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915A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2915A KR20200092915A KR1020200092091A KR20200092091A KR20200092915A KR 20200092915 A KR20200092915 A KR 20200092915A KR 1020200092091 A KR1020200092091 A KR 1020200092091A KR 20200092091 A KR20200092091 A KR 20200092091A KR 20200092915 A KR20200092915 A KR 202000929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oupling
- gripping
- getting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차량의 도어 체커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는 도어 체커에 걸려 결합되는 결합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부에 체중을 실어 파지부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승하차 보조기구가 파손되지 않고, 승하차 보조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승차 또는 하차할 때, 보다 쉽게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보조하는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사회는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사회가 고령화되더라도 사용자들은 대중교통이나 차량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고령자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를 위해 여러 장치들이나 보조기구가 이용되고 있지만, 일반 승용차가 SUV와 같은 차량에 고령자가 승차 또는 하차하는 것이 쉽지 않다. 차량의 탑승 위치가 높은 트럭 등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된 경우가 있지만, 일반 승용차나 SUV에는 그러한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5201호(이하, 선행문헌1)는 차량의 도어 체커에 걸릴 수 있는 걸쇠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지지대에 대한 연구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문헌1에 개시된 구성을 보면, 이동 지지대가 도어 체커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걸리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1은 걸쇠부재가 도어 체커에 걸릴 때 단단하게 끼워져 고정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는데, 실제 도어 체커는 표준이 없어, 그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실제 적용하여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1에서 걸쇠부재는 이동 지지대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이동 지지대를 이용할 때, 선행문헌1의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 체커에 걸쇠부재를 걸고 핸들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몸의 체중을 실어야 하는데, 그로 인해 걸쇠부재와 핸들의 회전구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그에 따라 선행문헌1의 동일 출원인의 다른 연구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5202호(이하, 선행문헌2)에 핸들에 케인부재가 핸들에 걸리는 체중을 지지할 수 있지만, 선행문헌2는 별도의 추가 구성이 포함되어, 사용 시 케이부재가 차량에 걸리는 등의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 기술인 일본 공개특허 제2004-065331호(이하, 선행문헌3)는 설치체를 도어 체커에 수평 방향으로 끼우거나 엇갈리게 걸리도록 한 것이 개시된다. 그렇지만, 선행문헌3은 도어 체커의 크기가 일정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고, 다른 크기로 형성된 도어 체커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 체커에 걸어 안전하게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는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 체커의 크기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안전하게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는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차량의 도어 체커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단면 형상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횡단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는 도어 체커에 걸려 결합되는 결합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부에 체중을 실어 파지부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승하차 보조기구가 파손되지 않고, 승하차 보조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하차 보조기구의 결합부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부가 도어 체커에 결합될 때, 승하차 보조기구가 도어 체커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사용자가 승하차 보조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승하차 보조기구의 결합부가 크기가 다양하게 구비되어 차량의 도어 체커의 크기가 다른 다양한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체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체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체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100)는 파지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비되며,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할 때, 사용자가 체중을 실어 무게가 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쉽게 파지부(110)를 감싸 쥘 수 있게 돌기(112) 및 파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2)는 파지홈(114) 사이에 배치되며, 파지홈(114)은 파지부(110)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홈(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 또는 다섯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홈(114)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파지부(110)의 횡단면은 사각형인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파지부(110)에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파지부(110)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20)는 파지부(110)와 수직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파지부(110)와 결합부(120)의 형성된 각도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체커(200)의 결합홀(2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데, 결합홀(210)의 형상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중에 판매되는 차량의 도어 체커(200)의 결합홀(21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결합홀(210)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 횡단면 형상은 다른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파지부(110)의 끝단 및 결합부(120)의 끝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승하차 보조기구(100)를 휴대할 때, 승하차 보조기구(100)의 모서리에 긁히지 않기 위해 횡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승하차 보조기구(100)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소정 이상의 외력을 받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100)는, 파지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부(110)는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120)는 파지부(110)에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20)는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의 횡단면은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2)는 파지부(110)에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결합부(124)는 제1 결합부(122)의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 결합부(126)는 제2 결합부(124)의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3 결합부(126)의 횡단면 너비는 제2 결합부(124)의 횡단면 너비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결합부(124)의 횡단면 너비는 제1 결합부(122)의 횡단면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는 각각 횡단면의 너비가 일정 길이 이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와 같이, 횡단면 너비가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도어 체커(200)의 결합홀(210) 크기가 다른 차량이더라도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 중 어느 하나를 도어 체커(200)의 결합홀(210)에 끼워 승하차 보조기구(1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 각각의 횡단면 너비가 일정 길이 이상을 가지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 중 어느 하나가 결합홀(210)에 견고하게 걸려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더라도 사용자는 안전하게 승하차 보조기구(100)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는 그 사이에 횡단면의 단면 너비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별도의 연결부가 구비되지 않고, 계단 형상처럼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가 단차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부의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어 체커(200)의 결합홀(210) 크기가 제1 내지 제3 결합부(122, 124, 126)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연결부의 측면이 경사면이 도어 체커(200)의 결합홀(21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승하차 보조기구(100)를 도어 체커(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승하차 보조기구
110: 파지부
112: 돌기
114: 파지홈
120: 결합부
122: 제1 결합부
124: 제2 결합부
126: 제3 결합부
200: 도어 체커
210: 결합홀
110: 파지부
112: 돌기
114: 파지홈
120: 결합부
122: 제1 결합부
124: 제2 결합부
126: 제3 결합부
200: 도어 체커
210: 결합홀
Claims (3)
-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차량의 도어 체커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단면 형상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횡단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2091A KR102289240B1 (ko) | 2017-12-29 | 2020-07-24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3574A KR20190081209A (ko) | 2017-12-29 | 2017-12-29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KR1020200092091A KR102289240B1 (ko) | 2017-12-29 | 2020-07-24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3574A Division KR20190081209A (ko) | 2017-12-29 | 2017-12-29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2915A true KR20200092915A (ko) | 2020-08-04 |
KR102289240B1 KR102289240B1 (ko) | 2021-08-24 |
Family
ID=7204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2091A KR102289240B1 (ko) | 2017-12-29 | 2020-07-24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924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40189B1 (en) * | 1999-12-17 | 2002-01-22 | N/Amp Company, Inc. | Universal device for facilitating movement into and out of a seat |
JP2004065331A (ja) | 2002-08-02 | 2004-03-04 | Wada Kogyo Kk | 乗降補助具 |
KR20110002851U (ko) * | 2009-09-15 | 2011-03-23 | 최기영 | 전동 칫솔 |
KR101665201B1 (ko) | 2014-12-16 | 2016-10-12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승하차용 이동 지지대 |
KR101665202B1 (ko) | 2014-12-16 | 2016-10-13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승하차용 이동 지지대 |
KR20170017673A (ko) * | 2015-08-06 | 2017-02-15 | 이. 미샨 앤드 선즈, 인코포레이티드 | 차량 승차/하차 보조 장치 |
-
2020
- 2020-07-24 KR KR1020200092091A patent/KR1022892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40189B1 (en) * | 1999-12-17 | 2002-01-22 | N/Amp Company, Inc. | Universal device for facilitating movement into and out of a seat |
JP2004065331A (ja) | 2002-08-02 | 2004-03-04 | Wada Kogyo Kk | 乗降補助具 |
KR20110002851U (ko) * | 2009-09-15 | 2011-03-23 | 최기영 | 전동 칫솔 |
KR101665201B1 (ko) | 2014-12-16 | 2016-10-12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승하차용 이동 지지대 |
KR101665202B1 (ko) | 2014-12-16 | 2016-10-13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승하차용 이동 지지대 |
KR20170017673A (ko) * | 2015-08-06 | 2017-02-15 | 이. 미샨 앤드 선즈, 인코포레이티드 | 차량 승차/하차 보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9240B1 (ko) | 2021-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35806B2 (en) | Panel removal tool and method | |
US5442141A (en) | Easy-insertion integrally hinged C-shaped connector | |
US9303672B2 (en) | Rivet fastener | |
US20110271802A1 (en) | Double handle tool | |
US9500004B2 (en) | Vehicle door unlocking device | |
CN107923218A (zh) | 合页侧的手指保护装置 | |
TWI676533B (zh) | 無損式覆蓋件拆卸工具 | |
US5693910A (en) | Easy-insertion integrally hinged C-shaped connector | |
KR20200092915A (ko)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
JP2004501302A (ja) | 車両用窓ガラスの保持装置 | |
CA2937010C (en) | Reservoir cap socket | |
KR20190081209A (ko) | 차량의 승하차 보조기구 | |
US10864620B2 (en) | Tool for installing an interior trunk handle of a vehicle or the like | |
US8739594B2 (en) | Electrical connector crimping plier tool | |
JP5041208B2 (ja) | 合成樹脂製容器 | |
US20170282335A1 (en) | Locking pliers | |
JP5062547B2 (ja) | 合成樹脂製角形壜体 | |
KR101666120B1 (ko) | 못질 보조기구 | |
US20030061915A1 (en) | Combination tire repair wrench | |
JP6767514B2 (ja) | L字コネクタ用カバー | |
WO2019176006A1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 |
JP6570040B2 (ja) | ねじ釘金具取付補助具 | |
CN108068704B (zh) | 集成到车辆的触及辅助工具 | |
JP3029239U (ja) | ラケットのグリップ構造 | |
JP3201046U (ja) | セパ折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