방출각도로 그리고 다이오드의 평면에 수직인 주 방출 방향으로 면 F2를 향하여 MV 적색으로 방출한다. 변형으로 1차 광학 장치 (primary optical)를 갖는다.
제 1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어레이를 갖는 제 1 광학 필름 (5a)이 주변 접착제 접합 (61)에 의해 출구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1축에 90°를 이루는 제 2 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프리즘 어레이를 갖는 제 2 광학 필름 (5b)이 주변 접착제 접착 (62) (접착제, 양면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제 1 필름(5a)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축은 기준 방향과 0의 각을 이룬다.
기준 방향으로 길이로 연장되는 긴 면(51)과 짧은 면(52)를 구비한 비대칭 프리즘 어레이를 갖는 제 1 방향 전환 광학 필름(5)은 주변 접착제 접착 (63) (접착제, 양면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제 2 필름(5b)의 전면에 고정된다.
긴 면에 대한 법선은 F2면을 향하고 (지면을 향하여 방향 전환을 위해서) 후면창 및 앞유리의 상부로 향한다.
상기 방향 전환 필름(5)의 전면은 면 F2에 주변 접착제 접착 (64) (접착제, 양면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제 2 필름(5b)의 전면에 고정된다. 이것은 선택적인데 왜나하면 여기서 후면 보호 필름(7) (여기서는 이중층(70,71)이 캐리어(3), LED(4) 및 광학 필름(5a, 5b,5)으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덮고 그것을 넘어 연장된다)이 단일 글레이징의 면 F2 (또는 적층 글레이징의 F4)에 접착제(65)로 고정되고 다이오드 캐리어(3)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필름(7,70)은 (대량으로) 착색되거나 그 주 면들의 하나에 전기 전도성 기능층(71) (태양광 제어등)를 갖는다.
200은 예를 들면 지면으로부터 12°내지 80°, 예를 들어 50 내지 70°로 배향된다.
방향 전환 필름(5)는 예를 들어 광을 지면을 향하여 적어도 15°각도로 방향 전환한다.
도 2b는 제 2 실시예의 대안에 따른 후면창 (back window) (200a)의 단면도이다. 시준 광학계 (5b)는 프리즘 (5b)의 어레이 (상기 교차 프리즘의 어레이)를 갖는 몰드 부분 또는 2 차원 패턴의 어레이라는 점에서 앞의 도면, 도 2a와 다르다. 이 부분은 접착제 본딩 (60) (접착제, 양면 접착제)에 의해 다이오드 캐리어 (3)에 고정된다. 그것은 도 1m 내지 1r에 설명된 부분의 문제일 수 있다.
도 2c는 제 2 실시예의 또 하나의 대안에 따른 후면창 (back window) (200a)의 단면도이다. 다이오드(4)가 역장착 되어 있고 시준 광학 필름(5)이 이차원 패턴 (또는 교차된 프리즘 필름이 사용된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a와 다르다. 다이오드 캐리어(3)는 천공될 수 있다. 도 2d는 이러한 형태의 다이오드를 보여준다. 시준 광학 필름 (5b)은 그 주변부에 임의의 수단(61)에 의해서 다이오드 캐리어(3)에 접착제로 접착된다.
도 2e는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대안에 따른 후면창 (back window) (200d)의 단면도이다. 그것은 도 2a 와 다른데, 시준 광학계 (5b)는 복수의 다이오드(4)에 공통인 몰드된 부분이고, 2 차원 패턴을 가지며, 주변부에 임의의 수단 (62)에 의해서 부분 (5b)에 접착식으로 접착되는 방향 전환 필름 (5)이 상기 다이오드들에게도 또한 공통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다이오드 캐리어는 임의의 수단 (65') (접착제, 양면 접착제 등)에 의해 단일 글레이징 (1)의 면 (F2) (또는 변형으로서 적층체의 F4)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도 2f는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대안에 따른 후면창 (200e)의 단면도이다. 그것은 시준 광학계(5b)가 프리즘 필름 또는 그것의 위에 얹히는 방향 전환 필름 (5)과 같이 복수의 (종래방식 대로 장착된) 다이오드에 공통적인 이차원 패턴부를 포함하는 필름이라는 점에서 도 2d와 상이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 (4)를 구비한 디플렉터 (고정 측면 윈도우) (300)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후자의 실시예의 디플렉터 (300)의 단면도이다.
이 디플렉터 (300)는 면 F1 및 F2라고 불리는 주 면들 (11, 12) 과 가장자리 면 (10) 및 (선택적으로 굽은) 글레이징의 평면에서 수평에 대한 법선인 소위 기준 방향을 갖는 유기 또는 미네랄 유리로 만든 투명한 제 1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그것은 예를 들어 폭이 더 작은 상단 모서리를 가진 사변형이다. 그것은 예를 들어 면 F2 상에 개구 (15a)를 구비한 마스킹 층 (15) (검은색 에나멜 등)을 포함한다.
일련의 다이오드 (3)는 개구 (15a)와 내측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내부)면 F2을 향해 MV 황색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아래쪽 테두리에 직사각형 (또는 다른 모양) 인 발광 스트립의 문제이다.
제 1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프리즘 어레이를 갖는 제 1 광학 필름 (5a)이 주변 접착제 본딩 (60)에 의해 출구면에 고정된다 (도 3b 참조). 이 제 1 필름의 전면에는 상기 제 1축에 90 °의 각도를 이루는 제 2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리즘 어레이를 갖는 제 2 광학 필름 (5b)이 주변 접착제 본딩 (61)에 의해 고정된다; 제 1 또는 제 2 축은 기준 방향과 영의 각도를 만든다.
이 제 2 필름의 전면에는 기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면 (51)과 짧은 면들 (52)을 구비한 비대칭 프리즘 어레이를 갖는 제 1 방향 전환 필름 (5)이 주변 접착제 본딩 (62)에 의해 고정된다. 긴 면에 대한 법선 N은 면 F2를 향하고 디플렉터의 전방을 향한다 (후방으로의 방향 전환을 위해). 이 방향 전환 필름의 전면은 주변 접착제 본딩 (64)에 의해 면 F2에 고정된다; 이것은 접착제 (65)를 갖는 보호 후면 필름 (7)이 있기 때문에 선택적이다 (여기서는 이중층 (70, 71)은 캐리어, LED 및 광학 필름 (5a, 5b, 5)으로 구성된 어셈블리를 덮고 연장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착색되거나 또는 전기 전도성 기능 (태양광 제어 등) 층 (71)을 갖는다. 후면창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 12°내지 80°, 예를 들어 50 내지 70°로 배향된다.
예를 들어, 필름은지면을 향하여 적어도 15 °각도로 빛을 방향 전환한다. 변형으로서,면 F4에 대한 접착제 본딩을 갖는 적층 글레이징의 문제이다. 에나멜은 면 F2 또는 F3 또는 F4에 있을 수 있다 (각각 구멍이 있음).
도 3a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3c는 다이오드 (4) (칩 (41) 및 그 외곽선 (40)을 갖는)의 상세 정면도이며, 각 다이오드에는 수평면 (H)에 대한 법선을 따라 연장된 프리즘의 어레이로 구성된 개별 시준 광학계와 출구면 (30')의 측면에서 수평 (H)에 대한 법선을 따라 연장되는 비대칭 프리즘의 어레이로 구성되는 방향 전환 광학계 (5)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정사각형 형상, 특히 2 개 또는 3 개 이상의 필름의 스택인 얇고 투명한 광학 필름이 바람직하다.
도 3a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3d는 다이오드에 공통적인 (시준 및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갖는 대안적인 상세 정면도이다. 따라서, 시준 광학계 및 방향 전환 광학계 (5)는 모든 또는 일부의 다이오드 (적어도 다이오드 그룹당 커버리지)를 커버하기에 충분히 멀리 연장된다. 다이오드들 (4) 사이에서 광학계 (비기능 부분 (55 '))는 폭이 작거나 폭이 0 일 수 있고 및/또는 텍스쳐링이 없을 수 있다 (텍스쳐링은 단지 다이오드 (4)를 향함). 각각의 광학계에 대해,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들 사이의 일정한 폭 또는 작은 폭), 특히 2 개 또는 3 개 또는 그 이상의 필름의 스택으로 된 하나 이상의 얇고 투명한 광학 필름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글레이징 (400)의 단면도이다. 이 차량 특히 자동차의 적층 후면창(400)은 다음을 포함한다:
- 투명한 제 1 글레이징 (1) : 광물 또는 심지어 유기 유리로 만들어지고, 면 F1 및 F2로 불리는 주 면들 (11, 12), 가장자리면 (10) 및 후면창의 측면 에지사이에서 수평인 소위 기준 방향을 갖는다;
- 제 2 글레이징 (1'):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TSA (또는 투명 또는 아주 투명) 유리로 만들어지고, 특히 두께가 2.1 mm 또는 심지어 1.6 mm 또는 심지어 1.1 mm 미만 (특히 화학적으로 강화된 유리) 이고, 각각 면 F3 및 면 F4로 불리는 제 3 및 제 4 주 면들 (13, 14)을 갖는다;
-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면 (12, 13)을 형성하는 면 F2와 면 F3 사이에, PVB로 만든,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적층 중간층 (2, 21, 22): 두께가 최대 2 mm 또는 1 밀리미터 이하 및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PVB (Solutia 또는 Eastman의 RC41)의 경우 약 1 mm 이하, 예를 들어 약 0.76 mm 이고 또는 필요한 경우 변형예로서, 두께가 약 0.81 mm를 갖는 (3 층 또는 4 층) 방음 PVB이고, 면 F2 (코팅이 없든지 또는 있든지)와 접착제 접촉하는 면 FB 및 면 F2로 통하는 개구 (2e)를 갖는 PVB 층 (21) 을 포함하며, 상기 PVB의 가장자리면 (20)은 글레이징의 가장자리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2 mm만큼 뒤로 들어와 있다
-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면 F4 및/또는 대안적으로 면 F3 위의 저방사율 (ITO) 기능층: 선택적으로 (가열, 저방사율 등) 기능층으로 코팅된다.
- 바람직하게는 면 F1 또는 11 또는 F3 또는 13 또는 바람직하게는 면 F2 및 심지어 F4 또는 14상의, 예를 들어 검은 에나멜로 만든, 내부 및 외부 주변 마스킹 층들.
PVB (2)의 개구부에는 캐리어 (3)상의 LED (4) 인 발광 소자가 수용되며, 발광 소자는 정지등 또는 다른 신호등 을 형성하기 위해 MV 적색광 (또는 지시기 (사이드 리피터(side repeater)등을 위해 MV 황색)을 방출할 수 있고 또는 면 F2 (12)를 향해 방출되는 외부 상징 (그림 문자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LED는 면 F2을 향하여 출구면 (30) 및 개구의 바닥에 대향하는 입구면 (30)을 갖는다. 캐리어 (3)는 제 1 글레이징의 에지면을 넘어 연장되는 커넥터 (35)를 포함하며, 이는 그 주변에서 입구면 측에 고정된다.
다음 순서로 LED (4)를 향하여 배치된다:
- 시준 광학계(5a): 다이오드 출구면 측에 배면 (rear face) 및 배면에 대향하는 전면(40')를 갖는다.
- 방향 전환 광학계(5): 다이오드 출구면 측에 배면 (rear face) 및 배면에 대향하는 전면(40')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LED를 향하여 출구면 쪽 배면과 배면에 대향하는 전면을 갖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배치된다.
개구부(2)는 LED(4), 광학계 (5a, 5)를 둘러싸며 심지어 그 에지면과 접촉하고 또는 변형으로서 상기 에지면으로부터 최대 0.5 mm 및 심지어 최대 0.1 mm 만큼 이격된다.
예를 들어 제조하는 동안 다음의 것이 선택된다:
제1 및 하나의 시트(21) - PVB로 만들어지고 하나의 관통 (또는 변형으로서 막힌) 구멍을 갖는다- 및 변형으로서 후면 측면 위의 후방 제 2 PVB시트. 리플로 (reflow)에 의해서, 두 시트들은 보일 수도 있는 인터페이스와 선택적으로 접합된다.
시준 광학계(5a)는 프리즘 광학 필름 또는 바람직하게는 주변부에 양면 접착제 또는 접착제(61)에 의해서 다이오드의 출구면 (에어 충진된 공동 입구면을 만드는)에 고정되는 이차원 패턴을 포함하는 필름이다.
그것은 예를 들어 0.3 mm미만의 두께에서 부분적으로 텍스쳐링되고 PET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필름의 문제이다. 예를 들면, 피치는 160 μm 이고 높이가 80 μm 이고 나머지 두께는 정점과 계곡 측의 각도가 90°(+-20 arc) 일 때 175 μm 이다. 공기는 시준 광학계의 단일의 제 1 광학 필름의 출구 표면과 입구면 사이에 있다. 공기는 시준 광학계의 전면 패턴들 사이에 있다 ; 패턴들의 정상은 방향 전환 광학계(5)와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방향 전환 광학계(5)는 광학계 (4)의 전면 (에어 충진된 공동 입구측을 만드는)에 대해서(against) 또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처럼, 양면 접착제 또는 접착제(60)에 의해서 주변부에 고정되고 및 바람직하게는 면 F (에어 충진 공동 입구 측)에 대해서 또는 여기에서 처럼 그 주변부에 양면 접착제 또는 접착제(60)에 의해 면 F에 고정된다. 공기는 방향 전환 광학계의 전면 프리즘 사이에 있다: 패턴의 정점들은 면 F2와 접촉한다 이러한 두개의 필름 (5a, 5)의 스택은 매우 얇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5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와 다른데, PVB(2)의 관통 개구에 단지 제 1 프리즘 필름(5a)을 포함하는 방향 전환 광학계와 관련하여, 제 1 필름 및주변 접착제 본딩(62)과 교차되는 제 2 프리즘 광학 필름(5b) 및 후방 PVB (22)가 추가되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제조 중에 다음이 선택된다 : (다이오드 구역의 외부) 면 F2(12)와 접착제 접촉하는 면FB 를 구비한 하나의 관통 (또는 변형으로서 막힌) 구멍를 갖는, PVB로 제조된 제 1 시트 (21) 및 면 F3와 접착제 접촉하는 면 FA를 구비한 후면(22) 측 위에 제 2 후면 PVB 시트. 리플로우에 의해, 두개의 시트는 보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여기서는 점선으로 도시 됨)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캐리어 (3)는 접착 본딩에 의해 또는 스폿 가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점 접착제 접촉을 생성함으로써 후면 시트 (22)에 미리 고정된다. 2 개의 글레이징 (1, 1') 사이에 설치 전 또는 후에 LED 구역 또는 캐리어 구역 (3) 외부의 2 개의 시트 (21, 22) 사이에 점 접착제 접촉이 생성될 수 있다. 이들 3 개의 필름 (5a, 5b, 5)의 스택은 매우 얇을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600)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도4와 다른데, 제 2 방향 전환 광학 필름(5')이 (PVB(2)의 개구부에) 제 1 방향 전황 필름(5)에 추가되었고 및 그 주변(63)에 접착 본딩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700)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도4와 다른데, 후면 PVB (22)가 선택적으로 추가되고 시준 광학계 (PVB의 개구에서)는 몰드 부품 (프리즘 패턴(5a)을 갖는)이고, 예를 들어 다이오드 캐리어(3)에 접착 본딩외는 연장부(55)를 구비한 PMMA로 만들어 진다. 몰드 부품의 위에 있는 교차된 프리즘 필름(5b) 그리고 방향 전환 필름(5)이 사용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변형으로서, 후면 출구면 측과 후면에 대향하는 전면을 갖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갖는 몰드 부품이 LED를 향하여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800)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도7와 다른데, PVB에 있는 구멍이 내부 (막혀있는)에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작하는 동안, 전면 PVB 시트(23)가 배치되고 후면 PVB시트는 제거된다 (면 F3에 접착 본딩된 다이오드 캐리어는). 적층하는 동안 리프로우(reflow)가 방향 전환 광학계(5)의 광학 기능을 억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PET로 만든, 0.3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국부적 플라스틱 보호 필름(7)은 방향 전환 프리즘 광학 필름 (5)의 전면에 그 주변주에 접착 본딩된다. 이 필름(7)은 칼라 필터일 수 있다. 방향 전환 광학계(5)는 플라스틱 보호 필름(7)에 대면하거나 또는 여기에서 처럼 그 주변에서 양면 접착제 또는 접착제(60)에 의해서 고정되는 비대칭 프리즘 광학 필름이다. 변형으로서, 후면 출구면 측과 후면에 대향하는 전면을 갖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구비한 몰드 부품이 LED를 향하여 배치되고, 보호 필름은 보존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800')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의 대안이다. 이 도면은 이전 도면과는 다른데, 후면 PVB시트(22)는 보존되고 플라스틱 필름(7)은 예를 들어 두께가 0.3 mm 미만이고 PET로 제작된 피복 필름이고, 피복 필름은 그 주변부에서 방향 전환 필름(5)의 전면에 접착 본딩되고 및/또는 단순히 개구를 덮는(폐쇄)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것은 전면 PVB 시트 (23)와 접착 접촉하고, 예를 들어 그와 함께 사전 조립된다 (적층 전에 기능성 PET / 전면 PVB가 함께). 이 필름 7, 71은 착색될 수 있고 및/또는 전기 전도성 기능성 코팅 (72) 면 F2 또는 면 F3 측 - 태양광 제어 코팅, 로이코팅 등- 을 가질 수 있다 .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100')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방향 전환 광학계(5)가 개구부(시준 광학 필름(59)이 그 안에 수용된다)가 더 크다는 점이 도 4와 다르다. 방향 전환 광학계(5)는 면 F2에 대항해 있다거나 또는 여기서 처럼 그것에 양면 접착제 또는 접착제(63)에 의해 그 주변주에 고정된다. 후면 PVB 시트(22)도 추가 되었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110)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다이오드(4)가 역 장착되고 다이오드 캐리어(3)가 F2에 더 가깝고 개구되어 광학계(5a, 5)를 수용한다는 점에서 이전 도면과 다르다. 변형예로서,후면 출구-표면 측 및 후면과 대향하는 전면을 갖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LED를 향하여 배치되고, 다이오드 캐리어 (3)는 면 F2에 더 가깝고 개구되어 이 광학계를 수용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시준되고 방향 전환된 광을 제공하는 LED를 구비한 글레이징 (120) (후면창 또는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다이오드 캐리어(3)가 개구되어 있지 않고 방향 전환 광학계(5)를 형성하고 시준 광학계가 출구 표면의 면 F2 측에 미리 접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Claims (29)

  1. 측면창 또는 후면창 또는 앞유리, 특히 자동차 (100) 측면창, 후면창 또는 앞유리부터 선택되고,
    - 미네랄 또는 유기 (organic) 유리로 만들고, 면 F1 및 F2 라고 하는 주면들 (11, 12) 및 가장자리 면(10)을 가지며 및 소위 기준 방향을 갖는 제 1 투명 글레이징(1)
    - F2측 광원이고 외부 신호 광을 방출할 수 있고, 면 F2를 향하여 출구 표면을 갖는 광원을 포함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에 있어서,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상의 무기(inorganic) 발광 다이오드 (4)의 세트이고 각각의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41)을 포함하고, 각각의 다이오드는 면 F2의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구성에서, 각각의 다이오드는 정점에서 최대 50°의 출력 방출 반각 및 방출면 (및 면 F2)의 평면에 수직인 주 방출 방향을 갖는 1 차 광학계를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제 2 구성에서, 각각의 다이오드는 정점에서 50°내지 70°의 방출 반각과 방출면의 평면에 수직인 주 방출 방향을 가지며, 글레이징은 특히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 한 세트의 시준광학계 (5a, 5b)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발광 다이오드 (4)와 관련되고,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면 F2를 향하는 전면 및 반대 뒷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투명 재료로 만들어진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정점(S) 및 정점 사이에 10 ㎛ 내지 500 ㎛의 피치(T)를 갖는 패턴 어레이(array)를 포함하고,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다음을 포함 :
    a) 출구 표면과 대향하는 소위 전면 시준면상에 이차원의 상기 패턴 어레이를 갖는 제 1 광학 요소,
    b) 프리즘형인 적어도 2개의 광학 요소, 바람직하게는 최대 2 개의 프리즘형 광학 요소 세트가 출구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다음 순서로 다음을 포함한다 :
    - 출구 표면에 대향하는 주면 상에, 제 1 축 (Y)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인 패턴 어레이를 갖는 제 1 광학 요소,
    - 제 1 광학 요소를 향하여, 출구 표면에 대향하는 주면 상에 상기 제 1축에 대해 90 ± 10°인 각을 이루는 (제 1 또는 제 2 축은 기준 방향과 최대 10°및 심지어 평행이다) 제 2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패턴 어레이를 갖는 제 2 광학 요소
    c) 또는 출구 표면에 대향하는 소위 전방 시준면 상에 프리즘인 상기 패턴 어레이 - 패턴 어레이는 기준 방향에 대해서 최대 10°의 각을 이루며 및 심지어 평행인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 를 갖는 단일의 제 1 광학 요소
    d) 출구 표면에 대향하는 소위 전방 시준면 상에 또는 후면 상에 있는 프레넬(Fresnel) 프리즘 세트 및 심지어 프레넬 렌즈를 형성하는 단일의 제 1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시준 광학계 또는 각각의 1차 광학계를 향하는 제 1 및 제 2 구성에서 상기 시준 광학계 또는 상기 1차 광학계 및 면 F2 사이에 하나의 비대칭 광학 필름 또는 한 셋트의 비대칭 광학 필름을 -각각은 정점 및 정점 사이에서 10 μm 내지 500 μm 의 피치(T')를 갖는 비대칭 프리즘 어레이를 포함함- 포함하는 방향 전환 광학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방향 전환 광학계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최종 전면이라고 불리는 출구면과 반대쪽 주면 상에 기준 방향에 대해 최대 10°의 각도를 이루는 제 3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셋트의 비대칭 프리즘을 갖는 제 1 비대칭 광학 필름
    j) 또는 프리즘형인 두 개의 비대칭 광학 필름 세트로 출구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순서로 다음을 포함한다 :
    - 출구면에 대향하는 주면 상에 기준 방향에 대해 최대 10°의 각도를 이루는 제 3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대칭 프리즘 세트를 갖는 제 1 비대칭 광학 필름
    - 제 1 비대칭 광학 필름에 대향하여, 소위 최종 전면이라고 불리는 출구면에 대향하는 주면 상에 제 2 프리즘형 패턴 어레이 - 어레이가 제 1 프리즘형 패턴과 교차하는 - 를 갖는 제 2 비대칭 광학 필름, 제 2 어레이 프리즘 셋트는 상기 제 3축에 대하여 최대 10°의 각도를 이루 는 제 4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제 4축은 글레이징 의 기준 방향과 최대 10°의 각도를 이룬다.
    i) 또는 j)에 대해서, 각 비대칭 필름이 제 1 및 제 2 길이 방향 면에 의해서 정의되고, 각 프리즘은 정점에 대해 50 내지 60°범위의 각을 이루며, 긴 면이라고 부르는 제 1 길이 방향 면은 필름의 평면과 31°내지 41°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긴 면에 대한 법선은 F2를 향하고 후면창 또는 앞유리 상부 또는 측면창의 전방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후면창 또는 앞유리에 대한 기준 방향은 창 또는 앞유리의 평면에서 수평이고 및 측면창에 대한 기준 방향은 창의 평면에서 수평에 대한 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 b) 및 c) 또는 d)의 경우 공기가 시준 광학계의 제 1 광학 요소의 출구 표면과 후면 사이에 있고,
    - b) 및 c)의 경우 공기는 시준 광학계의 전면 프리즘 사이에 있고, d)의 경우 공기가 프레넬 프리즘 사이에 있으며,
    - a)의 경우 이차원 패턴이 오목하고, 이차원 패턴의 어레이(array)는 공동(cavity)의 어레이이고, 정점(S)은 면 F2의 반대편으로 향하고 및 각 공동의 상단 표면은 비대칭 프리즘형 필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공기는 공동 안에 있고, 또는 이차원 패턴은 돋아져 있고, 각 전면의 이차원 패턴의 정점은 비대칭 프리즘형 필름과 이격되어 있거나 또는 물리적 접촉을 하고 공기는 이차원 패턴들 사이에 있으며,
    - 공기는 비대칭 프리즘 사이에 있고, 비대칭 프리즘형 필름의 마지막 전면은 제 1 글레이징과는 구별되거나 일치하는 투명 요소와 이격되어 있거나 물리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제 3 구성에서, 글레이징은 출구 표면을 향하는 특히 투명 재료로 만든, 한 셋트의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더 포함하고, 각 방향 전환 광학계는 발광 다이오드(4)와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면 F2를 향하는 전면과 그 반대의 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투명 재료로 제조된 각각의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특히 마지막 전면에 홀로그래픽 패턴 어레이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고 공기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의 출구 표면과 입구면 사이에 있고 및 공기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의 전면의 돋아진 홀로그래픽 패턴들 사이에 있거나 또는 공기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의 전면의 오목한 홀로그래픽 패턴 안에 있고,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필름의 전면은 제 1 글레이징과 구별되거나 일치하는 투명 요소로 부터 이격되어 있거나 그것과 물리적 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2. 제 1항에 있어서,
    - 후면창의 경우,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적색으로 방출하고 특히 광원 및 시준 광학계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일차 광학계는 (제3) 정지등을 함께 형성하고 또는 광원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제3) 정지등을 함께 형성하고
    - 후면창 또는 앞유리의 경우,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황색으로 방출하고, 광원 및 시준 광학계 또는 일차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예를 들어 화살표 형상의 지시기등을 함께 형성하고
    - 또는 광원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예를 들어 화살표 형상의 지시기등을 함께 형성하고
    - 및/또는 후면창 또는 앞유리의 경우, 광원은 기호, 픽토그램 (pictogram)특히 위험 경고등 및/또는 특히 안전 거리에 대한 정보와 같은 경고성 픽토그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글레이징이 복수 셋트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각각은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시준 또는 1차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구비하며, 그 광원은 특히 후방 글레이징의 상부 경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4. 제 1항에 있어서, 특히 고정된 리플렉터로서의 측면창의 경우, 광원은 황색으로 방출하고, 광원과 일차 또는 시준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사이드 리피터 (side repeater)를 형성하고 또는 광원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가 사이드 리피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대칭 프리즘 및 심지어 프리즘 또는 이차원 패턴들은 연속적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방향 전환 광학 필름 및 심지어 각각의 시준 광학계는 두께에서 부분적으로 텍스쳐링된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밀리미터 이하 크기의 두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mm의 두께인 다이오드 캐리어(3)라 불리는 플렉시블 (flexible) 캐리어를 포함하며, 및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가 글레이징의 가장자리 면을 넘어서 연장되고, 및 특히 선택적으로는 중공(hollow)인 제 1 다이오드 베어링 (diode-bearing) 부분(31) 및 글레이징의 가장자리 면을 넘어서 이어지는 더 좁은 전력 공급 부분(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오드들은 역 장착된 다이오드들이고 다이오드 캐리어 면 (F2 측)의 면은 시준 광학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텍스처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시준 광학계는 선택적으로 천공된 캐리어 상의 텍스쳐링된 플레이트 (plate) 또는 필름이고 또는 다이오드 캐리어는 천공되고 및 다이오드들은 1차 광학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9. 제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 위에 장착되고 및/또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들의 그룹 위에 장착되는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은:
    - 시준 광학계, 특히 텍스쳐링된 플레이트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특히 텍스쳐링된 플레이트 또는 특히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특히 텍스쳐링된 플레이트,
    - 다이오드 가장자리 면을 따라 면 F2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심지어 다이오드의 상기 가장자리 면과 접촉하는 주변 연장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연장부(55)는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들의 그룹의 주변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층 중간층의 관통 개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1. 제 9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 연장부(55)는 다이오드 혹은 다이오드들의 그룹의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가지며, 주변부의 벽은 특히 다이오드 혹은 다이오드들의 그룹을 지지하기 위한 스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시준 광학계의 상기 기능성 부분의 전면 주변부와 대하는 (against)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제에 의해 거기에 고정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준 광학계는 바람직하게는 출구 표면 및 심지어 방출 표면의 주변부 상의 다이오드에 후면을 통하여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고,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시준 광학 필름의 최종 전면의 주변부와 대하는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제에 의해 거기에 고정되는 필름을 포함하고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전방 표면의 주변부에 대하는 또는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제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로그래픽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전면의 주변부의 투명 요소, 예를 들면 투명 접착제에 의해 특히 고정되는 면 F3 및 F4 라는 주면(13, 14)을 갖는, 미네랄 또는 유기 유리로 만들어진 제 2 투명 글레이징(1')를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의 면 F2 또는 면 F4에 대하여 있거나 또는 거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은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
    - 상기 제 1 투명 글레이징(1),
    - 미네랄 또는 유기 유리로 제조되고 면 F3 및 F4로 불리는 주면 (13, 14)을 갖는 제 2 투명 글레이징(1')
    -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면들인 F2 및 F3 면들 사이에, 선택적으로 착색되고 및/또는 선택적으로 두께가 복합적이고,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투명 적층 중간층(2, 20), 주면 FA면(F3측) 및 주면 FB면(F2측)을 갖는 적층 중간층 필름, F3와 접착제 접촉하는 면 FA 및 F2와 접착제 접촉하는 FB.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은 적층되어 있으며 각 다이오드는 적층 중간층의 구멍에 수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시준 또는 1차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상기 구멍에 수용되고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상기 구멍에 수용되고, 구멍은 면 F3 방향으로 바닥으로 막혀있고 (blind) 면 F2 로는 열려있고, 또는 소위 내부 구멍은 적층 중간층의 두께 내에 있고 상기 투명 요소는 상기 내부 구멍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구멍보다 크고 및 상기 내부 구멍을 덮는 (covering) 보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준 또는 1차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갖거나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갖는 다이오드들(4)이 PVB에 뚫린 또는 막힌 구멍에 있거나 또는 PVB/선택적 기능성 코팅을 갖는 기능성 필름/PVB의 뚫린 또는 막힌 구멍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이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 상기 제 1 투명 글레이징(1),
    - 면 F3 및 F4 라고 불리며 미네랄 또는 유기 유리로 제조된 제 2 투명 글레이징(1')
    -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면인 면 F2 및 F3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PVB로 제조되고 선택적으로는 착색되고 및/또는 선택적으로는 두께로 복합적이고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투명 적층 중간층(2), 주면 FA면(F3측) 및 주면 FB면(F2측)을 갖는 적층 중간층 필름, F3와 접착제 접촉하는 면 FA 및 F2와 접착제 접촉하는 F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및 시준 광학계는 다이오드 보다 크고 그 주변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제 접착되고 후면을 통하여 상기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및 선택적으로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다이오드 보다 크고 그 주변부에 고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후면을 통하여 특히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시준 광학계에 접착제 접착되고
    - 또는 1차 광확계 또는 시준 광학계는 그 주변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투명 접착제에 의해 출구 표면에 접착제 접착되고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는 다이오드보다 크고 주변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적층 중간층에 접착제 접착되고 또는 후면을 통하여 상기 적층 중간층과 주변부에 접착제 접촉을 하며
    -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다이오드보다 크며 그 주변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적층 중간층에 접착제 접착되고 후면을 통해 상기 적층 중간층과 그 주변부에 접촉한다.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1차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바람직하게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면 F2와 F3사이에 있고, 다이오드는 면 F2와 F3 사이에 있고, 다이오드를 갖는 구역에서 면 FA는 면 F3 또는 출구 표면 측에서 접착제 접촉하고 FB는 면 F2와 접착제 접촉하며투명 요소는 플라스틱 보호 필름이고 최종 전면에 있고 면 F2를 향하는 면을 가지며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며, 상기 플라스틱 보호 필름은 국부적이고 선택적으로는 홀로그래픽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의 최종 전면의 가장자리를 최대 10 cm 만큼 넘어서 연장되는 소위 연장 구역을 선택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중간층은 복합체이고 다이오드 구역 밖에서 다음의 스택을: PVB/선택적인 전기 전도성 기능성 코팅면 F2 또는 F3측을 갖는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PVB 포함하고,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은 면 F2를 넘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및 다이오드가 F2 및 F3 사이에 있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 상기 PVB는 전면과 F3 사이에 있고, 투명 요소는 비대칭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계의 전면상의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21.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 F2는 자유이고, 글레이징은 모놀리식이고, 비대칭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면 F2상에 있고 또는 글레이징이 적층되어 있고 다이오드가 자유면 F4 측 위에 있는 경우, 시준 광학계는 그 주변부에서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에 그 후면을 통해 특히 출구 표면의 주변부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제에 의해 접착제 접착되고 및/또는 다이오드/1차 또는 시준 광학계/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자유면 F4 또는 F2로 연장되어 돌출한 고정 부분을 갖는 다이오드 캐리어 상의 후면 보호 필름을 통하여 자유면 F4 또는 F2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접착되고, 또는 다이오드/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자유면 F4 또는 F2로 연장되어 돌출한 고정 부분을 갖는 다이오드 캐리어 상의 후면 보호 필름을 통하여 자유면 F4 또는 F2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22.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차량.
  23. 제 14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글레이징은 제 1 글레이징 위에 설치하기 전에:
    - 1차 광학계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필름 기반이고 심지어 마지막 광학 필름 상의 보호 필름인 경우, 필름 기반 시준 광학계 및/또는 필름 기반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를 특히 주변 고정에 의해서 및 심지어 선택적으로 씰 (seal)을 형성하는 주변 접착제 본딩에 의해서 각각의 다이오드 상에 사전 장착하는 단계
    - 또는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다이오드 캐리어 상으로 연장부를 갖는 시준 광학계를 각 다이오드 상에 사전 장착하고, 바람직하게는 필름 기반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및 심지어 보호 필름을 마지막 방향 전환 또는 시준 광학 소자에 특히 주변 고정에 의해서 및 심지어 선택적으로 씰을 형성하는 주변 접착제 본딩에 의해서 고정하는 단계
    - 또는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다이오드 캐리어 상으로 연장부를 갖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를 1차 광학계를 갖는 각각의 다이오드 상에 사전 장착하고, 심지어 보호 필름을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에 특히 선택적으로 씰을 형성하는 주변 접착제 본딩에 의해 주변 고정하는 단계
    - 또는 텍스쳐링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다이오드 캐리어 상으로 연장부를 갖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각각의 다이오드 상에 사전 장착하고, 심지어 보호 필름을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에 특히 선택적으로 씰을 형성하는 주변 접착제 본딩에 의해 주변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24. 제 14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광 신호 차량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 다이오드, 다이오드 측면 또는 캐리어 측면을 갖는 다이오드 캐리어를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및 동시에 또는 별도로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천공되지 않았거나 또는 관통되거나 막힌 (blind) 구멍을 갖는 적층 중간층 위에 위치시키고 각 다이오드를 향하여 선택적 시준 광학계와 방향 전환 광학계를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연속적으로 :
    - 제 1 및 제 2 글레이징 사이에 위치한 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
    - 진공 하에서 및 가열해서 및 선택적으로 압력 하에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신호 차량 적층 글레이징 제조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준 광학계 부품 또는 각각의 방향 전환 광학계 부품은 다이오드 캐리어 위에 특히 주변 연장부를 통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글레이징 제조 방법.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이오드가 관통 구멍 또는 막힌 구멍 입구 표면 측에서 상기 적층 중간층 시트 상에 위치 (포지셔닝) 되도록,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일차 또는 시준 광학계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가 구멍 안에 수용되고, 및 출구 표면의 주변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착 본딩되고, 또는 비대칭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가 개구를 덮어서 상기 적층 중간층 시트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글레이징 제조 방법.
  27.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전에, 특히 주변부 접착제 본딩에 의해, 홀로그래픽 또는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의 최종 전면 (front face)에 국부 보호 필름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지셔닝 동안 상기 적층 중간층은 국부 보호 필름을 수용하는 막힌 구멍을 가지며 또는 상기 적층 중간층이 관통 구멍을 가지며 또 다른 적층 중간층이 구멍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
  28.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중간층이 각각의 다이오드 및 일차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를 수용하거나 또는 각 다이오드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공정은 상기 구멍을 폐쇄하는 보호필름 및 선택적으로 보호필름과 이미 접착제 접촉하여 보호 필름을 카바하는 또 다른 중간층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
  29. 제 23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다이오드의 영역 외부 또는 다이오드의 캐리어 외부에서 가열 및 압력에 의해 다음에서 점 접착성 접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발광 신호 차량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
    - 상기 층간층 시트와 또 다른 소위 후면 중간층 시트 입구면 측 사이에
    - 및/또는 상기 중간층 시트와 또 다른 소위 전면 중간층 시트 출구면 측 사이에,
    - 및/또는 시준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 및 중간층 시트 또는 또 다른 중간층 시트 사이에
    각각의 다이오드 및 심지어 시준 광학계 또는 1차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각 다이오드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상기 중간층 시트 중 하나의 관통 구멍 또는 막힌 구멍 안에 있고 및/또는 각각의 다이오드 및 심지어 1 차 또는 시준 광학계 및 비대칭 방향 전환 광학계 또는 발광 소자 및 홀로그래픽 방향 전환 광학계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도, 상기 중간층 시트와 전면 또는 후면 다른 중간층 시트 사이에 끼워져 있음.
KR1020207017903A 2017-11-30 2018-11-28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KR102606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61477 2017-11-30
FR1761477A FR3074117B1 (fr) 2017-11-30 2017-11-30 Vitrage de vehicule a signalisation lumineuse extern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PCT/FR2018/053021 WO2019106290A1 (fr) 2017-11-30 2018-11-28 Vitrage de vehicule a signalisation lumineuse extern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170A true KR20200094170A (ko) 2020-08-06
KR102606452B1 KR102606452B1 (ko) 2023-11-28

Family

ID=6355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903A KR102606452B1 (ko) 2017-11-30 2018-11-28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858237B2 (ko)
EP (1) EP3717304A1 (ko)
JP (1) JP7191955B2 (ko)
KR (1) KR102606452B1 (ko)
CN (1) CN110198864B (ko)
BR (1) BR112020008715A2 (ko)
FR (1) FR3074117B1 (ko)
MX (1) MX2020005440A (ko)
PE (1) PE20201492A1 (ko)
RU (1) RU2767217C2 (ko)
WO (1) WO2019106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788B2 (en) 2019-02-01 2023-12-19 Racing Optics, Inc. Thermoform windshield stack with integrated formable mold
WO2020160492A1 (en) 2019-02-01 2020-08-06 Racing Optics, Inc. Thermoform windshield stack with integrated formable mold
DE102019107075A1 (de) * 2019-03-20 2020-09-24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CN115891332A (zh) * 2021-09-30 2023-04-04 法国圣戈班玻璃公司 一种可发光玻璃基制品
US11747543B1 (en) * 2022-03-01 2023-09-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ghting system laminated into glasses using microLEDs and lens
EP4344951A1 (en) * 2022-09-29 2024-04-03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A transparent roof panel assembly for a vehicle ro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5483A1 (en) * 2012-10-04 2014-04-10 Guardian Industries Corp. Embedded led assembly with beam steering optical element, and associated products, and/or methods
WO2016079459A1 (fr) * 2014-11-21 2016-05-26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WO2017042703A1 (en) * 2015-09-07 2017-03-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ighting systems of tailgates with plastic glaz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0090Y2 (ko) * 1984-11-21 1989-12-01
FR2738621B1 (fr) * 1995-09-11 1997-11-28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a plusieurs sources alignees, notamment feu stop complementair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42393B1 (fr) * 1995-12-15 1998-03-06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a encombrement axial reduit, notamment feu stop sureleve
JPH1064321A (ja) * 1996-08-22 1998-03-06 Omron Corp 導光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装置
DE69715567T3 (de) 1996-11-26 2016-08-04 Saint-Gobain Glass France S.A. Verwendung einer Verbundglasscheibe zur Dämmung von durch Festkörper geleiteten Schwingungen in einem Fahrzeug
US6036340A (en) * 1998-03-03 2000-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impled manifold optical element for a vehicle lighting system
JP5254557B2 (ja) * 2007-02-22 2013-08-07 三光合成株式会社 装飾用パネル
FR2941447B1 (fr) * 2009-01-23 2012-04-06 Saint Gobain Substrat en verre transpar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substrat.
FR2964100B1 (fr) 2010-08-24 2015-10-16 Saint Gobain Procede de selection d'un intercalair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intercalair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CN104978042B (zh) * 2011-01-05 2018-04-27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用于能显示的键盘、键区或其它用户输入设备的透光键组件
DE102011053032B4 (de) * 2011-08-26 2022-06-09 HELLA GmbH & Co. KGaA Leuchteinheit für Fahrzeuge mit einer das Gehäuse abdeckenden Lichtscheibe
CA2861707C (en) 2012-03-05 2017-03-07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with thermal radiation reflecting coating
FR2990948B1 (fr) 2012-05-22 2019-08-30 Saint-Gobain Glass France Intercalaire plastique viscoelastiqu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US9651231B2 (en) * 2012-10-04 2017-05-16 Guardian Industries Corp. Laminated LED array and/or products including the same
WO2015031594A2 (en) 2013-08-29 2015-03-05 Corning Incorporated Thin glass laminate structures
ES2641137T3 (es) * 2013-10-24 2017-11-0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nfiguraciones ópticas con dos o más películas microestructuradas
CA2929112A1 (en) 2013-10-29 2015-05-07 Source 1 Environmental,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pipe
FR3013631B1 (fr) 2013-11-27 2017-04-28 Saint Gobain Intercalaire plastique viscoelastiqu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TWI653495B (zh) * 2014-06-26 2019-03-11 荷蘭商皇家飛利浦有限公司 發光二極體照明單元
CN204431848U (zh) * 2015-01-30 2015-07-01 北京同创新力电子有限公司 一种多层光学复合屏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5483A1 (en) * 2012-10-04 2014-04-10 Guardian Industries Corp. Embedded led assembly with beam steering optical element, and associated products, and/or methods
WO2016079459A1 (fr) * 2014-11-21 2016-05-26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WO2017042703A1 (en) * 2015-09-07 2017-03-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ighting systems of tailgates with plastic glaz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74117B1 (fr) 2020-12-04
EP3717304A1 (fr) 2020-10-07
BR112020008715A2 (pt) 2020-11-03
FR3074117A1 (fr) 2019-05-31
CN110198864B (zh) 2022-10-25
JP7191955B2 (ja) 2022-12-19
US20200384740A1 (en) 2020-12-10
KR102606452B1 (ko) 2023-11-28
PE20201492A1 (es) 2020-12-29
RU2020120326A3 (ko) 2021-12-30
WO2019106290A1 (fr) 2019-06-06
US11858237B2 (en) 2024-01-02
CN110198864A (zh) 2019-09-03
MX2020005440A (es) 2020-08-27
JP2021504910A (ja) 2021-02-15
RU2767217C2 (ru) 2022-03-16
RU2020120326A (ru)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503B1 (ko) 조명식 적층형 차량 선루프,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KR102606452B1 (ko)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KR102396566B1 (ko) 차량의 적층형 유리 선루프,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
KR102606457B1 (ko)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US10639869B2 (en) Vehicular luminous laminated glazed roof, vehicle incorporating same and manufacture
CN107848379B (zh) 车辆用挡风玻璃以及包含这种挡风玻璃的车辆和制造
CN110418712B (zh) 车辆发光玻璃车顶、包括该车顶的车辆和制备
KR20200115553A (ko)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제조
EP2635433B1 (en) Laminated inorganic and organic glass diffused light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